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8922A -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8922A
KR20010048922A KR1019990053805A KR19990053805A KR20010048922A KR 20010048922 A KR20010048922 A KR 20010048922A KR 1019990053805 A KR1019990053805 A KR 1019990053805A KR 19990053805 A KR19990053805 A KR 19990053805A KR 20010048922 A KR20010048922 A KR 20010048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time
setting volume
microwave
tim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효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8922A/ko
Publication of KR20010048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922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무전극 램프가 매우 넓은 지역에 설치되므로 램프를 온/오프시키는 것이 아주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램프를 자동으로 온시키기 위하여 램프-온시간을 설정하는 온시간 설정 볼륨과, 상기 램프가 온 된 후 계속해서 동작시키기 위한 램프-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 설정 볼륨과, 상기 온시간 설정 볼륨과 동작시간 설정 볼륨에서 각각 설정한 온시간에서 동작시간 동안 램프가 동작하도록 고압 발생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램프를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하여 램프 제어가 용이하고, 별도의 분전반을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시의 어려움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THE MICROWAVE LIGHTING ARRARATUS}
본 발명은 램프를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램프의 켜지는 시간과 동작시간을 볼륨으로 설정하여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공진기 속에 배치된 무전극 램프를 가지를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의 수명이 길고 발광 효율이 좋기 때문에 주목을 끌고 있다.
도 1은 종래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의 제어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100)와, 내부에 무전극 램프(102)를 가지며, 공급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공진시키고, 상기 램프(102)에서 마이크로 웨이브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시 그 변환된 빛을 최대한 밖으로 배출토록 하는 공진기(103)와, 상기 마그네트론(10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 웨이브를 상기 공진기(103)로 안내해주는 웨이브 가이드(104)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기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조작패널(106)과, 상기 조작패널(106)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른 기능을 인식하고, 그에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105)와, 상기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플러그(107)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AC)을 고압으로 승압시켜 상기 마그네트론(100)에 공급하는 고압 발생부(101)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용 교류전원(AC)이 플러그(107)를 통해 고압 발생부(101)로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패널(106)을 통해 공진기(103)내의 무전극 램프(102)를 온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제어부(105)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5)는 고압 발생부(101)로 동작신호를 공급한다.
이에따라 고압 발생부(101)는 제어부(105)의 동작신호에 따라 플러그(107)에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AC)을 승압하여 생성되는 고압을 마그네트론(100)에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마그네트론(100)은 고압에 의해 발진하여 매우 높은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웨이브 가이드(104)를 통해 공진기(103)내의 무전극 램프(102)에 집중시킨다.
이것에 수반하여 무전극 램프(102)가 마이크로 웨이브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빛을 발생시킨다.
이때 무전극 램프(102)가 빛을 발산할 때, 그 램프(102)의 중심온도는 수천도 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무전극 램프(102)를 껐다가 다시 켜기 위해서는 램프의 온도를 어느 수준 이하로 떨어뜨리기 위하여, 제어부(110)는 고압 발생부(101)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지시켜 무전극 램프(102)의 시동을 끝낸다.
이후에 다시 시동시키기 위하여 조작패널(106)을 통해 재시동 데이터를 제어부(105)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무전극 램프(102)의 시동이 끝난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고압 발생부(101)로 구동신호를 공급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이에따라 상기 고압 발생부(101)가 구동하여 플러그(107)에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AC)을 승압하여 생성되는 고압을 마그네트론(100)으로 인가한다.
이후에, 마그네트론(100)으로 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 웨이브의 에너지에 의해서 공진기(103)내의 무전극 램프(102)가 재시동하여 빛을 발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여러개의 무전극 램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램프 각각에 스위치를 장착하여 온/오프할 경우 설치된 곳에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램프를 온/오프시켜야 하므로 관리자에게 번거로움을 주고, 여러개의 무전극 램프를 분전반을 설치하여 제어하고자 할 경우 분전반에서 램프까지 각각의 전력선 또는 제어선을 연결하여야 하므로 설치의 어려움과 전력선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분전반을 설치하지 않고, 시간설정 볼륨으로 램프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도록 하여 램프 설치시의 어려움을 해소하도록 한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의 제어장치에 대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마그네트론 101 : 고압 발생부
102 : 무전극 램프 103 : 공진기
104 : 웨이브가이드 200 : 온시간 설정 볼륨
300 : 오프시간 설정 볼륨 400 :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램프를 자동으로 온시키기 위하여 램프-온시간을 설정하는 온시간 설정 볼륨과, 상기 램프가 온 된 후 계속해서 동작시키기 위한 램프-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 설정 볼륨과, 상기 온시간 설정 볼륨과 동작시간 설정 볼륨에서 각각 설정한 온시간에서 동작시간 동안 램프가 동작하도록 고압 발생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고압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압에 의해 발진되어 램프로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100)와, 내부에 무전극 램프(102)를 가지며, 공급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공진시키고, 상기 램프(102)에서 마이크로 웨이브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시 그 변환된 빛을 최대한 밖으로 배출토록 하는 공진기(103)와, 상기 마그네트론(10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 웨이브를 상기 공진기(103)로 안내해주는 웨이브 가이드(104)와, 램프를 자동으로 온시키기 위하여 램프-온시간을 설정하는 온시간 설정 볼륨(200)과, 상기 램프가 온 된 후 계속해서 동작시키기 위한 램프-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 설정 볼륨(300)과, 상기 온시간 설정 볼륨(200)과 동작시간 설정 볼륨(300)에서 각각 설정한 온시간에서 동작시간 동안 램프가 동작하도록 고압 발생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플러그(107)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AC)을 고압으로 승압시켜 상기 마그네트론(100)에 공급하는 고압 발생부(101)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400)가 고압 발생부(101)로 구동신호를 제공하면, 상기 고압 발생부(101)는 플러그(107)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AC)을 승압하여 고압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고압을 마그네트론(100)으로 발생시킨다.
그러면 상기 마그네트론(100)은 고압에 의해 발진하여 매우 높은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웨이브 가이드(104)를 통해 공진기(103)내의 무전극 램프(102)에 집중시킨다.
이것에 수반하여 무전극 램프(102)가 마이크로 웨이브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빛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고압 발생부(101)로 구동신호를 공급하지 않으면, 상기 고압 발생부(101)는 동작을 정지시켜 고압을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전극 램프(102)에는 마이크로 웨이브의 공급이 차단되어 오프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램프는 고출력으로 램프 한 개로 넓은 범위의 조명이 가능하므로, 공항이나 운동장 또는 가로등이나 공장 등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그 넓은 장소에 설치되는 램프를 온 또는 오프시키려면, 램프가 설치된 장소를 찾아가 스위치를 이용하여 온/오프시켜야 하므로 관리자나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게된다.
따라서 관리자나 사용자가 직접 램프가 설치된 장소를 찾아가지 않고 자동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온시간 설정 볼륨(200)과 동작시간 설정 볼륨(300)을 설치하여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온시간 설정 볼륨(200)은 램프를 켜야 할 시점을 설정한다.
따라서 온시간 설정 볼륨(200)은 24시간제에 맞도록 1단계에서 24단계로 설정한다.
가령, 사용자가 온시간 설정 볼륨(200)을 이용하여 5단계로 설정해 놓으면, 이는 오전 5시에 램프를 온시킬 시간이 되는 것이다.
또한 동작시간 설정 볼륨(300)은 램프가 켜진 시간부터 얼마 후에 꺼지도록 하기 위해 설정한다.
상기 동작시간 설정 볼륨(300)은 상기 온시간 설정 볼륨(200)과 마찬가지로 24단계로 설정한다.
가령, 사용자가 동작시간 설정 볼륨(300)을 이용하여 3단계로 설정해 놓으면, 이는 램프가 온 된 후 3시간동안 온시키다가 오프시키는 시간이 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오후 6시에 램프를 온하고, 오전 6시에 오프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온시간 설정 볼륨(200)을 18단계로 설정하고, 동작시간 설정 볼륨(300)을 12단계로 설정하면 된다.
상기 온시간 설정 볼륨(200) 및 동작시간 설정 볼륨(300)을 이용하여 램프-온시간 및 램프 동작시간을 설정하게 되면, 이는 제어부(400)가 인식하게 된다.
이렇게 램프-온시간과 램프 동작시간을 인식한 제어부(400)는 램프를 온시킬 시간이 되면 고압 구동부(101)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압 구동부(101)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AC)을 승압하여 생성되는 고압을 마그네트론(100)으로 인가하여 발진되도록 하고, 이 발진에 의해 마그네트론(100)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무전극 램프(102)로 전달하면, 상기 무전극 램프(102)는 마이크로 웨이브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빛을 낸다.
이와같은 동작을 동작시간 설정 볼륨(300)에서 설정한 동작시간 동안 수행한다.
그러다가 동작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고압 발생부(101)로 제공하던 구동신호를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압 발생부(101)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무전극 램프(102)로 마이크로 웨이브의 공급이 차단되고, 이에따라 무전극 램프(102)는 오프상태가 된다.
이때 온시간 설정 볼륨(200)과 동작시간 설정 볼륨(300)에 의해 설정된 램프-온시간과 동작시간은 제어부(400) 내부에 있는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카운트한다.
이와같이 온시간 설정 볼륨(200)과 동작시간 설정 볼륨(300)을 이용하여 램프를 켜기 위한 램프-온시간과 동작시간을 설정하여 둠으로써, 관리자가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램프를 구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관리자의 램프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분전반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설치시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램프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도록 하여 램프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과, 내부에 무전극 램프를 가지며, 공급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공진시키고, 마이크로 웨이브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시킨 것을 최대한 밖으로 배출토록 하는 공진기와, 상기 램프를 자동으로 온시키기 위하여 램프-온시간을 설정하는 온시간 설정 볼륨과, 상기 램프가 온 된 후 계속해서 동작시키기 위한 램프-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 설정 볼륨과, 상기 온시간 설정 볼륨과 동작시간 설정 볼륨에서 각각 설정한 온시간에서 동작시간 동안 램프가 동작하도록 고압을 마그네트론으로 공급하는 고압 발생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온시간 설정 볼륨은 24시간제에 맞도록 24단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동작시간 설정 볼륨은 24단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KR1019990053805A 1999-11-30 1999-11-30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KR20010048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805A KR20010048922A (ko) 1999-11-30 1999-11-30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805A KR20010048922A (ko) 1999-11-30 1999-11-30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922A true KR20010048922A (ko) 2001-06-15

Family

ID=1962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805A KR20010048922A (ko) 1999-11-30 1999-11-30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89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4350A (en) Illuminator for cultivating plant
KR940702677A (ko) 전원 회로(Power supply circuit)
KR910020796A (ko) 무전극 고광도 방전 램프 시스템 및 이의 점등 회로
US6570347B2 (en) Gas-discharge lamp having brightness control
PL342398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ctronic ballasts for hid discharge lamps
JP2002216501A (ja) マイクロ波を利用した照明装置
JP4272084B2 (ja) 無電極照明機器
KR20010048922A (ko)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KR20010023039A (ko) 비상구 표시를 위한 저전압 고효율 형광등
CA2208857A1 (en) Method of hot restarting a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KR20010048919A (ko) 원격제어용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KR20050018217A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구동장치
KR20010048921A (ko)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KR100438619B1 (ko)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및 방법
KR100343685B1 (ko)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시스템의 재시동 제어방법
JP3925307B2 (ja) 高圧放電ランプ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KR20090053416A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KR100408057B1 (ko)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KR100291997B1 (ko) 마이크로파 방전광원 시스템의 재시동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393783B1 (ko) 보조 램프가 구비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20030064093A (ko) 마이크로 웨이브 조명장치 및 방법
CN100442433C (zh) 微波照明装置及照明方法
KR100504922B1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장치
JPH11260585A (ja) 照明装置
KR100425725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