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157A - 심선의 정렬부 - Google Patents

심선의 정렬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157A
KR20010051157A KR1020000061815A KR20000061815A KR20010051157A KR 20010051157 A KR20010051157 A KR 20010051157A KR 1020000061815 A KR1020000061815 A KR 1020000061815A KR 20000061815 A KR20000061815 A KR 20000061815A KR 20010051157 A KR20010051157 A KR 20010051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re
core wire
conductor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카즈히로
키쿠치히데오
Original Assignee
오카야마 노리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야마 노리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야마 노리오
Publication of KR2001005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1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도배선을 가능하게 하면서, 심선(心線)를 정렬해서 구부림형상을 형성할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해결수단으로서는, 한방향으로 향하도록 인접하여 병설하는 복수의 심선(4)을, 단말형상할때의 정렬순서로 파이프(2)의 슬릿(3a)에 단순히 보내준다고하는 작업으로, 이들 복수의 심선(4)을, 병설상태로부터 각도를 바꾸어 슬릿(3a)에 의해 서로의 순번이 엇갈리는 일없이 일렬로 정렬해서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하여 당해파이프(2)에 고정하고, 복수의 심선(4)의 정렬부(1)(파이프(2))에 이르기 전까지의 병설상태를 대략 유지하면서 이들 심선(4)의 정렬·구부림형상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심선의 정렬부{MULTICONDUCTOR CABLE}
본 발명은, 도체 및 이 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절연체를 적어도 구비하는 심선의 다수를, 일렬로 정렬해서 구부림형상을 형성하는 심선의 정렬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의료기기의 내시경이나, 예를 들면 전자기기의 박형 노트퍼스널컴퓨터 등에서는, 관형상부품내나 좁은 공간 등에 소정의 형태의 신호선이 복수배선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신호선은, 그 단말이 예를 들면 센서나 커넥터 등에 대해서 정렬되어서 접속되나, 당해 센서나 커넥터 등이, 이들 신호선의 뻗어있는 방향(배선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의 신호선을 단말 근방에서 정렬하면서 당해 센서나 커넥터 등에 향하도록 각도를 바꾸어 구부려서, 구부림형상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정렬되어서 구부림형상이 형성되는 대상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체와, 이 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절연체로서의 외피(外被)를 구비하는 단순한 피복선이나, 중심도체와, 이 중심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주위를 씌우는 외부도체와, 이 외부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외피를 구비하는 동축케이블이나, 이 동축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해서 외부도체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비롯하여, 적어도 도체 및 이 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절연체를 가진 것(이후 이들을 총칭해서 심선이라고 호칭한다)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심선을 정렬해서 구부림형상을 형성하는 종래의 심선의 정렬부로서는, 홈지그가 알려져 있다. 이 홈지그는, 박판에 구부림형상의 홈에 복수병설된 것으로서, 이들 홈에, 단말형성할 때의 정렬순서로 심선을 각각 구부리면서 끼워넣어 일렬로 정렬한 구부림형상을 형성하고, 이 끼워넣은 심선을 예를 들면 점착(粘着)테이프 등에 의해 당해 홈지그에 고정함으로써, 단말처리로서의 센서나 커넥터 등에 대한 장착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된 홈지그는, 장착작업후 제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홈지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심선을 1개씩 각 홈에 구부리면서 끼워넣어 정렬하는 구성으로서, 구부러진 심선이 그 탄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려고 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홈을 따라서 복수의 개소에서 심선을 누르면서 정렬작업을 진행시키지 않을 수 없어서, 작업성이 극단적으로 나쁘다고하는 문제가 있었다.
덧붙여서 말하면, 작업성을 향상하도록, 상기 홈지그 등의 심선의 정렬부를 사용하지 않고, 길이가 동일한 복수의 심선을 병렬로 배열시키는 동시에 직선형상으로 펴서 이들의 단말에 센서나 커넥터 등을 접속하는 단말처리를 행하고나서 당해 심선의 단말 근방 전체를 센서나 커넥터 등의 장착방향으로 구부리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구부림방향의 내주쪽이 되는 심선에 느슨해짐이 발생하고, 심선전체의 정렬부에 이르기 전까지의 부분이 흐트러져 해체되어 버리고, 좁은 공간에서의 고밀도배선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고, 한편이 느슨해짐을 흡수하도록, 구부러짐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들 복수의 신호선을 반전하면, 배선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위에, 센서나 커넥터 등의 배치·방향성이 규제되어 버리는 등의 여러 가지의 설계상의 제약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심선의 정렬부에 이르기 전까지의 병설상태를 대략 유지하여 고밀도배선을 가능하게 하면서, 이들 심선을 정렬해서 구부림형상을 형성할때의 작업성을 향상하는 심선의 정렬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관한 심선(心線)의 정렬부를 표시한 사시도
도 2는 정렬부에 적용되는 심선으로서의 동축(同軸)케이블을 표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복수의 심선의 파이프에 이르기전까지의 집합형태를 표시하는 것이며, 다심(多心)케이블를 표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표시한 다심케이블의 횡단면도
도 5는 복수의 심선의 파이프에 이르기전까지의 다른 집합형태를 표시한 것이며, 고리형상벨트에 의해 묶여지는 집합체를 표시한 사시도
도 6은 정렬부에 적용되는 다른 심선으로서의 피복선을 표시한 횡단면도
도 7은 정렬부에 적용되는 또다른 심선으로서의 드레인와이어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을 표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복수의 심선의 파이프에 이르기전까지의 또다른 집합형태를 표시한 것이며, 초다심케이블을 표시한 횡단면도
도 9는 슬릿에 정렬되는 심선의 도출방향의 다른 형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한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20, 30∼60, 70: 심선의 정렬부 2: 파이프
2a: 파이프의 평탄면 2b, 2c: 분할파이프
3a, 3b, 3c: 슬릿 4: 동축케이블(심선)
5, 17, 21: 도체(중심도체) 6, 18, 22: 절연체
7, 24: 외부도체 8: 동축케이블의 외피(外被)
9, 28: 가로감기도체(접지용 시일드층) 12: 접착제
15: 피복선(심선)
25: 드레인와이어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의 외피
33: 일괄커넥터 34, 35: 땜납
55: 심선
본 발명에 의한 심선의 정렬부는, 도체 및 이 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절연체를 적어도 가지고 한방향을 향하도록 인접해서 병설하는 복수의 심선을, 그 병설상태로부터 각도를 바꾸어서 일렬로 정렬한 상태로 단말형성 하기 위한 심선의 정렬부로서, 슬릿을 가진 파이프를 구비하고, 이 파이프의 슬릿은, 당해 파이프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동시에, 그 폭이, 심선의 외경과 동일한 정도이상이고 또한 심선의 외경의 2배를 밑돌도록 설정되고, 심선은, 단말형성할때의 정렬순서로 슬릿에 일렬로 정렬되어서 파이프내로부터 도출하여, 심선과 파이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심선의 정렬부에 의하면, 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인접해서 병설하는 복수의 심선을, 단말형성 할때의 정렬순서로 파이프의 슬릿에 단순히 보내준다고하는 작업으로, 이들 복수의 심선이, 병설상태로부터 각도가 바뀌어지고 슬릿에 의해 서로의 순번이 엇갈리는 일없이 일렬로 정렬되어서 파이프내로부터 도출되어 당해 파이프에 고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심선의 정렬부에 이르기전까지의 병설상태가 대략 유지되면서 이들 심선의 정렬·구부림형상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심선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체와, 이 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절연체로서의 외피를 구비하는 피복선을 들 수 있다.
또, 심선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체로서의 중심도체와, 이 중심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주위를 씌우는 외부도체와, 이 외부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외피를 구비하는 동축케이블을 들 수 있다.
또한, 심선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해서 외부도체가 노출되어 있는 것도 들 수 있다.
여기서, 슬릿은, 파이프의 끝부분으로부터 당해 파이프의 축선방향도중까지 잘라져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했을 경우, 심선을 순차 슬릿에 보내주어서 당해 슬릿의 폐색단부쪽으로 모아붙여 간다고하는 간이한 작업으로, 심선이 일렬로 정렬되기 때문에, 심선의 정렬·구부림형상의 형성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또, 슬릿의 한쪽편이 폐색되어 있으면, 파이프에 외력(外力)이 작용해도, 슬릿폭의 협소화가 방지되어서 소정폭이 확보되어, 심선의 손상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슬릿은, 파이프의 양끝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파이프의 한쪽편의 끝부분만으로부터 긴 슬릿이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슬릿폭을 확보하는 유지력이 크고, 심선의 손상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파이프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슬릿은, 파이프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면, 복수의 심선을 정렬해서 구부림형상을 형성하는 방향이, 동일한 파이프에서 복수가 된다.
또, 파이프는, 그 일부에 평탄면을 구비하고 있으면, 당해 파이프의 예를 들면 기기내에서의 실장(實裝) 이 회전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된다.
또, 파이프는, 병설한 복수의 심선의 중간부에 대해서 배치되고, 이들 심선의 일부의 심선이 슬릿에 일렬로 정렬되어서, 당해 일부의 심선과 파이프가 고정되게 하면, 일부의 심선을 도중에서 분기하는 형태에도 적용가능하게 된다.
또, 파이프는, 당해 파이프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분할되고, 이들의 분할된 파이프는, 복수의 심선의 소정위치에서 짜맞추어져서 사용되게 하면, 특히 파이프가 복수의 심선의 중간부에 대해서 배치되는 경우에, 파이프에 복수의 심선의 단말을 도입해서 당해 파이프를 복수의 심선의 중간부로 이동해간다고 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이 파이프를 복수의 심선의 중간부로 이동해간다고 하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심선과 파이프와의 접촉의 기회가 저감되어서 심선의 손상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일렬로 정열한 복수의 심선에, 당해 심선의 단말을 일렬로 배열해서 접속하는 일괄커넥터를 장착하는 경우, 그 장착은 극히 용이하다.
또, 심선을, 동축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하여 외부도체가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정렬부의 구성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외부도체가, 파이프내로부터 슬릿을 개재해서 일렬로 정렬되어서 도출하고, 이들 외부도체가, 예를 들면 땜납이나 도전성접착제 등의 도전성의 접착층을 개재해서 상호 접합되는 동시에 파이프에 고정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 파이프를, 납땜 가능한 도전성재료로 구성하고, 이 파이프에, 복수의 외부도체를 땜납을 개재해서 접합하는 동시에, 이들 외부도체를, 당해 파이프를 개재해서 상호 도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심선의 적어도 일부는, 파이프에 이르기 전에 있어서 접지용의 시일드층내에 수용되고, 이 시일드층이, 파이프에 전기적으로 접합되어서, 상호 도통된 복수의 외부도체와 도통되어 있으면, 외부도체를 특별히 접지하지 않아도 당해 외부도체는 파이프, 시일드층을 개재해서 접지되는 동시에, 파이프에 접합되는 시일드층에 의해 당해 파이프의 앵커강도가 강화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심선의 정렬부(1)는, 예를 들면 의료기기의 내시경이나, 예를 들면 전자기기의 박형 노트퍼스널컴퓨터 등의 관형상부품내나 좁은 공간 등에 적용되고, 한방향을 향하도록 이접해서 병설하는 복수의 심선(4)을, 그 병설상태로부터 각도를 바꾸어서 일렬로 정렬한 상태로 단말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는, 심선(4)으로서,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이 동축케이블(4)은,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중심도체(5)와, 이 중심도체(5)의 주위를 씌우는 절연체(6)와, 이 절연체(6)의 주위를 씌우는 외부도체(7), 가 동축상에 배치되고, 이 외부도체(7)의 주위가 외피(절연체)(8)에 의해 씌워진 것이다. 이 동축케이블(4)은 복수개가, 정렬부(1)를 구성하는 파이프(2)에 이르기전에 있어서,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심(多心)케이블(13)로서 집합되어 있다.
이 다심케이블(13)은,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동축케이블(4)을, 접지용 시일드층으로서의 가로감기도체(9)를 개재해서 케이블외피(절연체)(11)에 의해 씌운것이며, 이들에 수용되는 복수의 동축케이블(4)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한방향을 향하도록 인접해서 병설되고, 이들 동축케이블(4)의 단말쪽이, 가로감기도체(9), 케이블외피(11)로부터 도출되어서,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에 도입(삽입)되어 있다.
이 파이프(2)는, 파이프(2)의 끝부분으로부터 당해 파이프(2)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있고 또한 당해 파이프(2)의 축선방향 도중에서 잘려지는 슬릿(3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슬릿(3a)은, 동축케이블(4)이 진입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당해 슬릿(3a)에 있어서의 동축케이블(4)의 엇갈림을 방지하도록, 그 폭이, 동축케이블(4)의 외경과 동일정도이상이고 또한 동축케이블(4)의 외경의 2배를 밑돌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 슬릿(3a)의 길이는, 당해 슬릿(3a)에 진입되는 동축케이블(4)의 개수에 의해 적당히 결정되어 있다.
복수의 동축케이블(4)의 단말은, 단말처리로서의 예를 들면 센서나 커넥터 등에 대한 접속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 병설상태로부터 각도를 바꾸어서, 단말형성할 때의 정렬순서로 슬릿(3a)에 보내저서 일렬로 정렬되어서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되며, 이 슬릿(3a)으로부터 일렬로 도출된 복수의 동축케이블(4)은, 예를 들면 접착제(12)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동시에 파이프(2)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들 동축케이블(4)의 도출방향은, 예를 들면 센서나 커넥터 등이 설치되는 단말 처리방향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되고,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의 축선에 대해서 대략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비롯하여,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의 축선의 슬릿쪽에 대해서 예각을 이루는 방향이나, 또는, 둔각을 이루는 방향이 적당히 선택된다.
이들의 동축케이블(4)은, 당해 동축케이블(4)을 슬릿(3a)에 보내주어서 정렬할때에 당해 슬릿(3a)에 보내는 순서를 알기 쉽게해서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예를 들면, 가장 바깥층으로서의 외피(8)등의 노출하는 부분의 색이 바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파이프(2)는, 예를 들면 수지로 성형되어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사출성형에 의한 형성이 가능해지고, 형태의 자유도가 크고, 예를 들면, 단말에 접속되는 센서나 커넥터 등과 일체화하기 쉬운 형태를 용이하게 선택가능하게 되어있다.
이 파이프(2)를 구성하는 수지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열가소성재료 등이 적당히 선택되나, 동축케이블(4)이 파이프(2)와 접촉하여 스치는 등해서 파손된다고하는 불편이 발생하기 어렵도록, 그 경도가 동축케이블(4)의 가장 바깥층으로서의 외피(8)보다 작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접착제(12)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 등의 접착제가 적당히 선택되고 있다.
또, 파이프(2)의 내외경은, 이 파이프(2)에 수용하는 동축케이블(4)의 외경, 개수, 당해 파이프(2)를 고정할 것인가 아니할것인가 등에 의해 적당히 선택되나, 예를 들면, 케이블외피(11)의 외경이 1.5㎜의 10심케이블(도 4참조)의 단말이면, 예를 들면, 내경 1.0㎜, 외경 1.2㎜와 같이 파이프외경이 케이블외피외경과 동일정도이하의 파이프가 채용가능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선공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파이프(2)로서, 그 외경이, 당해 파이프(2)에 이르기 전의 집합체로서의 다심케이블(13)의 외경과 거의 변하지 않는 파이프가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심선의 정렬부(1)에 의하면, 한방향으로 향하도록 인접해서 병설하는 복수의 심선으로서의 동축케이블(4)을, 단말형성할때의 정렬순서로 파이프(2)의 슬릿(3a)에 단순히 보내준다고하는 작업으로, 이들의 복수의 동축케이블(4)이, 병설상태로부터 각도가 바뀌어져 슬릿(3a)에서 서로의 순번이 엇갈리는 일없이 일렬로 정렬되어서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되어 당해 파이프(2)에 고정된다고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복수의 동축케이블(4)의 파이프(2)에 이르기 전까지의 병설상태가 대략 유지되면서, 이들 동축케이블(4)의 정렬·구부림형상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밀도배선을 가능하게 하면서,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추가해서, 이와 같은 구성은 채용하는, 즉 슬릿(3a)에서 복수의 동축케이블(4)을 일렬로 정렬해서 구부림형상을 형성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홈지그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문제, 즉 심선(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축케이블의 정렬부분의 치수가 홈과 홈사이에 간막이가 있기 때문에 병렬방향으로 크게되어 기기내의 공간효율이 낮아진다고하는 문제도 해소되고, 또, 이 공간효율이 낮은 것에 기인해서 다른 기기부품과 당해 심선이 간섭해서 손상한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동축케이블(4)을 순차적으로 슬릿(3a)에 보내주어서 당해 슬릿(3a)의 폐색단부쪽으로 모아붙여 간다고하는 간이한 작업으로, 동축케이블(4)이 일렬로 정렬된다고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동축케이블(4) 정렬·구부림형상의 형성이 한층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성이 더 한층향상되고 있다. 또, 이와 같이 슬릿(3a)의 한쪽편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2)에 외력이 작용해도, 슬릿폭의 협소화가 방지되어서 소정폭이 확보되어, 동축케이블(4)의 손상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이 때문에, 동축케이블(4)의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여기서, 슬릿(3a)은, 그 폭이, 동축케이블(4)의 외경과 동일 정도이상이고 또한 동축케이블(4)의 외경의 2배를 밑돌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특히,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정렬하는 동축케이블(4)의 외경보다 0.01㎜이상 약간 굵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동축케이블(4)에 힘이 작용하여 당해 동축케이블(4)이 변형하면서 슬릿(3a)을 이동하는 경우의 일을 고려하면, 동축케이블(4)의 외경의 1.5배정도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동축케이블(4)을 파이프(2)에 고정할 때에 당해 동축케이블(4)이 슬릿(3a)에서 배열의 흐트러짐을 방생하지 않게 하려면, 동축케이블(4)의 외경과 슬릿(3a)의 폭은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슬릿(3a)의 폭을, 동축케이블(4)의 외경의 1.1배 정도로 하면, 동축케이블(4)의 폭방향의 변위가 동축케이블(4)의 외경의 10%정도가 되어, 단말을 예를 들면 센서나 커넥터 등에 접속할때의 단말처리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지파이프(2)에 대신해서, 금속파이프를 사용해도 된다. 이 파이프(2)를 구성하는 금속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재료가 적당히 선택된다. 특히, 의료용 등의 용도에는, 녹이 발생하기 어렵고 의료기기 재료에 적합한 스테인리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금속파이프(2)와 심선으로서의 상기 동축케이블(4)과의 고정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접착제(12)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파이프(2)에 이르기전까지의 다른 집합형태로서는,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상띠(14)에 의해 묶여서 한방향을 향하도록 인접해서 병설하는 집합체를 채용하는 일도 가능하다.
또, 동축케이블(4)에 대신해서, 도 6에 표시하는 피복선(15)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피복선(15)은, 예를 들면 구리선으로 이루어진 소선(素線)(16)이 복수개 맞꼬여진 도체(17)와, 이 도체(17)의 주위를 씌우는 절연체로서의 외피(18)를 구비한 것이다.
또, 동축케이블(4)에 대신해서, 도 7에 표시한 드레인와이어(23)를 포함한 동축케이블(19)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드레인와이어(23)를 포함한 동축케이블(19)은, 내부도체(21)의 주위를 씌우도록 절연체(22)가 배치되고, 이 절연체(22)의 외부에 드레인와이어(23)가 배치되는 동시에 당해 드레인와이어(23)와 절연체(22)의 주위를 일체적으로 씌우도록 외부도체로서의 금속증착막(24)이 피복되고, 또 이 금속증착막(24)을 씌우도록 예를 들면 8각형 등의 다각형을 이루는 외피(절연체)(25)가 피복된 것이다.
또한, 이후의 제 7실시형태까지는, 설명의 형편상, 동축케이블(4), 피복선(15), 드레인와이어(23)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19) 등을 총칭하는 경우에는, 심선이라고 호칭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부호(55)를 붙이고, 심선의 종류를 특정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호칭으로 부르는 동시에 그 해당하는 부호를 붙인다.
또, 파이프(2)에 이르기전까지의 또 다른 집합형태로서, 도 8에 표시한 초다심케이블(26)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초다심케이블(26)은, 예를 들면 상기 동축케이블(4)의 복수개와, 이 동축케이블(4)과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고 당해 동축케이블(4)과 동일 사이즈의 동축케이블(65)의 복수개와, 이들의 동축케이블(4),(65)과 사이즈가 다른 동축케이블(27)의 복수개를, 가로감기도체(28)를 개재해서 케이블외피(29)에 의해 씌운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집합형태를 채용했을 경우에는, 이들 동축케이블(4),(27),(65)의 단말쪽이, 가로감기도체(28), 케이블외피(29)로부터 도출되어서, 이들 전부의 동축케이블, 또는, 각 그룹마다의 일부씩의 동축케이블, 혹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선택된 동축케이블이, 파이프(2)에 도입되어 슬릿(3a)에 일렬로 정렬되어서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또한, 초다심케이블을 포함한 다심케이블의 구성으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 피복선과 같이 형태가 다른 복수의 종류의 심선을 수용하는 구성도 채용된다. 이 경우에는, 이들 전부의 심선(예를 들면 동축케이블 및 피복선을 수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 전부), 또는, 각 종류마다의 일부씩의 심선, 혹은, 적어도 2개이상의 선택된 심선이, 파이프(2)에 도입되어 슬릿(3a)에 일렬로 정렬되어서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또, 파이프(2)에 이르기전까지의 또다른 집합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은 초다심케이블과, 예를 들면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은 고리형상띠(14)에 의해 묶여진 집합체를 가진 복합집합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전부의 심선, 또는, 각 집합형태마다의 일부씩의 심선, 혹은, 적어도 2개이상의 선택된 심선이, 파이프(2)에 도입되어 슬릿(3a)에 일렬로 정렬되어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또한, 복합집합형태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종의 집합형태, 3종류이상의 집합형태라도 된다.
이상이, 여러가지 형태를 가진 제 1실시형태의 구성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제 2실시형태의 심선의 정렬부(10)가 제 1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슬릿(3a)와는 별개의 슬릿(3b)을 슬릿(3a)과는, 반대쪽의 파이프단부에도 형성하고, 이 슬릿(3b)에서도, 소정의 개수의 심선(55)을 일렬로 정렬하여 구부림형상을 형성해서 도출하고, 이들도 예를 들면 접착제(12)등에 의해 파이프(2)에 고정한 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것도 없으며, 이에 더하여, 파이프(2)의 한쪽편의 끝부분만으로부터 긴 슬릿이 형성되는 경우(슬릿(3a),(3b)의 합계길이의 슬릿이 한쪽편의 끝부분으로부터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슬릿폭을 확보하는 유지력이 크고, 심선(55)의 손상방지가 도모되고, 심선(55)의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특히, 슬릿에 정렬하는 심선(55)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유효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제 3실시형태의 심선의 정렬부(20)가 제 1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슬릿(3a)과는 별개의 슬릿(3c)을 파이프(2)의 둘레방향의 소정위치에 형성하고, 이 슬릿(3c)에서도, 소정의 개수의 심선(55)을 일렬로 정렬하여 구부림형상을 형성해서 도출하고, 이들도 예를 들면 접착제(12) 등에 의해 파이프(2)에 고정한 점이다.
이들의 슬릿(3a),(3c)의 형성위치는, 예를 들면 센서나 커넥터 등이 설치되는 단말처리방향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되고,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180°이간(離間)하는 위치(180°반대의 위치)를 비롯해서, 90°이간하는 위치 등의 여러 가지의 위치가 적당히 선택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것도 없으며, 이에 더하여, 복수의 심선(55)을 정렬해서 구부림형상을 형성하는 방향이 동일한 파이프(2)로 복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코스트로, 적용범위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다수의 심선(55)의 단말처리가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파이프(2)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슬릿(3a),(3c)은, 당해 파이프(2)의 둘레방향에 2개이나, 필요에 따라서 그 이상 형성해도 된다. 또, 이 제 3실시형태의 구성을, 제 2실시형태와 조합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제 4실시형태의 심선의 정렬부(30)가 제 1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파이프(2)의 바깥둘레의 일부에, 파이프(2)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평탄면(2a)을 형성하고, 이 평탄면(2a)을, 예를 들면 기기내의 벽면이나 기판 등의 평탄면(31)에 고정하도록 한 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것도 없으며, 이에 더하여, 파이프(2)의 평탄면(2a)에 의해, 당해 파이프(2)의 실장이 회전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되고, 실장성의 향상이 도모되어서, 제조코스트가 저감되어있다. 또한, 이 제 4실시형태의 구성을, 제 2, 제 3실시형태와 조합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제 5실시형태의 심선의 정렬부(40)가 제 1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심선의 정렬부를, 병설한 복수의 심선(55)의 중간부에 대해서 배치하여 분기형태로한 점이다. 이 심선(55)의 중간부에 대해서 배치되는 정렬부(40)는, 그 구성이, 예를 들면, 제 3실시형태의 정렬부(20)와 마찬가지이나, 이 정렬부(40)에서 구부림형상이 형성되어 파이프(2)밖으로 도출되는 심선이외의 복수의 심선(55)이, 이 정렬부(40)의 파이프(2)를 개재삽입해서 그 개구단부로부터 도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정렬부(40)의 파이프(2)를 개재삽입해서 도출하는 복수의 심선(55)의 단말쪽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제 1실시형태의 정렬부(1)가 적용되고, 정렬부(1)와 정렬부(40)와의 사이의 복수의 심선(55)에 대해서는, 이들 심선(55)의 보호를 도모하는 동시에 이들 심선(55)이 한방향을 향하도록 인접해서 병설하도록, 예를 들면, 제 1실시형태의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다심케이블(13)의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복수의 심선(55)의 중간부에 대한 정렬부(40)는, 제 1, 제 2, 제 4실시형태의 정렬부라도 되고, 또, 단말쪽에 적용되는 정렬부는, 제 2∼제 4실시형태의 정렬부라도 된다. 또, 정렬부(1)와 정렬부(4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심케이블(13)의 구성에 대신해서, 제 1실시형태의 도 5에서 설명한 고리형상띠(14)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것도 없으며, 이에 더하여, 복수의 심선(55)의 중간부에 대해서 배치되는 정렬부(40)에 의해, 일부의 복수의 심선(55)을 도중에서 분기하는 형태에도 적용가능하게 되어, 적용범위의 확대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정렬부(40)의 파이프(2)를 개재삽입해서 그 개구단부로부터 도출되는 심선(55)은 복수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수(單數)라도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제 6실시형태의 심선의 정렬부(50)가 제 1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파이프(2)를, 당해 파이프(2)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분할해서 파이프(2b),(2c)로 하고, 이들의 분할파이프(2b),(2c)를, 복수의 심선(55)의 소정위치에서 당해 심선(55)을 끼워넣도록 해서 짜맞추어 사용하도록 한 점이다. 이들의 분할파이프(2b),(2c)는, 예를 들면, 접착제(32)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추가해서, 특히, 제 5실시형태와 같이 파이프(2)가 복수의 심선(55)의 중간부에 대해서 배치되어서 분기형태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파이프(2)에 복수의 심선(55)의 단말을 도입해서 당해 파이프(2)를 복수의 심선(55)의 중간부로 이동해간다고 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이 파이프(2)를 복수의 심선(55)의 중간부로 이동해 간다고하는 일이 없어지게 되므로 심선(55)과 파이프(2)와의 접촉기회가 저감되어서 심선(55)의 손상방지가 도모되고, 심선(55)의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파이프(2)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분할파이프(2b),(2c)의 접합을, 예를 들면, 납땜으로 해도 된다. 또, 이 제 6실시형태의 구성을 제 2∼제 5실시형태와 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제 7실시형태의 심선의 정렬부는, 그 구성이, 제 1실시형태의 정렬부(1)와 마찬가지이며, 제 1실시형태와 다른점은, 이 정렬부(1)에서 구부려져서 일렬로 정렬된 복수의 심선(55)의 단말에, 이들 심선(55)의 단말을 일렬로 배열해서 접속하는 일괄커넥터(33)를 장착한 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하는 것은 말할것도 없으며, 이에 더하여, 커넥터(33)의 장착이 극히 용이하고, 당해 심선의 정렬부(1)로서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어 있다. 또한, 이 제 7실시형태의 구성을, 제 2∼제 6실시형태와 조합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하는 세로단면도이다. 이 제 8실시형태의 심선의 정렬부(60)가 제 1실시형태와 다른점은, 정렬부에 적용되는 심선을, 동축케이블(4)의 외피(8)를 제거해서 외부도체(7)가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한점이다.
이들의 외부도체(7)는,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파이프(2)의 슬릿(3)에서, 일렬로 정렬되어 구부림형상이 형성되어서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여기서, 파이프(2)가 예를 들면 금속 등의 납땜가능한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16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하는 복수의 외부도체(7)를 땜납(34)을 개재해서 파이프(2)에 접합하여 이들의 외부도체(7)를 파이프(2)를 개재해서 상호도통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파이프(2)를 구성하는 금속의 재료로서는, 납땜이 용이한 구리나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파이프(2)를 구성하는 금속의 재료를 스테인리스로한 경우에는, 납땜을 용이하게 하도록, 표면에 니켈이나 금에 의한 도금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파이프(2)가 예를 들면 수지의 경우에는, 이 수지파이프(2)의 표면에 예를 들면 금등을 증착하고 이 증착부에 대해서 땜납(34)을 사용함으로써,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하는 복수의 외부도체(7)를 당해 땜납(34)을 개재해서 상호접합하는 동시에 파이프(2)에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하는 복수의 외부도체(7)를,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접착제(12)에 의해 파이프(2)에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에 더하여, 이 제 8실시형태에서는, 도 1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정렬부(60)로부터 단말쪽의 외부도체(7)가 제거되어서 절연체(6)가 노출하고, 또 이 절연체(6)의 단말쪽이 제거되어서 중심도체(5)가 노출한 상태로 되어 있어, 단말처리로서의 예를 들면 센서나 커넥터 등에 대한 접속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렬부(60)에서 구부림형상이 형성되는 심선을, 동축케이블(4)의 외피(8)을 제거해서 외부도체(7)가 노출되어 있는 것에 대신해서, 제 1실시형태의 도 7에서 설명한 드레인와이어(23)를 포함한 동축케이블(19)의 외피(25)를 제거해서 외부도체(금속증착막)(24)가 노출해 있는 것(심선)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 제 8실시형태의 구성을, 제 2∼제 7실시형태와 조합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실시형태에 관한 심선의 정렬부를 표시하는 세로단면도이다. 이 제 9실시형태의 심선의 정렬부(70)에서는, 제 8실시형태의 정렬부(60)의 구성이 일부 한정되어 있는 동시에 신규의 구성이 추가되어, 보다 기능성이 향상된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이 제 9실시형태의 정렬부(70)에서는, 제 8실시형태의 정렬부(60)의 구성이 일부한정되고, 구체적으로는, 파이프(2)가 예를 들면 금속 등의 납땜가능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또한, 슬릿(3a)에서 정렬되어서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되는 외부도체(7)가 땜납(34)을 개재해서 파이프(2)에 접하되어 이들의 외부도체(7)가 파이프(2)를 개재해서 상호 도통되고, 또, 파이프(2)에 이르기전까지의 복수의 동축케이블(4)의 집합형태가, 이들 동축케이블(4)를 수용하는 접지용 시일드층으로서의 가로감기도체(9)를 구비한 다심케이블(13)로 되어 있다.
또, 이 제 9실시형태의 정렬부(70)에서는, 제 8실시형태의 정렬부(60)의 구성에 대해서 신규의 구성이 추가되며, 구체적으로는, 가로감기도체(9)가 케이블외피(11)로부터 도출되어서, 당해 가로감기도체(9)가 땜납(35)을 개재해서 파이프(2)에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위치는, 도 17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2)의 안둘레쪽이라도 되고,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의 바깥둘레쪽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제 8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하는 것은 말할것도 없으며, 이에 더하여, 동축케이블(4)을 수용하는 가로감기도체(9)를, 파이프(2)에 전기적으로 접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슬릿(3a)을 개재해서 파이프(2)내로부터 도출하는 복수의 외부도체(7)가 파이프(2)를 개재해서 가로감기도체(9)와 도통하고, 외부도체(7)를 특별히 접지하지 않아도 당해 외부도체(7)는 파이프(2), 가로감기도체(9)를 개재해서 접지되어, 제조코스트의 저감이 도모되는 동시에, 파이프(2)에 접합되는 가로감기도체(9)에 의해 당해파이프(2)의 앵커강도가 강화되어, 파이프(2)에 외력이 작용했을때의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는, 파이프(2)에 이르기전까지의 집합형태를 다심케이블(13)로해서, 이 다심케이블(13)의 가로감기도체(9)내에 수용되는 외부도체(7)를 당해 가로감기도체(9)로부터 도출하여, 이들을 파이프(2)의 슬릿(3a)에 일렬로 정렬하여 구부림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나, 슬릿(3a)에 일렬로 정렬해서 구부림형상을 형성하는 대상으로서는, 가로감기도체(9)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즉, 슬릿(3a)에 일렬로 정렬되어 구부림형상이 형성되는 것의 적어도 일부가, 파이프(2)에 이르기전에 있어서 가로감기도체(9)내에 수용되고, 이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가로감기도체(9)가, 파이프(2)에 전기적으로 접합되어 있으면 된다.
또, 동축케이블(4)의 외피(8)를 제거해서 외부도체(7)가 노출되어 있는 것에 대신해서, 드레인와이어(23)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19)의 외피(25)를 제거해서 외부도체(24)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이 제 9실시형태의 구성을, 제 2∼제 7실시형태와 조합시키는 것도 물론가능하다.
또한, 파이프(2)의 앵커강도를 강화할 뿐이라면, 파이프(2)는, 수지파이프라도되고, 땜납(34),(35) 대신에,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이프(2)를 고리형상파이프로 하고 있으나, 각 파이프이어도 된다. 또, 파이프(2)는, 직관(직선형상파이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렬한 심선의 도출방향에 따라서는, 일부 혹은 전체길이가 곡관이라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는 것으로 해서, 심선의 정렬부(1),(10),(20)∼(60),(70)를, 의료기기의 내시경이나 전자기기의 박형노트퍼스널컴퓨터 등에 적용하고 있으나, 그밖의 것에 대해서도 물론 적용가능하며, 특히, 좁은 공간에 복수의 심선을 배선하는 경우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렬되어서 구부림형상이 형성되는 대상을, 동축케이블(4), 피복선(5), 동축케이블(4)의 외피(8)를 제거해서 외부도체(7)가 노출하고 있는것, 드레인와이어(23)를 포함한 동축케이블(19)의 외피(25)를 제거해서 외부도체(24)가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도체 및 이 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절연체를 가지는 것이라면 된다.
본 발명의 심선의 정렬부는, 한방향으로 향하도록 인접해서 병설하는 복수의 심선을, 단말형성할때의 정렬순서로 파이프의 슬릿에 단순히 보내준다고하는 작업으로, 이들 복수의 심선을, 병설상태로부터 각도를 바꾸어 슬릿에서 서로의 순번이 엇갈리는 일없이 일렬로 정렬해서 파이프내로부터 도출해서 당해파이프에 고정하고, 복수의 심선의 정렬부에 이르기전까지의 병설상태를 대략 유지하면서 이들 심선의 정렬·구부림형상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고밀도배선을 가능하게 하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4)

  1. 도체 및 이 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절연체를 적어도 가지고 한 방향을 향하도록 인접해서 병설하는 복수의 심선(心線)을, 그 병설상태로부터 각도를 바꾸어서 일렬로 정렬한 상태로 단말 형성하기 위한 심선의 정렬부로서,
    슬릿을 가진 파이프를 구비하고,
    이 파이프의 슬릿은, 당해 파이프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동시에, 그 폭이, 상기 심선의 외경과 동일한 정도이상이고 또한 상기 심선의 외경의 2배를 믿돌도록 설정되고,
    상기 심선은, 단말형성할때의 정렬순서로 상기 슬릿에 일렬로 정렬되어서 상기 파이프내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심선과 상기 파이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은, 상기 도체와, 이 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상기 절연체로서의 외피를 구비한 피복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은, 상기 도체로서의 중심도체와, 이 중심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상기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주위를 씌우는 외부도체와, 이 외부도체의 주위를 씌우는 외피,를 구비한 동축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은,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기 외피를 제거해서 상기 외부도체가 노출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파이프의 끝부분으로부터 당해 파이프의 축선방향도중까지 잘려져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파이프의 양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슬릿은, 상기 파이프의 둘레방향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그 일부에 평탄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병설한 복수의 심선의 중간부에 대해서 배치되고,
    이들 심선의 일부의 심선이 상기 슬릿에 일렬로 정렬되어서, 당해 일부의 심선과 상기 파이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당해 파이프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분할되고, 이들 분할된 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심선의 소정위치에서 조합되어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렬로 정렬한 복수의 심선에, 당해 심선의 단말을 일렬로 배열하여 접속하는 일괄커넥터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하는 외부도체와, 상기 파이프내로부터 상기 슬릿을 개재해서 일렬로 정렬되어서 도출하고,
    이들 외부도체가, 도전성의 접착층을 개재해서 상호접합되는 동시에 상기 파이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납땜가능한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파이프에, 상기 복수의 외부도체가 땜납을 개재해서 접합되는 동시에, 이들 외부도체가, 당해 파이프를 개재해서 상호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파이프에 이르기전에 있어서 접지용의 시일드층내에 수용되고,
    이 시일드층이, 상기 파이프에 전기적으로 접합되어서, 상기 상호도통된 복수의 외부도체와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선의 정렬부.
KR1020000061815A 1999-10-26 2000-10-20 심선의 정렬부 KR200100511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04365 1999-10-26
JP30436599A JP3262165B2 (ja) 1999-10-26 1999-10-26 心線の整列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157A true KR20010051157A (ko) 2001-06-25

Family

ID=1793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815A KR20010051157A (ko) 1999-10-26 2000-10-20 심선의 정렬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88337B1 (ko)
EP (1) EP1096509B1 (ko)
JP (1) JP3262165B2 (ko)
KR (1) KR20010051157A (ko)
DE (1) DE60020200D1 (ko)
TW (1) TW4804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2486B1 (en) * 1999-10-19 2004-03-30 Permlight Products, Inc. Mounting arrangement for light emitting diodes
US6960722B2 (en) 2003-03-04 2005-11-01 Federal-Mogul World Wide, Inc. Multi-branch junction overwrap
EP1857420A4 (en) * 2005-03-08 2010-10-27 Asahi Glass Co Ltd CONSTRUCTION OF PLATINUM OR PLATINUM ALLOY AN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WITH
JP4764190B2 (ja) * 2006-01-31 2011-08-3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導電路
JP4910418B2 (ja) * 2006-02-22 2012-04-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多心ケーブルの製造方法
TW201401300A (zh) 2012-06-26 2014-01-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多芯纜線
JP2014022219A (ja) * 2012-07-19 2014-02-03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
WO2014066260A1 (en) * 2012-10-23 2014-05-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ignal transmission components for use with medical devices
USD745851S1 (en) * 2013-07-10 2015-12-22 Paracable, Inc. Electronics cable
JP6551733B2 (ja) * 2015-05-28 2019-07-31 日立金属株式会社 多芯シールドケーブル及びその分岐方法
JP2017056541A (ja) * 2015-09-20 2017-03-23 株式会社潤工社 線条体保持機構
US11067757B2 (en) * 2019-03-04 2021-07-20 Tyonek Manufacturing Group, LLC Optical wire transition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0827A (en) * 1967-11-14 1970-05-05 Etc Inc T-tap connectors
US3761603A (en) * 1972-11-14 1973-09-25 Amp Inc Wiring raceway
US5524338A (en) * 1991-10-22 1996-06-11 Pi Medica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implantable microelectrode
US5201903A (en) * 1991-10-22 1993-04-13 Pi (Medica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miniature multi-conductor electrical cable
JPH0546607U (ja) * 1991-12-04 1993-06-2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中間口出し装置
US5352855A (en) * 1993-03-23 1994-10-04 Cumming Electronics Company, Inc. Junction clamp for wiring har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6509B1 (en) 2005-05-18
US6288337B1 (en) 2001-09-11
DE60020200D1 (de) 2005-06-23
JP2001126542A (ja) 2001-05-11
TW480498B (en) 2002-03-21
JP3262165B2 (ja) 2002-03-04
EP1096509A3 (en) 2002-04-24
EP1096509A2 (en)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3640B2 (en) Shield cable, wiring component, and information apparatus
US7534138B1 (en) Electrical cable shielding terminal
US10411374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al body and cable connector
KR20010051157A (ko) 심선의 정렬부
KR20080038182A (ko)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그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 및 휴대단말기기
CN103119662A (zh) 线束防水结构
KR20030094314A (ko) 리본형 단부를 갖는 가요성 상호 접속 케이블
JP2010211937A (ja) コネクタ付き伝送ケーブル
US8735726B2 (en) Jacket for data cable
TW201019555A (en)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JP7042977B2 (ja) コネクタ
US1056670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electrical device mounted to a flexible carrier
JP2002523884A (ja) 外側フィルタボックス
US6914190B2 (en) System for modify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ical harness
KR20080090278A (ko)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
JP2007280666A (ja) 高速信号伝送用ハーネス
JP5325698B2 (ja) 電線接続ユニット
CN1996798A (zh) 数据链接模块
JP2021046052A (ja) ワイヤハーネス
JP6644824B2 (ja) 分岐回路体及び電線の分岐方法
JP2010114003A (ja) ケーブルアセンブリ
CN202094452U (zh) 小直径同轴电缆束
JPS59212813A (ja) 光フアイバ入り電力ケ−ブルの接続部
JP2023173332A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US20110280526A1 (en) Electrical Cable Having Return Wires Positioned Between Force W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