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5248A - 다층 배선을 갖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 및 이를 적용한액정표시모듈 - Google Patents

다층 배선을 갖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 및 이를 적용한액정표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5248A
KR20010045248A KR1019990048459A KR19990048459A KR20010045248A KR 20010045248 A KR20010045248 A KR 20010045248A KR 1019990048459 A KR1019990048459 A KR 1019990048459A KR 19990048459 A KR19990048459 A KR 19990048459A KR 20010045248 A KR20010045248 A KR 20010045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bump
base substrate
conductive pattern
chip
bump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846B1 (ko
Inventor
곽충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84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 온 플랙시블 서킷(이하, COF라 칭한다)에 형성된 구동 드라이브 IC의 솔더 범프와 연결되는 신호 전송용 도전성 패턴을 적어도 1 개 이상 다층으로 형성하여 매우 좁은 간격을 갖는 솔더 범프 사이로 신호 전송용 도전성 패턴이 통과하지 않도록 하여 솔더 범프와 신호 전송용 도전성 패턴이 단락되지 않도록 한 다층 배선을 갖는 COF 및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COF의 도전성 패턴과 솔더 범프 그룹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으며, 솔더 범프와 솔더 범프의 사이 간격을 도전성 패턴의 폭보다도 작게 설정할 수 있어 구동 드라이브 IC의 크기를 작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 배선을 갖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 및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모듈{Chip on flexible circuit having multi-layered interconnections and LCD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층 배선을 갖는 COF 및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OF의 구동 드라이브 IC의 솔더 범프와 연결되는 신호 전송용 배선 역할을 하는 도전성 패턴을 적어도 1 개 이상 다층으로 형성하여 매우 좁은 간격을 갖는 솔더 범프 사이로 신호 전송용 도전성 패턴이 통과하지 않도록 하여 솔더 범프와 신호 전송용 패턴이 단락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크기를 작게 구현한 다층 배선을 갖는 COF 및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모듈은 전계(electric field)에 의하여 광투과도가 달라지는 특성을 갖는 액정(liquid crystal)을 전체 면적에 걸쳐 투명한 도전성 박막이 형성되고 도전성 박막에 소정 전원이 인가된 상부 투명 기판과 무수히 많은 구역으로 영역이 나뉘어져 있고 각각의 영역에는 반도체 박막 공정에 의하여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앞서 설명한 상부 투명 기판과의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도록 하는 하부 투명 기판 사이에 주입하고, 2 장의 투명 기판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었을 때, 전계의 방향 및 크기에 의하여 액정의 배열각이 바뀌어 광을 차단/통과시키는 특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한 장치이다.
이처럼 상부 투명 기판과 하부 투명 기판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어 액정이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상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하부 투명 기판의 밑에는 광원이 설치되고, 상부 투명 기판에는 액정층을 통과한 광의 자극에 의하여 소정 색이 발현되는 컬러 필터가 부착된 후, 광원을 점등하면 광원에서 발생한 광은 하부 투명 기판 - 액정 - 상부 투명 기판 - 컬러 필터를 통하여 소정 색이 발현되어 사용자는 컬러 필터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색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부 투명 기판을 컬러필터기판, 하부 투명 기판을 TFT 기판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이와 같은 현상을 발생시키는 액정을 전기적으로 미세하면서도 절묘하게 컨트롤하여 전기적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의하여 화상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액정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턴-온 하는 시기와 전계의 세기를 결정하는 전원이 박막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시기가 결정되어야 하는 바,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TFT 기판에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Chip On Flexible circuit}"라 불리우며 앞서 설명한 기능을 구현하는 수단이 설치된다.
COF는 도 1a, 도 1b에 종류가 도시되어 있는 바, COF(10)는 플랙시블한 베이스 기판(1), 도전성 패턴(2), 접속 단자(3), 구동 드라이브 IC(점선 부분;4)로 구성된다.
구동 드라이브 IC(4)는 반도체 공정에 의하여 제작된 반도체 제품으로 구동 드라이브 IC(4)에는 전기적 신호가 입출력 되도록 수십∼수백개의 솔더 범프(4a)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베이스 기판(1)은 절곡이 가능한 플랙시블한 기판으로, 베이스 기판(1)의 일측면에는 구동 드라이브 IC(4)에 형성된 모든 솔더 범프(4a)와 솔더링되는 도전성 패턴(2)의 일측 단부가 위치하며 도전성 패턴(2)의 타측 단부는 베이스 기판(1)의 에지(edge)근처까지 연장된다.
이때, 솔더 범프(4a)와 도전성 패턴(2)의 정확하게 솔더링되도록 도전성 패턴(2)의 양단부에는 접속 단자(3)가 형성된다.
이때, 수백개의 솔더 범프(4a)를 한정된 구동 드라이브 IC(4)에 일렬로 형성될 경우 솔더 범프(4a)와 솔더 범프(4a)의 폭이 매우 좁아져 솔더 범프(4a)와 솔더 범프(4a)의 단락이 발생될 수 있고, 솔더 범프(4a)와 솔더 범프(4a)가 단락되지 않도록 폭을 넓힐 경우 구동 드라이브 IC(4)의 크기가 매우 커지는 때문에 솔더 범프(4a)는 구동 드라이브 IC(4)에 지그 재그 형태로 어긋나게 배열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솔더 범프(4a)를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할 경우 경우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더 범프(4a)와 솔더 범프(4a)의 사이로 베이스 기판(1)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2)이 통과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솔더 범프(4a)와 도전성 패턴(2)중 일부가 단락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솔더 범프(4a)와 솔더 범프(4a)의 피치를 100㎛라 하였을 때 도전성 패턴(2)이 솔더 범프(4a)와 단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전성 패턴(2)의 폭을 최소한 60㎛ 즉 솔더 범프(4a)의 피치의 약 60% 이내로 하여야 하는데, 도전성 패턴(2)의 폭을 무리하게 감소시킬 경우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등 부작용이 발생되고 솔더 범프(4a)의 피치를 증가시킬 경우 구동 드라이브 IC(4)의 크기가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전성 패턴의 폭이 저항이 증가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폭을 갖고 솔더 범프와 솔더 범프의 피치가 도전성 패턴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더라도 도전성 패턴과 솔더 범프의 단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더 범프와 솔더 범프의 피치가 최소가 되도록 하여 구동 드라이브 IC의 크기를 감소시킴에 있다.
도 1a, 도 1b는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COF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COF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COF가 디스플레이 유닛에 적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COF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복수개의 열(row)로 구성된 솔더 범프 그룹들이 형성된 구동 드라이브 IC와, 구동 드라이브 IC가 어탯치되는 플랙시블한 베이스 기판과, 솔더 범프 그룹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일측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상부 도전성 패턴과, 나머지 솔더 범프 그룹에 일측 단부가 접속되고 베이스 기판의 하면을 경유하여 베이스 기판의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후 베이스 기판을 관통하여 베이스 기판의 상면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하부 도전성 패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 드라이브 IC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열되고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2 개의 제 1, 제 2 솔더 범프 그룹들이 형성되며, 상부 도전성 패턴은 제 1 솔더 범프 그룹에 속한 솔더 범프들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베이스 기판의 일측 단부까지 연장되며, 제 1 솔더 범프 그룹과 제 2 솔더 범프 그룹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제 1 비아 홀이 형성되고, 제 1 솔더 범프 그룹과 베이스 기판의 일측 단부 사이 및 상부 도전성 패턴과 상부 도전성 패턴의 사이 사이에는 제 2 비아 홀이 형성되며, 베이스 기판에는 제 2 솔더 범프 그룹에 속한 솔더 범프에 일측 단부가 어탯치되어 제 1 비아 홀까지 연장된 후 베이스 기판의 후면에 노출된 제 1 비아홀로부터 제 2 비아홀까지 연장되고 베이스 기판의 전면에 노출된 제 2 비아홀로부터 제 1 도전성 패턴의 단부까지 연장된 하부 도전성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제 1 솔더 범프 그룹에 속한 솔더 범프와 솔더 범프의 피치는 도전성 패턴의 폭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본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제 2 솔더 범프 그룹에 속한 솔더 범프는 제 2 비아 홀과 직접 어탯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액정표시모듈은 컬러필터기판, 컬러필터기판에 대향하며 일측 단부에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 그룹, 일측 단부와 인접한 타측 단부에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 그룹이 형성된 TFT 기판, 컬러필터기판과 TFT 기판의 사이에 주입된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과, TFT 기판의 게이트 라인 그룹들 및 데이터 라인 그룹들에 각각 접속되는 게이트 COF들 및 데이터 COF로 구성된 COF와, COF에 접속되는 구동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COF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복수개의 열(row)로 구성된 솔더 범프 그룹들이 형성된 구동 드라이브 IC와, 구동 드라이브 IC가 어탯치되는 베이스 기판과, 솔더 범프 그룹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일측 단부가 접속되고 베이스 기판의 상면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도전성 패턴과, 나머지 솔더 범프 그룹에 일측 단부가 접속되고 베이스 기판의 하면을 경유하여 베이스 기판의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후 베이스 기판을 관통하여 베이스 기판의 상면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도전성 패턴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층 배선을 갖는 COF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부분인 액정표시모듈은 전계(electric field)에 의하여 광투과도가 달라지는 특성을 갖는 액정(liquid crystal)을 전체 면적에 걸쳐 투명한 도전성 박막이 형성되고 도전성 박막에 소정 전원이 인가된 상부 투명 기판과 무수히 많은 구역으로 영역이 나뉘어져 있고 각각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앞서 설명한 상부 투명 기판과의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도록 하는 하부 투명 기판 사이에 주입하고, 2 장의 투명 기판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었을 때, 전계의 방향 및 크기에 의하여 액정의 배열각이 바뀌어 광을 차단/통과시키는 특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이처럼 상부 투명 기판과 하부 투명 기판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어 액정이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상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하부 투명 기판의 밑에는 광원이 설치되고, 상부 투명 기판에는 액정층을 통과한 광의 자극에 의하여 소정 색이 발현되는 컬러 필터가 부착된 후, 광원을 점등하면 광원에서 발생한 광은 하부 투명 기판 - 액정 - 상부 투명 기판 - 컬러 필터를 통하여 소정 색이 발현되어 사용자는 컬러 필터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색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액정표시모듈은 이와 같은 현상을 발생시키는 액정을 전기적으로 미세하면서도 절묘하게 컨트롤하여 전기적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의하여 화상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모듈은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백라이트 어셈블리, 샤시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다시 액정표시패널, 앞서 설명한 COF 및 구동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액정표시패널은 투명기판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 화소 전극 등을 포함하는 TFT 기판, TFT 기판의 화소 전극과 대향하며 색화소 및 공통 전극이 형성된 컬러필터기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패널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가공 및 타이밍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COF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구동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패널의 후면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결합된 후 액정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샤시에 의하여 결합되어 액정표시모듈이 제작된다.
첨부된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COF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첨부된 도 4에는 COF의 Ⅳ-Ⅳ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액정표시모듈(30)에 COF가 적용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COF(20)는 전체적으로 보아 베이스 기판(21), 도전성 패턴(22,25), 접속 단자(23), 비아 홀(29), 구동 드라이브 IC(24)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기판(21)은 두께가 얇고 플랙시블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180°이상 절곡하더라도 절곡에 따른 무리가 없는 특성을 갖는다.
구동 드라이브 IC(21)는 직육면체 막대 형상을 갖는 반도체 제품으로 구동 드라이브 IC(21)의 밑면에는 외부와 전기적 신호 입출력이 가능토록 수십∼수백개의 솔더 범프(24a)가 형성되는 바, 솔더 범프(24a)는 구동 드라이브 IC(24)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그 재그 형상으로 구동 드라이브 IC(24)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실시예로 2개의 열(row)로 형성된다.
2개의 열을 이룬 상태에서 베이스 기판(21)에 구동 드라이브 IC(24)가 안착될 때 베이스 기판(21)의 일측 단부(21a)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솔더 범프들을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이라 정의 하고,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에 비하여 베이스 기판(21)의 일측 단부(21a)와 멀리 떨어진 솔더 범프들을 제 2 솔더 범프 그룹(24c)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베이스 기판(21)에는 일측 단부가 제 1, 제 2 솔더 범프 그룹(24b,24c)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후술될 액정표시모듈과 신호 입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액정표시모듈과 접속되는 도전성 패턴(22,25)이 형성된다.
이들중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과 접속되는 도전성 패턴을 제 1 도전성 패턴(22)이라 정의하고, 제 2 솔더 범프 그룹(24c)과 접속되는 도전성 패턴을 제 2 도전성 패턴(25)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이때, 제 1 도전성 패턴(22)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 기판(21)중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이 안착될 솔더 범프 부분에 형성되고, 제 1 도전성 패턴(22)의 타측 단부는 베이스 기판(21)의 일측 단부(21a) 부분에 형성되므로 제 1 도전성 패턴(22)의 형성에는 아무런 제약이 없다.
그러나, 제 2 도전성 패턴(25)의 일측 단부를 제 2 솔더 범프 그룹(24c)이 형성될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도전성 패턴(25)의 타측 단부를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에 속한 솔더 범프와 솔더 범프의 사이을 통과하도록 한 후 제 1 도전성 패턴(22)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기판(21)의 일측 단부(21a)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할 경우 제 2 도전성 패턴(25)이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과 단락되는 빈도가 많아지고, 제 2 도전성 패턴(25)이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의 솔더 범프와 솔더 범프 사이로 단락 없이 통과 가능되더라도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의 솔더 범프와 솔더 범프의 사이 간격이 넓어져 결국 구동 드라이브 IC(24)의 전체 크기가 증가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 2 도전성 패턴(25)의 일부는 매우 좁게 형성된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의 솔더 범프와 솔더 범프 사이를 통과하지 않고 베이스 기판(21)의 밑면으로 경유하여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를 벗어난 부분에서 다시 베이스 기판(21)의 상면으로 복귀한 후 베이스 기판(21)의 일측 단부(21a)까지 연장되도록 한다.
이때, 제 2 도전성 패턴(25)이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을 우회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기판(21)에 형성된 비아 홀(via hole;29)을 필요로 한다.
비아 홀(29)는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의 양쪽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무방하다.
이때,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과 제 2 솔더 범프 그룹(24c)의 사이에 형성된 비아 홀을 제 1 비아 홀(27)이라 정의하고, 제 1 솔더 범프 그룹(24b)과 베이스 기판(21)의 일측 단부(21a) 사이에 형성된 비아 홀을 제 2 비아 홀(28)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제 2 도전성 패턴(25)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도전성 패턴(25)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 기판(21)의 상면에 형성된 제 2 솔더 범프 그룹(24c)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비아 홀(27)까지 연장된다. 이 구간은 도면번호 25a로 도시되었다.
제 1 비아 홀(27)까지 연장된 제 2 도전성 패턴(25)은 베이스 기판(21)의 후면에 노출된 제 1 비아홀(27)로부터 제 2 비아 홀(28)까지 다시 연장된다. 이 구간은 도면번호 25b로 도시되었다.
한편, 베이스 기판(21)의 상면에중 제 2 비아 홀(28)로부터 베이스 기판(21)의 일측 단부(21a)에 이르기까지 제 2 도전성 패턴(25)은 다시 연장되는 바, 이 구간을 도면번호 25c로 도시하였다.
즉, 제 2 도전성 패턴(25)은 베이스 기판(21)의 양쪽면에 모두 형성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비아홀(29)이 사용되는 바, 제 2 도전성 패턴(25)은 도면번호 25a, 25b,25c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제 1 비아 홀(27)과 제 2 솔더 범프 그룹(24c)의 솔더 범프들이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것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로 제 1 비아 홀(27)을 솔더 범프와 대등한 크기로 제작할 경우 제 2 솔더 범프 그룹에 속한 솔더 범프가 제 1 비아 홀(27)에 직접 어탯치되도록 하는 것 또한 무방한 바, 앞서 설명한 2 개의 실시예에 의하여 솔더 범프와 도전성 패턴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으며 구동 드라이브 IC의 평면적 또한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COF의 도전성 패턴과 솔더 범프 그룹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으며, 솔더 범프와 솔더 범프의 사이 간격을 도전성 패턴의 폭보다도 작게 설정할 수 있어 구동 드라이브 IC의 크기를 작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복수개의 열(row)로 구성된 솔더 범프 그룹들이 형성된 구동 드라이브 IC와;
    상기 구동 드라이브 IC가 어탯치되는 플랙시블한 베이스 기판과;
    상기 솔더 범프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솔더 범프 그룹에 일측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상부 도전성 패턴과;
    나머지 상기 솔더 범프 그룹에 일측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면을 경유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후 상기 베이스 기판을 관통한 후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하부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드라이브 IC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열되고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2 개의 제 1, 제 2 솔더 범프 그룹들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도전성 패턴은 상기 제 1 솔더 범프 그룹에 속한 솔더 범프들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측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 1 솔더 범프 그룹과 상기 제 2 솔더 범프 그룹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제 1 비아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솔더 범프 그룹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일측 단부 사이 및 상기 상부 도전성 패턴과 상기 상부 도전성 패턴의 사이 사이에는 제 2 비아 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상기 제 2 솔더 범프 그룹에 속한 솔더 범프에 일측 단부가 어탯치되어 상기 제 1 비아 홀까지 연장된 후 상기 베이스 기판의 후면에 노출된 제 1 비아홀로부터 상기 제 2 비아홀까지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전면에 노출된 제 2 비아홀로부터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의 단부까지 연장된 하부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솔더 범프 그룹에 속한 상기 솔더 범프와 솔더 범프의 피치는 상기 도전성 패턴의 폭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칩 온 플랙시블 서킷.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솔더 범프 그룹에 속한 상기 솔더 범프는 상기 제 2 비아 홀과 직접 어탯치된 칩 온 플랙시블 서킷.
  5. 컬러필터기판과, 상기 컬러필터기판에 대향하며 일측 단부에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 그룹, 상기 일측 단부와 인접한 타측 단부에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 그룹이 형성된 TFT 기판, 상기 컬러필터기판과 상기 TFT 기판의 사이에 주입된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TFT 기판의 상기 게이트 라인 그룹들 및 데이터 라인 그룹들에 각각 접속되는 게이트 칩 온 플랙시블 서킷들 및 데이터 칩 온 플랙시블 서킷들로 구성된 칩 온 플랙시블 서킷과;
    상기 칩 온 플랙시블 서킷에 접속되는 구동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칩 온 플랙시블 서킷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복수개의 열(row)로 구성된 솔더 범프 그룹들이 형성된 구동 드라이브 IC와;
    상기 구동 드라이브 IC가 어탯치되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솔더 범프 그룹중 어느 하나의 솔더 범프 그룹에 일측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상부 도전성 패턴과;
    나머지 상기 솔더 범프 그룹에 일측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면을 경유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후 상기 베이스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 일측 단부까지 연장된 하부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
KR1019990048459A 1999-11-03 1999-11-03 다층 배선을 갖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 및 이를 적용한액정표시모듈 KR100644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459A KR100644846B1 (ko) 1999-11-03 1999-11-03 다층 배선을 갖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 및 이를 적용한액정표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459A KR100644846B1 (ko) 1999-11-03 1999-11-03 다층 배선을 갖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 및 이를 적용한액정표시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248A true KR20010045248A (ko) 2001-06-05
KR100644846B1 KR100644846B1 (ko) 2006-11-13

Family

ID=1961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459A KR100644846B1 (ko) 1999-11-03 1999-11-03 다층 배선을 갖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 및 이를 적용한액정표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8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5591B2 (en) 2013-04-30 2016-05-3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egradation of pixel luminance
US10325871B2 (en) 2015-04-08 2019-06-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1653200A (zh) * 2020-06-29 2020-09-11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98B1 (ko) * 2013-05-06 2019-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 배치된 비아 플러그들을 포함하는 칩 온 필름 패키지
KR20210030773A (ko) 2019-09-10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5591B2 (en) 2013-04-30 2016-05-3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egradation of pixel luminance
US10325871B2 (en) 2015-04-08 2019-06-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1653200A (zh) * 2020-06-29 2020-09-11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653200B (zh) * 2020-06-29 2022-05-13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846B1 (ko) 2006-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688B1 (ko) 플렉시블 기판 및 전기 회로 구조체
KR100391843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실장 방법 및 그 구조
US8446556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electric circuit structure
US2004017448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746093B2 (en) Driving chip pack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testing driving chip package
KR20120054683A (ko) 네로우 베젤 타입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02278A (ko)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020044329A1 (en) Electrooptical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EP0466376B1 (en) Driver circuit package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0800318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293982B1 (ko) 액정패널
US701266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559522B1 (en) Tape carrier package and an LCD module using the same
US2002011833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3111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644846B1 (ko) 다층 배선을 갖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 및 이를 적용한액정표시모듈
KR10083130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99031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94920B1 (ko) 씨오지 타입 액정표시장치
JP2000330480A (ja) 表示装置
US2004002752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1463220B (zh) 阵列基板及显示装置
JPH08248432A (ja) 表示パネルの実装構造
JP3142622B2 (ja) 表示装置
KR100855494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