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429A -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 - Google Patents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429A
KR20010041429A KR1020007009565A KR20007009565A KR20010041429A KR 20010041429 A KR20010041429 A KR 20010041429A KR 1020007009565 A KR1020007009565 A KR 1020007009565A KR 20007009565 A KR20007009565 A KR 20007009565A KR 20010041429 A KR20010041429 A KR 20010041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dhesive layer
low temperature
temperature fluidity
sen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724B1 (ko
Inventor
슈미쓰크리스토프
브라크트슈테판
Original Assignee
보도 아스무센
엘티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템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도 아스무센, 엘티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템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보도 아스무센
Publication of KR2001004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28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C08L2666/52Metal-containing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2Patches, e.g. medical patches, repair p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1성분의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 용액을 적당한 평평한 형상의 담체상에 코팅하고 건조하여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칼슘, 마그네슘, 아연, 알루미늄, 티탄,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으로 구성된 군 중의 하나의 금속 이온과 저분자량의 유기 착화합물 형성제와의 착화합물을 코팅할 유기 접착제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접착제 용액을 가열 및/또는 건조하는 경우에만, 상기 금속 이온이 상기 착화합물 형성제와의 결합으로부터 이탈된다.

Description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SILICONE CONTACT ADHESIVE WITH REDUCED COLD FLOW}
다른 기술적 적용은 별도로 하고, 상기 감압 접착제 배합물은 주로 의료용 패치의 제조에 사용된다. 이들 신규한 방법으로 가교된 실리콘 감압 접착제는 의료용 패치 중에서 활성 물질을 함유한 의료용 패치, 즉 경피 흡수 치료 시스템(TTS)의 제조용에 특히 적합하다.
용매 함유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 배합물의 코팅과 건조시에, 상기한 가교제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다.
이들 상태하에서만, 상기 가교제는 가교 반응을 일으켜서 3차원의 중합체 망상 구조를 형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감압 접착제층은 유동성, 소위 저온 유동성(cold flow)을 잃는다.
저온에서 유동하게 되면,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서로 접합된 양면이 자중에 의해서도 서로 변위할 수 있고, 그 결과 이들 면 사이의, 위치가 불변하는 접합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없으므로, 저온 유동성은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다.
TTS의 경우에, 인간 또는 동물에 대해서 적용 부위에 이 시스템을 접착제로 결합할 때에, 이 문제점이 특히 염려된다. 또한, 상기 TTS에 포함된 실리콘계 접착제층 내에서 저온 유동이 일어나면, 자중, 응집력 및 접착력의 영향으로, 저장 중에도 상기 시스템내에서 바람직스럽지 않게 변형이나 전위가 일어날 수 있다.
실리콘계 중합체와 폴리아크릴레이트는 화학적 특성이 근본적으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폴리아크릴레이트계 감압 접착제의 가교에 사용된 가교제가 실리콘계 중합체에도 성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외로 발견하였다.
또한 특정 금속 양이온의 유기 금속 착화물이 특히 효과적임을 알았다. 이들 중에서, 알루미늄, 티탄, 지르코늄 또는 아연 등의 금속의 착화합물이 본 발명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착화합물 형성제로는 아세틸아세톤이 의료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가교제를 상기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의 용액에 첨가하면, 용매 또는 안정제가 건조에 의해 제거된 후에만 가교 반응을 일으킨다.
실리콘계 중합체 감압 접착제가 의료 용도에 특히 중요하다. 그 이유는 피부 염증과 면역 반응(감각 감지화, 알레르기화)의 유발에 대하여 피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는 사람의 피부에 확실하게 그리고 오랜 기간 즉, 몇 일간 접착하는 제품이다. 이들의 강한 발수성(water repellent nature)도 이러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TTS 분야에서,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는 의약 활성제 및 보조제와의 화학적 상용성이 우수하며, 상기 접착제계 제품의 화학적 안정성과 저장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실리콘계 중합체의 높은 투과성(확산성)도 함유되어 있는 활성제와 보조제의 방출을 용이하게 한다는 면에서, 특히 중요하다.
이들 장점 이외에, 의료 용구상에서 구입 가능한 상기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Dow Corning사제, Bio-PSA Q7 제품군)는 유동학적 특성면에서 상당한 결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품은 3차원 가교를 하지 않거나 또는 아주 한정된 미세 영역에서만 가교를 나타내는 폴리실록산계 중합체이다. 이들은 실제로 선형(threadlike)이며, 작은 범위내에만 분기되어 있거나 전혀 분기되어 있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이 제품은 단쇄 알칸(헵탄, 페트롤)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 용매에 용해될 것이 요구되며, 따라서 그들을 용매 함유 공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이들의 종래의 중합체는 1성분 중합체 용액이다.
1성분이란 상기 용액내에 함유된 중합체가 다음 공정에서 통상의 수지와 경화제 사이의 2성분 반응으로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1성분의 의미가 상기 용액이 폴리옥시실록산 중합체를 1종 이상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용액은 화학적으로 상이한 중합체(예: 폴리아크릴레이트)와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하기에 기술할 1성분의 감압 폴리실록산 용액의 제조 공정을 2성분 실리콘계 접착제에 대하여 다양하게 기술한 제조 공정 및 촉매와 혼동하여서는 안된다. 상기 시스템은 다음 공정에서 통상의 수지와 경화제로 3차원 중합체 망상 구조를 이루려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폴리실록산을 함유한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로리돈 또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폴리실록산과 화학적으로 다른 중합체 쇄가 내재되어 있거나 부가되어 있는 폴리실록산의 혼합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TTS 제조 분야에서는 상기의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 용액을 코팅하고 건조하여, 박막의 감압 중합체 필름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공정에서, 3차원 가교가 부족하면 선형 중합체 쇄가 아주 천천히나마, 일정한 유동성을 갖는다는 면에서 불리하다. 3차원 가교가 부족하면, 실온에서도 유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3차원 가교 부족을 저온 유동성으로 언급하였다.
하기의 힘 모두가 유동성을 촉진할 수 있다:
1. 자중
2. 제조 공정 또는 저장 중에 제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모든 기계적인 힘
3. 감압 중합체와 이들이 덮고 있는 표면 사이의 접착력(그 결과 수축 또는 퍼짐이 발생)
4. 중합체 그 자체의 응집력(그 결과 수축이 발생)
저온 유동성은 TTS를 저장하는 동안(2년 이상일 수도 있음)에, 실질적으로 불편한 영향을 끼친다. 예를 들어, 제품과 포장재 간에 유착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 현상은 인간 또는 동물의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바람직스럽지 않게도일어나는데, 특히 따뜻한 체온에 의하여 촉진된다. 상기 TTS를 수시간 또는 수일 부착하는 경우, 이 TTS가 피부 위를 실질적으로 유동함으로서 TTS의 변위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는 원래 접착제가 도포된 지역을 지나 서서히 유동함으로써 피부상에 퍼질 수 있다. 이것은 종종 상기 시스템을 제거한 후에 이 시스템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서 피부상에 잔사물을 남긴다. 이 잔사물은 이용자를 아주 성가시게 한다.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에서 저온 유동성의 문제는 공지되어 있다. US 5,232,702는 실현 가능한 많은 대책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각종의 충전제와 첨가제를 기술하고 있으나, 가교제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또한 활성 물질 시스템에 관하여, 가교 반응에서 요구되는 온도가 너무 높거나 또는 이 가교제의 생물학적 상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교 반응은 문제가 있거나 불가능한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5컬럼, 3~10줄).
그 대신에 많은 다른 응집성 향상 수단이 기술되어 있다.
실제로 이들 수단이 실제로 상기의 문제점을 항상 제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내에서 저온 유동성을 억제하기 위한, 신규하고도 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압(pressure-sensitive) 실리콘계 중합체 접착제 배합물을 가교하기 위한 가교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가교제로서 티타닐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사용한 경우의 티탄 함량에 대한 구름 시간의 그래프.
도2는 가교제로서 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토네이를 사용한 경우의 알루미늄 함량에 대한 구름 시간의 그래프.
도3은 필름의 전단력 측정 방법에 대한 모식도.
도4~도7은 전단력/시간의 그래프
이 목적은 의외로 화학적으로 완전히 다른 감압 접착제 중합체족, 즉 폴리아크릴레이트에서 저온 유동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품을 첨가함으로서 달성된다.
실리콘계 중합체의 골격 구조인 폴리실록산이 순수 탄화수소로 된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화학적으로 완전히 다른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전환 적용은 예측되지 않았었다.
중합체에 유리 카복실기 또는 유리 하이드록실기가 결합된 감압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에 대하여, 다가 이온(multivalent ion)(예: 칼슘, 마그네슘 또는 아연, 특히 알루미늄 및, 티탄, 지르코늄 및 하프늄 등의 4B족 원소)의 첨가에 의하여 중합체 쇄의 3차원 가교를 형성할 수 있음은 공지되어 있다. 알루미늄만이 3가 이온으로 작용하며, 4B족의 원소는 안정된 산화 상태(+4)로 사용된다.
이 방법으로, 선형 중합체 쇄층을 유동성이 없는 3차원 망상 구조로 변환시키는 것을 용액으로부터의 건조가 행하여질 때까지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금속 이온을 대부분의 유기 용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중합체 용액내에서 조기 가교 반응을 막기 위하여, 금속 이온이 초기에 결합되는 저분자량의 착화화물 형성제를 사용한다. 이들 착화합물 형성제 중에서, 아세틸아세톤이 상대적으로 저독성이며 또한 건조 공정중에 제품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의약 분야에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세틸아세톤은 화학적으로 엔올 형태로 비닐로그산(vinylogous acid)이어서 금속 이온과 착화합물(대응 화합물: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을 형성한다. 이들 착화합물은 특히 안정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므로, 유기산과 각 금속의 일반 염과는 비교할 수 없다.
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와 티타닐 아세틸아세토네이트는 유기 용매로부터 건조하는 동안에, 감압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를 가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가교 공정에서, 상기 금속 이온이 상기 착화합물 형성제로부터 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관능기로 이전하며, 이에 따라 다른 중합체 쇄상의 수개의 관능기가 가교된다.
가교제로 폴리아크릴레이트에 자주 사용되는 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와 티타닐 아세틸아세토네이트가 화학적으로 전혀 다른 폴리실록산에 사용되어도 의외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즉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의 유동성이 아주 저하된다.
폴리실록산의 경우에서의 변화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메카니즘이 명확하지 않은 3차원 가교가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 용도로 특히 중요한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내의 2개의 기(감압 폴리디메틸실록산계 접착제상에서의 아민 비적합형과 아민 적합형)로 신규한 가교 방법을 시험했다.
상기 아민 비적합형은 실라놀기(실리콘에 결합된 하이드록실기)의 잔사가 중합 중에 중합체에 남아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것이 1급, 2급 또는 3급 아민기와 실라놀기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표준형이다.
많은 의약 활성 물질은 아민기를 함유하기 때문에, 아민 적합형은 특히 TTS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소위 말단 봉쇄(end capping)(트리메틸실릴기 등의 적합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실라놀기를 불활성화함)된다.
유리 카복실기의 비율이 낮은 감압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가 대조구로서 사용되었다. 여기서 기술하는 가교제로 상기 아크릴레이트를 3차원 가교시키는 것은 종래 공지되어 있다.
하기의 배합물을 시험하였다:
가교제:Al-아세틸아세토네이트(% Al3+(W/W)) --- 0.01 0.025 0.05
감압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Durotak 387-2051 A11 A12 A13 A14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Bio-PSA Q7-4602 S31 --- --- S32
가교제:Ti-아세틸아세토네이트(% Ti4+(W/W)) --- 0.05 0.1 0.2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Bio-PSA Q7-4602 S11 S12 S13 S14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Bio-PSA Q7-4301 S21 S22 S23 S24
Al: 알루미늄; Ti: 티탄
상기에 표기한 가교제 농도는 건조된 접착제 중량에 대한 것이다.
Bio-PSA Q7-4602(Dow corning제)는 용매가 에틸아세테이트인 아민 비적합형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의 용액이다. 제품 4301은 아민 적합형이며, 용매가 헵탄이라는 점에서 제품 4602와 다르다. Durotak 387-2051(National Starch제)는 가교제가 첨가되지 않고, 또한 용매가 에틸아세테이트와 헵탄의 혼합물인 감압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의 용액이다.
접착제는 상기 접착제 용액에 티타닐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2% 용액(용매:에탄올) 또는 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4% 용액(용매:에틸아세테이트)을 첨가하고 이어서 혼합함으로써 제조한다.
상기 점질의 접착제 용액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Hostaphan RN100, Hoechst제)상에 적당한 필름 스트라이핑 프레임을 이용하여 박층으로 도포하고, 80℃ 배기 오븐에서 10분 동안 건조했다. 모든 배합물에 대하여, 상기 건조 필름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60g/㎡ ±5%가 되도록 층 두께를 조정하였다. 이것은 6mg/㎠, 층 두께는 약 60㎛에 상당한다.
상기 시험한 모든 감압 접착제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상에 코팅하면, 기계적으로는 거의 떼어낼 수 없는 접합을 이루었다. 또한, 불소 중합체(ScotchPak 1022, 3M제)로 코팅하여 비점착성 마감한 담지 필름상에 동일한 조건하에서 감압 접착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조건하에서는 상기 감압 접착제 필름은 상기 담지 필름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용이하게 뗄어낼 수 있어서, 다음 공정에 적용할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된 감압 접착제 내의 상기 가교제의 효과를 2개의 측정법으로 검사하였다.
감압 접착제와 표면과의 자발적인 점착력(tack)을 설명한다.
압력을 무리하게 가하지 않고 아주 단시간만 접촉시킨 후에 나타나는 자발적인 점착성은 감압 접착제의 유동성에 상당히 의존한다. 고 유동성은 신속한 접촉을 가능하게 하며, 기판 전체에 대하여 기판면의 세부 구조까지 덮게 하여, 그 결과 고 점착성을 나타나게 한다. 유동성이 점착성을 결정하는 유일한 특성은 아니지만, 그러나 가장 중요하다.
롤링 볼(rolling ball)법은 점착성을 나타내기 위한 적합한 측정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적합한 재료로 되며, 초기 속도를 갖는 볼을 구비한 후, 이 볼을 평면 담지체에 박막층으로 부착된 감압 접착제 위를 롤링시킨다.
감압 접착제의 점착성에 의존하는 이 감압 접착제의 브레이킹 효과에 의해 이 볼이 정지한 후에 거리를 산출하거나, 그외 상기 볼이 이 거리를 정지함이 없이 덮는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두번째의 결과는 볼이 달라붙는 특이한 과정에 의하여 왜곡되지 않는다.
상기 볼의 구름 시간(run time)을 적당한 경사각을 갖고, 59cm의 거리를 갖는 경사면(1cm의 강도를 갖는 유리판)상에서 측정했다. 상기 볼을 미리 거리 17.5cm로 한정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고정된 감압 접착제 필름상에서 롤링시켰다.
상기 구름 시간을 1/1000초의 표시 능력을 갖는 전자 시계를 이용하여, 모듈화된 2개의 적외선 배리어 사이에서 측정하였다.
도1에 나타낸 구름 시간은 경사각 35°에서, 직경 18mm의 고품질 철강제 롤링 소자의 베어링볼을 사용하여, 각 6번 측정하고 그 중간값으로서 구했다.
3종류의 접착제 모두에 대하여, 가교제 농도가 증가하면 구름 시간이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의 점착성은 예상한 바와 같이, 가교 즉 중합체의 유동성 저하 때문에, 가교제의 첨가에 의하여 감소되며, 이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A11-A14)의 가교에 대한 공지예에서도 분명히 알 수 있다.
이 현상은 특히 아민 비적합형 실리콘계 접착제(S11-S14)에서는 정확히 유지되지만, 아민 비적합형 실리콘계 접착제(S21-S24)에서도 한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가교는 알루미늄 농도가 0.05% 이하에서 특히 효과적이며, 또한 0.05%~0.1%에서도 효과적이다.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에 대한 가교제로서 티탄계 가교제 대신 알루미늄계 가교제를 사용하여도 같은 효과가 나타났다(도2).
또한, 제조된 감압 접착제 필름의 전단 강도를 시험하였다.
전단력(shear force)이 비가교된 선형의 유동성 중합체에 인가되면, 필름의 유동이 서서히 일어난다. 상기 전단이 너무 빠르지 않아서 상기 필름이 인열(tear)되지 않는다면, 일정한 전단력를 인가하는 경우 거의 일정한 유동 속도가 나타난다.
한편, 상기 중합체 쇄가 3차원 가교된 경우, 점성 부분은 거의 없어지고, 탄성 변형만이 일어날 수 있다. 전단력을 증가시키면, 중합체 구조의 기계적 인열이 일어나서 마침내 필름 전체가 인열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교된 감압 접착제 필름과 비가교된 감압 접착제 필름은 전단력에 대한 작용면에서 아주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이 작용을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된 감압 접착제 필름으로부터 직경 12mm의 둥근 조각을 커팅하여 잘라냈다. 이들 필름의 둥근 조각을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장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Hostaphan RN 100, Hoechst제)의 스트라이프 사이에 고정하였다.
이 배열을 통상의 인장 시험기(만능 시험기 81803, Frank,Weinheim제)에 클램핑한 후, 일정한 전단 속도 2.5mm/분 하에서, 시간당의 전단력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개별적인 6개 측정의 전단력/시간의 그래프를 각각 도4~도7에 나타낸다.
참조예로서의 폴리아크릴레이트의 경우, 비가교된 상태에서는 소정의 일정한 전단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짧은 시간 전단력이 인가된 후에, 일정한 전단력이 유지된다: 즉 중합체가 유동한다(도4).
한편 가교된 상태에서는 필름이 마침내 탄성적인 팽창을 넘어서, 필름이 인열되어 그 결과 전단력이 급속히 제로로 떨어질 때까지, 즉 탄성 변형하에서 상기 전단력은 급속히 증가한다(도5).
가교제 없는 실리콘 필름은 비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필름과 매우 유사한 모습을 나타낸다: 즉 일정한 전단력 하에서, 소정의 전단 속도가 유지된다. 다만 비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보다 필요한 전단력이 더 높은 레벨에 위치하며, 또한 휴지 상태로부터 유동 운동으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 베리어가 더 명확하다(도6). 이는 양 중합체의 쇄 길이가 다르고 또한 내부 분자간의 상호 작용력이 다름에 기인한다.
그러나 결정적인 것은 가교제 함유 실리콘 필름의 특징적인 변화에 기인한다. 상기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필름과 매우 유사하게, 상기 필름의 인열로 인하여 마침내 전단력이 제로로 떨어지는 탄성 변형하에서 전단력이 유지된다(도7).
이는 상기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 필름은 가교제 티타닐 아세틸아세톤의 첨가후에 더 이상 유동하기 않음을 입증하는 증거이다.

Claims (11)

1성분의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 용액을 평평한 형상의 담체(carrier)상에 코팅하고 건조하여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을 제조함에 있어서,
칼슘, 마그네슘, 아연, 알루미늄, 티탄,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으로 구성된 군 중의 하나의 금속 이온과 저분자량의 유기 착화합물 형성제(complex former)의 착화합물(complex)을 코팅할 유기 접착제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접착제 용액을 가열 및/또는 건조하는 경우에만, 상기 금속 이온이 상기 착화합물 형성제와의 결합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금속 첨가량이 상기 건조된 접착제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0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금속 첨가량이 상기 건조된 접착제 중량에 대하여 0.005~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의 제조 방법.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착화합물 형성제가 실질적으로 건조하는 동안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의 제조 방법.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를 20~120℃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의 제조 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필름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3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의 제조 방법.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착화합물 형성제가 아세틸아세톤이거나 또는 아세틸아세톤이 상기 착화합물 형성에 참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의 제조 방법.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합물에 참여하는 금속이 알루미늄 또는 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의 제조 방법.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실질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의 제조 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 내에 존재하는 유리 실라놀기가 적당한 말단 봉쇄(end capping)를 통하여 화학적으로 불활성으로되어 내아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의 제조 방법.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항 기재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감압 폴리실록산 접착제층을 갖는 층상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패치.
KR1020007009565A 1998-03-14 1999-02-26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 KR100566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1218.1 1998-03-14
DE19811218A DE19811218A1 (de) 1998-03-14 1998-03-14 Silikonhaftkleber mit vermindertem Kalten Flu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429A true KR20010041429A (ko) 2001-05-15
KR100566724B1 KR100566724B1 (ko) 2006-04-03

Family

ID=786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565A KR100566724B1 (ko) 1998-03-14 1999-02-26 저온 유동성이 감소된 감압 실리콘계 접착제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706390B1 (ko)
EP (1) EP1070104B1 (ko)
JP (2) JP4886929B2 (ko)
KR (1) KR100566724B1 (ko)
AT (1) ATE252623T1 (ko)
AU (1) AU742104B2 (ko)
CA (1) CA2322273C (ko)
DE (2) DE19811218A1 (ko)
DK (1) DK1070104T3 (ko)
ES (1) ES2212543T3 (ko)
HU (1) HUP0100993A3 (ko)
ID (1) ID26345A (ko)
IL (1) IL138415A (ko)
MY (1) MY133129A (ko)
NO (1) NO20004564L (ko)
NZ (1) NZ505907A (ko)
PL (1) PL343153A1 (ko)
SK (1) SK13482000A3 (ko)
TR (1) TR200002474T2 (ko)
WO (1) WO1999047619A1 (ko)
ZA (1) ZA9920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2689A1 (de) * 1999-11-02 2001-05-03 Cww Gerko Akustik Gmbh & Co Kg Schalldämmwand und Verwendung derselben
FR2849858B1 (fr) * 2003-01-10 2006-08-25 Kloe S A Composition servant de colle, son procede d'obtention et ses applications.
US8323258B2 (en) * 2007-07-27 2012-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Quiet adhesive fastening system for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6054013B2 (ja) 2008-02-27 2016-12-27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製剤
EP2921184A1 (de) * 2014-03-19 2015-09-2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Überpflaster mit verbesserter Verträglichkeit und einer langen Haftungsdau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6232413B2 (ja) * 2015-01-14 2017-11-15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粘着剤用帯電防止剤及び帯電防止性シリコーン粘着剤
JP6232454B2 (ja) * 2015-02-06 2017-11-15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剥離剤用帯電防止剤及び帯電防止性シリコーン剥離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0556A (en) 1978-10-27 1980-05-07 Toshiba Silicone Co Ltd Auto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coating using the same
GB8401016D0 (en) * 1984-01-14 1984-02-15 Hagen Perennatorwerk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US4690966A (en) * 1987-02-26 1987-09-01 Lord Corporation Heat activated silicon-based adhesive
US5232702A (en) 1991-07-22 1993-08-03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on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s and related medical devices
US5668212A (en) 1992-10-06 1997-09-16 Shizu Naito Aqueous organosiloxane liquid composition and its use
CA2141651A1 (en) * 1994-02-09 1995-08-10 Randall Paul Sweet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rmoplastic multi-segmented copolymer
JPH0959152A (ja) * 1995-08-18 1997-03-04 Teisan Seiyaku Kk 硝酸イソソルビド含有貼付剤
US6407195B2 (en) * 1996-04-25 2002-06-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ckified polydiorganosiloxane oligourea segmented copolymers and a process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0104A1 (de) 2001-01-24
CA2322273C (en) 2008-12-16
DK1070104T3 (da) 2004-02-16
NZ505907A (en) 2002-06-28
JP2009144164A (ja) 2009-07-02
IL138415A (en) 2005-12-18
CA2322273A1 (en) 1999-09-23
ZA992021B (en) 1999-09-27
HUP0100993A3 (en) 2001-11-28
JP4887383B2 (ja) 2012-02-29
AU3030499A (en) 1999-10-11
KR100566724B1 (ko) 2006-04-03
NO20004564D0 (no) 2000-09-13
PL343153A1 (en) 2001-07-30
US6706390B1 (en) 2004-03-16
TR200002474T2 (tr) 2000-12-21
MY133129A (en) 2007-10-31
DE59907457D1 (de) 2003-11-27
ATE252623T1 (de) 2003-11-15
SK13482000A3 (sk) 2001-02-12
EP1070104B1 (de) 2003-10-22
DE19811218A1 (de) 1999-09-16
NO20004564L (no) 2000-09-13
WO1999047619A1 (de) 1999-09-23
IL138415A0 (en) 2001-10-31
JP4886929B2 (ja) 2012-02-29
AU742104B2 (en) 2001-12-20
JP2002506916A (ja) 2002-03-05
ES2212543T3 (es) 2004-07-16
ID26345A (id) 2000-12-14
HUP0100993A2 (hu) 200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6038C (en) Hot-melt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related methods and articles
JP4887383B2 (ja) 減少されたコールドフローを有する感圧シリコーン接着剤
AU2016215180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CN102827503B (zh) 具有低摩擦系数的隔离涂层
JP5155900B2 (ja) 架橋型皮膚用粘着剤
US20150284597A1 (en) Hybrid Material of Crosslinked Microgel Particles Dispersed in an Adhesive
IE921863A1 (en) Nitroglycerine-plaster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JPWO2003068280A1 (ja) 医療用粘着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医療用テープ
WO2018026759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US5246997A (en) Method of making a hot-melt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coated substrate
US10406116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CA2139984A1 (en) Hot-melt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th siloxylated allyloxypropane diol copolymers as additives
WO2014046243A1 (ja) 貼付剤または貼付製剤用の支持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CA2141651A1 (en)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rmoplastic multi-segmented copolymer
JP2000327955A (ja) プライマー組成物及び当該プライマー組成物を用いた医療用粘着テープ若しくはシート
JPS5835113A (ja) 複合製剤
KR19990078393A (ko) 감압접착제및표면보호재
MXPA00008950A (en) Silicone contact adhesive with reduced cold flow
CZ20003328A3 (cs) Způsob zhotovení vrstvy polysiloxanového adhesivního lepidla se sníženým studeným tokem a jeho použití
FI3854388T3 (fi) Transdermaalinen hoitojärjestelmä, jossa on vaikuttava aine rotigotiini ja ainakin yksi ei-amiiniresistentti silikoniliima
JPS59172418A (ja) 複合製剤の製法
MXPA00003030A (en) Blen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