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194A -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및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및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194A
KR20010046194A KR1019990049872A KR19990049872A KR20010046194A KR 20010046194 A KR20010046194 A KR 20010046194A KR 1019990049872 A KR1019990049872 A KR 1019990049872A KR 19990049872 A KR19990049872 A KR 19990049872A KR 20010046194 A KR20010046194 A KR 20010046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thermal
cooling
alarm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196B1 (ko
Inventor
정채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9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196B1/ko
Priority to EP00124559A priority patent/EP1100060B1/en
Priority to DE60009831T priority patent/DE60009831T2/de
Priority to US09/709,825 priority patent/US6362740B1/en
Priority to CNB001339095A priority patent/CN1135508C/zh
Publication of KR2001004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41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alternative alert, e.g. remote or silent ale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접촉형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보요구에 따라 발생하는 경보신호를 열 형태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공되는 전류 극성에 따라 냉각 또는 발열하며, 제공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그 냉각 또는 발열 온도를 조절하고, 소정 제어에 따라 일정 시간 상기 냉각 또는 발열을 지속하는 열전모듈과, 경보 요구 발생을 감지하며, 상기 경보 신호 발생 요구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열전 모듈로 미리 설정된 냉각 또는 발열 온도에 따라 전압을 인가하며. 미리 설정된 지속 시간동안 냉각 또는 발열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ARATUS FOR SUPPLYING THERMAL ALERT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 SKIN-ATTACHED TYPE TERMINAL}
본 발명은 피부접촉형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보요구에 따라 발생하는 경보신호를 열형태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가 발전해 나감에 따라 휴대 전화단말기 및 각종 PDA 등과 같은 단말기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데. 이런 단말기, 예를 들어 휴대전화단말기는 착신신호, 알람과 같은 다수의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이런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에는 첫번째로, 빛을 이용한 시각 경보 신호가 있는데. 이런 시각 경보 신호는 단말기 사용자의 시야내에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만 확인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번째로, 소리를 이용한 소리 경보신호가 있는데 소리 경보신호를 공공장소, 또는 정숙을 요하는 회의실과 같은 장소에서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세번째로, 이런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진동을 이용한 진동 경보신호가 있는데, 기계적 진동을 위한 진동 디바이스의 구비로 인해 단말기 소형화에 문제가 있으며, 또한 진동으로 인한 인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접촉형 단말기에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공되는 전류 극성에 따라 냉각 또는 발열하며, 제공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그 냉각 또는 발열 온도를 조절하고, 소정 제어에 따라 일정 시간 상기 냉각 또는 발열을 지속하는 열전모듈과, 경보 요구 발생을 감지하며, 상기 경보 신호 발생 요구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열전 모듈로 미리 설정된 냉각 또는 발열 온도에 따라 전압을 인가하며. 미리 설정된 지속 시간동안 냉각 또는 발열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상부 금속 전극에 일단이 접하고, 하부 금속 전극에 다른 일단이 접합시켜 π형 직류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P형 반도체가 접한 하부 금속 전극에 양극을, 상기 N형 반도체가 접한 하부 금속 전극에 음극을 결합시켜 열형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열전모듈을 구비한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경보 신호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 신호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설정한 후 상기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 경보 요구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 요구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를 경보신호로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피부접촉형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 피부접촉형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피부접촉형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경보부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열전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신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신호 발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피부접촉형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특히 손목에 착용하는 피부접촉형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피부접촉형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상기 피부접촉형 단말기의 후면의 적소(200)에 열형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열전모듈(Thermoelectric Module)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열형태 경보신호를 감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피부접촉형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11)는 상기 피부접촉형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3)는 상기 피부접촉형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경보 신호 설정 영역에 상기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발생시킬 경보 신호, 즉 소리 경보 신호, 진동 경보 신호, 열형태 경보 신호 중 하나를 설정·저장한다.
키입력부(115)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메뉴(MENU)키 및 송출(SEND)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한다.
음성메모리(117)는 다수의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며, 음성처리부(119)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성 메모리(117)로부터 독출된 음성 메시지를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며, 또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송신부(121)는 상기 제어부(111)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듀플렉서(123)로 전달한다. 상기 듀플렉서(123)는 상기 송신부(121)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125)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부(125)는 상기 듀플렉서(123)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전달받은 신호에 상응하여 통화를 제어한다.
표시부(127)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Unit) 및 LED등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제어 데이터 및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경보부(129)는 부저(Buzzer), 진동 모터, 열전모듈 등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 발생 요구가 있을 경우, 일 예로 상대방으로부터 통화를 위한 호출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른 경보 신호 발생 요구가 있을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보신호 형태, 즉 시각 경보신호, 소리 경보 신호, 열형태 경보신호로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도 4는 도 3의 경보부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부저(Buzzer)(411)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소리 경보 신호를 발생하며, 또한 진동 모터(413)는 진동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열형태 경보신호 발생부(410)는 열전모듈(Thermoelectric Module)(421)과 온도검출부(423)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열형태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모듈(421)은 열전 반도체(Thermoelectric Semiconductor)의 집적으로 구현되며, 상기 열전 반도체의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를 사용하여 발열 및 냉각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온도검출부(423)는 상기 열전모듈(421)에서 발생하는 열형태 경보 신호의 온도 및 상온을 검출한다.
도 5는 도 4의 열전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특히 열전 반도체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P형(P-type) 반도체(503)와 N형(N-type) 반도체(505)를 하부 금속전극(507)과 하부 금속 전극(508)에 각각 접합 시킨후 다시 상부 금속전극(509)에 접합시킨 π형 직렬 회로를 직류전원(511)에 연결하여, 미리 전류를 제공하면 P형 반도체(503) 내의 정공(hole)은 음극으로, N형 반도체(505) 내의 전자는 양극으로 유도된다. 이때 정공과 전자 모두 상부 금속 전극(509)으로부터 열을 가지고 하부 금속 전극(507), (508)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상부 금속 전극(509)에서는 열을 흡수하고 하부 금속 전극(507), (508)에서는 열을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금속 전극(509)을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 후면의 적소(200)에 부착하여 냉각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냉각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와 반대로 직류전원(511)에 전류의 전극을 반대로 하여 제공하면 P형 반도체(503) 내의 정공(hole)은 양극에서 척력이 작용하여 상기 상부 금속 전극(509)으로, N형 반도체(505) 내의 전자는 음극에서 척력이 작용하기 상기 상부 금속 전극(509)으로 이동한다. 이때 정공과 전자 모두 하부 금속 전극(507), (508)으로부터 열을 가지고 상부 금속 전극(509)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상부 금속 전극(509)에서는 열을 방출하고 하부 금속 전극(507), (508)에서는 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금속 전극(509)에서는 발열현상이 발생하여 발열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형태 경보 신호중 상기 냉각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전류를 제공하며, 발열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는 상기 냉각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의 전류 제공과 반대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신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611단계에서 제어부(111)는 키입력부(115)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면 그 키신호가 경보신호 선택 모드키 신호인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경보신호 선택 모드키는 상기 키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키를 조합하여 설정한 키이다. 검사 결과 경보신호 선택 모드키신호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111)는 6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입력받은 키신호에 해당하는 해당 작업을 수행하고 리턴한다.
만약 검사 결과 경보 신호 선택 모드키 신호라면 상기 제어부(111)는 6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피부접촉형 단말기의 모드를 경보 신호 선택 모드로 전환시키고 6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열형태 경보 신호 선택키 신호가 제공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 선택키는 상기 키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키들을 조합함으로서 설정한다. 검사 결과 열형태 경보 신호 선택키 신호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111)는 6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입력받은 키신호에 해당하는 해당작업을 수행하고 리턴한다. 여기서, 열형태 경보 신호 선택키 신호가 아닌 다른 키신호로는 진동 경보 신호 선택키 신호 및 소리 경보 신호 선택키 신호가 제공되며, 상기 진동 경보 신호 선택키 신호가 제공되면 경보 발생을 위한 경보 신호로 진동 경보 신호를 설정하는 해당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소리 경보 신호 선택키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경보 신호로 소리 경보 신호를 설정하는 해당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617단계에서 검사 결과 열형태 경보 신호 선택키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제어부(111)는 6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가 냉각 경보 신호 선택키 신호인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냉각 경보 신호 선택키 신호라면 상기 제어부(111)는 6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메모리(113)의 경보 신호 설정 영역에 경보 신호로 냉각 경보 신호를 설정하고 6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메모리(113)를 읽어 그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냉각 온도 설정 요구 메시지, 예를 들어 "냉각 온도를 입력"과 같은 냉각 온도 설정 요구 메시지를 읽어 표시부(127)에 디스플레이하고 62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냉각온도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입력받고 62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경보 신호 설정 영역에 냉각 온도를 설정하고 6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3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경보 신호 선택 모드를 해제하고 리턴한다.
한편, 상기 621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냉각 경보 신호 선택키가 아닌, 즉 발열 경보 신호 선택키 신호였다면 상기 제어부(111)는 63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3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메모리(113)의 경보 신호 설정 영역에 경보 신호로 발열 경보 신호를 설정하고 63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3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메모리(113)를 읽어 그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발열 온도 설정 요구 메시지, 예를 들어 "발열 온도를 입력"과 같은 발열 온도 설정 요구 메시지를 읽어 표시부(127)에 디스플레이하고 63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3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발열온도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입력받고 63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3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경보 신호 설정 영역에 발열 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631단계로 진행하여 경보 신호 선택 모드를 해제하고 리턴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열형태 경보 신호, 즉 냉각 경보 신호 및 발열 경보 신호의 발생을 유지시키는 지속시간 역시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지속시간동안 냉각 경보 신호 및 발열 경보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의 경보 신호 설정 과정은 경보 신호로 열형태의 냉각 경보 신호, 발열 경보 신호를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신호 발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711단계에서 제어부(111)는 경보 요구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경보 요구가 발생된다 함은 상대방의 통화 요구에 따른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어 사용자에게 경보하든지, 혹은 알람 시각에 도달하여 알람에 대한 경보를 한다든지, 문자 및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어 그 수신을 경보한다든지 할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검사 결과 경보 요구가 발생되었다면 상기 제어부(111)는 7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메모리(113)의 경보 신호 설정 영역을 읽어 설정되어 있는 경보 신호를 검사하고 7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설정되어 있는 경보 신호가 열형태 경보 신호인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열형태 경보 신호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111)는 7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설정되어 있는 경보 신호가 소리 경보 신호인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소리 경보 신호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부(111)는 7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부저(411)를 구동하여 소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고 리턴한다.
상기 717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설정되어 있는 경보 신호가 소리 경보 신호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111)는 7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진동모터(413)를 구동하여 진동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고 리턴한다.
한편, 상기 715단계에서 상기 경보신호로 열형태 경보 신호가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부(111)는 7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설정되어 있는 열형태 경보 신호가 냉각 경보 신호인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냉각 경보 신호라면 상기 제어부(111)는 7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류전원(511)에 미리 설정된 전류방향으로, 즉 N형 반도체(505)와 정합한 하부 금속 전극(507)에 상기 직류 전원(511)의 양극을, P형 반도체(503)와 정합한 하부 금속 전극(508)에 상기 직류 전원(511)의 음극이 되도록 결합하여 전류를 제공하여 냉각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고 리턴한다. 이때, 상기 직류전원(511)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냉각 경보 신호에 같이 설정되어 있는 냉각 온도에 일치시켜 냉각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723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열형태 경보 신호가 냉각 경보 신호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111)는 발열 경보 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72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냉각 경보 신호를 발생할 경우와 반대로 전류방향을 설정하여 발열 경보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N형 반도체(505)와 정합한 하부 금속 전극(507)에 상기 직류 전원(511)의 음극을, P형 반도체(503)와 정합한 하부 금속 전극(508)에 상기 직류 전원(511)의 양극을 결합하여 전류를 제공하여 발열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고 리턴한다. 이때, 상기 직류전원(511)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발열 경보 신호에 같이 설정되어 있는 발열 온도에 일치시켜 냉각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종래의 시각 경보 신호는 단말기 사용자의 시야내에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만 확인이 가능하다는 문제점과, 소리 경보신호의 공공장소, 또는 정숙을 요하는 회의실과 같은 장소에서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과, 진동 경보신호의 기계적 진동을 위한 진동 디바이스의 구비로 인해 단말기 소형화에 문제점과, 또한 진동으로 인한 인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6)

  1.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공되는 전류 극성에 따라 냉각 또는 발열하며, 제공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그 냉각 또는 발열 온도를 조절하고, 소정 제어에 따라 일정 시간 상기 냉각 또는 발열을 지속하는 열전모듈과,
    경보 요구 발생을 감지하며, 상기 경보 신호 발생 요구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열전 모듈로 미리 설정된 냉각 또는 발열 온도에 따라 전압을 인가하며. 미리 설정된 지속 시간동안 냉각 또는 발열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열전 반도체를 집적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냉각 경보 신호를 발생할 경우에 상기 열전모듈로 제공하는 전류방향과 반대 방향의 전류방향을 상기 열전 모듈로 제공하여 발열 경보 신호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4.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경보 신호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 신호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설정한 후 상기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 경보 요구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 요구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경보 신호로 열형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신호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경보 신호 선택 모드키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피부 접촉형 단말기의 모드를 경보 신호 선택 모드로 전환시키는 과정과,
    상기 경보 신호 선택 모드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경보 신호로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 중 냉각 또는 발열 경보 신호를 선택하여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받은 열형태 경보 신호가 냉각 경보 신호일 경우 냉각온도 및 냉각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지속 시간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중 발열 경보 신호를 선택하여 입력받을 경우 발열 온도 및 발열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지속 시간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은;
    상기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경보 요구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 요구 발생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보 신호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한 경보 신호가 열형태 경보신호일 경우 그 열형태 경보 신호가 냉각 경보 신호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냉각 경보 신호일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냉각 온도로 지속시간동안 냉각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한 열형태 경보신호가 발열 경보 신호일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발열 온도로 지속시간동안 발열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9.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경보신호 선택모드키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피부 접촉형 단말기의 모드를 경보 신호 선택 모드로 전환시키는 과정과,
    상기 경보 신호 선택 모드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 선택키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 선택키를 입력받은 후 냉각 경보 신호 선택키 또는 발열 경보 신호 선택키를 입력받아 그 열형태 경보 신호의 형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의 형태를 선택한 후 발생될 온도 및 지속시간을 입력받아 열형태 경보 신호를 경보신호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를 설정한 후 경보 요구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 요구가 발생함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보 신호인 열형태 경보 신호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되어 있는 열형태 경보 신호가 냉각 경보 신호일 경우 냉각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가 발열 경보 신호일 경우 발열 경보 신호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한 온도로 상기 지속시간동안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 방법.
  12.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상부 금속 전극에 일단이 접하고, 하부 금속 전극에 다른 일단이 접합시켜 π형 직류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P형 반도체가 접한 하부 금속 전극에 양극을, 상기 N형 반도체가 접한 하부 금속 전극에 음극을 결합시켜 열형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열전모듈을 구비한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경보 신호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 신호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설정한 후 상기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 경보 요구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 요구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를 경보신호로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가 냉각 경보 신호일 경우 상기 직류전원의 양극에서 음극으로 순방향 전류가 흐르도록 전압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 금속 전극에서 냉각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상부 금속 전극에서 냉각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냉각온도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형태 경보 신호가 발열 경보 신호일 경우 상기 직류전원의 음극에서 양극으로 역방향 전류가 흐르도록 전압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 금속 전극에서 발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상부 금속 전극에서 발열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발열 온도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90049872A 1999-11-11 1999-11-11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및그 제어방법 KR100346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872A KR100346196B1 (ko) 1999-11-11 1999-11-11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및그 제어방법
EP00124559A EP1100060B1 (en) 1999-11-11 2000-11-09 Apparatus for providing thermal alert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 skin-contact type terminal
DE60009831T DE60009831T2 (de) 1999-11-11 2000-11-09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thermischen Rufsignalisierung in einem Terminal des Hautkontakttypes
US09/709,825 US6362740B1 (en) 1999-11-11 2000-11-10 Apparatus for providing thermal alert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 skin-contact type terminal
CNB001339095A CN1135508C (zh) 1999-11-11 2000-11-13 皮肤接触型终端中提供热报警信号用的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872A KR100346196B1 (ko) 1999-11-11 1999-11-11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및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194A true KR20010046194A (ko) 2001-06-05
KR100346196B1 KR100346196B1 (ko) 2002-07-26

Family

ID=1961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872A KR100346196B1 (ko) 1999-11-11 1999-11-11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및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62740B1 (ko)
EP (1) EP1100060B1 (ko)
KR (1) KR100346196B1 (ko)
CN (1) CN1135508C (ko)
DE (1) DE60009831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190B1 (ko) * 2004-07-28 200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품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형 통신 단말기 및 냉각방법
KR101308194B1 (ko) * 2009-02-18 2013-09-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가변 온도 제어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454450B1 (ko) * 2013-08-26 2014-10-24 한국전기연구원 열전소자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0955B2 (en) * 2000-01-27 2005-01-11 Robert J. Ein Therapeutic apparatus
EP1313353A1 (en) * 2001-11-19 2003-05-2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light emitting diode
AUPS157702A0 (en) 2002-04-05 2002-05-16 King, Quentin System for providing tactile stimulation
US6909602B2 (en) * 2002-05-24 2005-06-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mperature-controlled user interface
US20050136881A1 (en) * 2003-12-19 2005-06-23 Chia-Hao Chang Thermal incoming call indicator
US8299905B2 (en) 2005-02-10 2012-10-30 Quentin King System for applying tactile stimulation to the controller of unmanned vehicles
US8676168B2 (en) 2009-02-20 2014-03-1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ssage notifications
EP2222060B1 (en) 2009-02-20 2012-05-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ssage notifications
KR101123497B1 (ko) * 2010-06-14 2012-03-23 윤동한 열전대를 이용한 매립형 광소자 패키지 모듈
US10101810B2 (en) * 2011-11-28 2018-10-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 feedback and input via heating and cooling
EP2762368B1 (en) 2013-02-05 2017-03-29 Autoliv Development AB Pedestrian safety system for a motor vehicle, airbag for the use in such a pedestrian safety system and motor vehicle with such a pedestrian safety system
US9471117B1 (en) * 2013-03-12 2016-10-18 Google Inc. Skin temperature of computing device enclosure
DE102013014896B3 (de) * 2013-09-06 2014-12-18 Aissa Zouhri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ignalübermittlung an Personen
US10182937B2 (en) 2013-10-11 2019-01-22 Embr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ipulating temperature
WO2016000387A1 (zh) * 2014-07-03 2016-01-07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可穿戴设备
EP3193976A1 (en) * 2014-09-15 2017-07-26 Sanofi Providing temperature-based feedback regarding delivery of a medicament
US9433297B2 (en) * 2015-01-27 2016-09-06 Effat AL-SARAJ Seat cushion with a prayer reminder system
US10842205B2 (en) 2016-10-20 2020-11-24 Nike, Inc. Apparel thermo-regulatory system
WO2018080028A1 (ko) * 2016-10-31 2018-05-03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KR20180048227A (ko)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US10736576B2 (en) 2016-10-31 2020-08-11 Tegway Co., Ltd.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using the same
US10747323B2 (en) * 2016-10-31 2020-08-18 Tegway Co., Ltd.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feedback by means of same
KR102369905B1 (ko) 2016-10-31 2022-03-03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WO2019045165A1 (ko) * 2017-08-31 2019-03-07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0263A (en) * 1980-10-14 1984-09-11 Kurt Lehovec Peltier-cooled garment
US4614191A (en) * 1983-09-02 1986-09-30 Perler Robert F Skin-cooling probe
US4585002A (en) * 1985-04-22 1986-04-29 Igor Kissi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pain by frequently alternating temperature stimulation
DE8905769U1 (ko) * 1989-05-09 1989-07-13 Schulte, Franz-Josef, Dipl.-Ing., 5787 Olsberg, De
WO1994026216A1 (en) * 1993-05-12 1994-11-24 Yablon Jeffrey S Portable therapeutic device
US5628769A (en) * 1994-09-30 1997-05-13 Saringer Research, Inc. Method and devices for producing somatosensory stimulation using temperature
US6081749A (en) * 1997-08-13 2000-06-27 Surx, Inc. Noninvasive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shrinking of tissues
DE19749730C2 (de) * 1997-11-11 2002-02-14 Hubertus Bordfeld Rufmeldegerät für ein Telefon
US6139569A (en) * 1998-07-31 2000-10-31 Surx, Inc. Interspersed heating/cooling to shrink tissues for incontinence
US6123702A (en) * 1998-09-10 2000-09-26 Scimed Lif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in an electrosurgical probe
US6125636A (en) * 1999-01-14 2000-10-03 Sharper Image Corporation Thermo-voltaic personal cooling/heat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190B1 (ko) * 2004-07-28 200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품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형 통신 단말기 및 냉각방법
KR101308194B1 (ko) * 2009-02-18 2013-09-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가변 온도 제어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454450B1 (ko) * 2013-08-26 2014-10-24 한국전기연구원 열전소자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휴대전화 수신 알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09831T2 (de) 2004-08-12
EP1100060A2 (en) 2001-05-16
CN1135508C (zh) 2004-01-21
KR100346196B1 (ko) 2002-07-26
DE60009831D1 (de) 2004-05-19
EP1100060A3 (en) 2002-04-17
CN1296244A (zh) 2001-05-23
EP1100060B1 (en) 2004-04-14
US6362740B1 (en) 200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196B1 (ko)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및그 제어방법
KR100310346B1 (ko) 텔레비전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
US20070190991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the default alert setting of a cellular telephone
JP3562459B2 (ja) 携帯端末装置
FR3114207B3 (fr) Lunettes magnétiques dotées d’un système sans fil d’émission et de réception sonore
JP2001218269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US20050121064A1 (en) Cooling and electricity generation apparatus, a portable terminal adopting the sam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JP2001036456A (ja) 移動無線装置及び移動無線装置の制御方法
JP2006217259A (ja) 携帯電話装置
CN109617689A (zh) 通话方法、终端及核心网设备
JP2003018245A (ja) 無線機および制御回路
KR20010048834A (ko) 기존 휴대 이동 통신기의 벨, 진동, 차단 모드의 자동전환 방법
JP2005269777A (ja) 携帯機器
KR960003104B1 (ko) 키폰시스템의 착신 호 연결 방법
KR100681192B1 (ko) 저 전력소비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착신 알림방법
JP5094306B2 (ja) 携帯電話機
KR20000020848U (ko) 반지형태를 갖는 무선호출 수신기
KR10058614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일정 관리 정보 출력 제어방법
CN111629086A (zh) 声音信号处理方法及装置
CN112492113A (zh) 电子设备及其振动方法
KR100797485B1 (ko) 일시정지기능을 가진 휴대폰
CN113939141A (zh) 终端、散热方法及存储介质
KR20040091202A (ko) 휴대단말기의 착신신호 경보장치 및 방법
KR20000012671A (ko) 다기능 이어폰
KR20000019255A (ko) 휴대이동통신기의벨울림방지및통화차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