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719B1 -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719B1
KR102257719B1 KR1020180144762A KR20180144762A KR102257719B1 KR 102257719 B1 KR102257719 B1 KR 102257719B1 KR 1020180144762 A KR1020180144762 A KR 1020180144762A KR 20180144762 A KR20180144762 A KR 20180144762A KR 102257719 B1 KR102257719 B1 KR 102257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language
user
input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709A (ko
Inventor
오세호
Original Assignee
오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호 filed Critical 오세호
Priority to KR102018014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719B1/ko
Priority to US16/287,955 priority patent/US10895981B2/en
Publication of KR2020005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3Language identification
    • G06K9/004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06K2209/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확한 문자 인식이 가능한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작성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작성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문자 작성 환경을 제공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성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출력 창과,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제1 언어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1 언어 입력 창과, 상기 제1 언어 입력 창과 구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제2 언어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2 언어 입력 창을 함께 출력한다. 이에, 정확한 문자 인식이 가능하여 문자 작성 시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Writing program, and character input device equipped with the program}
본 발명은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 입력을 위한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과 같은 문자 입력 장치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문자 입력 장치에는 디스플레이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출력된 문자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고 있다.
이러한 문자 입력 방식에 대한 종래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8853호(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010.04.15.)"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다만, 최근에는 종래의 키패드 타입의 문자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음성을 이용한 문자입력, 및 직접 문자를 작성하여 입력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기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편의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문자를 직접 작성하여 문자 입력 장치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 문자를 작성할 경우 문자 입력 장치에서 문자의 혼동이 발생되어, 문자 입력에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8853호(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010.04.15.)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문자 인식이 가능한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작성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작성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문자 작성 환경을 제공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성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출력 창과,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제1 언어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1 언어 입력 창과, 상기 제1 언어 입력 창과 구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제2 언어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2 언어 입력 창을 함께 출력한다.
상기 작성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과 구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숫자로 인식되도록 하는 숫자 입력 창과,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 상기 숫자 입력 창과 구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부호로 인식되도록 하는 부호 입력 창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작성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 상기 숫자 입력창, 및 상기 부호 입력 창과 구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제3 언어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3 언어 입력 창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언어는 자국어이며 제2 언어는 제1 외국어이며 제3 언어는 제2 외국어일 수 있다.
상기 제1 언어 입력 창의 면적은 상기 제2 및 제3 언어 입력 창의 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언어 입력 창의 면적을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부호 입력 창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부호 입력 창의 상부 영역에 부호를 작성할 때에 상기 부호가 상부에 위치하는 부호로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부호 입력 창의 하부 영역에 부호를 작성할 때에 상기 부호가 하부에 위치하는 부호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호 입력 창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부호 입력 창의 중간 영역에 부호를 작성할 때에 상기 부호가 중간에 위치하는 부호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숫자 입력 창과 상기 부호 입력 창은 상호 인접되도록 출력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숫자 입력 창과 상기 부호 입력 창의 중첩 영역에 부호를 작성할 때에 상기 부호는 중간에 위치하는 부호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제1 언어는 자국어이며 제2 언어는 외국어이고, 상기 제1 언어 입력 창의 면적은 상기 제2 언어 입력 창의 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는 언어가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구분되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소문자로 인식되도록 하는 소문자 입력 창과, 상기 소문자 입력 창과 구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대문자로 인식되도록 하는 대문자 입력 창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문자 입력 창의 면적은 상기 대문자 입력 창의 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사용자의 문자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에 대문자로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문자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하일 경우에 소문자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에서 인식될 언어의 종류를 각각 선택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작성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가 작성하는 문자의 인식 정확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성 프로그램은 상기 인식 정확도를 높일 때에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작성을 그대로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인식 정확도를 낮출 때에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작성을 고려하여 저장된 문자 중 유사성이 높은 문자를 예상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성 프로그램은 문자 입력 장치에 문자 작성 환경을 구현하는 작성 프로그램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입력 창과,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제1 언어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1 언어 입력 창과, 상기 제1 언어 입력 창과 구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제2 언어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2 언어 입력 창을 함께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는 정확한 문자 인식이 가능하여 문자 작성 시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문자 입력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문자 입력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성 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문자 입력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0)는 스마트폰, 휴대용 단말, 컴퓨터 및 노트북(Laptop) 등과 같이 문자의 입력이 요구되는 다양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문자 입력 장치(100)는 입력부(110) 및 저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입력부(110)는 문자 입력 장치(100)에 마련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한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문자 입력 장치(1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문자 입력 장치(100)로 문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저장부(120)는 문자 입력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부(120)는 클라우드와 같은 인터넷 환경에 마련될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에는 입력부(110) 상에 문자 입력 환경을 제공하는 작성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작성프로그램을 호출할 경우에, 저장부(120)는 저장된 작성프로그램이 입력부(110) 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작성프로그램은 메시지 작성 환경, 게임 환경 및 웹 환경 등 다양한 환경에서 호출될 수 있으며, 다른 프로그램과 함께 호출 가능하다.
이러한 작성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문자 입력모드(10) 또는 제2 문자 입력모드(20)를 입력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문자 입력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문자 입력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문자 입력모드(10) 및 제2 문자 입력모드(20)가 호출될 수 있다.
먼저, 제1 문자 입력모드(10)는 입력부(110)에 복수 개의 문자 기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일례로 제1 문자 입력모드(10)에서는 키패드(11) 형태로 문자 기호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력부(110)에 출력된 문자를 선택하여, 문자의 조합에 따라 원하는 문장이 입력부(110)에 출력되도록 한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문자 입력모드(10)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을 기반으로 문자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 방식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2 문자 입력모드(20)는 입력부(110)에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문자 작성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 형태의 문자 작성 도구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문자 입력모드(20)에서는 문자의 입력을 올바르게 인식하여, 잘못된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 문자 입력모드(20)는 다양한 언어의 입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문자 입력모드(20)에서는 입력부(110)에 문자 출력 창(21) 및 복수 개로 분할된 문자 입력 창(22)이 호출된다.
문자 출력 창(21)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출력한다. 즉, 문자 출력 창(21)은 사용자가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문자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로 분할된 문자 입력 창(22)은 사용자의 문자 작성에서 문자가 잘못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문자 입력 창(22)은 문자 출력 창(21)에 이웃하도록 입력부(110)에 출력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문자 입력 창(22)은 사용자에 의해 각각의 사이즈가 변경 가능하며, 해당 문자 입력 창(22)에서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문자 입력 창(22)은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 창(22a, 22b, 22c, 22d)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문자 입력 창(22a)은 사용자의 작성을 제1 언어로 인식하고, 제2 문자 입력 창(22b)은 사용자의 작성을 제2 언어로 인식한다. 그리고 제3 문자 입력 창(22c)은 사용자의 작성을 숫자로 인식하고, 제4 문자 입력 창(22d)은 사용자의 작성을 부호로 인식한다.
여기서, 제1 문자 입력 창(22a)은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작성을 수행하는 제1 언어, 예컨대 자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창일 수 있다. 이에, 제1 문자 입력 창(22a)은 사용자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문자 출력 창(21) 하측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언어의 입력에서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구분하여 작성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제1 문자 입력 창(22a)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먼저, 제1 문자 입력 창(22a)은 문자 작성을 대문자로 인식하는 대문자 인식 창(22aa)과, 문자 작성을 소문자로 인식하는 소문자 인식 창(22ab)으로 구분되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문자 입력 창(22a)은 비교적 빈번하게 사용되는 소문자의 작성이 용이하도록 소문자 인식 창(22ab)이 대문자 인식 창(22aa)과 비교하여 넓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문자 입력 창(22a)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문자의 크기로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작성프로그램을 통해 대문자와 소문자의 문자 인식을 1cm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1cm 이상으로 문자를 작성할 경우 문자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문자 작성을 대문자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1cm 미만으로 문자를 작성할 경우 문자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문자 작성을 소문자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2 문자 입력 창(22b)은 제2 언어, 예컨대 외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창일 수 있다.
제2 문자 입력 창(22b)은 제1 문자 입력 창(22a) 하측에 출력된다. 제2 문자 입력 창(22b)은 입력되는 문자를 제2 언어로 인식하여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유사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인 인식을 방지한다. 예컨대, 종래의 문자 입력에서는 문자 입력 장치(100)가 한국어의 "ㅣ"와 영어의 "I" 등을 오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문자 입력 창(22b)은 제1 문자 입력 창(22a)과 언어적으로 구분되는 별도 공간으로 입력부(110)에 출력되어 문자 오인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문자 입력 창(22c)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창일 수 있다.
제3 문자 입력 창(22c)은 제1 문자 입력 창(22a) 측방에 출력된다. 여기서, 제3 문자 입력 창(22c)은 사용자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제1 문자 입력 창(22a) 및 제2 문자 입력 창(22b) 보다 비교적 적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입력부(110)에 출력될 수 있다. 제3 문자 입력 창(22c)은 입력되는 문자를 숫자로 인식하여 제1 언어, 제2 언어 및 숫자의 유사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인 인식을 방지한다.
예컨대, 종래의 문자 입력에서는 문자 입력 장치(100)가 한국어의 "ㅣ", 영어의 "I" 및 숫자 "1" 등을 오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문자 입력 창(22c)은 제1 문자 입력 창(22a) 및 제2 문자 입력 창(22b)과 구분되는 별도 공간으로 입력부(110)에 출력되어 문자 오인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문자 입력 창(22d)은 부호를 입력하기 위한 창일 수 있다.
제4 문자 입력 창(22d)은 제2 문자 입력 창(22b) 측방에서 상기 제3 문자 입력 창(22c)의 하측에 출력된다. 여기서, 제4 문자 입력 창(22d)은 사용자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제1 문자 입력 창(22a) 및 제2 문자 입력 창(22b) 보다 비교적 적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입력부(110)에 출력될 수 있다. 제4 문자 입력 창(22d)은 입력된 문자를 부호로 인식하여 제1 언어, 제2 언어, 숫자 및 부호의 유사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인 인식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4 문자 입력 창(22d)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위치에 따라 부호를 상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의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쉼표 "," 와 작은 따옴표 "''" 또는 하이픈 "-"과 밑줄문자 "_" 등을 오인할 수 있다. 이에, 제4 문자 입력 창(22d)은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부호 인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4 문자 입력 창(22d) 내에서 상부영역에 문자를 작성할 경우에, 문자 입력 장치(100)는 작성된 부호를 상부에 위치하는 부호로 인식한다. 예컨대, 상부에 위치하는 부호는 따옴표 """"및 작은따옴표 "''"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4 문자 입력 창(22d) 내에서 하부영역에 문자를 작성할 경우에, 문자 입력 장치(100)는 작성된 부호를 하부에 위치하는 부호로 인식한다. 예컨대, 하부에 위치하는 부호는 마침표 ".", 쉼표",", 밑줄문자 "_" 및 고리점 "。" 등일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4 문자 입력 창(22d) 내에서 중간 영역에 문자를 작성할 경우 부호를 하이픈 "-" 및 가운뎃점 "·" 등과 같이 중간에 위치하는 부호로 인식한다. 다만, 부호의 인식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문자 입력 장치(100)는 제3 문자 입력 창(22c)과 제4 문자 입력 창(22d)의 중첩 영역에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도 부호의 위치를 중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 창(22d)의 크기 또는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장치(100)는 제1 문자 입력 창(22a)과 제2 문자 입력 창(22b)에서 인식할 언어의 종류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언어는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작성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의 문자 작성에 대한 인식 정확도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인식 정확도를 높이거나, 100%로 설정할 때에 작성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문자 작성 그대로 받아드려 인식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인식 정확도를 낮출 경우에 작성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문자 작성을 고려하여 저장된 문자 중 유사성이 높은 문자를 예상하여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문자 입력 장치(100)가 사용자의 문자 작성을 혼동 없이 인식하기 위하여 입력부(110)에 복수 개의 문자 입력 창(22)이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문자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문자 작성에서 단일의 입력창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입력 장치(100)는 펜 형태의 문자 작성 도구를 통해 문자 작성을 혼동 없이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성 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작성 도구(200)는 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작성 도구(200)는 문자 작성 도구(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10)에는 스위치(211)가 마련된다. 스위치(211)는 문자 작성 도구(210)의 문자 작성이 제1 언어, 제2 언어, 숫자 및 부호로 구분되어 문자 입력 장치(10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211)가 제1 언어의 출력과 관련된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에, 문자 입력 장치(100)는 문자 작성 도구(200)에 의한 문자 작성을 제1 언어로 인식한다. 그리고 스위치(211)가 제2 언어의 출력과 관련된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 문자 입력 장치(100)는 문자 작성 도구(200)에 의한 문자 작성을 제2 언어로 인식한다. 또한, 스위치(211)가 숫자의 출력과 관련된 제3 위치에 위치할 때에, 문자 입력 장치(100)는 문자 작성 도구(200)에 의한 문자 작성을 숫자로 인식한다. 그리고 스위치(211)가 부호의 출력과 관련된 제4 위치에 위치할 때에, 문자 입력 장치(100)는 문자 작성 도구(200)에 의한 문자 작성을 부호로 인식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성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입력부(110)에 제1 문자 입력모드(10) 또는 제2 문자 입력모드(20)가 출력되도록 한다(S100).
사용자가 제1 문자 입력모드(10)를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는 키패드(11) 환경에서 문자를 조합하여 원하는 문장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2 문자 입력모드(20)를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문자 작성 도구(200)를 통해 입력부(110)에 문자를 직접 작성하고, 문자 입력 장치(100)는 작성된 문자가 문자 출력 창(21)에서 출력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2 문자 입력모드(20)를 선택한 경우 문자 출력 창(21)과 함께 복수 개의 문자 입력 창(22)에 호출된다. 예컨대, 문자 입력 창(22)은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 창(22a, 22b, 22c, 22d)으로 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 창(22a, 22b, 22c, 22d)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S200).
이후, 제1 문자 입력 창(22a)에서는 문자의 작성을 제1 언어로 인식할 준비를 하고, 제2 문자 입력 창(22b)에서는 문자의 작성을 제2 언어로 인식할 준비를 한다. 그리고 제3 문자 입력 창(22c)에서는 문자의 작성을 숫자로 인식할 준비를 하고, 제4 문자 입력 창(22d)에서는 문자의 작성을 부호로 인식할 준비를 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 입력 창(22)의 개수와, 복수 개의 문자 입력 창(22)에서 인식되는 문자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제1 문자 입력 창(22a)에서는 자국어인 제1 언어가, 제2 문자 입력 창(22b)에서는 제1 외국어인 제2 언어가, 제3 문자 입력 창(22c)에서는 제2 외국어인 제3 언어가, 제4 문자 입력 창(22d)에서는 숫자가, 제5 문자 입력 창(22e)에서는 부호가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문자 입력 창(22)이 호출되면, 사용자는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 창(22a, 22b, 22c, 22d)에 제1 언어, 제2 언어, 숫자 및 부호를 직접 작성하며 원하는 문자를 문자 입력 장치(100)에 입력한다. 이에, 작성프로그램은 작성된 문자를 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이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S300).
본 발명에 따른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는 정확한 문자 인식이 가능하여 문자 작성 시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문자 입력 장치
110 : 입력부
120 : 저장부
200 : 문자 작성 도구

Claims (19)

  1. 작성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작성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문자 작성 환경을 제공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성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출력 창과,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제1 언어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1 언어 입력 창과,
    상기 제1 언어 입력 창과 구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제2 언어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2 언어 입력 창과,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과 구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숫자로 인식되도록 하는 숫자 입력 창과,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 상기 숫자 입력 창과 구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부호로 인식되도록 하는 부호 입력 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부호 입력 창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부호 입력 창의 상부 영역에 부호를 작성할 때에 상기 부호가 상부에 위치하는 부호로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부호 입력 창의 하부 영역에 부호를 작성할 때에 상기 부호가 하부에 위치하는 부호로 인식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는 언어가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구분되어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사용자의 문자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에 대문자로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문자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하일 경우에 소문자로 인식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대문자와 상기 소문자를 구별하는 문자 인식 조건을 변경 가능하고,
    상기 숫자 입력 창과 상기 부호 입력 창은 상호 인접되도록 출력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숫자 입력 창과 상기 부호 입력 창의 중첩 영역에 부호를 작성할 때에 상기 부호는 중간에 위치하는 부호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 상기 숫자 입력창, 및 상기 부호 입력 창과 구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할 때에 상기 문자가 제3 언어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3 언어 입력 창을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는 자국어이며 제2 언어는 제1 외국어이며 제3 언어는 제2 외국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 입력 창의 면적은 상기 제2 및 제3 언어 입력 창의 면적 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언어 입력 창의 면적을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입력 창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부호 입력 창의 중간 영역에 부호를 작성할 때에 상기 부호가 중간에 위치하는 부호로 인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는 자국어이며 제2 언어는 외국어이고,
    상기 제1 언어 입력 창의 면적은 상기 제2 언어 입력 창의 면적 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언어 입력 창에서 인식될 언어의 종류를 각각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가 작성하는 문자의 인식 정확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프로그램은
    상기 인식 정확도를 높일 때에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작성을 그대로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인식 정확도를 낮출 때에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작성을 고려하여 저장된 문자 중 유사성이 높은 문자를 예상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9. 삭제
KR1020180144762A 2018-11-21 2018-11-21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 KR102257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62A KR102257719B1 (ko) 2018-11-21 2018-11-21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
US16/287,955 US10895981B2 (en) 2018-11-21 2019-02-27 Writing program, and character input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62A KR102257719B1 (ko) 2018-11-21 2018-11-21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709A KR20200059709A (ko) 2020-05-29
KR102257719B1 true KR102257719B1 (ko) 2021-05-28

Family

ID=7072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762A KR102257719B1 (ko) 2018-11-21 2018-11-21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95981B2 (ko)
KR (1) KR1022577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357B2 (ja) * 1992-10-20 2001-01-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文字認識処理装置
US7177473B2 (en) * 2000-12-12 2007-02-13 Nuance Communications, Inc. Handwriting data input device with multiple character sets
KR20040099937A (ko) * 2003-05-20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US7580029B2 (en) * 2004-04-02 2009-08-2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writing recognition
CN100407223C (zh) * 2004-04-02 2008-07-30 诺基亚公司 一种用于手写识别的设备和方法
US20070182595A1 (en) * 2004-06-04 2007-08-09 Firooz Ghasabia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US20060279559A1 (en) * 2005-06-10 2006-12-14 Wang Kongqiao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EP1904958A1 (en) * 2005-06-24 2008-04-02 Nokia Corporation Handwriting recognition in electronic devices
US8873858B2 (en) * 2006-06-29 2014-10-28 Rpx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enhanced text copy capability with touch input display
US8161395B2 (en) * 2006-11-13 2012-04-1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secure data entry in an application
KR20080068491A (ko)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58506B1 (ko) * 2007-02-23 2014-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기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US9355090B2 (en) * 2008-05-30 2016-05-31 Apple Inc. Identification of candidate characters for text input
KR100980384B1 (ko) 2008-10-07 2010-09-07 주식회사 디오텍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US20100177048A1 (en) * 2009-01-13 2010-07-15 Microsoft Corporation Easy-to-use soft keyboard that does not require a stylus
EP2562624A1 (en) * 2010-04-19 2013-02-27 Dap Realize Inc.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touch panel means and program for sai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9058103B2 (en) * 2012-07-25 2015-06-16 Facebook, Inc. Gestures for keyboard switch
JP6229303B2 (ja) * 2013-05-16 2017-11-15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文字認識方法
KR101709555B1 (ko) 2013-07-31 2017-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US9411508B2 (en) * 2014-01-03 2016-08-09 Apple Inc. Continuous handwriting UI
JP6101879B2 (ja) * 2015-03-26 2017-03-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表示入力装置の制御方法、表示入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717488B1 (ko) * 2016-09-23 2017-03-17 (주)신성이노테크 문자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791930B1 (ko) * 2016-09-23 2017-10-31 (주)신성이노테크 문자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59409A1 (en) 2020-05-21
KR20200059709A (ko) 2020-05-29
US10895981B2 (en)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1224B2 (en) User interface for overlapping handwritten text input
US8077974B2 (en) Compact stylus-based input technique for indic scripts
US9026428B2 (en) Text/character input system, such as for use with touch screens on mobile phones
US10416877B2 (en) System and method of guiding handwriting input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WO2014058934A2 (en) Arced or slanted soft input panels
EP3382525A1 (en) Gesture keyboard input of non-dictionary character strings
CN105204663A (zh) 一种虚拟键盘输入的方法及终端
KR102257719B1 (ko)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
KR101977594B1 (ko)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US9563282B2 (en) Brahmi phonemics based keyboard for providing textual inputs in indian languages
KR20170132643A (ko) 문자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050623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11857362A (zh) 文字输入方法及文字输入装置
US20160078013A1 (en) Fault-tolerant input method editor
KR101632534B1 (ko) 오타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JP2006293987A (ja) 文字入力装置、文書作成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101159323B1 (ko) 아시아 언어들을 위한 수기 입력
KR20130065965A (ko) 가상 키보드의 외관을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68316B1 (ko)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632893B2 (ja) 点字翻訳装置、点字翻訳方法、点字翻訳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40267047A1 (en) Handling inappropriate input method use
KR101674123B1 (ko) 터치스크린에서의 오타 수정방법
US11610070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a character type in a character combination and processes capable of execution therewith, and control method 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same
KR20070117339A (ko) 스마트 커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