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594B1 -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594B1
KR101977594B1 KR1020170148273A KR20170148273A KR101977594B1 KR 101977594 B1 KR101977594 B1 KR 101977594B1 KR 1020170148273 A KR1020170148273 A KR 1020170148273A KR 20170148273 A KR20170148273 A KR 20170148273A KR 101977594 B1 KR101977594 B1 KR 101977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foreign language
consonant
korean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042A (ko
Inventor
김이안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김이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안 filed Critical 김이안
Publication of KR2019002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1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및 외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을 이용하여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를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 중 적어도 하나를 외국어 문자로 표기하여 글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어를 표기함에 있어 외국어 자모와 한글 자모의 조합을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한글로 표기하기 어려운 외국어 단어 발음을 정확히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OF USING HANGUL FOR LEAMING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
본 발명은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표음문자이기 때문에 원하는 발음을 자유롭게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국제화 시대가 됨에 따라 외국어 단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글만으로는 표기할 수 없거나 표기하더라도 단어의 구분이 불명확한 경우가 생기곤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에서는 기존의 한글 표기에 새로운 표기를 추가하거나 과거에 사용되었으나 현대 한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표기를 복원하여 보다 다양한 발음을 구현하고자 시도하였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더라도 새로 만들어진 몇 개의 한글 표기에 해당하는 발음만 표현할 수 있을 뿐 외국어로 표현되는 모든 단어 및 발음을 정확히 표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58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07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한글 및 외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을 이용하여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를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 중 적어도 하나를 외국어 문자로 표기하여 글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외국어 자음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외국어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를 조합하여 글자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지정된 외국어 자음 자모는 영문자 f, r, v, x, z, th, ph, ch, sh, z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외국어 모음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 자음 자모와 상기 외국어 모음 자모를 조합하여 글자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지정된 외국어 모음 자모는 영문자 r, h, 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한글 및 외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을 이용하여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문자 패드가 표시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 패드는 한글 자음 자모들과 미리 지정된 외국어 자음 자모가 한 화면에 표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지정된 외국어 자음 자모는 영문자 f, r, v, x, z, th, ph, ch, sh, z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한글 및 외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을 이용하여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문자 패드가 표시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 패드는 한글 자음 자모를 터치한 후 슬라이딩하여 외국어 자음 자모를 입력하거나 외국어 자음 자모를 터치한 후 슬라이딩하여 한글 자음 자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어를 표기함에 있어 외국어 자모와 한글 자모의 조합을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한글로 표기하기 어려운 외국어 단어 발음을 정확히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모 구분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패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모 구분의 일 실시예이다.
한글 표기에서는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가 합쳐져서 글자를 이룬다. 다시 말해 초성을 이루는 자음과, 중성을 이루는 모음, 그리고 종성을 이루는 자음이 합쳐져서 하나의 글자가 이루어진다.
한글은 다양한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대부분의 발음을 문자로 표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외국어 단어의 경우 한글 발음으로는 구분할 수 없거나 구분이 어려운 것들이 존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한글은 자음 19개의 자음 자모(14개의 홑자음, 5개의 쌍자음)와, 10개의 모음 자모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19개의 자음 자모만으로는 외국어 단어의 발음을 명확히 표현하는 것이 어려울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중 r 또는 l이 들어간 단어는 영어 발음상 서로 구분이 되지만 한글에서는 모두 ㄹ로 표기된다. 마찬가지로 영어 단어 중 f 또는 p가 들어간 단어도 영어 발음에서는 구분이 되지만 한글에서는 ㅍ으로 표기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한계 때문에 영어 단어를 한글로 표기해 놓은 경우 정확히 어떤 영어 스펠링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인지를 직감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에서 미리 특정 외국어 자음 자모를 지정하여 전정 된 외국어 자음 자모가 입력된 경우 한글 자음 자모처럼 인식하여 한글 모음 자모와 결합시켜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한글로 명확히 표시하는 것이 어려운 발음 f, p, r, l, v, x, z, th, ph, ch, sh, zh 등의 자모를 미리 지정하여 둘 수 있다.
이러한 자모들은 영어뿐 아니라 알파벳을 이용하여 발음을 표현하는 모든 언어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파벳을 이용하여 한어병음방안을 표기하는 중국어 단어도 상기와 같은 외국어 자모를 활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외국어 자음 자모 뒤에 한글 모음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한글 표기 방법에 따라 외국어 자음 자모와 한글 모음 자모가 결합된 글자가 표시되고, 지정된 외국어 자음 자모 뒤에 한글 자음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 외국어 자음 자모는 외국어 알파벳으로 인식되어 외국어 표기 방법에 따라 알파벳의 결합으로 입력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한글 자모 및 지정된 외국어 자모를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를 구분하는 구분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를 결합시켜 표시하는 표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국어 자모의 경우에도 편의에 따라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국어 자음 자모는 f,p,r,l,v,x,z,th,ph,ch,sh,zh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국어 모음 자모는 r,h,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국어 자음 자모는 한글 자음 자모의 위치를 대체하고, 외국어 모음 자모는 한글 모음 자모의 위치를 대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외국어 자모를 설명함에 있어 영문 알파벳의 예시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영문자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어떤 문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한글을 표기함에 있어서,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를 구분하는 단계와,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 중 적어도 하나를 외국어 문자로 표기하여 글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지정된 외국어 자음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외국어 자음 자모와 한글 모음 자모를 결합하여 하나의 글자를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렌드라는 단어에서 ㅍ, ㄹ 자모가 f, r로 대체될 수 있으며, 파이팅이라는 단어에서 ㅍ 자모가 f로 대체될 수 있다.
모음 자모의 경우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표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외국어 모음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 한글 자음 자모와 지정된 외국어 모음 자모가 결합되어 하나의 글자를 표기할 수 있다. 파이팅이라는 단어에서 ㅏ 자모를 지정된 외국어 모음 자모 r이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는 이러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단어들의 예가 기재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단어 외에도 지정된 외국어 자모와 한글 자모와의 결합에 의해 수많은 단어를 표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한글 폰트와 외국어 폰트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영문 폰트 입력과 한글 폰트 입력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은 오타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폰트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글 폰트를 입력하는 도중 자음과 모음의 결합이 이루어 지지 않는 입력을 하였을 때 시스템은 자동으로 영문 폰트로 변경하여 입력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지정된 외국어 자모가 입력될 경우에는 시스템은 임의로 폰트를 변경하지 않고 외국어 자모와 한글 자모를 결합하여 글자를 표시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패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의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문자 패드가 표시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문자 패드는 한글 자모들(100)과 미리 지정된 외국어 자모(200)가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도 4에 따르면, 문자 패드는 한글 자음 자모를 터치한 후 슬라이딩하여 외국어 자음 자모를 입력하거나 외국어 자음 자모를 터치한 후 슬라이딩하여 한글 자음 자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정된 외국어 자모를 터치한 후 슬라이딩 할 경우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다른 한글 자모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자모를 터치한 후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ㄴ자모가 표시되고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경우 ㄹ 자모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f 자모를 터치한 후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ㅂ 자모,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ㅍ 자모, 또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ㅃ 자모가 표시될 있다.
v 자모를 터치한 후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ㅂ 자모가 표시될 수 있다.
z 자모를 터치한 후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ㅈ 자모,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ㅊ 자모, 또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ㅉ 자모가 표시될 수 있다.
th 자모를 터치한 후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ㄷ 자모,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ㅌ 자모, 또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ㄸ 자모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 표시된 것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개념이 여기에 도시된 자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단어를 표기함에 있어 외국어 자모와 한글 자모의 조합을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한글로 표기하기 어려운 외국어 단어 발음을 정확히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한글 및 외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을 이용하여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를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 중 적어도 하나를 외국어 문자로 표기하여 글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미리 지정된 외국어 자음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외국어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를 조합하여 글자를 표시하며,
    상기 미리 지정된 외국어 자음 자모는,
    영문자 f, r, v, x, z, th, ph, ch, sh, z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외국어 모음 자모가 입력되는 경우 자음 자모와 상기 외국어 모음 자모를 조합하여 글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외국어 모음 자모는,
    영문자 r, h, 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6. 한글 및 외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을 이용하여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문자 패드가 표시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 패드는 한글 자음 자모들과 미리 지정된 외국어 자음 자모가 한 화면에 표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미리 지정된 외국어 자음 자모는,
    영문자 f, r, v, x, z, th, ph, ch, sh, z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시스템.
  7. 삭제
  8. 한글 및 외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을 이용하여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문자 패드가 표시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 패드는 한글 자음 자모를 터치한 후 슬라이딩하여 외국어 자음 자모를 입력하거나 외국어 자음 자모를 터치한 후 슬라이딩하여 한글 자음 자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국어 자음 자모는,
    영문자 f, r, v, x, z, th, ph, ch, sh, z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시스템.
KR1020170148273A 2017-08-24 2017-11-08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KR101977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7460 2017-08-24
KR1020170107460 2017-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042A KR20190023042A (ko) 2019-03-07
KR101977594B1 true KR101977594B1 (ko) 2019-05-14

Family

ID=6576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273A KR101977594B1 (ko) 2017-08-24 2017-11-08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5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401A (ko) 2021-08-19 2023-02-28 허우정 한글 기반 외국어 발음 표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67B1 (ko) * 2009-05-27 2012-05-03 정수현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835A (ko) 2007-11-29 2009-06-03 정수현 한글로 표기하기 어려운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
KR20120097434A (ko) * 2010-10-22 2012-09-04 유하늬소리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세계 문자 입력장치
KR20130122437A (ko) * 2012-04-30 2013-11-07 김석기 영어의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67B1 (ko) * 2009-05-27 2012-05-03 정수현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401A (ko) 2021-08-19 2023-02-28 허우정 한글 기반 외국어 발음 표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042A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1193B2 (en) Text entry for electronic devices
CN103026318A (zh) 输入法编辑器
JP5228633B2 (ja) 電子辞書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36903B1 (ko)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문자 입출력 장치
CN104808807A (zh) 用于汉字拼音输入的方法和装置
US200402433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ymbols in ideographic languages
US884903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recognition of a handwritten shape
KR101977594B1 (ko)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US9563282B2 (en) Brahmi phonemics based keyboard for providing textual inputs in indian languages
KR20090035409A (ko) 문자입력장치
KR101219300B1 (ko) 한글입력수정방법
JPS63118862A (ja) 中文入力装置における文字選択方式
JP2006040263A (ja) アジア言語用の手書き入力
KR102257719B1 (ko)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
CN102609104A (zh) 英文拼音字块输入法
KR101438271B1 (ko)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10989894B (zh)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和记录有程序的记录介质
KR20100027195A (ko)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2016805B1 (ko)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3488308A (zh) 优拼码汉字输入法
KR20230173009A (ko)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Phissamay et al. Syllabification of lao script for line breaking
KR20150076587A (ko)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
Dagienė et al. Text input on mobile devices from cultural and educational aspects
KR100356038B1 (ko)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