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316B1 -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316B1
KR102168316B1 KR1020180134163A KR20180134163A KR102168316B1 KR 102168316 B1 KR102168316 B1 KR 102168316B1 KR 1020180134163 A KR1020180134163 A KR 1020180134163A KR 20180134163 A KR20180134163 A KR 20180134163A KR 102168316 B1 KR102168316 B1 KR 102168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keyboard
consonant
input
virtual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170A (ko
Inventor
최보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80134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3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Abstract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가상키보드를 통해 문자 입력이 수행될 때, 자음 자판과 모음 자판이 인접해있는 경계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음 또는 모음 입력에 따른 오타를 적절한 문자로 정정할 수 있는 오타 보정 처리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TERMINAL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FOR PERFORMING A TYPING CORRECTION PROCESS ON AN INPUT CHARAC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가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 단말 장치에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상키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상키보드는 사용자가 자음과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자판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자판에 터치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전자 단말 장치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가상키보드는 물리적인 버튼이 구비된 키보드와 달리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형태로 사용자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하기 때문에 문자의 입력 과정에서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가상키보드를 통해서 입력된 문자에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오입력된 문자를 삭제하고 다시 문자를 제대로 입력함으로써, 오타에 대한 정정을 수행하지만, 이러한 오타 정정은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가상키보드로 자주 사용되는 자판은 쿼티(qwerty) 자판이라고 해서, 컴퓨터 키보드의 자판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자판이 자주 사용됨에 따라, 이러한 쿼티 자판의 특성에 따른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쿼티 자판에 따른 가상키보드는 도 2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가상키보드의 좌측면에 복수의 자음 자판들(210)이 배치되고, 가상키보드의 우측면에 복수의 모음 자판들(220)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자음 자판들(210)과 복수의 모음 자판들(220)이 접해있는 경계면에 위치하는 자음 자판과 모음 자판에서 오타가 자주 발생하곤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소'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가상키보드를 이용해서 'ㅅ'을 입력한 후 'ㅗ'라고 하는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도 2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ㅗ'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233)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ㅍ'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231)에 터치 입력을 잘못 인가함으로써, 'ㅅㅍ'이라고 하는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라는 단어를 입력하려다가 도 3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ㅅ'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333)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ㅛ'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331)에 터치 입력을 잘못 인가한 후 'ㅗ'라고 하는 모음을 인가함으로써, 'ㅛㅗ'라고 하는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오타 발생여부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오타 정정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가상키보드를 통해 문자 입력이 수행될 때, 자음 자판과 모음 자판이 인접해있는 경계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음 또는 모음 입력에 따른 오타를 적절한 문자로 정정할 수 있는 오타 보정 처리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는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키보드 - 상기 가상키보드는 복수의 자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복수의 모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음 자판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좌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음 - 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가상키보드 표시부,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자음이 입력된 후 기설정된(predetermined) 시간 이내에 제2 자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제1 터치 지점 확인부, 상기 제1 터치 지점이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1 터치 지점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모음 자판을 확인하는 모음 자판 확인부 및 상기 제1 모음 자판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2 자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자음과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이 결합된 결합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1 오타 보정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키보드 - 상기 가상키보드는 복수의 자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복수의 모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음 자판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좌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음 - 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자음이 입력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2 자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지점이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1 터치 지점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모음 자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음 자판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2 자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자음과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이 결합된 결합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가상키보드를 통해 문자 입력이 수행될 때, 자음 자판과 모음 자판이 인접해있는 경계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음 또는 모음 입력에 따른 오타를 적절한 문자로 정정할 수 있는 오타 보정 처리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110)는 가상키보드 표시부(111), 제1 터치 지점 확인부(112), 모음 자판 확인부(113) 및 제1 오타 보정 처리부(114)를 포함한다.
가상키보드 표시부(111)는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키보드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키보드는 복수의 자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복수의 모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음 자판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좌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가상키보드는 도 2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복수의 자음 자판들(210)과 복수의 모음 자판들(220)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자음 자판들(210)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좌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모음 자판들(220)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터치 지점 확인부(112)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자음이 입력된 후 기설정된(predetermined) 시간 이내에 제2 자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터치 지점 확인부(112)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자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이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모음 자판 확인부(113)는 상기 제1 터치 지점이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1 터치 지점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모음 자판을 확인한다.
제1 오타 보정 처리부(114)는 상기 제1 모음 자판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2 자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자음과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이 결합된 결합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한다.
관련해서, 도 2에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110)의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소'라고 하는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ㅅ'이라고 하는 제1 자음을 입력한 후 'ㅗ'라고 하는 모음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 입력을 'ㅍ'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231)에 잘못 인가함에 따라, 'ㅍ'이라고 하는 제2 자음을 입력하였다고 하는 경우, 제1 터치 지점 확인부(112)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음 자판들(210)에서 'ㅍ'이라고 하는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터치 지점 확인부(112)는 'ㅍ'이라고 하는 상기 제2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231)이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복수의 자음 자판들(210)과 복수의 모음 자판들(220)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231)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음 자판들(210)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ㅍ'이라고 하는 상기 제2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231)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이기 때문에 제1 터치 지점 확인부(112)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음 자판들(210)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터치 지점이 도 2의 도면부호 232로 표시한 지점으로 확인되었다고 하는 경우, 모음 자판 확인부(113)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음 자판들(220)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1 터치 지점(232)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모음 자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터치 지점(232)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모음 자판이 'ㅗ'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233)이기 때문에 모음 자판 확인부(113)는 상기 'ㅗ'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233)을 상기 제1 모음 자판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모음 자판(233)이 확인되면, 제1 오타 보정 처리부(114)는 제1 모음 자판(233)에 대응하는 모음인 'ㅗ'를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자음인 'ㅅ'과 상기 제2 자음인 'ㅍ'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자음인 'ㅅ'과 제1 모음 자판(233)에 대응하는 모음인 'ㅗ'가 결합된 결합 문자인 '소'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ㅅㅍ'이라고 하는 오타를 '소'라고 하는 문자로 적절히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110)는 제2 터치 지점 확인부(115), 자음 자판 확인부(116) 및 제2 오타 보정 처리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지점 확인부(115)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2 모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1 모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터치 지점 확인부(115)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모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모음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이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모음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1 모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자음 자판 확인부(116)는 상기 제2 터치 지점이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2 터치 지점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자음 자판을 확인한다.
제2 오타 보정 처리부(117)는 상기 제1 자음 자판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자음 자판에 대응하는 자음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 및 상기 제2 모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자음 자판에 대응하는 자음과 상기 제2 모음이 결합된 결합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한다.
관련해서, 도 3에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110)의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소'라고 하는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ㅅ'이라고 하는 자음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 입력을 'ㅛ'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331)에 잘못 인가함에 따라 'ㅛ'라고 하는 제1 모음을 입력한 후 연속해서 'ㅗ'라고 하는 모음을 입력하였다고 하는 경우, 제2 터치 지점 확인부(115)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음 자판들(220)에서 'ㅛ'이라고 하는 상기 제1 모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터치 지점 확인부(115)는 'ㅛ'라고 하는 상기 제1 모음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331)이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복수의 자음 자판들(210)과 복수의 모음 자판들(220)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모음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331)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음 자판들(220)에서 상기 제1 모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ㅛ'라고 하는 상기 제1 모음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331)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이기 때문에 제2 터치 지점 확인부(115)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음 자판들(220)에서 상기 제1 모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터치 지점이 도 3의 도면부호 332로 표시한 지점으로 확인되었다고 하는 경우, 자음 자판 확인부(116)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음 자판들(210)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2 터치 지점(332)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자음 자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터치 지점(332)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자음 자판이 'ㅅ'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333)이기 때문에 자음 자판 확인부(116)는 상기 'ㅅ'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333)을 상기 제1 자음 자판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자음 자판(333)이 확인되면, 제2 오타 보정 처리부(117)는 제1 자음 자판(333)에 대응하는 자음인 'ㅅ'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인 'ㅛ'와 상기 제2 모음인 'ㅗ'를 제거하고, 제1 자음 자판(333)에 대응하는 자음인 'ㅅ'과 상기 제2 모음인 'ㅗ'가 결합된 결합 문자인 '소'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ㅛㅗ'라고 하는 오타를 '소'라고 하는 문자로 적절히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110)는 인식 단어 생성부(118), LCS 연산부(119), 비율 초과 확인부(120) 및 단어 보정 처리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식 단어 생성부(118)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단어의 입력이 완료되어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제1 단어가 표시된 이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어에 대한 오타 보정을 위한 대체 단어를 지칭하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에 따른 인식 단어를 생성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송아지'라고 하는 단어를 입력하고자 하였는데, 잘못 입력해서 '성아지'라고 하는 오타가 입력됨에 따라 '성아지'라고 하는 오타가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성아지'라고 하는 오타를 '송아지'로 보정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을 통해서 '송아지'라고 하는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인식 단어 생성부(118)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송아지'라고 하는 인식 단어를 생성할 수 있다.
LCS 연산부(119)는 상기 제1 단어와 상기 인식 단어를 자소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와 상기 인식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간의 최장 공통 부분 수열(Longest Common Subsequence: LCS)의 길이를 연산한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통해 '성아지'라고 하는 제1 단어를 입력한 후 '송아지'라고 하는 음성을 입력함에 따라 '송아지'라고 하는 인식 단어가 생성되었다고 하는 경우, LCS 연산부(119)는 '성아지'와 '송아지' 각각에 대해 자소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자소란 문자 체계에서 음소를 표시하는 최소의 변별적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글에서는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 모음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LCS 연산부(119)는 '성아지'에 대해 'ㅅㅓㅇㅇㅏㅈㅣ'라는 형태로 자소를 분리할 수 있고, '송아지'에 대해 'ㅅㅗㅇㅇㅏㅈㅣ'라는 형태로 자소를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1 단어와 상기 인식 단어가 자소로 분리되면, LCS 연산부(119)는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와 상기 인식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 간의 LCS의 길이를 연산할 수 있다.
LCS란 두 개의 문자열에서 일치하는 연속된 문자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ACAYKP'와 'CAPCAK'가 있다고 하였을 때, 두 문자열 간의 LCS는 'ACAK'이고, 이때 LCS의 길이는 '4'가 된다.
관련해서, LCS 연산부(119)는 '성아지'의 자소와 '송아지'의 자소 간의 LCS의 길이를 연산할 수 있다.
즉, LCS 연산부(119)는 'ㅅㅓㅇㅇㅏㅈㅣ'와 'ㅅㅗㅇㅇㅏㅈㅣ' 간의 일치하는 연속된 자소의 개수를 연산할 수 있다.
비율 초과 확인부(120)는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의 개수에 대한 상기 LCS의 길이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어 보정 처리부(121)는 상기 연산된 비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인식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한다.
관련해서, 전술한 실시예에서 'ㅅㅓㅇㅇㅏㅈㅣ'와 'ㅅㅗㅇㅇㅏㅈㅣ' 간의 LCS의 길이는 '6'이고, 상기 제1 단어인 '성아지'를 구성하는 자소의 개수는 '7'이기 때문에 비율 초과 확인부(120)는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의 개수에 대한 상기 LCS의 길이의 비율을 '0.857'로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0.7'이라고 하는 경우, 비율 초과 확인부(120)는 상기 연산된 비율인 '0.857'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비율인 '0.7'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단어 보정 처리부(121)는 상기 연산된 비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인 '성아지'를 상기 인식 단어인 '송아지'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110)는 사용자에 의해 가상키보드를 통해 소정의 오타 단어가 입력된 후 상기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상기 오타 단어를 보정하기 위한 대체 단어를 인가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에 따른 인식 단어를 생성한 후 상기 인식 단어와 상기 오타 단어 간의 유사도를 LCS를 기반으로 연산하고, 해당 유사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다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인식된 인식 단어를 상기 오타 단어에 대한 보정 대상 단어로 확정하여 상기 오타 단어를 상기 보정 대상 단어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손쉽게 오타를 보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410)에서는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키보드(상기 가상키보드는 복수의 자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복수의 모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음 자판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좌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음)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단계(S420)에서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자음이 입력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2 자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한다.
단계(S430)에서는 상기 제1 터치 지점이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1 터치 지점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모음 자판을 확인한다.
단계(S440)에서는 상기 제1 모음 자판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2 자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자음과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이 결합된 결합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420)에서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자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이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2 모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1 모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터치 지점이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2 터치 지점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자음 자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음 자판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자음 자판에 대응하는 자음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 및 상기 제2 모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자음 자판에 대응하는 자음과 상기 제2 모음이 결합된 결합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모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모음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이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모음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1 모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단어의 입력이 완료되어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제1 단어가 표시된 이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어에 대한 오타 보정을 위한 대체 단어를 지칭하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에 따른 인식 단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어와 상기 인식 단어를 자소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와 상기 인식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간의 LCS의 길이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의 개수에 대한 상기 LCS의 길이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비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인식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111: 가상키보드 표시부 112: 제1 터치 지점 확인부
113: 모음 자판 확인부 114: 제1 오타 보정 처리부
115: 제2 터치 지점 확인부 116: 자음 자판 확인부
117: 제2 오타 보정 처리부 118: 인식 단어 생성부
119: LCS 연산부 120: 비율 초과 확인부
121: 단어 보정 처리부

Claims (12)

  1.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키보드 - 상기 가상키보드는 복수의 자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복수의 모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음 자판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좌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음 - 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가상키보드 표시부;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자음이 입력된 후 기설정된(predetermined) 시간 이내에 제2 자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제1 터치 지점 확인부;
    상기 제1 터치 지점이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1 터치 지점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모음 자판을 확인하는 모음 자판 확인부; 및
    상기 제1 모음 자판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2 자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자음과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이 결합된 결합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1 오타 보정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지점 확인부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자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이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2 모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1 모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제2 터치 지점 확인부;
    상기 제2 터치 지점이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2 터치 지점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자음 자판을 확인하는 자음 자판 확인부; 및
    상기 제1 자음 자판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자음 자판에 대응하는 자음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 및 상기 제2 모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자음 자판에 대응하는 자음과 상기 제2 모음이 결합된 결합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2 오타 보정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지점 확인부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모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모음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이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모음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1 모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단어의 입력이 완료되어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제1 단어가 표시된 이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어에 대한 오타 보정을 위한 대체 단어를 지칭하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에 따른 인식 단어를 생성하는 인식 단어 생성부;
    상기 제1 단어와 상기 인식 단어를 자소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와 상기 인식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간의 최장 공통 부분 수열(Longest Common Subsequence: LCS)의 길이를 연산하는 LCS 연산부;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의 개수에 대한 상기 LCS의 길이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비율 초과 확인부; 및
    상기 연산된 비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인식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어 보정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6.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키보드 - 상기 가상키보드는 복수의 자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복수의 모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음 자판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좌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은 상기 가상키보드의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음 - 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자음이 입력된 후 기설정된(predetermined) 시간 이내에 제2 자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지점이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1 터치 지점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모음 자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음 자판이 확인되면,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2 자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자음과 상기 제1 모음 자판에 대응하는 모음이 결합된 결합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자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이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 자판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2 자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2 모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1 모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터치 지점이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 중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제2 터치 지점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최소인 제1 자음 자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음 자판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자음 자판에 대응하는 자음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상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 및 상기 제2 모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자음 자판에 대응하는 자음과 상기 제2 모음이 결합된 결합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모음이 연속해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모음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이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자음 자판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모음에 대응하는 모음 자판이 상기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자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모음 자판들에서 상기 제1 모음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터치 지점을 확인하는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단어의 입력이 완료되어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제1 단어가 표시된 이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어에 대한 오타 보정을 위한 대체 단어를 지칭하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에 따른 인식 단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어와 상기 인식 단어를 자소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와 상기 인식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간의 최장 공통 부분 수열(Longest Common Subsequence: LCS)의 길이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자소의 개수에 대한 상기 LCS의 길이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비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인식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6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제6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34163A 2018-11-05 2018-11-05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68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63A KR102168316B1 (ko) 2018-11-05 2018-11-05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63A KR102168316B1 (ko) 2018-11-05 2018-11-05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170A KR20200051170A (ko) 2020-05-13
KR102168316B1 true KR102168316B1 (ko) 2020-10-21

Family

ID=7072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163A KR102168316B1 (ko) 2018-11-05 2018-11-05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892A (ko) * 2021-03-15 2022-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오타 보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681B1 (ko) 2016-08-08 2016-12-20 김영길 오타 문자 수정 방법
KR101858999B1 (ko) * 2016-11-28 2018-05-17 (주)헤르메시스 가상 키보드의 입력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3664A (ko) * 2007-10-30 2009-05-0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한글입력의 입력 오류를 인지 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및 한글입력장치
KR20150072603A (ko) * 2013-12-20 2015-06-30 주식회사 디오텍 음성인식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 및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681B1 (ko) 2016-08-08 2016-12-20 김영길 오타 문자 수정 방법
KR101858999B1 (ko) * 2016-11-28 2018-05-17 (주)헤르메시스 가상 키보드의 입력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170A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26318B (zh) 输入法编辑器
JP4829901B2 (ja) マニュアルでエントリされた不確定なテキスト入力を音声入力を使用して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1393506B (zh) 用于具有多语言环境的设备的输入方法及相关设备和系统
TWI437449B (zh) 多重模式輸入方法及輸入方法編輯器系統
US20080077393A1 (en) Virtual keyboard adaptation for multilingual input
KR101474854B1 (ko) 음성인식을 통해 컨트롤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606185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recognition of a handwritten shape
CN103369122A (zh) 语音输入方法及系统
JP5037491B2 (ja) 与えられた(1つ以上の)文字の全数より少ない数の文字、若しくは、その文字の字画の全数より少ない数の字画、又はその両方を供給することによる、表意言語の句の省略された手書き入力
Ouyang et al. Mobile keyboard input decoding with finite-state transducers
JP6197706B2 (ja) 電子機器、問題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298667A (ja) 構文情報による漢字変換装置
KR102168316B1 (ko) 입력 문자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189336B2 (ja) 音声情報処理システム、音声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1021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current use of two or more closely coupled communication recognition modalities
KR20170009486A (ko) 청크 기반 언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CN104699745A (zh) 语音输出装置和语音输出方法
US77617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119743B1 (ko)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00457B1 (ko) 자소 구분에 따른 레벨별 단어 제시를 통해 효율적인 타자 연습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19740B1 (ko)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입력 단어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924573A (zh) 翻译装置
KR101915789B1 (ko) 가상키보드를 통해 손쉬운 문자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51909B1 (ko) 음성 인식 텍스트 수정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한 장치
KR101645420B1 (ko) 터치 기반의 옛 한글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터치 기반의 옛 한글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