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638A - 전자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전자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638A
KR20010043638A KR1020007012808A KR20007012808A KR20010043638A KR 20010043638 A KR20010043638 A KR 20010043638A KR 1020007012808 A KR1020007012808 A KR 1020007012808A KR 20007012808 A KR20007012808 A KR 20007012808A KR 20010043638 A KR20010043638 A KR 20010043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operator
armature
spring
spring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307B1 (ko
Inventor
패소우크리스쳔헨리
Original Assignee
린다 유 퓨스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다 유 퓨스,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린다 유 퓨스
Publication of KR2001004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8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push-button, pull-knob, or sl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1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twisting of torsion members
    • H01H5/16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twisting of torsion members with auxiliary means for temporarily holding parts until torsion member is sufficiently strain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27Polarised relays in which the movable part comprises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sandwiched between pole-plates, each forming an active air-gap with parts of the stationary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트립핑된 과부하 계전기의 잠재적인 신뢰할 수 없는 지시는 하우징, 두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사이에서 이동하는 하우징안에 설치된 전기자, 하우징안에 있는 고정 접점, 및 고정 접점으로 왕복이동하기 위해 전기자에 의해 맞물림가능한 가동 접점을 구비하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커니즘에서 제거된다. 가동 레버는 전기자와 관련되고 동작가능하여 전기자를 한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에서 다른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로 회전한다. 레버의 오퍼레이터는 레버로 왕복 가능하고 스프링 핑거를 운반한다. 스프링 핑거는 레버와 맞물림가능하여 레버가 전기자가 위치들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스프링 핑거는 레버에서 떼어지는 제 1위치에서 레버와 맞물리는 제 2위치로 그리고 다음에는 레버에서 떼어지는 제 3위치로 가는 경로에서 오퍼레이터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스프링 핑거가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이동하여 스프링 핑거를 충분히 로딩하여 핑거가 제 2위치에 도달할 때, 코킹 면은 스프링 핑거에 의해 맞물리기 위해 경로에 인접하여 하우징에 의해 소유되고, 그것은 충분히 저장된 에너지를 함유하여 전기자가 회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전자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커니즘{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과부하 계전기는 과전류에 의해 교대로 야기되는 과열로 인한 파손에서 전기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보통 산업 세팅에서 사용되는 전기 스위치이다. 일반적인 경우에, 전기 장비는 보통 컨택터로 불리는 또 다른 계전기를 통해 전원에 연결되는 3상 모터이다. 일반적인 컨택터는 각각의 회로를 3상 전원에 연결시키고 차단하는 세 개의 스위칭된 전력 경로를 갖는 고효율의 계전기이다. 접점을 접속하고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작동은 보통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교대로 전류가 통하는 코일을 통하는 전류의 결과로서 자기적으로(magnetically) 제공된다.
종래 설정에서, 과부하 계전기는 컨택터의 코일의 제어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한다. 과부하 조건이 과부하 계전기에 의해 탐지될 때, 그것은 컨택터의 코일로 흐르는 전력을 차단하고, 컨택터가 전기 장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에서 콘택터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장비를 개방하고 차단하도록 허용한다.
과거에, 과부하 계전기는 교대로 스위치를 제어하는 바이메탈 요소와 관련하여 열을 전송하는 저항성 히터를 각각의 상에 사용했다. 예를 들어 과부하는 저항서 히터에서 바이메탈 요소로 충분한 열 입력이 있을 때와 같이 감지될 때, 바이메탈 요소는 컨택터 코일에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그것의 관련된 스위치를 개방하고 전원에서 전기장비의 관련된 부분을 차단한다.
좀더 최근에, 저항성 히터 바이메탈 요소형의 계전기는 전기 과부하 계전기로 대체되었다. 예를 들어, 전체 개시가 여기에 언급하여 집약되고 Zuzuly의 1993년 1월 12일에 발행되고 공통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179,495호를 보라.
그런 회로의 출력은 보통 상대적으로 저전력이고 결과로서, 출력이 컨택터 코일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솔리드 스테이트 스위치가 필요하다. 솔리드 스테이트 스위치는 지시기를 조작할 뿐만 아니라 컨택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교대로 동작가능한 상대적으로 저전력 접점 메커니즘에 흐르는 전류를 교대로 제어한다. 보통 이 경우에, 지시기는 과부하의 결과로서 생기는 차단의 경우에 껴질 빛이 될 것이다. 그런 한 접점 메커니즘은 전체 개시가 여기에 언급되어 집약된 1997년, 4월 11일에 출원된 일련번호 제 08/838,904호의 "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로 제목붙여진 나의 공통으로 양도된 계류중인 출원(변리사 소송 명부 번호 제 97 P 7460 US)에 개시되었다.
보통의 경우에, 과부하 계전기는 일단 트립핑되면, 개방 위치로 머물러서 컨택터에 흐르는 전류를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장비의 동작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가정하기 위해 과부하 계전기는 리세팅되어야 하고 이것은 보통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보통, 푸시버튼이 사용되어 장비를 동작하는 사람은 푸시버튼을 눌려 시스템을 리세팅하고,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을 폐로하여, 교대로 컨택터의 접점을 폐로하고 전기장비에 전류를 제공할 컨택터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다시 허용한다.
동시에, 과부하 계전기의 푸시버튼 및 관련된 기계적 구성요소의 구조는 푸시버튼이 리세팅의 목적으로 눌려졌거나 눌려지고 있는 때일지라도 과부하의 경우에 과부하 계전기 접점이 개방되는 적용가능한 표준을 필요로 한다. 과부하 계전기도 동일한 표준이 요구되어 예를 들어 과부하 계전기를 리세팅하도록 하는 위치에서 리세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푸시버튼이 잼밍(jam)되는 것과 같은 것에 의해 수동으로 후퇴될 수 없다. 목적은 의도적이든 아니든간에, 과부하 계전기를 리세팅하는 공정 동안에 과부하 조건이 일어나거나 계속되는 경우 또는 과부하 계전기 리셋 푸시버튼이 리셋 위치에서 잼밍되는 경우에 전기 장비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표준의 목적은 그것이 리셋 위치에서 푸시 버튼을 억제하거나 잼밍하여 파기될 수 없는 과부하 계전기 구조가 되게 하는 것이다.
그런 특징을 가진 과부하 계전기는 "트립 자유(trip free)"과부하 계전기로 알려져 있다.
나의 위와 동일한 계류중인 출원에서 설명된 과부하 계전기 메커니즘은 지시기가 과부하가 일어날 때 동작될 수 있고 트립 자유 과부하 계전기인 특징을 포함한다. 그것은 그것의 의도된 목적을 위해 극도로 잘 동작하지만, 푸시 버튼이 리셋 위치에 있고 추가 트립은 컨택터 코일에 전류가 흘러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장비를 막는 동안에 일어나는 어떤 경우에, 리세팅 또는 트립의 지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그 부분의 접점 오퍼레이터는 지시기 회로에 사용되는 접점이 완전히 폐로하여 과부하 계전기의 상태에 대한 오지시의 결과를 초래하기 이전에 푸시버튼 또는 관련된 구조를 만난다.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이상의 위 문제를 극복하도록 의도되었다.
본 발명은 전기 계전기, 더 상세하게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집약되고 명세서의 부분을 구성하는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위에서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 및 아래에 주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정상적인 위치에서 리셋 오퍼레이터와 함께 트립핑된 위치에서 구성요소의 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트립 메커니즘의 다소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과 유사하지만 리셋 오퍼레이터가 리세팅 위치로 이동하고 있을 때 구성요소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와 유사하지만 리셋 오퍼레이터가 초기화되고 있을 때 구성요소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1-3과 유사하지만 리셋팅이 완료될 때 구성요소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리셋 위치에서 리셋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도 1-4와 유사하지만 트립이 그 때에 일어날 때 구성요소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1-5와 유사하지만 구성요소가 리셋 오퍼레이터의 임의의 중간 위치를 위해 트립핑될 때 구성요소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라인 7-7을 따라 대략적으로 취해진 단면도.
과부하 계전기를 위한 새롭고 향상된 트립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이다. 더 상세하게는, 전기 스위칭에서 사용되는 다른 전기 메커니즘 또는 트립 과부하 계전기의 정확한 지시를 항상 제공할 그런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두 스위칭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가동 설치된 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에서 사용되는 메커니즘에서 앞서의 목적이 달성된다. 전기 접점은 레버 어셈블리에 의해 동작되고 오퍼레이터는 한 스위칭 위치에 레버 어셈블리를 리세팅하는 레버 어셈블리에 인접한 경로에서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다. 오퍼레이터는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그리고 제 3위치로 이동가능하다. 메커니즘은 제 1, 제 2 및 제 3위치사이에서 오퍼레이터와 함께 이동가능하고 레버 어셈블리를 한 스위칭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위치에 오퍼레이터가 있을 때에만 레버 어셈블리와 맞물림가능하며, 제 1 및 제 3위치에서 레버 어셈블리에서 떼어져 레버 어셈블리가 또 다른 스위칭 위치로 완전히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돌출부는 오퍼레이터위에 있는 핑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핑거이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커니즘은 두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사이에서 이동을 위한 하우징안에 설치된 전기자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커니즘으로서 사용된다. 전기자에 의해 맞물림가능하여 고정 접점으로 왕복하는 가동 접점처럼 고정 접점은 하우징안에 위치한다. 가동 레버는 전기자와 결합되어 있고 동작가능하여 한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에서 또 다른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로 전기자를 회전시킨다. 레버의 오퍼레이터는 제공되고 레버로 왕복가능하다. 스프링 핑거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반되고 레버와 맞물림가능하여 레버가 한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에서 또 다른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로 전기자를 회전하도록 한다. 스프링 핑거는 레버에서 떼어진 제 1위치에서 레버와 맞물리는 제 2위치로 그리고 레버에서 떼어지는 제 3위치로 가는 경로에서 오퍼레이터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스프링 핑거가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이동하여 스프링 핑거를 충분히 로딩하여 스프링이 제 2위치에 도달할 때 그것은 전기자를 회전시킬 만한 충분히 저장된 에너지를 함유하게 될 때, 코킹 면은 스프링 핑거에 의해 맞물리기 위해 스프링 핑거의 이동 경로와 인접하여 하우징에 소유된다. 스프링은 제 3위치에 있을 때, 레버를 방해하지 않는 관계에 있어서 레버가 전기자를 한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로 완전히 복귀시키도록 허용한다.
오퍼레이터는 수동으로 동작가능한 리셋 오퍼레이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푸시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 핑거는 오퍼레이터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 코일의 단부이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자는 두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해 하우징안에 피벗식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장점은 설명에서 진술될 것인데 이것은 아래에 있고 부분적으로 설명에서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에 의해 알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부분적으로 지적된 조합 및 수단에 의해 실현되고 얻어진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트립 자유 과부하 계전기가 트립핑된 위치에서 도시되었고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에 제 1세트의 상개(normally open) 고정 접점(12) 및 한 세트의 상폐(normally close) 고정 접점(14)이 설치된다. 하우징은 피벗 핀(16)을 구비하고 그위에 연장된 쌍안정 전기자(18)가 축에 설치되었다. 전기자(18)는 제 1세트의 가동 접점(20) 및 제 2세트의 가동 접점(22)을 운반하고 이것들은 고정 접점(12,14)으로 각각 왕복한다.
래치 레버(24)는 전기자(18)에 연결되어 그것과 함께 이동가능하여 전기자(18)의 두 안정 위치사이에서 피벗(16)을 축으로 요동한다.
하우징에 수동 오퍼레이터(26)가 설치되는데 이것은 리셋 오퍼레이터이고 푸시 버튼(28) 및 현수 섕크(30)를 구비한다. 보통 래치레버(24)로 왕복이동을 하는 오퍼레이터가 하우징(10)안에 설치된다. 또한 수동 정지 오퍼레이터(32)가 하우징(10)안에 왕복이동하고 나의 앞서 밝힌 계류중인 출원에서 설명된 조건에서 상폐 접점(14,22)을 개방하기 위해 동작된다.
고정 접점(12)으로 돌아가서, 이것은 두 전기적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접점(38,40)을 구비한다. 접점(38,40)은 사용되어 전기자(18)에 의해 운반된 연장된 접점바(contact bar)(42)에 의해 연결된다. 접점바(42)는 전기자(18)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포스트(44)의 중앙점에 느슨하게 설치되는 데 이것은 전기자(18)로 부터 보통 피벗(16)의 일측방향 및 연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뻗는다. 그것의 상단부에 인접한 포스트(44)는 접점바(42)의 지렛목(fulcrum)의 역할을 하는 크로스 부재를 구비한다. 전기자(18)에 의해 운반되는 스프링(48)은 지렛목(46)에 대하여 접점바(42)를 바이어싱한다.
상폐 접점(14,22)은 연장된 접점바(50) 및 물리적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고정 접점(52,54)을 포함하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접점바(50)는 전기자(18)위에 있는 포스트(56)에 의해 운반되고 역시 크로스 부재(50)의 지렛목의 특징을 갖는 포스트위에 있는 크로스 부재(60)에 대하여 스프링(58)에 의해 바이어싱된다. 크로스 부재(46,60)가 접점바(42,50)와 대략 각각의 중앙점에서 각각 맞물리는 것이 관찰될 것이다.
이제 전기자(18)로 돌아가서, 이것은 제 1자극편(62) 및 평행하고 이격된 제 2자극편(64)을 구비한다. 극부(62,64)는 두 영구 자석(66)은 물론 피벗(16)을 사이에 끼우고 있다. 영구 자석(66)은 단일한 구조이나 편의상 그리고 피벗(16)을 수용하기 위해 그들은 두 분리된 자석으로 도시되었다.
하우징(10)에 렉(leg)(72,74)을 갖는 얇은 "U"자 형의 마그네틱 요크(magnetic yoke) 또는 자극편(70)이 설치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코일(76)은 극부(70)의 바이트(78)에 배치된다. 어떤 경우에, 전기 코일(76)은 단일 코일일 것이고 반면 다른 경우에 두 전기적으로 분리된 코일은 하나가 다른 것의 상부위에 있는 모양으로 그위에 결선될 것이다. 상세한 배치는 메커니즘에 사용된 전기 회로의 제어 모드에 의존한다. 동일한 것이 코일(76)을 흐르는 전류를 반전하여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계전기를 스위칭한다면, 오직 단일한 코일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다른 한 편으로, 동일한 것이 전류의 흐름을 반전하지 않지 않고 한 코일에서 다른 코일로 스위칭한다면, 서로 반대로 결선된 두 코일이 코일(76)로서 사용될 것이다.
이제 래치 레버(24)로 돌아가서, 동일한 것은 예를들어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된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그것의 상단부에서, 래치레버는 스트라이킹 면(striking surface)(80)을 구비한다. 오퍼레이터(26)의 섕크(30)는 내부 설치 핀(84)과 함께 캐비티(82)를 구비한다. 토션 스프링의 코일(86)은 설치 핀(84)에 배치된다. 토션 스프링은 캐비티(82)의 수직 벽(90)에 상당히 가깝게 상단부(88) 및 캐비티(82)의 외측으로 뻗고 오퍼레이터(26)의 섕크(30)의 하측(95)아래 위치로 하방으로 뻗는 반단부(92)를 갖는다.
하우징은 교대로 레버(24) 바로 위의 홈(94)을 구비하고 홈(94)의 하측(96)은 토션 스프링(86)의 단부(92)의 하측 이동경로에 있다. 보통은 토션 스프링의 단부(92)는 도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캐비티(82)의 대각 하면(98)에 접한다.
오퍼레이터는 하우징(10)안에 개구(100)에서 수용되고 앞서에서 언급하였듯이, 그안에서 왕복 운동을 위해 설치된다.
보통의 경우에, 접점(14,22)은 폐로되어 제어되는 장비에 흐르는 전류를 교대로 제어하는 컨택터의 코일에 전류를 흘린다. 접점(12,20)은 예를 들어 전등등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지시기 회로에서 보통 사용된다. 도 1에 설명된 구조에 있는 구성요소에 있어서, 컨택터에 흐르는 전류는 멈추고 반면 지시기에 흐르는 전류는 지시기가 트립핑된 조건이 발생하는 것을 지시하도록 허용된다.
도 2에서 설명된 트립핑된 조건에서 트립 메커니즘을 리세팅할 필요가 있을 때, 화살표(102)에 의해 지시된 하방력은 푸시 버튼(28)에 인가된다. 오퍼레이터(26)가 하우징(10)안에서 하방으로 이동할 때, 토션 스프링(86)의 단부(92)는 홈(94)의 표면(96)과 만난다. 표면(96)은 코킹 면(cocking surface)의 역할을 하고 스프링(86)을 코킹한다.
오퍼레이터(26)의 계속되는 하방 이동이 도 3에 도시되었고 그것이 하우징(10)안으로 더 이동할 때, 스프링 단부(92)는 거의 수직 위치로, 홈(96) 밖으로 이동한다. 그것이 하우징(10)을 클리어링하자 마자, 스프링 단부(92)는 스트라이킹 면(80)에 대하여 스냅핑하고, 코킹 면(96)에 의해 제공되는 스프링(86)의 예압때문에 스프링에 저장된 에너지는 스트라이킹 면(80)에 반하는 방향이 되어 도 4의 화살표(104)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레버(24)가 이동하도록 할 것이다. 이것은 차례로 도 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전기자(18)가 그것의 쌍안정 위치의 다른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접점(14,22)을 폐로하여 다시 컨택터 코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접점(12,20)을 개방하여 지시기를 끈다. 일단 코일 스프링(86)의 단부(92)가 도 5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킹 면(80)을 벗어나고 오퍼레이터(26)가 그것의 최하 위치에 도달하면, 그것은 스톱(도시되지 않음)에 반하여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이 위치에서, 그것은 레버(24) 및 스트라이킹 면(80)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레버(24)는 도 5에서 화살표(106)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점(14,22)이 다시 개방되어 컨택터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고 반면, 접점(12,20)은 다시 폐로되어 지시기를 밝히는 위치로 전기자(18)를 이동시킨다. 즉, 리셋 오퍼레이터(26)가 리셋 위치에 있을지라도, 전기자(18)는 트립핑된 조건으로 이동하여 콘택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지시기의 동작을 초기화시킨다.
도 6은 오퍼레이터(26)가 잼밍되는 경우와 같이 국부적으로만 눌려진 더 진행 가능한 조건을 지시한다. 그것은 또한 본 발명의 장점을 설명한다. 이 상황에서, 스프링 단부(92)는 캐비티(82)의 하면(98)에 반하여 최저 상태가 되지만, 전기자(18)의 그것의 트립핑된 위치로 완전히 이동하게 하는 레버(24)의 스트라이킹 면(80)을 방해하지 않는 관계에 여전히 있다. 즉, 스프링(86)이 코킹되지 않을 때, 스프링 단부(92)는 스트라이킹 면(80)의 이동 경로를 벗어나 전기자(18)의 완전한 이동을 그것의 두 쌍안정 위치상에서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접점(12,20)은 완전히 폐로되어 계전기가 트립핑되었다는 정확한 지시를 제공한다. 이래서, 본 발명의 구조는 전기자(18)가 그것의 트립핑된 위치로 완전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시기 동작 접점(12,20)이 완전히 폐로될 수 있는 레버(24) 및 오퍼레이터(26)사이에 있는 임의의 간섭을 피한다. 그러므로 오지시는 방지된다.
어떤 경우에, 오퍼레이터(26)안에 있는 캐비티(82)의 하면(98)은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26)의 일측 또는 타측에 비스듬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경우에,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싱 스프링(112)의 영향아래 오퍼레이터(26)가 상방향으로 이동시, 스프링 단부(92)는 코킹 면(94)의 단부(114)를 치고 그것의 일측으로 구부러져 단부(114)를 클리어링하여 오퍼레이터(26)가 그것의 완전한 최상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스프링(112)에 제공된 바이어스가 충분히 강하다면, 스프링 단부(92)가 단순히 충분히 구부러져 코킹 면(96)의 단부(114)의 주위를 통과함에 따라 대각면(110)은 제거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대각면(98) 및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오퍼레이터(26)에 첨부된 스프링(86)의 상단부(88)는 생략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 코킹 면(96)의 하측은 도 1을 유지하는 도면의 평면도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경사지어져 일측 또는 타측으로 핑거(92)를 캠밍하여 코킹 면(96)의 단부(114)를 통과한다.
앞서에서,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트립 메커니즘은 스프링 단부(92)가 이전에 코킹되어 메커니즘을 리세팅할 때를 제외하고 그것에 제공된 리세팅 돌출이 레버(24)와 맞물리지 않을 것을 보장한다면 높이 평가될 것이다. 일단 리세팅이 발생했다면, 지시기 회로의 접점은 완전히 폐로되어 메커니즘이 트립핑되었다는 신뢰할 만한 지시를 제공하는 결과와 함께, 트립핑된 조건으로 전기자가 완전히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일은 결코 없다.
추가 장점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쉽게 발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더 넓은 태양에서 본 발명은 여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구체적 상술 및 대표적 장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첨부된 청구항 및 그들의 동일한 것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남 없이 만들어진다.

Claims (10)

  1.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커니즘에 있어서,
    하우징;
    두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안에 설치된 전기자;
    상기 하우징안에 있는 고정 접점;
    상기 전기자에 의해 맞물림가능하여 상기 고정 접점으로 왕복이동을 하는 가동 접점;
    상기 전기자에 결합되고 동작가능하여 한 상기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에서 다른 상기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로 상기 전기자를 회전시키는 가동 레버;
    상기 레버로 왕복 가능한 상기 레버의 오퍼레이터;
    상기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반되고 상기 레버와 맞물림가능하여 상기 한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에서 상기 다른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로 상기 레버가 상기 전기자를 회전시키도록 하며, 상기 레버에서 떼어진 제 1위치로부터 상기 레버와 맞물리는 제 2위치로 그리고 그후 상기 레버에서 떼어진 제 3위치로 가는 경로에서 상기 오퍼레이터와 함께 이동가능한 스프링 핑거;
    상기 스프링 핑거가 상기 제 2위치에 도달시, 스프링 핑거가 상기 전기자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포함하게 되도록 상기 핑거 스프링을 충분히 로딩시키기 위해 스프링 핑거가 상기 제 1위치로부터 제 2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 핑거에 의해 맞물림 되어지도록 상기 경로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소유된 코킹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핑거는 상기 제 3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를 방해하지 않는 관계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전기자를 상기 한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로 완전히 복귀화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는 수동으로 동작가능한 리셋 오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오퍼레이터는 푸시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핑거는 상기 오퍼레이터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 코일의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는 상기 두 접점 개방 또는 폐로 위치사이에서 상기 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안에 피벗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메커니즘.
  6. 전기 스위칭 장치에서 사용되는 메커니즘에 있어서,
    두 스위칭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피벗식으로 설치된 레버 어셈블리;
    상기 레버 어셈블리에 의해 동작되는 전기 접점;
    상기 스위칭 위치중의 하나에 상기 레버 어셈블리를 리세팅하는 상기 레버 어셈블리에 인접한 경로에서 일반적인 왕복 이동을 위해 설치되고,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그리고 제 3위치로 이동가능한 오퍼레이터; 및
    상기 제 1, 제 2 및 제 3위치 사이에서 상기 오퍼레이터와 함께 이동가능하고 상기 오퍼레이터가 상기 레버 어셈블리를 하나의 상기 스위칭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제 2위치에 있을 때에만 상기 레버 어셈블리와 맞물림가능하고 상기 제 1 및 제 3위치에서 상기 레버 어셈블리에서 떼어져서 상기 레버 어셈블리가 또 다른 상기 스위칭 위치로 완전히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커니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퍼레이터에 핑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커니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가 스프링 핑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커니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가 상기 제 1위치에서 상기 제 2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스프링 핑거를 로딩하여 상기 레버 어셈블리와 맞물리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스프링 핑거는 상기 오퍼레이터가 상기 제 1위치에서 상기 제 2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코킹 면에서 풀리는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상기 레버 어셈블리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는 코킹 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커니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 핑거에 의해 맞물리도록 적응된 스트라이킹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커니즘.
KR1020007012808A 1998-05-15 1999-04-23 전자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커니즘 KR100622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79,709 1998-05-15
US09/079,709 US5959518A (en) 1998-05-15 1998-05-15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638A true KR20010043638A (ko) 2001-05-25
KR100622307B1 KR100622307B1 (ko) 2006-09-13

Family

ID=2215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808A KR100622307B1 (ko) 1998-05-15 1999-04-23 전자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커니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59518A (ko)
EP (1) EP1078384B1 (ko)
JP (1) JP4311879B2 (ko)
KR (1) KR100622307B1 (ko)
CN (1) CN1203502C (ko)
DE (1) DE69903419T2 (ko)
WO (1) WO1999060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2193B1 (en) 1998-12-30 2004-01-27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Wide field spherical lenses and protective eyewear
WO2001094103A2 (en) 2000-06-02 2001-12-13 Sola International, Inc. Spin coating techniques
US6531670B1 (en) 2000-10-26 2003-03-11 Square D Company Motor control center relay reset mechanism
WO2006114870A1 (ja) * 2005-04-20 2006-1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過電流継電器
JP4738530B2 (ja) * 2007-04-27 2011-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式過負荷継電器
US8222982B2 (en) * 2009-12-28 2012-07-17 Schneider Electric USA, Inc. Overload relay trip mechanism
DE102011087551B3 (de) * 2011-12-01 2013-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einen Einschaltknopf eines Leistungsschalters
KR101951428B1 (ko) * 2015-07-15 2019-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래치 릴레이
JP6631068B2 (ja) * 2015-07-27 2020-01-15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GB2585835B (en) * 2019-07-16 2023-07-19 Eaton Intelligent Power Ltd Rela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7236A (en) * 1964-08-24 1966-08-16 Allen Bradley Co Overload relay with tamper proof reset mechanism
US3928833A (en) * 1974-07-01 1975-12-23 Ite Imperial Corp Overload relay with means to prevent automatic reset
US3997861A (en) * 1975-06-12 1976-12-14 Essex International, Inc. Interlock circuit override relay
US5657002A (en) * 1995-12-27 1997-08-12 Electrodynamics, Inc. Resettable latching indicator
US6025766A (en) * 1997-04-11 2000-02-15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3419T2 (de) 2003-03-06
WO1999060596A1 (en) 1999-11-25
EP1078384A1 (en) 2001-02-28
JP4311879B2 (ja) 2009-08-12
KR100622307B1 (ko) 2006-09-13
DE69903419D1 (de) 2002-11-14
CN1203502C (zh) 2005-05-25
EP1078384B1 (en) 2002-10-09
JP2002516457A (ja) 2002-06-04
CN1308767A (zh) 2001-08-15
US5959518A (en) 199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4155B1 (en) 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
EP1078382B1 (en)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US8159318B2 (en) Electromagnet assembly directly driving latch of an electronic circuit breaker
US4642726A (en) Solenoid operator circuit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EP3373319B1 (en) Circuit breaker with instant trip mechanism
JPH09223447A (ja) 保護スイッチ機器用制御・発信装置
KR100622307B1 (ko) 전자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커니즘
JP4127967B2 (ja) 電子式過負荷継電器のための接点機構
US6724284B2 (en) Circuit breaker
US5576677A (en) Dual action armature
JP3874168B2 (ja) 保護開閉器
RU2010134566A (ru) Размыкатель с функцией самоблокировки короткого замыкания
JP2005353439A (ja) 回路遮断器
AU2002226629A1 (en) Circuit breaker
JPH0684442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