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308A -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308A
KR20010051308A KR1020000063716A KR20000063716A KR20010051308A KR 20010051308 A KR20010051308 A KR 20010051308A KR 1020000063716 A KR1020000063716 A KR 1020000063716A KR 20000063716 A KR20000063716 A KR 20000063716A KR 20010051308 A KR20010051308 A KR 20010051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hannel
channel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4405B1 (ko
Inventor
기타데다카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역확산부(203)는 RF부(202)로부터의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확산 부호를 이용한 역확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추출한다. 전파 손실 측정부(propagation loss detector)(206)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과, 이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을 이용하여, 전파 손실을 각 기지국 장치마다 측정한다. 전파 손실 비교부(207)는 모든 기지국 장치 중에서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를 검출한다. 송신 데이터 제어부(208)는 검출된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도록, 데이터 조립부에서의 송신 데이터의 타이밍을 제어함과 동시에, 확산부(211)에서의 확산 부호를 제어한다.

Description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OF TDMA-TDD MODE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시분할 다원 접속)-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행하는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타임 슬롯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user)의 신호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이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등에 의해 다중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행하는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전화나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다원 액세스 방식 기술로서, TDMA 방식, CDMA 방식이나 OFDM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TDMA 방식이란 시간을 분할하여 각 사용자가 통신을 행하는 방식이다. CDMA 방식이란 동일 주파수 및 동일시간을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직교하는 확산 부호에 의해 각 사용자의 신호를 분리하여 통신을 행하는 방식이다.
또한, 포워드 링크(forward link)(기지국 장치가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회선)와 리버스 링크(reverse link)(이동국 장치가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회선)의 다중 방식으로서, TDD 방식과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있다. TDD 방식이란 동일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포워드 링크와 리버스 링크를 시간(타임 슬롯)에 의해 분할하여 다중하는 방식이다. FDD 방식이란 동일시간에 있어서 포워드 링크와 리버스 링크를 상이한 주파수에 의해 분할하여 다중하는 방식이다.
특히, TDD 방식에 있어서는, 송수신 동일 주파수, 즉, 포워드 링크와 리버스 링크에는 동일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와 이동국 장치에서의 송신파와 수신파의 페이딩 변동의 주파수 상관성은 1로 된다. 또한, 포워드 링크와 리버스 링크의 전환 주기가 충분히 짧은 경우에는, 포워드 링크와 리버스 링크의 사이에서 페이딩 변동 등의 전파로 상태의 시간 상관성이 높아진다.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핸드오버가 행해진다. 핸드오버란, 도 1을 참조하면, 이동국 장치(11)가, 예컨대 기지국 장치(A)(12)의 죤(zone)으로부터 기지국 장치(B)(13)의 죤에 이동할 때에, 이동국 장치(11)가 사용하는 통신 회선(개별 통신 채널)을, 기지국 장치(A)(12)가 취급하는 통신 회선으로부터 기지국 장치(B)(13)가 취급하는 통신 회선으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핸드오버를 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소프트웨어 핸드오버와 하드웨어 핸드오버의 2종류가 있다.
소프트웨어 핸드오버는, 주로 CDMA 방식을 채용한 통신에 적용되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통신 회선의 전환을 실행하는 방법이다. 즉, 핸드오버시에는, 이동국 장치(11)에 대하여, 기지국 장치(A)(12)가 취급하는 통신 회선 및 기지국 장치(B)(13)가 취급하는 통신 회선을 동시에 사용하는 상태를 유지시키고, 이 후, 이동국 장치(11)가 사용하는 통신 회선을, 기지국 장치(B)(13)가 취급하는 통신 회선으로만 전환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핸드오버에 의하면, 핸드오버시에 통신 회선이 도중에서 끊길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한편, 하드웨어 핸드오버는, 주로 TDMA 방식이나 패킷 전송을 채용한 통신에 적용되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통신 회선의 전환을 실행하는 방법이다. 즉, 이동국 장치(11)에 기지국 장치(A)(12)가 취급하는 통신 회선 및 기지국 장치(B)(13)가 취급하는 통신 회선의 양쪽을 동시에 사용시키지 않고, 이동국 장치(11)가 사용하는 통신 회선을, 기지국 장치(A)(12)가 취급하는 통신 회선에서 기지국 장치(B)(13)가 취급하는 통신 회선으로 임의의 타이밍에서 전환하는 방법이다.
이들 2개의 핸드오버를 TDMA-TDD 방식의 통신에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각 타임 슬롯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의 신호를 다중하는 방식으로서, CDMA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 장치(11)는 기지국 장치(A)(12)의 죤에서 기지국 장치(B)(13)의 죤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소프트웨어 핸드오버를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도 2의 (e)는 종래의 TDMA-TDD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 핸드오버 실행시의 타임 슬롯 할당 상태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오버 실행 이전에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임 슬롯(이하, 「TS」라고 함)(21)에는, 기지국 장치(A)(12)에서 각 이동국 장치(이동국 장치(11)를 포함함)로의 송신에 이용되는 포워드 링크의 통신 채널이 할당되고, 프레임에 있어서의 TS(22)에는 상기 각 이동국 장치에서 기지국 장치(A)(12)로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버스 링크의 통신 채널이 할당되어 있다.
핸드오버가 개시되면,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에 있어서의 TS(23)에는, 기지국 장치(B)(13)에서 이동국 장치(11)로의 송신에 이용되는 포워드 링크의 통신 채널이 할당된다. 이 때, 이동국 장치(11)는 기지국 장치(A)(12)로부터의 포워드 링크와 기지국 장치(B)(13)로부터의 포워드 링크에 의해 수신한 각 신호를 합성한다.
다음에,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에 있어서의 TS(24)에는 이동국 장치(11)에서 기지국 장치(B)(13)로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버스 링크의 통신 채널이 할당된다. 이 TS(24)에 있어서, 이동국 장치(11)는 기지국 장치(B)(13)에 대하여 송신을 행하고, 기지국 장치(B)(13)는 이동국 장치(1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국 장치(11)는, 기지국 장치(B)(13)의 죤에 완전히 들어가면,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TS(22)에서 행하였던 기지국 장치(A)(12)에 대한 송신을 중지한다. 이어서, 기지국 장치(A)(12)는, 도 2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TS(21)에서 행하였던 이동국 장치(11)에 대한 송신을 중지한다. 이에 따라, 핸드오버가 종료된다.
다음에, 하드웨어 핸드오버를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 및 도 3의 (b)는 종래의 TDMA-TDD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의 하드웨어 핸드오버 실행시의 타임 슬롯 할당 상태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오버 실행 이전에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임 슬롯의 할당 상태는, 상술한 소프트웨어 핸드오버시(도 2의 (a))와 마찬가지다.
이 후, 이동국 장치(11)가 기지국 장치(A)(12)의 죤에서 기지국 장치(B)(13)의 죤으로 이동하고 있는 어느 임의의 타이밍을 트리거로 하여, 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임 슬롯의 형태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3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된다.
즉, 기지국 장치(A)(12)는 TS(31)에서 행하였던 이동국 장치(11)에 대한 송신을 중지하고, 기지국 장치(B)(13)는 TS(33)에 있어서 이동국 장치(11)에 대한 송신을 개시한다. 또한, 이동국 장치(11)는 TS(32)에서 행하였던 기지국 장치(A)(12)에 대한 송신을 중지하고, TS(34)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B)(13)에 대한 송신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핸드오버가 종료된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오버를 이용한 TDMA-TDD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가 있다. 우선, 소프트웨어 핸드오버를 이용한 경우에는, 각 이동국 장치가, 핸드오버시에 있어서, 복수의 기지국 장치(복수의 통신 상대)가 취급하는 통신 회선을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각 프레임마다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수의 타임 슬롯에 있어서 송신을 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각 이동국 장치의 소비 전류가 증대함과 동시에, 상기 타임 슬롯과 동일한 타임 슬롯을 사용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 장치 이외의 다른 기지국 장치(통신 대상 외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상기 각 이동국 장치의 송신 신호에 의한 간섭이 커진다. 이 간섭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타임 슬롯에 있어서 다중하는 이동국 장치의 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결과, 시스템 용량의 감소가 초래된다.
한편, 하드웨어 핸드오버를 이용한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핸드오버를 이용한 경우와는 달리, 각 이동국 장치는, 대략 항상 하나의 기지국 장치가 취급하는 통신 회선만을 사용하여 송신하기 때문에, 각 이동국 장치의 소비 전류 및 상기 다른 기지국 장치에 대한 간섭을 핸드오버 실행시 이외(통상 통신시)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동국 장치가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죤의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1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A)(12)의 죤과 기지국 장치(B)(13)의 죤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등에는, 기지국 장치(A)(12)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 및 기지국 장치(B)(13)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 균형을 이루고, 또한 수신 신호 레벨이 작게 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때에는, 하드웨어 핸드오버의 전환을 빈번히 실행하게 되기 때문에, 이동국 장치에 의해 행하는 통화가 도중에서 끊기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 전류 및 통신 대상 외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면서, 통화가 도중에서 끊기지 않는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핸드오버중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에서 송신지로 해야 할 기지국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가 실행하는 무선 통신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의 (a)는 종래의 TDMA-TDD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 핸드오버 실행시의 타임 슬롯 할당 상태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의 (b)는 종래의 TDMA-TDD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 핸드오버 실행시의 타임 슬롯 할당 상태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의 (c)는 종래의 TDMA-TDD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 핸드오버 실행시의 타임 슬롯 할당 상태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의 (d)는 종래의 TDMA-TDD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 핸드오버 실행시의 타임 슬롯 할당 상태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의 (e)는 종래의 TDMA-TDD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 핸드오버 실행시의 타임 슬롯 할당 상태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의 (a)는 종래의 TDMA-TDD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의 하드웨어 핸드오버 실행시의 타임 슬롯 할당 상태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의 (b)는 종래의 TDMA-TDD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의 하드웨어 핸드오버 실행시의 타임 슬롯 할당 상태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가 실행하는 무선 통신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 및 이 이동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 및 이 이동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 및 이 이동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의 (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 및 이 이동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이동국 장치 102 : 기지국 장치(A)
103 : 기지국 장치(B) 104 : RNC
202, 402 : RF부 203 : 역확산부
204 : 복조부 205 : 데이터 분해부
206 : 전파 손실 측정부 207 : 전파 손실 비교부
208 : 송신 데이터 제어부 209 : 데이터 조립부
210 : 변조부 211 : 확산부
401 : 송신 전력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의 개요에 대하여, 이 송수신 장치가 이동국 장치에 탑재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가 실행하는 무선 통신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101)가 기지국 장치(A)(102)의 죤(105)에서 기지국 장치(B)(103)의 죤(106)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형태를 나타낸다.
각 이동국 장치(도 4에서는 이동국 장치(101))와 각 기지국 장치(도 4에서는 기지국 장치(A)(102) 및 기지국 장치(B)(103))와는 TDMA-TDD 방식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각 이동국 장치와 각 기지국 장치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임 슬롯에 있어서, 개별 통신 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행한다. 이후,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이동국 장치가 개별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 장치에 대해 송신하는 신호, 또는, 기지국 장치가 개별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신호를 「개별 통신 채널 신호」라고 부른다.
각 기지국 장치는, 개별 통신 채널을 이용한 통신과는 별도로, 각 이동국 장치에 대해 공통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각종 제어 신호를 각 프레임마다 송신한다. 즉, 각 기지국 장치는 각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거의 항상 송신한다. 이후,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기지국 장치가 공통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국 장치에 대해 송신하는 신호를 「공통 제어 채널 신호」라고 부른다. 각 이동국 장치는 기지국 장치와 동기를 취하기 위해서, 각 기지국 장치에 의해 송신된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각 이동국 장치는 공통 제어 채널중의, 예컨대 보지(報知) 채널 등에 의해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 거의 항상 송신되고 있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을 수신하여 기억한다. 또한, 각 이동국 장치는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 거의 항상 송신되고 있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 및 송신 레벨을 이용하여, 각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 손실을 산출 및 비교해서,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를 검출한다. 즉, 여기서는, 이동국 장치(101)는 기지국 장치(A)(102)로부터 거의 항상 송신되고 있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과, 기지국 장치(B)(103)로부터 거의 항상 송신되고 있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로부터 전파 손실을 산출 및 비교하여, 상기 각 기지국 장치 중 어느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전파 손실이 작은지를 검출한다.
각 기지국 장치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는 이동국 장치마다 고유의 파워(power)로 송신되는 것은 아니고, 항상 일정한 파워로 송신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동국 장치(101)는 기지국 장치(A)(102) 및 기지국 장치(B)(103)로부터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 및 송신 레벨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각 기지국 장치가 이동국 장치(101)에 대하여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송신했을 때에 이용한 전파로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이동국 장치와 각 기지국 장치는 TDD 방식의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A)(102) 및 기지국 장치(B)(103)가 이동국 장치(101)에 대하여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송신했을 때에 이용한 전파로의 상태는 각각 이동국 장치(101)가 기지국 장치(A)(102) 및 기지국 장치(B)(103)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할 때에 이용하는 전파로의 상태와 상관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동국 장치(101)는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을 검출해서, 전파 손실을 산출하여 비교하는 것에 의해 각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할 때의 전파로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핸드오버시에는, 이동국 장치(101)가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로부터 검출한 전파 손실이 가장 작은 기지국 장치(여기서는 기지국 장치(B)(103)로 함)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이동국 장치(101)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 상대로서, 가장 양호한 전파로를 이용할 수 있는 기지국 장치, 즉, 최적의 기지국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후, 이동국 장치(101)로부터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 장치(B)(103)는 소정의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이동국 장치(101)에 대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그 밖의 기지국 장치 중, 포워드 링크의 개별 통신 채널을 거쳐 이동국 장치(101)에 대하여 송신을 행하고 있던 기지국 장치(여기서는 기지국 장치(A)(102))는 이동국 장치(101)로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을 중지한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의 개요이다.
다음에,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테나(201)를 거쳐서 수신한 신호(수신 신호)는 RF부(202)에 의해 RF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또, 이 수신 신호는 주로 각 기지국 장치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와 핸드오버중인 기지국 장치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동일 주파수 대역에 다중된 신호이다.
RF부(202)로부터의 베이스밴드 신호는 역확산부(203)에 의해 역확산 처리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각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역확산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각 기지국 장치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가 추출된다. 여기서, 각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란, 상기 각 기지국 장치측에 있어서,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송신전의 확산 처리시에 이용된 확산 부호에 상당한다. 이 역확산 처리는 각 프레임마다, 즉, 거의 항상 행해진다. 추출된 각 기지국 장치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는 전파 손실 측정부(206)에 전송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이 이동국 장치에 할당된 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역확산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핸드오버중인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 이동국 장치에 대한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추출된다. 이 역확산 처리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임 슬롯에서 행하여진다. 또, 소정의 타임 슬롯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추출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는 복조부(204)에 전송된다.
복조부(204)에서는 추출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복조되어, 프레임 단위로 구성된 데이터가 얻어진다. 단지, 핸드오버 실행시, 즉, 역확산부(203)에 의해 복수의 타임 슬롯에서 역확산 처리가 행하여지는 경우에, 복조부(204)에서는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의 각각에 있어서 추출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합성되어, 프레임 단위로 구성된 데이터가 얻어진다. 프레임 단위로 구성된 데이터는 데이터 분해부(205)에 의해 분해되어 출력된다.
한편, 전파 손실 측정부(206)에서는 우선 역확산부(203)로부터 전송된 각 기지국 장치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 중에서 각 기지국 장치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에 관한 정보가 추출되어 기억된다. 또, 각 기지국 장치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예컨대, 보지 채널 신호)에 의해 이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손실 측정부(206)에서는 각 기지국 장치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이 측정된 후, 기억된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과, 측정된 이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로부터 전파 손실이 각 기지국 장치마다 측정된다. 측정 결과는 전파 손실 비교부(207)에 전송된다.
전파 손실 비교부(207)에서는 상기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핸드오버중인 모든 기지국 장치 중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가 검출된다. 검출 결과는 송신 데이터 제어부(208)에 전송된다.
송신 데이터 제어부(208)에서는 소정의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는 취지의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핸드오버 실행시에 있어서는, 전파 손실 비교부(207)에 의한 상기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에 대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는 취지의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핸드오버 실행시 이외(통상 통신시)에 있어서는, 그때까지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라고 되어 있던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는 취지의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생성된 제어 신호는 데이터 조립부(209) 및 확산부(211)에 전송된다.
데이터 조립부(209)에서는 송신 데이터 제어부(20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이용해서 프레임 단위로 구성된 데이터가 조립된다. 핸드오버 실행시에 있어서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전파 손실 비교부(207)에 의해 검출된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송신되도록 송신 데이터의 타이밍(슬롯 위치)이 제어된다. 통상 통신시에 있어서는, 그때까지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라고 되어 있었던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송신되도록 송신 데이터의 타이밍이 제어된다.
데이터 조립부(209)에 의해 조립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는 변조부(210)에 의해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일차 변조된다. 일차 변조된 데이터는 확산부(211)에 전송된다.
확산부(211)에서는 송신 데이터 제어부(20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일차 변조된 데이터에 대한 확산 처리가 이루어진다. 핸드오버 실행시에 있어서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전파 손실 비교부(207)에 의해 검출된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송신되도록 확산 처리에 이용해야 되는 확산 부호가 제어된다. 통상 통신시에 있어서는, 그때까지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라고 되어 있었던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송신되도록 확산 처리에 이용해야 되는 확산 부호가 제어된다.
확산부(211)에 의해 확산 처리된 신호는 RF부(202)에 의해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신호로 변환된다. 이 RF 신호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로서 안테나(201)를 거쳐서 상기 검출된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송신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4 및 도 5에 부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 장치(101)는 우선 기지국 장치(A)(102)의 죤(105)에서 기지국 장치(B)(103)의 죤(106)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의 (a)∼도 6의 (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 및 이 이동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우선, 이동국 장치(101)가 죤(105)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임 슬롯(이하, 「TS」라고 함)(301)에는 기지국 장치(A)(102)가 이동국 장치(101)를 포함하는 각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이 기지국 장치(A)(102)에 속하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이 할당되며, 또한, TS(302)에는 기지국 장치(A)(102)에 속하는 이동국 장치가 이 기지국 장치(A)(102)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이 할당된다.
또, TS(301)에 있어서 각 이동국 장치에 대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다중 방식 및 TS(302)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A)(102)에 대한 각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다중 방식, 즉, 프레임에 있어서의 각 타임 슬롯에서의 신호의 다중 방식으로서, CDMA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다중 방식은 CDMA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TS(301)에서는 기지국 장치(A)(102)가, 이 기지국 장치(A)(102)에 속하는 각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고, 이동국 장치(101)는 기지국 장치(A)(102)로부터 송신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기지국 장치(도 4에서는 기지국 장치(A)(102) 및 기지국 장치(B)(103))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각 프레임마다, 즉, 거의 항상 송신한다. 즉, 기지국 장치(A)(102)는 도 6의 (a)에 나타낸 TS(301)를 이용하여, 각 프레임마다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 장치(B)(103)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TS를 이용하여, 각 프레임마다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이동국 장치(101)는 기지국 장치(여기서는 기지국 장치(A)(102))로부터 수신 레벨의 측정의 명령이 내려지면, 이들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여 상기 기지국 장치에 보고한다.
TS(302)에서는, 이동국 장치(101)가 기지국 장치(A)(102)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A)(102)는, 이동국 장치(101)를 포함하는 이 기지국 장치(A)(102)에 속한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이 후, 이동국 장치(101)가 기지국 장치(B)(103)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 장치(101)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B)(103)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이 기지국 장치(A)(102)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을 상회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A)(102)는, 이동국 장치(101)가 기지국 장치(B)(103)와 핸드오버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가 있으면, 이동국 장치(101)에 대해 핸드오버 개시의 명령을 내린다. 이에 따라, 핸드오버가 실행된다.
핸드오버 실행시에 있어서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S(303)에는 기지국 장치(B)(103)가 이동국 장치(101)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이 할당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 장치(B)(103)는 이동국 장치(101)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TS(303)에서는, 기지국 장치(B)(103)가 이동국 장치(101)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고, 이동국 장치(101)가 기지국 장치(B)(103)로부터 송신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즉, 핸드오버 실행시에 있어서는, 이동국 장치(101)는 기지국 장치(A)(102)로부터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 및 기지국 장치(B)(103)로부터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또, 도 6의 (b)에 있어서의 TS(301) 및 TS(302)에서의 이동국 장치(101) 및 기지국 장치(A)(102)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 장치(101)는 각 프레임마다, 즉, 거의 항상 각 기지국 장치의 전파 손실의 측정 및 비교를 행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A)(102)의 전파 손실이 기지국 장치(B)(103)의 전파 손실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전파 손실 비교부(207)에 의해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로서 기지국 장치(A)(102)가 검출되게 된다.
따라서, 송신 데이터 제어부(208)에서는 기지국 장치(A)(102)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는 취지의 제어 신호가 생성되기 때문에, 데이터 조립부(209)에서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기지국 장치(A)(102)에 대하여 송신되도록 송신 데이터의 타이밍이 제어됨과 동시에, 확산부(211)에서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기지국 장치(A)(102)에 대하여 송신되도록 확산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결과, 이동국 장치(101)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기지국 장치(A)(102)에 대해서만 송신한다.
반대로, 기지국 장치(B)(103)의 전파 손실이 기지국 장치(A)(102)의 전파 손실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전파 손실 비교부(207)에 의해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로서, 기지국 장치(B)(103)가 검출되게 된다.
따라서, 송신 데이터 제어부(208)에서는 기지국 장치(B)(103)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는 취지의 제어 신호가 생성되기 때문에, 데이터 조립부(209)에서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기지국 장치(B)(103)에 대하여 송신되도록 송신 데이터의 타이밍이 제어됨과 동시에, 확산부(211)에서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가 기지국 장치(B)(103)에 대하여 송신되도록 확산 처리가 행해진다.
이 결과, 이동국 장치(101)는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A)(102)에 대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을 중지하여, 기지국 장치(B)(103)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이 경우(도 6의 (c))에 있어서, 이동국 장치(101)가 완전히 기지국 장치(B)(103)의 죤(106)으로 이동하면, 기지국 장치(A)(102) 혹은 기지국 장치(B)(103)가 이동국 장치(101)에 대하여 핸드오버 종료의 지령을 내려, 이동국 장치(101)에 대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을 중지한다. 이 결과,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 장치(101)는 기지국 장치(B)(103)으로부터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장치(B)(103)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가 핸드오버 실행시에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에 근거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해야 할 기지국 장치를 전환한 경우의, 핸드오버중인 기지국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다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 장치(A)(102) 및 기지국 장치(B)(103)는 이동국 장치(101)로부터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복조 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복조 신호를 취출한다. 또한, 상기 각 기지국 장치는 복조 신호에 대하여 CRC 처리를 행함으로써, 이 복조 신호의 블럭의 오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즉, CRC 결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각 기지국 장치는 취출한 복조 신호에 상기 CRC 결과를 부가한 신호를 RNC(Radio Network Controller : 무선 제어국)(104)에 출력한다.
RNC(104)는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부가된 CRC 결과를 비교하여,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도시하지 않는 망에 출력한다.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의 (b)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동국 장치(101)가 TS(302)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A)(102)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고 있다. 기지국 장치(A)(102)는 수신한 개별 통신 채널 신호로부터 복조 신호를 취출하고, 이 복조 신호에 CRC 결과를 부가한 신호를 RNC(104)에 출력한다. 한편, 기지국 장치(B)(103)는 이동국 장치(101)로부터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복조 신호에 대한 CRC 처리의 결과를 NG로 한다. 이 때문에, 기지국 장치(B)(103)는 RNC(104)에 대하여 NG로 한 CRC 결과를 부가한 소정의 신호를 송신한다.
RNC(104)는 기지국 장치(A)(102)로부터의 신호 및 기지국 장치(B)(103)로부터의 신호에 부가된 CRC 결과의 비교를 행한다. 여기서, RNC(104)에는 기지국 장치(B)(103)로부터의 신호에 NG이라고 된 CRC 결과가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RNC(104)에 있어서는, 기지국 장치(A)(102)로부터의 신호가 선택된다. 이 결과, 기지국 장치(A)(102)로부터의 신호만이, 도시하지 않는 망에 대하여 출력된다.
다음에, 도 6의 (c)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동국 장치(101)가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로부터 산출한 전파 손실에 근거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를 기지국 장치(A)(102)에서 기지국 장치(B)(103)로 전환하고 있다. 기지국 장치(B)(103)는 이동국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개별 통신 채널 신호로부터 복조 신호를 취출하고, 이 복조 신호에 CRC 결과를 부가한 신호를 RNC(104)에 출력한다. 한편, 기지국 장치(A)(102)는 이동국 장치(101)로부터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복조 신호에 대한 CRC 처리의 결과를 NG로 한다. 이 때문에, 기지국 장치(B)(103)는 RNC(104)에 대하여 NG로서 CRC 결과를 부가한 소정의 신호를 송신한다.
RNC(104)는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부가된 CRC 결과의 비교를 행한다. RNC에 있어서는 기지국 장치(B)로부터의 신호만이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 신호로서 인식된다. 이 결과, 기지국 장치(B)(103)로부터의 신호만이 도시하지 않는 망에 대하여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이동국 장치(101)는 핸드오버중에 있어서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에 근거하여 산출된 전파 손실로부터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를 전환하지만, RNC(104)에서는 CRC 결과를 비교하기 때문에, 적절한 신호를 망에 출력할 수 있다. 즉, 각 이동국 장치가 핸드오버중에 통신 채널의 송신지를 전환한 경우에 있어서도, 각 기지국 장치가 어떤 특별한 처리를 행할 필요 없어, RNC(104)는 적절한 신호를 망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 의하면, 각 기지국 장치(각 통신 상대)로부터 거의 항상 송신되고 있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이용하여 전파 손실을 측정하고, 핸드오버 실행시에 있어서는,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전파로 상태가 최적인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을 행하고, 그 밖의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을 중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송수신 장치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 송신용 타임 슬롯을 하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송수신 장치의 소비 전류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타임 슬롯과 동일한 타임 슬롯을 사용하고 있는 통신 대상 외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는 핸드오버시에 있어서 복수의 기지국 장치가 취급하는 각 회선을 동시에 사용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가 취급하는 회선을 사용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을 행하기 때문에, 종래의 하드웨어 핸드오버를 채용한 경우보다도 통화 도중에 끊김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는 각 기지국 장치와의 통신에 TDD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TDD 방식에서는 리버스 링크의 전파로 특성과 포워드 링크의 전파로 특성의 상관성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임의의 기지국 장치가 이 송수신 장치에 대하여 공통 제어 채널을 송신했을 때의 전파로의 상태와, 이 송수신 장치가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할 때의 전파로의 상태와는 상관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 송수신 장치는 핸드오버중에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전체 기지국 장치 중 전파로 상태의 순간 변동이 고려된 최적의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최적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 상대를 선택하기 때문에,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즉, 전파 손실을 측정하는 신호로서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채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기지국 장치에 의해 일정의 파워로 송신되고 있는 그 밖의 신호를 이용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각 이동국 장치마다 각 기지국 장치에 의해 고유의 파워로 송신되고 있는 신호이더라도, 이동국 장치측에 있어서 각 기지국 장치마다 고유의 파워를 추정할 수 있어, 전파 손실이 인식 가능한 신호이면, 본 발명은 최적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 상대를 선택하기 때문에, 그 신호를 이용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개별 통신 채널 신호는, 각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각 이동국 장치마다 고유의 송신 전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일이 있다. 따라서, 각 이동국 장치는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로부터 단순히 최적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 상대를 선택할 수가 없다. 그런데, 이동국 장치는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에 부가하여, 각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면(폐 루프(closed loop) 송신 전력 제어에 이용하는 커맨드를 이용하는 방법 등), 각 기지국 장치마다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전파 손실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각 이동국 장치가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이용하여, 최적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송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각 타임 슬롯에서의 신호의 다중 방식으로서, CDMA 방식만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CDMA 방식에 부가하여 OFDM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핸드오버중인 기지국 장치를 2개로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핸드오버중인 기지국 장치를 3개 이상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각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예컨대,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로부터 산출되는 전파 손실)에 근거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해야 할 기지국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해야 할 기지국 장치로서, 하나의 기지국 장치를 선택할 수도 있지만,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의 크기에 따라 2개 이상의 기지국 장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 핸드오버 실행시에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이용하여 산출한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오픈 루프(open loop)에 의해 결정한 송신 전력값에 의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 대하여, 이 송수신 장치가 이동국 장치에 탑재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에 있어서의 실시예 1(도 5)과 동일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7에 있어서의 실시예 1(도 5)과 상위(相違)하는 점에만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신 전력 제어부(401)에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즉, 송신 전력 제어부(401)에는 핸드오버 실행시에 있어서,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는 취지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며, 통상 통신시에 있어서는, 그때까지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라고 되어 있었던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는 취지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부(401)에는 전파 손실 측정부(206)에 의해 각 기지국 장치의 전파 손실이 입력된다.
송신 전력 제어부(401)에서는 통상 통신시뿐만 아니라, 핸드오버시에 있어서도,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로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에 대하여 전파 손실 측정부(206)로부터 전송된 전파 손실에 있어서의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전파 손실에 근거하여 최적의 송신 전력값이 오픈 루프에 의해 설정된다. 즉, 예컨대, 전파 손실 측정부(206)로부터의 상기 기지국 장치의 전파 손실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 전력값은 작게 설정되고, 상기 전파 손실이 큰 경우에는 상기 송신 전력값은 크게 설정된다. 송신 전력값에 관한 정보는 RF부(402)에 출력된다.
RF부(402)에서는, 핸드오버시에 있어서, 송신 전력 제어부(401)로부터의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로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에 대해서만은 설정된 송신 전력값에 의해 송신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 의하면,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 거의 항상 송신되어 있는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이용하여 전파 손실을 측정해서 핸드오버 실행할 때에 있어서는, 전파 손실이 최소인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상기 전파 손실에 근거하여 오픈 루프에 의해 설정한 송신 전력값을 이용해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을 행하고, 그 밖의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을 중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송수신 장치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 송신용 타임 슬롯을 하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송수신 장치의 소비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파로 상태에 따른 적절한 송신 전력값에 의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적절한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적절한 송신 전력값에 의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핸드오버중인 기지국 장치를 2개로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핸드오버중인 기지국 장치를 3개 이상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각 기지국 장치간의 전파로 상태(예컨대,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파 손실 등)에 근거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해야 할 기지국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각 기지국 장치로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 전력값을 상기 각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에 근거하여 설정하면 된다. 또,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해야 할 기지국 장치로서, 하나의 기지국 장치를 선택할 수도 있지만,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의 크기에 따라 2개 이상의 기지국 장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파로 상태를 측정하는 신호로서 공통 제어 채널 신호를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신호, 예컨대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전파로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로서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이용한 경우에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해야 할 통신 상대를 실시예 1에 설명한 방법에 의해 선택하고, 선택한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이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과, 이 개별 통신 채널 신호에 대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레벨로부터 산출되는 전파 손실을 이용하여 오픈 루프에 의해 설정한 송신 전력값에 의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최적의 전력값에 의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장치는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 장치에 탑재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수신지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에서 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기지국 장치를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로서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개별 통신 채널의 수신지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 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소비 전류 및 통신 대상 외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는, 검출 수단이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한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과,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해 송신된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을 이용하여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공통 제어 채널 신호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해 일정한 파워로 송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보지된 상기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확실히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는, 검출 수단이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과,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해 송신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을 이용하여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 장치측에 있어서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해 송신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확실히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는, 송신 수단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 장치에 대해 각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이용하여 오픈 루프에 의해 설정한 송신 전력값에 의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하여, 개별 통신 채널의 송신지로서 선택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전파로 상태에 따라 오픈 루프에 의해 설정한 송신 전력값에 의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적절한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적절한 송신 전력값에 의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소비 전류 및 통신 대상 외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면서, 통화가 도중에 끊기지 않고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송수신 장치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통신을 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는 상기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소비 전류 및 통신 대상 외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면서, 통화가 도중에 끊기지 않고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수신지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에서 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기지국 장치를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로서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구비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개별 통신 채널의 수신지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 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소비 전류 및 통신 대상 외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오버중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중에서 송신지로 해야 할 기지국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소비 전류 및 통신 대상 외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면서, 통화가 도중에 끊기지 않고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1999년 10월 29일 일본 특허 출원 평성 제 11-309229 호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 내용을 여기에 포함시켜 놓는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7)

  1.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수신지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중에서 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기지국 장치를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로서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한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과,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해 송신된 공통 제어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을 이용하여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는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 레벨과,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해 송신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수신 레벨을 이용하여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는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각 기지국 장치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이용하여 오픈 루프(open loop)에 의해 설정한 송신 전력값에 의해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
  5.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수신지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중에서 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기지국 장치를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로서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6.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는,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수신지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중에서 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기지국 장치를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로서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7.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수신지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중에서 전파로 상태가 양호한 기지국 장치를 개별 통신 채널 신호의 송신지로서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상기 선택 공정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개별 통신 채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포함하는
    TDMA-TDD 방식 송수신 방법.
KR10-2000-0063716A 1999-10-29 2000-10-28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 KR100394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09229 1999-10-29
JP30922999A JP2001128215A (ja) 1999-10-29 1999-10-29 Tdma−tdd方式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308A true KR20010051308A (ko) 2001-06-25
KR100394405B1 KR100394405B1 (ko) 2003-08-09

Family

ID=1799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716A KR100394405B1 (ko) 1999-10-29 2000-10-28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07014B1 (ko)
EP (1) EP1096822B1 (ko)
JP (1) JP2001128215A (ko)
KR (1) KR100394405B1 (ko)
CN (1) CN1295390A (ko)
DE (1) DE60039098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59B1 (ko) * 2003-12-11 2011-06-17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에서의 멀티캐스팅 서비스 제공방법과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1072B2 (ja) 2000-01-24 2004-10-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チャネル構成方法及びその方法を利用する基地局
US7548506B2 (en) * 2001-10-17 2009-06-16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ccess and synchronization methods for MIMO OFDM communications systems and physical layer packet and preamble design
KR100526515B1 (ko) * 2001-11-17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신호 측정장치 및방법
US7236473B2 (en) * 2002-01-11 2007-06-26 Nc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ssignment of a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imeslot for an electronic shelf label
FR2847108A1 (fr) * 2002-11-08 2004-05-14 Mitsubishi Electric Telecom Eu Procede et systeme de reduction des zones mortes dans un systeme umts
JP4276009B2 (ja) * 2003-02-06 2009-06-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基地局、無線伝送プログラム、及び無線伝送方法
KR100640375B1 (ko) * 2003-10-01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하드 핸드오버시 빠른 순방향링크서비스 방법
US7047009B2 (en) * 2003-12-05 2006-05-16 Flarion Technologies, Inc. Base station bas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reak before make handoffs in a multi-carrier system
US7212821B2 (en) * 2003-12-05 2007-05-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ffs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4318595B2 (ja) * 2004-06-16 2009-08-26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端末
KR100661345B1 (ko) 2006-01-16 2006-12-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시간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핸드오프 영역에서 데이터 전송방법
US20100097950A1 (en) * 2007-03-16 2010-04-22 Beom Jin Jeon In one or more network coexistable environment,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channel is available or not, a method for receiving a signal for detecting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in coexistence with a different kind of network
US8285283B2 (en) * 2007-12-13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a handoff determination as a function of service level indicating metrics
CN101472305B (zh) * 2007-12-26 2012-01-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实现小区切换的方法、系统及装置
JP5159560B2 (ja) * 2008-10-29 2013-03-0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通信端末
CN102124781A (zh) * 2009-10-07 2011-07-13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便利td-scdma系统中的切换的装置和方法
JP5159806B2 (ja) * 2010-01-26 2013-03-13 京セラ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通信端末
WO2013120517A1 (en) * 2012-02-15 2013-08-22 Nec Europe Ltd.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in a tdd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and resource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5856A (en) * 1993-11-01 1999-12-21 Omnipoint Corporation Communication protocol for spread spectru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301242B1 (en) * 1998-07-24 2001-10-09 Xircom Wireless, Inc. Communication system with fast control traffic
US6088590A (en) * 1993-11-01 2000-07-11 Omnipoin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controlled handoff and link maintenance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JP2876517B2 (ja) * 1994-02-16 1999-03-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dma/tdd方式基地局装置およびcdma/tdd方式移動局装置およびcdma/tdd方式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cdma/tdd方式無線通信方法
US5628052A (en) * 1994-09-12 1997-05-06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distributed switched antennas
US5748621A (en) 1995-03-10 1998-05-05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713228B2 (ja) 1995-05-16 1998-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方法
AU712159B2 (en) 1995-08-31 1999-10-28 Qualcomm Incorporated A handover method, and a cellular radio system
US5732076A (en) * 1995-10-26 1998-03-24 Omnipoint Corporation Coexisting communication systems
US5978679A (en) 1996-02-23 1999-11-02 Qualcomm Inc. Coexisting GSM and CDM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5844894A (en) * 1996-02-29 1998-12-01 Ericsson Inc. Time-reuse partitioning system and methods for cellular radio telephone systems
FI104142B1 (fi) * 1996-10-25 1999-11-15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resurssien käytön ohjausmenetelmä
US6122260A (en) * 1996-12-16 2000-09-19 Civil Telecommunications, Inc. Smart antenn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272121B1 (en) * 1997-03-03 2001-08-07 Omnipoint Corporatio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using DECT protocol
US6005854A (en) * 1997-08-08 1999-12-21 Cwill Telecommunication, Inc. Synchronous wireless access protocol method and apparatus
JP2991294B2 (ja) 1997-08-11 1999-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分割多重セルラー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選択方法、及び移動局装置
US6144650A (en) * 1997-09-25 2000-1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539226B1 (en) 1998-02-16 2003-03-25 Nec Corporation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system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JP2000138624A (ja) * 1998-10-29 2000-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アンテナ切替方法
US6650630B1 (en) * 1999-06-25 2003-11-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management and traffic control in time-division-duplex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59B1 (ko) * 2003-12-11 2011-06-17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에서의 멀티캐스팅 서비스 제공방법과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4405B1 (ko) 2003-08-09
DE60039098D1 (de) 2008-07-17
JP2001128215A (ja) 2001-05-11
CN1295390A (zh) 2001-05-16
EP1096822A3 (en) 2003-01-02
EP1096822A2 (en) 2001-05-02
EP1096822B1 (en) 2008-06-04
US6907014B1 (en) 200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405B1 (ko) Tdma-tdd 방식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
RU22493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US7174167B2 (en) Code-division-multiple-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mmodating increased number of mobile stations
KR100441330B1 (ko) 기지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제어 방법
KR100699063B1 (ko) 다중 입출력 방식의 단말기를 사용한 주파수간 측정
KR10095970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하나의이동국으로 데이터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735003B2 (ja) 移動局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100355503B1 (ko)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5459873A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improved channel scanning and link establishment determinations
MXPA02001965A (es) Metodo y sistema para iniciar trasferencia libre en un istema de comunicaciones inalambrico.
CN1998159A (zh) 用于软切换期间同步检测和功率控制的方法和设备
JPH08307333A (ja) 送信ダイバシティ方式
EP0872140B1 (en) A method for selecting the way to perform a handover, and a cellular radio system
EP10975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n inter-frequency search
EP1088411A1 (en) Measure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a radio channel other than the established channel
US6999765B2 (en) CDMA type mobile station having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for rounding off a chip offset temporally early and late
EP1298816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mobile station
CN101461274B (zh) 通信系统中使用异步信道的移动切换功能
KR20020016634A (ko) 이동국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71942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tenna of radio base station at moving target area during handover
JP2001156752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GB2370191A (en) Monitoring radio signals for handover in a mobil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