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5667A -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5667A
KR20010045667A KR1019990049013A KR19990049013A KR20010045667A KR 20010045667 A KR20010045667 A KR 20010045667A KR 1019990049013 A KR1019990049013 A KR 1019990049013A KR 19990049013 A KR19990049013 A KR 19990049013A KR 20010045667 A KR20010045667 A KR 2001004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wired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천
Original Assignee
김규천
주식회사 엠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천, 주식회사 엠솔테크 filed Critical 김규천
Priority to KR101999004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5667A/ko
Priority to KR2019990024214U priority patent/KR200178750Y1/ko
Priority to KR2019990024213U priority patent/KR200178042Y1/ko
Publication of KR2001004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6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8Mobile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405Dual frequency signaling, DTM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선통신 단말기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로 호를 접속시키는 경우,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통신망만을 이용하여, 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간에 인터페이스로 인해 발생되는 전화요금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수신된 호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된 유선통신 단말기로 호 접속시킴으로써,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간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한 최소화시켜, 유선통신 사업자와 무선통신 사업자간의 통신요금 정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또한 동일한 통화 품질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interfacing between wireless and wired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호를 접속시키는 경우, 공중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통신망만을 이용하여 호 접속 및 분리가 직접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도 1은 일반적인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에 각각 연결 접속되는 다수의 통신 단말기들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유선통신망, 예를들어 공중전화 교환망(100)에는 유선전화기(11,14), 팩스(12,15), 그리고 모뎀(Modem)을 구비한 개인용 컴퓨터(PC)(13,16) 등과 같은 유선통신 단말기들이 연결 접속되고, 상기 무선통신망, 예를들어 코드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망(200)에는 개인통신서비스(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와 같은 이동 전화기(21,23), 무선 모뎀이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24), 그리고 국부 지역내에 설치된 다수의 유선통신 단말기와 연결 접속되는 무선국부루프(WLL: Wireless Local Loop)(22) 등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들이 연결 접속되는 데, 상기와 같이 다수의 유선통신 단말기 및 무선통신 단말기들이 각각 연결 접속되는 유선통신망(100)과 무선통신망(200)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 단말기간의 호 접속 및 교환을 위한 통신경로가 형성되어 있어,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의 연결 사용이 요구되는 유선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 단말기간의 호 접속 및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들어, 공중전화 교환망(PSTN)(100)에 연결 접속된 유선전화기(11)를 이용하여,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망(200)에 연결 접속된 이동전화기(23)로 호를 접속시키는 호 접속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선전화 가입자 또는 임의의 사용자가, 공중전화 교환망(100)과 연결 접속된 유선전화기(11)의 다이얼을 이용하여 특정 전화번호, 예를들어 '011-234-5678'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특정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디티엠에프(DTMF: Dual Tone Multiple Frequency)신호가, 공중전화 교환망(100)에 포함 구성되는 교환국(SC: Switching Center, 미도시)으로 전송되는 데, 상기 교환국(SC)에서는 전송 수신되는 디티엠에프(DTMF)신호에 근거하여, 호 접속이 요구된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200)에 연결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임을 판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교환국(SC)에서는 전화번호 '011-234-5678'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위하여, 상기 전화번호에서 망 식별번호인 '011'인 제거한 뒤, 이를 포함하는 호 접속 요구신호를 해당 이동통신망(200)에 포함 구성되는 이동 교환국(MSC: Mobile SC, 미도시)으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이동 교환국(MSC)에서는 해당 전화번호 즉, '234-5678'을 사용하는 특정 이동전화기(23)와의 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련의 호 접속 및 교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전화기(23)는, 현재 자신이 위치한 지역을 관할하는 무선 중계기와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tation) 등을 통하여, 호 접속을 요구한 유선전화기(11)와의 통화 호를 개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선전화기를 이용하여 이동전화기와의 호를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을 모두 사용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상기 유선전화기 사용자는, 유선통신망 및 무선통신망 사용에 따른 전화요금을 동시에 모두 부담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전화요금을 지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유선통신망을 운영하는 유선통신 사업자와 무선통신망을 운영하는 무선통신 사업자간에 전화요금 분할 협의가 필요하게 되어, 통신사업자간의 분쟁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유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호를 접속시키기는 경우,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통신망만을 이용하여 호 접속이 직접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수신된 호를 유선통신 단말기로 연결 접속시킴으로써,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과의 인터페이스를 최소화시키는 한편, 동일한 통화 품질과 편리성이 제공되도록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에 연결 접속되는 다수의 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유니트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별 라우팅(Routing) 정보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별 다이얼 완료(Dial-End) 정보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유니트에서의 전원 공급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유니트에서의 에코 캔슬러(Echo Canceller)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선통신망 200 : 무선통신망
300 :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31,33,43 : 신호 정합부
32 : 선택접속부 35 : 디티엠에프/훅 검출부
36 : 제어부 37 : 저장부
38 : 호(Call) 검출부 40 : 무선 송수신 유니트
41 : 에코 캔슬러(Echo Canceller) 42 : 무선통신 단말기
43 : 전원 공급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은, 유선통신 단말기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로 호를 접속시키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접속 요구된 호 신호의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유선통신망과 연결 접속되는 유선통신경로 또는 무선통신망과 연결 접속되는 무선통신경로를 선택 접속시키고, 상기 무선통신경로로 선택 접속시키는 경우에는, 접속 요구된 호 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원격의 무선통신 단말기와 직접적으로 호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통신망만을 이용하여,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로 호를 직접 접속시키게 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로 접속 요구된 호 신호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는 유선통신 단말기로 호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유선통신망을 사용하지 않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 접속 및 분리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300)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과 같은 유선통신망(100)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고,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망과 같은 무선통신망(200)과는 장치내에 구비된 무선 송수신 유니트(Unit)(4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의 구성은, 유선전화기, 팩스 또는 모뎀이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유선통신 단말기와 연결 접속되어 통신경로상의 신호를 정합시키는 제1 신호정합부(31);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의 다이얼(Dial) 입력에 따른 디티엠에프(DTMF: Dual Tone Multiple Frequency)신호와 훅(Hook)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디티엠에프/훅 검출부(35);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유선통신망을 사용하는 유선통신경로 또는 무선통신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경로로 선택 접속시키는 선택접속부(32); 상기 선택접속부(32)와 유선통신망간의 통신경로상의 신호를 정합시키는 제2 신호정합부(33); 상기 선택접속부(32)와 무선통신망간의 통신경로상의 신호를 정합시키는 제3 신호정합부(34); 상기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과의 호 접속 상태를 검출하는 호 검출부(38); 상기 무선통신망과 무선으로 연결 접속되는 무선 송수신 유니트(40); 상기 호 검출부(38) 또는 디티엠에프/훅 검출부(35)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접속부(32)의 스위칭 동작 및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니트(40)의 송수신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6); 그리고 상기 제어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구분 저장하는 저장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니트(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망(200)과 무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호 신호를 송수신하는 개인통신서비스(PCS)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42);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42)와 상기 제3 신호정합부(34)간의 통신경로상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송출 음(音)만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출력단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에코 캔슬러(Echo Canceller)(42); 및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CTL)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42)의 사용 전원을 배터리 전원 또는 어댑터(Adapter)전원으로 선택 절환하여 인가시키는 전원 공급기(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22)에서의 동작설명은, 먼저 사용자가 유선전화기, 팩스 또는 모뎀을 구비한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유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는 데,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200)와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있는 유선전화기의 다이얼을 통해 호 접속을 원하는 특정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디티엠에프/훅 검출부(35)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다이얼 즉,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디티엠에프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36)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36)에서는 입력되는 디티엠에프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전화번호가 공중전화 교환망(100)과 연결 접속되는 유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지, 또는 이동통신망(200)과 연결 접속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지를 판별하여, 선택접속부(3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6)에서는, 상기 판별 및 제어동작을 위하여 저장부(37)에 저장된 '전화번호별 통신경로 데이터'를 검색하게 되는 데, 상기 전화번호별 통신경로 데이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별 라우팅(Routing) 정보 테이블' 형태로 저장 관리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되는 전화번호 중 국번에 해당하는 선두 디지트(Digit)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전화로 구분 식별할 수 있는 전화번호별 라우팅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 입력하는 전화번호가 공중전화 교환망(100)과 연결 접속되는 유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지, 또는 이동통신망(200)과 연결 접속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선택접속부(3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011-234-5678'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6)에서는 순차 입력되는 선두 디지트 즉, '011'과 연계 저장된 라우팅 정보인 식별 플래그 '1'을 검색 확인하여, 상기 전화번호가 이동통신망(200)과 연결 접속된 특정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임을 판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선택접속부(3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무선통신경로가 선택 접속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선/무선전화 식별정보 이외에도 국제전화('001','002'...) 또는 무선호출('012,'015'..)등과 같은 다양한 전화번호별 라우팅 정보를 추가 저장시키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되는 다양한 전화번호별 라우팅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국제전화인 경우, 시간대별 전화요금 또는 국가별 전화요금 정보를 함께 부가 기록함으로써, 시간대별 또는 국가별 가장 저렴한 통신경로 및 회선을 선택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화번호별 라우팅 정보는, 무선 송수신 유니트(40)를 통해 제공 수신되는 새로운 전화번호별 라우팅 정보를 다운 로드(Down Load) 받아 자동으로 갱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키에 의해 갱신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직렬 케이블을 연결 사용하여 새로운 전화번호별 라우팅 정보를 갱신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36)의 판별 및 제어동작에 의해 상기 선택접속부(34)가 무선통신경로 선택 접속되면,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니트(4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 입력하는 전화번호, '011-234-5678'을 사용하는 무선통신단말기 즉, 상기 전화번호를 특정 이동전화기와의 호 접속을 요구하는 호 접속 요구신호를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무선 송출하여, 사용자의 유선통신 단말기와 상기 특정 이동전화기간의 통화 호를 개설하게 되는 데,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니트(40)에 포함 구성되는 개인통신서비스(PCS)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42)의 경우, 유선전화기와는 달리 전화번호 입력완료를 지정하는 센드(Send)키 즉, 다이얼 완료키를 입력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어부(36)에서는 전화번호 입력완료 여부를 확인을 위하여 저장부(37)에 저장된 전화번호별 다이얼 완료 데이터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 다이얼 완료 데이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별 다이얼 완료(Dial-End) 정보 테이블' 형태로 저장 관리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되는 전화번호 중 국번으로 입력되는 디지트(Digit)의 순서 및 형태에 따라, 이후 입력될 나머지 전화번호의 자리수를 판단하여 전화번호 입력완료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데, 예를들어 상기 전화번호 중 국번에 해당하는 선두 디지트가 '011'이고 이후 입력되는 첫 번째 디지트가 '2'인 경우에는 입력될 나머지 전화번호의 자리수가 'XX-XXXX', 즉 6 자리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후 사용자로부터 6 자리수의 디지트가 입력되는 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확인결과, 나머지 전화번호의 6자리수가 입력된 경우에는 별도의 지연시간 없이 즉시 호 접속 요구신호를 무선 송출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 단말기(42)의 송신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센드(Send)키를 입력하지 않아도 전화번호 입력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보다 신속하게 호 접속 요구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화번호별 다이얼 완료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 사업자에 의해 규정되는 전화번호 부여체계에 근거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 유니트(40)를 통해 제공 수신되는 새로운 전화번호별 다이얼 완료 정보를 다운 로드(Down Load) 받아 자동으로 갱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키, 예를들어 다이얼 키에 의해 갱신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직렬 케이블을 연결 사용하여 새로운 전화번호별 다이얼 완료 정보를 갱신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송수신 유니트(40)의 무선통신 단말기(42)에서 통화 호가 개설되는 경우, 그에 따른 사용 전원을 선택 공급하는 전원 공급기(43)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유니트(40)에 포함 구성되는 전원 공급기(43)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원 공급기(43)는, 무선 송수신 유니트(40)에 포함 구성되는 무선통신 단말기(42)로 직류 전원(DC)을 공급하는 배터리(430); 상기 배터리(430)의 전압을 검출하여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432); 및 상기 배터리의 직류 전원과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한 어댑터(Adapter)전원을 선택적으로 절환 공급하는 전원 스위칭부(4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42)는 개인통신서비스(PCS)과 같은 이동전화기를 결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상기 전원 스위칭부(431)의 스위칭 동작은, 도 2를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호 접속 상태를 검출하는 호 검출부(38)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스위칭부(43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6)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 절환되는 것으로, 먼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42)가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특정 이동전화기와 통화 호를 개설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6)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로 인가되는 사용 전원이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이 되도록 전원 스위칭부(43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42)에 통화 호가 개설되지 않은 상태 즉, 대기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전원 스위칭부(43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어댑터(Adapter) 전원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 전원 및 배터리 충전 전원으로 선택 인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42)에 통화 호가 개설되는 경우,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이 선택 인가되므로, 개설된 통화 호의 통신 음(音)상에 어댑터 전원이 갖고 있는 60Hz 주파수성분이 유입되어 노이즈로 작용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무선통신 단말기(42)가 대기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60Hz 주파수 성분을 갖는 어댑터(Adapter) 전원이 선택 인가되므로, 배터리 전원의 소모를 가능한 억제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배터리 전원을 충전시키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은 전원 스위칭부(43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6)에서는, 배터리 전원의 잔량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432)의 검출신호에 따라, 배터리 전원의 잔량을 확인하게 되고, 상기 확인결과, 배터리 잔량이 무선통신 단말기(42)의 사용전원으로 부족하다고 확인 판단되는 경우에는, 통화 호가 개설된 상태에서도 어댑터 전원이 선택 인가되도록 하여 배터리 전원의 잔량 부족으로 인해 통화 호가 단절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무선 송수신 유니트(40)의 무선통신 단말기(42)에서 통화 호가 개설되는 경우, 그에 따른 송수신음, 특히 무선통신 단말기(42)를 통해 무선 송신되는 송신음에 수신음이 유입되는 것을 제거하는 에코 캔슬러(41)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에코 캔슬러(41)는, 무선 송수신 유니트(40)에 포함 구성되는 무선통신 단말기(42)의 송수신 입/출력단과,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 있는 제3 신호 정합부(34)간의 오디오 신호 라인(Line)수 불일치로 인해 수신음이 송신음에 유입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유니트(40)에 포함 구성되는 에코 캔슬러(41)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송수신음 입/출력단을 통해 송수신되는 오디오의 고주파 노이즈를 각각 제거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LPF1,2)(412,413); 송수신 신호 라인을 공통된 하나의 신호 라인으로 사용하는 유선전화기와의 연결 접속을 위하여, 상기 송수신음 입/출력단의 두 신호 라인이 연결 접속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신호 합산기(410); 상기 신호 합산기(410)와 저역통과필터(LPF1)(41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합산기(410)에 의해 합산된 송수신음에서 수신음을 제거시켜, 송신음만이 무선 송신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감산기(4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42)에 통화 호가 개설된 상태에서, 유선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송신음만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음 출력단을 통해 이동통신망과 접속된 특정 이동전화기로 무선 송신된다.
즉, 상기 유선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송신음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42)의 수신음 입력단을 통해 수신되는 수신음이, 상기 합산기(410)에 의해 합산되어 하나의 신호 라인을 사용하는 유선전화기의 신호 라인으로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42)의 송신음 출력단으로 인가되더라도 상기 감산기(411) 일측단에 인가되는 수신음에 의해 감산되어, 결국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송신음만이 무선통신 단말기(42)의 송신음 출력단으로 인가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신호 라인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단말기(42)의 송수신 입/출력단과, 하나의 신호 라인을 사용하는 유선전화기간의 신호 라인(Line)수 불일치로 인해 수신음이 송신음에 유입되는 것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선전화기는, 유선통신경로 또는 무선 통신경로를 통해 연결 접속되는 호 신호를 직접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에 일체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42)는, 무선 송수신 유니트(40)에 결착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분리 휴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이동전화기, 예를들어 개인통신서비스(PCS) 단말기 또는 휴대폰이라고 지칭되는 셀룰라 폰(Cellular Phone)을 사용하게 되는 데, 상기 PCS 단말기 또는 셀룰라 폰으로부터 수신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방식 또는 상이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PWM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PCS 단말기 또는 셀룰라 폰이 결착 사용되는 경우에는, 단말기에 구비된 이어폰 잭(Ear Phone Jack) 즉, 아날로그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는 이어폰 잭의 출력 오디오신호가 선택 접속되도록 하여, 상기 PCS 단말기 및 셀룰라 폰으로부터 수신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신호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에서 이루어지는 호 수신 동작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공중전화 교환망(PSTN)과 같은 유선통신망(100), 또는 코드분할 다중 접속(CDMA)방식이 사용되는 이동통신망과 같은 무선통신망(200)을 통해 호 접속요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호 검출부(38)에서는 이를 검출하여 제어부(36)로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36)에서는 상기 호 검출신호로부터 호 접속 요구된 통신경로를 확인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택접속부(3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호 접속이 요구된 통신경로를 선택 접속하게 된다.
예를들어, 무선통신망(200)을 통해 호 접속 요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유니트(40)의 무선통신 단말기(42)에서는 호 접속이 요구되었음을 알리는 호출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호 검출부(38)에서는 이를 검출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호 접속이 요구되었음을 알리는 호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36)로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36)에서는 상기 선택접속부(3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무선통신 단말기(42)와의 통신경로를 형성시켜, 유선으로 연결 접속된 유선전화기에 호출신호가 인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게 되는 경우, 즉 유선전화기의 훅(Hook) 버튼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절환되는 경우, 상기 디티엠에프/훅 검출부(35)에서는 이를 검출하여 훅 오프 되었음을 알리는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36)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36)에서는 사용자가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었다고 판단 확인하게 되어, 호 접속을 요구한 이동전화기와 무선통신 단말기(42)간에 통화 호를 개설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유선전화기, 무선통신 단말기 및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 접속된 이동전화기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때 도 6 및 도 7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42)의 사용 전원으로는 직류전원인 배터리 전원이 선택 인가되며,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42)의 송신음 출력단에는 에코 캔슬러(41)에 의해 수신음이 제거된 송신음만이 인가되어 고품질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은, 유선통신 단말기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로 호를 접속시키는 경우, 유선통신망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통신망만을 이용하여, 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간에 인터페이스로 인해 발생되는 전화요금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수신된 호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된 유선통신 단말기로 호 접속시킴으로써,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간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한 최소화시켜, 유선통신 사업자와 무선통신 사업자간의 전화요금 분할 분쟁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또한 동일한 통화 품질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9)

  1. 사용자에 의해 접속 요구된 호 신호를 유선통신경로 또는 무선통신경로로 선택 접속시키는 선택접속수단;
    상기 접속 요구된 호 신호의 디티엠에프(DTMF) 신호를 검출하는 디티엠에프 검출수단;
    상기 선택접속수단의 전/후단에 설치되어, 통신경로상의 신호를 정합시키는 다수의 정합수단;
    상기 접속 요구된 호 신호의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접속수단의 호 송신 경로와 그에 따른 호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경로로 선택 접속된 호 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원격의 무선통신 단말기와 호 접속시키는 무선 송수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 요구된 호 신호의 전화번호와 기저장된 전화번호별 통신경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선택접속수단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별 통신경로 데이터는, 상기 전화번호의 디지트(Digit)의 순서와 형태에 따라, 유선전화 또는 무선전화로 구분 식별되도록 하는 라우팅(Routing) 정보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 요구된 호 신호의 전화번호와 기저장된 전화번호별 다이얼 완료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의 호 접속 요구신호 송신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별 다이얼 완료 데이터는, 상기 전화번호의 디지트(Digit)의 순서와 형태에 따라 국번 이후에 연속 입력되는 소정 디지트를 비교하여, 전화번호 총 자리수를 예측 판단하도록 하는 다이얼 완료(Dial-End) 정보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은, 상기 무선통신경로로 선택 접속되는 호 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와 호 접속시키는 착탈 가능하는 이동전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은, 상기 이동전화기가 펄스폭 변조(PWM)방식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PCS 단말기 또는 셀룰라 폰인 경우에는, 단말기에 구비된 이어폰 잭(Ear Phone Jack)의 출력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송신되는 호 신호의 출력 오디오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호 신호의 입력 오디오가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오디오 제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은, 상기 무선통신경로로 선택 출력되는 호 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 접속된 무선통신 단말기와 호 접속시키는 경우, 무선 송수신에 필요한 사용 전원을 어댑터(Adapter) 전원에서 배터리 전원으로 절환시키는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통신경로 또는 무선 통신경로를 통해 연결 접속되는 호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유선통신 단말기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11. 무선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호 신호를 선택 접속시키는 선택접속수단;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호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수단;
    상기 무선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호 접속 요구신호를 검출하는 호 검출수단;
    상기 선택접속수단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는 유선통신 단말기의 훅(Hook)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훅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된 호 접속 요구 및 훅 검출신호에 따라, 호 수신경로와 그에 따른 호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훅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유선통신 단말기의 훅(Hook) 온/오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의 통화 호 개설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13. 유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호 요구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1단계;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접속가능한 통신망 중 접속 요청할 통신망을 결정하는 2단계; 및
    상기 결정된 통신망에 적합한 호 접속 요구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전화번호의 국번에 해당하는 디지트의 순서와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경로의 라우팅 정보를 갖는 라우팅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는 하위 1단계; 및
    상기 검색된 라우팅 정보에 근거하여, 접속 요청할 통신망을 선택 결정하는 하위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정보 테이블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한 내려 받기(Down Load)에 의해 갱신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전화기 입력 키에 따른 DTMF 신호를 이용하거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PC)에 의해 갱신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결정된 통신망이 무선통신망인 경우, 상기 전화번호의 국번에 해당하는 디지트 이후에 연속 입력되는 소정 디지트와, 전화번호별 총 자리수에 대한 정보를 갖는 다이얼 완료 정보 테이블을 비교하는 하위 1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다이얼 완료 여부를 판별하여 호 접속 요구신호를 즉시 생성 송출하는 항위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완료 정보 테이블에는, 전화번호의 국번 이후에 연속 입력되는 디지트의 순서와 형태에 따라, 이후 다이얼 완료될 나머지 전화번호의 자리수가 6 자리수 또는 7 자리수임을 식별하게 하는 정보가 기록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방법.
  18. 유선통신경로 또는 무선통신경로를 통해 호 접속이 요구되는 지를 검출하는 1단계;
    상기 무선통신경로를 통해 호 접속이 요구되는 경우, 호 접속이 요구되었음을 알리는 호출신호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된 유선통신 단말기에 인가하는 2단계; 및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의 훅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접속 요구된 호를 통화 호로 개설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가 훅 오프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접속 요구된 호를 통화 호로 개설시키기 위해 필요한 사용 전원을 어댑터(Adapter) 전원에서 배터리 전원으로 절환시키는 하위 1단계; 및
    상기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여 통화 호를 개설시키는 하위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방법.
KR1019990049013A 1999-11-05 1999-11-05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 KR20010045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013A KR20010045667A (ko) 1999-11-05 1999-11-05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
KR2019990024214U KR200178750Y1 (ko) 1999-11-05 1999-11-06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KR2019990024213U KR200178042Y1 (ko) 1999-11-05 1999-11-06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013A KR20010045667A (ko) 1999-11-05 1999-11-05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214U Division KR200178750Y1 (ko) 1999-11-05 1999-11-06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KR2019990024213U Division KR200178042Y1 (ko) 1999-11-05 1999-11-06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667A true KR20010045667A (ko) 2001-06-05

Family

ID=1961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013A KR20010045667A (ko) 1999-11-05 1999-11-05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56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37A (ko) * 2002-10-29 2004-05-07 퍼스널 텔레콤 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경로 선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648A (ja) * 1995-02-20 1996-08-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回線接続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9289688A (ja) * 1995-12-16 1997-11-04 Alcatel Alsthom Co General Electricite ワイヤラインの加入者ラインを有する移動無線システム
JPH10308966A (ja) * 1997-03-03 1998-11-17 Victor Co Of Japan Ltd 通信システム
JPH11178075A (ja) * 1997-10-02 1999-07-02 Samsung Electron Co Ltd Iwwsの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648A (ja) * 1995-02-20 1996-08-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回線接続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9289688A (ja) * 1995-12-16 1997-11-04 Alcatel Alsthom Co General Electricite ワイヤラインの加入者ラインを有する移動無線システム
JPH10308966A (ja) * 1997-03-03 1998-11-17 Victor Co Of Japan Ltd 通信システム
JPH11178075A (ja) * 1997-10-02 1999-07-02 Samsung Electron Co Ltd Iwwsの通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37A (ko) * 2002-10-29 2004-05-07 퍼스널 텔레콤 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경로 선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2038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interface
US20060128376A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6937854B2 (en) Apparatus for conducting a conference call between a wireless line and a land line using customer premise equipment
US6643523B2 (en) Alternative routing system for mobile telephone calls
KR20070085356A (ko) 유선 어댑터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20040235518A1 (en) Hybrid telephone network utilizing wireless link and landline services
JPH07235968A (ja) 無線電話器用アダプター
KR200178750Y1 (ko)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KR200178042Y1 (ko)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JPH0799686A (ja) 無線電話装置
JP2966750B2 (ja) 電話装置
KR20010045667A (ko)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 및 방법
US6731950B1 (en) Cellular-based telephone connection system
JPH09162960A (ja) 充電器
KR100367306B1 (ko)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장치와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JPH08275238A (ja) 公専接続方式
KR100248103B1 (ko)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착신호 전환 방법
JP4462811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
JP3135458B2 (ja) 無線通信装置
JP2001036674A (ja) 公衆電話装置
KR20010069233A (ko)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한 휴대폰 통화시스템
US20020168998A1 (en) Cellular telephone interface device and method
KR100765322B1 (ko) 가변 정합이 가능한 아날로그 트렁크 정합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9980013919A (ko) 자동 접속번호 송출전화기에서 병렬 접속된 전화기에 자동 접속번호 송출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JPH0646110A (ja) ツインコードレ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