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969A - 전지 홀더 - Google Patents

전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969A
KR20010051969A KR1020000070865A KR20000070865A KR20010051969A KR 20010051969 A KR20010051969 A KR 20010051969A KR 1020000070865 A KR1020000070865 A KR 1020000070865A KR 20000070865 A KR20000070865 A KR 20000070865A KR 20010051969 A KR20010051969 A KR 20010051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ubstrate
housing
contac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주아키 고다이라
Original Assignee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10051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9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 종래와 같은 정도 이상의 전기적 접속의 확실성과 전지 지지성을 유지하면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부터 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전지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지를 지지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의 기판측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되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전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1 콘택트(200)와 하우징에 고정되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전지의, 제1 콘택트가 접하는 면과는 다른 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2 콘택트(300)를 구비하며, 전지 수용구(P)는 하우징(100)과 제1 콘택트(200)와 제2 콘택트(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전지를 기판의 실장면을 따라 수용하는, 전지의 크기보다도 작은 직경 확대가 자유자재인 개구이다.

Description

전지 홀더{battery holder}
본 발명은 버튼형의 전지를 전지 수용구틀 통해 받아들여 기판의 실장면을 따라 배치한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전지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는 전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튼형 전지(이하, 버튼 전지라 칭한다)는 휴대 전화를 비롯한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서, 메모리 보유용 전원 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등에 장착된 버튼 전지는 기기 내부의 기판상에 기판의 실장면을 따라 늘어선 상태로 배치된다.
때문에, 버튼 전지를 기판상에서 지지하고, 버튼 전지와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하는 전지 홀더로서, 기판의 실장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버튼 전지를 수용하는, 특개평 10-88932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지 홀더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현재의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대해서는 휴대성의 향상을 위해 더 한층 콤팩트화가 요망되며, 그 기기 내부의 기판 배치도 기기의 콤팩트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가 채용되고 있다.
한편, 기기 제조시에는 기판상에 형성된 전지 홀더에 버튼 전지를 장착하는 것이 기판을 기기내에 취부한 후에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기기내의 기판 배치에 따라서는, 기판의 실장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기기의 콤팩트화때문에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지 않는 경우도 많고, 기판의 실장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전지 홀더로 버튼 전지를 밀어넣는 것이 곤란해지는 일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와 동일 정도 이상의 전기적 접속의 확실성과 전지 지지성을 유지하면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부터 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전지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홀더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4(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하우징과 제1 콘택트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4(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하우징과 제1 콘택트 변형예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제2 콘택트를 제거한 상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홀더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홀더의 모식적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기판 1' : 실장면
10, 20 : 전지 홀더 100, 100' : 하우징
110 : 지지부 111 : 베이스면
112 : 관통 홀 113 : 제1 저지부
114 : 만곡부(彎曲部) 120, 130 : 아암
121, 131 : 선단부 140, 150 : 클릭(click)부
160 : 걸림부(係止部) 170, 171 : 제2 저지부
200, 200' : 제1 콘택트 210, 210' : 전지 접속부
211 : 돌출부 212 : 선단부
220, 220', 230, 230' : 기판 접속부
240, 240', 250, 250' : 압입부
300 : 제2 콘택트 310 : 상판부
311 : 전지 접속편 312 : 가장자리부
320, 330 : 측벽부 321, 331 : 계합창(係合窓)
322, 332 : 기판 접속편 400 : 하우징
412 : 관통 홀 500 : 제1 콘택트
510 : 전지 접속부 511 : 돌출부
520 : 압입부 530 : 기판접속부
600 : 하우징 610 : 상판부
611, 612 : 절개부 613, 614 : 돌출부
615 : 전지 저지부 700 : 제1 콘택부
710 : 전지 접속부 711 : 돌출부
720 : 압입부 730, 740 : 기판 접속부
800, 900 : 제2 콘택트 810, 910 : 전지 접속편
811, 911 : 돌출부 820 : 압입부
830, 930 : 기판 접속편 P : 전지 수용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지 홀더는, 버튼형 전지를 전지 수용구를 통해 받아들여 기판의 실장면을 따라 늘어선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전지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는 전지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전지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판측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전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1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전지의, 상기 제1 콘택트가 접하는 면과는 다른 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2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수용구가, 상기 하우징, 상기 제1 콘택트 및 상기 제2 콘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전지를 상기 기판의 실장면을 따라 수용하는, 상기 전지의 크기보다도 작은 직경 확대가 자유자재인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지 홀더는 전지 수용구가, 전지를 기판의 실장면을 따라 수용하는 직경 확대가 자유자재인 개구이기 때문에, 기판의 실장면에 수직인 방향과 다른 방향, 즉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전지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콘택트 모두,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전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의 확실성은 보장되며, 그리고 전지를 지지하는 하우징과는 별도로, 전지 수용구가 전지의 크기보다도 작은 직경 확대가 자유자재인 개구이기 때문에, 전지 지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지 홀더는 다음과 같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전지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택트가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전지를 상기 기판과는 반대쪽으로부터 덮는 것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전지 수용구로부터 받아들인 상기 전지의 측면에 접하는 한 쌍의 아암을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아암 각 각의 선단측이, 상기 전지 수용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인 경우에는, 기판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전지를 덮는 제2 콘택트에 의해, 기판의 실장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지가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며, 또한 제1 콘택트와 제2 콘택트 사이에 전지를 끼워넣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의 확실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우징에 형성된, 전지의 측면에 접하는 한 쌍의 아암에 의해 전지 지지성은 더욱 향상되며, 그 아암의 선단측이 전지 수용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이기 때문에 전지 수용구로부터 전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지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택트가, 중앙부에 상기 전기 수용구측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러지는 전지 접속부를 가지며, 양단부 각 각의 옆에는, 상기 기판과 접속하는 기판 접속부와, 상기 하우징으로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한 개의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지 수용구의 길이 방향 양단측으로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에 상기 기판 접속부 각 각이 배치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의 경우에는, 고정부와 전지 접속부와의 거리가 확보되기 때문에, 탄성력을 충분히 얻을 수 있으며, 전기적 접속의 확실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오늘날, 본 발명의 전지 홀더가 사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 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기 전체의 콤팩트화가 요구되기 때문에, 기판 자체도 콤팩트화가 요망되며, 필연적으로 기판상의 전지 홀더가 차지하는 면적도 더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런 실정을 감안하여, 본 형태에서는 전지 수용구의 길이 방향 양단측으로 전기 수용 방향 후단측에 제1 콘택트의 기판 접속부 각 각이 배치되어 되기 때문에, 특히 원형의 버튼 전지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전지 홀더로부터 기판 접속부가 기판위로 돌출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더 나은 콤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지 홀더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지 수용구를 통해 받아들인 상기 전지를 상기 기판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덮는 것이며 상기 전지 수용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로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기판과는 반대쪽으로 휘는 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에 상기 전지 수용구를 좁게 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의 경우에는, 기판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전지를 덮는 하우징에 의해, 기판의 실장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지가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전지 지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우징에는 전지 수용구를 좁게 하는 돌출부를 갖는, 기판과는 반대쪽으로 휘는 탄성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지 수용구로부터 전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홀더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시하지 않은 기판의 실장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지 홀더(10)는 하우징(100)과 제1 콘택트(200)와 제2 콘택트(300)를 갖는다.
하우징(100)은 수지 성형된 절연체로서, 도시하지 않은 원형의 버튼 전지를 지지하는 지지부(110)를 가지며, 또한 좌우에 한 쌍의 아암(120),(130)을 갖는다. 이 한 쌍의 아암(120),(130)에 대해서는 더 후술하겠다. 지지부(110)에는 베이스면(111)과, 관통 홀(112)과, 제1 저지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저지부(113)는 베이스면(111)으로부터 우뚝 솟은 테이퍼면이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전지 홀더(10)는 원형의 버튼 전지용 전지 홀더이다. 전지 홀더(10)에 장착 가능한 미도시의 버튼 전지는, 한쪽 면에 버튼 전지와 동심원상인 돌출면부(이하, 전지 돌출면부)가 형성된 전극(이하, 기판측 전극이라 칭한다)을 가지며, 다른 쪽 면은 다른 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 다른 쪽 면과 측벽에서, 기판측 전극의 극과는 반대의 극을 갖는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지지부(110)의 형상은 이 버튼 전지의 전지 돌출면부를 갖는 면의 형상에 맞춰지게 되며, 베이스면(111)과 제1 저지면(113)에 의해 전지 돌출면부를 지지한다. 또한, 버튼 전지의 전지 돌출면부를 갖는 면과는 반대의 면을, 지지부(110)에 지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부(110)의 형상과 그 반대 면의 형상과는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지지되지 않아, 전지 홀더(10)내로의 버튼 전지의 수용이 거부된다. 따라서, 전지의 역삽입을 검지할 수 있다. 또, 하우징(100)의 외주 측벽에는 클릭(click)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하우징(100)의 외주 우측벽에 형성된 클릭부(150)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우징(100)의 외주 좌측벽에도 마찬가지로 클릭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선단에는 미도시의 기판측을 향해 절곡되는 걸림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160)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제1 콘택트(200)는 도 1에서는 그 일부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체가 1개의 도전성 판부재이다. 도 1에서는 관통 홀(112)안에, 제1 콘택트(200)의 전지 접속부(210)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전지 접속부(210)는 도시되지 않은 버튼 전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11)를 가지고 있다. 전지 접속부(210)는 도시되지 않은 버튼 전지의 기판측 전극과 전기적 접속을 도모하게 되는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제2 콘택트(300)는 정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의 도전성 판부재로서, 하우징(100)을 기판(미도시)과는 반대측, 즉 상측에서 덮도록 배치된다. 이 제2 콘택트(300)는 한 개의 판부재를 절곡(折曲;folding)가공 함으로써 형성되며, 상판부(310)와, 양측 각 각에 측벽부(320),(330)를 갖는다. 측벽부(320),(330)에는 계합창이 형성되어 있는데, 본 도에서는 우측 측벽부(330)에 형성된 계합창(331)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좌측 측벽부(320)에도 마찬가지로 계합창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서는 하우징(100)의 우측 클릭부(150)가, 제2 콘택트(300) 우측의 계합창(331)에 걸어맞춰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미도시의 다른 쪽 계합창에도, 미도시의 클릭부가 걸어맞춰지고, 제2 콘택트(300)는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또한, 측벽부(320),(330) 각 각에는 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판 접속편(322),(3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판부(310)에는 전지 접속편(311)이, 상판부(310)의 일부를 절개하여 아래쪽으로 일으켜 세움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전지 접속편(311)은 하우징을 향해 경사져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버튼 전지의, 기판측 전극 면과는 반대쪽 면에 형성된 전극의 거의 중앙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제2 콘택트(300)는 제1 콘택트(200)가 접하는 버튼 전지 면과는 다른 면을 향해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전지 홀더(10)에는 제2 콘택트(300) 상판부(310)의 가장자리부(312)와, 하우징(100)에 형성된 한 쌍의 아암(120),(130) 각 각의 선단부(121),(131)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0)의 걸림부(160)에 의해 전지 수용구(P)가 형성된다.
이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의 전지 홀더(1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홀더의 개략 구성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제2 콘택트(300)의 상판부(31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 각 각에 도시된 전지 홀더(10)는 기판(1)의 실장면(1')상에 배치된 상태로서, 도면중 각 각에 도시된 화살표 X는 전지 홀더(10)의 버튼 전지의 수용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전지 홀더(10)는 전지 수용구(P)로부터 기판(1)의 실장면(1')을 따라 버튼 전지를 수용한다. 또한, 도 2 중의 2점 쇄선은 하우징(100)에 지지된 원형의 버튼 전지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1 콘택트(200)에 대해 도 2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필요에 따라 도 3도 참조한다.
제1 콘택트(200)는 한 개의 도전성 판부재로서, 전지 수용구(P)의 반대쪽 기판측에 형성되며, 전지 접속부(210)와, 2개의 기판 접속부(220),(230)와, 두개의 압입부(壓入部)(240),(250)를 갖는다.
또한, 제1 콘택트(200)는 양단부 각 각의 옆에 형성된 압입부(240),(250)가 기판측, 즉 하우징(100)의 이면측에 기판(1)과는 반대 반향(도 3에서 말하는 위쪽)을 향해 하우징의 이면을 움푹패게 하여 형성된 오목부(미도시)의 전지 수용구 길이 방향 양단 각 각의 옆에서, 하우징(100)에 압입됨으로써,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압입부(240),(250)는 본 발명의 고정부에 상당한다.
전지 접속부(210)는 2개의 압입부(240),(250) 각 각에 달아 설치하여 기판측에 형성됨과 동시에, 제1 콘택트(200)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전지 수용구측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전지 접속부(210)는 관통 홀(112)내에 위치하는데, 그 선단부(212)는 하우징의 베이스면(111)에 의해 덮여 있다. 따라서, 전지 삽입시, 전지 접속부 선단부(212)에 의해 버튼 전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지 접속부(210)에는 버튼 전지(도 2 중의 2점 쇄선 참조)의 기판측 전극과 전기적 접속을 도모하는 돌출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11)는 기판측에서 기판과는 반대측(도 3에서는 말하는 위쪽)을 향해 돌출되며, 또한 베이스면(111)에서도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버튼 전지(도 2중의 2점 쇄선 참조)가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면, 베이스면측 전극의 일부인 전지 돌출면에 대해, 돌출부(211)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2개의 기판 접속부(220),(230) 각 각은 전지 수용구(P)의 길이 방향 양단 각 각의 옆이며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의 기판(1) 실장면(1')상에 각 각 배치되며, 기판(1)과의 전기적 접속을 수행한다. 이들 기판 접속부(220),(230)는 기판(1)의 실장면(1')상에 납땜되는데, 도 2는 남땜이 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두 기판 접속부(220),(230) 각 각의 선단은 전지 수용구(P)에 대해 반대측 하우징 선단의 외벽면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다(도 2 중의 점선 Y 참조). 따라서, 전지 홀더 전체의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 콘택트(200)는 2개의 압입부(240),(250) 각 각으로부터 돌출부(211)까지, 전지 접속부(210)의 만곡(彎曲)도 함께,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콘택트(200)에는 원하는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제1 콘택트(200)는 탄성적으로 버튼 전지에 접촉한다. 또한, 제1 콘택트(200)와 제2 콘택트(30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관계에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지지되는 버튼 전지와의 전기적 접속이 보다 확실해진다.
제2 콘택트(30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측벽부에 형성된 계합창과 기판 접속편에 대해서만,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높이가 다른 버튼 전지로의 대응에 대해서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도 2에서 말하는 아래쪽 측벽부(330)에 형성된 계합창(331)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에는 제2 콘택트(300)가 다른 쪽 측벽부(320)에도 계합창(321)을 갖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기판 접속편(322),(332)은 기판(1)의 실장면(1')에 납땜된다(도 2는 납땜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 접속편(322),(332)은 전지 수용구(P)의 양옆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대 기판(1)과의 관계에 의해, 기판 접속편(322),(332)의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된다.
이어, 높이가 다른 버튼 전지에 대한 제2 콘택트(300)의 대응을 설명한다. 원형의 버튼 전지에는 직경은 동일하더라도, 높이가 다른 전지가 존재한다. 도 3 중에 도시된 점선은 설명의 편의상, 제거된 본 실시형태의 제2 콘택트의 상판부(310)(전지 접속편(311)은 생략되어 있다)이다. 이 상판부(310)를 갖는 제2 콘택트는 하우징(100) 높이 이하의 버튼 전지에 사용된다. 한편, 도 3중에 도시된 2점 쇄선은 하우징(100)의 높이보다도 높은 버튼 전지에 사용되는, 제2 콘택트 상판부(310)(전지 접속편은 생략되어 있다)이다. 이 상판부(310')를 갖는 제2 콘택트 의 구성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콘택트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측벽부에도, 하우징(100)의 클릭부가 걸어맞춰지는 계합창이 각 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지 홀더(10)에서는 높이가 다른 동일 직경의 버튼 전지에 대해, 제2 콘택트를 바꿈으로써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교체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판부재의 절곡(folding) 가공에 의해 성형되는 제2 콘택트의 프레스 금형 쪽이, 수지 성형 하우징(100)의 성형 금형보다도 생산성이 높고, 높이가 다른 동일 직경의 버튼 전지에 대응할 수 있다.
이어, 하우징(100)에 대해 한 쌍의 아암(120),(130)을 중심으로, 상술한 보충 설명을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는데, 필요에 따라 도 3도 참조한다.
하우징(100)은 기판(1)의 실장면(1')상에 배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10)와, 한 쌍의 아암(120),(130)과, 걸림부(160)를 갖는다. 또, 도 1에는 도 2에서 말하는 아래쪽 외주 측벽에 형성된 클릭부(150)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에는 하우징(100)이 다른 쪽 외주 측벽에도 클릭부(140)를 갖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한 쌍의 아암(120),(130)은 지지부(110)의 양측 중앙 부근에서 전지 수용구(P)를 향해 각 각 뻗어 있다. 이 한 쌍의 아암(120),(130) 각 각은 버튼 전지(도 2의 2점 쇄선 참조)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버튼 전지의 측면과 면접촉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아암(120),(130) 각 각의 후단에는 제2 저지부(170),(171)가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제2 저지부(170),(171)는 수용된 전지가, 전지 수용구(P)와는 반대측으로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제2 저지부(170),(171)는 버튼 전지의 외형에 따른 형상으로 세워 설치된 벽이다. 또, 제2 저지부(170),(171)는 전지 수용 방향 후단에서 절개되어 있다. 이 절개는 버튼 전지를 전지 홀더(10)로부터 빼낼 때 전지를 밀어내기 위한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지지부(110)의 제1 저지부(113)에 대해서도, 상술한 설명을 보충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면(111)로부터 우뚝 솟은 테이퍼면인 제1 저지부(113)는 전지 수용구(P)를 머리쪽으로 한 U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제1 저지부(113)의 전지 수용 방향 선단측에서는 버튼 전지를 베이스면(111)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며,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에서는 상술한 제2 저지부(170),(171)와 함께, 수용된 전지가 전지 수용구(P)와는 반대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지지부(110)의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에는 버튼 전지의 전지 돌출면 부 주위의 만곡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만곡부(114)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10)에 의해서도 전지의 역삽입을 검지할 수 있는데, 이 만곡부(114)에 의해, 더 확실하게 전지의 역삽입을 검지할 수 있다.
이어, 전지 홀더(10)로의 전지 장착시, 하우징(100)의 각 구성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지 수용구(P)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인 한 쌍의 아암 각 각의 선단부(121),(131) 끼리의 간격은 장착되는 버튼 전지의 직경보다도 작다. 그러나, 전지 수용구(P)로부터 버튼 전지를 전지 홀더(10)내로 밀어넣는 외력이 작용하면, 한 쌍의 아암 각 각의 선단부(121),(131)가, 아암 각 각의 탄성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기 때문에, 전지 수용구(P)는 넓어지며, 버튼 전지를 전지 홀더(10)내까지 수용한다. 이 수용시, 걸림부(160)가 기판(1)의 가장자리부에 덮여 있기(도 3 참조)때문에, 버튼 전지의 삽입으로 인한, 하우징(100)의 벗겨짐이 방지된다. 전지 홀더(10)내에 삽입된 버튼 전지는 제1 저지부(113)로 안내되어, 제1 저지부(113)와 제2 저지부(170),(171)에 의해, 그 이상의 삽입이 저지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삽입이 완료된 버튼 전지는 지지부(110)에 지지된다. 또한, 한 쌍의 아암(120),(130)에 의해, 버튼 전지의 측면이 쥐어지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어, 전지 수용구(P)로부터의 누락도 방지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전지 홀더(10)는 제1 콘택트(200)를 기판측에 가지며, 제2 콘택트를 기판과 반대측에 갖기 때문에, 전지 수용구(P)로부터, 기판의 실장면을 따라 버튼 전지를 수용할 수 있으며, 수용된 버튼 전지를 하우징(200)으로 지지한다.
또한, 전지 홀더(10)는 기판(1)의 실장면(1')에 대해, 제1 콘택트(200) 기판 접속부(220),(230)의 납땜과, 제2 콘택트(300) 기판 접속편(322),(332)의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이어, 제1 콘택트(200)의 기판 접속부(220),(230)의 상세한 설명과, 변형예에 대해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실시 형태의 하우징(100)과 제1 콘택트(200)와의 위치 관게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한, 도 4(b)는 본 실시 형태의 하우징과 제1 콘택트 변형예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양 도면 모두, 원형의 버튼 전지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며, 그 원형 버튼 전지에 외접하는 사각형을 점선 표시한다. 또한, 도면중 각 각에 도시된 화살표 X는 전지 홀더의 버튼 전지 수용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콘택트(200)의 압입부(240),(250), 및 전지 수용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기판 접속부(220),(230)의 배치가, 원형의 버튼 전지와, 그 원형의 버튼 전지에 외접하는 사각형으로 둘러싸이며,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의 영역(도면중 빗금쳐진 영역)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영역을 낭비없이 사용함으로써, 전지 홀더(100) 전체의 콤팩트화, 특히 도 2 중의 점선(Y)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지 수용 방향의 콤팩트화를 실현하고 있다.
도 4(b)에 도시된 하우징(100')은 제1 실시 형태의 하우징(100)과 형상이 다를 뿐이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각 구성부의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의 하우징(100')은 전지 수용구(P)의 길이 방향 양단측으로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의 외형이, 제1 실시 형태의 하우징(100)과는 달리, 지지된 버튼 전지(도면중 2점 쇄선 참조)와 동심원의 원호형상이다. 또한, 제1 콘택트(200')도 제1 실시 형태의 제1 콘택트(200)와 형상이 다를 뿐이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각 구성부의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1 콘택트(200')는 한 개의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전지 수용구(P)를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려지는 전지 접속부(210')를 가지며, 양단부측 각 각에, 기판 접속부(220'),(230')와 압입부(240'),(250')를 갖는다. 따라서, 이 변형예의 제1 콘택트(200')는 기판 접속부(220'),(230')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전지 수용구(P)의 길이 방향 양단측으로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에 각 각 배치되어 된 것인데, 제1 실시 형태의 기판 접속부가 전지 수용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에 비해, 본 변형예의 기판 접속부는 전지 수용구(P)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변형예의 제1 콘택트(200')의 압입부(240'),(250') 및 기판 접속부(220'),(230')의 배치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버튼 전지와 그 원형의 버튼 전지에 외접하는 사각형으로 둘러싸인,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의 영역 부근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지 홀더 전체의 콤팩트화, 특히 전지 수용 방향의 콤팩트화를 실현하고 있다.
이어,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2 콘택트를 떼어낸 상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전지 홀더도, 원형의 버튼 전지용 전지 홀더이다. 도 5와 도 6 각 각에 도시된 제2 콘택트를 떼어낸 상태의 전지 홀더는 기판(1)의 실장면(1')위에 배치된 상태로서, 도면중 각 각에 도시된 화살표 X는 전지 홀더의 버튼 전지의 수용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전지 홀더는 전지 수용구(P)로부터 기판(1)의 실장면(1')을 따라, 버튼 전지를 수용한다. 또한, 도 2중 2점 쇄선은 하우징에 지지된 원형의 버튼 전지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 버튼 전지는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 사용된 버튼 전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전지 홀더도, 하우징(400), 제1 콘택트(500) 및 제2 콘택트를 갖는데, 제1 실시 형태의 전지 홀더(10)에 비해, 제1 콘택트의 형상과 하우징의 형상이 서로 다를 뿐으로, 제2 콘택트는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콘택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하우징에 대해서도,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하우징(100)과 같은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콘택트(500)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한개의 도전성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전지 접속부(510), 압입부(520) 및 기판 접속부(530)를 갖는데,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으로 직선적으로 뻗는 것이다. 전지 접속부(510)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돌출부(511)를 가지며 하우징(400)의 이면, 즉 기판측에 위치하는데, 그 형상은 활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상이 아니라, 직선 형상이다. 또한, 압입부(520)는 한 개이며, 전지 수용구(P)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에서, 전지 접속부(510)로부터 기판(1)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우뚝 솟은 부분이다. 이 압입부(520)를 하우징(400)에 압입함으로써, 제1 콘택트(500)는 하우징(400)에 고정된다. 기판 접속부(530)는 하우징(400)으로부터 전지 수용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기판(1)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콘택트(500)는 압입부(520)가, 하우징(4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부재가 갖는 탄성에 의해 버튼 전지의 기판측 전극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하우징(400)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기판(1)의 실장면(1')상에 배치되며, 제1 콘택트(500)의 전지 접속부(510)의 직선 형상에 맞춰 관통된 관통 홀(412)을 갖는다. 또한, 제1 콘택트(500)가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에 직선적으로 뻗는 것이기 때문에, 하우징(400)도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으로 뻗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전지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미도시의 기판 실장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의 전지 홀더의 모식적 평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하우징 상판부 절반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 실시 형태의 전지 홀더도, 원형의 버튼 전지용 전지 홀더이다. 도 8에 도시된 전지 홀더(20)는 기판(1)의 실장면(1')위에 배치된 상태로서, 도 8중에 도시된 화살표 X는 전지 홀더(20)의 버튼 전지 수용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전지 홀더(20)는 전지 수용구(P)로부터 기판(1)의 실장면(1')을 따라 버튼 전지를 수용한다. 또한, 도 8중 2점 쇄선은 하우징에 지지된 원형의 버튼 전지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버튼 전지는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 사용된 버튼 전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전지 홀더(20)도, 하우징(600)과, 제1 콘택트(700)와, 제2 콘택트(800),(900)를 가지며, 하우징(600)과 제1 콘택트(700)에 의해, 기판(1)의 실장면(1')을 따라 버튼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 수용구(P)를 형성한다. 이 본 실시형태의 전지 홀더(20)가, 상술한 2개의 실시 형태와 크게 다른 점은 제2 콘택트(800),(900)가 2개의 판 부재로 이루어진 점과, 하우징(600)이 버튼 전지를 기판(1)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덮는 점과, 제1 콘택트(700)가 하우징(600)과 함께 전지 수용구(P)를 구성하는 점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600)이, 정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으로 수지 성형된 것으로서, 상판부(610)와, 그 양측 각 각에 측벽부(620),(630)를 갖는다. 상판부(610)에는 전지 수용구(P)로부터 전지 수용 방향을 따라 절개한 절개부(611),(612)가, 전지 수용구(P)의 길이 방향 양단측 각 각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600)은 수지제이기 때문에, 이 2개의 절개부(611),(612)에 끼인 부분은, 기판(1)의 실장면(1')에 대해 연직(鉛直) 방향으로 휘는 탄성을 갖는 부분(본 발명의 탄성부에 상당한다)이 된다. 또한, 이 2개의 절개부(611),(612)에 끼인 부분의 선단, 즉 전지 수용구(P)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에는, 전지 수용구(P)를 좁게 하는 돌출부(613),(61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들 돌출부(613),(614)는 기판(1)을 향해 각 각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돌출부(613),(614) 각 각은 2개의 절개부(611),(612) 각 각의 부근에 형성되며, 전지 수용 방향을 향해 뻗어 있다. 따라서, 전지 홀더(20)내에 수용된 버튼 전지의 전지 수용구 부근의 측면에 접촉하여, 버튼 전지를 지지한다. 또한, 상면부(610)의 전지 수용 방향 후단에는 전지 저지부(615)가 전지 수용 방향을 따라 뻗어 있으며, 그 단부는 기판(1)을 향해 구부러져 있다. 이 전지 저지부(615)에 의해, 전지 수용구(P)와 반대측으로 전지가 빠지는 것이 방지되며, 버튼 전지가 지지된다.
이하, 전지 홀더로의 전지 장착시, 하우징(600)의 각 구성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전지 수용구(P)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인 제1 콘택트(700)와 돌출부(613),(614) 각 각과의 간격은 장착되는 버튼 전지의 높이보다도 좁다. 그러나, 전지 수용구(P)로부터 버튼 전지를 전지 홀더내로 밀어넣는 외력이 작용하면, 2개의 절개부(611),(612)에 끼인 부분은 기판(1)과는 반대쪽으로 휘기 때문에 전지 수용구(P)는 넓어지게 되어, 버튼 전지를 전지 홀더(20)의 안까지 받아들인다. 전지 홀더(20)내에 삽입된 버튼 전지는 전지 저지부(615)에 의해 그 이상의 삽입을 저지당하면서 지지된다. 즉, 돌출부(613),(614)에 의해, 전지 수용구(P)로부터의 버튼 전지의 누락이 방지된다.
또한, 제1 콘택트(700)는 하우징(600)의 측벽부(620),(630) 사이를 기판측에서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개의 도전성 판부재로서, 전지 접속부(710)와, 압입부(720)(도 8 참조. 단, 한 쪽 압입부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기판 접속부(730),(740)를 갖는다. 압입부는 제1 콘택트(700)의 양단 각 각의 옆에 형성되며, 하우징(600)의 측벽부(620),(630) 각 각의 약간 기판(1)보다 상판부(610)쪽으로써, 전지 수용구측으로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지 접속부(710)는 제1 콘택트(700) 중앙부에서, 전지 수용 방향으로 불거져 나온 것이다. 이 전지 접속부(710)는 하우징(600)에 압입된 압입부와 같은 평면상에 위치한다. 또, 전지 접속부(710)는 상기 제1,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버튼 전지의 기판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돌출부(711)를 갖는데, 이 돌출부(71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형성되며, 보다 전기적 접속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기판 접속부(730),(740)은 압입부 각 각에 연접하며, 전지 수용구(P)의 길이 방향 양단에 하우징(600)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고, 기판(1)의 실장면(1')에 납땜된다.(도 8은 납땜이 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1 콘택트(700)는 전지 수용구(P)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로써, 하우징(600)에 고정된 압입부보다도 전지 수용 방향 선단측에서, 전지 수용구 길이 방향을 따라, 스웨이지(swage) 가공에 의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버튼 전지 수용시 버튼 전지의 긁힘을 방지한다. 또한, 기판측으로 되접어 꺾도록 하면, 버튼 전지의 긁힘 방지 효과가 더욱 높아지게 되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콘택트(700)는 하우징(600)에 고정된 압입부와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는 전지 접속부(710)를 갖기 때문에, 판부재가 갖은 탄성력에 의해, 버튼 전지의 기판측 전극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제2 콘택트(800),(900)는 제1 콘택트(700)보다도, 전지 수용 방향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콘택트(800),(900)는 절곡(folding) 가공에 의해 각 각 형성된 2개의 판부재로서, 그 2개의 판부재는 서로 같은 구성을 가지며, 경면(鏡面) 대칭이다. 즉, 제2 콘택트(800),(900)인 2개의 판부재 각 각은 전지 접속편(810),(910)과, 압입부(820)(도 8 참조. 단, 한 쪽 판 부재의 압입부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와, 기판 접속편(830),(930)을 갖는다. 압입부 각 각은 제2 콘택트의 일단측에 형성되며, 하우징(600) 측면부의, 제1 콘택트 압입부보다 전지 수용 방향 후방의 부분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전지 접속편(810),(910)은 압입부에 연접하며, 절곡 가공에 의해 90도 되접어 꺾여, 기판(1)의 실장면(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전지 접속편(810),(910)은 하우징(600)의 측면부(620),(630)로부터, 전지 수용 방향 비스듬이 후단이며 전지 수용구(P)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해 뻗어 있으며, 돌출부(811),(911)를 갖는다. 이 돌출부(811),(911)는 전지 홀더(20)내에 삽입된 버튼 전지의 삽입이, 전지 저지부(615)에 의해 저지되기 전에, 버튼 전지의 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콘택트(800),(900)는 제1 콘택트(700)가 접하는 버튼 전지의 면과는 다른 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이다. 또한 기판 접속편(830),(930)은 제1 콘택트와 마찬가지로, 압입부에 연접되고, 하우징(600)으로부터 전지 수용구(P)의 길이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배치되며, 기판(1)의 실장면(1')에 납땜된다(도 8은 납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전지 홀더는 원형의 버튼 전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떠한 형상의 버튼 전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은 정도 이상의 전기적 접속의 확실성과 전지 지지성을 유지하면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부터 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전지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버튼형의 전지를 전지 수용구로부터 수용하여 기판의 실장면을 따라 늘어선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전지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는 전지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전지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판측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전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1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전지의, 상기 제1 콘택트가 접하는 면과는 다른 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2 콘택트를 구비하며, 상기 전지 수용구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콘택트와 상기 제2 콘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전지를 상기 기판의 실장면을 따라 수용하는, 상기 전지의 크기보다도 작은 직경 확대가 자유자재인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택트가,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전지를 상기 기판과는 반대쪽으로부터 덮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전지 수용구로를 통해 받아들인 상기 전지의 측면에 접하는 한 쌍의 아암을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아암 각 각의 선단측이, 상기 전지 수용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홀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택트가, 중앙부에 상기 전기 수용구측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러지는 전지 접속부를 가지며, 양단부 각 각의 옆에는 상기 기판과 접속하는 기판 접속부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한 개의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지 수용구의 길이 방향 양단측으로 전지 수용 방향 후단측에 상기 기판 접속부 각 각이 배치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전지 수용구로부터 수용한 상기 전지를 상기 기판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덮는 것이며, 상기 전지 수용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로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기판과는 반대측으로 휘는 탄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에 상기 전지 수용구를 좁게 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홀더.
KR1020000070865A 1999-11-30 2000-11-27 전지 홀더 KR200100519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041399A JP2001155704A (ja) 1999-11-30 1999-11-30 電池ホルダ
JP11-340413 1999-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969A true KR20010051969A (ko) 2001-06-25

Family

ID=1833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865A KR20010051969A (ko) 1999-11-30 2000-11-27 전지 홀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10002346A1 (ko)
EP (1) EP1107337A2 (ko)
JP (1) JP2001155704A (ko)
KR (1) KR200100519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4616B2 (en) 2019-02-26 2023-10-3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battery pack
KR102661767B1 (ko) * 2022-12-02 2024-04-30 주식회사 오성전자 2중 잠금구조를 갖는 전자제품용 리모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1720B2 (en) 2008-04-30 2011-01-18 Apple Inc. Battery assembly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CN101931068B (zh) * 2010-08-17 2013-0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池固定装置
CN102790192A (zh) * 2011-05-19 2012-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池座
TWM428516U (en) * 2011-12-06 2012-05-01 Tuton Technology Co Ltd Battery connector capable of easy battery replacement
TWI493772B (zh) * 2012-09-14 2015-07-21 Giga Byte Tech Co Ltd 電池座
US9263716B2 (en) * 2013-02-21 2016-02-16 Lutron Electronics Co., Inc. Monolithic battery holder having resilient retention strap for use in battery-powered sensor
JP6268589B2 (ja) 2014-03-07 2018-01-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ホルダー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照明装置
JP6943535B2 (ja) 2017-12-05 2021-10-06 Fdk株式会社 電池ケース
CN115764124B (zh) * 2022-11-15 2023-06-30 广东英为拓科技有限公司 一种纽扣电池用安装结构、遥控器以及电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4616B2 (en) 2019-02-26 2023-10-3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battery pack
KR102661767B1 (ko) * 2022-12-02 2024-04-30 주식회사 오성전자 2중 잠금구조를 갖는 전자제품용 리모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02346A1 (en) 2001-05-31
JP2001155704A (ja) 2001-06-08
EP1107337A2 (en) 2001-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1886B2 (ja) 加入者照合モジュール(sim)カードホルダ
JP4010730B2 (ja) カード保持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機
JP3216050B2 (ja) 低背型表面取付電気コネクタ
US6312274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10051969A (ko) 전지 홀더
JP2000113948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7238038B2 (en) Card hold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387910B1 (ko) 부동 가이드 커넥터 및 방법
US6162103A (en) Terminal structure of a connector
EP1361627B1 (en) Connector which can be simplified in structure of an end portion in a card inserting/removing direction
US6146177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ocking device
JP4773136B2 (ja) 電池ホルダ
JP4578310B2 (ja) 電池ホルダ
JP2001110527A (ja) シールド型コネクタ
CN114628926A (zh) 卡座组件和电子设备
JP4744389B2 (ja) 充電台
JP2001023712A (ja) チップカード用コネクタおよび移動ステーション
US2008004507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ocking arms
EP1104907A1 (en) Card reader for mounting to printed circuit board
CN217009608U (zh) 卡座连接器
JP363997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2025517A (ja) バッテリ使用機器用レセプタクル
CN220189994U (zh) 一种顶出式推杆限位双层sim卡卡座
JPH09180779A (ja) 給電端子の取付構造
JP2002203622A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