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155Y1 - 표지판 - Google Patents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155Y1
KR200351155Y1 KR20-2004-0004727U KR20040004727U KR200351155Y1 KR 200351155 Y1 KR200351155 Y1 KR 200351155Y1 KR 20040004727 U KR20040004727 U KR 20040004727U KR 200351155 Y1 KR200351155 Y1 KR 200351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ext
layer
image
imag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국
Original Assignee
손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종국 filed Critical 손종국
Priority to KR20-2004-0004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1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두운 밤에도 소정의 안내 내용이 글자화 된 텍스트 패턴과, 그림, 사진, 캐릭터, 마크 또는 로고화 된 이미지 패턴이 불빛에 의해 보다 선명하면서도 입체적으로 반사되어 보이게 함으로써, 식별력이 향상되게 하는 한편, 표면에 습기차단용 필름이 피복 되게 하여 비가 내릴 때 또는 비가 내린 직후에도 텍스트 패턴과 이미지 패턴의 내용이 선명하고 입체적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지판{omitted}
본 고안은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두운 밤에도 소정의 안내 내용이 글자화 된 텍스트 패턴과, 그림, 사진, 캐릭터, 마크 또는 로고화 된 이미지 패턴이 불빛에 의해 보다 선명하면서도 입체적으로 반사되어 보이게 함으로써, 식별력이 향상되게 하는 한편, 표면에 습기차단용 필름이 피복 되게 하여 비가 내릴 때 또는 비가 내린 직후에도 텍스트 패턴과 이미지 패턴의 내용이 선명하고 입체적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지판이란 일정한 판재에 소정의 내용이 담긴 패턴을 마련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패턴에는 글자화 된 텍스트 패턴과 그림화 된 이미지 패턴이 있다.
예를 들어 도로에 설치되는 표지판인 경우 그 지역의 명칭, 도로의 번호,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등을 글자화 한 것이 텍스트 패턴이 되는 것이고, 차의 진행방향에 대한 화살표, 그 지역의 특산물에 대한 이미지가 그림화 된 것이 이미지 패턴이 되는 것이다.
종래 도로에 설치되는 표지판은 철판으로 되는 프레임에 텍스트 패턴과 이미지 패턴이 형성되게 하고, 그 표면에 야광도료층이 도포 되게 하여서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표지판은 밝은 낮 동안은 무리 없이 텍스트 패턴 및 이미지 패턴을 인식할 수 있으나, 어두운 밤에는 그 반사율에 한계가 있어 텍스트 패턴 및 이미지 패턴을 인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어두운 밤에도 소정의 안내 내용이 글자화 된 텍스트 패턴과, 그림, 사진, 캐릭터, 마크 또는 로고화 된 이미지 패턴이 불빛에 의해 보다 선명하면서도 입체적으로 반사되어 보이게 함으로써, 식별력이 향상되게 하는 한편, 표면에 습기차단용 필름이 피복 되게 하여 비가 내릴 때 또는 비가 내린 직후에도 텍스트 패턴과 이미지 패턴의 내용이 선명하고 입체적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판상의 프레임에 야광도료층이 도포 되고, 이 야광도료층에 텍스트 패턴과 이미지 패턴이 형성되는 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야광도료층과 반사지가 중첩되게 하고, 이 반사지에 상기 텍스트 패턴과 이미지 패턴이 형성되게 하는 하며, 그 상부면에 보호필름, 습기차단용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중첩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텍스트 패턴과 이미지 패턴은 패턴의 밑면에 프린트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텍스트 패턴은 글자화 된 것이고, 이미지 패턴은 그림, 사진, 캐릭터, 마크 또는 로고화 되는 표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패턴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휘도 반사지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초고휘도 반사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본체 120 : 프레임
140 : 패턴 140a : 텍스트패턴
140b : 이미지패턴 150 : 야광도료층
160, 160a : 반사지 180 : 보호필름
180a : 코팅층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표지판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표지판 본체(100)의 패턴(140)은 텍스트 패턴(140a)과 이미지 패턴(140b)으로 되고, 텍스트 패턴(140a)은 " 안녕히 가십시오. 여주군입니다." 와 "Rice, Ceramic, Sweet Potato"에 해당되며, 이미지패턴(14b)은 "Rice, Ceramic, Sweet Potato"의 상측에 사각형으로 도시한 그림에 해당된다.
상기의 본체(100)는 판체로 되는 프레임(120)의 표면에 야광도로층(150)이 도포 되게 하고, 백색의 반사지(160)가 적층 되어 중첩되게 하며, 이 반사지(160)에 투명원단을 이용하여 텍스트 패턴(140a)과 이미지 패턴(140b)이 실사 프린팅 된패턴(140)이 적층 되어 중첩되게 한다.
그리고 패턴(140)에는 보호필름(180)이 적층 되어 중첩되게 하고, 그 표면에 다시 습기차단용 필름을 코팅하여 코팅층(180a)이 형성되게 하여서 된다.
상기에 있어, 프레임(120)은 철판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면, 철재 질이 아닌 알루미늄 및 기타 비철금속이나 혹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면 되고, 야광도료층(150)은 청색이나 녹색의 도료가 도포 되게 하여서 된다.
또한 상기 반사지는 일반 반사지, 고휘도 반사지 및 초고휘도 반사지 등으로 구분되는데, 일반 반사지는 봉입렌즈형(Enclosed Lens) 구조의 반사지로써, 통상적으로 옥외 광고나 스티커 등에 사용된다.
이에 반해 고휘도 반사지(16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층을 따라 보호지(161), 접착제층(162), 반사막(163) 및 유착지(164)가 중첩되고, 유착지(164)와 특수투명플라스틱(167)의 사이에 공기층(166)이 형성되게 하며, 이 공기층(166)과 유착지(164) 사이에 미세한 유리구슬(165)이 설치되게 하여서 된다. 이러한 고휘도 반사지는 공기층(16f)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미세한 유리구슬(16g)을 공기층(16f)에 노출시킨 캡슐렌즈용(Encapsulated Lens) 구조의 반사지로써, 일반 반사지보다 3배 이상의 반사성능을 가지고 있어 주간, 야간 어떤 조건하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초고휘도 반사지(160a)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지(161)에 접착제층(162)이 중첩되고, 접착제층(162)에 고휘도 반사지에 비해 층이 좁은 유착지(164)가 중첩된다. 이 유착지(164)와 특수투명플라스틱(167)의 사이에는 공기층(166)이 형성되는데, 이 공기층(166)에는 3면각 입방체 플라스틱(165b)이 개재되고 그 하부에 삼각치형의 봉합필름(165a)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초고휘도 반사지는 기술이 집약된 특수 입체방(Prismatic Cube Corner) 구조의 첨단 반사제품으로 특히 입사각이 큰 상황에서의 성능이 뛰어나 오랜 수명과 높은 반사성능을 요하는 곳에 주로 채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텍스트패턴(140a)과 이미지패턴(140b)을 보다 확실하게 반사시켜 그 반사성능을 높이는 한편 오랜 수명을 보존하고자 한다면, 일반 반사지 보다는 고휘도 반사지나 초고휘도 반사지를 채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처럼 반사지(160)(160a)를 야광도료층(150)의 해당하는 부분에 부착시킨 다음, 이 위에 실사프린팅된 텍스트 패턴(140a)과 이미지패턴(14b)을 붙인다. 그리고는 외부의 먼지나 빗물 등에 의해 텍스트 패턴(140a)과 이미지패턴(14b)이 탈색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보호필름층(180)을 중첩하여서 된다. 이때, 보호필름층(180)은 일반적인 비닐을 덮는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코팅처리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필름층(180)에는 습기를 차단할 수 있게 하는 습기차단용 필름을 피막 하여 코팅층(180a)이 형성되게 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표지판(10)에 텍스트 패턴(140a)과 이미지 패턴(140b)을 형성하게 되면, 어두운 밤일지라도 차량의 불빛이나 그 밖의 불빛에 의해 패턴(140)이 효과적으로 반사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용이하게 패턴(140)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에 있어 텍스트 패턴(140a)과 이미지 패턴(140b)은 패턴(140)의 밑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보호필름(180)과 코팅층(180a)을 거쳐 텍스트 패턴(140a)과이미지 패턴(140b)의 내용이 표출 될 때 보다 선명하고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패턴(140)의 밑면에 텍스트 패턴(140a)과 이미지 패턴(140b)의 프린트층(141)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보호 필름(180) 유착에 따른 프린트층(141)의 손상이 예방되게 하고, 더욱이 프레임(120)에 반사되는 빛에 의해 텍스트 패턴(140a)과 이미지 패턴(140b)이 입체적으로 보여 식별력이 극대화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패턴의 밑면에 텍스트 패턴과 이미지 패턴이 위치하게 하는 한편, 보호필름의 표면에 습기차단용 코팅층이 구비되게 하여 어두운 밤에도 소정의 안내 내용이 글자화 된 텍스트 패턴과, 그림, 사진, 캐릭터, 마크 또는 로고화 된 이미지 패턴이 불빛에 의해 보다 선명하면서도 입체적으로 반사되어 보이게 되어 식별력이 향상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한편, 표면에 습기차단용 필름이 피복 되게 하여 비가 내릴 때 또는 비가 내린 직후에도 텍스트 패턴과 이미지 패턴의 내용이 선명하고 입체적으로 식별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판상의 프레임(120)에 야광도료층(150)이 도포 되고, 이 야광도료층(150)에 텍스트 패턴(140a)과 이미지 패턴(140b)이 형성되는 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야광도료층(150)과 반사지(150)가 중첩되게 하고, 이 반사지(150)에 상기 텍스트 패턴(140a)과 이미지 패턴(140b)이 밑면에 프린트되는 패턴(140)이 중첩되게 하며, 그 상부면에 보호필름(180), 습기차단용 코팅층(180a)이 순차적으로 중첩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KR20-2004-0004727U 2004-02-23 2004-02-23 표지판 KR200351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727U KR200351155Y1 (ko) 2004-02-23 2004-02-23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727U KR200351155Y1 (ko) 2004-02-23 2004-02-23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155Y1 true KR200351155Y1 (ko) 2004-05-22

Family

ID=4943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727U KR200351155Y1 (ko) 2004-02-23 2004-02-23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1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211B1 (ko) * 2010-12-15 2012-12-20 주식회사 창대핫멜씨트 축광필름
KR101389794B1 (ko) * 2013-04-30 2014-04-29 주식회사 제이에스컴패니 결로방지 표지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211B1 (ko) * 2010-12-15 2012-12-20 주식회사 창대핫멜씨트 축광필름
KR101389794B1 (ko) * 2013-04-30 2014-04-29 주식회사 제이에스컴패니 결로방지 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8069A (en) Wide angle image-displaying sheet and system
JP5243016B2 (ja) 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および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作成キット
EP1062531B1 (en) Wide angle image-displaying sheet and system
KR200351155Y1 (ko) 표지판
JP5702557B2 (ja) 再帰反射性表示体
JP4907164B2 (ja) 光学シート
KR200312658Y1 (ko) 표지판
JP6378941B2 (ja) 情報表示板
JP2005025004A (ja) 表示板
KR100881178B1 (ko) 4원색 인쇄 및 식별이 용이한 재귀반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201421699Y (zh) 一种道路交通标志用透光反光结构
JP5909313B2 (ja) 再帰反射性表示体
KR200242773Y1 (ko) 실사 인쇄된 사인보드가 형성된 도로표지판
WO2012164964A1 (ja) 標示部材
JP3018625B2 (ja) 交通機関用壁材
KR20080099386A (ko) 다목적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CN207965202U (zh) 一种不透光的微棱镜反光膜
JPH0544865Y2 (ko)
KR101541757B1 (ko) 안내표시가 발광되는 안내표지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3127261U (ja) 自動販売機用表示体
JP2004036161A (ja) 再帰反射体
RU60451U1 (ru) Номерной знак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JP3047062U (ja) 自動車用ナンバープレート
JP2004021129A (ja) 再帰反射体
CN86203436U (zh) 塑料微珠回射发光标志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