KR2001005460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608A
KR20010054608A KR1019990055486A KR19990055486A KR20010054608A KR 20010054608 A KR20010054608 A KR 20010054608A KR 1019990055486 A KR1019990055486 A KR 1019990055486A KR 19990055486 A KR19990055486 A KR 19990055486A KR 20010054608 A KR20010054608 A KR 20010054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signal
input
termi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덕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5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4608A/ko
Publication of KR20010054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60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TRS 단말기 또는 무전기등의 PTT키가 한번 눌러지면, 송신경로를 오픈시킨 다음 송신하고자 하는 사람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성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 끊기지 않을 경우 PTT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지 않아도 송화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receive status of a voice signal in a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TT키가 부착된 주파수 공용 통신(Trunked Radio System: 이하 TRS라 칭함)단말기 또는 무전기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자와 송화하고자 하는 송화음을 이용하여 PTT버튼을 한 번만 눌러도 계속적으로 송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화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TRS단말기는 물론 무전기등 PTT키가 필수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단말기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TRS는 동일한 주파수를 공통으로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시간을 달리하여 공용하는 경우와 지역을 달리하여 동시에 공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후자의 경우 전파의 특성상 주파수가 높을 수록 많이 공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채널을 다수의 이용자가 공용하는 것이 아니고 다수의 채널을 다수의 이용자가 공용함으로써, 이용자가 자동적으로 다수의 채널 중에서 빈 채널을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의 이용 효율이 높으며, 통화품질이 향상되어 데이타통신과 팩스통신이 가능하며, 이때 사용되는 주파수는 800M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TRS는 단말기에 개별번호(Unoque ID)를 부여하여 개별통신(Ind ividual Call)을 할 수 있으며, 지령국(Center)에서 그룹 전체와 일체통화(All Call)을 할 수 있는 그룹 통신기능과 비상시에 일제 통보서비스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므로 치안, 운수, 건설, 항만 분야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TRS는 통신방식에 있어 일반적인 이동통신과는 근본적인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TRS는 전화통화기능 이외에 지령통화(Dispatch)라는 고유기능을 수행한다. 전화통화는 아날로그 TRS에서는 제공되지 않았던 부가기능이라 할 수 있고, 이런 통화는 어느 특정그룹에 할당된 사용자에게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이다.
전화통화시 사용자는 풀 듀플렉스방식으로 통화를 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말하면서 동시에 상대방이 하는 말을 들을 수 있는 방식이고, 지령통화는 하프 듀플렉스 통화방식으로서 수신과 송신이 모두 가능한 방식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TRS 또는 무전기와 같은 단말기)의 송화상태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
도 1은 TRS 또는 무전기 단말기의 송화상태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PTT키가 온(On) 되었는지를 즉, PTT키가 눌러졌는지를 판단한다(S101).
판단결과, PTT키가 온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즉, PTT키가 오프상태이면, 수신대기 또는 수신상태 즉, 상대방에서 전송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를 유지한다(S103).
반대로, PTT키가 온 되어 있을 경우에는 TRS단말기 또는 무전기의 무선 송신경로 및 송화 송신경로를 오픈 한 후,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거나 음성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S102).
이와 같이, 음성신호 수신상태 또는 음성신호 수신 대기상태에서 PTT키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04), PTT키가 오프되었으면, 상기 S103단계로 피드백되어 수신대기상태 또는 수신상태를 유지하고, PTT키가 계속적으로 온 상태이면, 계속적으로 송신대기상태 또는 음성신호 송신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무전기나 TRS 단말기의 송/수화 경로 구조를 보면,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PTT키를 눌러 잡으면 CPU(미도시)에 로직 "0"가 입력되어 PTT키가 눌러졌다는 것을 인식하여 송화경로를 열어주고 송화자는 PTT키를 계속적으로 누르고 송화하고 PTT버튼을 놓으면, 수신 대기상태로 전환되어 수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TRS단말기 또는 무전기에 PTT버튼이 필수적으로 부착되어 있어 통화를 원하는 사람은 PTT버튼을 눌러 잡고 유지한 상태에서 송화경로를 연 다음 송화를 하게 되는 데, 이러한 경우 PTT버튼을 계속 눌러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전기를 차량에 설치하고 운행할 경우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서 PTT버튼을 계속 눌러 잡고 통화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PTT키가 한번 눌러지면, 송신경로를 오픈시킨 다음 송신하고자 하는 사람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성신호가 3초동안 계속 끊기지 않을 경우 PTT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지 않아도 송화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제어장치의 동작과 상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의 특징은 PTT키 및 마이크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음성신호 검출수단과; a) 상기 PTT키에 의해 스위칭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음성신호 검출부로 부터의 음성신호 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송화경로를 클로우즈시키고, 단말기를 수신대기상태로 유지시키며, b) 상기 PTT키의 스위칭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음성신호 검출부에서 검출한 음성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내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PTT키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송화경로를 송화상태 또는 송화대기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음성신호 검출수단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자의 음성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의 크기와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상응하는 신호를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제어수단으로 제공하는 신호변환부로 구성됨에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방법의 특징은, PTT키와, 마이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화상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PTT키가 온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a) 판단결과, 상기 PTT키가 오프되었으면, 상기 단말기를 수신대기 또는 수신상태로 전환하고, b) 판단결과, 상기 PTT가 온되었거나 또는 온 되었다가 오프되면, 단말기의 무선 송신경로 및 음성 송화경로를 오픈시킨 후, 마이크(30)를 통해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내에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a)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PTT키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단말기를 송신 대기상태 또는 송신상태를 유지한 후, 계속적으로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b)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기를 수신대기 또는 수신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상태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성신호 검출부의 상세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칭부 20 : 제어부
30 : 음성신호 입력부 40 : 음성신호 검출부
41 : 증폭부 42 : 신호 검출부
43 : 비교부 44 : 신호변환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방법에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TT키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성신호 검출부의 상세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대방에게 통화를 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칭부(10)와, 송신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음성신호 입력부(30)와, 음성신호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음성신호 검출부(40)와, 상기 스위칭부(10)에서 스위칭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음성신호 검출부(40)로 부터의 음성신호 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송화경로를 클로우즈시키고, 단말기를 수신대기상태로 유지시키고, 반대로, 스위칭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음성신호 검출부(40)에서 검출한 음성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내에 입력되는 경우 스위칭부(10)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송화경로를 송화상태 또는 송화대기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부(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위칭부(10)는 PTT키이고, 음성신호 입력부(30)는 마이크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음성신호 검출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30)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자의 음성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41)와, 증폭부(41)에서 증폭된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42)와, 신호 검출부(42)에서 검출된 신호의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43)와, 비교부(4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도 1에 도시된 제어부(20)로 제공하는 신호변환부(44)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증폭부(41)는 3개의 OP앰프(U1A, U1B, U2A)로 이루어진 것이고, 신호검출부(42)는 상기 증폭부(40)의 OP 앰프(U2A)의 출력단에 콘덴서(C8)가 연결되고, 콘덴서(C8)와 애노드단과 캐소드단이 각각 컴먼(Common)되도록 연결된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된다.
또한 비교부(43)는 OP앰프(U2B)로 이루어진 것으로, OP앰프(U2B)의 반전단자(-)에 신호검출부(42)의 다이오드(D2)가 연결되어 검출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고, 비반전단자(+)에는 기준전압(VCC)이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신호변환부(44)는 저항(R14, R15, R16)과 트랜지스터(Q1)로 이루어진 인버터회로인 것이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1)는 NPN 트랜지스터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
먼저, 사용자(송신자)가 TRS단말기의 스위칭부(10) 즉, PTT키를 온시키게 되면, 제어부(20)는 무선송신경로 및 음성송화경로를 오픈시켜 음성신호 송신 대기상태로 전환시킨 후, 음성신호 검출부(40)로 부터 음성신호가 검출되어 기설정된 시간내에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음성신호 검출부(40)로 부터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아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 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오프시킨 무선송신경로 및 음성 송화경로를 클로우즈시켜 수신 대기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PTT키(10)가 온되어 무선 송신경로 및 음성송화 경로가 오픈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 검출부(40)로 부터 음성신호 검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20)는 송신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송신자)가 PTT키(10)를 오프시켜도 제어부(20)는 계속적으로 송신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송신상태를 유지하여 상대방에게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중에 제어부(20)는 계속적으로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검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무선 송신경로 및 음성 송화경로를 클로우즈시켜 TRS단말기를 수신상태 또는 수신대기상태로 전환시킨다.
즉, TRS 단말기의 PTT키(10)가 온되지 않게 되면, TRS단말기 상태는 수신 및 수신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송신자가 PTT키(10)를 온시킨 후, 바로 오프시키면 "0"신호가 제어부(20)로 전달되고, 제어부(0)는 이를 인식하여 무선 송신경로 및 음성 송화경로를 순차적으로 오픈시킨 후, 송신상태 또는 송신 대기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음성신호 검출부(40)는 음성신호가 일정크기로 음성입력부(30) 즉,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지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음성신호 검출부(40)는 일정 크기의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부(20)로 로직 "1"을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20)는 이를 인식하여 TRS단말기를 수신상태 또는 수신대기상태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음성신호 검출부(40)에서 일정크기의 음성신호가 검출될 경우에는 제어부(20)로 로직 "0"을 출력하고, "0"가 입력되면 제어부(20)는 이를 인식하여 TRS단말기를 송신상태 또는 송신 대기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TRS단말기의 PTT키(10)를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지 않아도 한번의 PTT키(10)를 누름으로 송화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음성신호 검출부(40)에 대한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하자.
먼저, 송화자에 의해 마이크(30)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는 한 경로는 음성 송신경로로 전달되고, 다른 한 경로는 음성신호 검출부(4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음성신호 검출부(40)로 입력된 음성신호는 저항(R3)를 통해 음성대역 여파 증폭부(41)의 OP앰프(U1A, U1B, U2A)에서 증폭되고, 신호검출부(42)의 다이오드(D1, D2)의 스위칭에 따라 OP앰프(U2A)에서 증폭된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게 된다.
이렇게 검출된 신호의 크기는 비교부(43)의 OP앰프(U2B) 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어 OP앰프(U2B)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된 기준전압과 비교되는 것이다.
비교결과, 신호검출부(42)에서 검출된 신호가 기준전압보다 낮거나 높을 때 비교부(43)의 출력은 하이(High) 또는 로우(Low)가 되고, 이 비교부(43)의 출력은 신호변환부(44) 즉, 인버터 회로를 통해 반전되어 제어부(20)로 출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음성신호 검출부(40)에서 출력되는 하이 또는 로우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내에 입력되는지에 판단 여부에 따라 수신상태/수신 대기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송신상태/송신 대기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의 동작에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방법에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PTT키(10)가 온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1).
판단결과, PTT키(10)가 오프되었으면, TRS단말기를 수신대기 또는 수신상태로 전환하고(S203), PTT(10)가 온되었거나 또는 온 되었다가 오프되면 TRS단말기의 무선 송신경로 및 음성 송화경로를 오픈 시킨 후(S202), 마이크(30)를 통해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출하게 된다(S204).
이어, 음성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내에 검출되는지를 판단하고(S205),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PTT키(10)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TRS단말기를 송신 대기상태 또는 송신상태를 유지하고(S206), 계속적으로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S205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대기 또는 수신상태로 TRS단말기를 전환하는 것이다(S203).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간단하게 요약해 보면, 본 발명은 음성신호 검출부(40)를 별도로 구성하여 송화자가 마이크(30)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를 확인하여 이를 송화 경로를 열거나 끊을시 이용한다. 즉, 송화자가 TRS단말기의 PTT키(10)를 눌러 통화를 시도하고자 할 경우 PTT키가 눌러지는 것을 제어부(20)가 인식하고, 제어부(20)는 송화경로를 오픈시킨다. 이때, 송화자는 송화음성을 마이크(30)를 통해 음성신호 검출부(40)로 출력하면, 음성신호 검출부(40)는 그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여 일정 크기 이상이면 이를 로직 "1" 또는"0"의 신호로 제어부(2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20)는 이를 일정시간 확인하여 송화경로의 오픈 상태를 계속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송화경로를 클로우즈하고 수신경로를 오픈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송화음이 대략 3초 동안 계속 끊겨 있지 않으면 PTT키(10)가 계속 눌러지지 않았는데도 송화경로는 계속적으로 오픈 상태를 유지하고, 3초동안 송화음이 끊겨져 있으면 송화경로는 클로우즈되어 TRS단말기는 수신 대기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TRS단말기에 대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PTT키가 부착된 무전기등과 같은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TRS 단말기 또는 무전기등의 PTT키가 한번 눌러지면, 송신경로를 오픈시킨 다음 송신하고자 하는 사람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성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 끊기지 않을 경우 PTT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지 않아도 송화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드프리기능을 수행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핸드프리기능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핸드프리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수적인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7)

  1. PTT키 및 마이크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음성신호 검출수단과;
    a) 상기 PTT키에 의해 스위칭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음성신호 검출부로 부터의 음성신호 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송화경로를 클로우즈시키고, 단말기를 수신 대기상태로 유지시키며,
    b) 상기 PTT키의 스위칭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음성신호 검출부에서 검출한 음성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내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PTT키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송화경로를 송화상태 또는 송화 대기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 검출수단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자의 음성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의 크기와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비교결과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제어수단으로 제공하는 신호변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음성 대역 여파 OP앰프(U1A, U1B, U2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검출부는 상기 증폭부의 출력단에 콘덴서(C8)가 연결되고, 콘덴서(C8)와 각각 애노드단과 캐소드단이 각각 컴먼(Common)되어진 다이오드(D1, D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또한 비교부(43)는 OP앰프(U2B)로 이루어진 것으로,OP앰프(U2B)의 반전단자(-)에 상기 신호검출부(42)의 다이오드(D2)가 연결되어 검출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고, 비반전단자(+)에는 기준전압(VCC)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부는 저항과 트랜지스터(Q1)로 이루어진 인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7. PTT키와, 마이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화상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PTT키가 온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a) 판단결과, 상기 PTT키가 오프되었으면, 상기 단말기를 수신대기 또는 수신상태로 전환하고,
    b) 판단결과, 상기 PTT가 온되었거나 또는 온 되었다가 오프되면, 단말기의 무선 송신경로 및 음성 송화경로를 오픈 시킨 후, 마이크(30)를 통해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내에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a)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 입력되면 상기 PTT키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단말기를 송신 대기상태 또는 송신상태를 유지한 후, 계속적으로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b)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내에 음성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기를 수신대기 또는 수신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방법.
KR1019990055486A 1999-12-07 1999-12-07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및 그방법 KR20010054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486A KR20010054608A (ko) 1999-12-07 1999-12-07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486A KR20010054608A (ko) 1999-12-07 1999-12-07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608A true KR20010054608A (ko) 2001-07-02

Family

ID=1962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486A KR20010054608A (ko) 1999-12-07 1999-12-07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46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645B1 (ko) * 2004-07-23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푸시 투 토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검출 및 인식을이용한 발언권 관리 장치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645B1 (ko) * 2004-07-23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푸시 투 토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검출 및 인식을이용한 발언권 관리 장치와 방법
US7684766B2 (en) 2004-07-23 2010-03-23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alk burst authorit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840B1 (ko) 무선전화장치 및 그 통신방법
US7418276B2 (en)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ellular voice communication through a radio system
KR20000010415A (ko) 휴대전화기의휴대감지에따른통화서비스제공방법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JPH0243855A (ja) 無線電話装置
JPH03108931A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機
KR100626839B1 (ko) 무전기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200397775Y1 (ko) 무전기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200100546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신호 송/수신상태 제어장치 및 그방법
US6055309A (en)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utting off a speech path and converting to a standby state upon completion of speakerphone speech in a cordless telephone
KR100304531B1 (ko) 핸드프리전화기자동응답장치
JP2000032103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及びその着信拒否機能の設定方法
KR200376833Y1 (ko) 휴대용 송수화기 배터리를 이용한 무선전화기 본체 전원공급장치
KR20010025174A (ko) 핸즈프리장치의 자동 착신방법 및 착신회로
JP3702111B2 (ja) 電話機
KR0120014B1 (ko) 무선 전화기의 프리다이얼 장치 및 방법
KR2001001812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KR0148893B1 (ko) 무선 전화기의 발신음 송출방법
JPH04287433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0136732B1 (ko) 다수개의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국선 전환 방법
KR200292434Y1 (ko) 무선방식의 구내전화 시스템
JPH09312704A (ja) 無線通信用の発信アダプター
KR960004722B1 (ko) 휴대장치 통화중 고정장치의 다이얼 사용방법
JPH01300723A (ja) 移動局装置
KR940000949A (ko) 가입자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