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700A - 좁은 폭 및 표준 폭의 용지를 위한 트레이 - Google Patents

좁은 폭 및 표준 폭의 용지를 위한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700A
KR20010052700A KR1020007013963A KR20007013963A KR20010052700A KR 20010052700 A KR20010052700 A KR 20010052700A KR 1020007013963 A KR1020007013963 A KR 1020007013963A KR 20007013963 A KR20007013963 A KR 20007013963A KR 20010052700 A KR20010052700 A KR 2001005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lanar portion
stack
wall
upper plan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유진 암스트롱
다니엘 폴 카힐
Original Assignee
죤 제이. 맥아들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제이. 맥아들,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죤 제이. 맥아들
Publication of KR2001005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7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23Retainers of the pad-type, e.g. friction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2Bottom with stepped surface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3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 B65H2405/1136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inclined, i.e. forming an angle different from 90 with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4Details of surface
    • B65H2405/141Reliefs, pro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용지 지지 트레이(10)는 하부 레벨 평면 부분(21) 및 상부 레벨 평면 부분(23) 형성되는 바닥 지지 벽(15)을 갖는다. 상부 레벨 평면 부분(23)은 먼 쪽의 롤러(31)와 먼 쪽의 용지 억제 패드(35)와 맞물리도록 충분히 넓은 용지(15)의 공급 중 측부 벽(19)에서 단지 제일 가까운 공급 롤러(32)가 최종 용지 억제 패드(36)에 맞물릴 수 있도록 일정한 거리로 이어진다. 이러한 결과적인 먼 쪽의 롤러(31)와 먼 쪽의 억제 패드(35)의 분리는 공급 중 용지(15)의 삐뚤어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좁은 폭 및 표준 폭의 용지를 위한 트레이{TRAY FOR NARROW AND NORMAL WIDTH SHEETS}
예를 들어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것으로 인쇄하기 위해 프로세싱 스테이션으로 스택(stack)의 최상부 용지가 전진되고 매개 용지의 스택을 지지하기 위하여 트레이 혹은 빈(bin)을 사용하는 것이 전부터 제시되어 왔다. 용지의 스택에서 매개 용지를 공급하는 것은 파젯트(Padget) 등에게 특허 허여되고 여기서 참조 문헌으로 병합된 미국 특허 제 5,527,026호에 도시되고 서술된 자동 보충 매커니즘에 의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전술한 파젯트 등에 허여된 특허의 자동 보충 매커니즘은 용지 스택의 폭에 대하여 중심에 위치하지 않는 공급 롤러 한 쌍을 활용하였다. 스택에서 프로세싱 스테이션으로 각각의 용지를 전진시키기 위한 전술한 파제트 등에 허여된 특허의 자동 보충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레이저 프린터에서, 전술한 파젯트 등에 허여된 특허의 자동 보충 메커니즘의 두 공급 롤러의 각각은 최종 용지 억제 패드(last sheet restraint pad)와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두 공급 롤러의 각각은 최종 용지가 공급된 후 최종 용지 억제 패드의 하나와 맞물린다.
상기의 최종 용지 억제 패드는 트레이가 비었을 때 수직으로 배열된 공급 롤러에 의한 맞물림을 보장하기 위해 길고 좁은 구조를 갖는다. 스택에서 단지 두개의 용지가 남았을 때, 최종 용지 억제 패드와 스택의 최하부 용지 사이에서의 마찰 계수는 공급 롤러가 두 용지의 최상부만을 트레이로부터 전진시키도록 해준다.
공급 롤러와 수직으로 배열된 최종 용지 억제 패드의 위치는 자동 보충 메커니즘이 그에 맞게 설계되는 폭의 용지를 매우 만족스럽게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은 스택에서 특히 용지 스택의 공급의 후반에 그러나 공급이 끝나기 전에 공급 롤러가 최종 용지 억제 패드를 맞물릴 수 있도록 최종 용지 억제 패드의 하나 및 상호 작동하는 공급 롤러가 위치하는 곳에서 좁은 용지의 자동 공급을 방해했다. 즉, 스택이 상대적으로 얇을 때, 스택의 좁은 폭 용지의 둘레 외부에 있는 공급 롤러는 최종 용지 억제 패드와 맞물릴 것이다. 이것은 좁은 폭 용지의 공급이 정지하게 되는 결과를 일으킬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설계된 트레이의 폭 보다 좁은 폭의 인쇄가 일어나는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카드 스톡(card stock)의 다양한 유형의 용지를 자동으로 공급할 때, 전술한 파젯트(Padget) 등에게 허여된 특허의 자동 보충 메커니즘이 그에 맞도록 설계되는 폭과 같은 폭의 카드 스톡의 용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예를 들어 21.59 cm (8.5인치)의 폭에 27.94 cm(11인치)의 길이를 갖는 종이가 설계된 크기일 때 카드 스톡의 용지는 인쇄가 일어나는 부분이 용지에서 천공(perforation)으로 한정된 둘레를 갖는 이러한 크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천공(perforation)은 스택에서 프린터로 카드 스톡의 용지를 공급한 뒤 인쇄가 완성된 후에 카드 스톡 용지의 잔여 용지로부터 인쇄된 부분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재료 비용의 증가에 덧붙여 매개 용지 각각의 현저한 낭비이다. 이것은 또한 트레이에 적재하기 전에 카드 스톡에 천공을 형성하는 것 때문에 인쇄된 부분 각각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또한 인쇄가 일어난 후 카드 스톡의 용지의 잔여 용지로부터 카드 스톡의 인쇄된 부분을 사람이 제거할 것을 필요로 한다.
좁은 매개 용지를 레이저 프린터에 수동 공급하는 것이 활용될 수 있지만, 많은 양의 용지를 수동 공급하는 것은 각각의 용지가 개별적으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시간 소모적이다.
그러므로, 좁은 폭의 카드 스톡은, 이것이 표준 크기의 카드 스톡 용지를 사용하는 것 및 인쇄될 부분 주위에 형성되는 상기의 천공을 갖는 것보다 피고용인 비용(employee expense)이 더욱 높기 때문에 수동 공급과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동일한 문제가 다른 좁은 폭의 예를 들어 라벨과 같은 매개물에게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용지 지지 트레이 및 트레이를 포함하는 용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동 공급을 위한 좁은 폭의 매개 용지를 지지할 수 있는 용지 지지 트레이 및 트레이를 포함하는 용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명료함을 위해서 확대 도시된 용지를 갖는 자동 보충 메커니즘에 의해 전진시키기 위해 속에 매개 용지 스택을 갖는 본 발명의 용지 지지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그 속에 매개 용지가 없는 도 1 트레이 일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장착 배열을 도시하기 위해 자동 보충 메커니즘이 없고 분해된 위치로 픽 플레이트(pick plate)를 도시하는 도 1 트레이의 사시도,
도 4는 자동 보충 메커니즘의 공급 롤러 중 단지 하나만에 의해 맞물리는 폭의 용지를 갖는 도 1 트레이의 두개의 공급 롤러, 두개의 최종 용지 억제 패드, 및 바닥 벽의 두개의 레벨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픽 플레이트가 도 1 트레이의 측부 벽에 의해 지지되는 개조식의 부분 단면인 단편 정면도.
예를 들어, 표준적인 크기의 카드 스톡 용지를 사용해야 하고 좁은 폭의 카드 스톡을 제조하거나 혹은 바라던 좁은 폭의 카드 스톡의 용지를 수동으로 공급하는 상대적으로 비싼 피고용 비용을 갖는 전술한 문제들은 본 발명의 용지 지지 트레이로써 극복된다. 만약 좁은 폭 용지 둘레의 공급 롤러 외부가 상기 공급 롤러와 상호 작동하게 되는 최종 용지 억제 패드와 맞물리는 것이 방해된다면, 좁은 폭 용지가 전술한 파젯트 등에 허여된 특허의 자동 보충 메커니즘에 의해 자동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트레이는 좁은 폭 용지 둘레의 외부에 있는 공급 롤러가 두개의 다른 레벨에서 평면 부분을 갖는 트레이의 바닥 지지 벽을 형성하는 최종 용지 억제 패드와 맞물리는 것을 방해한다. 상부 레벨 평면 부분은 하부 레벨 평면 부분의 용지 지지 표면의 위쪽으로 약 2 mm 길이 (20 파운드 지폐의 약 20개의 용지의 두께)의 용지 지지 표면을 갖는다.
상부 레벨 평면 부분은 매개 용지 각각의 전방 에지(edge)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사진 벽에 인접하여 트레이의 코너에 위치한다. 이러한 배열은 전술한 파젯트 등에 허여된 특허의 자동 보충 메커니즘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바라는 크기의 좁은 폭 용지를 두개의 공급 롤러 중 단지 하나만이 공급하도록 초래한다. 다른 공급 롤러의 최하부 표면이 상부 레벨 평면 부분의 용지 지지 표면의 평면에 있고 최종 용지 억제 패드는 하부 레벨 평면 부분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다른 공급 롤러는 최종 용지 억제 패드와 맞물릴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를 위한 설계된 폭의 용지 및 더 좁은 폭의 용지가 자동적으로 트레이에서 공급될 수 있도록 매개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 지지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의 명세서, 청구항 및 도면에서 쉽게 파악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 특히 도 1을 보면, 프린터(11)에 사용되는 트레이(10)가 도시되어 있다. 트레이(10)는 예를 들어 카드 스톡(card stock)과 같은 복수의 매개 용지(12)를 스택(stack)(14)으로 지지한다. 상기 용지(12)는 예를 들어 접착 종이(bond paper), 라벨, 혹은 봉투와 같은 다른 매개물일 수 있다.
트레이(10)는 그 안에 용지(12)의 스택(14)을 지지하는 바닥 벽(15)을 갖는다. 트레이의 전방 단부(16)에 인접하여, 트레이(10)는 트레이(10)의 바닥 벽(15)과 일체인 경사진 벽(17)을 갖는다.
상기 벽(17)은 트레이(10)의 바닥 벽(15) 및 용지(12)의 스택(14)의 인접한 단부에 대해 둔각으로 경사진다. 경사진 혹은 각이 진 벽(17)은 댐(dam)의 일부를 구성하는데 상기 댐에 대향하여 스택(14)의 용지(12) 각각이 맞물리도록 전진된다. 상기 댐은 또한 경사진 벽(17) 위로 수직 벽(18)을 포함한다. 상기 용지(12)는 수직 벽(18)에서 인쇄가 일어나는 프린터(11)의 프로세싱 스테이션 쪽으로 전진된다.
바닥 벽(15)은 트레이(10)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측부 벽(19 및 20)들 사이에서 이어진다. 바닥 벽(15)은 픽 플레이트(22)(도 2 참조)를 갖는 하부 평면 부분(21)을 구성하는 표면을 갖는데, 상기 표면은 사각형이고 측부 벽(19)과 경사진 벽(17)의 교차점에 인접한 영역에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픽 플레이트(22)는 하부 평면 부분(21)의 용지 지지 표면 위로 상부 표면(23)을 갖는 바닥 벽(15)의 상부 평면 부분을 구성한다. 픽 플레이트(22)는 바닥 벽(15)에 있는 구멍(26)내의 배치를 위해 픽 플레이트의 바닥 표면(24)(도 3 참고)에서 아래로 이어지는 핀(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상기 핀(도시되지 않음)은 픽 플레이트(22)의 바닥 표면(24)에서 아래로 이어지고 핫 업셋(hot upset)에 의해 구멍(26)에 고정된다.
상기 픽 플레이트(22)의 두께는 약 2 mm 이고 이것은 20 파운드 지폐 약 20 개 용지의 두께이다. 그러므로 픽 플레이트(22)의 상부 표면(23)은 바닥 벽(15) 위쪽으로 약 2 mm이다. 용지(12)(도 1 참조)의 각각은 전술한 파젯트 등에게 허여된 특허에 서술된 유형의 자동 보충 메커니즘(30)에 의해 스택(14)에서부터 전진된다.
자동 보충 메커니즘(30)은 한 쌍의 공급 롤러(31 및 32)를 포함하는데, 공급 롤러 각각은 기어 열(gear train)(34)을 통해 모터(33)로 구동된다. 자동 보충 메커니즘(30)은 여기서 출원 번호 제 08/919,551호이며 1997년 8월 28일에 출원되고 본 출원과 같은 양수인에게 양도된 "삽입 마찰 요소를 갖는 용지 분리 장치 댐(Sheet Separator Dam With Inset Friction Element)"이란 명칭의 참조 문헌으로 병합된 디. 엠, 게텔핑거(D.M. Gettelfinger) 등의 공동 출원에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서술된다. 모터(33)는 용지(12)의 각각이 용지(12)의 스택(14) 맨 위에서부터 전진될 때 제어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교대로 점멸 및 점등(off and on)된다.
평면 부분(21)은 그 안에 평면 부분(21)의 표면 위로 약간 이어지는 최종 용지 억제 패드(35)(도 3 참조)를 갖는다. 픽 플레이트(22)는 상부 표면(23)에 안에 있고 상기 표면(23)에서 약간 위로 이어지는 최종 용지 억제 패드(36)를 갖는다. 최종 용지 억제 패드(35 및 36) 각각은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적당한 고 마찰 재료로 형성된다.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공급 롤러(31)는 최종 용지 억제 패드(35) 위에 배치되어 있고, 공급 롤러(32)는 최종 용지 억제 패드(36) 위로 배치되어 있다. 용지(12)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좁은 폭을 가져서 공급 롤러(31) 아래로 확장하지 않을 때, 공급 롤러(31)는 심지어 최종의 용지(12)가 공급 롤러(32)에 의해 전진될 때에도 최종 용지 억제 패드(35)에 맞물릴 수 없다.
만약 공급 롤러(31)가 아무 때나 최종 용지 억제 패드(35)와 맞물릴 수 있다면, 그때는 최종 용지 억제 패드(35) 위로 이어지지 않도록 좁은 폭을 갖는 용지(12)는 자동 보충 메커니즘(30)(도 2를 참조)이 회전하지 않는 공급 롤러(31) 및 그러한 것으로 감지하는 자동 보충 메커니즘(30)의 소프트웨어로 인하여 정지할 것이기 때문에 전진될 수 없다. 그러나 바닥 벽(15) 위쪽으로 올려진 픽 플레이트(22)의 상부 표면(23)때문에, 공급 롤러(31)와 최종 용지 억제 패드(35)와의 접촉은 없다. 따라서, 용지(12)(도 1참조)의 공급은 좁은 폭을 갖는 용지(12)의 공급이 정지되지 않도록 단지 공급 롤러(32)에 의해 일어난다.
용지(12)가 공급 롤러(31) 아래로 이어지도록 폭을 갖고 댐의 마찰력(resisting force)이 공급 롤러(31)의 용지(12)에 대한 수직력을 증가시키기 충분한 때, 그때는 공급 롤러(31 및 32)는 모두 용지(12) 각각을 공급한다. 그리하여 용지(12)가 21.590 cm(8.5 인치)인 측부 벽(19 및 20) 사이에서 설계된 폭을 가질 때, 각각은 삐뚤어짐 없이 공급 롤러(31 및 32)에 의해 쉽게 공급될 수 있다. 이것은 픽 플레이트(22)의 상부 표면(23)(도 2 참조)이 픽 플레이트(22)가 부착되는 바닥 벽(15) 보다 높게 배치되더라도 일어난다. 스택(14)에 충분한 수의 용지(12)가 있을 ?? 용지(12)(도 1 참조)는 최종 용지 억제 패드(35)(도 3 참조)에 또한 기대지도록 단순히 휠 것이며 용지(12)(도 1 참조)의 최하부가 공급 롤러(31)에 의해 지지될 것이다.
트레이(10)의 측부 벽(19)(도 3 참조)은 폭과는 무관한 용지(12)(도 1 참조)의 각각의 측부 에지에 대해 참고 가이드 에지(reference guide edge)로 작용하는 내부 표면에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rib)(40)를 갖는다. 용지(12)는 리테이너(retainer)(41)에 의해 리브(40)(도 3 참조)에 대향하게 지지된다.
리테이너(41)는 U-형 레일(42)에 미끄러지도록 장착되고, 상기 레일(42)은 트레이(10)의 바닥 벽(15) 안의 오목부(43) 내에 배치된다. 레일(42)은 움직이는 어느 위치에서도 리테이너(41)를 지지하기 위하여 리테이너(41) 위에 지지하는 폴(pawl)(45)과 상호 작동하는 이(teeth)(44)를 갖는다. 폴(45)은 리테이너(41)(도 3 참조)의 수직 벽(46)에서 지지되고, 상기 벽은 용지(12)(도 1 참조)의 측부 에지에 대향한다. 그리하여, 상기 리테이너(41)는 용지(12)(도 1 참조) 각각의 측부 에지가 리브(40)(도 3 참조)에 대향하여 지지되도록 보장한다. 리테이너(41)는 용지(12)의 최하부 아래로(도 1 참조) 배치된 풋(foot)(47)을 갖는다.
용지(12)는 리테이너(48)(도 3 참조)에 의해 트레이(10)의 경사진 벽(17)에 대향하여 지지되는 선단부 에지(leading edge)를 갖는다. 리테이너(48)는 U-형 레일(49) 위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레일은 바닥 벽(15) 안의 오목부(50) 내에 장착된다.
리테이너(48)는 스택(14)의 용지(12)(도 1 참조) 최하부 아래로의 배치를 위해 풋(51)을 갖는다. 리테이너(48)(도 3 참조)는 스택(14)에서 용지(12)(도 1 참조) 각각의 후방부 에지(rear edge)를 맞물리기 위한 경사진 벽(52)을 갖는다. 지지 폴(holding pawl)(53)(도 3 참조)는 경사진 벽(52) 위에 지지되고 U-형 레일(49)의 바닥에서 이(teeth)(54)와 맞물린다. 그러므로, 리테이너(48)는 움직이는 어느 바라는 위치에서라도 유지된다.
따라서, 트레이(10)(도 1 참조)는 용지(12)의 스택(14)에 두가지 레벨의 지지부(support)를 제공하는 두개의 평면 부분을 가지고 있다. 용지(12)는 어느 폭일 수도 있고 여전히 삐뚤어짐 없이 전진될 수 있다. 용지(12)가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공급 롤러(31) 아래쪽으로 이어지지 않을 때 용지(12)는 단지 공급 롤러(320에 의해서만 전진된다. 공급 롤러(31)의 돌출 때문에, 공급 롤러(31)는 용지(12)가 공급 롤러(31)의 아래쪽으로 배치되지 않을 때 최종 용지 억제 패드(35)와 맞물릴 수 없다. 만약 공급 롤러(31)가 최종 용지 억제 패드(35)와 맞물린다면, 그때는 공급 롤러(31)가 자유롭지 못하게 회전하여 용지(12)가 전진될 수 없다고 틀리게 지적하도록 프린터(11)가 감지할 것이기 때문에 공급 롤러(32)에 의한 용지(12)의 공급은 정지할 것이다.
픽 플레이트(22)가 바닥 벽(15)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대신에, 도 5에서 보는 것 같이, 픽 플레이트(22)는 측부 벽(1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바닥 벽(15)(도 2 참조)과 별도이고 바닥 벽에 부착된 픽 플레이트(22) 대신에, 바닥 벽(15)은 바닥 벽(15)의 잔여 용지보다 두꺼운 픽 플레이트(22)에 의해 한정된 상부 평면 부분과 형성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용지(12)(도 1 참조)와 픽 롤러(pick roller)(31 및 32) 혹은 용지(12)의 폭에 의존하는 픽 롤러(32)만의 사이에서의 마찰 계수는 스택(14)의 인접한 용지(12)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크다. 스택(14)의 최하부 용지(12) 및 최종 용지 억제 패드(35 및 36) 사이의 마찰 계수는 인접한 용지(12) 사이보다 크다 그러나 공급 롤러(31 및 32)와 스택(14)의 최상부 용지(12)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크지는 않다.
본 발명의 이점은 용지를 공급 롤러 중 하나 아래에 용지를 배치하는 폭 보다 크거나 같은 어떠한 폭의 용지 스택에서 자동 공급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좁은 폭 용지에 인쇄하기 위해 표준 폭 용지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실례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가장 현재의 이해에 따라 도시되고 서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 일부의 배열 및 제조에 있어서 변경과 개변은 본 발명의 원리와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1. 용지 각각이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매개 용지 스택을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스택을 지지하는 바닥 벽과;
    상기 바닥 벽의 서로 반대쪽 측부에서 위쪽으로 이어지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측부 벽과;
    상기 벽 사이에서 이어지고 상기 벽에 대향하여 상기 용지 스택에서 각각의 용지가 전진되는 경사진 벽과;
    상기 하나의 측부 벽에서 떨어지고 상기 상부 평면 부분에 최종 용지 억제 패드와 상호 작동하는 용지 전진 수단의 적어도 별도의 공급 롤러에 의해 최상부 용지의 맞물림을 위해 상기 용지 스택을 지지하는 상기 매개 용지 스택의 후방과 측부를 맞물리기 위해 이동 가능한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벽은 하부 평면 부분 및 상기 하부 평면 부분에서 소정의 거리 위로 배치된 상부 평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용지의 상기 스택이 적어도 상기 상부 평면 부분 및 상기 용지 스택의 크기에 따른 상기 하부 평면 부분과 상기 상부 평면 부분 둘 다에 기대어 지도록 상기 하부 평면 부분 보다 작고,
    상기 벽의 하나는 용지 스택 각각의 용지 에지가 대향하여 맞물리는 참고 가이드 에지(reference guide edge)를 갖고,
    상기 하부 평면 부분 및 상기 상부 평면 부분 각각은 상기 용지 스택에서 상기 경사진 벽에 대향하여 용지의 최상부를 전진시키는 용지 전진 수단의 별도의 공급 롤러와 상호 작동하기 위한 최종 용지 억제 패드를 갖고,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하나의 측부 벽에서 상기 하부 평면 부분의 상기 최종 용지 억제 패드의 위치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기 하나의 벽에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각각이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매개 용지 스택을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벽의 상기 하부 평면 부분은 상기 측부 벽 사이에서 이어지고, 상기 상부 평면 벽은 상기 하부 평면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플레이트이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경사진 벽에서 후미로 이어지고 상기 하나의 측부 벽에서 단지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만큼 이어지는 용지 각각이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매개 용지 스택을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트레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사각형인 용지 각각이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매개 용지 스택을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트레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하나의 측부 벽과 인접하고,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경사진 벽에서 후미로 확장하고,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바닥 벽의 폭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상기 하나의 측부 벽에서 이어지는 용지 각각이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매개 용지 스택을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트레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벽의 상기 하부 평면 부분은 상기 측부 벽 사이에서 이어지고,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하부 평면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하부 평면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 겹치는 용지 각각이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매개 용지 스택을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트레이.
  6. 상기 용지 스택에서 매개 용지 스택의 최상부 용지를 전진시키기 위한 용지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용지 스택에서 최상부 용지를 전진시키기 위한 용지 전진 수단으로서, 상기 용지 스택에서 최상부 용지를 전진시키기 위한 상기 용지 스택의 최상부 용지를 맞물리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공급 롤러를 포함하는 용지 전진 수단과,
    용지 지지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 지지 트레이는,
    상기 용지의 스택을 지지하는 바닥 벽과,
    상기 바닥 벽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에서 위쪽으로 이어지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측부 벽과,
    상기 바닥 벽은 하부 평면 부분과 상기 하부 평면 부분에서 소정의 거리 위에 배치된 상부 평면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측부 벽의 하나는 상기 용지 스택의 각각의 용지 에지에 대향하여 맞물리는 참고 가이드 에지를 구비하고,
    상기 측부 벽 사이에서 이어지고 상기 벽에 대향하여 상기 용지 전진 수단에 의해 각 용지가 상기 용지 스택에서 전진되는 경사진 벽과,
    상기 하부 평면 부분 및 상기 상부 평면 부분 각각은 상기 용지 전진 수단의 상기 공급 롤러 중의 하나와 상호 작동하는 최종 용지 억제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하나의 측부 벽에서의 상기 하부 평면 부분의 상기 최종 용지 억제 패드의 위치보다 작은 거리로 상기 하나의 측부 벽에서 이어지고,
    상기 하나의 측부 벽에서 떨어지고 용지 전진 수단의 적어도 별도의 공급 롤러에 의해 최상부 용지의 맞물림을 위해 상기 용지 스택을 지지하는 상기 매개 용지의 후방 에지와 측부 에지를 맞물리기 위해 이동 가능한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용지 스택에서 매개 용지 스택의 최상부 용지를 전진시키기 위한 용지 분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벽의 상기 하부 평면 부분은 상기 측부 벽 사이에서 이어지고,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하부 평면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플레이트이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경사진 벽에서 후미로 이어지고 상기 하나의 측부 벽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로 이어지는 상기 용지 스택에서 매개 용지 스택의 최상부 용지를 전진시키기 위한 용지 분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사각형인 상기 용지 스택에서 매개 용지 스택의 최상부 용지를 전진시키기 위한 용지 분리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하나의 측부 벽과 인접하고,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경사진 벽에서 후미로 이어지며,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바닥 벽의 폭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상기 하나의 측부 벽에서 이어지는 상기 용지 스택에서 매개 용지 스택의 최상부 용지를 전진시키기 위한 용지 분리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벽의 상기 하부 평면 부분은 상기 측부 벽 사이에서 이어지고, 상기 상부 평면 부분은 상기 하부 평면 부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상부 평면 부부은 상기 하부 평면 부분의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에 겹치는 상기 용지 스택에서 매개 용지 스택의 최상부 용지를 전진시키기 위한 용지 분리 장치.
KR1020007013963A 1998-06-11 1999-06-10 좁은 폭 및 표준 폭의 용지를 위한 트레이 KR200100527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96,398 1998-06-11
US09/096,398 US5918874A (en) 1998-06-11 1998-06-11 Tray for narrow and normal width sheets
PCT/US1999/013236 WO1999064334A1 (en) 1998-06-11 1999-06-10 Tray for narrow and normal width she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700A true KR20010052700A (ko) 2001-06-25

Family

ID=2225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963A KR20010052700A (ko) 1998-06-11 1999-06-10 좁은 폭 및 표준 폭의 용지를 위한 트레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18874A (ko)
EP (1) EP1117607A4 (ko)
JP (1) JP3376394B2 (ko)
KR (1) KR20010052700A (ko)
CN (1) CN1103731C (ko)
AU (1) AU4437199A (ko)
WO (1) WO1999064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97B1 (ko) * 1999-01-25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US6065886A (en) * 1999-04-30 2000-05-23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heet separator
US6213460B1 (en) 1999-11-11 2001-04-10 Lexmark International, Inc. Label support
KR100461589B1 (ko) 2002-08-07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장치용 급지카세트의 용지분리가이드
US7448612B2 (en) * 2004-06-28 2008-11-11 Lexmark International, Inc. Auto-compensating mechanism lifter
JP2010013208A (ja) * 2008-07-01 2010-01-21 Ricoh Co Ltd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5741A (en) * 1977-12-19 1979-1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t-sheet xerographic copier having combing wheel sheet feed and a duplex bin with an adjustable bottom-of-the-bin pad
JPH06219600A (ja) * 1992-11-26 1994-08-09 Toshiba Corp 自動原稿搬送装置
US5364087A (en) * 1993-10-04 1994-11-15 Xerox Corporation Tilting tray for feeding and stacking specialized forms
US5520381A (en) * 1994-07-21 1996-05-28 Genesis Technology, Inc. High capacity, low jam envelope feeder for laser printer
US5660384A (en) * 1994-11-23 1997-08-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maging unit container having shiftable walls
US5527026A (en) * 1995-03-17 1996-06-18 Lexmark International, Inc. Auto compensating paper feeder
US5575467A (en) * 1995-09-25 1996-11-19 Lexmark International, Inc. Dynamic force paper separator
GB2312667B (en) * 1996-05-02 2000-09-06 Lexmark Int Inc Sheet separator
US5938190A (en) * 1996-05-31 1999-08-17 Lexmark International, Inc. Specialty media feed guide and sheet feeding apparatus using same
KR200168038Y1 (ko) * 1996-12-27 2000-03-02 윤종용 용지 공급 장치
US5868385A (en) * 1997-03-17 1999-02-09 Lexmark International, Inc. Media feed arm with directional dam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7607A4 (en) 2004-12-29
CN1305429A (zh) 2001-07-25
JP2002517364A (ja) 2002-06-18
CN1103731C (zh) 2003-03-26
EP1117607A1 (en) 2001-07-25
US5918874A (en) 1999-07-06
WO1999064334A1 (en) 1999-12-16
JP3376394B2 (ja) 2003-02-10
AU4437199A (en) 199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595B1 (ko) 용지 정렬 장치
US4253652A (en) Apparatus for feeding paper to a printing office machine
US3919972A (en) Automatic cut sheet feeding unit
TWI314131B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5120040A (en) Sheet media tray and mechanism for feeding media of two different sizes
US4765605A (en) Paper cassette tray with front edge positioning cams
EP0555885A2 (en) A cassette
US4358102A (en) Copy paper feeding cassette
US7014186B2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10052700A (ko) 좁은 폭 및 표준 폭의 용지를 위한 트레이
EP0163933A2 (en) Printer with integral paper handling apparatus
US5328167A (en) Sheet feed apparatus
US4488829A (en) Multibin sheet feeder for use with a printer
US5961113A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liably feeding sheets from a column of sheets
US5481348A (en) Discharge devic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orrecting a warp on copy items passed through fixing rollers
EP1557385B1 (en) Automatic paper feed apparatus
US6474885B2 (en) Roller system to help remove chad and trimmed media in a thermal printer
JPH06247568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H01294126A (ja) 給紙装置
JPH1077123A (ja) 給紙カセット
JPS6061438A (ja) 給紙装置
JPH0333710Y2 (ko)
JPH058868A (ja) 給紙カセツト
JPS58202235A (ja) 用紙送り装置
JPH054731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