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8267A - 밀폐전지 - Google Patents

밀폐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8267A
KR20010048267A KR1019990052902A KR19990052902A KR20010048267A KR 20010048267 A KR20010048267 A KR 20010048267A KR 1019990052902 A KR1019990052902 A KR 1019990052902A KR 19990052902 A KR19990052902 A KR 19990052902A KR 20010048267 A KR20010048267 A KR 2001004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ectrode
sealed battery
negative electrode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379B1 (ko
Inventor
이준환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5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379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목적 : 과충전이나 기타 원인에 의해 전지가 안전 온도 이상으로 승온될 때 열 폭주 및 폭발을 방지토록 하는 밀폐전지를 제공한다.
구성 : 정극, 부극, 상기 정극과 부극을 절연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액을 포함하는 발전요소와; 상기 발전요소를 수납하며 상기 정극 및 부극 중에서 한 전극과 연결된 각형 캔(2) 및 각형 캔의 개구에 용접되는 캡 플레이트(4)와; 상기 각형 캔과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한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절연체(10a)(10b)에 의해 절연된 인출단자(12)와; 상기 인출단자에서 돌출되어 캡 플레이트쪽을 향하고, 상기 절연체 두께의 반 이하의 크기로 형성된 돌기(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효과 : 과충전이나 기타 원인에 의해 전지가 안전 온도 이상으로 승온되면, 절연체의 수축에 의해 돌기와 캡 플레이트가 쇼트되고, 외부 충전장치로부터 공급된 전기가 정극 및 부극으로 공급되지 않고 차단되어 바이패스되므로, 추가적인 전기화학 반을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전지{Sealed battery}
본 발명은 과충전이나 기타 원인에 의해 전지가 안전 온도 이상으로 승온될 때 작동하여, 전지의 추가적인 전기화학 반응을 억제하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밀폐전지에 관한 것이다.
밀폐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한 것으로, 외관상 원통형과 각형으로 구분되고 양극 및 음극 물질에 따라 니켈-수소(Ni-MH) 전지, 리튬(Li) 전지, 리튬이온(Li-ion) 전지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밀폐전지는 정극과 부극의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함께 권취하고, 이렇게 권취된 전극군을 케이스 내부에 수납하며,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함으로써 실현되어진다. 상기 정극 및 부극 중에서 한 전극은 케이스에 연결되고, 나머지 한 전극은 절연체나 가스켓을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에 결합 및 밀봉된 전기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외부로 연결되므로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밀폐전지에서 정극 및 부극과 같은 전극(電極)은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금속으로 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활물질을 도포하고 이를 건조, 롤 프레스 및 절단하여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정극 및 부극은 사이에 다공성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절연되고 전해액과 함께 케이스 내부로 수납되는 것이며, 양 전극의 활물질간에 이온이 탈·삽입 및 이동되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반복적으로 충·방전하게 된다.
충·방전되는 밀폐전지는 전기적인 오용 즉 과충전이나 기타 위험 요소에 의해 내압 상승 및 발열을 수반하게 되는바, 그 상태가 지속될 경우에는 파괴 및 폭발하여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되므로 그에 대한 안전 대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 3,815,534, US 4,803,136 및 US 4,842,965 호에는 전지의 내압 상승에 의해 작동하는 안전수단이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수단은 밀폐전지의 내압이 안전 압력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그 압력에 감응하여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차단하거나, 안전변을 파단시켜 내압 및 전해액을 제거하므로 추가적인 전기화학 반응을 억제하여 안전성을 실현한다. 그러나 상기 수단은 유해 전해액을 누출시켜 인체나 전기제품에 치명적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발열에 대한 안전대책이 미흡하다.
또한 종래에는 내부 발열에 감응하여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차단하는 안전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수단의 일 예로서 정극과 부극 사이에 설치되는 다공성 세퍼레이터가 있는데, 이것은 케이스 내부 온도가 안전 온도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그 온도에 감응하여 기공을 폐쇄하고 양 전극간의 이온 이동을 차단하므로, 전기화학 반응을 억제하여 안전성을 실현한다.(셧 다운 현상: shut down)
도 1은 종래 공지된 다공성 세퍼레이터의 셧 다운 특성을 보여준다.
이때 밀폐전지는 정전류 과충전을 실시한 것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밀폐전지는 충전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온도(T)가 상승되고, 그 온도 상승은 전해액 분해를 동반한 발열 반응에 의해 계속되지만, 세퍼레이터의 셧 다운(SD) 현상에 의해 전기화학 반응이 종료되어 피크 온도를 정점으로 하강되므로 안전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밀폐전지는 세퍼레이터의 불균일이나 기타 내부 쇼트 원인에 의해 전지 내부의 온도가 케이스의 온도 방출 속도를 넘어 지나치게 상승하게 되면, 세퍼레이터의 셧 다운 현상이 일어나기 전에 그 자체가 녹아 정극과 부극을 절연시키는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상기 정극과 부극이 쇼트될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부극 활물질과 전해액의 분해, 양극 활물질 분해 등과 같은 화학적 연쇄분해반응(멜트 다운;melt down)을 초래하며, 그 후 열폭주 현상(thermal run away)까지 도달하여 결국 안전성을 상실하고 폭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멜트 다운 현상은 특히 정극 활물질과 부극 활물질이 쇼트될 경우, 그 쇼트 부분의 저항값에 의해 급격하게 발열량이 증가하여 열폭주 현상까지 도달하게 되는 바, 이 현상은 특히 도 3에 도시한 실험의 결과와 같이 쇼트 부분의 저항값이 10∼100mOHm 근방에서 급격하게 발생하고, 쇼트 저항이 아주 크거나 작은 경우에는 오히려 발열량이 작아져 안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극 활물질과 부극 활물질이 쇼트될 경우 그 저항값은 10∼100mOHm에 도달하며, 이때 전지는 멜트 다운과 열 폭주 현상에 의해 안전성을 상실하고 폭발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지의 발열에 대한 안전대책을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과충전이나 기타 원인에 의해 전지가 안전 온도를 넘어 급격하게 승온될 때, 저항값이 제로(zero) 혹은 제로에 가까운 부분을 쇼트시킴으로써, 전지 내부에서의 발열량을 낮추고 추가적인 전기화학 반응을 억제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정극, 부극, 상기 정극과 부극을 절연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액을 포함하는 발전요소와; 상기 발전요소를 수납하며 상기 정극 및 부극 중에서 한 전극과 연결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한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를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절연체에 의해 상기 케이스와 절연된 전기연결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부가 안전 온도 이상으로 승온되면 상기 정극과 상기 부극 사이가 도통되게 하는 열감응 쇼트수단을 포함하는 밀폐전지를 제안한다.
여기서 열감응 쇼트수단은 전기연결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케이스쪽을 향하고, 전기연결수단과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절연체 두께의 반 이하의 크기로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 열감응 쇼트수단은 사이에 다공성 세퍼레이터가 설치된 정극 및 부극 중에서 한 전극의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나머지 전극의 베이스 플레이트쪽으로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기연결수단은 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에 절연체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인출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기연결수단은 케이스의 개구에 가스켓을 개재하여 밀봉되고 케이스 내압에 의해 작동하는 가변 플레이트와, 그 가변 플레이트의 아래쪽에 서포트 절연체를 개재하여 설치되며 통기공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탭 단자를 이용하여 발전요소의 나머지 한 전극과 연결된 구성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공지된 밀폐전지의 과충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공지된 밀폐전지의 멜트 다운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밀폐전지의 쇼트 저항 및 발열량 관계를 보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밀폐전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1의 작용을 설명하는 전기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밀페전지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밀폐전지의 전극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실시예 3에 의한 과충전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각형 캔 4-캡 플레이트
6-케이스 8,24-전극군
10a,10b-절연체 10c,74a-구멍
12-인출단자 16,40,76-돌기
22-원통형 캔 26-가스켓
28-가변 플레이트 32-고정 플레이트
62,64-베이스 플레이트 70-정극
72-부극 74-세퍼레이터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밀폐전지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밀폐전지의 일 예로서 리튬 이온의 이동에 따라 충, 방전이 이루어지는 이차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밀폐전지는 각형 캔(2)과 캡 플레이트(4)를 상호 용접 결합하여 외장 케이스(6)를 구성하고, 그 케이스의 내부에는 정극, 부극 및 그 정극과 부극의 사이에 절연된 세퍼레이터를 롤 상으로 권취한 후 압착한 전극군(8)과 함께 전해액을 포함하는 발전요소를 수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전요소 중에서 부극(혹은 정극)은 케이스(6)에 연결되고, 나머지 한 전극은 절연체(10a)(10b)를 개재하여 캡 플레이트(4)에 결합 밀봉된 전기연결수단에 연결되어서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한다. 전기연결수단은 캡 플레이트(4)의 관통 구멍에 리벳팅되는 것으로 인출단자(12)로 구성되며, 이것은 탭 단자(12)를 이용하여 발전요소 중에서 케이스(6)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전극과 연결된다.
이렇게 구성된 밀폐전지에서 본 발명은 전기의 오용 즉 과충전이나 기타 원인으로 인해 상기 케이스(6) 내부가 안전 온도 이상으로 급격하게 승온될 때, 그 발열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정극과 부극의 전기적인 연결 회로 중에서 저항값이 제로 혹은 제로에 가까운 부분을 쇼트시켜 추가적인 전기화학 반응을 억제하는 열감응 쇼트수단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서 열감응 쇼트수단은 전기연결수단인 인출단자(12)로부터 캡 플레이트(4)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돌기(16)이다. 돌기(16)는 인출단자(12)와 캡 플레이트(4) 사이에 설치된 절연체(10a) 두께의 반 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10a)를 뚫고 들어가거나 도 5와 같이 절연체(10a)에 형성된 구멍(10c)으로 삽입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체(10a)의 재질로는 80∼120℃ 온도에서 수축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돌기(16)의 크기는 절연체(10a) 두께의 2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돌기(16)는 전지의 정전류 과충전시 케이스 내부의 발열이 급격하게 이루어져 멜트 다운 온도를 넘어설 때, 상기 절연체(10a)가 수축됨에 의해 캡 플레이트(4)와 접촉 및 쇼트되어진다. 이때 돌기(16)와 캡 플레이트(4)는 금속 재질로 되어 있어 저항값이 제로 혹은 제로에 가깝게 되며, 그 결과 전지의 충전 회로는 도 6과 같이 구성되어진다.
즉, 내부 발열에 의해 쇼트된 캡 플레이트(4)와 인출단자(12)의 사이에는 새로운 회로 라인이 구성되며, 그 라인은 정극과 부극 사이의 저항값에 비해 제로 혹은 제로에 가까울 정도로 작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모두 캡 플레이트(4)와 인출단자(12)를 통해 바이패스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의 발전요소로 유입되는 전류는 차단되며, 그 결과 정극과 부극은 추가적인 전기화학 반응이 중지되고 발열이 멈추게 되며 안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밀폐전지이다. 본 실시예의 밀폐전지는 리튬 이온의 이동에 따라 충, 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폐전지는 외장 케이스로 원통형 캔(22)을 사용하고, 그 원통형 캔(22)의 내부에는 정극, 부극 및 그 정극과 부극의 사이에 절연된 세퍼레이터를 롤 상으로 권취한 전극군(24)과 함께 전해액을 포함하는 발전요소를 수납하며, 상기 원통형 캔(22)의 개구에 전기연결수단을 밀봉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연결수단은 원통형 캔(22)의 비이드(22a)에 절연체로서 가스켓(26)을 개재하여 밀봉되고 전지 내압에 의해 작동하는 가변 플레이트(28)와, 그 가변 플레이트(28)의 아래쪽에 서포트 절연체(30)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통기공(32a)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32)로 구성된다.
고정 플레이트(32)는 탭 단자(34)를 이용하여 발전요소 중에서 정극(혹은 부극)과 연결되고, 나머지 한 전극은 도시 생략한 탭 단자 혹은 직접 접촉 방식에 의해 원통형 캔(22)과 연결되어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한 가변 플레이트(28)의 상부에는 전류제한기(36)(PTC)와 캡 커버(38)를 적층할 수 있으며, 캡 커버(38)는 통기공(38a)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밀폐전지에서 본 발명은 전기의 오용 즉 과충전이나 기타 원인으로 인해 전지 내부가 안전 온도 이상으로 급격하게 승온될 때, 열감응 쇼트수단을 이용하여 그 발열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정극과 부극의 전기적인 연결 회로 중에서 저항값이 제로 혹은 제로에 가까운 부분을 쇼트시켜 추가적인 전기화학 반응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열감응 쇼트수단은 전기연결수단인 가변 플레이트(28)로부터 원통형 캔(22)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돌기(40)이다. 돌기(40)는 가변 플레이트(28)와 원통형 캔(22)의 사이에 설치된 절연체인 가스켓(26) 두께의 반 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를 뚫고 들어가거나 그 절연체에 구멍을 형성한 후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절연체인 가스켓(26)은 80∼120℃ 온도에서 수축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돌기(40)의 크기는 절연체 두께의 3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의 밀폐전지에서 가변 플레이트(28)의 돌기(40)는 전지의 정전류 과충전시 발열이 급격하게 이루어져 내부가 멜트 다운 온도를 넘어설 때, 상기 절연체가 수축됨에 의해 원통형 캔(22)과 쇼트된다. 이때 돌기(40)와 원통형 캔(22)은 금속 재질로 되어 있어 저항값이 제로 혹은 제로에 가깝게 되며, 그 결과 전지의 충전 회로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새로운 전기 라인을 구성하게 된다. 그 전기 라인은 정극과 부극 사이의 저항값에 비해 제로 혹은 제로에 가까울 정도로 작으며, 그 결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모두 가변 플레이트(28)의 돌기(40)와 원통형 캔(22)으로 형성된 전기 라인을 통해 바이패스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의 발전요소로 유입되는 전류는 차단되고, 정극과 부극은 추가적인 전기화학 반응이 중지되며 발열이 멈추고 안전 상태로 된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하는 것으로 밀폐전지를 구성하는 전극을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밀폐전지는 실시예 1과 같이 리튬 이온의 이동에 따라 충, 방전이 이루어지며 각형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발전요소를 구성하는 전극은 금속 재료로 된 베이스 플레이트(62)(64)에 전극 활물질(66)(68)을 도포하고, 이것을 건조, 롤 프레스한 후 압축하여 전극판을 제조하고 전지 규격에 맞추어 절단하여 형성한다.
상기 전극은 베이스 플레이트(62)(64)의 종류와 활물질에 따라 정극 및 부극으로 나누어지는바, 정극(70)의 경우에는 베이스 플레이트(62)로 알루미늄(Al)을 사용하고 활물질(66)로 리튬-천이금속산화물을 사용하며, 부극(72)은 베이스 플레이트(64)로 구리(Cu)를 사용하고 활물질(68)로 탄소 혹은 탄소복합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정극(70)과 부극(72)은 사이에 다공성 세퍼레이터(74)를 개재하여 함께 권취하므로 전극군을 형성하고 이후 전해액과 함께 케이스 내부에 수납 및 밀봉되어 발전요소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발전요소를 포함하는 밀폐전지에서 본 발명은 전기의 오용 즉 과충전이나 기타 원인으로 전지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승온될 때, 그 발열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정극과 부극의 전기적인 연결 회로 중에서 저항값이 제로 혹은 제로에 가까운 부분을 쇼트시켜 추가적인 전기화학 반응을 억제토록 하는 열감응 쇼트수단을 제안한다.
열감응 쇼트수단은 전극군을 형성하는 정극(70) 및 부극(72)의 권취 시작부 및 끝단부에서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베이스 플레이트(62)(64)를 상호 대향 배치하되, 양 전극 중에서 한쪽 전극의 베이스 플레이트(62)(64)에서 반대쪽 전극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돌기(76)로 구성한다. 돌기(76)는 정극과 부극 사이에 설치되는 다공성 세퍼레이터(74) 두께의 반 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며, 그 세퍼레이터(74)를 뚫고 들어가거나 세퍼레이터(74)에 형성된 구멍(74a)으로 삽입 설치된다.
다공성 세퍼레이터(74)는 80∼120℃ 온도에서 수축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돌기(76)의 크기는 세퍼레이터 두께의 2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의 밀폐전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62)(64)에서 돌출된 돌기(76)는 과충전, 세퍼레이터의 불균일 및 기타 원인에 의해 전지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승온되고, 그 원인으로 세퍼레이터(10)가 셧 다운되기 전에 멜트 다운 온도까지 상승하여 그 자체가 녹거나 수축되면 반대쪽 전극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쇼트되어진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정극과 부극은 금속 재질로 된 베이스 플레이트(62)(64)가 직접 접촉되어, 쇼트 부분의 저항값이 1mOHm 이하로 형성되며, 이것은 도 3의 실험 결과에서와 같이 1W 이하의 발열량을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감응 쇼트수단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폐전지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류 과충전시 충전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온도(T)가 상승되고, 그 온도 상승은 전해액 분해를 동반한 발열 반응에 의해 계속되지만, 세퍼레이터의 셧 다운 현상에 의해 전기화학 반응이 종료되어 피크 온도를 정점으로 하강되어 안전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과충전, 세퍼레이터의 불균일 및 기타 원인에 의해 전지의 온도가 케이스의 온도 방출 속도를 넘어 지나치게 상승하고 전압(V)이 12V까지 급상승하게 되면, 본 실시예의 작용에 의해 정극 및 부극 중에서 한 전극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돌기(76)가 나머지 전극의 베이스 플레이트게 쇼트되고, 그 결과 전압(V)이 제로의 상태로 되므로 발열량이 줄고 전지의 온도가 피크 온도를 정점으로 하강되어서 열 폭주 및 폭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충전이나 기타 원인에 의해 밀폐전지가 안전 온도 이상으로 발열할 때, 그 온도에 감응하여 저항값이 제로 혹은 제로에 가까운 부분을 쇼트시켜, 외부 충전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전지의 추가적인 전기화학 반응을 억제하는 것이며, 그 결과 열 폭주 및 폭발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정극, 부극, 상기 정극과 부극을 절연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액을 포함하는 발전요소와; 상기 발전요소를 수납하며 상기 정극 및 부극 중에서 한 전극과 연결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한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를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절연체에 의해 상기 케이스와 절연된 전기연결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부가 안전 온도 이상으로 승온되면 상기 정극과 상기 부극 사이가 도통되게 하는 열감응 쇼트수단을 포함하는 밀폐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열감응 쇼트수단은 전기연결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케이스쪽을 향하고, 전기연결수단과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절연체 두께의 반 이하의 크기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밀폐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절연체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밀폐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체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에서 하나의 재질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열감응 쇼트수단은 금속으로 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리튬금속산화물로 된 활물질을 도포 형성한 정극과, 금속으로 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카본 및 카본계 활물질을 도포 형성한 부극과, 상기 정극과 부극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공성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한 정극 및 부극 중에서 한 전극의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나머지 전극의 베이스 플레이트쪽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밀폐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혹은 구리 중에서 하나의 재질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전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에서 하나의 재질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연결수단은 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에 절연체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인출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열감응 쇼트수단은 인출단자로부터 돌출되어 케이스쪽을 향하고, 상기 인출단자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절연체 두께의 반 이하의 크기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밀폐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연결수단은 케이스의 개구에 가스켓을 개재하여 밀봉되고 케이스 내압에 의해 작동하는 가변 플레이트와, 그 가변 플레이트의 아래쪽에 서포트 절연체를 개재하여 설치되며 통기공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탭 단자를 이용하여 발전요소의 나머지 한 전극과 연결된 구성을 포함하는 밀폐전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열감응 쇼트수단은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케이스쪽을 향하고, 상기 고정 플에이트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가스켓 두께의 반 이하의 크기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밀폐전지.
KR1019990052902A 1999-11-26 1999-11-26 밀폐전지 KR100346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902A KR100346379B1 (ko) 1999-11-26 1999-11-26 밀폐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902A KR100346379B1 (ko) 1999-11-26 1999-11-26 밀폐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267A true KR20010048267A (ko) 2001-06-15
KR100346379B1 KR100346379B1 (ko) 2002-08-01

Family

ID=1962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902A KR100346379B1 (ko) 1999-11-26 1999-11-26 밀폐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3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1119B2 (en) 2009-12-14 2013-09-24 Samsung Sdi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controlling short resistance thereof
US8557433B2 (en) 2008-12-05 2013-10-1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8877369B2 (en) 2009-04-21 2014-11-0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s with deformable portions underneath a vent
CN107833984A (zh) * 2017-10-19 2018-03-23 金山电化工业(惠州)有限公司 一种高温下可防爆的电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106B1 (ko) * 1999-10-30 2002-01-05 김순택 밀폐전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7433B2 (en) 2008-12-05 2013-10-1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8877369B2 (en) 2009-04-21 2014-11-0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s with deformable portions underneath a vent
US8541119B2 (en) 2009-12-14 2013-09-24 Samsung Sdi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controlling short resistance thereof
CN107833984A (zh) * 2017-10-19 2018-03-23 金山电化工业(惠州)有限公司 一种高温下可防爆的电池
CN107833984B (zh) * 2017-10-19 2024-04-12 东莞金山电池有限公司 一种高温下可防爆的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6379B1 (ko) 200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750B1 (ko)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KR100749567B1 (ko) 적층형 리튬 이온 충전지
US5376467A (en) Organic electrolyte battery
KR100420146B1 (ko) 서모 프로텍터가 장착된 이차전지
KR101279994B1 (ko) 전극리드에 안전부재가 위치한 구조의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전지
KR100720282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JP2007035638A (ja) 二次電池
KR100358224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0662174B1 (ko) 비수전해질 2차 전지
KR20080043533A (ko) 이차 전지
JP4263289B2 (ja) 角形二次電池のキャップアセンブリ
KR100496302B1 (ko) 안전벤트를 가지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322100B1 (ko) 밀폐전지
KR100346379B1 (ko) 밀폐전지
KR100416096B1 (ko) 안전변 장치와 이를 채용한 이차 전지
KR100472510B1 (ko)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의 와인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리튬이차전지
JP2002246012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319106B1 (ko) 밀폐전지
KR20190096650A (ko) 이차 전지
KR100788592B1 (ko) 이차전지
KR20040042373A (ko) 원통형 이차전지
JPH11204096A (ja) 非水電解液電池及び非水電解液電池パック
KR100428978B1 (ko) 이차전지 유니트
KR20010077684A (ko) 2 차 전지
EP3293801A1 (en) Electrode with an improved security behavior and battery cell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