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549A - 녹화용 식생기반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화용 식생기반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549A
KR20010044549A KR1020010011438A KR20010011438A KR20010044549A KR 20010044549 A KR20010044549 A KR 20010044549A KR 1020010011438 A KR1020010011438 A KR 1020010011438A KR 20010011438 A KR20010011438 A KR 20010011438A KR 20010044549 A KR20010044549 A KR 20010044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volume
organic
less
ston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기
Original Assignee
김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기 filed Critical 김학기
Priority to KR102001001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549A/ko
Publication of KR2001004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5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공법(綠化工法)의 한가지인 뿜어붙이기공(工)에 사용되는 식생기반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양오염의 우려가 전혀 없으면서 7cm이하의 얇은 뿜어붙이기만으로도 조기에 발아하여 내구성 있는 녹화면을 얻을 수 있는 식생기반재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식생기반재는 보수성(保水性) 및 보비성(保肥性)이 높은 유기성 재료를 주된 원재료로 채택하고, 여기에 석분(石粉)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통기성과 탄력 그리고 점착성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한다. 특히 식생기반재의 각종 원재료들을 조혼합(粗混合)한 다음 이를 다시 해머식 분쇄기에 의하여 연속분쇄함으로써 이상적인 혼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채택에 의하여 경암면, 급경사면이나 표토층이 없는 척박한 곳에도, 내구성이 있으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녹화면으로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녹화용 식생기반재와 그 제조방법 {Vegitation Media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본 발명은 녹화공법(綠化工法)의 한가지인 뿜어붙이기공(工)에 사용되는 식생기반재에 관한 것이다.
급경사지역, 표토층이 없거나 얇은 지역, 또는 표토가 있더라고 척박한 지역은 식물이 자라기 곤란하다. 이러한 환경은 자연에도 존재하지만 도로, 철도, 또는 항만의 개설이나, 대지 또는 농지의 조성 등,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암벽, 암반면, 절토지처럼 인위적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런 지역을 식물의 자연 생육에만 맡겨 두어서는 원만한 녹화를 기대할 수 없고, 인공적으로 양호한 생장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만 하는데 현장의 지형과 환경에 따라 대개 표 1.과 같은 공법을 적용한다.
표 1. 주요 녹화공법
지질 경사(도) 토양의 비옥도 토양 경도(야마나카식, mm) 초본에 의한 녹화 (외래초종+재래초종) 목,초본에의한 녹화(목본+외래초종 +재래초종)
토사 45미만 23미만(점성토)27미만(사질토) 종자살포공, 평떼공, 식생매트공,줄떼공, 식생근공 종자살포공(성토에 적용) 객토뿜어붙이기공
종자살포공, 평떼공, 식생매트공, 줄떼공, 식생근공, 흙가마니공 (이상 추비필요)후층기재뿜어붙이기공 (두께 3-5mm) 객토뿜어붙이기공 (두께 1-2cm)
46이상 60미만 - 23이상(점성토)27이상(사질토) 식생혈공 (추비필요)후층기재뿜어붙이기공 (두께3-5cm) 식생혈공(객토뿜어붙이기공)후층기재뿜어붙이기공(두께 5cm 이상)
균열 많은 연암, 경암 - - - 객토뿜어붙이기공 (두께 2-3cm, 추비필요)후층기재뿜어붙이기공 (두께 3-5cm) 객토뿜어붙이기공(두께 2-3cm)
균열 적은 연암, 경암 후층기재 뿜어붙이기공 (두께 5cm이상)
이들 공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줄떼공: 잔디류를 녹화대상면에 거의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갈빗대처럼 정착시킨다.
-식생근공(植生筋工): 잔디 대신에 종자와 비료 등을 장착한 종이나 천, 거적류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선형(線形)으로 배열한다.
-평떼공: 잔디류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 비탈면에 전면 또는 격자상으로 붙인다.
-식생매트공: 잔디 대신 종자와 비료를 장착한 종이, 발, 천, 거적류 등을 녹화대상면에 깐다.
-식생혈공(植生穴工): 녹화대상면에 직경 5-8cm, 깊이 10-15cm의 구멍을 ㎡당 8-12개 가량 뚫고 여기에 고형비료 등을 채운 뒤 종자살포공 또는 객토 뿜어붙이기공을 시공한다.
-흙가마니공: 짚 등으로 만든 가마니나 주머니 속에 흙, 종자, 퇴비 등을 채우고 말뚝이나 경사틀에 의하여 고정한다.
-종자 살포공: 트럭에 장착한 종자 살포기(Hydroseeder)에 의하여 종자, 비료, 화이버(목질섬유), 침식방지제 등을 물과 교반하여 펌프로 녹화대상면에 살포한다.
-객토 뿜어붙이기공: 습식 건(Gun) 등으로 종자, 비료, 흙 또는 식생기반재, 침식방지제 등을 물과 혼합하여 1-3cm의 두께로 뿜는 방법으로, 경우에 따라서 야자섬유그물을 깔기도 한다.
-후층기재 뿜어붙이기공: 암반녹화공의 주종공법으로, 철망을 깐 사면에 종자, 식생기반재, 화학비료, 침식방지제 등의 혼합물을 모르터 뿜기용 건으로 철망을 깐 사면에 건식으로 뿜어 붙인다.
상기 공법 중, 공사의 시공성과 경제성이 가장 뛰어난 것은 객토 뿜어붙이기공과 후층기재 뿜어붙이기공이며, 그 품질은 사용하는 식생기반재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보편화된 기술에 의하면, 식생기반재로서는 유기질계(有機質系)와 토사계(土砂系)가 있는데, 보통은 유기질계를 권장하고 있다. 이는 유기질계 식생기반재가 시공하기 용이한 데다, 생성된 뿜어붙이기층이 식물의 생육에 가장 긴요한 특성인 보수성(保水性), 보비성(保肥性)의 면에서 탁월하고, 내침식성(耐浸蝕性), 내동결성(耐凍結性)이 양호하며, 단열성이 좋아서 풍화억제에도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유기질계 식생기반재는 부식(腐蝕,HUMUS) 함유물질과 보습재(保濕材)의 혼합물이다. 부식 함유물질은 퇴비로 대표되는데, 수피(樹皮)나 톱밥과 같이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식물유체(植物遺體)에 축분, 도축잔재(屠畜殘滓)나 그 밖의 질소원(窒素源)을 혼합하고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발효시킨 산물이다. 퇴비는 화학적으로는 스스로 식물에게 양분을 제공함은 물론 시공시 병용하는 화학비료의 작용을 돕고, 물리적으로는 적당한 점착성과 통기성, 단열성을 유지하게 한다. 보습재는 보수성, 단열성을 목적으로 하며, 피트모스, 코코피트와 같은 식물성이 주종이나 광물성인 퍼라이트 등을 병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뿜어붙이기공의 초기 안정 여부는 사용하는 식생기반재의 물리성, 특히 통기성과 점착성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통기성이 너무 커도 과건조의 문제가 있지만, 통기성이 낮으면 식물의 호흡상태를 나쁘게 하고, 심한 경우 경화(硬化)하여 수분과 양분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식물의 발아와 생장을 저해하고 결국 고사하게 한다. 점착성이 낮은 재료는 뿜어붙이기 작업에서 비산(飛散)이 많이 발생하고, 시공 후에도 침식강도가 약하여 집중강우시 뿜어붙이기층이 유실될 우려가 커진다.
통기성과 점착성은 그 특성상 상호 대립할 수밖에 없다. 즉, 재료의 구성 입자가 크면 당연히 통기성은 증대하나 점착성은 감소하게 되고, 입자가 작으면 반대현상이 일어난다. 또 유기성 재료의 부숙도(腐熟度)가 높으면 통기성이 감소하면서 점착성은 증대한다. 식물이 조기에 발아하여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 양대 특성이 균형을 이루어 뿜어붙이기층이 입단화(粒團化)된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그런데 상호 대립하는 통기성과 점착성 사이의 우열이 여러가지 인자에 의하여 좌우될 뿐 아니라, 유기성재료 자체가 천연물이므로 입자의 크기나 조직의 치밀도(緻密度)와 같은 성상(性狀)들이 일정하지 않아 식생기반재의 재현성을 유지하기 곤란하다.
한편 이에 관련된 특허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원번호 1985-008720호 (공고 1989-001623)
화산석분말 18-26중량%, 피트 10-35중량%, 연탄재 13-18중량, 밭흙 2-9중량%, 슬러지케이크 10-43중량%, 갈탄 13-18중량%, 계분 1-9중량%, 미생물제 0.3-0.5중량%, 수용성규산 0.1-0.3중량%, 마그네슘 0.1-0.2중량%
출원번호 1989-013774호 (공고 1992-010930)
피트 10-30중량%, 연탄재 10-30중량%, 오니케이크 40-60중량%, 펄프슬러지 10-20중량%
출원번호 1993-013952호 (공고 1996-001830)
음식물발효퇴비(Biocompost) 20-40중량%, 경량골재(Perlite 또는 Verniculite) 10-20중량%, 연탄재 15-25중량%, 톱밥 10-20중량%, 마사토 혹은 밭흙 10-20중량%, 시멘트 1-3중량%, 소석회 0.5-1중량%, 분산재 0.1-0.3중량%
출원번호 1993-019755호 (공고 1996-001828)
황토 10-50부, 하수오니가공물 15-25부, 제지오니가공물 5-15부, 생활폐기물 10-20부, 파지분쇄물 5-15부, 미생물(질산환원균, 셀룰로우스 분해균, 아조토박터 등)
출원번호 1993-019890호 (공고 1996-003573)
토탄 10-20중량%, 오니케이크 30-50중량%,펄프슬러지 20-40중량%, 톱밥 5-2중량%, 마사토 10-30중량%, 지렁이분 3-10중량%, 점질균미생물 20-70/㎥
출원번호 1993-021732호 (공고 1996-011616)
연탄재 25-35중량%, 제지부산물 25-44중량%, 부숙톱밥 5-7중량%, 토탄 18-30중량%, 마사토 7-15중량%, 보습제메텔 2-5중량%, 유기물 1-3중량%
출원번호 1996-010406호 (공고 1999-225182)
정수장 슬러지, 제지 슬러지, 도시하수 슬러지, 완숙퇴비, 과인산석회, 복합비료, 및 폴리아크릴계 또는 폴리비닐계 또는 이들을 혼합한 점도 증가제
상기 특허기술들은 대개 산업폐기물 또는 생활폐기물에 광물성재료 및 일부 유기성 재료와 소량의 첨가제류를 혼합하여 식생기반재를 제조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들을 녹화공사에 사용하는 경우, 폐기물의 처리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토양과 수질의 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특허 기술들이 식생기반재의 주요 원료로 제시하고 있는 오니케이크나 하수오니 또는 도시하수 슬러지는, 하수에 포함되어 있던 중금속을 위시한 각종 오염물질을 분리, 농축시킨 것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분리, 농축을 촉진하기 위하여 추가로 첨가한 유기, 무기약제들도 들어 있을 수도 있다. 이들을 별도로 정제처리 없이 원재료로 사용하여 제조한 식생기반재들은 당연히 오염 유발 물질을 포함하게 되고, 이러한 식생기반재들을 채용한 녹화공사구역이 따라서 오염될 것임은 자명하다. 오염은 공사구역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장차 빗물의 흐름에 따라 인근지역까지 확산될 것이다. 이는 환경친화라는 녹화공사의 목적과는 정반대되는 결과인 것이다. 제지슬러지, 제지부산물, 펄프슬러지, 제지오니 등 산업 폐기물도 그 성분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확실한 안전성을 확인하지 않는 한 같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그밖에도 상기 특허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1. 시공 후 시일경과에 따라 식생기반이 딱딱하게 굳어져, 어린 싹이 뚫고 나올 수 없는 경질층으로 변하므로, 표면 또는 균열부 근처에 있는 종자 외에는 발아가 곤란하다.
2. 유기물이 부족하여 자체의 보수성과 보비성은 미약한데, 지층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분마저 경질층이 차단하므로, 새싹이 발아하더라도 착근하여 안정화되기 전에 고사(枯死)할 우려가 크다.
3. 저하된 보수성과 보비성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10-15cm 정도로 두텁게 뿜어 붙이게 되고, 이에 따라 공사작업이 매우 어려워져 시공원가의 상승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사후탈락의 위험도 커진다.
4. 재료 중에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쓰는 경우가 있어, 시공시는 물론 공사후에도 상당기간 주위 환경을 나쁘게 한다.
본 발명은 보수성과 보비성이 우수하면서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는 청정한 유기성재료를 주성분으로 채용하되, 그 단점인 통기성과 점착성과의 부조화 및 물성의 불안정성 등 제약사항들을 해소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극복하고, 씨앗이 조기에 발아하여 내구성 있는 녹화면을 재현성 있게 얻을 수 있는 식생기반재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우선 토양오염 유발 물질을 전혀 포함하지 않은 유기성재료를 주된 원재료로 채택하여 뿜어붙이기층의 청정성과 함께 보수, 보비성을 담보하고, 여기에 석분(石粉)을 적정 비율 혼합하여 유기성재료의 통기성과 탄력, 그리고 점착성 등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유기성재료는 종래부터 알려져 왔던 퇴비, 피트모스, 코코피트 등을 사용한다. 볏짚이나 폐솜으로 만든 버섯 재배상(栽培床)의 폐상잔사(廢床殘渣) 등 발효유기물이나 오염 우려가 없는 재료를 안가로 구할 수 있는 경우, 이들을 적당량 혼용하면 원가를 절감할 수도 있다. 다만 미숙된 재료들은 보비력과 점착성의 저하, 잔류 발효시 발열로 인한 씨앗 손상 등을 불러 올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상기 석분은 석재공장의 절단작업시 발생하는데, 냉각수에 섞여 나오는 것을 탈수, 분리하여 얻는다. 이것은 그대로 버리면 지면이나 도로, 구거 등을 뿌옇게 하여 미관을 해치므로, 처리를 요하는 일종의 산업폐기물이긴 하나,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간이나 동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성분은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다.
표 2. 석분의 성분 분석예
(분석 방법은 농촌진흥청 고시 비료분석법에 준함)
항목 단위 분석치
비소 mg/kg 1.82
카드뮴 mg/kg 흔적
수은 mg/kg 흔적
mg/kg 9.69
크롬 mg/kg 2.23
구리 mg/kg 44.56
칼슘 % 0.17
pH - 9.98
전기전도도 ms 0.07
수분 % 21.53
입도 2.0mm이하 % 42.90
2.0-3.3mm이하 % 14.89
3.3-4.74mm이하 % 11.15
4.75mm이상 % 31.06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성 재료는 천연물이므로 여러가지 성상(性狀)들이 이정하지 않고 통기성과 점착성을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때 석분은 매우 유력한 수단이 된다. 석분은 분체(粉體)이기는 하나 구성입자가 슬러지류 또는 점토나 다른 광물성 재료보다 크고, 또한 날카로운 불규칙성 다면체들이므로 그 표면적이 넓어서, 상당한 보수력(保水力)이 있으면서도 상호간의 응집력은 약하다. 따라서 유기성재료와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유기성재료의 불균일하거나 과도한 공극(空隙)을 느슨하게 메워줌으로써 식생기반재의 통기성과 점착성을 조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 결과 식생기반재층이 딱딱하게 굳어져 경질층을 이루거나 갈라지는 현상은 피하면서, 씨앗에서 돋아난 어린 뿌리가 즉시 토양에 접하여 조기에 착근하게 한다. 석분의 혼합비율은 유기성재료의 성질과 뿜어붙이기공의 공법에 따라 달라지나 객토 뿜어붙이기의 경우 5-90부피%, 후층기재 뿜어붙이기의 경우 5-30부피%가 적당하다. 석분의 혼합비가 각각 이 범위 이하이면 그 효과가 별로 나타나지 않고 이 범위 이상이면 식생기반재층이 경질층으로 변하고 보수성 및 보비성이 저하된다.
한가지 주목할 사항은 각종 구성재료들의 혼합방법이다. 평면상에서의 단순한 뒤집기식 혼합만으로는 그 균일성과 특히 점착성의 면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는데, 이는 각 구성재료가 입도(粒度)나 밀도 등 기본물성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발명자의 거듭된 실험 결과, 구성재료들을 일차 조혼합(粗混合)한 다음 이를 다시 분쇄기에서 연속식으로 분쇄하면, 석분의 입자가 유기성재료의 표면에 고루 부착하여 유기성재료 고유의 통기성은 손상되지 않으면서 식생기반재의 점착성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때의 분쇄기는 수피 분쇄용 또는 폐목재 처리용으로 흔히 쓰이는 해머(hammer)식 분쇄기가 좋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완숙된 수피퇴비 60부피%, 코코피트 25부피%, 발효볏짚 10부피%와 석분 5부피%를 평면상에서 10회 정도 휠로우더로 뒤집어 일차 조혼합(粗混合)한 다음, 수피 분쇄용 해머식 분쇄기에서 연속식으로 분쇄하여 후층기재 뿜어붙이기공용 식생기반재를 만들었다. 여기에 사용된 재료의 이화학분석결과 표 2. 및 표 3.과 같다.
표 3. 식생 기반재의 원료별 성분분석 예
(분석방법은 농촌진흥청 고시 비료분석법에 준함)
항목 단위 분석치 퇴비 규격기준
수피퇴비 코코피트 발효볏짚
질소 % 1.07 0.32 0.41 -
인산 % 0.43 0.08 0.25 -
가리 % 0.47 0.52 0.80 -
유기물 % 42.90 67.50 20.86 25이상
비소 mg/kg 0.33 1.25 2.81 50이하
카드뮴 mg/kg 0.14 0.06 0.10 5이하
수은 mg/kg 흔적 흔적 흔적 2이하
mg/kg 9.14 8.69 4.22 150이하
크롬 mg/kg 2.04 26.87 0.24 300이하
구리 mg/kg 12.02 6.82 0.74 500이하
pH - 8.35 6.20 5.14 -
전기전도도 ms 0.07 0.24 1.47 -
염분 % 0.04 0.06 0.03 1이하
수분 % 51.64 17.47 73.44 -
이 식생기반재는 비중이 0.4 정도로 경량이고, 뿜어붙이기 작업에 적당한 점착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화학분석결과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해물질에 의한 오염우려는 전혀 없었다.
표 4. 후층기재 뿜어붙이기공용 식생기반재의 성분분석 예
(분석방법은 농촌진흥청 고시 비료분석법에 준함)
항목 단위 분석치 퇴비 규격기준
질소 % 0.50 -
인산 % 0.31 -
가리 % 0.52 -
유기물 % 24.38 25이상
비소 mg/kg 0.97 50이하
카드뮴 mg/kg 0.16 5이하
수은 mg/kg 흔적 2이하
mg/kg 12.99 150이하
크롬 mg/kg 26.42 300이하
구리 mg/kg 14.33 500이하
pH - 6.08 -
전기전도도 ms 0.94 -
염분 % 0.02 1이하
수분 % 39.48 -
경암으로 이루어진 암벽을 선정하여 그 표면을 평탄하게 정리한 후 능형(菱形)으로 철망을 깔고 앵커로 고정하였다. 상기 식생기반재 13㎥를 켄터키블루그래스, 톨페스큐와 같은 양잔디와 뜰랭이꽃, 참싸리 등 향토종 초,목본류의 씨앗 4kg, 복합비료 39kg, 초산비닐계 또는 아크릴계 침식방지제 26kg과 함께 후층기재 뿜어붙이기 건을 이용하여 100㎡의 경암면에 후층기재 뿜어붙이기공을 시공하였다. 사용하는 재료가 모두 경량이고 악취가 없으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였으며, 보통의 후층기재 뿜어붙이기용 건 1대로써 1시간에 50㎡ 정도의 고능률로 시공할 수 있었다.
이렇게 시공한 결과 두께 5cm 정도의 식생기반층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종래 기술에서 흔히 나타나는 경질층과는 달리, 부엽토층과 유사한 푹신한 구조였으며, 표면이 말라도 갈라지지 않았고, 비가 오더라도 흘러내리지 않았다. 또한 식생기반재의 제조과정이나 시공중에 사용한 각종 원재료가 일체의 오염물질을 포함하지 않았으므로 시공 중에는 물론, 시공 후에도 중금속이나 기타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토양오염의 우려가 전혀 없었다.
시공 후 1-2주가 경과하자 전면에 걸쳐 싹이 트기 시작하여 1개월 후에는 무성한 녹화면이 형성되었다. 이 녹화면은 집중호우 시에도 흘러내리지 않는 내침 식성과, 한발기에도 식물의 생장을 지속하게 하는 보수성 및 보비성을 갖추고 있었다.
실시예 2
완숙된 수피퇴비 50부피%, 코코피트 20부피%, 석분 30부피%를 평면상에서 10회 정도 휠로우더로 뒤집어 일차 조혼합(粗混合)한 다음, 수피 분쇄용 해머식 분쇄기에서 연속식으로 분쇄하여 객토 뿜어붙이기공용 식생기반재를 만들었다. 여기에 사용된 각 재료는 실시예 1에서와 같다. 이 기반재는 비중이 0.6 정도이며 이화학분석결과는 표 5.와 같이 역시 유해물질을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다.
표 5. 객토 뿜어붙이기공용 식생기반재의 성분분석 예
(분석방법은 농촌진흥청 고시 비료분석법에 준함)
항목 단위 분석치 퇴비 규격기준
질소 % 0.61 -
인산 % 0.10 -
가리 % 0.43 -
유기물 % 18.81 -
비소 mg/kg 2.69 50이하
카드뮴 mg/kg 0.08 5이하
수은 mg/kg 흔적 2이하
mg/kg 5.59 150이하
크롬 mg/kg 4.03 300이하
구리 mg/kg 46.25 500이하
pH - 7.36 -
전기전도도 ms 0.64 -
염분 % 0.02 1이하
수분 % 26.14 -
2500ℓ짜리 탱크에 상기 식생기반재 1.2㎥, 파지분쇄물 60ℓ, 양잔디류와 향토종 초,목본류의 배합씨 0.8kg, 복합비료 10kg, 초산비닐계 또는 아크릴계 침식방지제 6kg를 넣고 물을 가하여 전체 2,000ℓ의 식생기반재액을 만들고 잘 교반하였다.
흙과 연암이 혼재하는 경사면을 선정하고, 표면요철을 제거하여 평면이 되게 정리한 후, 그 위에 눈 크기 2cm × 2cm 인 야자섬유그물을 표면에 밀착하여 깔고 앵커로 고정하였다. 이 경사면 100㎡에 상기 식생기반재액 전량을 습식 건으로 고루 뿜어 객토 뿜어붙이기공을 시공하였다.
이 결과 얻어지는 식생기반재층은 두께 1cm정도의 연질층(軟質層)으로 표면이 말라도 갈라지지 않았고, 강우시에도 흘러내리지 않았으며, 오랫동안 비가 내리지 않아도 지층으로부터 적당량의 수분을 흡입, 보지함으로써 발아한 식물이 생기를 유지하였다. 또한 오염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당연히 환경오염의 우려는 없었다.
시공 1-2주 후부터 전면적으로 발아하기 시작하여 1개월 후에는 내구성 있는, 아름다운 녹화면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기반재를 채택하면, 경암면, 급경사면이나 표토층이 없는 지역과 같이 척박한 곳에도, 내구성이 있으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녹화면을 경제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식생기반재로 시공하면, 오니케이크, 하수오니 등을 일체 사용하지 않아 원천적으로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고, 보수·보비성이 우수한 유기성재료가 주성분이므로 장기간에 걸쳐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여건이 조성된다. 특히 통기성과 점착성이 잘 균형을 이루게되어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후에는 뿜어붙이기층이 입단화(粒團化)하여 식물뿌리의 호흡과 수분공급을 적정화함과 동시에 집중강우시에도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악조건하에서도 7cm 이하의 얇은 뿜어붙이기만으로 양호한 녹화면을 얻을 수 있다.
부수적으로는 수피, 폐상잔사, 석분 등 산업폐기물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Claims (2)

  1. 뿜어붙이기공사용 유기질계 식생기반재에 있어서, 유기성재료에 석분(石紛)을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재
  2. 제 1항에 있어서, 구성재료들을 단순혼합한 다음 해머(hammer)식 분쇄기로 분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식생기반재의 제조방법
KR1020010011438A 2001-03-06 2001-03-06 녹화용 식생기반재와 그 제조방법 KR20010044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38A KR20010044549A (ko) 2001-03-06 2001-03-06 녹화용 식생기반재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38A KR20010044549A (ko) 2001-03-06 2001-03-06 녹화용 식생기반재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549A true KR20010044549A (ko) 2001-06-05

Family

ID=1970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438A KR20010044549A (ko) 2001-03-06 2001-03-06 녹화용 식생기반재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5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983A (ko) * 2002-04-15 2003-10-22 강태호 단립화 식생기반재
KR100468230B1 (ko) * 2002-09-03 2005-01-2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버섯 생산에 사용된 폐배지를 이용하여 조제한 녹화용식생기반재 및 이를 활용한 녹화공법
KR100545001B1 (ko) * 2003-12-15 2006-01-24 주식회사 연우그린네트 사면 녹화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는 녹화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983A (ko) * 2002-04-15 2003-10-22 강태호 단립화 식생기반재
KR100468230B1 (ko) * 2002-09-03 2005-01-2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버섯 생산에 사용된 폐배지를 이용하여 조제한 녹화용식생기반재 및 이를 활용한 녹화공법
KR100545001B1 (ko) * 2003-12-15 2006-01-24 주식회사 연우그린네트 사면 녹화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는 녹화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3563B (zh) 一种利用废弃物为土壤改良剂治理沙漠化土壤的方法
CN102229485B (zh) 基于疏浚底泥的植生性基质及裸露坡面的生态修复方法
CN107382608A (zh) 一种植被复绿无土混合纤维喷播辅助材料、喷播材料及植被复绿施工方法
KR101870433B1 (ko) 식생녹화용 기반재 및 그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방법
CN108035363A (zh) 一种破损山体的边坡生态修复方法
JP5185732B2 (ja) 緑化用基盤材、及び該緑化用基盤材を用いた緑化方法
CN108547307A (zh) 基于人造壤土的边坡生态防护方法
JP2003052241A (ja) 植性用培地基材、植生用培地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植生用培地成形体ブロックを用いる緑化方法。
KR101654044B1 (ko) 녹화용 식생 조성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Wallace Use of soil conditioners in landscape soil preparation
KR20180075828A (ko) 무토지 및 척박한 환경에 조기녹화 및 자연식생 활착유도를 위한 식생토를 이용한 녹화공법
JP2001204245A (ja) 人工団粒体及びその製造方法
Wallace Some living plants and some additional products useful as soil conditioners and in various technologies
KR100318811B1 (ko) 법면 녹화토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28227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유기물 식생자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US20140165466A1 (en) Method of growing plants that conserves water
CN207692507U (zh) 一种破损山体的边坡生态修复结构
JP4351719B2 (ja) 地面被覆工及び地面被覆工法
KR100423004B1 (ko) 산림표토성분 조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생표토층조성에 의한 생태복원 녹화방법
KR101326152B1 (ko) 아크릴계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진재가 충진된 오염물질 정화식생롤과, 아크릴계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생기반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305475B1 (ko) 죽초액을 포함하는 식생토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44549A (ko) 녹화용 식생기반재와 그 제조방법
KR100765909B1 (ko) 인공 식생기반토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친환경적 녹화방법
KR102109303B1 (ko) 식생블럭을 이용한 식생방법
KR100491497B1 (ko) 후리졸녹산토녹화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