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503A - 증폭기 내의 비선형성 보상 방법, 증폭기, 및 이러한 방법및 증폭기의 이용 - Google Patents

증폭기 내의 비선형성 보상 방법, 증폭기, 및 이러한 방법및 증폭기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503A
KR20010041503A KR1020007009671A KR20007009671A KR20010041503A KR 20010041503 A KR20010041503 A KR 20010041503A KR 1020007009671 A KR1020007009671 A KR 1020007009671A KR 20007009671 A KR20007009671 A KR 20007009671A KR 20010041503 A KR20010041503 A KR 2001004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width
width modulated
pulse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0792B1 (ko
Inventor
앤더스코우브니엘스
리스보라스
모르치토마스
Original Assignee
토카타 테크날러쥐 에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카타 테크날러쥐 에이피에스 filed Critical 토카타 테크날러쥐 에이피에스
Publication of KR2001004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3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of the bridge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오디오 신호가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삼각형 신호 형태의 반송파 신호에 의해 펄스폭 변조되는, 예를 들어 D 타입 부류의 비선형성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증폭기에서,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7)를 제공하기 전에 발생하는 소위 상승성 에러 신호들이 검출기(10)에서 검출된다.
반송파 신호는 디지털 뿐 아니라 아날로그가 될 수 있음을 유념하자.
작은-신호들의 펄스폭들과 큰-신호들의 펄스폭들 간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는, 증폭기가 전체 오디오 범위 내에서 일정한 이득을 얻어 선형화될 수 있도록 반송파 신호를 바꾸는 데에 이용된다.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7)의 펄스폭 뿐 아니라 펄스 높이에서 나타내는 상승성 에러들을 부가적으로 보상하기 위하여, 반송파 신호의 값은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가 곱해진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5)와, 인버트된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가 곱해진 인버트된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의 함수로서 변한다.

Description

증폭기 내의 비선형성 보상 방법, 증폭기, 및 이러한 방법 및 증폭기의 이용{A METHOD IN THE COMPENSATION OF UNLINEARITIES IN AN AMPLIFIER, AN AMPLIFIER, AND USES OF THE METHOD AND THE AMPLIFIER}
오디오에 이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증폭기들은, 오디오 신호들을 증폭한 다음 확성기 내에 음향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증폭기들은 큰 효율성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다른 원리에 따라 증폭기가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높은 효율성을 갖는 증폭기들은 펄스폭 변조에 기초하는 증폭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증폭기들은 또한 D 부류 증폭기들로서 언급된다. 이러한 증폭기들은 펄스폭 변조기, 한 세트의 전환 스위치들 및 저대역 필터로 구성된다.
D 부류 증폭기의 원리는 2개의 전환 스위치들이, 가령 오디오 신호와 같은 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각각 전도성 및 비전도성으로 스위치된다는 것이다. 이로써, 오디오 신호 정보는, 펄스폭이 오디오 신호 정보에 밀접하게 대응하는 일련의 펄스들로 전환된다.
2개의 전환 스위치들 대신, 쌍으로 전도성 및 비전도성으로 유도되는 4개의 전환 스위치들을 이용할 수 있다.
펄스폭 변조된 증폭기들은 이론적으로는 매우 선형적이며, 이로써 매우 낮은 왜곡을 갖지만, 실질적으로 구현하게 되면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증폭기들 내에서도 비선형성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강력한 네거티브 피드백 시스템들이 설정되지 않는 한 고성능 증폭기로서 이들을 이용할 수 없게 한다.
그러나, 펄스폭 변조된 증폭기들 내에 피드백 시스템들을 설정하는 것은 저대역 필터링 전에 수행되는 네거티브 피드백이 시스템에 많은 잡음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쉬운 작업이 아니다.
또한, 확성기 부하의 임피던스가 피드백 시스템의 설계에 포함되며, 그리고 이러한 임피던스는 확성기의 선택에 따라 변할 수도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피드백 시스템으로 인하여 설계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증폭기 작동시 전환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압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펄스폭 변조된 증폭기들 내에 큰 비선형성 부분, 하지만 독점적이지는 않은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전형적으로 톱니파 또는 삼각파 신호인 반송파의 피크 전압으로 나누어지는 펄스폭 변조된 증폭기의 이득이, 증폭기에 포함된 전환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압으로부터 비롯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폭기의 이득은 공급 전압에 비례하며, 이에 따라 그 변화량은 전환 스위치들로부터의 출력 신호 상에 소위 상승성 에러(multiplicative error)를 발생시킨다.
비선형성을 제거하는 데에 조정된 전압 공급장치가 이용될 수도 있지만, 충분한 선형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전력 공급 회로를 필요로 하며, 이는 증폭기의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또한, 어떤 전환 스위치들도 형성되지 않는 시간인 데드 시간은 증폭된 신호의 왜곡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펄스폭 변조된 전력 증폭기들 내의 데드 시간을 최소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데드 시간이 줄어들게 되면 전력 소모의 증가 및 출력 신호 상의 울림(ringing)의 축적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는 전환 스위치들이 전류를 전압 공급장치로부터 접지로 전달하기 때문이다.
펄스폭 변조된 증폭기들을 선형화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설명한 바와 같이 강력한 네거티브 피드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특히, 가령 낮은 복잡성 및 넓은 부하 범위에서의 보편적인 유용성과 같은 설계 기준이 중요한 소비자용 증폭기들에 대해서는 유용하지 않다.
결정적으로, 0 503 571 A1은 D 부류의 증폭기를 개시하는데, 이 증폭기에서 공급 전압의 변화는 전압 공급장치 내의 에러의 함수로서 반송파 신호를 변경함으로써 보상된다.
반면에,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의 펄스 폭들에 에러를 야기시킬 수 있는 다른 에러들은 상기의 보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신호를 펄스폭 변조시켜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를 제공하는 펄스폭 변조기로 구성된 증폭기 내에서의 비선형성 보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펄스폭 변조기는 전압 공급장치에 의해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를 부하에 제공하는 한 세트의 전환 스위치를 제어하는 출력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호를 펄스폭 변조시키도록 적용된 펄스폭 변조기를 구비하는 타입의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펄스폭 변조된 신호는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압 공급장치와 연결 및 단절되도록 적용된 적어도 2개의 전환 스위치들에 공급되며, 그리고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와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 간의 신호 경로들 내에서 발생하는 에러 신호들을 보상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증폭기의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반송파 신호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신호에 의해 변조될 수도 있는 신호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펄스폭 변조된 도 3의 신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신호의 전압으로서의 증폭기의 공급 전압의 차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반송파 신호의 변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7A는 특성이 변하는 삼각형의 반송파 신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8A는 특성이 변할 수도 있는 톱니형의 반송파 신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상승성 에러들의 검출에 이용되는 회로 어레이의 제 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검출 회로에서의 신호 형태들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핼프-브리지 또는 그의 집합에서의 상승성 에러들을 검출하기 위한 제 2 회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와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의 신호 경로들 간에 발생하는 모든 에러들을 선형화 및 보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의 펄스 폭들이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의 펄스 폭들과 다르다는 점에서 나타나는 필연적인 에러가 펄스폭 변조를 바꾸는 데에 이용되는 에러 신호로서 검출되는 제 1 항의 도입부에서 정의된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는 검출된 에러 신호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변한다.
제 2 항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에러 신호가 상승성 에러 신호로서 검출될 때, 반송파 신호를 상승성 에러 신호의 함수로서 변조시키는 것은 비교적 쉽다.
제 3 항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검출된 상승성 에러 신호는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가 곱해진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 및 인버트된 펄스폭 변조된 큰 신호가 곱해진 인버트된 펄스폭 변조된 작은 신호로서 결정된다.
이로써, 다른 회로-기술적인 장점은, 펄스폭 내의 상승성 에러을 보상하며, 그리고 부가적으로 전환 스위치들 내에서 발생하는 펄스 높이를 보상하는 보상 회로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을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 방법은 AD 부류의 동작에서 작동하는 H-브리지에서의 상승성 에러 보상에 특히 적절하다는 것을 유념하자.
편의상, 제 4 항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펄스폭 변조는 반송파 신호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는 반송파 신호가 아날로그일 때 아날로그 신호들의 펄스 변조에 특히 이용하기가 편리하다. 그러나, 디지털 반송파 신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펄스폭 변조의 단순한 회로 구성을 위해서는, 제 5 항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톱니파 또는 삼각파의 반송파 신호가 이용되는 것이 유익하다.
제 6 항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반송파의 슬루 레이트가 외부 신호에 의해 조정될 때, 보상된 증폭기의 이득이 큰 범위에 걸쳐서 변할 수도 있음이 보장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이 증폭기는 에러 신호들을 보상하는 수단이 큰-신호들의 펄스폭들과 작은-신호들의 펄스폭들 간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적용된 검출기에 의해 형성되며, 이 검출기의 출력은 제어가능한 반송파 발생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들과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들 간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필연적인 비선형성이 복잡한 피드백 단계없이 제거될 수 있는 증폭기가 제공된다.
증폭기의 실시예들은 제 8 항 내지 제 10 항에서 규정된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의 이용 및 증폭기에 관련된다.
제 11 항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펄스폭 변조된 증폭기들에 전형적으로 이용되었던 네거티브 피드백 보다 훨씬 단순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제 12 항에 따른 방법의 이용은 증폭기가, 예를 들어 전자 모터들, 물리적인 실험실 장비, 측정 장치 등에서 발견되는 저항성 및 반응성 부하들의 제어에 이용될 수 있게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2)는, 예를 들어 도시된 반송파 신호(3)에 의해 펄스폭 변조기(4)에서 펄스폭 변조될 수도 있는 신호이며, 상기 반송파 신호는 도시된 삼각파의 형태 뿐 아니라 톱니파의 형태일 수도 있다. 펄스폭 변조는 작은-신호 펄스폭 변조된 신호(5)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공급 전압(12)이 전환 스위치들(6)에 인가되면, 전환 스위치들(6)은 공급 전압(12) 및 전환 스위치들(6)의 위치에 의해 주어지는 진폭을 갖는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7)를 제공한다.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7)는 저역 필터(8)를 통해 필터링되며, 결과적인 신호는 부하, 여기서는 도시된 바와 같은 확성기(9)에 제공된다.
도 1은 또한 전압 센서(10) 및 제어가능한 반송파 변조기(11)로 구성된 보상 회로(30)를 보여준다. 이 반송파 변조기는 디지털 형태 뿐 아니라 아날로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유념하자. 공급 전압(12)은 반송파 변조기(11)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전압 센서(10)에 의해 검출된다. 이에 따라 반송파 검출기(11)는 전압 센서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의해 반송파 신호(3)를 변조시키며, 결과적으로 증폭기는 변화하는 공급 전압에 의해 생성되는 필연적인 비선형성을 보상받게 된다.
도 2는 펄스폭 변조기(4)에 의해, 예를 들어 도 3의 신호(2)를 변조시켜 도 4에서와 같은 펄스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보상되지 않은 반송파 신호의 예를 보여준다.
만일 전환 스위치들(6)이 제어되지 않은 공급 전압을 제공받는다면, 공급 전압은 도 5에서 12로 도시된 형태로 가정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급 전압은 이제, 정류된 사인 전압에 의해 겹쳐지는 DC 전압으로 구성된다. 이 공급 전압은 증폭기 내에 심각한 비선형성을 발생시킬 것이며, 이는 물론 증폭기 내에 강한 비선형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 6은 보상된 반송파 신호(15)의 예를 보여준다. 이 신호(15)의 피크값은 도 5를 참조하여, 전환 스위치들로의 공급 전압의 변화 함수로서 변한다. 도 6에 도시한 상기 보상된 반송파 신호(15)는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화되지만, 변조 플랭크 상의 반송파 신호 전압의 유도물(derivative)이 수적으로 일정하도록 어떠한 것도 보상이 수행되는 것을 막지 못하며, 이로써 반송파 신호의 주파수가 바뀔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7A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반송파(3)는, 반송파가 기본적으로, 예를 들어 프러스토코니컬(frustoconical)인 반송파 신호(29)에 의해 주어질 수도 있는 다른 원리에 따라 보상될 수도 있다. 이 신호의 변조 플랭크들 중 첫 번째 유도물은 이전에 언급한 삼각파 신호의 변조 플랭크들 보다 수적으로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크간 값이 유지됨에도 불구하고, 증폭기는 더 낮은 이득을 갖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인 반송파의 형태가 16 및 17로 나타낸 신호 형태들 사이에서 변할 수 있도록, 반송파 신호의 유지된 피크간 값에 대한 반송파 신호의 첫 번째 유도물의 수적인 값이 변할 수도 있다.
도 8 및 8A는, 예를 들어 21로 나타낸 반송파에 대한 제 2 보상 원리를 보여준다. 이 반송파 신호의 변조 플랭크의 첫 번째 유도물은 톱니형 반송파 신호의 첫 번째 유도물 보다 더 큰 것으로 보여지며, 이는 반송파 신호의 피크간 전압이 유지됨에도 불구하고 증폭기가 더 낮은 이득을 갖게 한다. 결과적인 반송파의 형태가 19 및 20으로 나타낸 신호 형태들 사이에서 변할 수 있도록, 반송파 신호의 유지된 피크간 값에 대한 반송파 신호의 첫 번째 유도물의 이득이 변할 수도 있다.
도 9는 H-브리지와 함께,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7)와 펄스폭 변조된 작은 신호(5)를 곱할 수 있는 기본적인 회로 구성을 보여준다. 도 1과 비교하라.
이 회로는 각각의 핼프-브리지들(A 및 B)을 제어하는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들은 스위치들의 제어 레그들(39 및 40)에 접속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각각의 스위치들은 한 세트의 이상적인 전환 스위치들로서 대략적으로 스위치될 수도 있는 2개의 매우 빠른 스위치들에 의해 형성된다.
전환 스위치들의 입력들(31 및 32)은 H-브리지의 출력들(37 및 38)에 각각 접속되며, 스위치들의 출력들(34 및 35 뿐 아니라 33 및 36)은 쌍으로 접속된다. 이렇게 되면, 단자들(41 및 42) 간의 결과적인 차이 전압이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5)가 곱해진 H-브리지의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에 의해 주어지게 된다.
H-브리지의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7)의 펄스폭이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5)와 같을 때, 단자들(41 및 42) 간의 차이 신호는 공급 전압(12)에 비례할 것이며, 그리고 반송파 변조기에 적용되는 경우 차이 신호는 공급 전압(12)에서의 차이를 보상할 수도 있다.
또한, 단자들(41 및 42) 간의 차이 신호는 가능한 데드 시간에 의해 야기되는 (실제적으로 피할 수 없는) 에러에 비례하여 변할 것이며, 이는 도 9의 회로가 만일 반송파 변조기(11)에 연결된다면, 데드 시간의 존재로부터 비롯되는 H-브리지 내에서의 비션형성을 보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의 윗부분에는 삼각형의 반송파 신호(3), 및 높은 정도의 선형성을 가지고 거의 이상적으로 발생될 수도 있는 결과적인 작은-신호(43)의 예를 도시한다. 또한, 작은-신호(43)의 아랫쪽에 도시된 것은 일부 전환 스위치들(미도시) 상에서 발생하는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44)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은-신호의 펄스폭들은 큰-신호의 펄스폭들과 다르며, 이는 특히 스위칭 시퀀스 동안 이전에 언급한 데드 시간에 의해 야기된다. 만일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43)가 이제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44)와 곱해진다면, 도 10의 아랫쪽에 도시된 펄스폭 변조된 차이 신호(45)가 제공된다. 이 신호는 전환 스위치들로의 공급 전압에 비례하는 진폭, 및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와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44) 간의 펄스폭 차이에 역비례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다. 차이 신호(45)를 적절히 처리함으로써, 이 신호는 도 1과 비교하여 전압 센서(10)로부터의 신호와 동일한 방식으로 반송파 변조기(11)에 대한 제어 신호로서 이용된다. 차이 신호(45)는 반송파 변조기(11)에 접속되는 경우,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의 펄스 높이에서의 에러 뿐 아니라 펄스 폭 내의 에러에 대하여 증폭기를 교정할 수 있음을 유념하자.
도 11은, 도 1을 참조하여, 2개의 MOSFETs과 함께,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7)와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5)를 곱할 수 있는 핼프-브리지 내에 배열된 검출기(10)를 형성하는 회로의 기본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이 회로는 핼프-브리지를 제어하는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를 스위치의 제어 레그(46)에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스위치는 일련의 이상적인 전환 스위치들로서 대략 스위치될 수도 있는 3개의 매우 빠른 스위치들에 의해 형성된다.
전환 스위치의 단자(49)는 핼프-브리지의 출력(37)에 연결되며, 스위치의 단자들(60 및 61)은 각각 제로 컨덕터, 및 전환 스위치들을 위한 부하가 없는 공급 전압에 비례하는 순수한 DC 전압에 연결되고, 스위치의 단자들(57 및 58 뿐 아니라 51 및 50, 59 및 60)은 쌍으로 연결된다. 스위치(62)는 거의 이상적인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이상적인 핼프-브리지와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결과적인 상승성 에러 신호들이 단지 핼프-브리지에 대한 정확한 에러의 표시가 된다. 이렇게 되면, 53과 54 간의 결과적인 차이 전압이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5)가 곱해진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7), 및 거의 이상적인 인버트된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가 곱해진 인버트된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에 의해 주어진다.
단자들(54 및 53) 간의 차이 신호는 핼프-브리지의 펄스폭들이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5)와 같을 때 공급 전압(12)에 비례할 것이며, 이로부터 상기 차이 신호는 반송파 변조기에 적용될 경우 공급 전압(12)에 있어서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53과 54 간의 차이 신호는 전환 스위치들(23 및 24) 내에서 발생하는 상승성 에러에 비례하여 변할 것이며, 이는 도 11의 회로가 도 1의 검출기(10)로서 이용된다면, 특히 데드 시간의 존재로부터 비롯되는 핼프-브리지 내의 모든 상승성 에러 신호들을 보상하여 저항, 및 전환 스위치들로의 공급 전압(12)의 변화를 처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범용이며 매우 낮은 복잡성을 갖는 증폭기를 제공한다.
상기 증폭기는 명세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종류의 부하들에 대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증폭기는 높은 효율성 때문에 종래의 증폭기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어떠한 바람직하지 않은 높은 열 방출도 없다.
도 1에서 30으로 나타낸 보상 회로는 종래의 반송파 발생기와 단지 조금 다른 매운 단순한 회로 설계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5)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호가 펄스폭 변조되며, 그리고 펄스폭 변조기(4)는 공급 전압(12)에 의해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7)를 부하(9)에 공급하는 한 세트의 전환 스위치들(6)을 제어하는 출력을 갖는, 상기 펄스폭 변조기(4)로 구성되는 증폭기 내의 비선형성 보상 방법에 있어서,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7)의 펄스 폭들이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5)의 펄스폭들과 다르다는 점에서 나타나는 필연적인 에러가 펄스폭 변조를 바꾸는 데에 이용되는 에러 신호로서 검출되며, 상기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는 상기 검출된 에러 신호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신호는 상승성 에러 신호로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상승성 에러 신호는 상기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와 상기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의 곱, 및 인버트된 펄스폭 변조된 작은 신호와 인버트된 펄스폭 변조된 큰 신호의 곱으로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는 반송파 신호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톱니형 또는 삼각형의 반송파 신호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신호의 슬루 레이트는 외부 신호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5)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호를 펄스폭 변조하도록 적용된 펄스폭 변조기(4)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펄스폭 변조된 신호는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압 공급장치(12)에 연결 및 단절되도록 적용된 적어도 2개의 전환 스위치들(6)에 공급되며; 그리고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7)와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5) 간의 신호 경로들 내에서 발생하는 에러 신호들을 보상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타입의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에러 신호들을 보상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큰-신호들의 펄스폭들과 상기 작은-신호들의 펄스폭 간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적용된 검출기(10)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검출기(10)의 출력은 제어된 반송파 발생기(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10)는 상기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와 상기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를 곱하고, 그리고 인버트된 펄스폭 변조된 작은-신호와 인버트된 펄스폭 변조된 큰-신호를 곱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반송파 발생기(11)는 반송파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반송파 발생기(11)는 상기 검출된 상승성 에러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반송파의 슬루 레이트를 바꾸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1. 네거티브 피드백 시스템에서의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에 따른 방법 및 증폭기의 이용.
  12. 저항 및 반응성 부하들의 파워 제어를 위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0 항에 따른 방법 및 증폭기의 이용.
KR1020007009671A 1998-03-03 1999-03-03 증폭기의 비선형성 보상 방법, 증폭기, 및 이러한 방법 및 증폭기의 이용 KR100650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0283/98 1998-03-03
DK199800283A DK28398A (da) 1998-03-03 1998-03-03 Fremgangsmåde ved kompensering af ulineariteter i en forstærker, en forstærker, samt anvendelser af fremgangsmåden og forst
DK283/98 1998-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503A true KR20010041503A (ko) 2001-05-25
KR100650792B1 KR100650792B1 (ko) 2006-11-28

Family

ID=809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671A KR100650792B1 (ko) 1998-03-03 1999-03-03 증폭기의 비선형성 보상 방법, 증폭기, 및 이러한 방법 및 증폭기의 이용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098091B1 (ko)
EP (1) EP1075732B1 (ko)
JP (1) JP2002506308A (ko)
KR (1) KR100650792B1 (ko)
CN (1) CN1117428C (ko)
AT (1) ATE218766T1 (ko)
AU (1) AU2611499A (ko)
DE (1) DE69901704T2 (ko)
DK (1) DK28398A (ko)
WO (1) WO19990456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553B1 (ko) * 2001-09-27 2006-07-03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자주식 pwm 증폭기
KR100765792B1 (ko) * 2006-07-28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파워 앰프에서 에러 보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153476T3 (da) 1999-02-05 2003-05-05 Texas Instr Denmark As Kredsløb til udkompensering af støj og fejl fra en digital forstærkers udgangstrin
US6504427B2 (en) 2001-05-31 2003-01-07 Motorola, Inc. Switching amplifier having digital correction and method therefor
DE10393487B3 (de) * 2002-11-27 2007-05-16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rrektur von Signalverzerrungen in einer Verstärkereinrichtung
DE10255352B3 (de) 2002-11-27 2004-02-12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rrektur von Signalverzerrungen in einer Verstärkereinrichtung
CN100417017C (zh) * 2005-02-17 2008-09-03 普诚科技股份有限公司 D类音频放大器的异步式桥接负载
WO2007011012A1 (ja) * 2005-07-21 2007-01-25 Pioneer Corporation 電力増幅装置
US7859331B2 (en) * 2008-05-21 2010-12-28 Silicon Laboratories Inc. Predictive feedback compensation for PWM switching amplifiers
CN101741325B (zh) * 2008-11-24 2012-04-11 无锡华润矽科微电子有限公司 带载波可调模块的d类音频功放及其载波调制方法
IT1397119B1 (it) * 2009-12-24 2012-12-28 Elbi Int Spa Dispositivo misuratore di portata per fluidi, in particolare per liquidi.
KR101871360B1 (ko) * 2011-03-09 201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CN104201996B (zh) * 2014-08-29 2017-07-07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d类功率放大器的反馈电路及电子设备
DE102015110274A1 (de) * 2015-06-25 2016-12-29 Intel IP Corporation Eine vorrichtung und ein verfahren zum verstärken eines eingangssignals
CN113001003B (zh) * 2021-04-16 2022-06-14 东莞声索电子有限公司 一种超声波电源非线性输出功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1930A (en) * 1976-06-11 1977-12-06 Rohr Industries, Incorporated Base drive inhibit circuit
JPS60190010A (ja) 1984-03-12 1985-09-27 Sony Corp パルス幅変調信号による制御回路
JPH04281606A (ja) 1991-03-11 1992-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ルス幅変調増幅器
US5410592A (en) 1993-06-04 1995-04-25 Harris Corporation Class `D` audio speaker amplifier circuit with state variable feedback control
DE69526732T2 (de) 1995-07-13 2002-10-24 St Microelectronics Srl Klasse-D Verstärker mit einem Ausgang und zwei Betriebsspannungen
US5815581A (en) 1995-10-19 1998-09-29 Mitel Semiconductor, Inc. Class D hearing aid amplifier with feedback
CN101517891B (zh) * 2006-09-28 2011-11-16 帕斯卡尔有限公司 受控功率转换器
CN101563841B (zh) * 2006-12-21 2012-06-06 邦及奥卢夫森公司 用于d类功率级的纠错系统
US7629840B2 (en) * 2007-10-22 2009-12-0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Digital pulse width modulated feedback system for a switching amplifier and method therefor
US7733171B2 (en) * 2007-12-31 2010-06-08 Synopsys, Inc. Class D amplifier having PWM circuit with look-up tab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553B1 (ko) * 2001-09-27 2006-07-03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자주식 pwm 증폭기
KR100765792B1 (ko) * 2006-07-28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파워 앰프에서 에러 보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06308A (ja) 2002-02-26
ATE218766T1 (de) 2002-06-15
DK28398A (da) 1999-09-04
EP1075732B1 (en) 2002-06-05
US8098091B1 (en) 2012-01-17
DE69901704D1 (de) 2002-07-11
DE69901704T2 (de) 2003-02-06
EP1075732A1 (en) 2001-02-14
AU2611499A (en) 1999-09-20
CN1292168A (zh) 2001-04-18
WO1999045641A1 (en) 1999-09-10
CN1117428C (zh) 2003-08-06
KR100650792B1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9048A (en) Pulse width modulation amplifier circuit
KR20010041503A (ko) 증폭기 내의 비선형성 보상 방법, 증폭기, 및 이러한 방법및 증폭기의 이용
KR100426422B1 (ko) 펄스 변조 신호의 향상된 전력 증폭을 위한 펄스 기준형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6778011B2 (en) Pulse-width modulation circuit and power amplifier circuit
EP2041867B1 (en) Amplifier employing interleaved signals for pwm ripple suppression
EP0651501B1 (en) Power amplifier having multiple switched stages
EP0962120B1 (en) High-fidelity and high-efficiency analog amplifier combined with digital amplifier
JPH06209218A (ja) 高周波電力増幅器ひずみ減少回路
US7683708B2 (en) Digital amplifier with analogue error correction circuit
EP0054943B1 (en) Power amplifier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load by switching of power supply voltage
US6771121B2 (en) Linearization of a PDM Class-D amplifier
KR20050120779A (ko) 디지털 증폭기, 스위칭 타이밍 수정기 및 펄스 타이밍 에러수정 방법
CN112671353B (zh) 一种应用于大功率范围的低失真d类功放
GB2277614A (en) Feedback control loop in power supply circuit
US6191650B1 (en) Class d amplifier with pulse width modulation and a very low power consumption
JP2007209038A (ja) 電力増幅回路
US5216376A (en) Pulse duration amplifier system having distortion reduction
CN109716647B (zh) 包括补偿电路的放大装置
KR100993788B1 (ko) 디지털 오디오 증폭회로
JPH02164113A (ja) 電力増幅器
JPH03175709A (ja) 高周波増幅器の電力制御回路
RU2032981C1 (ru) Усилитель с широтно-импульсной модуляцией
JP2002290160A (ja) 高周波増幅器
JPH08213851A (ja) 出力安定化回路
JPS6089109A (ja) Pwm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