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886A - 고체 항진균제 - Google Patents

고체 항진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886A
KR20010041886A KR1020007010185A KR20007010185A KR20010041886A KR 20010041886 A KR20010041886 A KR 20010041886A KR 1020007010185 A KR1020007010185 A KR 1020007010185A KR 20007010185 A KR20007010185 A KR 20007010185A KR 20010041886 A KR20010041886 A KR 20010041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fungal agent
antifungal
agent
amount
ble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도야스오
아시자와마사히로
후나비키도시히로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2001004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8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진균에 직접 작용하여 진균을 사멸시키는 한편, 작용 표면을 표백하여 새롭게 세척된 표면을 제공하고, 낭비없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되어 믿을만한 항진균 효과와 세척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개선된 항진균제를 제공한다. 이 항진균제는 유효 성분으로서 산화형 표백제 및 이 표백제의 고화용 겔화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체 항진균제{SOLID FUNGICIDE}
통상적으로, 내외장용 건축자재의 표면에 부착하여 증식하는 진균을 제거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여러 종류의 항진균제가 사용되고 있다. 진균은 특히 일정 수분량이 존재하는 부분, 예컨대 욕실(특히 타일 사이의 연결부), 부엌 및 세면기와 같은 부분에서 다량으로 증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항진균제가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염과 같은 강산화제와 함께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강알칼리의 혼합물 형태로 제공되며, 이 혼합물 형태는 보통 용기중에 보관되는 액체로서, 직물이나 스폰지에 흡수시켜 진균이 제거되어야 하는 구역에 적용하거나, 또는 용기가 분무 용기인 경우에는 상기 구역에 적당량의 액체를 분무하여 적용하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와 같이 적당량의 액체를 별도의 재료에 흡수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사용량을 매번 측정하고, 액체 취급시 손을 보호하기 위해 귀찮게 장갑을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번거롭다. 또한, 후자의 경우와 같이 분무 용기로부터 액체를 분무하는 경우에는, 진균이 제거되어야 하는 표적 구역 뿐만 아니라 분무가 필요 없는 주위 구역에까지 액체의 불필요한 분무를 피할 길이 없다. 결과적으로, 액체 분무 방법은 경제적으로 낭비일 뿐만 아니라, 작은 욕실, 부엌 및 세면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무된 항진균제 입자의 농도가 증가하여 독특한 자극적 악취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때로 사용자가 분무 입자를 흡입하여 사고를 일으키거나 또는 분산된 분무 입자가 피부에 부착하여, 종종 발진을 일으키기도 한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펠트 도포기가 구비된 세척형 항진균제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항진균제는 상기 도포기내에 함유된 액체 항진균제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피할 수 있고, 특히 분무 입자에 의해 유발되는 사고 발생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때문에 매우 주목할만한 것이다. 그러나, 항진균제가 도포기 중에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도포기로부터 과량의 액체(점적액)의 적하를 방지하기가 어렵다. 점적액은 과량의 항진균제가 사용되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항진균제가 그런 액체 형태로 존재하는 한 산성 세정제와의 혼합물로 사용시 염소 기체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산소계 표백제, 특히 과산화수소로 주로 구성된 항진균제는 산성 세정제와의 혼합물로 사용시 나타나는 염화물 기체 발생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항진균제는 종종 다량의 진균을 사멸시키는데에는 효과가 적은데, 그 이유는 과산화수소가 알칼리성이고 불안정하여, 항진균제를 약한 산성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즉, 산소계 표백제로 주로 구성된 항진균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진균을 제거하는 조작을 자주 실시해야만 한다. 또한, 젖산계 항진균제는 표백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항진균제는 진균의 사멸시 진균의 색을 얼룩처럼 남겨 적당한 세척 효과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내외장용 건축자재 표면에 부착하여 증식하는 진균에 직접 작용하여 진균을 사멸시키는 한편 작용 표면을 표백하여 새로 세척한 듯한 표면을 제공하는 고체 항진균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진균제는 용기 중에 수용된 스틱형의 항진균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균에 직접 작용하여 진균을 사멸시키는 한편, 작용 표면을 표백시켜 새롭게 세척된 표면을 제공하며, 낭비 없이 안전하고 용이한 사용을 통해 믿을만한 항진균 효과와 세척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개선된 항진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 성분으로서 산화형 표백제를 포함하고 표백제의 고화를 위한 겔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고체 항진균제를 통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전술한 문제점들이 항진균제를 액체 형태로 사용함에 따른 결과라는 사실을 반영하여, 항진균제를 고체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예상치 못한 많은 잇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다양한 유효 성분의 고화 시험을 통해 본 발명에 도달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고체 항진균제는 유효 성분인 산화형 표백제와 이 표백제의 고화용 겔화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산화형 표백제는 우수한 항진균성과 표백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항진균제 분야에 공지된 것 중에서 적당하게 선발된 1 화합물 또는 2 종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진균제에 사용되는 산화형 표백제는 우수한 산화 효과를 나타내어, 진균을 사멸시키는 한편 진균에 의해 흑색화되거나 또는 다른 색으로 착색된 부분을 표백(안료 표백)시킨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산화형 표백제의 예로는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예컨대 할로겐 옥시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및 칼슘염이 있다. 옥시산의 구체적 예로는 차아염소산 및 차아브롬산과 같은 차아할로겐산, 아염소산 및 아브롬산과 같은 아할로겐산, 염소산 및 브롬산과 같은 할로겐산이 있다. 바람직한 예는 차아염소산 나트륨, 차아염소산 칼륨 및 차아염소산 칼슘이다. 또한,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칼륨 및 기타 염화물과 같은 다른 염소원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표백제 중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 및/또는 차아염소산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그 사용량은 항진균제 중에 존재하는 유효 염소량이 0.3% 이상, 바람직하게는 유효 염소량이 0.5% 이상 내지 4.5%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좋다. 사실상, 차아염소산염 유래의 유효 염소량이 0.3% 이하인 경우에는 진균 표백 효과가 적당하지 않지만, 유효 염소량이 0.5% 이상인 경우에는 진균의 사멸 및 표백 효과가 대기 시간 약 5분 내에 예상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유효 염소량이 4.5%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겔화제를 사용하여도 젤라틴을 만들기가 어렵고, 따라서 최종 항진균제가 고화되는 것도 불가능해진다.
표백제와 함께 겔화제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항진균제에 필수적인 사항이다. 적합한 겔화제로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가 8개 내지 16개인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 및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 있다. 이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겔화제중에서, 특히 스테아르산나트륨 및 미리스트산나트륨과 같은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항진균제 중에 사용되는 겔화제의 양은 그 양이 0.3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상, 겔화제의 양이 0.3% 이하이면, 항진균제의 고체 상태를 적당하게 유지하기가 불가능하고, 따라서 사용시 용기로부터 항진균제의 공급이 제한된다. 이에 반해, 겔화제의 양을 20%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항진균제가 지나치게 경화되어 사용시 적당량의 항진균제를 바람직한 부위에 적용하기가 어렵고, 유효 성분을 바람직한 양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반복 적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항진균제는 전술한 표백제와 겔화제를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기제, 산화형 표백제, 겔화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농조화제 및 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성물일 수 있다.
기제는 2가지 기능, 즉 진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산화형 표백제, 구체적으로 차아염소산 금속염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항진균제에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기제가 항진균제에 첨가되는 경우 그 양은 항진균제의 최종 pH 값이 1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3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진균의 증식 억제 측면에서 볼 때, 항진균제의 최종 pH가 11 보다 높거나, 또는 그렇지 않다면 2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진균이 일반적으로 pH 5 내지 6 부근에서 최적의 세포 활성을 나타내는 한편, pH가 3 내지 10으로 광범위한 자연 세계, 특히 고온(30 ℃ 이상)과 다습(80% RH 또는 그 이상)의 환경에서 기질의 대부분의 구역에서 생존할 수 있고, 심지어 pH 2 내지 11의 광범위한 pH 범위에서도 진균은 용이하게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표백제로서 사용되는 차아염소산 금속염의 분해 측면에서 볼 때, 이 화합물은 중성 부근에서 보다 능동적으로 분해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최종 pH 값이 1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3이 되도록 첨가되는 기제의 양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진균제에 필요한 경우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세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모든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으며, 이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킬 페놀 및 산화에틸렌 부가 생성물과 같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알킬벤젠 설포네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트리메틸암모늄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미노산형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항진균제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저장 중 수분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습윤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는 글리세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일반적인 습윤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습윤제의 첨가량 역시 필요에 따라 바람직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농조화제는 겔화성을 보충하여 평활한 균일 분포를 만드는 분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본 발명의 항진균제에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농조화제의 예로는 폴리아크릴산 및 다당류 화합물과 같은 유기 농조화제, 합성 운모 및 합성 스멕타이트와 같은 무기 농조화제가 있으며, 이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체 발생 및 항진균 효과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화형 표백제와 산화 환원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농조화제를 주의하여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농조화제의 첨가량은 필요에 따라 바람직한 만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물은 예컨대 제제를 침투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항진균제에 사용되기도 하며, 물의 첨가량은 보통 잔여량이다.
본 발명의 항진균제는 전술한 성분들을 바람직한 방식으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먼저 겔화제를 제외한 모든 성분을 바람직한 순서대로 혼합하여 항진균제 전구체를 제조한다. 그 다음, 이 전구체에 소정량의 겔화제를 첨가하고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적당한 틀에 넣어 성형한다. 결과적으로, 바람직한 형태의 고체 항진균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진균제는 바람직하게는 고체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틱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좋다. 스틱형 항진균제는 사용시 항진균제가 점진적으로 공급되는 방식으로 용기 중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틱은 소원통형 또는 소프리즘형일 수 있으나, 용기로부터의 공급이 보다 용이한 소원통형이 바람직하다. 스틱이 소원통인 경우, 그 크기는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길이가 50 내지 150 ㎜이고 직경이 10 내지 30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진균을 제거해야 하는 영역이 좁은 경우에는 10 ㎜ 보다 작은 직경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항진균제는 일반 항진균제와 같은 방식이지만 보다 용이하게 진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욕실 벽에서 증식하는 진균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스틱 용기로부터 소정량의 항진균제를 공급하여 벽 타일 사이의 연결부 상에 항진균제가 문질러 발릴 수 있도록 적용한다. 이 항진균제는 보통 1회 또는 2회와 같이 몇회 적용하면 충분하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반복 적용할 수도 있다. 항진균제는 항진균제가 진균과 접촉하기만 한다면 얇은 두께로 적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항진균제가 적용된 후에는, 진균에 충분한 작용을 하도록 방치한다. 방치 시간은 단지 단시간이면 충분한데, 보통 약 5 내지 6분 정도 요구된다. 항진균 효과의 진행은 진균 색의 퇴색, 즉 진균의 탈색에 근거하여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진균의 색이 퇴색된 후에는 벽에 부착된 항진균제를 세척하여 제거한다. 본 발명의 항진균제의 잇점은 수세척만으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는 점인데, 구체적으로 수세척은 적용된 구역 상에 샤워기 등으로 미온수를 분무하여 실시할 수 있어 유리하다. 그 다음, 그 구역을 방치하여 건조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진균이 증식한 부위를 습윤시키기 위하여 수돗물이나 미온수를 예비적용하여, 진균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진균이 증식한 최소 부위로만 항진균제가 침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균이 제거된 후에는 일련의 항진균 조작의 마지막으로 수세척이 실시되지만, 잔류 항진균제를 완전히 없애고 완전한 세척을 촉진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겔화제 및 농조화제의 양을 고려하고, 몇몇 경우에는 수용해 효과를 보충할 수 있는 수용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실시예에서 제조된 항진균제 샘플 중, 샘플 2-1, 2-5, 2-6, 2-7, 3-1, 4-10 및 4-11은 각각 비교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다음과 같이 시약 등급의 화합물을 제시된 양으로 혼합하였다.
차아염소산나트륨(유효 염소량 = 5%) 41.0 wt%
수산화나트륨 0.9 wt%
스테아르산나트륨 4.7 wt%
미리스트산나트륨 4.7 wt%
48.7 wt%
최종 혼합물을 유리 용기(세척된 시판 마요네즈 병)에 넣고 80 내지 90 ℃로 가열하였다. 스테아르산 나트륨과 미리스트산 나트륨의 총 양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최종 점성 액체를 내경이 21 ㎜이고 깊이가 50 ㎜인 스틱 아교용 오븐 예비가열된 플라스틱 용기에 충전하고 이것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그 결과 스틱형의 고체 항진균제(유효 염소량 2.05%)가 얻어졌다.
이와 같이 얻어진 항진균제를 진균이 다량 증식된 욕실의 타일 연결부에 얇게 적용하고 5분 동안 방치하였다. 항진균제를 적용한 후, 진균의 색은 점차 퇴색되어 5분 후에는 사실상 무색이 되었다. 항진균제가 적용된 부위에 샤워기를 통해 가온수를 분무하자마자 항진균제가 잔류함이 없이 세척과 제거가 완전하게 이루어졌다.
실시예 2
시약 등급의 차아염소산나트륨(유효 염소량 5%), 시약 등급의 수산화나트륨, 시약 등급의 미리스트산나트륨, 합성 스멕타이트(상표명 : SWN, 코프 케미컬 컴패니 제품), 시약 등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평균 분자량 1000) 및 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양(g)으로,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는 절차에 따라 혼합하여 7가지 스틱형 고체 항진균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최종 항진균제 샘플 2-1 내지 2-7은 유효 염소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샘플 번호 2-1* 2-2 2-3 2-4 2-5* 2-6* 2-7*
유효 염소량(%) 4.5 1 0.5 0.3 0.2 0.1 0.05
0.5 35.5 40.5 42.5 43.5 44.5 45
차아염소산나트륨 45 10 5 3 2 1 0.5
미리스트산나트륨 -- 2.5 2.5 2.5 2.5 2.5 2.5
스멕타이트 1.5 1.5 1.5 1.5 1.5 1.5 1.5
수산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폴리에틸렌 글리콜 1 1 1 1 1 1 1
*비교예
첫째,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수산화나트륨 및 합성 스멕타이트를 각각의 소정량으로 소정량의 물에 첨가하고, 유리 용기(세척된 시판 마요네즈 병)에 넣어 혼합하였다. 여기에 용해된 각 성분의 용액을 얻었다. 항진균제 샘플 2-1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 성분들의 균일한 용해가 이 단계에서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없었기 때문에 후속 제조 단계를 실시하지 않았다. 진균제 샘플 2-2 내지 2-7의 경우에는, 미리스트산 나트륨을 소정량으로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85 내지 90 ℃로 가열하였다. 그 결과, 점성의 유백색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점성 용액을 내경이 21 ㎜이고 깊이가 50 ㎜인 스틱 아교용 오븐 예비가열된 플라스틱 용기에 각각 충전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그 결과 스틱형의 고체 항진균제(유효 염소량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음)가 얻어졌다.
모의 항진균제 시험
얻어진 항진균제(항진균제 샘플 2-2 내지 2-7) 각각의 항진균 작용은 퇴색 정도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합판 패널을 안료 수용액(바이올렛 #401, 다이와 케미칼스 제품)에 침지시켜 바이올렛색으로 착색시킨 후, 각 항진균제를 줄무늬로 얇게 적용하여 5 분 동안 방치하였다. 합판 패널의 바이올렛 색은 항진균제를 적용한 후 서서히 퇴색되었다. 합판 패널의 퇴색을 육안 조사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욕실 항진균제 시험
전술한 모의 항진균제 시험으로 유효성(만족할만한 퇴색)이 평가된 항진균제를 진균이 다량 증식된 욕실의 타일 연결부에 얇게 적용하고 5분 동안 방치하였다. 항진균제 적용후 진균의 색이 점차 퇴색되고 사실상 5분 후에는 무색이 되었다. 항진균제가 적용된 부위에 샤워기로 가온수를 분무한 결과, 그 즉시 항진균제가 잔류됨이 없이 세척과 제거가 완전하게 이루어졌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제시한다.
샘플 번호 2-2 2-3 2-4 2-5* 2-6* 2-7*
유효 염소량 (%) 1 0.5 0.3 0.2 0.1 0.05
퇴색 약 2분 2 내지 4분 거의 완전하게 퇴색 퇴색이 일어나지 않음 퇴색이 일어나지 않음 퇴색이 일어나지 않음
욕실 진균 사라짐 사라짐 거의 완전하게 사라짐 -- ----
*비교예
전술한 결과로부터 유효 염소량이 본 발명의 항진균제의 범위내이도록 조성을 조정한 항진균제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유효 염소량이 0.3% 이상이 되도록 차아염소산나트륨 및(또는) 차아염소산칼륨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유효 염소량이 0.5% 이상이 되도록 차아염소산나트륨 및(또는) 차아염소산칼륨을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효 염소량이 0.3% 이하인 경우에는, 진균의 표백이 불충분한 반면, 유효 염소량이 0.5% 이상인 항진균제는 대기 시간 약 5분 이내에 진균의 표백과 제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 기재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 3에서는, 시약 등급의 차아염소산 나트륨(유효 염소량 5%), 시약 등급의 수산화나트륨, 시약 등급의 미리스트산 나트륨, 시약 등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평균 분자량 1000) 및 물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양(g)으로,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는 절차에 따라 혼합하여 스틱형 고체 항진균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최종 항진균제 샘플 3-1 내지 3-3은 유효 염소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샘플 번호 3-1* 3-2 3-3
유효 염소량(%) 4.5 3 2
2 17 27
차아염소산 나트륨 45 30 20
미리스트산 나트륨 2.5 2.5 2.5
수산화나트륨 0.5 0.5 0.5
폴리에틸렌 글리콜 1 1
*비교예
먼저, 수산화나트륨을 소정량의 물에 소정량 첨가하고, 각 혼합물을 유리 용기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소정량의 미리스트산 나트륨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그 다음 85 내지 90 ℃로 가열하였다. 소정량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첨가한 후, 용액을 85 내지 90 ℃로 가열하였다. 성분을 모두 용해시켜 점성의 유백색 용액을 얻었다. 항진균제 샘플 3-1의 제조시에는 이 단계에서 성분들이 완전히 균일하게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후속 제조 단계를 실시하지 않았다.
얻어진 점성 용액을 내경이 21 ㎜이고 깊이가 560 ㎜인 스틱 아교용 오븐 예비가열된 플라스틱 용기에 각각 충전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그 결과 스틱형의 고체 항진균제(유효 염소량은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음)가 얻어졌다.
모의 항진균제 시험
얻어진 항진균제(항진균제 샘플 3-2 내지 3-3) 각각의 항진균 작용은 실시예 2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제시한 바와 같다.
욕실 항진균제 시험
항진균제 샘플 3-2 내지 3-3의 항진균 작용은 실시예 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제시한다.
샘플 번호 3-1* 3-2 3-3
유효 염소량(%) 4.5 3 2
퇴색 -- 약 30초 약 1분
욕실 진균 -- 사라짐 사라짐
*비교예
전술한 결과로부터 유효 염소량이 4.5% 미만이 되도록 차아염소산나트륨 및(또는) 차아염소산칼륨을 첨가하여 항진균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 기재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시약 등급의 차아염소산 나트륨(유효 염소량 5%), 시약 등급의 수산화나트륨, 시약 등급의 미리스트산 나트륨, 시약 등급의 합성 스멕타이트(상표명 SWN, 코프 케미컬 컴패니 제품) 및 물을 하기 표 5에 기재된 양(g)으로,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는 절차에 따라 혼합하여 11가지 스틱형 고체 항진균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5에 제시한 바와 같이 최종 항진균제 샘플 4-1 내지 4-11은 각 미리스트산 나트륨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샘플 번호 4-1* 4-2 4-3 4-4 4-5 4-6 4-7 4-8 4-9 4-10* 4-11*
미리스트산 나트륨(%) 20 15 10 7.5 5 2 1 0.5 0.3 0.2 0.1
25.5 28 30.5 31.75 33 34.5 35 35.25 35.35 35.4 35.45
차아염소산 나트륨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미리스트산 나트륨 10 7.5 5 3.75 2.5 1 0.5 0.25 0.15 0.1 0.05
스멕타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수산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비교예
먼저,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합성 스멕타이트 및 수산화나트륨을 소정량의 물에 소정량 첨가하고, 유리 용기에 넣은 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소정량의 미리스트산 나트륨을 각 용액에 첨가하고, 그 다음 85 내지 90 ℃로 가열하였다. 각 성분을 모두 용해시켜 점성의 유백색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점성 용액을 내경이 21 ㎜이고 깊이가 50 ㎜인 스틱 아교용 오븐 예비가열된 플라스틱 용기에 각각 충전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표 6에 제시한 바와 같이, 항진균제 샘플 4-1 내지 4-8에 의해 스틱형의 고체 항진균제(미리스트산나트륨 함량은 표 5에 제시한 바와 같음)가 얻어졌고, 항진균제 샘플 4-9에 의해 거의 고체에 가까운 항진균제가 얻어졌다. 항진균제 샘플 4-10 및 4-11은 항진균제의 고체 상태가 유지될 수 없을 정도로 상당히 연화되었다.
모의 항진균제 시험
얻어진 항진균제(항진균제 샘플 4-1 내지 4-9) 각각의 항진균 작용은 실시예 2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퇴색 정도 대신에 완전한 퇴색에 소요되는 시간(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제시한 바와 같다.
샘플 번호 4-1 4-2 4-3 4-4 4-5 4-6 4-7 4-8 4-9 4-10* 4-11*
미리스트산나트륨(%) 20 15 10 7.5 5 2 1 0.5 0.3 0.2 0.1
고체 상태 0 0 0 0 0 0 0 0 약 0 X X
안료 퇴색에 소요되는 시간 약2분 약2분 약2분 약2분 약2분 약2분 약2분 약2분 약2분 ---
*비교예
전술한 결과로부터, 알칼리 금속염 함량이 0.3 내지 20%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알칼리 금속염 함량이 0.5 내지 10% 범위가 되도록 지방산 알칼리 금속염인 스테아르산 나트륨과 미리스트산 나트륨을 첨가하여 항진균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항진균제가 이러한 겔화제를 0.3%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 고체 상태가 적당하게 유지되지 않아, 사용시 용기에 수용된 항진균제를 공급하기가 어려웠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기재된 항진균제를 사용하면 그 유효 성분이 진균에 직접 작용하여 진균을 사멸시키는 한편, 작용 표면을 표백하여 새롭게 세척된 표면을 제공하며, 항진균제가 낭비없이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되는 믿을만한 항진균 및 세척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5)

  1. 유효 성분으로서 산화형 표백제와, 이 표백제의 고화용 겔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고체 항진균제.
  2. 제1항에 있어서, 기제, 산화형 표백제, 겔화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농조화제 및 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고체 항진균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백제가 차아할로겐산, 아할로겐산 및 할로겐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특징인 고체 항진균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가 탄소원자수가 8 내지 16개인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 및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특징인 고체 항진균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사용시 점진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방식으로 용기중에 수용된 형태이거나 스틱형인 것이 특징인 고체 항진균제.
KR1020007010185A 1998-03-20 1999-03-16 고체 항진균제 KR20010041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72584A JPH11293281A (ja) 1998-03-20 1998-03-20 固形カビとり剤
JP98-72584 1998-03-20
PCT/US1999/005764 WO1999046985A1 (en) 1998-03-20 1999-03-16 Solid fungic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886A true KR20010041886A (ko) 2001-05-25

Family

ID=1349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185A KR20010041886A (ko) 1998-03-20 1999-03-16 고체 항진균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63884A1 (ko)
JP (2) JPH11293281A (ko)
KR (1) KR20010041886A (ko)
CN (1) CN1293539A (ko)
AU (1) AU3007799A (ko)
BR (1) BR9908937A (ko)
WO (1) WO19990469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4011256A (es) * 2002-05-22 2005-02-17 Kurita Water Ind Ltd Composicion para la prevencion de fango y metodo para evitar el fango.
KR101369397B1 (ko) * 2012-11-09 2014-03-06 동아교재 주식회사 투명 고형상 오염 제거제
JP6401573B2 (ja) * 2014-10-23 2018-10-10 オルガノ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2102A (en) * 1980-07-11 1982-02-05 Daimaru Kogyo Kk Composition for evolving chlorine dioxide and body packing it
JPH06192685A (ja) * 1992-03-25 1994-07-12 Lion Corp 透明ジェル状組成物
CA2127936C (en) * 1993-07-27 2006-09-12 Aram Garabedian Jr. Gelled hypochlorite-based cleaner
EP0651051A3 (en) * 1993-10-29 1996-02-28 Clorox Co Hypochlorite based gel cleaner.
DE19501744A1 (de) * 1995-01-23 1996-07-25 Solvay Interox Gmbh Oxidierende schichtbildende Zusammensetz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908937A (pt) 2005-10-25
JP2002506793A (ja) 2002-03-05
CN1293539A (zh) 2001-05-02
JPH11293281A (ja) 1999-10-26
AU3007799A (en) 1999-10-11
EP1063884A1 (en) 2001-01-03
WO1999046985A1 (en) 199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200532B1 (pl) Wodna kompozycja czyszcząca do twardych powierzchni
US3681141A (en) Process for cleaning hard surfaces
KR100736639B1 (ko) 세정액 및 세정 방법
JP2001504880A (ja) 過酸化水素を含んで成る漂白組成物に関する改良
US5019288A (en) Cleaning composition for copper and copper alloy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U734077B2 (en) Hypochlorite bleaching compositions and delivery systems therefor
US5885954A (en) Stain remover for textured walls and ceilings
KR20010041886A (ko) 고체 항진균제
JPH0229118B2 (ja) Hatsuhoseikohyomensenjozaisoseibutsu
US7521409B2 (en) Mold removal and cleaning solution
US6297208B1 (en) Rust stain removal formula
JPH0353359B2 (ko)
MXPA00008879A (en) Solid fungicide
US4367155A (en) Low-residue brigh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them
DE2005507A1 (de) Mittel zur Entfernung von Metalloxiden und Kesselstein
WO2001018167A1 (fr) Composition de blanchiment
JP2001192700A (ja) 漂白剤組成物
KR102444975B1 (ko) 찌든때 제거용 세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S60146807A (ja) 殺カビ剤
JP2000247802A (ja) 固形カビとり剤
EP0737737B1 (en) Method for cleaning surfaces
JP4223141B2 (ja) コンクリート表面の処理方法
KR100860822B1 (ko) 살균, 소독력을 갖는 오염물질 제거용 부착제
KR910005992B1 (ko) 음향 재료 세척용 조성물
US6190419B1 (en) Method of washing garments utilizing fluoric ac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