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847A -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847A
KR20010042847A KR1020007011616A KR20007011616A KR20010042847A KR 20010042847 A KR20010042847 A KR 20010042847A KR 1020007011616 A KR1020007011616 A KR 1020007011616A KR 20007011616 A KR20007011616 A KR 20007011616A KR 20010042847 A KR20010042847 A KR 20010042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unit
sensor
sensor un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쯔노히사시
스기하라테쯔
코이케테쯔오
쿠사노요우스케
Original Assignee
사토 요시하루
야마타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요시하루, 야마타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사토 요시하루
Publication of KR20010042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연장형(連裝型)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는,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 16)과 양중계 유닛을 접속하는 중계케이블(28) 등을 포함한다. 제1 중계 유닛을 센서 유닛군(4)의 한쪽 끝에 위치하는 센서 유닛(8)의 한 측 또는 마스터 유닛(2)의 한 측에 밀접하게 배치하면 동 중계 유닛의 연접용 커넥터가 마스터 유닛의 한 측 또는 센서 유닛의 한 측에 구비한 입출력 커넥터에 접속하고, 또 제2 중계 유닛을 센서 유닛군 (4 또는 6)의 다른 끝에 위치하는 센서 유닛의 타측에 밀접하게 배치하면 동 중계 유닛의 연접용 커넥터가 센서 유닛의 타측에 구비한 입출력 커넥터에 접속하고, 이것에 의해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마스터 유닛과 센서 유닛군 및 센서 유닛군 끼리를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Description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REPEATER OF TANDEM SENSOR SYSTEM}
각종 제조장치의 운전제어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의 복수의 센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정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각 센서 유닛은, 예를들면 센서 유닛 본체와 이것에 접속된 검출단으로 이루지고, 검출단은 제조장치의 검출대상부위에 배치된다. 검출단에 의해 검출된 검출정보는 센서 유닛 본체를 통해 센서 시스템의 컨트롤러로 송출된다.
이와 같은 센서 시스템의 설치 공간을 줄임과 동시에, 검출단과 센서 유닛 본체와의 사이 및 센서 유닛 본체와 컨트롤러와의 사이에서의 신호수수(信號授受)에 사용되는 신호 케이블(신호선)의 길이를 짧게하기 위해서, 연장형 센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연장형 센서 시스템은 각각의 센서 유닛 본체에 암수의 입출력 커넥터를 구비한 것으로, 센서 유닛 본체를 기대(基臺)에 서로 밀접하게 배치했을 때 옆에 있는 센서 유닛 본체의 입출력 커넥터가 서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장형 센서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센서 유닛 검출단의 검출 역치의 설정이나 센서 유닛의 동작상태 표시를 일괄적으로 행하기 위한 설정부 및 표시부를 구비한 마스터 유닛을 센서 시스템의 컨트롤러와 복수의 센서 유닛군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연장형 센서 시스템은 다수의 센서 유닛을 밀접 배치하여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잇점이 있지만, 적용대상에 따라서는 검출단으로부터 센서 유닛 본체까지의 검출신호 전달 경로가 길어져서, 이에 따라 검출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연장형 센서 시스템을 사용하여 도장기(塗裝機)의 전단에서 작업의 유무를 검출하는 동시에 도장기의 후단에서 작업의 도장 유무를 체크할 경우, 작업검출용의 검출단과 도장검출용의 검출단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따라서 연장형 센서 시스템을 도장기에 관해서 어떠한 위치에 배치했다 하더라도,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작업검출용의 검출단 혹은 도장검출용의 검출단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그 검출단과 센서 유닛 본체와의 접속에 긴 신호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신호케이블을 끌고 다니는데 번거롭고, 또한 검출정보가 신호케이블 안을 전송되는 동안에 감쇠하여 검출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신호전달에 광화이버(광화이버 케이블)를 사용하는 경우, 광화이버는 전기 케이블에 비해 구부러짐에 약하기 때문에, 끌고 다니기가 쉽지 않다. 또한, 광화이버에 구부려진 부분이 많으면 센서 유닛의 검출특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센서 유닛을 복수의 센서 유닛군으로 나누어, 각 센서 유닛군을 검출대상 부위의 근방에 배치하는 방안이 고려된다. 이와 같은 센서 시스템에 의하면, 각 센서 유닛군에 속하는 센서 유닛 본체와 검출단과의 사이에 거리가 짧아지므로 신호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할 수가 있고, 또한 검출정보의 감쇠에 의힌 검출성능의 저하를 피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복수의 센서 유닛군 사이에서의 신호전달이 필요하게 된다. 간편하게는 서로 이웃하는 센서 유닛군의 서로 마주보는 끝단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센서 유닛끼리 커넥터가 부착된 중계케이블을 통해 접속 가능하다. 즉, 중계케이블의 양단의 커넥터를 상기 2개의 센서 유닛에 설치한 커넥터에 끼워넣음으로써 양센서 유닛 끼리를 접속하고, 이것에 의해 인접하는 센서 유닛군을 서로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커넥터를 통한 중계케이블과 센서 유닛과의 접속은 강하지 않고, 중계케이블에 인장력이 작용하면 중계케이블의 커넥터가 센서 유닛의 커넥터에서 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탈락 방지를 위해서 센서 유닛의 커넥터에 잠금 기구를 설치할 경우, 센서 유닛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인접한 센서 유닛군의 한쪽에 설치된 잠금 기구는 다른 쪽의 센서 유닛군에 설치된 잠금 기구를 향해 돌출되므로 인접한 센서 유닛군을 근접하여 배치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에도 그와 같은 근접배치를 실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중계케이블의 커넥터를 센서 유닛에 나사 고정하여 커넥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지만, 센서 유닛에 암나사(너트) 형성 공간을 필요로 해서 센서 유닛이 대형이 되고 동시에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 유닛을 연장하여 이루어진 연장(連裝)형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장형 센서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센서 유닛군의 서로 이웃한 것들 끼리, 또는 마스터 유닛과 이에 이웃한 센서 유닛군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연장형 센서세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2는, 센서 유닛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3은, 제1 중계 유닛의 평면도
도4는, 제1 중계 유닛의 측면도
도5는, 제2 중계 유닛을 일부 파단한 평면도
도6은, 제1 및 제2 중계 유닛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도7은, 엔드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장형 센서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사이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 유닛 또는 센서 유닛군의 인접한 것들끼리, 혹은 마스터 유닛과 이것에 인접하는 센서 유닛 또는 센서 유닛군을 서로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하는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한 개의 센서 유닛 또는 마스터 유닛으로 이루어진 제1 유닛군과, 적어도 한 개의 센서 유닛으로 이루어진 제2 유닛군을 포함하는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는, 상기 제1 유닛군의 한쪽에 밀접하여 병치(竝置)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1 유닛군과 함께 제1 기대에 고정가능하고, 상기 제1 유닛군의 한쪽에 설비한 제1 입출력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제1 연접용(連接用) 커넥터를 가지는 제1 중계 유닛과, 상기 제2 유닛군의 다른 쪽에 밀접하여 병치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2 유닛군과 함께 제2 기대에 고정가능하고, 상기 제2 유닛군의 다른 쪽에 설치한 제2 입출력 커넥터에 상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2 연접용 커넥터를 가지는 제2 중계 유닛과, 상기 제1 중계 유닛과 상기 제2 중계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케이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계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 중계 유닛을 제1 및 제2 유닛군에 각각 밀접하게하여 병치하면, 제1 및 제2 중계 유닛의 연접용 커넥터가 제1 및 제2 유닛군의 입출력 커넥터에 각각 접속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중계 유닛을 중계 케이블을 통해서 상호 접속함으로써 제1 유닛군과 제2 유닛군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중계장치는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복수의 유닛군 끼리의 접속에 이용되어, 예를들면 복수의 센서 유닛끼리, 복수의 센서 유닛군끼리, 또는 마스터 유닛과 센서 유닛 또는 센서 유닛군을 중계장치를 통해 접속 가능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유닛군의 각각이 센서 유닛군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 및 제2 중계 유닛의 연접용 커넥터는 양 센서 유닛군의 대향단에 각각 위치하는 센서 유닛에 구비된 입출력 커넥터에 접속되어, 중계케이블을 통해서 양 센서 군이 서로 접속된다. 또한 제1 및 제2 유닛군의 각각이 한 개의 센서 유닛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양 센서 유닛이 중계케이블을 통해 접속된다. 더욱이, 제1 유닛군이 마스터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제2 유닛군이 센서 유닛 또는 센서 유닛군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마스터 유닛과 센서 유닛 또는 센서 유닛군이 중계케이블을 통해 접속된다.
따라서, 연접형 센서 시스템의 복수의 유닛군을 서로 간격을 두어 배치한 경우에도 중계장치를 통해 인접하는 유닛군들을 접속할 수 있으므로, 검출대상 부위의 근방에 각 센서 유닛을 배치하여 동 센서 유닛에서 그 검출단까지 늘어나는 신호선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을 끌고다니기가 쉽게 되고, 또한 센서 시스템의 검출성능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계케이블을 제1 및 제2 중계 유닛에 접속하기 때문에, 중계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등의 접속수단을 센서 유닛이나 마스터 유닛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센서 유닛이나 마스터 유닛의 접속수단 형성에 따른 구성의 복잡화나 높은 비용을 피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중계 유닛은 제1 유닛군과 함께 제1 기대에 고정되고, 제2 중계 유닛은 제2 유닛군과 함께 제1 기대와 동일 또는 이것과는 별개의 제2 기대에 고정되어 사용상의 안정성이 높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계케이블은 상기 제1 및 제2 중계 유닛의 상기 제1 및 제2 중계 유닛군의 배열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외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중계 유닛에 접속된다. 이에 가장 적합한 상태에 의하면, 중계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제1 및 제2 유닛군의 대향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제1 및 제2 유닛군의 배열방향으로 본 각 유닛군의 치수(길이)가 접속수단의 형성에 의해서 증대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유닛군을 필요에 따라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의 가장 적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계케이블은 그 양단에 커넥터를 가지고, 양 커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 중계 유닛의 상기 외면에 설치한 중계용 커넥터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계케이블과 제1 및 제2 중계 유닛과의 전기 접속을 커넥터에 의해 간편하게 확립할 수 있고, 또한 커넥터를 상기 외면에 설치하므로, 중계케이블에 인장력이 작용된 경우에도, 중계케이블의 커넥터가 중계용 커넥터에서 빠지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중계 유닛의 반대되는 제1 유닛군쪽 및 상기 제2 중계 유닛의 반대되는 제2 유닛군쪽에 엔드 플레이트(end plate)를 밀접하게 하여 배치하고, 양 엔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및 제2 기대에 각각 고정한다. 이 경우 제1 중계 유닛과 제1 유닛군(센서 유닛, 센서 유닛군 또는 마스터 유닛) 및 제2 중계 유닛과 제2 유닛군을 상호 밀접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닛군의 적어도 한쪽이 복수의 센서 유닛으로 구성되는 센서 유닛군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센서 유닛군의 반대되는 중계 유닛쪽에 엔드 플레이트를 밀접하게 배치하고 그 엔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및 제2 기대의 대응하는 것에 고정한다. 이 경우 센서 유닛군과 중계 유닛이 한쌍의 엔드 플레이트의 사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연장형 센서 시스템은, 각 상기의 센서 유닛으로부터 그 검출단까지 늘어난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선은 광화이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각 센서 유닛의 신호선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신호선의 구부러진 곳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을 광화이버로 구성한 경우에도, 광화이버의 구부러짐에 의한 신호전달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검출단으로 부터의 검출신호를 센서 유닛까지 양호하게 전달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쪽의 중계 유닛은, 그 연접용 커넥터와 중계케이블과의 사이에 통신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통신 드라이버는 그 중계 유닛으로부터의 신호 전달력을 증대시키고, 중계케이블의 길어짐을 허용한다.
더욱이, 통신 드라이버를 갖춘 중계 유닛은 그 통신 드라이버에 외부에서 전기공급을 하기위한 급전(給電)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 드라이버의 신호전달력은 더욱 더 증대된다.
도1을 참조하면, 연장형 센서 시스템은, 마스터 유닛(2)과 2개의 센서 유닛군(4,6)을 갖추고 있다. 센서 유닛군(4,6)의 각각은,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의 센서 유닛(8)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센서 유닛(8)은, 상호 외측벽끼리가 밀접한 상태로, 기대(基臺)로써의 소위 DIN레일(10) 위에 일렬로 병치되어 있다. 개개의 센서 유닛(8)은, 그 양 외측벽의 한쪽에 웅형(雄型)의 입출력 커넥터(도2에 참조부호 15로 나타냄)를 가짐과 동시에, 다른쪽의 외측벽에 자형(雌型)의 입출력 커넥터(도2에 참조부호 17로 나타냄)를 가지고 있다. 각 센서 유닛군에 있어서 상호 밀접하는 2개의 센서 유닛(8)은, 그들 자웅(雌雄)의 입출력 커넥터가 서로 끼워져 결합함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각 센서 유닛(8)은 그 내부에 검출회로(9)를 갖추고 있고, 이 검출회로(9)는 신호전달경로를 구성하는 신호선, 예를들면 광화이버(11)를 통해서 검출단(11a)에 접속되어져 있다. 도2에는 센서 유닛(8)이 한 개의 검출단(11a)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검출회로(9)에서 늘어난 2개의 광화이버의 검출단을 작업 반송(搬送)회로(도시생략)를 통해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하여, 양 검출단 사이를 통과하는 작업를 검출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검출회로(9)는 통신제어회로(13)에 접속되고, 이 통신제어회로(13)은 그 센서 유닛(8)의 자웅의 입출력 커넥터(15,17) 사이에 삽입되어져 있다. 검출단에서 검출된 검출신호(광신호)는 광화이버(11)를 통해서 검출회로(9)로 전달되고, 이 검출회로(9)에서 광신호가 전기 신호로 변환된 후, 통신제어회로(13)로 출력된다. 통신제어회로(13)는, 검출회로(13)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입출력 커넥터(15, 17)의 한쪽, 예를들면 웅형(雄型)의 입출력 커넥터(15)로부터 도1에 있어서 좌측에 이웃하는 센서 유닛(8)으로 출력가능함과 동시에, 자형(雌型)의 입출력 커넥터(17)를 통해서 도1에 있어서 우측에 이웃하는 센서 유닛(8)으로부터 받아들인 검출신호를 입출력 커넥터(15)에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군(4,6) 각각에 있어서, 각 센서 유닛(8)은 도1에 있어서 그 좌측에 밀접하는 센서 유닛(8)을 통해서, 검출신호를 마스터 유닛(2)를 향해서 순차적으로 전달해 갈 수 있다.
후술한 바와같이, 센서 유닛군(6)의 좌단에 위치하는 센서 유닛(8)으로부터의 검출신호는, 중계장치(12)를 통해서, 센서 유닛군(4)의 우단에 위치하는 센서 유닛(8)으로 전달된다. 또한, 센서 유닛군(4)의 좌단에 위치하는 센서 유닛(8)으로부터의 검출신호는 다른 중계장치(12)를 통해서 마스터 유닛(2)으로 전달되고, 또한 마스터 유닛(2)에서 후술할 컨트롤러(도시생략)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직접적으로는 관련되지 않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으나, 상기의 검출신호 송출에 관계된 각 센서 유닛(8)의 통신제어회로(13)의 신호전달경로 변환작동은, 예를들면 마스터 유닛(2)의 제어하에서 실시된다. 이 경우, 마스터 유닛(2)에서 각 센서 유닛(8)의 통신제어회로(13)로 제어신호가 송출된다. 이 제어신호의 송출은, 각 센서 유닛(8)에서 마스터 유닛(2)으로의 검출신호송출의 경우와 같이, 각 센서 유닛(8)과 마스터 유닛(2)과의 사이에 개재(介在)하는 센서 유닛(8)이나 중계케이블(12)을 통해서 실시된다.
또한, 입출력 커넥터(15,17)에 전원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가 각각 포함된 것은 말할나위 없다. 즉, 각 센서 유닛(8)으로의 급전은, 검출신호 및 제어신호의 송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원케이블(38)을 통해서 외부전원에 접속된 마스터 유닛(2)에서, 이 마스터 유닛과 각 센서 유닛(8)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센서 유닛(8)이나 중계케이블(12)을 통해서 실시된다.
상기의 신호전달·급전구성에 따르면, 연장형 센서 시스템 전체로 봐서 신호케이블이나 전원케이블의 수나 길이가 절감된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 유닛군(4,6)은 중계장치(12)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져 있다. 이 중계장치(12)는, 센서 유닛군(4)측의 제1 중계 유닛(14)과, 센서 유닛군(6)측의 제2 중계 유닛(16)을 갖추고, 이들 중계 유닛(14,16)은 센서 유닛(8)과 같은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
도3 및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중계 유닛(14)은, 그 한쪽의 외측벽 즉 좌외측벽(18)에 웅형의 제1 연접용 커넥터(20)를 가진다. 제1 연접용 커넥터(20)는, 센서 유닛(8)의 자형의 입출력 커넥터(17)에 서로 끼워 결합되고, 이 입출력 커넥터(17)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다. 결국, 제1 연접용 커넥터(20)는 센서 유닛(8)의 웅형의 입출력 커넥터(15)와 동일의 구조를 가진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중계 유닛(14)이 센서 유닛군(4)의 DIN레일(10) 위에 배치되었을 때, 제1 중계 유닛(14)은 센서 유닛군(4) 중의 우단에 위치하는 센서 유닛(8)에 밀접하게 배치되어, 이 상태에서 이들 제1 연접용 커넥터(20) 및 입출력 커넥터(17)가 서로 결합되어, 제1 중계 유닛(14)과 센서 유닛(8), 즉, 센서 유닛군(4)과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중계 유닛(14)은 제1 연접용 커넥터(20)에 더하여져, 또 다른 커넥터, 즉, 중계용 커넥터(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계용 커넥터(22)는 제1 중계 유닛(14)의 좌외측벽(18)과는 다른 외벽면에 설치되어져, 제1 연접용 커넥터(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중계용 커넥터(22)는 한쌍의 잠금레버(24)를 가지는 웅형 또는 자형의 각진 커넥터로, 제1 중계 유닛(14)의, 마스터 유닛(2) 및 센서 유닛군(4,6)의 배열방향으로 연장되는 윗면에 설치되어져 있다.
한편,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중계 유닛(16)은 그 우외측벽에 자형의 제2 연접용 커넥터(26)를 가지고 있다. 제2 연접용 커넥터(26)는 센서 유닛(8)의 웅형의 입출력 커넥터(15)에 끼워 결합하고, 이 입출력 커넥터(15)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다. 결국, 제2 연접용 커넥터(26)는 센서 유닛(8)에서의 자형의 입출력 커넥터(17)와 동일의 구조를 가진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중계 유닛(16)이 센서 유닛군(6)의 DIN레일(10) 위에 배치되었을 때, 제2 중계 유닛(16)은 센서 유닛군(6)의 좌단에 위치하는 센서 유닛(8)에 밀접하게 병치되어, 이 상태로 제2 중계 유닛(16)의 제2 연접용 커넥터(26)는 그 센서 유닛(8)의 웅형의 입출력 커넥터(15)에 결합하고, 제2 중계 유닛(16)은 그 센서 유닛(8), 즉, 센서 유닛군(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제2 중계 유닛(16) 또한, 제1 중계 유닛(1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로크레버(24)가 부착된 중계용 커넥터(22)를 가지고, 이 경우의 중계용 커넥터(22)는 제2 연접용 커넥터(2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중계 유닛(14)의 중계용 커넥터(22)와 제2 중계 유닛(16)의 중계용 커넥터(22)와의 사이는 커넥터가 부착된 중계케이블(28)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져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중계케이블(28)은 플랫케이블이고, 그 양단에 중계용 커넥터(22)에 결합 가능한 자형 또는 웅형의 커넥터(30)를 각각 가지고, 이들 커넥터(30)는 각 중계 유닛(14,16)의 중계용 커넥터(22)에 결합되었을 때, 그 한쌍의 로크레버(24)에 의해 그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각 중계 유닛(14,16)에 로크레버(24)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져 있는 것은 말할 나위없다.
게다가,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계 유닛(14,16)은 그 연접용 커넥터(20,26)와 중계용 커넥터(22)와의 사이에 통신 드라이버(32)를 가지고, 통신 드라이버(32)는 정전압 회로(34)를 통해서 외부전원단자(36)에 접속되어져 있다. 외부전원단자(36)는 소정의 외부전원과 정전압회로(34)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이것에 의해 정전압회로(34)는 소정의 전압을 통신 드라이버(32)에 인가(印加)할 수 있다. 도6에서는 중계케이블(28)과는 별도의 전원케이블(도시생략)을 중계 유닛(14,16)의 외부전원단자(36)에 접속하고, 이 전원케이블 및 정전압회로(34)를 통해서 통신 드라이버(32)로의 전기공금을 하는 것처럼 했지만, 이 전기공급을 마스터 유닛(2)과 중계 유닛(14,16)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센서 유닛군이나 중계케이블을 통해서 실시가능하다.
상술한 중계장치(12)가 센서 유닛군(4,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면, 센서 유닛군(6)에서 각 센서 유닛(8)의 검출신호를 센서 유닛군(4)에 전달할 수 있고, 전달된 검출신호는 센서 유닛군(4) 내의 각 센서 유닛(8)을 통해서 거듭 전달된다.
도1에서 밝힌 것처럼, 센서 유닛군(4)과 마스터 유닛(2)과의 사이도 또한 마찬가지의 중계장치(12)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결국, 마스터 유닛(2)도 또한 그 대응한 DIN레일(10) 위에 배치되어, 그 한쪽의 외측벽에 전술한 센서 유닛(8)의 자형의 입출력 커넥터(17)와 같은 입출력 커넥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중계장치(12)는 마스터 유닛(2)측에 제1 중계 유닛(14), 그리고 센서 유닛군(4) 측에 제2 중계 유닛(16)을 가지고, 이들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16)이 중계케이블(28)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마스터 유닛(2)은, 센서 유닛군(4,6)으로부터의 각 센서 유닛(8)의 검출신호를, 중계장치(12)를 통해서 받아들일 수 있다.
마스터 유닛(2)에서는 전원케이블(38) 및 마스터케이블(39)이 연장되어, 이 마스터케이블(39)은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콘트롤러는 센서 유닛군(4,6)에서 각 센서 유닛(8)의 검출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다.
상술한 마스터 유닛(2)은 센서 유닛(8)과는 달리, 그 센서 기능을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센서 유닛(8)과 같이 센서 기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마스터 유닛(2)의 다른 쪽의 외측벽에도 입출력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유닛(2)은, 전술의 센서 유닛군(4,6)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다른 센서 유닛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중계장치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다.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16)을 구비한 센서 유닛군(4)(바꿔말하면, 중계 유닛(14,16)과 센서 유닛군(4)으로 이루어진 어셈블리)에는 그 양측에 엔드플레이트(44)가 각각 배치되어 있어, 이들 엔드플레이트(44)는 DIN레일(10) 위의 소정 위치에,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16)을 갖춘 센서 유닛군(4)을 지지하고 있다. 즉, 양측의 엔드 플레이트(44)는 센서 유닛군(4)을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16)을 통해서 양측에서 사이에 끼워서 부착되고, 이 상태로,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쌍의 조임 나사(46)에 의해 DIN레일(1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 측에 제2 중계 유닛(16)을 구비한 센서 유닛군(6), 또 그 다른 한 쪽에 제1 중계 유닛(14)을 구비한 마스터 유닛(2)도 또한, 한쌍의 엔드 플레이트(44)를 통해서 DIN레일(10) 위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전술한 중계장치(12)에 의하면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16)은 그 연접용 커넥터(20,26)와는 별도로, 중계용 커넥터(22)를 각각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중계용 커넥터(22) 자체에 임의의 잠금 기구를 부여할 수 있다. 요컨데 중계용 커넥터(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 레버가 달린 각진 형태의 커넥터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금 레버가 달린 각진 형태의 커넥터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중계 커넥터(22)로부터의 중계케이블(28)의 탈락방지를 확실히 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16)은 마스터 유닛(2)이나 센서 유닛군(4,6)과 함께 DIN레일(10) 위에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마스터 유닛(2)과 센서 유닛군(4)과의 사이, 그리고, 센서 유닛군(4,6)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확실하게 확보된다.
또한,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16)의 통신 드라이버(32)는, 검출신호의 전달력을 증가시키므로, 중계 케이블(28)의 길어짐(長尺化)이 허용되어, 센서 유닛군(4,6) 사이의 최대이간거리, 즉, 중계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 통신 드라이버(32)는 그 중계 유닛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발열이 센서 유닛(8) 내의 회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고출력의 통신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16)의 통신 드라이버(32)는, 외부전원에서 정전압회로(34)를 통해서 급전가능하므로, 통신 드라이버(32) 자체의 소비전력에 제약을 받지 않고, 보다 하이파워의 통신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어, 그 중계거리를 보다 더 장거리화하는데 공헌한다.
본 발명은 상술의 일 실시예에 제약받는 것이 아니며,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중계용 커넥터(22)와 중계케이블 측 커넥터와의 연결은, 로크레버(24)에 의존하지 않고, 조임나사도 가능하며, 또한 중계케이블은 제1 및 제2 중계 유닛의 한쪽, 또는 그 양쪽과 일체가 되어도 무방하다.
더욱이, 중계케이블(28)은 플랫케이블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케이블이어도 좋다.
또한,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계장치(12)는 센서 유닛군끼리 사이에서의 신호나 전력의 중계를 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마스터 유닛과 센서 유닛과의 사이에서의 중계도 가능한 것은 말할 나위 없다. 또한,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16)은 그 양외측면에 제1 및 제2 연접용 커넥터(20,26)를 함께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엔드 플레이트(44)를 중계 유닛(14,16)과 별체로 설치하였는데, 이것과 일체하여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마스터 유닛(2) 및 센서 유닛군(4,6)을 3개의 기대(10) 위에 설치하였는데, 예를들면 1개의 기대에 설치하여도 된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센서 유닛(8) 또는 마스터 유닛(2)으로 이루어진 제1 유닛군(4 또는 2)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 유닛(8)으로 이루어진 제2 유닛군(4 또는 6)을 포함하는 연장형 센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군의 한쪽에 밀접하게 병치 가능하고 동시에 상기 제1 유닛군과 함께 제1 기대(10)에 고정가능하고, 상기 제1 유닛군의 상기의 한쪽에 설치한 제1 입출력 커넥터(17)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1 연접용 커넥터(20)를 갖는 제1 중계 유닛(14)과,
    상기 제2 유닛군의 다른 쪽에 밀접하게 병치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2 유닛군과 함께 제2 기대(10)에 고정 가능하고, 상기 제2 유닛군의 상기의 다른 쪽에 설치한 제2 입출력 커넥터(15)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2 연접용 커넥터(26)를 갖는 제2 중계 유닛(16)과,
    상기 제1 중계 유닛과 상기 제2 중계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케이블(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케이블(28)은, 상기 제1 및 제2 중계 유닛, 상기 제1 및 제2 유닛군의 배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외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 16)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중계케이블(28)은 그 양단에 커넥터(30)를 갖고, 상기 양 커넥터(30)는, 상기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 16)의 상기 외면에 설치된 중계용 커넥터(22)에 각각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유닛(14)의 반대의 제1 유닛군 측 및 상기 제2 중계 유닛(16)의 반대의 제2 유닛군 측에 엔드 플레이트(44)를 밀접하게 배치하고, 상기의 양 엔드 프레이트를 상기 제1 및 제2 기대(10)에 각각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닛군의 적어도 한쪽(4 또는 6)이 복수의 센서 유닛(8)으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 유닛군(4 또는 6)의 반대의 중계 유닛측에 엔드 플레이트(44)를 밀접하게 배치하고, 그 엔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및 제2 기대(10)의 대응하는 것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센서 유닛(8)으로부터 그 검출단(11a)까지 연장된 신호선(11)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선은 광화이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중계 유닛(14, 16)의 적어도 한쪽이, 그 연접용 커넥터(20 또는 26)와 상기 중계케이블(28)과의 사이에 통신 드라이버(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통신 드라이버(32)를 포함하는 중계 유닛(14 또는 16)은, 그 통신 드라이버에 외부로부터 전기공급을 위한 급전수단(34,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KR1020007011616A 1999-03-11 2000-03-10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KR200100428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65497 1999-03-11
JP11065497A JP2000259975A (ja) 1999-03-11 1999-03-11 連装型センサシステムの中継装置
PCT/JP2000/001485 WO2000054239A1 (fr) 1999-03-11 2000-03-10 Repeteur de systeme detecteur en tand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847A true KR20010042847A (ko) 2001-05-25

Family

ID=1328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616A KR20010042847A (ko) 1999-03-11 2000-03-10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52162B1 (ko)
JP (1) JP2000259975A (ko)
KR (1) KR20010042847A (ko)
AU (1) AU2942400A (ko)
DE (1) DE10080897T1 (ko)
WO (1) WO20000542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187B1 (ko) * 2004-03-15 2006-12-27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센서 컨트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8632A (ja) * 2004-03-15 2006-02-16 Omron Corp センサコントローラ
JP2008119198A (ja) * 2006-11-10 2008-05-29 Tokai Rika Co Ltd 状況改善助言装置
JP2008119197A (ja) * 2006-11-10 2008-05-29 Tokai Rika Co Ltd 状況監視装置の装置本体、及び状況監視装置
JP7215766B1 (ja) 2021-08-23 2023-01-31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車両誘導装置および車両誘導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08241B (it) 1978-05-29 1985-12-02 Finike Italiana Marposs Apaprecchiatura elettronica modulare per controlli multipli simultanei
US4557534A (en) * 1983-08-29 1985-12-10 Spacesaver Corporation Mobile storage systems with leash control
JPH0757178A (ja) 1993-04-09 1995-03-03 Imamura Tadataka 制御信号伝送装置及び同装置用伝送コネクター
JPH076286A (ja) 1993-06-16 1995-01-10 Japan Radio Co Ltd テレメータ・テレコントロール装置
JPH07122318A (ja) 1993-10-26 1995-05-12 Yokogawa Electric Corp コネクタ−端子台変換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187B1 (ko) * 2004-03-15 2006-12-27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센서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942400A (en) 2000-09-28
WO2000054239A1 (fr) 2000-09-14
US6452162B1 (en) 2002-09-17
JP2000259975A (ja) 2000-09-22
DE10080897T1 (de) 2001-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2311B1 (en) Sensor system and connector used therefor
US4252402A (en) Device for connecting a peripheral unit to an optical bus-line
HK1046962A1 (en) A system for monitoring connection pattern of dataports.
KR20010042847A (ko) 연장형 센서 시스템의 중계장치
US7527527B2 (en) Connector system for connecting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connector assembly and device board
US7907416B2 (en) Power supply system, power cable distributor, power supply subrack and integrated equipment
CN107873115B (zh) Led局域网电缆连接器,局域网电缆,局域网电缆系统
US6248663B1 (en) Electrical data distribution system
JP2014238166A (ja) 電気光学式結合装置
KR101747365B1 (ko) T-분기 없는 시리얼 통신 연결을 위한 소켓 보드 및 이를 이용한 모터제어반용 시스템
WO1994008365A3 (en) Wiring connection system including crosstalk compensating connector
US7230820B2 (en) Distributor means for connecting electrical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voltage sources
US11956092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nnector
US9236690B2 (en) Device for a patch panel
EP1255266A1 (en) Bus controlled relays
US20050053430A1 (en) Face equipment for mining machinery
CN217689748U (zh) 激光投影设备
KR20240069144A (ko) 탈부착형 분산 제어 장치
JPS6231795B2 (ko)
US20230280552A1 (en) Optoelectronic module, optoelectronic plug connector and optoelectronic sub-distribution unit
KR100361293B1 (ko) 와이어링 전원분배구조
JPH1079745A (ja) 光通信ケーブ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lanシステム
AU2004310758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data and energy supply
WO2020222706A1 (en) Interconnecting apparatus
US20040179792A1 (en) Optical fiber transf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