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727A - 광각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각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727A
KR20010041727A KR1020007009959A KR20007009959A KR20010041727A KR 20010041727 A KR20010041727 A KR 20010041727A KR 1020007009959 A KR1020007009959 A KR 1020007009959A KR 20007009959 A KR20007009959 A KR 20007009959A KR 20010041727 A KR20010041727 A KR 2001004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rism
image display
retroreflective
imag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가오카요시유키
나카지마도시타카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5664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25599B2/ja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2001004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7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Abstract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이미지화 엘리먼트를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표면 상에 다수의 병렬 프리즘이 배치된 광투과성 프리즘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프리즘 시트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이미지화 엘리먼트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 형태로 형성된다. 일부 경우, 프리즘 시트 자체가 표시 형태로 형성된다. 다른 경우에,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배치되며, 표시의 형태로 형성된 광투과성 착색층을 포함한다. 후자의 경우에, 프리즘 시트는 표시가 형성되는 착색층을 매칭하기 이전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전체의 재귀반사성 시트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정지 광원이 부가될 수 있으며, 뷰잉 평면의 이미지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도록 적절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광각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시스템{WIDE ANGLE IMAGE-DISPLAYING SHEET AND SYSTEM}
도로 표시판, 광고 게시판 등의 이미지 디스플레이용 부재로서 그 위에 이미지를 갖는 재귀반사성 시트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재귀반사성 시트는 구슬 종류 또는 큐브 코너 종류 중 하나이다. 구슬형 시트는 반사성 코팅과 관련하여 유리 또는 다른 투명 재료로 구성된 소형 구슬을 이용한다. 큐브 코너 시트는 서로 거의 수직인 3개 면이 하나의 세트로 배열된 다수의 소형 반사면을 갖는 미세 복제된 구조화 표면(microreplicated structured surface)을 이용하며, 이러한 3개 면이 하나의 세트인 이들 세트 각각을 큐브 코너 엘리먼트라 한다. 일부 포장 도로 마커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재귀반사성 시트는 통상적으로 약 제로(0)의 입사각에 대하여, 즉 시트에 수직인 축을 따라 배치된 광원에 대하여 최대의 재귀반사 휘도를 갖도록 설계된다. 이때, 재귀반사 휘도는 입사각이 일정치를 초과할 경우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종래의 방법, 즉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front surface) 중 선택된 부분에 착색된 층 또는 다르게 착색된 층을 제공하여 표시를 형성함으로써, 재귀반사성 시트에 이미지를 형성할 경우, 비교적 높은 입사각의 광에 의한 광도에 의해 이미지의 가시성이 저하한다. 그래서, 이미지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능한 광원의 입사각의 범위를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의하여, 광원은 표시판을 도로 표시판의 기호 표면(이미지화 표면)의 엣지 근처에 배치되어 기호를 조명하도록 기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어셈블리하기가 어렵게 된다.
시트의 전면을 평평하지 않고 울퉁불퉁하게 함으로써 높은 입사각에서 재귀반사성 시트의 재귀반사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가 있어 왔다. 그 예는 JP-A-53-46363(구와타 등), JP-A-53-46371(구와타 등), JP-A-55-65224(오모리 등), JP-A-57-10102(이즈타니), JP-A-57-193352(세키 등), JP-Y-62-41804(오쿠노 등), 미국 특허 제 4,605,461(오기) 및 제4,758,469(레인지), PCT 공개 WO97/01677(베이컨 등) 및 WO97/01678(브러드서)에 개시되어 있다. 표면의 울퉁불퉁함은 높은 입사각에서의 재귀반사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울퉁불퉁한 전면에 가시성 좋게 이미지를 형성하기가 어렵다. 또한, 거의 제로(0) 입사각에서의 재귀반사 휘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 특허 제5,657,162호(닐센 등)는 큐브 코너 프리즘 반사기, 프리즘 표면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 반사 코팅, 프리즘 표면의 레스트와 접촉하는 착색 접착층으로 구성된 재귀반사성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만일 비금속제 표면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구성된 경우, 접착층은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의 평평한 측에서부터 이미지 영역이 가시적으로 형성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비록 이미지 영역 이외의 영역이 비교적 낮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는 광에 대한 이미지 영역 보다 더 높은 휘도로 보여질 수 있지만, 확산되어 반사될뿐 이미지 영역의 가시성을 증가시키기는 어렵다.
재귀반사성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예를 들면, 표시판용 시트)는 공지되어 있으며, 제1 재귀반사성 시트는 배경(background)을 형성하고 제2 재귀반사성 시트는 이미지, 즉 표시 영역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726,134호(월트만) 및 제5,050,327호(월트만)을 참고하자. 하나는 배경용이고, 또 하나는 이미지 부분용인 서로 다른 타입의 2개 시트는 입사각의 함수에 따라 상이한 재귀반사 휘도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시성은 단지 하나의 재귀반사성 시트만을 사용할 때보다 더 넓은 입사각 범위에서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입사각에서 양 타입의 시트의 한정으로 인해, 휘도는 비교적 높은 입사각 범위(예를 들면, 70。 이상)로 증가될 수 없어, 가시성은 이러한 높은 입사각 범위에서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 특허 제4,025,159호(맥그래스)는 복합 큐브 코너/노출 구슬 렌즈 제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복합 제품은 단순한 큐브 코너 시트의 재귀반사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큰 입사각에서 재귀반사성 성능을 향상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평탄한 전면은 상술한 종래의 방법에 의한 이미지층의 형성시에 형성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는 시트의 전면 전체를 가로지르는 휘도를 증가시키고, 뷰잉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강화시키기 위해 이미지부(즉, 문자, 도안, 문자 또는 도안의 영역과 같은 표시)의 재귀반사 휘도와 배경의 재귀반사 휘도 사이에 실질적인 콘트라스트 차가 형성되어, 이미지의 가시성을 향상시키지 못한다,
상술한 맥그래스 시트가 월트만에 의한 특허 제4,726,134호와 같은 구성에서 표시용으로만 사용될 경우,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는 증가될 수 있지만, 높은 입사각 범위에서 상당한 휘도를 달성하기란 여전히 어렵다.
표시부와 배경부간에 양호한 콘트라스트를 갖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시스템용 재귀반사성 시트 기술에서, 높은 입사각(통상 적어도 70。 이상)에서 재귀반사 휘도의 두드러진 감소를 피해야 하고, 이러한 높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는 광에 대한 이미지의 가시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표시판 등에 사용되어 표시(indicia) 형태로 정보를 전달하는 시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재귀반사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에 대한 안내는 명세서의 끝부분에 용어 해설란을 참고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시스템에 관한 일례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의 전면도이다.
도 3a∼도 3e는 다양하게 기재된 실시예에 대한 도 2의 선 3-3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시트 구성에 대하여 입사각 함수에 관하여 재귀반사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편의를 위해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재귀반사성 시트와, 이 시트의 전면에 배치되는 이미지화 엘리먼트(imaging element)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가 기재되고 있다.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표면 상에 다수의 병렬 프리즘(parallel prism)이 배치된 광투과성 프리즘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프리즘 시트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중요한 것은, 이미지화 엘리먼트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 형태로 형성되는 것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프리즘 시트 자체가 표시 형태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배치되며 표시 형태로 형성되는 광투과성 착색층을 포함한다. 후자의 경우에, 프리즘 시트는 표시가 형성되는 착색층을 정합하기 전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전체 재귀반사성 시트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 시트에서 통상적으로 다수의 병렬 프리즘이 배치된 표면의 반대편 표면은 평탄하다. 프리즘 시트의 평탄한 표면 또는 프리즘 표면 중 하나는 접착층과 접촉한다.
또한, 상술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미지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도록 배치된 정지 광원을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표시부와 배경부간의 콘트라스트를 강화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광원의 배치 범위는 프리즘 시트의 방향에 좌우된다.
도 1은 도로(10)의 투시도이며,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12)는 도로(10)를 따라 이동하는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된다. 시트(12)는 딱딱한 이판(裏板)에 장착되어 표시판을 형성한다. 또한, 시트(12)는 적절하게 배치된 정지 광원(14)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2a)의 일부이다.
헤드램프를 갖춘 자동차로 이동하는 관찰자는 멀리에서부터 표시판에 근접하면서 처음에는 시트에 수직인 기준축(16)과 휘도축(18)간의 작은 입사각 β1을 갖는 위치(P1)에서 시트를 볼 수 있게 된다. (관찰자가 자동차 헤드램프에 아주 근접하여 있기 때문에 도 1에는 어떠한 별개의 관찰축도 도시되어 있지 않다, 관찰각은 통상 1。보다 작으며, 0.2。로 취해진다.) 그 후에, 관찰자는 기준축(16)과 새로운 휘도축(20)간에 적어도 70。이상의 큰 입사각 β2를 갖는 위치(P2)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시트(12)는 작은 입사각과 큰 입사각에서 재귀반사 휘도가 양호하게 나타나고, 상기 위치에서 이미지를 형성하는 시트의 표시와 배경 사이에 양호한 콘트라스트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12)는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시트(12)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표시(22)를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Curve Ahead, Slow Down"이라는 말이 사용되어 있지만, 그래픽, 기호 등으로 할 수 있다. 표시(22)는 레전드축(legend axis)(24)을 따라 시트(12)에 정렬된다. 의도된 목적 사용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시트는 레젠드축(24)이 관찰자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을 갖도록 장착된다. 표시는 시트(12)의 배경부(26)와는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22) 및 배경(26) 모두는 적어도 일정한 입사각 범위에서 재귀반사성을 갖는다.
시트(12)는 평탄한 전면과 그 전면에 배치된 이미지화 엘리먼트를 갖는 재귀반사성 시트를 포함한다. 높은 입삭각에서 재귀반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표면에 다수의 병렬 프리즘이 배치된 광투과성 프리즘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그 프리즘 시트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광투과성 착색층을 포함하기도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는 이하에서 논의된다. 그러나, 각 실시예에서 적어도 이미지화 엘리먼트의 일부는 표시 형태로 형성된다.
도 3a∼도 3e는 다양하게 기재된 실시예에 대하여 도 2의 선 3-3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 재귀반사성 시트(28)는 구슬 종류(커버 시트가 구슬의 상부와 에어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캡슐형 노출 렌즈 구성 및 구슬의 상부가 중합체층에 개재된 개재형 랜즈 구성을 포함함)이거나 또는 큐브 코너 종류(큐브 코너 엘리먼트에 에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 및 큐브 코너 엘리먼트를 금속 증기 증착 코팅한 구성을 포함함)인 임의 종래의 재귀반사성 시트 재료를 포함한다. 시트(28)는 그 위에 프린팅, 코팅, 또는 본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비교적 평탄한 전면(29)을 갖는다. 도 3a∼도 3e에서 차이는 사용되는 이미지화 엘리먼트의 특정 종류가 다르다는 것이다.
도 3a의 실시예에서,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광투과성 프리즘 시트(30) 및 접착층(32)으로 구성된다. 시트(30)는 도 2에 도시된 축(25)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병렬 프리즘이 배치된 프리즘 표면(31)을 갖는다. 축(25)은 축(24)과 수직이고, "뷰잉 평면", 즉 관찰자가 통상 위치될거라고 예상되는 평면과도 수직이다(도 1에서, 기준축(16)을 포함하고 도로(10)와 평행인 평면을 뷰잉 평면으로 간주함). 프리즘 시트(30)는 뷰잉 평면에 입사하는 광빔 뷰잉 평면에서의 방향(또는, 뷰잉 평면에 입사하지 않는 광빔에 대하여 뷰잉 평면에서 상기 광빔의 성분)을 변경하는 효과를 가진다. 소정의 방향으로부터의 광빔이 시트에 입사할 경우, 시트(30)에 충돌하는 광빔의 일부는 굴곡되어, 시트(28)에 의해 재귀반사되어, 다시 굴곡되어 광원으로 되돌아온다. 배경부(26)에 충돌하는 입사광의 일부는 단순히 광원쪽으로 향하여 다시 시트(28)에 의해 재귀반사된다.
시트(30)는 낮은 입사각의 광을 높은 입사각의 광으로 변환하는 효과와, 그와 반대의 효과를 갖는다. 시트(28)가 입사각의 함수에 따라 변화하는 재귀반사 휘도를 가지므로, 이러한 특성의 프리즘 시트(30)는 프리즘 시트(30)에 의해 커버링되는 시트(28)의 일부의 감지되는 재귀반사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적어도 낮은 입사각과 높은 입사각에서 시트의 배경부(26)와 표시부(22)간의 양호한 콘트라스트에 의해 이미지를 명확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예로서, 기준축(16)에 평행하게 입사하는 광빔은 대부분의 재귀반사성 시트(28)에 대하여 배경부(26)에 의해 최대 재귀반사 휘도로 광원으로 되돌아온다. 그러나, 표시(22)에 충돌하는 제로 입사각의 광빔의 일부는 높은 입사각으로 시트(28)에 충돌하기 때문에 훨씬 낮은 재귀반사 휘도로 광원으로 되돌아온다.
도 3a의 실시예에서 접착층(32)은 비연속적이며, 중앙 부분은 개방 공간으로 두고 표시(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협폭의 스트립을 포함한다. 접착층(32)은 중앙 부분만을 제외한 대체로 전체 표시(22)가 재귀반사성이 되도록 투명한 것이 좋다.
도 3b는 접착층(32)이 연속적인 점, 즉 프리즘 시트(30)와 동일한 공간에 걸쳐 계속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a와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접착층이 충분히 투명하는 한, 도 3b의 실시예는 도 3a의 개방 공간과 관련된 2곳의 에어 인터페이스를 제거함으로써 표시(22)의 밝기를 약간 향상시킨다.
또한, 도 3c는 프리즘 표면(31)이 시트(28)에 대하여 아래로 향하도록 프리즘 필름(30)이 뒤집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 3a와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프리즘 표면(31)의 반대편의 평평한 표면은 위로 향한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프리즘 표면(31)이 먼지, 마모 및 다른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프리즘 필름(30)은 또한 표시(22)와 배경부(26)간의 콘트라스트가 양호하게 되도록 입사광을 굴곡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2가지의 상이한 방향의 필름(30)의 동작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의 프리즘-사이드-업 방향은 거의 90。의 입사각(예를 들면, 87。)으로 입사하는 광을 도 3c의 프리즘-사이드-다운 방향 보다 더 잘 투과시킨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프리즘 형태의 상세 및 에어 인터페이스의 존재에 따라, 프리즘-사이드-다운 방향은 제로 입사광으로 하여금 시트(28)에 투과되기보다는 표면(31)으로부터 직접 재귀반사되게 한다.
도 3d는 접착층(32)이 규칙적인 어레이의 개방 공간(34)을 형성하도록 비연속적일뿐만 아니라 규칙적인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c와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패턴은 수직 뷰잉 거리 및 조건에서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비연속적인 접착층에 대하여, 전면(29)과 프리즘 필름(30)간에 접착되는 영역은 통상 30 내지 80%이다. 그래서, 개방 공간(34)은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프리즘 시트(30) 영역의 통상 약 20 내지 70%를 차지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에서, 프리즘 시트 형태 자체가 이미지를 나타낸다. 낮은 입사각의 범위에서 배경은 밝게 되고,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비교적 어둡게 된다. 거의 89。의 높은 입사각 범위에서,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밝게 되고, 배경은 비교적 어둡게 된다. 시트의 재귀반사성은 낮은 입사각 및 높은 입사각에서 유지되며, 이미지는 배경와의 양호한 콘트라스트로 인해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다. 배경의 밝기 및 이미지화 엘리먼트의 밝기가 비교 가능한 중간 범위의 입사각이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중간 범위에서, 재귀반사 휘도의 차에 의한 콘트라스트가 저하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간 입사각 범위에서 이미지화 엘리먼트와 배경부 모두가 비교적 높은 재귀반사 휘도를 가져, 비록 배경와의 콘트라스트가 양호하지는 않아도 이미지가 눈에 보이도록 적절한 재귀반사성 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e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표면(3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된 프리즘 표면(37)을 갖는 프리즘 필름(36)(상술된 필름(30)과 유사함), 연속적인 접착층(38)(도 3b에 도시된 연속적인 접착층(32)과 유사함) 및 표시(22) 형태로 형성된 광투과성 착색층(40)으로 구성된다. 착색층(40)은 예를 들면, 종래의 광투과성 잉크로 문자 그룹과 같은 이미지를 프린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프리즘 시트(36)는 표시부(22)와 배경부(26) 모두를 커버하도록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시트(36)는 광 굴곡 능력에 의해 높은 입사각(통상 적어도 70。이상)에 대하여 표시부(22)와 배경부(26) 모두에 대한 재귀반사 휘도를 동일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이미지의 가시성을 향상시킨다. 비록 종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와 비교했을 때 표시(22)와 배경(26) 모두에 대한 재귀반사 휘도가 감소하여 이미지의 가시성이 감소되지만, 낮은 입사각에서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원하는 경우에는 전체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12)를 프리즘 시트(36)로 커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시트(36)는 시트(12)만을 커버할 수 있고, 프리즘 시트(36)에 의해 커버되는 이미지 부분과 커버되지 않은 배경부 사이에 콘트라스트 효과를 나타내도록 표시(22)와는 다른 형태(예를 들면, 직사각형, 원, 또는 타원)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프리즘 시트(36)는 착색층(40)과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절단될 수 있다(다르게 말하면, 착색층(40)은 도 3b의 실시예에 부가될 수 있다). 최종 언급된 실시예에서, 다시 낮은 입사각에서 이미지와 배경 사이에 양호한 콘트라스트를 나타낸다. 또한, 착색된 표시의 존재로 인해 중간 입사각에서 조차 이미지의 가시성이 양호하게 나타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임의의 2개(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동일한 재귀반사성 시트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가 동일한 재귀반사성 시트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2개의 이미지화 엘리먼트로 구성된 이미지를 가질 경우, 소망의 입사각 조건 하에서 그들 중 하나만이 명확하게 보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이한 반사 특성을 갖는 프리즘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시트와 관련된 하나의 표시 세트는 낮은 입사각 범위에서 높은 휘도로 보여질 수 있는 반면에, 나머지 시트와 관련된 나머지 표시 세트는 높은 입사각 범위에서 높은 휘도로 보여질 수 있다. 상이한 반사 특성을 갖는 프리즘 시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시트를 뒤집는 단계(하나의 프리즘 표면은 위를 향하고, 하나는 아래를 향함) 또는 병렬 프리즘의 형태, 크기, 또는 거리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로서, 복합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제1 이미지화 엘리먼트를 재귀반사성 시트의 동일한 전면 상에서 프리즘 표면이 위로 향하고 있는 프리즘 시트로 하고, 제2 이미지화 엘리먼트를 프리즘 표면이 아래를 향하고 있는 프리즘 시트로 함으로써 어셈블리될 수 있다. 제1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0∼10。 및 70。이상의 입사각에 대하여 제2 이미지화 엘리먼트보다 더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고, 제2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약 25 내지 65。의 입사각에 대하여 더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다. 또한, 광원은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도록 부가될 수 있다.
논의(Discussion)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프리즘 시트는 한쪽의 평평한 표면과, 이 표면의 반대편에 다수의 병렬 프리즘이 배치된 표면을 구비한 시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트는 통상 광투과성 중합체로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각 프리즘은 형태가 삼각형이며, 삼각형의 밑변은 프리즘 표면과 대향하는 프리즘 시트의 평평한 표면에 평행이다. 도 3a 내지 도 3e의 실시예에서, 각 삼각형의 밑변은 프리즘 및 프리즘 시트의 나머지 부분이 단일 부재를 형성하기 때문에 가시적이지 못하다.
병렬 삼각형 프리즘에 대하여, 상술한 삼각형의 밑변 이외의 2개 측면은 통상 약 7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의 끼인각(included angle)을 가진다. 이 끼인각의 범위에서, 높은 입사각 성능이 양호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프리즘 시트의 일례는 광학적 조명 필름(optical lighting film), 조명 지정 필름, 밝기 강화 필름 등으로 공지되어 있는 광학적 필름이다. 많은 이러한 필름들은 상품명 "SOLF", "TRAF", "BEF"로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3M) 컴패니에 의해서 시판되어 왔다.
삼각형 이외의 횡단면의 프리즘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프리즘은 한 모서리가 라우딩(rounding)된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프리즘의 한 측면이 직선이라기 보다는 아크 또는 타원형 아크일 수 있다. 그러나, "병렬 프리즘"은 통상적으로 병렬 홈이 상호 교차하는 3개 세트로 형성된 종래의 큐브 코너 프리즘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프리즘 표면에서, 프리즘 피치(즉, 이웃하는 프리즘의 꼭지점간의 거리)는 통상 약 20 내지 1000마이크로미터이고, 프리즘의 높이(즉, 프리즘 꼭지점에서 프리즘 밑변까지의 거리)는 통상 약 20 내지 3000마이크로미터이다. 프리즘 시트의 두께(가장 높은 프리즘 꼭지점에서 평평한 면까지의 거리)는 통상 약 0.1 내지 약 3밀리미터이다.
다양한 종류의 상이한 접착체를 접착층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유용한 것은 두께가 1 내지 200마이크로미터인 아크릴 접착제이다.
접착제는 소망의 가시적 또는 기계적 특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낮 동안 또는 어스름할 때 이미지의 가시성을 향상하도록 하나 이상의 형광성 염료를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염료로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가 외부에서 사용될 때 풍화 작용에 대한 저항력이 좋아 이미지의 변색을 방지하기 때문에 페릴린 타입 형광성 염료가 좋다. 형광성 염료의 사용량은 통상 접착제의 부품당 100wt를 기준으로 하여 부품당 0.1 내지 5wt이다. 형광성 염료의 양이 너무 작은 경우, 이미지의 가시성은 불충한 칼라 현상으로 나빠진다. 양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접착제와 염료와의 양립성 또는 접착제의 용해가 감소하고, 시트의 외관이 손상되기 쉽다.
통상적으로, 접착제는 광의 적어도 60% 이상을 투과시킨다. 그러나, 접착제는 비연속적, 즉 재귀반사성 시트 또는 착색층의 일부에만 접착되는 경우 불투명일 수 있다.
착색층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통상 3 내지 90%의 광투과율을 갖는 종래의 광투과성 잉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계에서, 광투광율은 550나노미터 또는 원하는 경우에는 어떤 다른 디자인 파장의 광을 사용하는 적절하게 구성된 분광 광도계로 측정되는 광학적 투과율을 의미한다. 광투과성 잉크는 결합제 및 착색제를 포함한다. 결합제의 일례로는 아크릴 수지,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등이 있다. 착색제의 일례로는 무기 염료,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등과 같은 수지에 분산된 염료로 구성된 가공 처리된 염료, 형광성 염료와 같은 염료 등이 있다.
착색층은 스크린 프린팅, 그라비어 프린팅 등과 같은 종래의 프린팅 방법, 또는 롤 코팅, 바 코팅 등과 같은 종래의 코팅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착색층은 원하는 형태로 절단된 광투과성 착색 접착 시트를 접착하고, 또 그것을 재귀반사성 시트의 표면에 접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착색층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약 1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이다. 착색층이 프리즘 시트로 커버링되는 실시예에서, 시트가 외부에서 사용되어도 착색층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가 바람, 비 등과 같은 환경 요인 때문에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미지화 엘리먼트 형성시, 많은 실시예에서 접착층을 갖는 프리즘 시트가 제공되어,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접착된다. 접착층을 갖는 프리즘 시트는, 분리기(릴리이스 페이퍼)에 접착성 용액을 코팅하고,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건조되고, 그 접착층에 프리즘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착층은 재귀바산성 시트의 전면에 형성되며, 프리즘 시트는 그 접착층에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모든 이미지화 엘리먼트의 평면 크기는 한정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문자의 그룹 또는 열이 이미지로서 사용되는 경우, 각 문자의 평면 크기는 평방 10cm×10cm 내지 1m×1m 일 수 있다. 기호, 그림, 또는 그래픽은 동일한 평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Image-Displaying System)
상술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구성에 대하여, 관찰자가 수반되는 광원에 가까이 위치되고, 관찰자 및 광원이 동일하게 이동한다는 것을 내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관찰자는 자동차의 운전자일 수 있고, 광원은 자동차의 헤드램프일 수 있다. 어느 한쪽의 경우에,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에서 보았을 때 관찰자와 광원간의 각거리는 여전히 작다.
놀랍게도, 적절하게 배치된 정지 광원을 적절하게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에 대한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는 관찰자가 정지 광원과 시트간의 휘도축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정지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대부분이 그 광원으로 되돌아가거나, 또는 바로 인접한 곳으로 되돌아간다고 알고 있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원의 타입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조건하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의 표면을 조명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스포트라이트 또는 서치라이트와 같은 투광 조명등을 구비한 조명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하게 장착된 자동차 헤드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광 방사 부재는 백열 램프, 할로겐 램프, 형광 램프,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 크세논 램프, 나트륨 램프 등을 포함한다. 정지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에서 측정되는 약 10 내지 400럭스의 휘도 세기를 제공한다. 광원과 시트간의 거리는 통상 약 3 내지 5미터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25미터이다.
정지 광원은 상술된 뷰잉 평면에 가깝게, 바람직하게는 그 평면의 한쪽 측면에서 약 20。내에 배치된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입사각은 약 10 내지 90。이다. 이러한 각도 제한 내에서, 이미지의 가시성은 뷰잉 평면 내에 또는 근처에 있는 관찰자에 대하여 향상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리즘 표면이 위로 향하는 프리즘 시트를 이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3a, 도 3b, 도 3e에서, 입사각은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80。이다. 이러한 범위에서, 이미지(표시(22))와 배경부(26)간의 콘트라스트가 특히 용이하게 증가될 수 있다. 이것은 이미지와 배경간에 인식되는 콘트라스트가 낮은 상술된 영역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프리즘 표면이 아래로(재귀반사성 시트쪽) 향하는 프리즘 시트를 이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3c 및 도 3d에서, 입사각은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87。이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각도 범위는 높은 밝기로 보여지는 이미지와, 배경에 있어서 높은 콘트라스트를 산출한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도로 표시판, 광고 게시판,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굽어진 난간 또는 터널에서 안내 표시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가 도로 측면에 세워 놓은 도로 표시판 또는 안내 표시판으로 사용되는 경우, 프리즘 시트는 도로면과 대체로 수직인 프리즘축을 따라 프리즘이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몇몇 실시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입증하도록 구성된다. 표 1은 각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재귀반사성 시트의 타입을 요약한 것이다. 표 2는 사용되는 이미지화 엘리먼트의 구성에 대한 상세를 요약한 것이다.
재귀 반사성 시트 부분
실시예 구슬형, 폐쇄형 렌즈(3M 타입 580-10) 구슬형, 캡슐형 렌즈(3M 타입 3870) 큐브 코너(3M 타입 3990)
기준(A&B) X
1,2 X
3 X
4 X
5,6 X
7 X
8 X
9(A&B) X
10(A&B) X
11(A&B) X
12(A&B) X
13(A&B) X
14(A&B) X
15,16,17(A&B) X
기준 실시예 기준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재귀반사성 시트에 배치된다. 이미지화 엘리먼트("A")는 4개의 이중 코팅된 접착 테이프(3M 컴패니로부터 입수 가능한 VHB 타입, 두께는 1.0밀리미터, 폭은 25밀리미터)를 프리즘 시트의 평방 15cm×15cm의 평평한 표면의 각 4개 코너에 접착시킴으로써 제공된다. 다른 이미지화 엘리먼트("B")는 프리즘 시트의 평방 15cm×15cm의 또다른 프리즘 표면의 각 4개 코너에 동일 개수의 동일 타입의 테이프를 접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그런 다음, 2개의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축을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2개의 이미지화 엘리먼트를 접착한다. 두께가 40마이크로미터인 접착층은 약85%의 광투과율을 갖는다.
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는 3M 컴패니에 의해 한때 제공되었던 "SOLF"[스코치(Scotch)(상표명) 광학 조명 필름]로 공지된 타입이다. 프리즘 표면상의 각 프리즘은 2개의 노출면 사이에 약 90。의 끼인각을 가지며, 프리즘 피치는 약 360마이크로미터이다.
기준 실시예에 있어서, 재귀반사 휘도는 JIS Z 9117 방법에 따라,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0 내지 90。 내에서 변화하는 입사각으로 시료에 입사하는 광을 이용하여, 배경부[즉, 재귀반사성 시트부가 이미지화 엘리먼트(A 또는 B)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이미지화 엘리먼트(A)에 대하여, 이미지화 엘리먼트(B)에 대하여 측정된다. 검파기는 0.2。의 일정 관찰각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결과들은 도 4에 도시되며, 배경부에 대한 데이터는 정사각형으로 좌표에 기입되고, 이미지화 엘리먼트(A)에 대한 데이터는 삼각형으로 좌표에 기입되고, 이미지화 엘리먼트(B)에 대한 데이터는 원으로 좌표에 기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화 엘리먼트(A 및 B) 모두는 높은 입사각에서만 재귀바사성 시트 보다 더 높은 재귀반사 휘도를 가진다. 또한, 입사각에 대한 재귀반사 휘도의 종속성은 이미지화 엘리먼트(A 및 B)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실시예 1 프리즘 시트는 "Curve Ahead, Slow Down"에 대하여 일본어 문자 형태의 표시를 얻도록 절단된다. 접착제는 부품당 99.375wt의 조성물의 접착 중합체 및 부품당 0.625wt의 비스아미드 가교체(bisamide crosslinking agent)를 실리콘 처리된 릴리이스 페이퍼에 코팅하고, 약 80℃로 그 조성물을 건조시킴으로써 제공되어, 연속적인 접착층을 형성하게 된다. 접착층에 프리즘 시트가 적층될 때, 그 프리즘 시트의 평평한 표면은 약 1.5㎏/㎠의 압력으로 접착제와 접촉한다. 이러한 층형의 혼합물은 "Curve Ahead, Slow Down"에 대하여 일본어 문자의 형태의 표시를 얻도록 절단된다. 릴리이스 페이퍼는 제거되며, 표시는 병렬로 정렬된 모든 문자의 프리즘축을 갖는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가해진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투광 조명을 결합하여 어셈블리되어, 외부에 배치된다. 시트는 프리즘축이 수직으로 상향을 향하게 하도록 그라운드에 대하여 수직으로 장착된다. 이미지 "Curve Ahead, Slow Down"는 0 내지 약 90。의 입사각을 서서히 변화시키는 투광 조명등으로 밤에 조명되며, 약 0.2。의 일정한 관찰각에서 관찰된다. 이미지는 전체 입사각 범위에서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으며,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특히, 약 70。 이상의 입사각의 범위에서, 문자의 휘도는 재귀반사성 시트의 배경부보다 더 높으며, 문자는 뚜렷이 판독된다. 사용되는 투광 조명등은 자동차 헤드램프이며, 광원으로부터 시트까지의 거리는 측정되는 모든 입사각에 대하여 약 10미터로 유지된다.
비교를 위해, 어떠한 프리즘 시트도 사용하지 않는 동일 타입의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동일 문자를 프린팅하고, 동일 조건하에서 관찰한다. 이러한 경우에, 재귀반사 휘도가 약70。 이상의 입사각에서 감소되어, 종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의 경우처럼 문자를 판독하기가 어렵다.
실시예 2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부품당 0.500wt의 적색 형광성 염료(BASF로부터 입수 가능한 LUMOGEN Red 300)가 접착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시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형태로 관찰된다. 이미지의 가시성은 "양호하게"로 평가된다. 특히, 약 70。 이상의 입사각에서, 문자의 재귀반사 휘도는 배경부보다 더 높으며, 문자는 뚜렷이 판독된다. 또한, 접착제가 형광성 염료에 함유되기 때문에 이미지의 가시성은 낮 동안과 어스름할 때 양호하다.
실시예 3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상이한 타입의 재귀반사성 시트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이미지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약 70。 이상의 입사각에서, 문자의 재귀반사 휘도는 배경부보다 더 높으며, 문자는 뚜렷이 판독된다.
실시예 4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상이한 타입의 재귀반사성 시트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이미지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약 65。 이상의 입사각에서, 문자의 재귀반사 휘도는 배경부보다 더 높으며, 문자는 뚜렷이 판독된다.
실시예 5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이미지화 엘리먼트가 비연속 접착층 및 재귀반사성 시트에 대하여 아래로 향하고 있는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표면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이웃하는 부재에 대한 접착제의 부분 접착은, 다수의 6변형(각 변의 길이가 약 3밀리미터임)의 접착제로 구성된 벌집 모양 구조의 접착층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며,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의 실크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층의 두께가 약 20마이크로미터이고, 6변형의 각 변의 폭이 약 40마이크로미터이다. 접착층은 표시가 형성되는 프리즘 시트가 재귀반사성 시트에 인가될 때까지 릴리이스 페이퍼로 커버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점검해 볼 때, 이미지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특히, 약 40。 내지 80。의 입사각 범위에서, 문자의 재귀반사 휘도는 배경부보다 더 높으며, 문자는 뚜렷이 판독된다.
실시예 6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실시예 2의 접착제 조성물이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밤동안에, 낮동안에 그리고 어스름할 때 이미지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특히, 약 40。 내지 80。의 입사각 범위에서, 문자의 재귀반사 휘도는 배경부 보다 더 높으며, 문자는 뚜렷이 판독된다.
실시예 7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상이한 타입의 재귀반사성 시트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이미지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약 60。 내지 85。의 입사각에서, 문자의 재귀반사 휘도는 배경 보다 더 높으며, 문자는 뚜렷이 판독된다.
실시예 8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상이한 타입의 재귀반사성 시트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이미지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약 50。 내지 90。의 입사각 범위에서, 문자의 재귀반사 휘도는 배경부 보다 더 높으며, 문자는 뚜렷이 판독된다.
실시예 9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문자 "SLOW DOWN"이 실시예 5의 이미지화 엘리먼트 구성(아래로 향하고 있는 프리즘 표면)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는 문자 "CURVE AHEAD"는 이미지화 엘리먼트(A)로 하고, 문자 "SLOW DOWN"이 이미지화 엘리먼트(B)로 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이미지(이미지화 엘리먼트(A) 및 이미지화 엘리먼트(B))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문자의 외관은 입사각의 함수에 따라 변화된다. 이미지화 엘리먼트(A)는 0。 내지 약 10。 및 약 75。이상의 입사각 범위에서 이미지화 엘리먼트(B)보다 더 명확하게 보여지며, 이미지화 엘리먼트(B)는 약 25。 내지 약 70。의 입사각 범위에서는 이미지화 엘리먼트(A)보다 더 명확하게 보여진다.
실시예 10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상이한 타입의 재귀반사성 시트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이미지(이미지화 엘리먼트(A) 및 이미지화 엘리먼트(B))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문자의 외관은 실시예 9와 동일한 형태로 입사각에 따라 변화된다.
실시예 11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상이한 타입의 재귀반사성 시트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이미지[이미징 엘리먼트(A) 및 이미지화 엘리먼트(B)]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문자의 외관은 실시예 9와 동일한 형태로 입사각에 따라 변화된다.
실시예 12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CURVE AHEAD, SLOW DOWN"에 대한 일본어 문자로 구성된 착색층은 150 메시 플레이트(mesh plate)를 사용하여 도로 표시판에 대하여 프린팅 잉크(3M 컴패니로부터 입수 가능한 "1000 시리즈" 잉크)로 문자를 스크린 프린팅함으로써 형성된다. 하나의 이미지화 엘리먼트("A"로 지정됨)는 평방 15cm×15cm의 프리즘 시트를 인가함으로써 완성되며, 이 프리즘 시트는 "CURVE AHEAD" 문자 상에서 각 4개 코너에 이중 코팅된 접착 테이프(기준 실시예 참조)를 가진다. 또다른 이미지화 엘리먼트("B"로 지정됨)는 평방 15cm×15cm의 프리즘 시트를 인가함으로써 완성되며, 이 프리즘 시트는 "SLOW DOWN" 문자 상에서 각 4개 코너에 이중 코팅된 접착 테이프(기준 실시예 참조)를 가진다. 접착층은 이미지화 엘리먼트(A)에 관한 프리즘 시트의 평평한 표면과 접촉되고, 이미지화 엘리먼트(B)에 관한 프리즘 표면과 접촉되어, 전자는 재귀반사성 시트로부터 이격되어 대향하고 있는 프리즘 표면을 가지며, 후자는 재귀반사성 시트쪽으로 대향하고 있는 프리즘 표면을 가지게 된다.
통상의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이미지(이미지화 엘리먼트(A) 및 이미지화 엘리먼트(B))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문자의 외관은 입사각에 따라 변화된다.
실시예 13, 14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상이한 타입의 재귀반사성 시트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2가지 모두의 경우 이미지(이미지화 엘리먼트 A) 및 이미지화 엘리먼트(B))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문자의 외관은 실시예 8과 동일한 형태로 입사각에 따라 변화된다.
실시예 15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1) 착색층이 스코치프린트(상표명) 브랜드 컴퓨터 보조 정전 프린팅 시스템(3M 컴패니로부터 입수 가능함)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2)그래픽 디자인이 언어 문자 대신에 사용되고, (3) 실시예 12의 이미지화 엘리먼트(A)의 프리즘 시트 및 접착층 조성물만이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이미지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디자인이 재귀반사성 시트의 평평한 전면에 프린팅되기 때문에 그래픽 디자인의 상세가 잘 보여진다. 또한, 이미지화 엘리먼트의 프리즘 표면이 재귀반사성 시트로부터 이격되어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이 약 70。 이상의 높은 입사각에서 명확하게 보여진다.
실시예 16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실시예 15의 착색층(그래픽 디자인의 형태로 형성됨)이 재귀반사성 시트의 평평한 전면에 형성되고, 실시예 1에서 문자가 형성되는 프리즘 시트가 그 착색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통상의 방법에서 점검해볼 때, 그래픽 디자인은 입사각이 작을 때 문자 보다 더 명확하게 보여지며, 입사각이 클 때(약 60。이상일 때)는 문자만이 보여진다. 그래서, 프리즘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문자는 숨겨진 문자로서 동작된다.
실시예 17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는, 이미지화 엘리먼트(A)가 실시예 1의 표시가 형성되는 프리즘 시트라기 보다는 오히려 15cm×15cm 조각의 프리즘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이 표시가 형성되는 프리즘 시트는 "CURVE AHEAD"에 대해 대응하는 스크린 프린팅된 문자와의 프린팅 정합으로 적층된다. 이미지화 엘리먼트(B)는 실시예 12와 동일하다.
통상의 방법에서 점검해 볼 때, 이미지의 가시성은 "양호하게" 평가된다. 문자의 외관은 입사각에 따라 변화된다.
용어 해설
"기준 마크(Datum Mark)"는 기준축에 대한 방위를 나타내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반사성 물품의 마크(실제 또는 가상 불문)를 의미한다.
"입사각"(β)은 휘도축과 기준축간의 각을 의미한다.
"입사 반평면"은 기준축 상에 생성되고 휘도축을 포함하는 반평면을 의미한다.
"휘도축"은 기준 센터와 휘도원 사이에서 연장하는 선분을 의미한다.
"이미지"는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표시(예를 들면, 언어 문자, 기호, 숫자, 그래픽)를 칭한다.
"관찰각"(α)은 휘도축과 관찰축간의 각을 의미한다.
"관찰축"은 기준 센터와 선택된 관찰점 사이에서 연장하는 선분을 의미한다.
"관찰 반평면"은 휘도축 상에 생성되며 관찰축을 포함하는 반평면을 의미한다.
"관찰각"(ω)은 기준축 상에 생성되며 기준 마크를 포함하는 반평면과 입사 반평면간의 이면각을 의미한다.
"프리젠테이션각"(γ)은 입사 반평면과 관찰 반평면간의 이면각을 의미한다.
"기준축"은 반사성 물품으로부터 이격되어 기준 센터로부터 연장하고, 기준 센터에서 대개 반사성 물품에 수직인 선분을 의미한다.
"기준 센터"는 성능을 명기하기 위해 반사성 물품의 센터에 있도록 지정된 반사성 물품 지점 또는 그 근처 지점을 의미한다.
"재귀반사성"은 비스듬하게 입사하여 들어오는 광이 입사 방향과 역평행 방향으로 또는 입사 방향과 매우 근접하게 반사되어, 광원 또는 그 근처에 있는 관찰자가 반사된 광을 검파할 수 있는 특성을 말한다.
"재귀반사 휘도"는 물품의 겉보기 밝기, 즉 휘도원의 정상 휘도 및 그 물품의 표면 영역에 의해 분배되는 물품의 반사 광도를 칭하며, 칸델라/럭스/평방미터 cd/(lx·㎡) 또는 cd/lx/㎡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가시 스펙트럼 이상의 광에 대하여, 대응하는 양은 복사계라기 보다는 광도계 용어로 표현된다. 재귀반사 휘도는 관찰자가 휘도원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통상 0.2。 관찰각에 있는 것으로 하여 추정한다.
"구조화"는 표면과 함께 사용될 때의 다양한 방향으로 정렬된 별개의 면이 다수개 있는 표면을 의미한다.
비록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태 및 세부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7)

  1. 재귀반사성 시트와, 이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배치되는 이미지화 엘리먼트로 구성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표면상에 다수 개의 병렬 프리즘이 배치된 광투과성 프리즘 시트와;
    상기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에 상기 프리즘 시트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화 엘리먼트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는 표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비연속적이며, 상기 다수의 병렬 프리즘이 배치된 표면과 접촉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는 상기 다수의 병렬 프리즘이 배치된 상기 표면의 반대편 표면이 대체로 평평한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프리즘 시트의 평평한 표면과 접촉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은 대체로 평평한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화 엘리먼트는 광투과성 착색층을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착색층은 표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은 상기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과 접촉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착색층에 상기 프리즘 시트를 접착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도 표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는 상기 착색층과 프린팅 정합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표시는 제1 축과 평행하게 정렬되고, 상기 각 프리즘은 상기 제1 축과는 다른 제2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1 축과 대체로 수직인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14. 제1항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상기 시트를 조명하도록 배치된 정지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프리즘은 프리즘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며, 상기 광원은 상기 프리즘축과 수직인 뷰잉 평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의 표면은 상기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광원은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에 관하여 약 20 내지 약 80。의 입사각으로 배치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의 표면은 상기 재귀반사성 시트의 전면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상기 광원은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에 관하여 약 60 내지 약 90。의 입사각으로 배치되는 것인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007009959A 1998-03-09 1999-03-09 광각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시스템 KR20010041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56643 1998-03-09
JP05664398A JP4225599B2 (ja) 1998-03-09 1998-03-09 イメージ表示シートおよびイメージ表示システム
PCT/US1999/005074 WO1999046616A1 (en) 1998-03-09 1999-03-09 Wide angle image-displaying sheet an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727A true KR20010041727A (ko) 2001-05-25

Family

ID=1303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959A KR20010041727A (ko) 1998-03-09 1999-03-09 광각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62531B1 (ko)
KR (1) KR20010041727A (ko)
CN (1) CN1126961C (ko)
DE (1) DE69908320D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048B1 (ko) * 2011-07-15 2014-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399039B1 (ko) * 2011-04-04 2014-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02814B1 (ko) * 2011-04-04 2014-06-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462254B1 (ko) * 2011-08-01 2014-1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9279546B2 (en) 2011-04-04 2016-03-08 Lg Innotek Co., Ltd. Lighting apparatus
US9863587B2 (en) 2011-07-29 2018-01-09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90016050A (ko) * 2019-02-01 2019-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8147A4 (en) 2008-12-08 2018-0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ve overlay bearing a graphic and retroreflective articles comprising the overlay
JP2012511177A (ja) 2008-12-08 2012-05-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図形を有するプリズム状再帰反射性物品及びその作製方法
DE102014103745B4 (de) 2014-03-19 2019-10-17 Leica Microsystems (Schweiz) Ag Stativfuß für Mikroskope
CN105161025B (zh) * 2015-10-14 2017-08-29 江苏省电力公司盱眙县供电公司 一种带有干燥结构的电力标志牌
CN110749947B (zh) * 2019-10-29 2021-06-01 浙江龙游道明光学有限公司 一种高可视对比度反光膜的制造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7313B2 (en) 2011-04-04 2020-12-29 Lg Innotek Co., Ltd. Lighting apparatus
KR101399039B1 (ko) * 2011-04-04 2014-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02814B1 (ko) * 2011-04-04 2014-06-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9279546B2 (en) 2011-04-04 2016-03-08 Lg Innotek Co., Ltd. Lighting apparatus
US9982849B2 (en) 2011-04-04 2018-05-29 Lg Innotek Co., Ltd. Lighting apparatus
US10139054B2 (en) 2011-04-04 2018-11-27 Lg Innotek Co., Ltd. Lighting apparatus
US11243428B2 (en) 2011-04-04 2022-02-08 Lg Innotek Co., Ltd. Lighting apparatus
US11586069B2 (en) 2011-04-04 2023-02-21 Lg Innotek Co., Ltd. Lighting apparatus
US11754877B2 (en) 2011-04-04 2023-09-12 Lg Innotek Co., Ltd. Lighting apparatus
KR101399048B1 (ko) * 2011-07-15 2014-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9863587B2 (en) 2011-07-29 2018-01-09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62254B1 (ko) * 2011-08-01 2014-1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90016050A (ko) * 2019-02-01 2019-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961C (zh) 2003-11-05
EP1062531B1 (en) 2003-05-28
CN1292880A (zh) 2001-04-25
EP1062531A1 (en) 2000-12-27
DE69908320D1 (de) 200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8069A (en) Wide angle image-displaying sheet and system
JP3455854B2 (ja) 光透過像を有するパネル
US5050327A (en) Retroreflective sign having improved legibility
JP6452815B2 (ja) 画像表示装置
JP6405462B2 (ja) 画像表示装置
JP2840243B2 (ja) 標 識
CA2231334A1 (en) Illuminated sign and sign plate therefor
EP0627090A1 (en) Retroreflective assembly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20010041727A (ko) 광각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시스템
US5818640A (en) Sign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US4215501A (en) Light efficient display device
KR20010024273A (ko) 2중 용도의 반사성 물품
US2882632A (en) Marker material and method
EP0774149B1 (en) Sign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JP5702557B2 (ja) 再帰反射性表示体
JPH07218708A (ja) 夜光再帰反射シート
JP6378941B2 (ja) 情報表示板
KR200351155Y1 (ko) 표지판
JP4948774B2 (ja) 再帰反射性標識体
JPS6128222Y2 (ko)
JP3514307B2 (ja) 夜光再帰反射シート
KR200247220Y1 (ko) 반사적층시트
JP2004021129A (ja) 再帰反射体
CA2242640C (en) Panel with light permeable images
JP2015084102A (ja) 再帰反射性表示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