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8631A - 제선, 제강 및 주물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와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하여 다공성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제선, 제강 및 주물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와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하여 다공성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8631A
KR20010048631A KR1019990053397A KR19990053397A KR20010048631A KR 20010048631 A KR20010048631 A KR 20010048631A KR 1019990053397 A KR1019990053397 A KR 1019990053397A KR 19990053397 A KR19990053397 A KR 19990053397A KR 20010048631 A KR20010048631 A KR 20010048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lag
oxide
liquid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888B1 (ko
Inventor
최식영
Original Assignee
최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식영 filed Critical 최식영
Priority to KR101999005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88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04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using waste materials or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burning-out added substances by burning natural expanding materials or by sublimating or melting out added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철강산업 공정에서 폐기물로 연간 수백만톤 발생되는 고로, 제강 및 주물 슬래그(Slag)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발생되는 폐기물인 미분사를 재활용하기 위해 이 폐기물들을 제조함으로써 얻어지는 다공성 세라믹에 관한 것으로서 세라믹 내의 기공성을 이용하여 흡착 작용과 미생물 담체 소재로 활용하여 정화가 어려운 염색폐수, 쓰레기 침출수 및 축산 폐수 등을 쉽게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소결체의 세라믹 제조 방법은 입자크기 1㎜이하로 파쇄한 슬래그와 700㎛ 이하인 미분사를 1:0 내지 1:1의 중량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물에 5내지 20중량 %의 물을 첨가한 후 입경에 5㎜내지 20㎜가 되도록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물을 200℃내지 300℃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850℃내지 1,200℃로 소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성형물에는 0.1내지 30중량%의 규조토분말 또는 액상, 석탄분말 또는 액상, 제올라이트(백토)분말 또는 액상, 산화아연(ZnO)분말 또는 액상, 산화구리(CuO)분말 또는 액상, 산화티타늄(TiO2)분말 또는 액상, 산화은(AgO)분말 또는 액상, 백금(Pt)분말 또는 액상, 석회분말 또는 액상, 석고분말 또는 액상, 반토(Al2(SO4)3·nH2O)분말 또는 액상 및 활성탄분말 또는 액상, 장석분말 또는 액상을 함께 첨가하여 촉매제 및 미생물 성장 담체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제선, 제강 및 주물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하여 다공성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 방법{The multi-pore ceramic using the slag of the by-products from iron-steel-industry and waste casting sand dus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선, 제강 및 주물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slag)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하여 다공성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슬래그는 크게 제선 슬래그(고로 Slag)와 제강 및 주물 슬래그로 대별될 수 있는데 제선 슬래그는 선철을 만들 때 발생되는 부산물이며, 제강 슬래그는 선철을 강철로 만들 때 발생하는 부산물이며, 주물 슬래그는 금속 주물을 만들 때 발생하는 부산물이다(이하 "슬래그"라 칭함).
주성분은 CaO, SiO2및 철분(Fe, FeO, Fe2O3)으로서 70%-95%이루고 있으며, 그 외에 MgO, Al2O3, MnO 등이 함유되어져 있다.
제선 슬래그는 토목용 골재로 재활용되어지고 있으나 제강 슬래그는 산화칼슘(CaO)에 의한 팽창, 붕괴로 인하여 토목용 골재로 사용이 어려워 대부분 매립 및 노상 방치 등의 방법으로 연간 수백만톤이 폐기되어지고 있다.
제철소 등 주물공장에서 발생되는 폐주물사의 집진 분진은 그 일부를 소결하여 식물성장 토양재로 재활용하고 있으나 그 대부분은 재활용이 불가능한 미세한 입자상태(이하 ″미분사″라 칭함)이기 때문에 그 대부분을 매립 등의 방법으로 폐기하고 있다.
상술한 슬래그와 미분사는 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알칼리 토금속(CaO, MgO)들의 산화물로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미분사와 슬래그를 각각 소결한 세라믹 만으로는 쓰레기침출수, 축산폐수 및 염색폐수 등을 치유할 수 없다. 왜냐하면 미분사나 슬래그 자체만을 소결하면 세라믹 성질만 나타냄으로서 수질을 정화하는 중요 수단인 인(P) 및 질소(N) 등의 미세 오염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기공 형성과 오염 물질을 분해시키는 물질과, 오염원과 반응하기 위한 큰 반응 표면적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슬래그에 미분사를 혼합하여 소결하면 미분사에 의하여 소결체 부피의 20%에서 85%까지 기공율을 형성하여 고농도로 오염된 수질, 즉 쓰레기 침출수, 축산폐수 및 염료 폐수 등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성 정화제는 폐기 처분되고 있는 슬래그와 미분사를 혼합한 다공성 소결체의 세라믹인 환경 정화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래그의 주성분인 Wollastonite(CaSiO3) 결정 구조에 미분사를 혼합 후, 규조토분말 또는 액상, 석탄분말 또는 액상, 제올라이트(백토)분말 또는 액상, 산화아연(ZnO)분말 또는 액상, 산화구리(CuO)분말 또는 액상, 산화티타늄(TiO2)분말 또는 액상, 산화은(AgO)분말 또는 액상, 백금(Pt)분말 또는 액상, 석회분말 또는 액상, 석고분말 또는 액상, 반토(Al2(SO4)3·nH2O)분말 또는 액상 및 활성탄분말 또는 액상, 장석분말 또는 액상 중의 어느 하나를 첨가하여 광촉매제의 역할과 미생물 성장 담체로 합성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원석 슬래그를 전자주사현미경으로 100배 확대한 사진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슬래그와 미분사의 중량비율 4:1로 소성한 다공성 세라믹의 100배 확대 사진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슬래그와 미분사의 중량비율 4:1로 소성한 세라믹에 하수물을 통과시 COD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소결체의 세라믹 제조 방법은 입자크기 2㎜이하인 슬래그에 700㎛이하인 미분사를 최대 50%중량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입경이 소정크기가 되도록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물을 소정시간 건조시킨 후 850℃내지 1200℃로 소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래그와 미분사를 혼합할 때 또는 상기 소결체에 0.1 내지 30중량%의 규조토, 석탄, 제올라이트(백토), 산화아연(ZnO), 산화구리(CuO), 산화티타늄(TiO2), 산화은(AgO), 백금(Pt), 석회, 석고, 반토(Al2(SO4)3·nH2O) 및 활성탄, 장석 중 어느 하나가 첨가하여 광촉매제 및 미생물 성장 담체 용도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슬래그의 입자와 미분사의 입자의 크기는 가능한 작은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슬래그는 2㎜이하로 하는 것이 반응효율상 유리하다. 즉, 슬래그 입자기 너무 크거나 미분사의 입자의 크기가 적정 이상이 되면, 기공의 표면적이 적게 생성되며, 효율적인 정화제로 제조되기 어렵게 되어 소성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슬래그를 작은 크기로 파쇄할 때, 슬래그가 균일하지 않으므로 일부는 작은 크기로 파쇄되지 않는 것도 있을 수 있으나, 2mm이하가 많도록 해야한다.
슬래그와 미분사의 비율은 미분사가 슬래그의 50wt%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사에서 발생되는 기체에 의해서 슬래그 내에 기공이 형성되어짐으로서 미분사가 없으면, 미분사에 의한 기체 발생량이 적어 기공형성이 어렵고 동시에 성형이 어렵게 되며, 미분사가 50wt% 이상으로 미분사 중량비가 크게 되면 슬래그 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기공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슬래그와 미분사를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는 소결시에 반응이 골고루 용이하게 일어나 균일한 물질을 얻고 기공 또한 균일하게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혼합물에 물을 혼합할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의 물을 더한다. 물의 중량비가 5미만이 되면 성형물의 성형과 소결할 때 균열이 일어나 반응성이 떨어지고, 20% 초과시에는 성형 후 입경 크기 분포가 균일하지 않게 되어 원하지 않는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슬래그와 미분사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얻어진 재료를 과립(Granule)형태로 성형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입자 크기 5㎜ 내지 20㎜로 한다. 입경 크기를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은 소결시 반응성을 좋게 하여 다공성 세라믹을 얻기 위함이다. 입경이 약 5㎜정도로 작을수록 소결시 반응성이 좋으며, 20㎜를 초과하게 되면 입자가 커서 반응열이 입자 내부까지 전달되지 않아 반응성이 떨어져 균일한 기공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성형을 수행하는 것은 슬래그와 미분사 입자간의 거리를 가깝게 함으로써 반응성을 증가시켜 반응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또한 반응 온도의 전달이 용이하며, 또한 수질 여과제로 사용후 회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성형한 혼합물을 건조시킨다. 건조온도 및 건조시간은 최종품의 용도에 따라 달라지는 바, 예를 들어 높은 온도에서 빠른 시간에 건조시키면 강도가 떨어지게되고, 낮은 온도에서 천천히 건조시키면 강도가 향상된다.
즉, 필요에 따라서는 자연건조도 가능하지만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300℃이상에서도 가능하다. 효율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에서 0. 5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한다. 입경이 5mm인 성형물의 내부까지 건조에는 상기 온도에서 약 1시간이, 만약 입경이 20mm인 성형물은 약 1.5내지 2시간이 소요된다. 건조온도가 400℃를 초과하면 원하지 않는 다른 세라믹 구조로 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건조가 완결되면, 재료를 850℃내지 1,200℃에서 소결 시킨다. 850℃에서부터 슬래그의 반응이 시작되어 1,200℃ 이하에서 반응이 끝나며, 사용 용도에 따라 상기 온도범위 내에서 소결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850℃ 미만에서 슬래그는 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1,200℃보다 고온에서는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세라믹성 구조가 아닌 다른 세라믹 구조로 변형이 일어난다.
상기 성형단계와 건조단계 사이에, 0.1 내지 30 중량%의 규조토분말 또는 액상, 석탄분말 또는 액상, 제올라이트(백토)분말 또는 액상, 산화아연(ZnO)분말 또는 액상, 산화구리(CuO)분말 또는 액상, 산화티타늄(TiO2)분말 또는 액상, 산화은(AgO)분말 또는 액상, 백금(Pt)분말 또는 액상, 석회분말 또는 액상, 석고분말 또는 액상, 반토(Al2(SO4)3·nH2O)분말 또는 액상 및 활성탄분말 또는 액상, 장석분말 또는 액상 중 어느 하나를 첨가할 수 있다. 이들을 첨가하는 것은 수중 유기물을 광분해하는 성질을 더욱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첨가물의 중량비가 0.1% 미만이 되면 광촉매 역할이 미비하고, 30% 초과시에는 다공성 세라믹이 만들어지기 어려워 좋지 않다.
전술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세라믹을 제조하기 위한 슬래그와 미분사를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비를 아래 표 1 내지 표 2와 같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슬래그의 구성비율은 예를 들어 표 1과 같다.
[표1] 슬래그의 구성성분 및 구성비율
구성 성분 구성 비율(%)
SiO2 10 ∼ 55
Al2O3 2 ∼ 16
Fe2O3 2 ∼ 5
Na2O 0.5 ∼ 1.5
K2O 0.1 ∼ 1
CaO 25 ∼ 70
MnO 2 ∼ 7
TiO2 0.1 ∼ 1
SO3 0.1 ∼ 0.5
또한 미분사의 구성성분 및 구성성분의 비율은 예를들어 표 2와 같다.
[표2] 미분사의 구성성분 및 구성비율
구성 성분 구성 비율(%)
SiO2 60 ∼ 75
Al2O3 10 ∼ 15
Fe2O3 2 ∼ 5
Na2O 0.5 ∼ 2
K2O 1 ∼ 3
CaO 2 ∼ 5
MgO 2 ∼ 4
TiO2 0.05 ∼ 0.5
유기물질 5 ∼ 8
도 1는 원석 슬래그를 전자주사현미경으로 100배 확대한 그림이며, 기공율이 5% 이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슬래그와 미분사 중량 혼합비 4:1로 소성 온도에서 소결한 다공성 세라믹의 단면을 현미경으로 촬영한 그림은 도 2이며, 그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mm로부터 nm크기까지 여러 크기의 기공을 가지며, 이때 기공율은 약 85%였다.
여기서 소결체에 규조토분말 또는 액상, 석탄분말 또는 액상, 제올라이트(백토)분말 또는 액상, 산화아연(ZnO)분말 또는 액상, 산화구리(CuO)분말 또는 액상, 산화티타늄(TiO2)분말 또는 액상, 산화은(AgO)분말 또는 액상, 백금(Pt)분말 또는 액상, 석회분말 또는 액상, 석고분말 또는 액상, 반토(Al2(SO4)3·nH2O)분말 또는 액상 및 활성탄분말 또는 액상, 장석분말 또는 액상 중 어느 하나를 첨가하여 다공성세라믹 정화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쓰레기 침출수, 축산폐수, 염료 폐수 하수 등의 고농도 폐수에 본 발명에 따라서 얻어지는 다공성 소결체를 투입할 경우 수질을 개선할 수가 있으며, 이에 물을 흐르게 하거나 순환 시켜 줌으로서 수질정화에 더욱 효과적이다.
결과적으로 소결체가 다공성으로 제조되어야만 고농도로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다. 미분사가 첨가되지 않은 슬래그는 다공성의 기공을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고농도로 오염된 수질, 즉 쓰레기 침출수, 축산폐수, 염료폐수 등의 수질을 정화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소결체인 세라믹으로 고농도 폐수를 정화하는데 사용한 이후 300℃에서 1시간 건조 후 600℃내지 800℃에서 1시간 소결 처리하여 재활용하거나 높은 기공성으로 토양 개량제 또는 식물성장용으로 재사용 할 수 있으므로 2차오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 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소결체의 세라믹을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입자 크기가 2mm이하인 슬래그와 700μm 이하인 미분사를 중량비 4:1로 균일하게 혼합 후, 20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물이 첨가된 혼합물을 입경이 약 5mm내지 15mm인 크기를 갖는 입상 형태로 성형한다.
상기 성형물을 200내지 3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전기로에서 850내지 1200℃로 소결하여 다공성 세라믹을 제조한다.
이때 얻어지는 소결체는 기공율이 75 내지 85%인 다공성이며, 비중이 0.4내지 0.7로서 물에 뜨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 제조한 다공성 세라믹은 하수처리 필터제로 사용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COD 250ppm인 하수물이 20ppm이하로 처리되었다. 본 발명의 다공성 소결체 500g에 유량은 30분에 1L를 필터 시켰으며, 30분 간격으로 필터 되어 나온 물을 측정하였다. 원수의 COD가 250ppm인 경우에 비하여 최종 필터수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12ppm정도로 떨어 졌으며, 냄새도 일부 제거되었다
제 2 실시 예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소결체의 세라믹을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입자 크기가 2mm이하인 슬래그와 700μm 이하인 미분사를 중량비 4:1로 균일하게 혼합 후, 20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물이 첨가된 혼합물을 입경이 약 5mm내지 15mm인 크기를 갖는 입상 형태로 성형한다.
상기 성형물을 200내지 3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전기로에서 850내지 1200℃로 소결하여 다공성 세라믹을 제조하고 이 다공성 세라믹에 0.1내지 30중량% 석탄을 물과 혼합하여 첨가 후, 다시 850내지 1200℃로 소결하여 1시간 동안 소결함으로서 석탄의 탄소 성분을 기공 내에 코팅된 다공성 세라믹을 제조한다.
제 2실시 예에서 제조한 활성 탄화된 다공성 세라믹은 쓰레기 침출수, 축산 폐수, 염료폐수의 수질 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소결체의 세라믹을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입자 크기가 2mm이하인 슬래그와 700μm 이하인 미분사를 중량비 4:1로 균일하게 혼합 후, 20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물이 첨가된 혼합물을 입경이 약 5mm내지 15mm인 크기를 갖는 입상 형태로 성형한다.
상기 성형물을 200내지 30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전기로에서 850내지 1200℃로 소결하여 다공성 세라믹을 제조하고 이 다공성 세라믹에 1내지 30중량% 규조토분말 또는 액상, 석탄분말 또는 액상, 제올라이트(백토)분말 또는 액상, 산화아연(ZnO)분말 또는 액상, 산화구리(CuO)분말 또는 액상, 산화티타늄(TiO2)분말 또는 액상, 산화은(AgO)분말 또는 액상, 백금(Pt)분말 또는 액상, 석회분말 또는 액상, 석고분말 또는 액상, 반토(Al2(SO4)3·nH2O)분말 또는 액상 및 활성탄분말 또는 액상, 장석분말 또는 액상을 혼합하여 첨가 후, 다시 500 내지 1,150℃로 1시간 소결함으로서 다공성 세라믹의 기공 내에 촉매제를 코팅하여 촉매용 다공성 세라믹을 제조한다.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제조한 촉매용 다공성 세라믹의 비중은 1보다 적어서 물에 뜨는 성질을 이용하여 하수, 축산폐수, 쓰레기 침출수 염료폐수가 모여 있는 곳에 투입하에 되면 촉매에 의한 정화 능력을 강화시켜 준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정신은 슬래그에 소정량의 미분사를 추가하여 적정온도에서 소성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는 고로(高爐) 또는 전로(電爐)에서 유출되는 슬래그가 적정온도, 예컨데 850-1200℃ 범위내에서 미분사를 적정량 예컨데 50wt%이하로 혼합하여도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다공성 세라믹 정화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이때에도 필요한 경우 상기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는 바, 첨가제는 규조토분말, 석탄분말, 제올라이트(백토)분말, 산화아연(ZnO)분말, 산화구리(CuO)분말, 산화티타늄(TiO2)분말, 산화은(AgO)분말, 백금(Pt)분말, 석회분말, 석고분말, 반토(Al2(SO4)3·nH2O)분말 및 활성탄분말, 장석분말 중 하나를 혼합하면 원하는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세라믹 정화제를 얻을 수 있다.
연간 수백만톤 이상 산업폐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와 미분사를 재활용하기 위해 이 폐기물들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서 기공율 20내지 85%까지 다양한 다공성 세라믹을 만들어 냄으로서 축산폐수, 쓰레기 침출수, 염료 폐수, 하수 처리제, 미생물 성장 담체로 활용하며, 규조토분말 또는 액상, 석탄분말 또는 액상, 제올라이트(백토)분말 또는 액상, 산화아연(ZnO)분말 또는 액상, 산화구리(CuO)분말 또는 액상, 산화티타늄(TiO2)분말 또는 액상, 산화은(AgO)분말 또는 액상, 백금(Pt)분말 또는 액상, 석회분말 또는 액상, 석고분말 또는 액상, 반토(Al2(SO4)3·nH2O)분말 또는 액상 및 활성탄분말 또는 액상, 장석분말 또는 액상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서 고농도 폐수를 쉽게 정화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세라믹은 환경 친화제로 사용한 후 폐기물화 되지 않고 다시 소결 후 재활용하여 최종적으로 토양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보전 및 개선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여러가지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입자크기가 2mm이하인 슬래그에 700㎛이하의 미분사를 최대한 50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소정의 크기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물을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성형물을 850 내지 1,200℃로 소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다공성 세라믹 정화제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와 미분사를 혼할할때 0.05내지 30 중량%의 규조토, 석탄, 제올라이트(백토), 산화아연(ZnO), 산화구리(CuO), 산화티타늄(TiO2), 산화은(AgO) , 백금(Pt) , 석회 , 석고 , 반토(Al2(SO4)3·nH2O) 및 활성탄 , 장석을 포함하는 그룸 중 어느 하나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단계 후에 0.05내지 30 중량%의 규조토, 석탄, 제올라이트(백토), 산화아연(ZnO), 산화구리(CuO), 산화티타늄(TiO2), 산화은(AgO) , 백금(Pt) , 석회 , 석고 , 반토(Al2(SO4)3·nH2O) 및 활성탄 , 장석을 포함하는 그룸 중 어느 하나가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첨가단계 후에 다시 850 내지 1,200℃로 소성하는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세라믹
  5. 850 내지 1200℃의 범위내의 슬래그에 미분사를 최대 50 wt% 첨가하여 다공성세라믹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규조토, 석탄, 제올라이트(백토), 산화아연(ZnO), 산화구리(CuO), 산화티타늄(TiO2), 산화은(AgO) , 백금(Pt) , 석회 , 석고 , 반토(Al2(SO4)3·nH2O) 및 활성탄 , 장석을 포함하는 그룸 중 어느 하나가 첨가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53397A 1999-11-29 1999-11-29 제선, 제강 및 주물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하여 다공성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35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397A KR100358888B1 (ko) 1999-11-29 1999-11-29 제선, 제강 및 주물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하여 다공성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397A KR100358888B1 (ko) 1999-11-29 1999-11-29 제선, 제강 및 주물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하여 다공성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631A true KR20010048631A (ko) 2001-06-15
KR100358888B1 KR100358888B1 (ko) 2002-11-01

Family

ID=1962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397A KR100358888B1 (ko) 1999-11-29 1999-11-29 제선, 제강 및 주물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하여 다공성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8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064A (ko) * 2001-12-04 2003-06-12 이성문 산업 폐기물인 폐석회석과 쇠찌거기(스퍼치)를 이용한건축자재 및 벽돌,보도불록,기와,텍스,흙바이오보드(흙판)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1772B1 (ko) * 2011-12-28 2012-05-3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제강전로 슬래그를 이용한 산성폐수의 중금속 제거제
KR101240589B1 (ko) * 2010-11-24 2013-03-11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인 제거용 세라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204407A1 (ko) * 2014-06-18 2016-12-2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중금속 오염 퇴적물의 생물학적 피복 정화 방법
CN112876234A (zh) * 2020-12-29 2021-06-01 苏州金宏气体股份有限公司 Pt单原子ZnO压电多孔陶瓷、其制法及高效制氢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2494A (zh) * 2018-08-06 2018-11-27 德威特涂料有限公司 一种纳米二氧化钛-矿渣-硅藻土复合建筑材料的制备方法
CN112876282A (zh) * 2021-02-02 2021-06-01 山东电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陶瓷板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794A (ja) * 1984-07-10 1986-01-30 Nippon Jiryoku Senko Kk 製鋼スラグの利用方法
JPH0647479A (ja) * 1992-07-28 1994-02-22 Sanei Shirika:Kk 人工鋳物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26890B1 (ko) * 1995-10-23 1999-10-15 이구택 혼합 더스트를 첨가한 소결광 제조방법
JP3386704B2 (ja) * 1997-12-05 2003-03-17 新東工業株式会社 鋳造廃棄物の処理方法
KR100332368B1 (ko) * 1998-07-02 2002-08-22 쌍용양회공업(주) 다기능성다공성세라믹스의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064A (ko) * 2001-12-04 2003-06-12 이성문 산업 폐기물인 폐석회석과 쇠찌거기(스퍼치)를 이용한건축자재 및 벽돌,보도불록,기와,텍스,흙바이오보드(흙판)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0589B1 (ko) * 2010-11-24 2013-03-11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인 제거용 세라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1772B1 (ko) * 2011-12-28 2012-05-3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제강전로 슬래그를 이용한 산성폐수의 중금속 제거제
WO2016204407A1 (ko) * 2014-06-18 2016-12-2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중금속 오염 퇴적물의 생물학적 피복 정화 방법
CN112876234A (zh) * 2020-12-29 2021-06-01 苏州金宏气体股份有限公司 Pt单原子ZnO压电多孔陶瓷、其制法及高效制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888B1 (ko) 200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Preparation of ceramsite from municipal sludge and its application in water treatment: A review
Zhang et al. Self-cementation solidification of heavy metals in lead-zinc smelting slag through alkali-activated materials
KR101484478B1 (ko)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
CN108440013A (zh) 一种曝气生物滤池用陶粒滤料及其制备方法
KR100358888B1 (ko) 제선, 제강 및 주물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하여 다공성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434679B1 (ko) 폐기물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용 다공성 담체 및 그제조방법
KR100305091B1 (ko) 석회와주물모래형틀로부터생성되는미분사를이용한세라믹성제올라이트정화제및그제조방법
KR101779092B1 (ko) 슬래그를 이용한 악취제거 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845521B1 (ko) 인공습지용 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393267B1 (ko) 축산폐수 정화처리를 위한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계단형폐수처리 시스템
KR100769218B1 (ko) 폐기물 용융 공정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이용한 흡착제 및그 제조 방법
JP2005230689A (ja) 排水中に含まれる窒素・燐を除去する水路、部材および排水中に含まれる窒素・燐の除去方法
KR20140081952A (ko) 석탄재를 이용한 폐수 내 유기물질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473763B (zh) 一种污水过滤用磷石膏陶粒及其制备方法
KR0155670B1 (ko) 주조공정중 발생되는 미분사를 이용한 다공질 소결체의 세라믹 및 그제조방법
KR100231738B1 (ko) 투르말린과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EP3140055B1 (en) A method of disposal and utilisation of dusts from an incineration installation and sludge from flotation enrichment of non-ferrous metal ores containing hazardous substances in the process of light aggregate production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KR101068008B1 (ko) 슬러지를 이용한 건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20096A (ko) 오·폐수처리용 고 흡착능 및 고 미생물 담지능 다공성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589B1 (ko) 인 제거용 세라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441805A (zh) 利用高铁酸盐制备强化除磷及cod滤料的方法
KR101777677B1 (ko) 소각슬래그와 페놀수지를 이용한 바이오 담체 및 그 제조방법
CN111018556A (zh) 一种陶粒生产协同处置污染土壤的处理剂及制备方法
JP3791789B2 (ja) 燃焼排ガス・排水浄化方法及びシステム
CN110575812A (zh) 一种陶土/软锰矿高效除磷的环保吸附材料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