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8062A -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8062A
KR20010048062A KR1019990052553A KR19990052553A KR20010048062A KR 20010048062 A KR20010048062 A KR 20010048062A KR 1019990052553 A KR1019990052553 A KR 1019990052553A KR 19990052553 A KR19990052553 A KR 19990052553A KR 20010048062 A KR20010048062 A KR 20010048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troke
character
recognizing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038B1 (ko
Inventor
김영식
김형근
조병준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1999005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03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V30/1423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the instrument generating sequences of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평소 필기하는 습관대로 여러 글자를 쓰면 인식되는 방식에서 실시간으로 한 획에 해당되는 자소를 출력부에 출력하며, 사용자가 완성된 한 글자를 쓰는 경우와 한 자소만 쓰는 경우를 구별해 표현해주는 온라인 수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 자소로 표현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다문자에 대하여 자소 단위로 인식하기 위한 입력 및 인식 수단; 및 상기 입력된 다문자에 대하여 인식된 결과를 실시간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문자 인식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 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resenting Hangul In Multiple Character Handwriting Recognition}
본 발명은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말한 다문자는 언어 종류에 관계없이 여러 글자가 조합되어 있는 문자를 말한다.
현재 정보통신단말기에서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은 한글이나 영어 또는 한자 등을 입력하는 방식이 있다.
그 중에서 한글의 경우는 초성·중성·종성으로 이루어진 세계 글자체 중에서 보기 드물게 과학적인 글자체이다. 한글의 글자체는 자음 19개, 모음 21개, 받침 27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론적으로 조합 가능한 글자수는 19*21*(27+받침이 없는 경우)자인 11,172자이다. 그리고 완성형 글자는 2350자이다.
정보통신단말기는 휴대하기 편하고 소형화, 경량화를 추구하므로 거기에 맞는 온라인 수기 인식 장치는 더욱더 강력하고 메모리가 작은 것을 찾게 되었다. 그래서 한글의 경우는 조합형 11,172자를 모두 지원하는 기능을 추구할 수가 없게 되었고, 완성형 글자 2350자를 지원하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사용자가 필기를 할 때, 우리가 통상적으로 쓰는 목차를 정하는 방식인 예를 들어 '가. 큰 제목' 다음에 나오는 'ㄱ. 작은 제목'이라는 표현을 쓰고자 하나 지원하지 않아 불편을 겪게 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에서는 박스에 한 자씩 쓰는 방식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별로 느끼지 못 했으나 점점 실제 필기방식과 동일한 여러 글자 즉, 다문자 인식에서는 상기와 같은 요구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특히 여러 글자를 쓸 때 한 글자씩 쓰면서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경우는 보통 컴퓨터에서 키보드로 치는 것에 익숙해진 사용자에게 더욱더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평소 필기하는 습관대로 여러 글자를 쓰면 인식되는 방식에서 실시간으로 한 획에 해당되는 자소를 출력부에 출력하며, 사용자가 완성된 한 글자를 쓰는 경우와 한 자소만 쓰는 경우를 구별해 표현해주는 온라인 수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 장치부의 일예시도.
도 2 내지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 장치부에 한글 단어 중에서 스트로크(획, Stroke)를 입력하는 과정의 일예시도.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부에 한글 자소 분리의 일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 장치부에 자소 분리 표현의 일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 장치부의 한글 자소 표현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출력부 커서 102 : 출력부
103 : 입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 자소로 표현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다문자에 대하여 자소 단위로 인식하기 위한 입력 및 인식 수단; 및 상기 입력된 다문자에 대하여 인식된 결과를 실시간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 자소로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다문자에 대하여 자소 단위로 인식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다문자에 대하여 인식된 결과를 실시간적으로 출력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 자소로 표현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문자 인식 시스템에, 입력되는 다문자에 대하여 자소 단위로 인식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입력된 다문자에 대하여 인식된 결과를 실시간적으로 출력하는 제 2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기하듯이 쓰면 실시간으로 한글의 자소를 구분하여 출력창에 나타내며 가장 적합한 한 문자 내지 자소 그 자체를 출력할 수가 있다. 정보통신단말기에 들어가는 한글폰트는 완성형 코드로써 자소단위를 표현하는게 어려우나 폰트 중 2350자의 완성형 코드 영역이 아닌 심볼영역에 자소단위 코드가 들어있으므로 이를 이용해서 표현하면 자소를 출력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평소 필기하는 습관대로 글자를 쓰면 실시간으로 인식 되면서 동시에 자소단위로 표현하고 싶은 경우에도 출력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였다.
이하, 도 1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이하의 설명에서 스트로크(Stroke)라는 것은 펜이나 펜과 유사한 도구 내지 사람의 손톱을 사용하여 타격 또는 치기 등에 의해 입력을 하는 방법을 가리킬 뿐만 아니라, 하나의 획, 즉 'ㅈ'을 쓸 때 획이 하나에서부터 세 개의 획으로 쓸 수 있듯이 이 하나의 획을 가리키는 이중 의미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전자 또는 후자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 장치부의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통신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수기 입출력 장치부) 위에 펜으로 스트로크로 다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03), 다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02), 실시간으로 획의 출력을 기다리는 출력 커서(101)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 장치부에 한글 단어 중에서 스트로크(획, Stroke)를 입력하는 과정의 일예시도이다.
즉, 도 2 에서 수기 입출력 장치의 입력부(103)에 '우리는'라는 전체 단어를 쓸려고 할 때 '우ㄹ'라는 스트로크의 궤적(202)이 출력부(102)에 실시간으로 인식결과(201)를 자소단위로 출력한다.
또한, 도 3 에서는 '우리ㄴ'이라는 스트로크의 궤적(302)이 입력부(103)에 나타나고 그 인식결과(301)가 출력부(102)에 나타내게 된다.
또한, 도 4 에서처럼 '우리는'이라는 단어가 스트로크의 궤적(402), 인식결과(401)에 모두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우리는'이라는 단어를 쓸 때는 한글의 출력을 완성형이나 조합형으로 하든지 아니면 자소단위나 문자단위로 하든지 결과는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자소단위를 출력하고 그 이후에 여러문자를 출력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위와 같은 경우가 굉장히 중요한 문제가 될 수가 있다.
그 경우에 대한 실시예가 도 5, 도 6, 도 7에 나와있다.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부에 한글 자소 분리의 일예시도이다.
즉, 'ㄱ.발명'이라는 글을 쓰고 싶을 때 'ㄱ'다음에 모음이 와야 하나의 문자가 완성되지만 사용자가 자음을 굳이 써야 한다면 우리가 평소 노트에 필기하는 대로 'ㄱ'다음에 약간 간격을 두고서 다음 자소를 쓰면 원하는 글자가 출력된다.
즉, 도 5 에서 입력부(103)에 'ㄱ'라는 글자(502)가 출력부(102)에 인식결과(501)를 출력한다. 도 6 에서는 다음 글자 마침표 '.'을 쓰면 출력부(102)에 인식결과 'ㄱ.'(601)이 출력된다. 도 7 에서는 원하는 글자 'ㄱ.발명'(702)이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701)대로 출력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 장치부에 자소 분리 표현의 일예시도로서, 'ㅡㅏ:모음'이라는 좀더 구체화된 자소단위 결과(801)가 출력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 장치부의 한글 자소 표현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수기 입출력 장치의 입력부(103)에서 스트로크(획,Stroke) 궤적 초기화(901)를 하고 스트로크(획,Stroke)가 입력(902)되면, 출력부에 실시간으로 인식된 결과가 출력(903)된다.
그리고, 다음 스트로크(획,Stroke)가 입력(904)되고, 이전 스트로크와 현재 스트로크의 사이 간격이 임의로 정해진 크기 λ보다 크다면(905) 새로운 글자 구간에 현재 스트로크를 출력(906)한다.
그러나, 사이 간격이 작다면 스트로크들을 조합(907)한 후에 출력부에 이미 출력된 결과를 새로 조합한 결과로 변경(908)한다.
자소 단위를 출력하려면 사용자가 평소의 습관대로 약간의 간격 즉, 이전 스트로크와 새로운 스트로크와의 관계에서 나온 함수만큼 띄어주면 자소 단위로 출력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여러 글자를 입력하는 수기 입출력 인식 장치에서 한글을 입력하는데 자소단위나 문자단위로 입력하여도 실시간으로 인식되어 출력결과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평소 노트에 펜으로 한글을 쓰는 방식대로 써도 자음, 모음을 오인식없이 실시간으로 인식해 출력하여 기존의 노트와 펜을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해 낸다. 그 결과로 종이의 생산과 소비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간편하게 정보통신단말기를 휴대하면서 언제든지 일상생활의 아이디어나 기타 메모를 자유롭게 필기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 자소로 표현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다문자에 대하여 자소 단위로 인식하기 위한 입력 및 인식 수단; 및
    상기 입력된 다문자에 대하여 인식된 결과를 실시간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 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2.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 자소로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다문자에 대하여 자소 단위로 인식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다문자에 대하여 인식된 결과를 실시간적으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 자소로 표현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새로 입력되는 스트로크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스트로크와 일정 간격을 벗어난 궤적상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새로 입력되는 스트로크에 대하여 자소 단위로 인식하는 제 3 단계; 및
    새로 입력되는 스트로크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스트로크와 일정 간격내의 궤적상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미 입력되어 있는 스트로크와 상기 새로 입력되는 스트로크들을 조합하여 인식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 자소로 표현하는 방법.
  4.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 자소로 표현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문자 인식 시스템에,
    입력되는 다문자에 대하여 자소 단위로 인식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입력된 다문자에 대하여 인식된 결과를 실시간적으로 출력하는 제 2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9990052553A 1999-11-24 1999-11-24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356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553A KR100356038B1 (ko) 1999-11-24 1999-11-24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553A KR100356038B1 (ko) 1999-11-24 1999-11-24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062A true KR20010048062A (ko) 2001-06-15
KR100356038B1 KR100356038B1 (ko) 2002-10-18

Family

ID=1962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553A KR100356038B1 (ko) 1999-11-24 1999-11-24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0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128B1 (ko) * 1997-11-19 2005-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획필기체한글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6038B1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98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ediate respons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that handles multiple character sets
Goldberg et al. Touch-typing with a stylus
US6493464B1 (en) Multiple pen stroke character set and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with immediate response
US8200865B2 (en)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based on trigger sequences
TWI464678B (zh) 用於手寫輸入亞洲語言的方法及系統
KR100704093B1 (ko) 콤포넌트 기반의, 적응성 스트로크 명령 시스템
JP2005129014A (ja) 文字認識装置及び方法
CN102866826B (zh) 一种字符输入方法及其装置
WO2000043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text input
KR100356038B1 (ko)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59323B1 (ko) 아시아 언어들을 위한 수기 입력
KR101977594B1 (ko)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Unger Japanese orthography in the computer age
KR100356037B1 (ko)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방법
CN100565553C (zh) 用于亚洲语言的手写输入的方法和系统
JPH0560139B2 (ko)
CN113486655A (zh) 一种有利于远程教育的汉字注音识别法
JP4520123B2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317667B1 (ko)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획의 궤적을초기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AU665293B2 (en)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fining symbols and assembling text in ideographic languages
Thu et al. PP_Clickwheel: Positional Prediction Khmer Text Input Interface with Clickwheel for Small Mobile Devices
Butsrikui et al. Point Based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Text Input Method for Thai Scripts
KR20000054187A (ko) 수기식 문자입력판 및 수기식 문자입력판을 사용해 문자를입력하는 방식
JPH067310B2 (ja) 電子機器
KR20030090381A (ko) 문자 인식방법 및 문자 인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