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472A -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472A
KR20010046472A KR1019990050263A KR19990050263A KR20010046472A KR 20010046472 A KR20010046472 A KR 20010046472A KR 1019990050263 A KR1019990050263 A KR 1019990050263A KR 19990050263 A KR19990050263 A KR 19990050263A KR 20010046472 A KR20010046472 A KR 20010046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current
voltage
start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381B1 (ko
Inventor
권순광
임성엽
이감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0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381B1/ko
Priority to AU56528/00A priority patent/AU5652800A/en
Priority to MYPI20004554 priority patent/MY125213A/en
Priority to US09/676,506 priority patent/US6407530B1/en
Priority to JP2000304222A priority patent/JP2001140764A/ja
Priority to MXPA00009805A priority patent/MXPA00009805A/es
Priority to BRPI0015643-4A priority patent/BRPI0015643B1/pt
Priority to US10/111,809 priority patent/US6844698B1/en
Priority to PCT/KR2000/001163 priority patent/WO2001035520A1/en
Priority to CN2006101592045A priority patent/CN1929286B/zh
Priority to CNB008155461A priority patent/CN1286261C/zh
Priority to JP2001537156A priority patent/JP3785366B2/ja
Priority to AU11749/01A priority patent/AU778356B2/en
Priority to MXPA02004636A priority patent/MXPA02004636A/es
Priority to EP00973212.4A priority patent/EP1232558B1/en
Priority to US10/111,812 priority patent/US6747428B1/en
Priority to EP00970280.4A priority patent/EP1234372B1/en
Priority to CNB008156174A priority patent/CN1190000C/zh
Priority to AU79680/00A priority patent/AU772836B2/en
Priority to JP2001537157A priority patent/JP3785367B2/ja
Priority to PCT/KR2000/001168 priority patent/WO2001035521A1/en
Priority to MXPA02004634A priority patent/MXPA02004634A/es
Priority to BRPI0015642-6A priority patent/BRPI0015642B1/pt
Priority to EP00203889A priority patent/EP1100190B1/en
Priority to CN00132230A priority patent/CN1296333A/zh
Priority to TR2000/03339A priority patent/TR200003339A2/xx
Publication of KR2001004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381B1/ko
Priority to JP2004124800A priority patent/JP2004229499A/ja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04B49/065Control using electricity and making use of compu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 F04B2203/0401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압축기 시동시 압축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트라이액을 통해 가변시킴으로써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가변시키기 위해 트라이액을 통해 위상 제어를 수행하고, 시동용 캐패시터 및 트라이액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압축기의 시동시 과도 전류를 방지할 수 있고, 시동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단기 작동이나 주변 기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 controlling circuit of starting current for accumulator and the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기 시동시 압축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트라이액을 통해 가변시킴으로써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의 제어회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고하여 압축기 제어회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시스템 구동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1)와, 압축기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제1 계전기(2)와, 상기 제1 계전기(2)의 온 동작에 의해 전원단자(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무효 전력을 흡수하고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기 모터(M)의 주권선(C1)에 전원을 전달하는 리액터(Reactor)(3)와, 상기 리액터(3)의 전압을 감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 계전기(4)와, 상기 제2 계전기(4)에 의해 개방/폐쇄 동작되도록 상기 리액터(3)와 병렬 결합되는 제1 접점부(4a)와,
상기 리액터(3)와 병렬 결합되는 운전용 캐패시터(5)와, 상기 운전용 캐패시터(5)와 병렬 결합되는 시동용 캐패시터(6)와, 시동시 전압을 감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3 계전기(7)와, 상기 제3 계전기(7)에 의해 개방/폐쇄 동작되도록 제2 계전기(4) 선단에 설치되는 제2 접점부(7a) 및, 시동용 캐패시터(6) 후단에 설치되는 제3 접점부(7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 제어회로의 동작은, 압축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1 계전기(2)가 온 동작되면서 리액터(3)를 통해 압축기 모터(M)의 주권선(C1)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주권선(C1)에 공급되는 전원은 리액터(3)에 의해 무효 전력이 제거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 모터(M)의 보조권선(C2)에는 운전용 캐패시터(5)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 시동용 캐패시터(6)를 통해 제3 접점부(7b)를 거쳐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의 병렬회로 구조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시동 제어회로(A)의 동작을 자세히 살펴보면, 시동 초기 순간에는 압축기 모터(M)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제3 계전기(7)에 걸리는 전압이 낮아 제3 계전기(7)가 작동되지 않게 되고, 압축기 모터(M)가 회전하면서 제3 계전기(7)에 걸리는 전압이 상승되어 압축기 모터(M)의 회전수가 일정 이상이 되면 제3 계전기(7)가 작동되고 그에 따라 제2 접점부(7a)는 폐쇄 동작, 제3 접점부(7b)는 개방 동작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접점부(7a)의 폐쇄 동작으로 제2 계전기(4)가 작동되므로 제1 접점부(4a)가 폐쇄 동작되어 리액터(3)는 단락되고, 상기 제3 접점부(7b)의 개방 동작으로 시동용 캐패시터(6)는 회로와 분리되게 된다. 즉, 시동 순간에는 상기 리액터(3)가 압축기 모터(M)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과다한 전류를 제한하게 되며, 상기 시동용 캐패시터(6)는 시동 순간에 용량을 크게 하여 시동 특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경우에는 상기 시동 제어회로(A)의 불량이 빈번히 발생하며, 압축기 제어회로의 설계시 비용이 많이 소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동시 압축기 모터(M)의 회전에 따른 전압 상승에 의해 시동 제어를 완료하게 됨으로써 시동 전류의 제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시동 특성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압축기 시동시 과도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차단기가 작동하고, 주변 기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데에 불편함이 수반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축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가변시키기 위해 트라이액을 통해 위상 제어를 수행하고, 시동용 캐패시터 및 트라이액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압축기의 시동시 과도 전류를 방지할 수 있고, 시동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단기 작동이나 전등의 깜박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축기의 제어회로가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가 도시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가 상세히 도시된 회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일부 구성요소인 트라이액, 제1 계전기, 제3 계전기를 제어하는 신호 파형이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단자
20∼22, 56b, 56c : 제1 내지 제5 계전기
50 : 제어 PCB Assy 51 : 전압감지부
52 : 전원트랜스 53 : 주파수감지부
54 : 마이컴 55 : 위상제어부
56 : 부하구동부 56a : 인버터
R1∼R10 : 저항 CD: 운전용 캐패시터
CS: 시동용 캐패시터 T : 트라이액
C1∼C6 : 캐패시터 D1∼D6 : 다이오드
Z1, Z2 : 제너 다이오드 PT : 포토 트랜지스터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외부에서 전원전압이 전달되면 그 전압을 감지하여 전압감지신호로 생성 출력시키는 전압감지부와, 상기 전압감지부의 전압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그에 따라 압축기로의 공급 전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온/오프 시간 및 온 동작 시점이 결정된 구동제어신호를 생성 출력시키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구동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압축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위상 제어되어 일정 시간동안 압축기로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전류제한부와, 상기 마이컴의 구동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그에 따라 압축기 시동시 시동토크를 높이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시동용량을 제공하는 시동지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전류제한부는 마이컴의 구동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압축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점차 증가하는 방향으로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마이컴의 구동제어신호는 전류제한부의 위상 제어시 정해진 온 동작 시간(T=(T-α1)+(T-α2)+(T-α3)) 중에 제1 설정시간(T-α1) 동안에는 일정한 전류를 출력하고, 제2 설정시간(T-α2) 동안에는 제1 설정시간에서보다 점차 증가되는 전류를 출력한 후에 제3 설정시간(T-α3) 동안에는 다시 일정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류 제한부는 압축기 구동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압축기로 제공하는 전류 제한을 중지하고 전체 전류가 인가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방법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외부에서 입력전압이 공급되면 일정 시간 동안 전압 감지 기능을 수행하고, 그 감지된 입력전압에 따라 압축기 시동을 위해 압축기 구동신호를 생성 출력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압축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시동 용량을 제공하는 시동지원부가 온 동작되는 동시에 전류 제한을 위해 압축기의 공급 전압을 가변시키는 전압제어부의 온/오프 동작이 결정되어 위상 제어가 수행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압축기 시동이 완료되면 시동지원부를 오프 동작시키면서 일정 시간 동안 전압제어부의 온 동작을 유지시킨 후 오프 동작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가 완료되면 입력전압이 전압제어부를 거치지 않고 압축기로 공급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계에서 전압제어부의 위상 제어시 정해진 온 동작 시간(T=(T-α1)+(T-α2)+(T-α3)) 중에 제1 설정시간(T-α1) 동안에는 일정한 전류를 출력하고, 제2 설정시간(T-α2) 동안에는 제1 설정시간에서보다 점차 증가되는 전류를 출력한 후에 제3 설정시간(T-α3) 동안에는 다시 일정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가 상세히 도시된 회로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일부 구성요소인 트라이액, 제1 계전기, 제3 계전기를 제어하는 신호 파형이 도시된 도면이다.
다음,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원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10)와, 상기 압축기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 압축기의 구동을 결정하는 제1 계전기(20)와, 상기 제1 계전기(20)가 온 동작되면 과전류를 방지하고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기 모터(M)의 주권선(MC1)에 압축기 구동전류를 전달하는 트라이액(T)과, 상기 트라이액(T)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2 계전기(21)와,
압축기 시동시 시동토크를 높이기 위해 시동 순간에 용량을 크게 하는 시동용 캐패시터(CS)와, 상기 시동용 캐패시터(CS)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3 계전기(22)와, 압축기 운전시 필요한 용량을 제공하는 운전용 캐패시터(CD)와, 상기 압축기 시동시 시동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제반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PCB Assy)(50)로 구성된다.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어 PCB Assy(50)를 살펴보면, 전원단자(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일정 시간 동안 R1과 R2에 의해 분배하여 그 분배된 전압을 시스템에 전달하는 전압감지부(51)와, 상기 전원전압을 변압하여 이를 트랜지스터(Q1)에 공급하는 전원트랜스(52)와, 상기 전원트랜스(52)에서 전달되는 전압을 통해 전원주파수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주파수감지부(53)와,
상기 전압감지부(51) 및 주파수감지부(53)에서 감지된 전압 및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 시간과 온 동작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트라이액(T)을 구동시킬 수 있는 압축기위상 제어레벨 신호를 생성 출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시동용 캐패시터(CS)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3 계전기(22)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여 시동제어신호를 생성 출력시키는 마이컴(54)과,
상기 마이컴(54)의 압축기위상 제어레벨 신호를 트라이액(T)에 전달하여 트라이액(T)이 압축기 모터(M)의 주권선(MC1)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위상제어부(55)와, 상기 마이컴(54)의 시동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시동용 캐패시터(CS)에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해 인버터(56a)와 제4 및 제5 계전기(56b, 56c)로 이루어지는 부하구동부(56)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3에서 미설명된 참조 부호 R1∼R10은 저항, 참조 부호 C1∼C6는 캐패시터, 참조 부호 D1∼D6는 다이오드, 참조 부호 Z1 및 Z2는 제너 다이오드, 참조 부호 PT는 포토 트랜지스터부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의 동작은, 먼저 전원단자(10)를 통해 전원전압이 인가되게 되면 전원트랜스(52)를 통하여 제어 PCB Assy(50)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 PCB Assy(5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컴(54)이 초기화되면서 전압감지부(51)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간 동안 R1 및 R2 저항에 의해 분배된 전압을 마이컴(54)에 전달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주파수감지부(53)에서도 전원전압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이를 마이컴(54)에 전달하게 되므로 상기 마이컴(54)은 그 분배 전압 및 주파수 값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전원전압을 판단하게 된다.
그 후, 상기 마이컴(54)에서는 그 판단된 전원전압에 따라 시동용 캐패시터(CS)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결정하여 시동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그 시동제어신호를 제3 계전기(22)로 출력시킴으로써 제3 계전기(22)의 온/오프 동작이 결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54)에서는 압축기 모터(M)의 주권선(MC1)에 공급되는 전압을 위상제어하기 위해 압축기위상 제어레벨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그에 따라 트라이액(T)이 구동되어 압축기 모터(M)로 공급되는 전압이 가변되게 된다. 상기 압축기위상 제어레벨 신호는 전압감지부(51)에서 감지된 전압에 따라 구형파의 온/오프 시간이 결정되는 동시에 주파수감지부(53)에서 감지된 주파수에 따라 구형파 출력의 온 동작 시점이 결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 모터(M)의 보조권선(MC2)으로의 전원 공급은 시동 초기에는 시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동 순간에 용량을 크게 하는 시동용 캐패시터(CS)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시동이 완료되고 압축기가 운전 중일 경우에는 운전용 캐패시터(CD)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기위상 제어레벨 신호와 시동제어신호의 온/오프 시간은 표 1 및 표 2와 같이 과전압보다 저전압일 경우에 온 시간을 더 길게 하여 저전압에서도 압축기의 시동이 잘되도록 하고, 과전압에서는 온 시간을 저전압보다 짧게 하여 압축기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정되게 된다.
전압비교 트라이액 온 시간(㎳)
Vs < Vd1 A
Vd1 ≤ Vs < Vd2 B
Vd2 ≤ Vs < Vd3 C
Vd3 ≤ Vs < Vd4 D
VD4 ≤ Vs E
전압비교 제3 계전기 구동시간(㎳)
Vs < Vd1
Vd1 ≤ Vs < Vd2
Vd2 ≤ Vs < Vd3
Vd3 ≤ Vs < Vd4
Vd4 ≤ Vs
여기서, Vs는 전원단자(10)를 통해 전달되는 교류전압이고, Vd1∼Vd4는 시스템에서 Vs 전압을 비교하기 위해 설정한 직류 기준전압이며, 그 직류 기준전압의 크기는 Vd1<Vd2<Vd3<Vd4이다. 또한, 표 1 및 표 2에서 각 시간의 크기는 E<D<C<B<A이고, ㅁ<ㄹ<ㄷ<ㄴ<ㄱ이다.
특히, 상기 압축기위상 제어레벨 신호는 주파수감지부(53)를 통해 주파수를 감지하게 되는데 그 입력 전압이 '0V'에서 '5V'로 상승된 시점부터 마이컴(54)의 내부 타이머(미도시)를 구동하여 전원전압에 의해 정해진 구형파의 온/오프 시간에 따라 트라이액(T)이 온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위상 제어레벨 신호는 정해진 온 시간(T1∼T4) 중에 제1 설정시간(T2-α1) 동안에는 일정한 전류를 출력하고, 제2 설정시간(T2-α2) 동안에는 제1 설정시간에서보다 점차 증가되는 전류를 출력한 후에 제3 설정시간(T2∼T4) 동안에는 다시 일정한 전류를 출력하여 최종적으로 온 신호만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트라이액(T)의 전원 공급으로 압축기가 시동되면 T2 시간 후에 제3 계전기(22)를 오프 동작시켜 시동용 캐패시터(CS)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계전기(22)가 오프 동작된 후 T3 시간이 경과하면 제2 계전기(21)를 온 동작시키고, T4 시간 후에는 압축기위상 제어레벨 신호를 오프하여 제2 계전기(21)를 통해 압축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고하면, 제1 단계에서는 외부에서 입력전압이 공급되면서 시스템이 초기화되게 된다.(S1 참조) 그리고, 제2 단계에서는 일정 시간 동안 입력전압에 대한 전압 및 주파수 감지 기능을 수행하여 압축기의 시동과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 출력시키게 된다.(S2 참조)
그 후, 제3 단계에서는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그에 따라 압축기 시동시 시동 특성을 높이기 위해 압축기 모터의 보조권선에 시동 용량을 제공하는 시동용 캐패시터를 온 동작시키는 동시에 전류 제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압축기 모터의 주권선에 필요한 전압을 가변 전달시키는 트라이액의 온/오프 시간 및 온 동작 시점을 결정하여 위상제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3 참조)
즉, 도 4의 신호 파형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제어신호는 압축기의 운전/정지를 제어하는 압축기 구동신호와, 시동용 캐패시터의 온/오프 동작을 결정하는 시동제어신호와, 트라이액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압축기위상 제어레벨 신호로 구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압축기위상 제어레벨 신호는 T1∼T4의 온 구간 중에 T2 구간에서는 T2-α1 시간 동안 일정하게 온 출력되다가 T2-α1 시간이 경과하면 T2-α2 시간 동안 일정한 기울기를 갖으며 서서히 증가하는 온 출력을 수행한 후 그 온 출력을 100% 유지하는데 이러한 온 출력은 T4 시간까지 계속 유지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위상 제어레벨 신호와 시동제어신호의 온/오프 시간은 과전압보다 저전압일 경우에 온 시간을 더 길게 하여 저전압에서도 압축기의 시동이 잘되도록 하고, 과전압에서는 온 시간을 저전압보다 짧게 하여 압축기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정되게 된다.
제4 단계에서는 압축기의 시동이 완료되면 상기 시동용 캐패시터를 오프 동작시키는 동시에 운전용 캐패시터를 통해 압축기 모터의 보조권선에 운전 용량을 제공하게 되고, 제5 단계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동용 캐패시터가 오프 동작된 T2 시간 후에도 트라이액은 온 동작을 T4 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오프 동작시키게 된다.(S4 및 S5 참조)
이때, 상기 트라이액이 오프 동작되면서 트라이액과 병렬 결합되어 있는 릴레이가 온 동작되어 압축기 모터의 주권선으로 입력전압이 바로 전달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6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S1, S2, S3, S4, S5)를 통해 압축기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면서 압축기는 계속적으로 운전되고, 압축기 정지 시점에서 입력 공급이 차단되게 되면 압축기 운전이 정지하게 된다.(S6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는 압축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가변시키기 위해 트라이액을 통해 위상 제어를 수행하고, 시동용 캐패시터 및 트라이액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압축기의 시동시 과도 전류를 방지할 수 있고, 시동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단기 작동이나 주변 기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외부에서 전원전압이 전달되면 그 전압을 감지하여 전압감지신호로 생성 출력시키는 전압감지부와, 상기 전압감지부의 전압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그에 따라 압축기로의 공급 전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온/오프 시간 및 온 동작 시점이 결정된 구동제어신호를 생성 출력시키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구동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압축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위상 제어되어 일정 시간동안 압축기로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전류제한부와, 상기 마이컴의 구동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그에 따라 압축기 시동시 시동토크를 높이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시동용량을 제공하는 시동지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부는 마이컴의 구동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압축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점차 증가하는 방향으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구동제어신호는 전류제한부의 위상 제어시 정해진 온 동작 시간(T=(T-α1)+(T-α2)+(T-α3)) 중에 제1 설정시간(T-α1) 동안에는 일정한 전류를 출력하고, 제2 설정시간(T-α2) 동안에는 제1 설정시간에서보다 점차 증가되는 전류를 출력한 후에 제3 설정시간(T-α3) 동안에는 다시 일정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부는 압축기 구동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압축기로 제공하는 전류 제한을 중지하고 전체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5. 외부에서 입력전압이 공급되면 일정 시간 동안 전압 감지 기능을 수행하고, 그 감지된 입력전압에 따라 압축기 시동을 위해 압축기 구동신호를 생성 출력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압축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시동 용량을 제공하는 시동지원부가 온 동작되는 동시에 전류 제한을 위해 압축기의 공급 전압을 가변시키는 전압제어부의 온/오프 동작이 결정되어 위상 제어가 수행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압축기 시동이 완료되면 시동지원부를 오프 동작시키면서 일정 시간 동안 전압제어부의 온 동작을 유지시킨 후 오프 동작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가 완료되면 입력전압이 전압제어부를 거치지 않고 압축기로 공급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전압제어부의 위상 제어시 정해진 온 동작 시간(T=(T-α1)+(T-α2)+(T-α3)) 중에 제1 설정시간(T-α1) 동안에는 일정한 전류를 출력하고, 제2 설정시간(T-α2) 동안에는 제1 설정시간에서보다 점차 증가되는 전류를 출력한 후에 제3 설정시간(T-α3) 동안에는 다시 일정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방법.
KR1019990050263A 1999-11-12 1999-11-12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35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263A KR100335381B1 (ko) 1999-11-12 1999-11-12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56528/00A AU5652800A (en) 1999-11-12 2000-09-06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current and static capacitance to compressor
MYPI20004554 MY125213A (en) 1999-11-12 2000-09-29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current and static capacitance to compressor"
US09/676,506 US6407530B1 (en) 1999-11-12 2000-10-02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current and static capacitance to compressor
JP2000304222A JP2001140764A (ja) 1999-11-12 2000-10-03 圧縮機への電流及び静電容量の供給を制御する装置並びに方法
MXPA00009805A MXPA00009805A (es) 1999-11-12 2000-10-06 Dispositivo y metodo para controlar el suministro de corriente y capacitancia estatica a un compresor.
MXPA02004636A MXPA02004636A (es) 1999-11-12 2000-10-17 Dispositivo y metodo para controlar el suministro de corriente y capacitancia estatica a un compresor.
PCT/KR2000/001163 WO2001035520A1 (en) 1999-11-12 2000-10-17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current and static capacitance to compressor
CN2006101592045A CN1929286B (zh) 1999-11-12 2000-10-17 用于控制到压缩机的电流和静态电容供应的方法
CNB008155461A CN1286261C (zh) 1999-11-12 2000-10-17 用于控制到压缩机的电流和静态电容供应的设备和方法
JP2001537156A JP3785366B2 (ja) 1999-11-12 2000-10-17 圧縮機への電流及び静電容量の供給を制御する装置並びに方法
AU11749/01A AU778356B2 (en) 1999-11-12 2000-10-17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current and static capacitance to compressor
BRPI0015643-4A BRPI0015643B1 (pt) 1999-11-12 2000-10-17 Dispositivo e um método para controlar a alimentação de uma capacitância estática e de uma corrente para compressores
EP00973212.4A EP1232558B1 (en) 1999-11-12 2000-10-17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current and static capacitance to compressor
US10/111,809 US6844698B1 (en) 1999-11-12 2000-10-17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current and static capacitance to compressor
BRPI0015642-6A BRPI0015642B1 (pt) 1999-11-12 2000-10-18 Dispositivo e método para controlar a alimentação de corrente e capacitância estática para um compressor
US10/111,812 US6747428B1 (en) 1999-11-12 2000-10-18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current and static capacitance to compressor
AU79680/00A AU772836B2 (en) 1999-11-12 2000-10-18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current and static capacitance to compressor
JP2001537157A JP3785367B2 (ja) 1999-11-12 2000-10-18 圧縮機への電流及び静電容量の供給を制御する装置並びに方法
PCT/KR2000/001168 WO2001035521A1 (en) 1999-11-12 2000-10-18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current and static capacitance to compressor
MXPA02004634A MXPA02004634A (es) 1999-11-12 2000-10-18 Dispositivo y metodo para controlar el suministro de corriente y capacitancia estatica a un compresor.
EP00970280.4A EP1234372B1 (en) 1999-11-12 2000-10-18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current and static capacitance to compressor
CNB008156174A CN1190000C (zh) 1999-11-12 2000-10-18 控制向压缩机供应电流和静态电容的装置和方法
EP00203889A EP1100190B1 (en) 1999-11-12 2000-11-08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y and the static capacitance of a compressor
CN00132230A CN1296333A (zh) 1999-11-12 2000-11-10 用于控制到压缩机的电流和静态电容的供给的装置和方法
TR2000/03339A TR200003339A2 (tr) 1999-11-12 2000-11-10 Kompresöre akım ve statik kapasitansı temininin denetlenmesi için cihaz ve metod
JP2004124800A JP2004229499A (ja) 1999-11-12 2004-04-20 圧縮機への電流及び静電容量の供給を制御する装置並びに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263A KR100335381B1 (ko) 1999-11-12 1999-11-12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472A true KR20010046472A (ko) 2001-06-15
KR100335381B1 KR100335381B1 (ko) 2002-05-06

Family

ID=1961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263A KR100335381B1 (ko) 1999-11-12 1999-11-12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35381B1 (ko)
CN (1) CN1929286B (ko)
AU (1) AU56528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338B1 (ko) * 2000-07-01 2003-02-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1003594A2 (pt) * 2010-09-20 2013-01-15 Whirlpool Sa mÉtodo de partida e controle para um motor À induÇço monofÁsico, sistema de partida e controle para um motor À induÇço monofÁsico e dispositivo eletrânico de partida e controle aplicado a um motor À induÇço monofÁsico
CN111740647B (zh) * 2020-07-22 2023-11-24 大陆汽车研发(重庆)有限公司 电机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2493B2 (ja) * 1992-12-05 2002-04-08 山田電機製造株式会社 単相誘導電動機の起動装置
US5559418A (en) * 1995-05-03 1996-09-24 Emerson Electric Co. Starting device for single phase induction motor having a start capacitor
CN2285376Y (zh) * 1996-11-22 1998-07-01 庞春龙 空调压缩机再生起动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338B1 (ko) * 2000-07-01 2003-02-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9286A (zh) 2007-03-14
AU5652800A (en) 2001-05-17
KR100335381B1 (ko) 2002-05-06
CN1929286B (zh)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528B1 (ko) 모터전원공급장치
US20050254268A1 (en) Control circuit for switched mode power supply unit
US6340870B1 (en) Lighting circuit for discharge lamp
JPS6077694A (ja) 無負荷アイドリング時に回転速度が自動的に減少させられる電動機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CN1457546A (zh) 开关电源的启动电路
KR20080014977A (ko) 직류 전압 공급 시스템에 의해 전압을 공급받는 전기모터의 제어 방법
US20050046395A1 (en) Vehicle AC generator apparatus having improved generator control apparatus
US7365520B2 (en) Vehicle-generator output voltage control apparatus
US4626766A (en) Circuit arrangement for feeding electrical users
KR20040041201A (ko) 모터전원공급장치 및 모터전원공급방법
KR100335381B1 (ko) 압축기의 시동전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113191A (ja) 無停電電源装置及びその充電制御方法
KR970049291A (ko)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
JPH1130885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8214599A (ja) 磁石式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JP337291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9294392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システム
JPH07231691A (ja) 送風ファンの駆動装置
JP3140270B2 (ja) 自動車用発電電圧調整装置
JP200419439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624524B2 (ja) 電動機の過負荷検出装置
KR100547336B1 (ko)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JP200201708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H0739200A (ja) 車両用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JP3465529B2 (ja) 電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