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704A -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 Google Patents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704A
KR20010047704A KR1019990052040A KR19990052040A KR20010047704A KR 20010047704 A KR20010047704 A KR 20010047704A KR 1019990052040 A KR1019990052040 A KR 1019990052040A KR 19990052040 A KR19990052040 A KR 19990052040A KR 20010047704 A KR20010047704 A KR 20010047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or oil
polyethylene
lipstick composition
lipstick
hydrogenated ca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847B1 (ko
Inventor
박현구
김동명
조병기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유상옥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송운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옥,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송운한 filed Critical 유상옥
Priority to KR1019990052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8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Abstract

본 발명은 색감 표현력, 사용감이 우수하면서 변취, 변색 및 발한 등의 경시 변화를 최소화한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Hydrogenated Castor Oil Isostearate),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Isostearyl Neopentanoate), 폴리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함으로서 색소의 분산력,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부드럽고 가벼운 사용성을 나타내고 아울러 변취, 변색 및 발한 등의 경시 변화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품질 및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Compositions of castor oil free lipstick}
본 발명은 립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스틱은 입술에 색채적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아름답게 보이게 하고 동시에 입술의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입술용 화장품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립스틱은 크게 입술에 유연 효과, 광택, 사용감을 부여해 주는 유성 성분인 왁스 및 오일과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색소 성분, 산화방지제, 방부제, 향 등의 각종 첨가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왁스는 경도를 상승시켜 립스틱의 외관 형태를 유지시키는 고형 성분으로 칸데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목납, 경납,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등이 사용되어 립스틱 표면에 광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색소 성분은 립스틱의 색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크게 유기색소와 무기색소로 구분되어 진다. 유기색소의 경우 일반적으로 용해성을 가진 것들이 많고 이러한 염료의 경우 입술에 염착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립스틱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유기 색소의 색상이 다양하고 화사하기 때문에 상기 염료를 불용성의 레이크로 만든 색소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외에 산화철과 같은 무기 색소들이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색소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서도 립스틱에 많은 물성 차이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오일은 립스틱 조성물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부분으로 피마자유, 호호바유, 스쿠알란, 라놀린, 라놀린 유도체, 동식물에서 추출된 오일과 합성 에스테르오일, 실리콘오일 등 액상의 유성성분이 사용되어 색소 성분을 분산시키고, 립스틱의 부착성과 퍼짐성에 영향을 미치는 등 유성성분의 선택과 함량에 따라 색소의 분산성 및 사용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립스틱은 색감 표현력이 우수하며 바르기 쉽고 부드러운 사용성 및 입술의 보호 기능을 가져야 한다. 또한, 입술이나 피부 또는 체내에 섭취하였을 경우에도 무해하고, 아울러 입술에서의 라인 번짐이나 뭉침 등이 없어야 하고 변색, 변취 및 발한 등의 경시 변화도 없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구성 성분 중 왁스의 함량이 많으면 립스틱의 경도가 높고 딱딱해지며 사용감이 무거워져 발림성이 떨어지게 되고, 왁스의 함량이 적게되면 발림성은 좋은 반면, 고온 안정성이 떨어지고 쉽게 뭉그러진다. 또한, 립스틱의 묻어나는 양이 많아져 입술이 지저분하게 되며 입술의 라인을 따라 번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오일 성분인 라놀린의 경우 보습력과 부착력이 우수하여 립스틱에서 흔히 사용되나, 라놀린 자체가 산화되기 쉬워 변취 및 변색의 우려가 있고, 입술에 부담감을 주며, 최근에는 라놀린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가 보고된바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성분의 피마자유는 색소에 대한 분산력이 매우 우수하고 입술에 대한 보호 효과가 뛰어나 예로부터 립스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던 조성물로 5.0-60.0중량 까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피마자유의 주된 구성물질은 분자 구조 내에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는 리시놀레인산으로 열이나 대기중의 라디칼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이중 결합이 끊어지게 되고 이는 분자내의 변형을 일으켜 변취 및 변색 등을 가져오게 된다.
상술한 사용감, 발림성, 변취 및 변색 등의 문제점 이외에도 지금까지 알려진 립스틱의 가장 대표적인 불안정 요소로 오일이 립스틱의 표면으로 번져나오는 발한을 들 수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한은 왁스와 오일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립스틱이 열에 따라 수축, 팽창 운동을 하는 과정 중에서 각 성분들의 팽창율 차이로 조성물 내에 발생한 미세한 균열과 친수성이 있는 색소들에 대기중의 수분이 흡착되어 수분의 부피 팽창율의 차이에 따라 발생한 미세한 균열을 따라 내부의 오일상이 외부로 나오게 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발한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피마자유가 발한의 주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마자유를 대체할 수 있는 기재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디글리세린/세바신산/이소팔미틴산의 올리고에스터, 2-에틸핵실옥시스테아레이트 등의 원료들이 피마자유 대체 기재로 현재 검토되고 있으며 일부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의 경우 색소에 대한 분산력이 우수하고 기존의 피마자유를 사용한 것에 비해 사용성은 가볍지만 끈적임이 있으며, 발한이 많이 일어난다.
또한,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는 색소에 대한 분산력은 매우 우수하나 끈적임이 심하고 사용성이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고, 디글리세린/세바신산/이소팔미틴산의 올리고에스터는 색소에 대한 분산력, 도포 및 외관광택이 크게 저하되며 융점 및 경도를 약화시켜 립스틱의 고온 안정성을 약화시킨다.
또한, 2-에틸핵실옥시스테아레이트는 색소에 대한 분산력은 매우 우수하나 도포 및 외관광택이 크게 저하되며 융점 및 경도의 약화로 립스틱의 고온 안정성을 약화시킨다.
또한, 기존의 피마자유의 2중결합을 수소화한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은 산화에 대한 안정성은 좋지만 융점이 현저히 높아져 히드록시지방산으로서의 특징을 상온에서 발휘하기 어려운 등 피마자유 대체용으로 개발된 여러 가지 기재들이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색감 표현력, 사용감이 우수하면서 변취, 변색 및 발한 등의 경시 변화를 최소화한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은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Hydrogenated Castor Oil Isostearate)와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Isostearyl Neopentanoate), 폴리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함으로서 분자 구조내의 히드록시기에 의해 색소에 대한 분산력을 높이고, 불포화 지방산을 포화 지방산으로 수소화 함으로서 산화 안정성을 높여 변취 및 변색을 없애고, 폴리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를 사용하여 오일들을 겔화시켜 발한을 최소화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Hydrogenated Castor Oil Isostearate)와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Isostearyl Neopentanoate), 폴리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Hydrogenated Castor Oil Isostearate)는 피마자유에 수소를 첨가하여 얻은 경화피마자유의 히드록시기에 대해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지방산과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진 히드록시지방산기를 함유한 글리세라이드로, 융점이 43-55℃, 검화가가 175-195이다.
상기 히드록시지방산은 피마자유의 주성분인 리시놀레인산이나 라놀린등 기타 동식물지질에서 볼 수 있는 히드록시기를 가진 지방산으로 친수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흡습성이 다른 지방산에 비하여 높고 대단히 큰 포수력을 가지고 있어 립스틱에 배합할 때 여러 가지의 특징을 발휘하기 쉽고, 특히 촉촉하고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한다.
또한,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Isostearyl Neopentanoate)는 이소스테아릴알코올과 네오펜타노인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투명한 액상 오일로 굴절율이 1.4467-1.4497이며, 비중이 0.853-0.870이다. 상기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는 무색, 무취, 무미의 특성을 갖으며 열, 공기 중에서의 안정성 및 색소에 대한 분산력이 뛰어나며 가볍고 부드러운 사용성을 제공한다.
상기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와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는 색소의 분산 기재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10:1 내지 1:10의 비율로 혼용하여 립스틱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70.0중량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는 분산력 및 안정성이 우수한 반면, 상온에서 페이스트상으로 존재하여 색소의 분산 기재로 쉽게 사용되기 어려우며 사용감이 약간 무겁고 끈적임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는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를 일정 비율로 혼용하여 색소의 분산 기재로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무겁고 끈적이는 사용감을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는 발한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폴리데신/이소헥사데칸공중합체, 로진 아크릴제이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코폴리머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용하여 립스틱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20.0중량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는 겔화력이 우수하여 립스틱내의 유동성이 많은 오일들을 겔화시켜 오일의 유동성을 억제시키며, 이에 따라 온도 변화에 따른 왁스와 오일의 팽창율 차이로 오일이 밖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인 발한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온 안정성이 우수해 왁스의 함량을 줄일 수 있어 사용성이 가볍고 부드러우며 라인의 번짐 현상을 최소화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의 히드록시기를 가진 분자구조에 의해 기존에 사용되던 기재인 피마자유와 그 외에 현재 검토되어지고 있는 다른 기재에 비해 히드록시기와 극성을 나타내는 색소와의 친화성이 높아 우수한 색소 분산력을 갖게 된다. 또한,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 분자 내의 친수기에 의해 뛰어난 포수력을 나타내 보습력 및 입술의 보호 효과가 우수하게 된다.
또한,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의 부드럽고 실키한 사용감으로 끈적임 없이 가볍고 부드러운 사용성을 갖는다. 아울러, 분자 구조 내에 이중결합이 전혀 없어 기존의 어떠한 기재에 비해서도 우수한 산화 안정성을 가지며 변취, 변색, 발한 등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도포 및 외관의 광택이 우수하여 기존의 피마자유를 사용하는 것 이상의 광택을 갖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아래의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배합량은 중량로 나타낸다.
실시예: 립스틱 제조
원 료 명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1. 파라핀납 5.0 5.0 5.0 5.0 2.0 5.0
2. 칸데릴라납 10.0 10.0 10.0 10.0 10.0 10.0
3. 세레신 5.0 5.0 5.0 5.0 5.0 5.0
4. 옥틸도데칸올 15.0 15.0 15.0 15.0 15.0 15.0
5. 트리옥타노인 20.0 20.0 20.0 20.0 20.0 20.0
6. 스쿠알란 10.0 10.0 10.0 10.0 10.0 10.0
7. 피마자유 25.0 - - - - -
8.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 25 - - - -
9.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 - 25 - - -
10. 2-에틸헥실옥시스테아레이트 - - - 25 - -
11.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 - - - - 12.5 12.5
12.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 - - - 12.5 12.5
13. 폴리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 - - - - - 3.0
14. 색소 10.0 10.0 10.0 10.0 10.0 10.0
15. 방부제 q.s q.s q.s q.s q.s q.s
16. 향 q.s q.s q.s q.s q.s q.s
제조 방법:
1) 원료 1-6을 평량하여 85℃에서 균일하게 혼합 용융한 후, 미리 혼합한 원료 7-14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 탈포한다.
2) 상기 1)을 75℃까지 냉각하고, 원료 15, 16을 넣어 소정 시간동안 분산한후 립스틱의 형태로 성형한다.
시험예: 색소의 분산력 및 분산 안정성 측정
본 발명의 립스틱 조성물과 기존의 립스틱 조성물에 대해 색소 분산력 및 분산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표 1에 기재된 기존의 립스틱 조성물인 피마자유 및 그 대체 물질을 비교예로 하고 본 발명의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폴리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립스틱 조성물을 실시예로 하여 일정양의 색소를 넣어 20분 동안 분산시켜 UV-Visible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한다. 상기 흡광도의 수치가 높을수록 색소의 분산력이 우수한 것으로, 입자들의 뭉침이 적으면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 입자들의 표면적이 증가하면서 빛을 많이 흡수하여 흡광도가 높아져 색소의 분산력이 우수하게 된다. 따라서, 흡광도로 분산력의 정도에 대해 평가하고 시간(1일, 1주일, 1개월)에 따른 수치의 변화 정도로 색소의 분산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 시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분산 직후 0.685 0.693 0.805 0.833 0.915 0.918
1일 후 0.645 0.631 0.781 0.810 0.910 0.913
1주일 후 0.588 0.596 0.732 0.793 0.907 0.910
1개월 후 0.578 0.589 0.657 0.754 0.898 0.90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의 조성물 보다 실시예의 조성물에서 흡광도가 더 높게 나타남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색소의 분산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시간의 변화에 따른 수치 변화 정도가 더 작게 나타나 색소의 분산 안정성이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안정성 측정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해 변색, 변취 및 발한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변색 및 변취가 가장 쉽게 발생되는 50℃의 조건에서 변색 및 변취의 정도에 대해 측정하고, 발한이 가장 쉽게 발생되는 cyclic incubator에서 -4℃∼40℃를 1일 2회 변화시켜 각각 비교예와 실시예 제품에 대해 60일 동안 변색, 변취 및 발한이 관찰되기 시작한 날을 기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가옥 조건에서 안정성을 측정함으로서 실제로는 3-5년간의 안정성을 예측할 수 있다.
측정 조건 항 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50℃ 변색 20일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변취 12일 없음 52일 47일 없음 없음
cyclic incubator 발한 1일 5일 21일 17일 56일 없음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제품이 변색 및 변취에 대한 안정성이 높음을 알 수 있고, 특히 수소화된 캐스터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와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폴리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한 실시예 2가 변색, 변취는 물론이고 발한에 대한 안정성도 높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외관 광택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제품과 비교예 제품에 대해 외관 광택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된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해 성형 직후와 1일, 1주일, 1개월 후의 외관 광택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 시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성형 직후 7.0 6.0 7.5 5.0 9.0 9.0
1일 후 6.5 5.5 7.0 4.5 8.5 8.5
1주일 후 5.5 4.5 5.5 3.5 8.0 8.0
1개월 후 5.0 4.0 5.0 3.0 8.0 8.0
범례: 10(우수) → 5(보통) → 1(없음)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제품의 외관 광택이 비교예 제품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고,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광택의 변화 정도도 작아 광택의 지속 효과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사용 효과 비교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해 사용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피검자 20-30대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3개월 동안 2주씩 실시예 및 비교예 제품을 사용하여 입술 거칠음 개선, 입술의 사용성, 입술 피부 자극의 항목에 대해 사용 전후의 입술을 면밀히 관찰하여 비교 품평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평가 기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입술거칠음 개선 124 156 186 108 204 221
122 127 98 149 88 73
56 17 16 43 8 6
입술의 사용성 75 198 125 164 235 256
167 65 134 96 60 42
58 37 41 40 5 2
입술 피부 자극 27 5 3 10 0 0
상기 표 5와 같이, 입술 거칠음 개선, 입술의 사용성, 입술 피부 자극의 항목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 제품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은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폴리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함으로서 색소의 분산력,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부드럽고 가벼운 사용성을 나타내고 아울러 변취, 변색 및 발한 등의 경시 변화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립스틱 조성물에 있어서,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hydrogenated Castor Oil Isostearate)와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Isostearyl Neopentanoate), 폴리 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는 수소 첨가한 경화피마자유의 히드록시기를 일부 또는 전부를 지방산과 에스테르화시킨 것으로 융점이 43-55℃이며 검화가가 175-195임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는 이소스테아릴알코올과 네오펜타노인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투명한 액상 오일로 굴절율이 1.4467-1.4497, 비중이 0.853-0.870임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와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는 10:1 내지 1:10의 비율로 혼용하여 립스틱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70.0중량 로 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그 유도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폴리데신/이소헥사데칸공중합체, 로진 아크릴제이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코폴리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용하여 0.1-20중량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KR1019990052040A 1999-11-23 1999-11-23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KR100609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040A KR100609847B1 (ko) 1999-11-23 1999-11-23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040A KR100609847B1 (ko) 1999-11-23 1999-11-23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704A true KR20010047704A (ko) 2001-06-15
KR100609847B1 KR100609847B1 (ko) 2006-08-09

Family

ID=1962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040A KR100609847B1 (ko) 1999-11-23 1999-11-23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9924A1 (fr) * 2001-09-21 2003-03-2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soin ou de maquillage des matie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ester aliphatique d'ester et une huile de masse molaire allant de 650 a 10000 g/mol
CN115154364A (zh) * 2022-07-21 2022-10-11 中山市美源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转移抗污染亮光口红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4742A1 (de) * 1985-09-28 1987-04-09 Beiersdorf Ag Hydrocortisondiester enthaltende w/o-creme
JPH0669940B2 (ja) * 1988-03-16 1994-09-07 ライオン株式会社 白髪防止剤
US5225186A (en) * 1990-06-21 1993-07-06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High cosmetic powder lipstick composition
US5756082A (en) * 1995-03-16 1998-05-26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Cosmetic stick compositions containing DI--and triblock copolym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9924A1 (fr) * 2001-09-21 2003-03-2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soin ou de maquillage des matie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ester aliphatique d'ester et une huile de masse molaire allant de 650 a 10000 g/mol
WO2003035024A1 (en) * 2001-09-21 2003-05-01 L'oreal S.A. Cosmetic care or make-up composition for keratin materials comprising an aliphatic ester
CN115154364A (zh) * 2022-07-21 2022-10-11 中山市美源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转移抗污染亮光口红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847B1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4146A (en) Anhydrous delivery vehicle for cosmetic ingredients
CN111096912B (zh) 一种双连续相型眼唇卸妆液及其制备方法
JPH107527A (ja) 口 紅
CN109674687B (zh) 一种乳化口红及其制备方法
CN112237553A (zh) 一种防水液体眼影及其制备方法
KR100609847B1 (ko)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210047069A (ko) 젤 타입의 향수 화장료 조성물
KR20070018459A (ko) 이층형 팁타입의 액상 립글로스 조성물
KR20070083336A (ko) 립스틱 조성물
KR100443398B1 (ko) 스틱형팩화장료및그의제조방법
JP4412673B2 (ja) 水系唇用下地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JP2006342141A (ja) 油性固形化粧料
KR100227122B1 (ko) 입술화장료의 보습성 향상을 위한 w/o형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한 입술화장료 조성물
JPH075450B2 (ja) 透明な液状の油性化粧料
JPH02200608A (ja) 化粧料
CN117815147B (zh) 一种光感幻变唇膏及其制备方法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900008311B1 (ko) 립스틱 조성물
KR102427915B1 (ko)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H04360810A (ja) 口唇用化粧料
JP2627445B2 (ja) 化粧料
JPH0597626A (ja) 油性化粧料
CN117815147A (zh) 一种光感幻变唇膏及其制备方法
WO2023228199A1 (en) Topical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