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452A - 파형 등화기 - Google Patents

파형 등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452A
KR20010051452A KR1020000065369A KR20000065369A KR20010051452A KR 20010051452 A KR20010051452 A KR 20010051452A KR 1020000065369 A KR1020000065369 A KR 1020000065369A KR 20000065369 A KR20000065369 A KR 20000065369A KR 20010051452 A KR20010051452 A KR 20010051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value
read
value sequence
signal
ampl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544B1 (ko
Inventor
쿠리바야시히로키
Original Assignee
가네오 이토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오 이토,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오 이토
Publication of KR2001005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REA)

Abstract

파형 등화기는 최단 독출 신호의 길이가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기간의 2배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도 내부 심볼 간섭을 증가시키지 않고 독출 신호에 고주파 증가를 실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의 신호 레벨의 가중치의 가산치는, 신호 레벨이 제 1 및 제 2 시점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시점의 중간 타이밍의 신호 레벨에 가산되는 독출 신호의 진폭을 제한함에 의해 얻어지며, 상기 가산의 결과가 등화 보정된 독출 신호로서 출력된다.

Description

파형 등화기{WAVEFORM EQUALIZER}
본 발명은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기록된 정보 재생장치의 파형 등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독출 신호에 대한 고주파 증가를 강화하기 위해 필터링을 행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를 고밀도로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독출신호의 S/N 비를 개선하는 파형 등화기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기술에서는, 독출 신호의 고주파 증가가 커질수록, S/N 비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고주파가 과도하게 커지면, 내부 심볼 간섭의 증가가 발생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 심볼 간섭의 증가를 발생시키지 않고 고주파 증가를 실행할 수 있는 파형 등화기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H11-25998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형 등화기에서, 독출 신호의 최단 런 렝스가 짧은 경우 등화 보정후에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제로 크로스 점에서의 값이 변화하는 문제가 존재하여, 내부 심볼 간섭이 증가하기 때문에, 고주파 영역이 충분히 강화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독출 신호의 최단 런 렝스가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주기의 두배 미만인 경우에도, 내부 심볼 간섭의 증가를 발생시키지 않고 독출 신호의 고주파 증가를 강화할 수 있는 파형 등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는 등화 보정된 독출 신호를 얻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신호를 독출함으로써 얻어진 독출 신호에 파형 등화를 행하는 것이며, 상기 파형 등화기는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를 얻기 위해, 독출 신호를 소정 진폭 제한치로 제한하기 위한 진폭 제한 수단, 제 1 시점에서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의 신호 레벨과 제 2 시점에서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의 신호 레벨을 각각 가중화하여 가중된 신호 레벨을 가산하고 필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 및 제 1 및 제 2 시점의 중간 타이밍에서의 독출 신호와 상기 필터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을 가산함으로써 등화 보정된 독출 신호를 얻기 위한 가산 수단을 포함한다.
도1은 파형 등화기(5)를 포함하는 기록 정보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a∼도2c는 8/16 변조됨으로써 기록된 정보 신호가 독출되는 경우에 얻어지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 및 파형 등화기(5)에 의해 얻어지는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를 나타낸다.
도3a∼도3c는 (1,7) 변조됨으로써 기록된 정보 신호가 독출되는 경우에 얻어지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 및 파형 등화기(5)에 의해 얻어지는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6)를 포함하는 기록 정보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6)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a∼도6c는 (1,7) 변조됨으로써 기록된 정보 신호가 독출되는 경우에 얻어지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 및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6)에 의해 얻어지는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를 나타낸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6)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a∼도8c는 (1,7) 변조됨으로써 기록된 정보 신호가 독출되는 경우에 얻어지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 및 도7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6)에 의해 얻어지는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를 나타낸다.
도9는 도5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6)의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도7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6)의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은 도7 및 도10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6)의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도5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6)의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3은 도12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6)의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파형 등화기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후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11-259985호에 개시된 파형 등화기를 포함하는 기록 정보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픽업(1)은, 8/16 변조되어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기록 디스크(2)상에 기록된 정보 신호를 독출하고, 그 결과의 독출신호를 A/D 컨버터(3)에 공급한다. 상기 A/D 컨버터(3)는 채널 클록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이와 같은 독출 신호를 샘플링하여 이 때 얻어진 일련의 샘플치를 포함하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를 파형 등화기(5)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클록은 8/16 변조된 정보 신호의 1T의 기간을 갖는다.
파형 등화기(5)의 진폭제한회로(51)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를 도2a∼도2c에 나타낸 진폭제한치(Th,-Th)로 제한함으로써 얻어진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를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 공급한다. 즉, 상기 독출 샘플치 시퀀스(R)의 각 독출 샘플치들이 진폭 제한치(-Th∼Th)의 범위내에 있으면, 상기 진폭 제한회로(51)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로서, 독출 샘플치 시퀀스(R) 자체를 출력한다. 또한, 독출 샘플치 시퀀스(R)의 각 샘플치가 진폭 제한치(Th)보다 크면, 진폭 제한회로(51)는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로서 상기 진폭 제한치(Th) 자체를 출력한다. 한편, 독출 샘플치 시퀀스(R)의 각 샘플치가 진폭제한치(-Th)보다 작으면, 진폭 제한회로(51)는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로서 상기 진폭 제한치(-Th) 자체를 출력한다. 여기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진폭 제한치(Th,-Th)는, 진폭 제한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8/16 변조에서 최단 레벨 반전간격(이하, 런 렝스(run length)라 함)인 3T에 대응하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만을 허용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고주파 증가형 필터(52)는 단위 지연소자(FD1-FD4), 계수 체배기(M1, M2,M3,M4), 및 상기 계수 체배기들의 각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AD)를 포함한다. 단위 지연소자(FD1-FD4)는 각 입력치를 상기 채널 클록의 1클록 주기만큼 지연시키고 난 후 그 값들을 출력한다. 상기 계수 체배기(M1,M2,M3,M4)는 각각 [-k, k, k, -k]의 체배 계수를 갖는다. 즉, 상기 고주파 증가형 필터(52)는 [-k, k, 0, k, -k]의 탭 계수를 갖는 횡단선 필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고주파 증가형 필터(52)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의 고주파 성분의 레벨만이 증가하는 고주파가 증가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발생시켜, 상기 고주파가 증가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가산기(54)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가산기(54)는 이와 같이 고주파가 증가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와 지연소자(53)에 의해 채널 클록의 2기간만큼 지연된 후 공급되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를 가산한다. 그 후, 상기 가산기(54)는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로서 가산에 의해 얻어진 결과치를 출력한다.
다음, 상기 파형 등화기(5)의 동작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기록된 정보를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 시스템은 로우패스필터 특성을 갖는다. 이는 8/16 변조된 신호의 최고 주파수를 갖는 상기 런 렝스(3T)에 대응하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의 각 독출 샘플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최단 런 렝스(3T)에 대응하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S/N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고주파 증가형 필터(52)가 상기 런 렝스(3T)에 대응하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만의 각 독출 샘플치를 증가시킨다. 여기서, 도 2a∼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 의해 고주파가 증가된 후에도, 제로 크로스(D0)의 시간에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의 값이 제로 레벨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고주파 증가형 필터(52)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k, k, 0, k, -k]의 탭 계수를 갖는 횡단선 필터이기 때문에, 예컨대,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의 값은, 도 2a∼도 2c의 각 D-2및 D-1시간에서의 독출 샘플치가 동일한 값을 갖지 않는다면 제로 크로스(D0)의 시간에 변화할 것이다. 특히, 고주파 증가를 강화하기 위해 상기 탭 계수(k)를 증가시키면 변화가 증가하게 되고, 내부 심볼 간섭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진폭 제한회로(51)는, 런 렝스(4T) 이상이고 진폭이 도2a∼도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폭 제한치(Th,-Th)로 제한되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를 상기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 공급한다.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폭 제한회로(51)에 의한 진폭 제한에 의해, 독출 신호의 런 렝스가 3T이면,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가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로서,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 그대로 공급된다. 한편, 4T 이상의 런 렝스에 대응하는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는 제로 크로스(D0)의 시간 근처에서 -Th∼Th의 진폭 제한치의 범위 내에 있지만, 다른 시점에서는 이 범위를 초과한다. 따라서, 독출 신호의 런 렝스가 4T 이상인 경우에는,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로 크로스(D0)의 시간 이외의 시점에서, 그 값이 진폭 제한치(-Th또는 Th)에 고정된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가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런 렝스가 4T 이상인 경우, 도 2a∼도 2c의 시점(D-2,D-1)(D1,D2)에서의 값들이 서로 같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탭 계수(k)가 고주파 증가를 강화시킬만큼 커지게 되면, 제로 크로스(D0)의 시간에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내부 심볼 간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록 디스크(2)에 저장된 기록 신호의 변조 구성이 예컨대, 최단 런 렝스가 2T인 (1,7) 변조인 경우에는, 도1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5)의 구성이 내부 심볼 간섭의 증가를 방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도3a∼도3c는 최단 런 렝스가 2T인 변조 구성에 의해 정보 신호를 저장한 기록 디스크(2)로부터 독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의 파형예를 나타낸다.
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런 렝스가 3T 이상이면, 진폭 제한회로(51)에 의해 제공된 진폭 제한효과에 의해 진폭이 변조된 독출 샘플치가 D-2, D-1, D1, 및 D2의 시점에서 거의 같아진다.
그러나, 런 렝스가 2T이면, 즉, 최단 레벨 반전간격이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주기의 2배 이하로 되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가 시점(D-2,D-1)(D1,D2)에서 동일한 값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탭 계수(k)가 고주파 증가를 강화시킬 만큼 커지게 되면, 제로 크로스(D0)의 시간에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의 변화가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내부 심볼 간섭이 증가하게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를 포함하는 기록 정보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픽업(1)은, 최단 런 렝스가 2T이고 예컨대 (1,7) 변조 구성에 의해 기록 디스크(2)상에 기록된 정보 신호를 독출함으로써 얻어진 독출 신호를 A/D 컨버터(3)에 공급한다. 상기 A/D 컨버터(3)는 채널 클록 신호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이와 같은 독출 신호들을 샘플링하여, 결과로 나오는 일련의 샘플치를 포함하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를 파형 등화기(6)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클록 신호는 (1,7) 변조된 정보 신호의 1T의 주기를 갖는 클록 신호이다. 즉, 런 렝스(2T)는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기간의 2배이다.
파형 등화기(6)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R)에 고주파 증가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를 정보 복조회로(7)와 PLL(Phase Locked Loop)회로(8)에 각각 공급한다. 정보 복조회로(7)는 (1,7) 복조에 의해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를 복조하여 원래 정보 신호를 저장하고, 재생된 정보 신호로서 상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PLL회로(8)는, 상기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에서 발생된 위상 오차가 보정된 채널 클록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A/D 컨버터(3)에 상기 채널 클록 신호를 공급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6)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보간필터(61)는 상기 A/D 컨버터(3)에 의해 공급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에 보간 동작을 행한다. 상기 보간 동작에 의해, 상기 보간 필터(61)는 상기 채널 클록신호의 각 클록 타이밍 사이의 중간 타이밍에서 상기 기록 디스크(2)로부터 독출된 독출 신호를 샘플링함으로써 얻어질 일련의 샘플치들을 결정한다. 그 후, 보간필터(61)는 상기 독출 샘플치 시퀀스(R)에서 결정된 일련의 샘플치들을 포함함으로써 보간된 상기 보간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를 얻고난 후, 상기 보간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를 진폭 제한회로(51)에 공급한다.
보간 필터(61)에서, 보간 산출 프로세스는:
(n + 0.5)T
의 기간이 소요되고, 여기서 n은 짝수이고 T는 채널 클록의 기간이다.
따라서, 보간 필터(61)에 의한 보간 동작 프로세스가 0.5T의 지연시간과 관련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다음을 설명한다.
진폭 제한회로(51)는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의 진폭을 진폭 제한치(Th,-Th)로 제한함으로써 얻어진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를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 공급한다. 즉,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의 각 독출 샘플치들이 상기 진폭 제한치(-Th∼Th)의 범위내에 있으면, 진폭 제한회로(51)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로서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신호(RR) 자체를 출력한다. 또한,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의 각 독출 샘플치들이 진폭 제한치(Th)보다 크면, 진폭 제한치(Th)가 그대로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로서 출력된다. 반면,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의 각 독출 샘플치들이 진폭 제한치(-Th)보다 작으면, 진폭 제한치(-Th)가 그대로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로서 출력된다. 상기 구성에서, 각각의 진폭 제한치(Th,-Th)는 최단 런 렝스(2T)에 대응하는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만이 진폭 제한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즉, 진폭 제한치(Th)는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의 런 렝스(2T)에 대응하는 영역의 최대치보다 크다. 한편, 진폭 제한치(-Th)는 런 렝스(2T)에 대응하는 영역의 최소치보다 작다.
고주파 증가형 필터(52')는 단위 지연소자(FD1-FD3), 계수 체배기 (M1,M2,M3,M4), 및 상기 각 계수 체배기들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AD)를 포함한다. 각 단위 지연소자(FD1-FD3)는 입력된 값을 상기 채널 클록의 1클록 기간만큼 지연시킨 후, 그 값을 출력한다. 계수 체배기(M1,M2,M3,M4)는 각각 [-k, k, k, -k]의 체배 계수를 갖는다. 즉, 고주파수 증가형 필터(52')는 [-k, k, k, -k]의 탭 계수를 갖는 횡단선 필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주파 증가형 필터(52')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의 런 렝스(2T)에 대응하는 샘플치 시퀀스의 레벨만이 증가하는 고주파가 증가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그 후, 고주파 증가형 필터(52')는 상기 고주파가 증가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가산기(54)에 공급한다. 상기 가산기(54)는 고주파가 증가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와 지연소자(53)에 의해 채널 클록의 2기간만큼 지연된 후에 공급된 상기 독출 샘플치 시퀀스(R)를 가산한다. 그 후, 가산기(54)는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로서 가산의 결과치를 출력한다.
다음, 상기 파형 등화기(6)의 동작을 도6a∼도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6a에 나타낸 백색의 점들은 보간 필터(61)에 의해 얻어진 독출 샘플치 시퀀스(R)에서의 각 독출 샘플들을 나타내는 반면 흑색의 점들은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에서의 보간된 독출 샘플들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6에서, 런 렝스가 2T-4T인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점들은 각각, 독출 샘플치 시퀀스(R)의 독출 샘플 및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의 보간된 독출 샘플들을 나타낸다.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폭 제한회로(51)의 각 진폭 제한치(Th,-Th)는 최단 런 렝스(2T)에 대응하는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만의 진폭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런 렝스가 2T인 경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가 진폭 변조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으로서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 그대로 공급된다. 한편, 런 렝스가 3T 이상인 경우에는, 샘플치가 제로 크로스(D0) 시간에 근접하는 한,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가 진폭 제한치(-Th∼Th)의 범위 내에 있는 반면 다른 시간의 점에서는 이 범위를 초과한다. 따라서, 런 렝스가 3T 이상인 경우에는, 도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로 크로스(D0) 시점 이외의 점에서는 진폭 제한치(-Th또는 Th)에 고정된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가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고주파 증가형 필터(52')는, 도6b 및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중 시간 D-1.5, D-0.5, D0.5및 D1.5의 점들에서의 각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치에 근거하여, D0의 시간에서의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를 결정한다.
즉, D0의 시간에서의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가 Z0라고 가정하면,
Z0=(-k)ㆍY-1.5+ kㆍY-0.5+ kㆍY0.5+ (-k)ㆍY1.5
이 때,
Y-1.5: RLIM에서 시간 D-1.5의 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Y-0.5: RLIM에서 시간 D-0.5의 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Y0.5: RLIM에서 시간 D0.5의 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및
Y1.5: RLIM에서 시간 D1.5의 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이다.
도6b 및 도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런 렝스(2T)에 대응하는 시간(D-1.5,D-0.5) (D0.5,D1.5)의 각 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는 서로 거의 같게 된다. 또한, 런 렝스가 3T 이상인 경우에, 상기 값들이 진폭 제한치(-Th)(Th)에 고정되기 때문에, 시간(D-1.5,D-0.5)(D0.5,D1.5)의 각 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는 서로 같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증가를 강화시키기 위해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의 탭 계수(k)의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제로 크로스(D0) 시간에서의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가 고정된 값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심볼 간섭의 증가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5에 도시한 파형 등화기에서, 우선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는 채널 클록 신호의 중간 타이밍에서의 값들로 독출 샘플치 시퀀스(R)를 보간함으로써 얻어진다. 그 후,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를 얻기 위해,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에 진폭 제어 프로세스가 행해진다. 그 후,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서, 시간의 연속적인 네 점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들은, 계수 체배기(M1∼M4)에서 각각 가중된 후, 함께 가산된다. 이 기간에, 4개의 시점의 중간점들에 대응하는 독출 샘플치들은 독출 샘플치 시퀀스(R)를 채널 클록 신호의 2클록 기간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는 이 독출 샘플치에 상기 가중된 가산치를 가산함으로써 얻어진다.
그러나, 상기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서 가중되어 가산될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의 수가 4로 한정되어 있어, 그 수가 2 이상의 짝수인 한, 원하는 필터 특성에 따라 그 수가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가 N이라고 가정하면, N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의 중간점들에 대응하는 독출 샘플치들은, 지연소자(53)에 의해 상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를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기간의 (N/2)배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6)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이중 샘플링 회로(62)는 A/D 컨버터(3)로부터 공급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에 2중 샘플링 프로세스를 행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2중 샘플링 회로(62)는 상기 채널 클록 신호의 2배의 클록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에서, 기록 디스크(2)로부터 독출된 독출 신호들을 샘플링하는 시간에 얻어질 일련의 샘플치들을 결정한다. 그 후, 이중 샘플링 회로(62)는 이와 같은 샘플치 시퀀스를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로서 진폭 제한 회로(51)에 공급한다.
진폭 제한회로(51)는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를 진폭제한치(Th,-Th)로 제한함으로써 얻어진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 고주파 증가형 필터(63)에 공급한다. 즉,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의 각 독출 샘플치가 상기 진폭 제한치(Th)보다 작고 진폭 제한치(-Th)보다 큰 경우, 진폭 제한회로(51)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로서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 자체를 출력한다. 또한,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의 각 독출 샘플치들이 상기 진폭 제한치(Th)보다 크면, 진폭 제한회로(51)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로서 진폭 제한치(Th) 자체를 출력한다. 한편,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의 각 독출 샘플치들이 상기 진폭 제한치(-Th)보다 작으면, 진폭 제한회로(51)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로서 진폭 제한치(-Th) 자체를 출력한다. 각각의 상기 진폭 제한치(Th,-Th)는 최단 런 렝스(2T)에 대응하는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만이 진폭 제한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고주파 증가형 필터(6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연소자(FFD1-FFD3), 계수 체배기(M1,M2,M3,M4), 및 상기 계수 체배기들의 각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AD)를 포함한다. 각 지연소자(FFD1-FFD3)는 상기 채널 클록 신호의 2배의 주파수의 클록 타이밍에서의 시퀀스에 있는 입력된 값들을 취하여 그 값들을 상기 채널 클록 신호의 1클록 기간만큼 지연시킨 후 그 값들을 출력한다. 계수 체배기(M1,M2,M3,M4)는 각각 [-k,k,k,-k]의 체배 계수를 갖는다. 즉, 고주파 증가형 필터(63)는 [-k,0,k,0,k,0,-k]의 탭 계수를 갖는 횡단선 필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주파 증가형 필터(63)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의 런 렝스(2T)에 대응하는 샘플치들의 레벨만이 증가하는 고주파 증가형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그 후, 고주파 증가형 필터(63)는 고주파 증가형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가산기(54)에 공급한다. 가산기(54)는 고주파 증가형 독출 샘플치 시퀀스와, 지연소자(64)에 의해 채널 클록의 3기간만큼 지연된 후에 공급되는 상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를 가산한다. 그 후, 가산기(54)는 가산의 결과치를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로서 출력한다.
다음, 도7에 나타낸 상기 파형 등화기(6)의 동작을 도8a∼도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8a에 나타낸 백색의 점들은 각각의 런 렝스(2T∼4T)에서 이중 샘플링 회로로부터 출력된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의 각 샘플치들을 나타낸다.
도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폭 제한회로(51)의 각 진폭 제한치(Th,-Th)는 최단 런 렝스(2T)에 대응하는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만의 진폭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도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런 렝스가 2T인 경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가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으로서 고주파 증가형 필터(63)에 그대로 공급된다. 한편, 런 렝스가 3T 이상인 경우에는,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R)는 제로 크로스(D0) 시간 근처에서는 진폭 제한치(-Th∼Th)의 범위 내에 있다. 반면, 다른 시간의 점에서는 이 범위를 초과한다. 따라서, 런 렝스가 3T 이상인 경우에는, 도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로 크로스(D0) 이외의 시점에서 진폭 제한치(-Th)(Th)에 고정된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가 고주파 증가형 필터(63)에 공급된다.
고주파 증가형 필터(63)는, 도8b 및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중 시간 D-1.5, D-0.5, D0.5및 D1.5의 점들에서의 각 진폭 변조된 독출 신호치에 근거하여, D0의 시간에서의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를 결정한다.
즉, D0의 시간에서의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가 Z0라고 가정하면,
Z0=(-k)ㆍY-1.5+ kㆍY-0.5+ kㆍY0.5+ (-k)ㆍY1.5
이 때,
Y-1.5: RLIM에서 시간 D-1.5의 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Y-0.5: RLIM에서 시간 D-0.5의 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Y0.5: RLIM에서 시간 D0.5의 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및
Y1.5: RLIM에서 시간 D1.5의 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이다.
상기 구성에서, 도8b 및 도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런 렝스(2T)에 대응하는 시간(D-1.5,D-0.5)(D0.5,D1.5)의 각 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들는 서로 거의 같게 된다. 또한, 3T 이상의 런 렝스에 대응하는 각 시점(D-1.5,D-0.5)(D0.5,D1.5)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는, 상기 값들이 진폭 제한치(-Th)(Th)에 고정되기 때문에, 서로 같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증가를 강화시키기 위해 고주파 증가형 필터(63)의 탭 계수(k)의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제로 크로스(D0)의 시간에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가 고정된 값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심볼 간섭의 증가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도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이중 샘플링 회로(62)는 A/D 컨버터(3)로부터 공급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에 2중 샘플링 프로세스를 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중 샘플링 회로(62)를 사용하는 대신, A/D 컨버터(3)의 단계에서 상기 채널 클록 신호의 2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에서 독출 신호를 샘플링할 수도 있다.
또한, 도5 또는 7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는 고주파 증가형 필터(52')(63)의 중앙 탭에 대응하는 샘플치 시퀀스를 지연소자(53)(64)를 통해 가산기(54)에 공급한다. 즉, 고주파 증가형 필터(52')(63)의 중앙 탭에 대응하는 샘플치 시퀀스만이, 상기 진폭 제한회로(51)에 의해 그 진폭을 제한하지 않고,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에 반영된다. 그러나, 상기 진폭 제한회로(51)에 의해 중앙 탭에 대응하는 샘플치 시퀀스가 제한될 수 있다.
도9 및 10은 상기 점들의 관점에서 개발된 파형 등화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9는 도5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반면, 도10은 도7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7 및 10에 나타낸 고주파 증가형 필터(63)에서, 필터의 상기 중앙 탭에 대응하는 샘플치 시퀀스를 얻을 수 있다.
도11은 이와 같은 점의 관점에서 개발된, 도7 및 10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에 나타낸 고주파 증가형 필터(63')는 도7 및 10에 나타낸 고주파 증가형 필터(63)의 지연소자(FFD2)를 지연소자(FFD2A,FFD2B)의 두 단계로 분할하여 지연소자(FFD2A)의 출력을 가산기(AD)에 공급한다.
지연소자(FFD2A,FFD2B)는 상기 채널 클록 신호 주파수의 2배인 주파수의 클록 타이밍에서 입력된 값을 취하여 그 값을 다음 단에 공급하는 지연소자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중앙 탭에 대응하는 샘플치 시퀀스가 지연소자(FFD2A)에서 취해져 직접 가산기(AD)에 공급된다. 따라서, 도11에 나타낸 구성에 의하면, 도7 및 10에 나타낸 지연소자(64) 및 가산기(54)를 사용하지 않고도, 중앙 탭에 대응하는 샘플치 시퀀스는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에 반영될 수 있다.
도5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에서,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의 중앙 탭에 대응하는 샘플된 값의 시퀀스는 단지 보간 필터(61)에 의한 보간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샘플된 값들로부터 제외된다. 그러나, 보간 필터(61)에 의한 보간 프로세스가 단지 중앙 탭에 대응하는 샘플치 시퀀스에 영향을 주는 장치를 고안할 수 있다.
도12는 이 관점에서 고안된 파형 등화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일 유닛으로서, 보간 필터(61), 진폭 제한회로(51), 고주파 증가형 필터(52') 및 가산기(54)의 기능은 도5에 나타낸 상기 소자들의 기능과 동일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12에서, 보간 필터(61)는 상기 A/D 컨버터(3)로부터 공급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에 상기 보간 동작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그 결과의 보간된 샘플치 시퀀스를 지연소자(53')에 공급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보간 필터(61)는 0.5 시간의 기간을 상기 채널 클록의 간격으로 사용한다. 지연소자(53')는 보간 회로(61)로부터 공급된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채널 클록의 1기간만큼 지연시켜, 그 지연된 시퀀스를 가산기(54)에 공급한다. 한편, 진폭 제한회로(51)는 A/D 컨버터(3)로부터 공급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진폭을 진폭 제한치(Th,-Th)의 범위내에 제한함으로써 얻어진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를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 공급한다. 고주파 증가형 필터(52')는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의 런 렝스(2T)에 대응하는 샘플치 시퀀스에서만 레벨이 증가되는 고주파 증가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발생시켜 이를 가산기(54)에 공급한다. 가산기(54)는 고주파 증가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와, 지연소자(53')에 의해 채널 클록의 1기간의 지연이 공급된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가산하여 그 가산 결과를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로서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12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에서,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를 얻기 위해, 우선 진폭 제어 프로세스를 독출 샘플치 시퀀스(R)에 실행한다. 그 후,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에서, 연속적인 네 시점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들이, 계수 체배기(M1,M2,M3,M4)에서 각각 가중된 후, 함께 가산된다. 이 기간에, 보간된 독출 샘플치들은 독출 샘플치 시퀀스(R)를 채널 클록 신호의 중간 타이밍의 값들로 보간함으로써 얻어진다. 그 후, 상기 네 시점의 중간점에 대응하는 독출 샘플치들은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채널 클록 신호의 1클록 기간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H)는 상기 가중된 가산치에 상기 독출 샘플치를 가산함으로써 얻어진다.
도12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에 의해,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의 수가 N인 경우, N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의 중간점들에 대응하는 독출 샘플치들은 지연소자(53')에 의해 상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기간의 (N/2-1)배만큼 지연시킴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도12에 나타낸 파형 등화기에서,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의 중앙 탭에 대응하는 샘플링된 값의 시퀀스, 즉, 4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들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샘플링된 값의 시퀀스만이 진폭 제한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러나, 도12의 구성 대신에, 고주파 증가형 필터(52')의 중간 탭에 대응하는 샘플치 시퀀스에도 상기 진폭 제한회로(51)에 의한 진폭이 제한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가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된 정보의 재생을 행하는 정보 재생 장치에 적용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정보 재생 장치에만 한정되어 적용되지 않는다. 즉, 전송 시스템이 고주파 부분이 감소되는 특성을 갖는다면,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코드의 간섭을 증가시키지 않고 고주파 강화에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증가형 필터에서는, 네 시점에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RLIM)의 4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들을 계수 체배기(M1∼M4)에 의해 각각 가중된 후에 가산한다. 그러나, 가중화 및 가산 프로세스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들을 충분히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스 회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회로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6)를 구성하는 각 기능 모듈 즉, 진폭 제한회로(51), 고주파 증가형 필터(52'), 가산기(54), 지연소자(53,64), 보간 필터(61), 및 2중 샘플링 회로(62)의 구현에 사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로서, 연속적인 두 시점에서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RLIM)의 적어도 두 신호 레벨의 가중치의 가산치와 두 시점의 중간 타이밍에서 얻어진 독출 신호 사이의 결과 합산을, 등화 보정된 독출 신호(RH)로서 출력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는 제 1 및 제 2 시점에서 독출 신호의 진폭을 제한함으로써 얻어진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의 신호 레벨들이 가중된 후에 가산되고, 그 가산 결과와 제 1 및 제 2 시점의 중간 타이밍에서의 신호 레벨의 가산치가 등화 보정된 독출 신호로서 출력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6)를 구성하는 각 기능 모듈(진폭 제한회로(51), 고주파 증가형 필터(52'), 이중 샘플링 회로(62))은 아날로그 신호 프로세스 회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가 기록 매체로부터 기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적용되는 경우가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파형 등화기는 정보 재생장치에 한정되어 적용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등화기는 고주파에서 감쇠와 같은 특성을 갖는 전송 시스템에서도 실현될 수 있어, 내부 심볼 간섭의 증가 없이 고주파 증가를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형 등화기에 의하면, 독출 신호의 최단 런 렝스가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주기의 2배 이하인 경우에도, 내부 심볼 간섭의 증가를 발생시키지 않고 고주파 강화를 행할 수 있다.

Claims (26)

  1. 등화(等化) 보정된 독출 신호를 생성하도록 기록 매체의 독출 신호에 파형 등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파형 등화기로서:
    상기 독출 신호의 진폭을 소정 진폭 제한치로 제한하여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를 생성하는 진폭 제한 수단;
    제 1 시점에서의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의 신호 레벨의 가중치 및 상기 제 1 시점 다음의 제 2 시점에서의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의 신호 레벨의 가중치를 합하여 필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시점 사이의 중간 시점에서의 상기 독출 신호 및 상기 필터의 필터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을 합하여 상기 등화 보정된 독출 신호로서 합해진 값을 출력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는 파형 등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제한치는 최단 레벨 반전 간격을 갖는 상기 독출 신호 부분에서의 상기 독출 신호의 신호 레벨의 최대치보다 큰 파형 등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의 고주파 성분의 신호 레벨을 상승시키는 고주파 증가형 필터인 파형 등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성분은 최단 레벨 반전 간격을 갖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신호의 일부인 파형 등화기.
  5.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타이밍들에서 기록 매체의 독출 신호를 샘플링함에 의해 얻어진 독출 샘플치 시퀀스에 파형 등화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파형 등화기로서:
    상기 독출 신호가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타이밍들 사이의 중간 타이밍들에서 샘플링될 때 얻어지는 상기 독출 샘플치 시퀀스에 따라 샘플치 시퀀스를 얻어서,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로서 상기 샘플치 시퀀스를 출력하는 보간 수단;
    상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진폭을 소정 진폭 제한치로 제한하여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도록 하는 진폭 제한 수단;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들의 가중치들을 합하여, 필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
    상기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지연시켜, 지연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도록 하는 지연 수단; 및
    상기 지연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 및 필터 출력 신호를 가산하여, 상기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로서 가산치를 출력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는 파형 등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제한치는 최단 레벨 반전 간격을 갖는 상기 독출 신호 부분에서의 상기 독출 신호의 신호 레벨의 최대치보다 큰 파형 등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레벨 반전 간격은 상기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간격의 2배인 파형 등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 수단은 상기 채널 클록 신호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의 클록 타이밍에서 상기 독출 신호를 샘플링함에 의해 상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는 이중 샘플링 회로인 파형 등화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고주파 성분의 값을 증가시키는 고주파 증가형 필터인 파형 등화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성분은 최단 레벨 반전 간격을 갖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일부인 파형 등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k, k, k, -k]의 탭(tab) 계수를 갖는 횡단선(transversal) 필터인 파형 등화기.
  12.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타이밍들에서 기록 매체의 독출 신호를 샘플링함에 의해 얻어지는 독출 샘플치 시퀀스에 파형 등화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생성하는 파형 등화기로서 :
    상기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진폭을 소정 진폭 제한치로 제한하여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도록 하는 진폭 제한 수단;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들의 가중치들을 합하여, 필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
    상기 독출 신호가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타이밍들 사이의 중간 타이밍들에서 샘플링될 때 얻어지는 상기 독출 샘플치 시퀀스에 따라 샘플치 시퀀스를 얻어서,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로서 상기 샘플치 시퀀스를 출력하는 보간 수단;
    상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지연시켜, 지연되고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도록 하는 지연 수단; 및
    상기 지연되고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 및 필터 출력 신호를 가산하여, 상기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로서 가산치를 출력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는 파형 등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제한치는 최단 레벨 반전 간격을 갖는 상기 독출 신호 부분에서의 상기 독출 신호의 신호 레벨의 최대치보다 큰 파형 등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레벨 반전 간격은 상기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간격의 2배인 파형 등화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 수단은 상기 채널 클록 신호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의 클록 타이밍에서 상기 독출 신호를 샘플링함에 의해 상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는 이중 샘플링 회로인 파형 등화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고주파 성분의 값을 증가시키는 고주파 증가형 필터인 파형 등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성분은 최단 레벨 반전 간격을 갖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일부인 파형 등화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k, k, k, -k]의 탭 계수를 갖는 횡단선 필터인 파형 등화기.
  19.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 신호를 독출함에 의해 얻어지는 독출 신호에 파형 등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파형 등화기로서 :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타이밍들에서 상기 독출 신호를 샘플링함에 의해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는 A/D 컨버터;
    상기 독출 신호가 클록 타이밍들 사이의 중간 타이밍들에서 샘플링될 때 얻어지는 상기 독출 샘플치 시퀀스에 따라 샘플치 시퀀스를 얻어서,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로서 상기 샘플치 시퀀스를 출력하는 보간 수단;
    상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진폭을 소정 진폭 제한치로 제한하여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도록 하는 진폭 제한 수단; 및
    상기 진폭이 제한된 샘플치 시퀀스에 필터링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파형 등화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제한치는 최단 레벨 반전 간격을 갖는 상기 독출 신호 부분에서의 상기 독출 신호의 신호 레벨의 최대치보다 큰 파형 등화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레벨 반전 간격은 상기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간격의 2배인 파형 등화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 수단은 상기 채널 클록 신호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의 클록 타이밍에서 상기 독출 신호를 샘플링함에 의해 상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는 이중 샘플링 회로인 파형 등화기.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고주파 성분의 값을 증가시키는 고주파 증가형 필터인 파형 등화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성분은 최단 레벨 반전 간격을 갖는 상기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일부인 파형 등화기.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k, k, k, -k]의 탭 계수를 갖는 횡단선 필터인 파형 등화기.
  26.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정보 신호를 독출함에 의해 얻어진 독출 신호에 파형 등화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등화 보정된 독출 신호를 얻는 파형 등화기로서 :
    채널 클록 신호의 클록 타이밍들에서 상기 독출 신호를 샘플링함에 의해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는 A/D 컨버터;
    상기 독출 신호가 클록 타이밍들 사이의 중간 타이밍들에서 샘플링될 때 얻어지는 샘플치 시퀀스로써 상기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보간함에 의해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는 보간 수단;
    상기 보간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진폭을 소정 진폭 제한치로 제한하여 진폭이 제한된 독출 샘플치 시퀀스를 얻도록 하는 진폭 제한 수단;
    상기 진폭이 제한된 샘플치 시퀀스에 필터링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필터; 및
    상기 등화 보정된 독출 샘플치로서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 프로세스를 실행함에 의해 얻어진 신호와 상기 독출 샘플치 시퀀스의 가산치를 얻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파형 등화기.
KR10-2000-0065369A 1999-11-04 2000-11-04 파형 등화기 KR100386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14002 1999-11-04
JP31400299 1999-11-04
JP2000-277885 2000-09-13
JP2000277885A JP3589405B2 (ja) 1999-11-04 2000-09-13 波形等化器および記録情報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452A true KR20010051452A (ko) 2001-06-25
KR100386544B1 KR100386544B1 (ko) 2003-06-02

Family

ID=2656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369A KR100386544B1 (ko) 1999-11-04 2000-11-04 파형 등화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816547B1 (ko)
EP (1) EP1098312B1 (ko)
JP (1) JP3589405B2 (ko)
KR (1) KR100386544B1 (ko)
CN (2) CN1560852B (ko)
DE (1) DE60037785T2 (ko)
TW (1) TW4792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2406B2 (ja) * 2004-03-17 2008-10-2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再生装置
US7532667B2 (en) * 2004-11-05 2009-05-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ilot-directed and pilot/data-directed equalizers
BRPI0714577A2 (pt) 2006-12-26 2013-05-14 Panasonic Corp meio àtico de gravaÇço, mÉtodo de fabricaÇço de meio àtico de gravaÇço, mÉtodo de processamento de sinal de reproduÇço e mÉtodo de avaliaÇço
JP4924276B2 (ja) * 2007-08-06 2012-04-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分散等化方法、分散等化装置および光トランシーバ
US7869496B1 (en) 2008-02-04 2011-01-11 Mediatek Inc. ISI cancellation equalizer
TWI390506B (zh) * 2009-05-20 2013-03-2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資料復原之校正電路與方法
CN112805782B (zh) * 2018-11-15 2022-10-2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光盘装置
CN114422714A (zh) * 2020-10-28 2022-04-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闪频光源与无闪频光源之间的切换方法及切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314B2 (ja) 1991-01-30 2000-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適応型フィルタ
JP2944895B2 (ja) * 1994-09-02 1999-09-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3445398B2 (ja) * 1995-02-13 2003-09-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ES2113301B1 (es) 1995-10-27 1999-01-01 Alcatel Espacio Sa Dispositivo de interpolacion de señales.
JPH1031866A (ja) 1996-07-18 1998-02-03 Sharp Corp データ検出回路
KR100230545B1 (ko) * 1996-09-10 1999-11-15 구자홍 광디스크 재생기용 디지탈 비트 재생장치
KR100253804B1 (ko) * 1997-04-04 2000-04-15 구자홍 광 재생신호의 등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244767B1 (ko) * 1997-06-25 2000-02-15 전주범 디지탈 자기 기록/재생 시스템의 선택적 동기/비동기 부분 응답 채널 데이터 검출 장치
JP3459563B2 (ja) 1998-03-06 2003-10-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波形等化器および記録情報再生装置
US6418101B1 (en) * 1999-09-03 2002-07-09 Zen Research (Ireland), Ltd. Digital read channel for optical disk reader
US6665250B1 (en) * 1999-10-29 2003-12-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playback and playback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89405B2 (ja) 2004-11-17
CN1560852C (ko)
CN1146905C (zh) 2004-04-21
EP1098312A3 (en) 2004-04-21
US6816547B1 (en) 2004-11-09
JP2001195832A (ja) 2001-07-19
DE60037785T2 (de) 2009-01-22
EP1098312B1 (en) 2008-01-16
CN1296262A (zh) 2001-05-23
DE60037785D1 (de) 2008-03-06
EP1098312A2 (en) 2001-05-09
TW479229B (en) 2002-03-11
US20040213340A1 (en) 2004-10-28
US7269214B2 (en) 2007-09-11
CN1560852A (zh) 2005-01-05
KR100386544B1 (ko) 2003-06-02
CN1560852B (zh)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0811B1 (en) Waveform equalizer for use in a recorde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6591283B1 (en) Efficient interpolator for high speed timing recovery
US6834035B1 (en) Digital reproduced signal processing device
KR100537239B1 (ko)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US6614841B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20020006683A (ko) 디지털 기록 데이터 재생 장치
US5661709A (en) Digital signal detection circuit
US5455813A (en) Digital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JP4206886B2 (ja) Itrデータ再生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補間フィルタ
KR100386544B1 (ko) 파형 등화기
EP1174877B1 (en) Reproducing apparatus
US6904086B2 (en) Adaptive equalizer circuit
JP3648308B2 (ja) 等化器および磁気記録信号再生装置
US6819724B2 (en) Viterbi decoder and Viterbi decoding method
JP3751015B2 (ja) 波形等化器及び記録情報再生装置
KR100430184B1 (ko) 재생 신호 처리 장치
JP4249424B2 (ja) 波形等化器および記録情報再生装置
US7215623B2 (en) Reproduct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100936031B1 (ko) 비선형 변환기를 사용한 이진 신호 검출 장치
JP3638801B2 (ja) デ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2792082B2 (ja) ディスク記録信号の復調装置
JP2764945B2 (ja) ディジタル復調装置
JP3955560B2 (ja) 再生信号処理装置
JP2004013940A (ja) 情報再生装置
JP2002304817A (ja) 振幅制限を狭くした振幅制限型の波形等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