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499A - 전자파 실드용 직물 - Google Patents

전자파 실드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499A
KR20010051499A KR1020000065929A KR20000065929A KR20010051499A KR 20010051499 A KR20010051499 A KR 20010051499A KR 1020000065929 A KR1020000065929 A KR 1020000065929A KR 20000065929 A KR20000065929 A KR 20000065929A KR 20010051499 A KR20010051499 A KR 20010051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fibers
flame
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마쓰야스히코
이이즈카도시
쓰카다노리카즈
오가시와히데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마노 군마
아리타 요시카즈
쓰카다 노리카즈
군에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마노 군마, 아리타 요시카즈, 쓰카다 노리카즈, 군에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마노 군마
Publication of KR2001005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49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06M15/2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aromatic, e.g. styre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8Shielding materials for shielding electrical ca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종래, 전기, 전자기기로부터 나오는 전자파 방사를 차폐하는 실드(shield) 부품에는, 난연성을 고려한 것이 거의 없기 때문에 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페놀수지 섬유를 적어도 15 중량% 이상 포함하는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섬유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전체층에 의해 전자파 실드 성능을 가지며, 페놀수지 섬유의 우수한 난연 성능에 의해 난연성, 내연소성(耐延燒性)이 향상된 전자파 실드용 직물(織物; 1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파 실드용 직물 {FABRIC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본 발명은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우수한 난연성이 얻어지는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등의 가전제품, 컴퓨터, 팩시밀리, 복사기 등의 오피스용 전자기기 등에서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제품이 다양하지만, 이러한 수지제 케이스는 금속성 케이스에 비해 전자파 차단 성능이 거의 전무하다. 그런데, 최근 전자파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시되고 있어, 인체에 조사(照射)되는 전자계 강도 등을 경감하기 위한 다양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전자부품도 주위로부터 전자파의 영향을 받기쉬운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자파의 정상적인 작동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전자파의 실드가 유용해지고 있다.
종래, 예를 들면, 케이스 내면에 도전성 도료를 도포, 형성한 도전성 막에 의해 케이스 외부로의 전자파 방사(放射)를 방지하는 실드 성능을 부여한다든지, 케이스 내에 인입된 전원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의 외피 제거 부분 등을 전자파 실드용 직물로 덮어 씌운다든지, 케이스 내에 설치된 전기, 전자부품(특히, 전원 트랜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등)을 전용의 금속제 케이스로 덮어 씌워 케이스 내에 수납하는 등의 대책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파 실드용 직물로는, 섬유상(纖維狀)으로 만든 강선이나 동선(銅線)을 교편직(交編織)한 것이 종래 제공되고 있었으나, 이것은 유연성이 부족하여 가늘게 성형하는 데는 부적합하다든지 절단에 힘이 드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전체층을 형성한 섬유를 짜서 만든 것이나 부직포로 성형한 것, 각종 섬유로 이루어진 직포 또는 부직포 등의 기포(基布)의 표면에, 용사(溶射), 코팅, 무전해 도금 등에 의해 도전체층을 형성한 것 등이 제공되고 있다. 이 전자파 실드용 직물을 형성하는 섬유는, 특별히 종류가 한정되지는 않으며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합성섬유, 면이나 양모 등의 천연섬유 등 각종의 섬유가 채용 가능하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은 각종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 전기, 전자기기 내의 각 부분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 및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 내에 인입, 배선되는 전원용 전기 케이블 등에는 고주파수의 전자파를 방사하는 것이 있으며, 특히 기기 내에서의 접속을 위해 케이블의 실드가 제거된 부분으로부터의 전자파 방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테이프형 또는 시트형으로 성형한 직물로 덮어 씌우도록 한다. 튜너나, 전원 트랜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등을 수납하는 케이스에 대해서도 복수 부재로부터 조립한 경계나, 작업용 개구부의 뚜껑 등으로부터의 전자파 방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자파 실드용 직물이나 이것을 고무나 스폰지 등의 탄성체 심재(心材)로 고정한 밀봉재 등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서는, 전자부품으로부터의 발열이나 결선 불량 개소로부터의 불꽃(아크) 등이 생겨도, 발화, 불길의 번짐이 없도록 하기 위한 규격, 규정, 규제가 종래부터 상세하게 정해져 있어, 기기의 설계는 이것에 큰 영향을 받아 왔다. 이 외에, 전술한 전자파의 실드 성능에 대해서도 규격, 규정, 규제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기기의 설계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상기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는 이제까지 난연성(내화성 등)을 고려한 것은 전무하며, 이것이 기기의 설계를 복잡하게 만드는 원인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전자파 실드용 직물의 소재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크릴 섬유나 나일론 섬유 등에 대해서는 난연처리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모두가 불길의 번짐을 확실하게 막아주지는 못하며 효과에 불만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아크릴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열용융성을 가지는 합성섬유에서는, 무전해 도금에 의해 표면에 도전체층이 형성된 경우에도, 화염에 노출되면 고온에 의해 용융한 합성섬유가 표면의 도전체층을 심재로 하여 연소하는 현상을 밝혀 내었다. 이 현상에 의해, 난연처리된 합성섬유로 형성된 직물에 있어서도,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전체층을 형성한 후에 화염에 노출되면, 용융한 합성섬유의 연소에 의해 직물은 불길이 번진다. 따라서, 전자파 실드용 직물은 단순히 난연처리된 합성섬유에 무전해 도금을 실시한 것으로는 충분한 난연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무전해 도금 이외의 방법에 의해 도전체층이 형성된 직물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하는 사례가 있다.
상기 문제의 대책으로는, 도금 후 염소나 브롬 등의 할로겐계 난연제로 후가공하여 난연처리하는 것이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할로겐계 난연제가 첨가된 합성수지 섬유는 예를 들어, 폐기시의 소각처리에서 연소 온도가 저온이면 다이옥신을 발생하는 등, 폐기시의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폐기시 특별 취급을 해야 하며, 소각처리 시설도 특별한 것을 사용하는 등, 폐기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난연성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등의 무기질 섬유를 이용하여 전자파 실드용 직물을 형성하는 것이 고안되었으며, 이것은 충분한 난연성이 얻어지지만 세밀한 성형에는 부적합하여 용도가 한정되는 등의 불만이 있었다. 또한, 코스트면에서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자파 실드용 직물의 용도로는, 전기, 전자기기의 전자파 차폐용 부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의복이나 전자파 실드용 에이프런, 전자파 실드 커튼의 원단 등도 존재하지만, 의복의 원단 등에는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등의 무기질 섬유를 이용한 전자파 실드용 직물은 촉감, 보온성 등에 문제가 있어 적합하지 못하다.
이와 같이, 전자파 실드용 직물로는 전자파 실드성이나 난연성 외에 유연성, 성형성, 코스트면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없으며, 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한 것으로서, 전자파 실드성이나 난연성 외에 유연성, 성형성이 뛰어나며, 또한 저코스트화가 가능한 전자파 실드용 직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구성은, 페놀수지 섬유를 적어도 15 중량% 이상 포함하는 섬유로 형성되며, 상기 섬유 표면에 형성된 도전체층에 의해 전자파 실드 성능을 가지는 전자파 실드용 직물이다.
본 발명의 제2 구성은, 상기 제1 구성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서 상기 도전체층이, 상기 섬유로 된 기포의 형성 후에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구성은 상기 제1 또는 제2 구성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서 상기 섬유가 상기 페놀 수지 섬유 외에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서는, 페놀수지 섬유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서 우수한 난연성이 얻어진다. 페놀수지 섬유는 난연성, 내열성이 극히 높아, 예를 들면, LOI(한계산소지수)가 30 ~ 35로서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전자파 실드용 직물을 적용하여 전자파 방사를 방지한 전기, 전자기기에서는 직물에의 착화, 불길 번짐의 염려가 없기 때문에, 만일, 전기계의 고장에 의한 발열 등이 생겨도 화재의 원인이 되는 발화가 방지된다. 예를 들면, 고압 트랜스의 고장 등에 의해 발생한 아크에 노출되어도 소손, 불길의 번짐이 없고, 종래, 전자파 실드용 직물의 적용이 불가능했던 개소에도 적용할 수 있어, 종래의 실드용 직물에 비해 용도의 폭이 넓다.
페놀수지 섬유는 가열에 의한 용융이나 수축이 없고 연소에 의한 발연도 거의 없어(저발연성), 화염에 노출되어도 탄화만 될 뿐 불길이 번지지 않으며(저연소), 탄화시에는 유독가스의 발생, 독성도 거의 없는(저독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페놀수지 섬유의 특성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 대해서도 계승되어 만일, 이 직물이 강한 화염에 노출되어도 종래의 난연성 섬유에 비해 가열에 의한 용융이나 수축이 적고, 또한, 재래의 난연성 재료로 된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 비해 저발연성, 저연소성(低延燒性), 저독성을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의 연소시험에 사용된 시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병에 따른 전자파 실드용 직물을 테이프형으로 성형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을 전기 케이블의 실드층으로 적용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을 테이프형으로 성형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실드용 직물을 탄성재 심재(芯材)의 주위에 고정한 전자파 실드용 부품, 이와 더불어 전자기기 케이스의 통기구를 막도록 설치된 직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실드용 직물을 벽지, 커튼의 원단으로서 사용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섬유의 혼용률을 설명하는 "%"는 특히,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실드용 직물은, 페놀수지 섬유 15% 이상과 별도의 섬유로 된 기포(직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되며, 이 기포(구체적으로 기포를 형성하는 섬유)에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상기 기포인 직포나 부직포에는 구성하는 각 섬유를 방적사로 사용한 것, 방적사가 아닌 그대로 사용한 것 양쪽 모두가 포함된다. 또한 방적사를 구성하는 페놀수지 섬유나 그 외 섬유에의 도전체층 형성은 방적 전·후 모두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페놀수지 섬유로는, 노볼락형 페놀수지를 원료로 하는 것, 레졸형 페놀수지를 원료로 하는 것, 또는 노볼락형, 레졸형 페놀수지의 쌍방이 혼합된 원료로 된 것 모두가 채용 가능하다.
노볼락형 페놀수지를 원료로 하는 섬유로는, 예를 들면, 미경화(未硬化)로 열가소성 노볼락형 페놀수지를 용융 방사한 후, 경화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노보로이드 섬유(특공소48(1973)-11284호)가 있다. 레졸형 페놀수지를 원료로 하는 섬유로는 예를 들면, 액상 레졸형 페놀수지에 산(酸)촉매를 첨가하고 이것을 원심 방사하여 얻어지는 섬유(특개소59(1984)-179811호), 또는 고형 레졸형 페놀수지를 용융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가열 공기류에 의해 견인 방사하는 소위, 멜트브론법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특개평9(1997)-132818호)가 있다. 레졸형, 노볼락형 페놀수지의 쌍방을 원료로 하는 섬유로는 예를 들면, 양쪽 형 페놀수지의 혼합물로부터 맬트브론법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특개평9(1997)-176918호)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페놀수지 섬유는 3차원 그물구조의 거대분자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에 의한 연화용융, 수축, 분해 등이 어려워 내열성, 난연성이 우수하며, 내아크성이 우수한 점도 이 분자 구조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 중에도 노보로이드 섬유는 "카이놀"이란 상품명(群榮化學工業株式會社의 상품명)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도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는 섬유이다.
페놀수지 섬유에 혼용 가능한 섬유로는, 난연 섬유를 채용하는 것이 난연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페놀수지 섬유 이외의 난연 섬유로는 난연 아크릴 섬유(이른바, 모다크릴(modacrylic) 섬유), 난연 레이욘 섬유(FR 레이욘. FR: Fire Retardation),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FR 폴리에스테르, FR: Fire Retardation),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등이 채용 가능하다. 이들 합성섬유들은 우수한 유연성과 코스트 저감의 양쪽을 만족시킬 수 있다. 유연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의 혼용률이면 유리섬유나 탄소섬유도 채용 가능하다. 페놀수지 섬유 이외의 난연섬유로는 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종류가 혼용되어 있어도 좋다.
이 직물의 기포를 구성하는 페놀수지 등의 섬유 표면에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증착, 스퍼터링, 이온 도금, 용사(溶射), 전기도금, 무전해 도금, 코팅, 스프레이 등이 있다. 섬유 표면의 도전체층 얼룩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전해 도금을 채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구성하는 페놀수지 섬유 등의 난연 섬유 표면에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것도 무전해 도금의 채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무전해 도금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체층으로서는, 주로 구리, 니켈 등이다. 단, 니켈은 무전해 도금에 의한 섬유 표면 도전체층의 안정화가 곤란하기 때문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구리 도전체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무전해 도금에 의한 니켈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체층이 형성된 섬유의 도전체층을 포함하는 전체 데니어는 예를 들면, 특개평 11(1999)-50352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10 ~ 150 데니어가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기는 30 ~ 75 데니어, 단사(單絲) 데니어는 0.5 ~ 5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데니어 미만에서는 전자파 실드성이나 강도가 부족하며, 단사 데니어가 0.5 데니어 미만에서는 도금 가공성이 나쁘고, 5 데니어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한다.
전자파는 전계와 자계로 이루어지며, 전계와 자계는 서로 직교 상태로 전파되는 파동이기 때문에, 직포인 실드용 직물에서는 일반적으로, 교착(交錯)된 섬유 표면에의 도전체층 형성에 의해, 각 섬유 표면 도전체층 간의 교착점이 형성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실드 성능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섬유간의 교착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의 가로세로 길이의 비는, 실드 효율면에서 0.5 ~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에서도 섬유 격자의 가로세로비를 0.5 ~ 1.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자는 마름모꼴 등도 좋지만 실드 성능 면에서는 정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의 실드 메커니즘은 전계의 반사 성능과 자계의 와전류 특성에 의존하며, 이 중에서, 전계는 실드용 직물의 섬유에 형성된 도전체의 도전률에 의존한다. 또, 도전체층이 형성된 섬유는 서로 접촉하지 않아도 상기 전계의 특성에 의해 일정한 실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노보로이드 섬유(상품명 "카이롤": 群榮化學工業株式會社의 상품명)의 일반적 물성은 비중 1.28, 섬유경 14 ~ 20㎛(또는 2 ~ 4d. 단, "d"는 데니어. 이하 같음), 인장강도 1.3 ~ 1.8g/d, 인장탄성률 300 ~ 400kg/mm2, 신율 30 ~ 50%, LOI(한계산소지수) 30 ~ 35, 열가소성(열용융성·열수축성. 이하 같음)은 없으며, 연소에 의한 독성 및 발연은 거의 없고, 사용 가능한 최고 온도가 공기 중에서 150℃, 공기 차단하에서 250℃이다. 또한, 유기 용제나 산에 대한 내약품성도 우수하다.
난연 아크릴 섬유(이하, "모다크릴"섬유라 부르기도 함)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과 염화비닐의 공중합체로부터 방사(紡絲)한 것이며, 열분해가 어려운 구조에 의해 난연성이 얻어진다. 일예로, 후술의 연소시험에 채용되는 (鐘淵化學工業株式會社제의 "카네카론"의 프로텍스―M 형(2 데니어형)의 난연성, 내열성 등에 따른 물성으로는, LOI(한계산소지수) 33.5, 열수축성은 있고(180℃에서 10% 정도), 연소에 의한 발연은 약간 있는 등이다.
난연 레이욘 섬유로는, 예를 들면, 인화합물(예를 들어, 인질소화합물) 등의 난연제를 반죽해 넣는 방사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노직 섬유이며, 탈수탄화 촉진형의 방염(防炎)기구에 의해 내화성이나 난연성을 발휘한다고 알려져 있다. 즉, 이 섬유가 화염에 접촉하면 난연제 중의 인이 폴리인산을 형성하고, 이 폴리인산의 탈수작용에 의해 열분해한 폴리노직을 가연성 가스의 발생 전에 탄화한다. 후술의 연소시험에 채용한 동양(東洋)방적주식회사제의 "터프반"의 LOI(한계산소지수)는 30 ~ 32이다.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난연제로서 인화합물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채용된다. 후술의 연소시험에서 채용된 동양(東洋)방적주식회사제의 "하임"은 치수 안정성, 내약품성 등이 폴리에스테르와 거의 동등함과 동시에 난연성이나 내열성 등에 관한 물성으로서 열수축성을 약간 가지며, LOI(한계산소지수)는 28 ~ 30이고, 열가소성 및 열용융성이 있으며, 연소에 의한 발연은 약간 있는 등의 물성을 가진다.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페닐렌디아민과 이소프탈산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생성한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를 성분으로 하는 메타계 타입의 전(全)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이며, 가열에 의한 열분해가 어려운 구조에 의해 난연성을 발휘한다. 후술의 연소시험에 채용된 제인(帝人)주식회사제의 "코넥스"는 LOI(한계산소지수)는 26 ~ 30, 열가소성은 없으며(열용융성은 없고 건열수축률은 250℃까지 1% 이하), 인화점은 615℃, 700℃ 이상의 가열에서도 발화는 없고, 자기소화성을 가지는 등의 물성을 보유하고 있다.
페놀수지 섬유는 연소시험에서 얻어지는 물성으로서, 발화성(TG/DTA), 연소성(延燒性)(UL 규격. JIS K 6911), 연소 발생가스(에어버스인더스트리사 규격의 NBS 시험 등), 자기소화성(JIS K 7201), 열용융성(JIS K 7121) 면에서 전술한 아크릴 섬유, 레이욘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을 능가하는 것으로 판명되고 있어, 불길 번짐이 어렵고 착화되었다 해도 자기소화성을 발휘한다. 또한, 무전해 도금에 의해 표면에 도전체층이 형성된 페놀수지 섬유에서는 화염에 노출되어도 도전체층 내측의 페놀수지 섬유는 탄화만 될 뿐이지 열용융은 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의 도전체층을 심재로 하는 연소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페놀수지 섬유는 전술한 아크릴 섬유, 레이욘 섬유 등의 타 섬유에 비해 인장강도 면에서 열등하기 때문에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는 다른 섬유와의 혼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페놀수지 섬유의 혼용율 상한은 80% 정도가 적당하다. 이 경우, 페놀수지 섬유와 혼용하는 섬유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인장강도나 유연성 등이 요구되는 전술한 어느것이나 난연성의 아크릴 섬유, 레이욘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우수한 난연성을 얻기 위해서는 화염에 노출되어도 열용융되지 않고 분해 탄화하는 특성을 가지는 섬유, 예를 들면,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기기 케이스 내의 설치는 특히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용도에서는 페놀수지 섬유의 혼용률을 80% 이상으로 하여, 그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좋다.
(무전해 도금)
다음에 무전해 도금 공정을 설명한다, 또 "(수세)"는 공정간에 행해지는 것이다.
(1)탈지공정: 기포에 부착한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고 소재의 습윤성 (wettability)을 증대시킨다.
(2)컨디셔너 공정: 기포 표면에 극성을 부여, 다음 공정에서의 촉매의 부착을 증대시킨다.
(수세)
(3)촉매화 공정: 금속 촉매를 첨가한 용액(예를 들면, 염화제1주석, 염화팔라듐 콜로이드 용액)에 기포를 담그고, 기포 표면에 촉매를 흡착시킨다. 콜로이드의 안정화를 위해 염산,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등을 미량 첨가한다. 촉매로 사용되는 금속으로는 팔라듐 외에 금, 은, 동 등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촉매화 공정은 기포 표면에 촉매(금속)을 흡착시켜, 후공정에서의 도전체층 형성을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하는 것이 좋고, 예를 들면, 유기 팔라듐 등의 유기금속을 이용한 것도 채용 가능하다.
(수세)
(4)촉진화 공정: 황산, 염산, 플루오로붕산 등의 수용액에 기포를 담그고,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전술의 촉매화 공정에서 촉매로 사용한 금속을 기포 표면에 석출시킨다.
(5)무전해 도금공정: 황산구리, 염화구리 등의 금속염과 EDTA(에틸렌디아민4초산), 로셀염 등의 킬레이트제와, 포르말린 등의 환원제를 혼합한 건욕액(建浴液)에 기포를 담그고, 기포 표면에 상기 금속염의 금속(황산구리, 염화구리의 경우는 구리)을 석출시켜 두께 0.5 ~ 4㎛ 정도의 도전체층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기포에 도전성과 전자파 실드성을 부여한다.
금속염으로는 무전해 니켈, 무전해 은(銀) 등도 사용 가능하지만, 실드 효과 코스트 면에서 구리가 좋다.
(수세)
(6)방청공정: 필요에 따라 행한다. 예를 들면, 무전해 구리는 실드 효과는 우수하지만 부식이 쉽기 때문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무전해 니켈이나 무전해 주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0.25㎛ 정도의 표면 금속층을 도전체층(금속구리)의 표면에 형성하여 방청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도전체층 표면에 유기계 방청제를 도포하는 것도 방청에 유효하다. 유기계 방청제로는, 벤조트리아졸, 벤조이미다졸 등이 채용 가능하다. 단, 연소시 유독가스의 발생량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는 전술한 표면 금속층의 형성이 유리하다.
또한, 무전해 도금을 완료한 기포는 금속염, 연소 등의 염이 잔류하지 않도록 충분한 수세, 탕세(湯洗)를 한다.
표 1,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연소시험 결과를 예시하고 있다.
표 1, 2중 실시예 1, 2, 3, 비교예 K, 비교예 C는, 각각 난연 섬유로 형성된 기포(직포)에 구리 무전해 도금을 실시하고, 그 기포를 구성한 섬유 표면에 도전체층을 형성한 직물이다. 실시예 1, 2, 3, 비교예 K, 비교예 C의 차이는 기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가 다를 뿐이며 무전해 도금의 조건 등에 차이는 없다. 비교예 A, B는 난연섬유 그 자체의 시험편(직포)이다.
또한, 페놀수지 섬유로는 전술한 "카이놀", 난연 아크릴 섬유로는 전술한 "카네카론"의 프로텍스―M형(2 데니어형), 난연 레이욘 섬유로는 전술한"터프반",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는 전술한"하임",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로는 전술한 "코넥스"를 채용했다.
실시예 1, 2, 3, 비교예 K, 비교예 C의 무전해 도금은 전술한 (무전해 도금) 공정에 따라 실시했다. 촉매화 공정에서는 주석, 팔라듐 혼합 촉매(염화제1주석 4 ~ 12g/l), 염화팔라듐 30 ~ 150mg/l의 콜로이드 용액)을 채용했다. 촉진화 공정에서는 10% 황산을 채용했다. 무전해 도금 공정에서는 금속염으로 항산동, 킬레이트제로 EDTA, 환원제로 포르말린을 채용하고, 기포 표면에 금속동으로 된 도전체층을 형성했다. 방청공정은 실시하지 않았다.
실시예 1은 페놀수지 섬유(전술한 카이놀) 70%,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30%의 혼방사로 된 직포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전체층을 형성한 것이다.
실시예 2는 페놀수지 섬유 20%, 난연 아크릴 45%, 난연 레이욘 10%,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25%의 혼방사로 된 직포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전층을 형성한 것이다.
실시예 3은 페놀수지 섬유(전술한 카이놀) 100%로 된 직포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전체층을 형성한 것이다.
비교예 K는 페놀수지 섬유 10%, 난연 아크릴 섬유 55%, 난연 레이욘 10%,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25%의 혼방사로 된 직포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전체층을 형성한 것이다.
비교예 A(표 1, 2중의 "A")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로 된 직포이다.
비교예 B(표 1, 2중의 "B")는 모다크릴 섬유 100%로 된 직포이다.
비교예 C(표 1, 2중의 "C")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로 된 직포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전체층을 형성한 것이다.
표 1은 실시예 1, 2, 3, 비교예 K, 비교예 A, B, C의 직물로 된 시험편에 UL 규격(V-0급)에 의거 연소시험을 행한 결과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연소시험의 시험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스탠드(20) 상부의 클램프(21)에 소정의 치수로 띠 모양으로 성형한 시험편(22)을 착탈 가능하게 매달리도록 지지하고, 시험편(22)의 하단(22a)을 그 하방에 설치한 버너(23)(가스버너)의 화염(24)에 일정 시간 노출(接炎)하도록 한 것이다. 시험편(22)은 실시예 1, 2, 3, 비교예 K, 비교예 A, B, C에 대해 각각 5개씩 준비했다.
표 1에 있어서, 하나의 틀 내에 5개의 수치가 나란히 표기된 것은 5개 시험편의 계측 데이터(초; 플레이밍(flaming) 시간이나 글로잉(glowing) 시간)를 의미한다.
화염을 제거한 후의 플레이밍 시간은, 5개 시험편의 2회 계측의 합계가 14초인 실시예 2, 그 합계가 17초인 비교예 K, 전부 연소로 인해 계측이 불가능한 비교예 A 외, 실시예 1, 3 및 비교예 B에서는 제로였다. 또한 2회째의 화염을 제거한 후의 글로잉 시간은 실시예 1(17초), 실시예 2(4초), 실시예 3(3초)은 비교예 K의 36초나 비교예 B의 40초 보다도 짧았으나 비교예 C(2초) 보다는 약간 길었다.
표 1의 최하단의 이 시험 결과에서, 실시예 1, 2, 3의 어느것이나 모두 V-0급 합격 평가가 얻어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 비교예 K 및 비교예 B는 V-1급 합격, 비교예 C는 V-0급 합격 평가가 얻어지고 있다.
표 2도 UL 규격에 의거한 연소시험의 결과를 예시한 것이지만, 여기서는 시험편의 미탄화 부분의 길이와 시험편의 수축장(L0-L1 : L0는 시험편의 원래의 길이. L1은 시험편의 시험 후의 길이)을 의미한다.
표 2에 있어서, 실시예 1, 2, 3은 어느것이나 모두 비교예 K 및 비교예 A, B, C에 비해 수축장이 짧고, 열수축이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의 수축장은 비교예 B의 약 4분의 1, 실시예 1은 비교예 B의 약 7분의 1이며, 특성이 현저히 나타났다. 실시예 3은 실시예 1보다 더 수축장이 짧으며, 우수한 특성이 얻어진다. 미탄화 부분의 길이가 실시예 1은 80mm, 실시예 3은 83mm로 거의 탄화가 되지않았으나 실시예 2는 22mm이었다. 실시예 2는 거의 전장에 걸쳐 탄화해 버려 미탄화 부분이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비교예 A, B와의 비교에서는 특성이 충분히 인정되었고, 비교예 C의 24mm 보다도 짧았다. 이것은, 실시예 2에서는 페놀수지 섬유 이외에 혼용한 섬유 중, 열용융성을 가지는 난연 아크릴 섬유,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열용융하여 도전체층이나 페놀수지 섬유를 심지로 하여 연소한 것이라 생각된다. 역으로, 실시예 1, 3의 특성은 페놀수지 섬유의 혼용률이 높다는 점이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1에 대해서는 화염에 노출되어도 열용융되지 않고 분해 탄화하는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의 특성도 기여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 결과, 실시예 1, 2, 3은 어느것이나 각 비교예 A, B, C와 비교하여 내화성, 열안정성(열수축이 작다)이 우수하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실시예 2보다 실시예 1이, 실시예 1보다 실시예 3이 내화성, 열안정성(열수축이 작다)이 우수하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교예 K의 미탄화 부분의 길이는 실시예 1, 2, 3보다 짧고, 또 비교예 C보다도 짧다. 또한 비교예 K의 수축장은 비교예 A, B보다 짧고, 실시예 1, 2, 3에 비하면 제법 길며, 비교예 C보다도 길다. 비교예 K의 미탄화 부분의 길이가 실시예 1, 2, 3보다 짧다는 것은 비교예 K의 페놀수지 섬유 혼용률이 실시예 2의 절반 정도이며, 페놀수지 섬유의 혼용률이 너무 낮기 때문에 내화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비교예 K의 수축장이 실시예 1, 2, 3보다 긴 것은 비교예 K의 페놀수지 섬유 혼용률이 낮은 반면, 열용융성을 가지는 난연 아크릴 섬유의 혼용률이 높다는 점에 기인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표 1, 표 2의 시험결과에 따라, 페놀수지 섬유의 혼용률이 20% 이상이면, UL 규격 V-0급의 난연 성능이 충분히 얻어지며, 또 페놀수지 섬유의 혼용률이 낮은 비교예 K나, 페놀수지 섬유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A, B, C에 비해 난연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페놀수지 섬유의 혼용률이 20% 이상이면, 페놀수지 섬유 이외의 혼용 섬유가 열용융성을 가지는 것이라도 비교예 K나 비교예 A, B, C에 비해 비약적으로 우수한 성능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도, 발명자의 검증에서는 페놀수지 섬유의 혼용률이 20%보다 약간 낮아도 우수한 난연 성능이 얻어지며, 15% 부근이 UL 규격 V-0급의 난연 성능이 얻어지는 하한이라 생각됨으로써, UL 규격 V-0급의 난연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페놀수지 섬유의 혼용률을 1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확실한 난연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페놀수지 섬유와 혼용하는 타 섬유로는, 전술한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와 같이 열용융성이 없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페놀수지 섬유와 혼용하는 타 섬유로는 인장강도나 유연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점에서도 상기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등을 채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이 발명에서는 용융한 섬유가 도전체층을 심재로 하여 연소하는 현상을 막는다는 점에서 우수한 난연 성능을 얻기 때문에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금속의 종류나 도전체층의 형성 방법과 상관없이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에서는 무전해 도금 후에 할로겐계 난연제에 의한 처리를 하지 않고도 우수한 난연 성능이 얻어지기 때문에 폐기 처리시의 환경 오염 문제를 피할 수 있다. 특히, 페놀수지 섬유와 함께 혼용하는 섬유로, 연소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독성이 낮은 것을 채용함으로써 통상의 소각처리 등에 의해 간단히 처리할 수가 있다. 이런 점에서도 연소시의 독성이 매우 낮은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3은 실시예 1, 2, 3과 비교예 A, B, C의 연소에 따른 발생 가스의 시험결과를 예시한다.
여기서 채용한 시험방법은 에어버스인더스트리사 규격의 NBS 시험이며, 여기서는 특히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 가스로서 HCN(시안가스), CO(일산화탄소), NO 및 NO2(일산화질소 및 이산화질소), SO2(아황산가스), HCl(염화수소가스), HF(불화수소가스)에 대해, 농도(ppm)를 측정했다. 또 표 3의 "에어버스사 규격"란 중에서 기호 "〉" 좌측의 수치(ppm)에 미달하는 경우에 "합격"이다.
표 3에 있어서, 실시예 1, 2, 3을 비교하면 실시예 1, 3은 SO2, HCl, HF가 검출되지 않고, HCN, CO, NO 및 NO2의 검출량(검출농도 ppm)도 실시예 2, 비교예 A, B, C에 비해 극히 적으며(비교예 A의 CO값과의 비교만 제외하고 다른 수치에서는 대체로 실시예 2, 비교예 A, B, C의 절반 정도이거나 절반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 발생가스가 매우 적다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2는 비교예 A, B, C에 비해 CO의 발생량이 많은 등, 발생가스가 약간 많다. 그러나, 실시예 1, 2, 3의 어느것이나 에어버스인더스트리사의 규격에 제법 여유를 갖고 합격하고 있으며, 유해가스의 발생이 적어 우수한 저(低)독성이 얻어지고 있다. 실시예 1, 2, 3은 우수한 난연 성능이 얻어짐과 동시에 연소에 의한 유독가스의 발생도 적어, 우수한 전자파 실드성과 안전성(난연성, 저독성)을 갖춘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2, 3의 비교에서는 난연 아크릴 섬유, 난연 레이욘 섬유,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시예 2에 비해 페놀수지 섬유의 혼용률이 높은 실시예 1, 3의 쪽이 실시예 2에 비해 유독가스의 발생이 확실히 적고 저독성이 우수하다. 즉, 유독가스의 발생량을 억제한다는 점에서는, 난연 아크릴 섬유, 난연 레이욘 섬유,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혼용률이 낮고, 페놀수지 섬유나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의 혼용률이 높은 것을 채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전자기기 내부의 전자파 실드용 부품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전기, 전자기기 내부에 발생하는 전기 아크에 대한 내아크성도 요구되지만, 이런 점에서 페놀수지 섬유의 혼용률이 높은 것을 채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실드용 직물은 전기, 전자기기 내부에 전자파 실드용 부품으로 사용해도 우수한 실드재로서, 또 우수한 난연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우수한 난연 성능에 의해 발열체나 고전압 기기의 근처에 배치해도 착화의 염려가 없고, 전기, 전자기기 내부의 설계 자유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 전자기기 내부의 전자파 실드용 부품 외에, 전자파 차폐용의 커튼, 벽지, 에이프런 등에 사용해도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 직물은 유연성도 우수하다는 점에서 다양한 제품에 쉽게 응용할 수가 있어, 예를 들면, 전기, 전자기기 내부의 전자파 실드용 부품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절히 휘거나 구부릴 수가 있어 적당한 자리에 설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실드용 직물의 적용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실드용 직물로 된 테이프(1)를 도시한 것이다. 또 이 테이프(1)를 구성하는 섬유(2)는 교편(交編)에 의해 기포를 형성한 후 무전해 도금 등에 의해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도 3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3)은 전기 케이블(4)의 외피(5) 내에 수납된 것이다. 상기 전기 케이블(4)은 도전선(6)을 수납하는 절연 튜브(7) 외측에 전자파 실드용 직물(3)의 실드층을 배치하고, 그 외측을 외피(5)로 덮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전자파 실드용 직물(3)이 테이프형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튜브형이라도 좋다.
또한 전기 케이블(4) 말단에 노출되는 도전선(6)은 도 2 테이프(1)의 감기 등에 의해 잔자파 방사를 간단히 실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실드용 직물을 성형한 튜브(8)이며, 전기 케이블(4)이나 그 말단에 노출된 도전선(6)(도 3 참조) 등의 수납에 적합하다.
테이프(1), 전자파 실드용 직물(3), 튜브(8)는 어느것이나 유연성이 뛰어나 휘거나 구부림을 요하는 용도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다. 또한, 예를 들면, 테이프(1)나 튜브(8)는 적당히 동선 등의 도전성 선재를 편입(編入)하여 만곡이나 굴곡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의 전자파 실드용 부품(9)은 난연성을 가지는 탄성재(예를 들면, 난연처리된 우레탄 발포체 등)로 된 심재(芯材)(11) 표면에 전자파 실드용 직물(10)을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 것이며, 전자기기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분할체(12, 13)의 맞춤자리 등에 배치된다. 도 5에서는 전자파 실드용 부품(9)이 측면에 고정된 접착 테이프(14)에 의해 케이스 등의 목적 위치에 용이하게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실드용 부품(9)을 목적 위치에 설치하는 구조로는 접착 테이프(14)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 등에 형성된 홈에의 삽입, 끼워맞춤 등, 각종 구조가 채용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 전자파 실드용 부품(9)은 유연성도 우수하여 만곡이나 굴곡도 용이하다.
도 5에서 부호 (15)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은 전자기기의 케이스(도 5의 분할체(13))에 개구된 통기구(16)을 덮도록 설치된 것이다.(설치 상태는 부호 (15a)의 가상선으로 표시). 통기구(16)는 케이스 내부로의 공기 취입용 또는 배기용 개구부이며, 도 5는 휀(17)의 구동기구에 의해 공기 취입 또는 배기가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직물(15)로는 섬유의 밀도를 낮게 하여 통기성이 좋도록 형성한 것이 채용되며, 이것에 의해 통기구(16)를 직물(15)로 막은 상태에서도 통기구(16)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전자기기의 케이스에서는 케이스 자체를 도전체로 형성한다든지, 케이스 내면에 도금이나 도장 등에 의해 도전체층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로의 전자파 방사를 차폐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도 5와 같이 통기구(16)를 개구한 경우에도 직물(15)의 부착에 의해 통기구(16)로부터의 전자파 누설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 전체의 전자파 실드 성능의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형성되는 개구부로는 상기 통기구(16)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피커 설치 장소 등도 있다. 스피커 설치 장소와 같이 통기성이 요구되지 않는 개구부는 섬유의 밀도가 높은 전자파 실드용 직물을 채용할 수가 있다.
또한, 도 5는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인 통기구(16)를 케이스 내측에서 직물(15)로 덮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기구(16) 등의 각종 개구부를 본 발명에 따른 직물로 외측에서 덮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실드용 직물을 원단으로 사용한 벽지(18), 커튼(19)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건물의 방 전체의 벽면, 창이나 출입구 등의 전체의 개구부를 상기 벽지(18)나 상기 커튼(19)을 이용하여 덮으면 방 전체의 실드도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실내의 전자기기로부터 실외로 전자파 방사가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인접한 다른 방의 전자기기에 영향을 준다든지, 전자파의 방수(傍受, 무선통신에서 교신중인 통신을 제3자가 수신하는것)에 의한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영향을 받는 등의 문제점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벽지(18)나 커튼(19)에는 미관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 형성되는 도전체층으로 미관이 얻어지는 소재를 채용한다든지, 염색도 가능하다. 도전체층 표면에 염색을 쉽게 해주는 처리도 가능하다. 단, 염색의 염료나 염색을 쉽게해주는 처리 등은, 모두가 벽지(18)나 커튼(19)의 원단인 전자파 실드용 직물의 난연 성능을 해치지 않는 것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6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이나 그 성형품은 모두가 우수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만곡이나 굴곡이 자유롭다. 또한 이들 전자파 실드용 직물은 전자파 실드성, 난연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연소성(耐延燒性), 자기소화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전기, 전자기기 내에서 만약 전기, 전자기기 등의 발화나 결선 불량 등에 의한 전기 아크가 발생해도, 불길의 번짐을 방지할 수 있어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페놀수지 섬유나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등의 저발연성 및 저독성을 가지는 섬유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자파 실드용 직물이나 그 성형품은 만약 일부가 연소해도 발연성, 유독가스의 발생이 거의 없기 때문에, 협소한 방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기, 전자기기의 내부 부품 등에 만약 발화, 파손이 생겨도 발연이나 유독가스 때문에 실외로 사람이 대피할 때 지장을 준다는 문제가 없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페놀수지 섬유는 내약품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지, 전자기기 내의 각종 부품에 사용되고 있는 약품 등이 접촉되어도 페놀수지 섬유의 난연성에는 영향이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배터리로부터의 누설이나 절연 도료 등에 노출되어도 변질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난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발연성, 저독성, 내약품성의 관점에서도 전술한 페놀수지 섬유와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가 혼용되어 있는 직물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면에 도전체층이 형성된 페놀수지 섬유(이하 "도전화(導電化) 페놀수지 섬유"라 함)를 15% 이상(도전체층을 제외한 섬유 부분만의 혼용률) 혼용한 직포 또는 부직포도 채용 가능하다. 이 구성이면, 도전체층이 형성된 섬유에 도전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섬유를 혼용(단, 난연 성능을 손상하지 않는 정도의 소량)해서 직포나 부직포를 형성하는 것도 용이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커튼, 벽지, 에이프런 등에서는 도전체층이 형성되지 않은 섬유를 염색성의 확보나 감전 방지 등에 이용할 수가 있다.
단, 도전체층이 형성된 섬유의 방적, 제직 등은 일반적인 것과는 다른 장치 또는 기존의 장치에서도 특별한 설정을 요하는 것이며, 방적이나 직성 등에 의해 직물을 형성할 때 도전체층이 벗겨져 떨어져 나가 실드 성능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음을 감안하여, 기포의 형성 후 섬유에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통상의 장치를 이용하여 방적, 직성 등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또한, 직물 형성시 도전체층이 부분적으로 벗겨져 떨어져 나갈 염려가 없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상기 발명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구성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 의하면, 페놀수지 섬유를 적어도 15 중량% 이상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섬유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전체층에 의해 전자파 실드 성능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한 전자파 실드성 외에 우수한 난연성도 얻어진다. 특히, 페놀수지 섬유를 15 중량% 이상 포함함으로써 내연소성, 자기소화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가령 착화시에도 불길의 번짐이 없고 발화점 근처만 소손될 뿐, 피해를 최소화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직물은 우수한 유연성도 가지기 때문에 다종다양한 성형이 가능하여 각종 제품에 이용될 수 있는 범용성이 뛰어나다.
나아가, 이 직물은 열용융성을 가지는 합성섬유를 포함하고도 우수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전체층 형성 후의 할로겐계 난연제에 의한 난연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각처분 등에 의해 간단히 폐기될 수 있다. 페놀수지 섬유와 혼용할 수 있는 섬유에도 페놀수지 섬유와 마찬가지로 연소시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거나 섬유를 극히 적게 사용함으로써 소각처분시의 안전성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처리에 의해 저코스트로 폐기처리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제2 구성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 의하면, 기포(基布)의 형성 후 섬유에 형성된 도전체층은, 도전체층이 형성된 섬유를 짜서 만든 직물에 비해 국소적으로 벗겨져 떨어지는 부분 등이 적기 때문에 우수한 전자파 실드 성능, 난연 성능이 확실하게 얻어진다는 우수한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제3 구성의 전자파 실드용 직물에 의하면, 페놀수지 외에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를 추가로 혼용한 구성이기 때문에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소시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는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를 채용함으로써 소각처분 등의 폐기처리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보여준다.

Claims (4)

  1. 페놀수지 섬유를 적어도 15 중량% 이상 포함하는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섬유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전체층에 의해 전자파 실드 성능을 가지는 전자파 실드용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층이 상기 섬유로 된 기포(基布)의 형성 후에 형성되는 전자파 실드용 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상기 페놀수지 섬유 외에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파 실드용 직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상기 페놀수지 섬유 외에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파 실드용 직물.
KR1020000065929A 1999-11-10 2000-11-07 전자파 실드용 직물 KR200100514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032199 1999-11-10
JP99-320321 1999-11-10
JP2000-300692 2000-09-29
JP2000300692A JP2001200470A (ja) 1999-11-10 2000-09-29 電磁波シールド用布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499A true KR20010051499A (ko) 2001-06-25

Family

ID=2657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929A KR20010051499A (ko) 1999-11-10 2000-11-07 전자파 실드용 직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100300A3 (ko)
JP (1) JP2001200470A (ko)
KR (1) KR200100514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45B1 (ko) * 2001-05-08 2004-05-14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전도성 인테리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66518B1 (ko) * 2021-02-09 2021-06-18 (주)진 동파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6399B2 (ja) * 2004-04-16 2010-06-23 セーレン株式会社 電子機器筐体開口部用保護材
JP4880913B2 (ja) * 2004-05-28 2012-02-22 松山毛織株式会社 導電性織物及び金属製織物
KR101296404B1 (ko) 2007-02-22 2013-08-14 주식회사 잉크테크 도전성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84030A1 (en) 2014-11-26 2016-06-02 Tubitak A double-layer elastic fabric reflecting broad-spectrum electromagnetic wave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6889A (ja) * 1993-12-17 1995-07-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耐炎性電磁波遮蔽体
US6248393B1 (en) * 1998-02-27 2001-06-19 Parker-Hannifin Corporation Flame retardant EMI shielding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e
EP1124890A1 (en) * 1998-10-22 2001-08-22 Parker-Hannifin Corporation Intumescent, flame retardan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emi shielding applic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45B1 (ko) * 2001-05-08 2004-05-14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전도성 인테리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66518B1 (ko) * 2021-02-09 2021-06-18 (주)진 동파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00470A (ja) 2001-07-27
EP1100300A3 (en) 2002-01-02
EP1100300A2 (en) 200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an et al. Flame retardant functional textiles
KR20010051499A (ko) 전자파 실드용 직물
CN201527839U (zh) 环保型金属屏蔽电力电缆
KR100904411B1 (ko) 전자파 차폐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CN214151160U (zh) 一种连接稳定的光纤跳线
JPH0742079A (ja) 金属被覆繊維織物の防炎加工方法
JP4328413B2 (ja) 難燃性金属被覆布帛
CN209949778U (zh) 一种新型的环保导电棉
CN201532801U (zh) 环保型低烟无卤阻燃耐油软电缆
CN221632281U (zh) 适用于低烟无卤高速生产线的电缆
CN216528152U (zh) 一种铝合金导体光伏电缆
JPH11176249A (ja) 耐火電線
CN217955481U (zh) 一种耐高温防火bv线
CN212485011U (zh) 一种多芯无烟线缆
CN215342076U (zh) 一种环保型硅烷交联低烟无卤阻燃聚烯烃绝缘电线
CN217035244U (zh) 一种复合电缆
CN210777898U (zh) 一种拼接式硅胶电线
CN217847509U (zh) 一种具有阻燃功能的家电线束
CN219246403U (zh) 一种阻燃电缆线
CN213660050U (zh) 一种无卤低烟阻燃电缆
CN218159727U (zh) 一种防老化电线电缆
CN221687241U (zh) 一种环保电缆
CN208685313U (zh) 膨胀隔热型防火网
JP2002051492A (ja) 小型モーター
KR200326511Y1 (ko) 저독성과 저연소성을 갖는 난연 케이블 및 내화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