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288A - 엘리베이터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288A
KR20010041288A KR1020007009388A KR20007009388A KR20010041288A KR 20010041288 A KR20010041288 A KR 20010041288A KR 1020007009388 A KR1020007009388 A KR 1020007009388A KR 20007009388 A KR20007009388 A KR 20007009388A KR 20010041288 A KR20010041288 A KR 2001004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istway
elevator car
pulley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203B1 (ko
Inventor
홀로웰리챠드엘.
파고리챠드엔.
리베라제임스에이.
산세베로프랭크
세인트피에르부르스
Original Assignee
로이드 디. 도이간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031,108 external-priority patent/US6401871B2/en
Application filed by 로이드 디. 도이간,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로이드 디. 도이간
Publication of KR2001004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장착된 엘리베이터 장치(32)에 의해 추진되는 엘리베이터 카(16)와, 엘리베이터 카(16)를 현수하여 견인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 로프(22)를 포함한다. 다양한 로핑 배열과 조합된 평탄 로프를 사용하게 되면 엘리베이터카(16)를 추진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32)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크기가 작은 엘리베이터 장치가 보다 실질적이며,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서 비용 절감으로 나타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16)상의 엘리베이터 장치(32)는 엘리베이터 수리공에게 보다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종래의 견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와 평형추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있는 승강 로프의 대향 단부상에 현수된다. 상기 승강 로프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활차(sheave)에 의해 구동된다. 종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 장치는 기계실에 배치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기계실은, 장치를 수용하여 엘리베이터 수리공이 그 내부에 배치된 설비를 유지보수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승강로위에 배치된다.
빌딩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를 위한 기계실의 존재는 본 산업분야에서 점점 더 문제가 되고 있다. 첫째로, 기계실을 구축하는데는 빌딩 소유자에게 상당한 경비 지출을 필요로 한다. 둘째로, 부동산의 부족은 공간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공간 억제를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배려와 결점은 빌딩이 엘리베이터를 복합으로 포함하게 될 때 확대되며, 기계실을 각각 필요로 하게 되어 구축 비용을 증가시키고 빌딩에서 공간을 부가적으로 잠식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산업에서는 기계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운동이 일고 있다.
현존의 일부 시스템은 승강로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포함한다. 승강로에 현수된 장치에서의 한가지 결점은 장치의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점이다. 상기 엘레베이터 수리공은 승강로의 장치상에서 작업해야만 하므로 작업 환경이 매우 위험하다.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에 필요한 토오크를 충분히 상승하는데 요구되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너무 대형이고 값비싸고 무겁기 때문에,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디자인하려는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기계실(machine-roomless)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 카의 견인을 위해 평탄 로프(flat rope)를 사용하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어 이와 함께 이동하는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로프의 배치가 변경된 도 1 의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이들러 활차와 로프 배치가 상이한 도 2 의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는 로프의 배치가 변경된 도 3 의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활차와 로프 배치가 상이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 은 변경된 도 5 의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 은 다수의 코드가 구비된 다수의 평탄 로프와 견인 활차의 측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리공이 엘리베이터 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질적인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와 협력하여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견인 및 현수를 제공하는 다수의 평탄 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다수의 승강 로프와 결합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에 연합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활차와,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로에 현수하고 견인을 제공하는 다수의 아이들러 활차를 부가로 포함한다. 평탄 로프를 사용하게 되면 엘리베이터 장치의 직경과 크기에 대한 요구사항을 상당히 경감시키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탑재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빌딩 구조물에 고정부착된 승강 로프의 양 단부와, 구동 활차 속도와 엘리베이터 카 속도가 1:1 을 제공하는 승강로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아이들러 활차를 서술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는 구동 활차 속도와 엘리베이터 카 속도가 3:1 비율을 제공하도록 승강로에 배치된 다수의 아이들러 활차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는 3개의 요소에 의해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토오크 요구사항을 경감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는 평형추와 엘리베이터 카에 부착된 승강 로프의 단부와, 2가지 요소에 의해 구동 활차 속도와 엘리베이터 카 속도를 2:1 로 하여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견인과 현수를 제공하는 승강 로프와 결합하기 위해 승강로에 배치된 다수의 아이들러 활차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토오크 요구사항의 경감은 장치 크기의 감소를 초래하여 엘리베이터 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고 경량으로 되게 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기계실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엘리베이터 패널이 카에 제공될 때 수리공이 엘리베이터 카의 내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장치를 보수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승강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의 견인 및 현수를 위해 사용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에 있어서, 빌딩 구조물(14)의 승강로(12)에 배치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승강로(12)내에서 평형추(20)와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16)를 포함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16)와 평형추(20)는 도 1 에서는 단일의 로프(22)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일의 승강 로프나 다수의 승강 로프로 현수되어 있다. 상기 승강 로프(22)는 제 1 승강 로프 단부(24)와 제 2 승강 로프 단부(26)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로프 단부(24, 26)는 빌딩 구조물(14)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로프 단부(24, 26)는 빌딩 구조물(14)에 고정부착된 안내 레일(도시않음)에 부착될 수도 있다.
구동 활차(30)와 엘리베이터 장치(32)는 엘리베이터 카(16)에 장착된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32)는 엘리베이터 카(16)의 하부에 배치된다. 편향 활차(34)는 구동 활차(30)를 횡단하여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카(16)에 장착된다. 다수의 아이들러 활차(36, 38)는 승강 로프(22)를 승강로(12)내에 지향 및 안내한다.
승강 로프(22)의 제 1 단부(24)는 빌딩 구조물(14)에 고정되며, 승강 로프(22)는 엘리베이터 장치(3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활차(3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로프(22)는 편향 활차(34)를 통과한다. 상기 로프(22)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기와 구동 활차 주위로 단일 권취 또는 이중 권취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중 권취는 마모를 적게 하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 부가적인 견인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로프(22)는 빌딩 구조물(14)에 직간접으로 부착된 아이들러 활차(36)를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그후, 상기 로프(22)는 평형추(20)에 배치된 아이들러 활차(38)의 하부를 지나서, 빌딩 구조물(14)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로프 단부(26)에서 종료된다.
작동시, 엘리베이터 카(16)는 견인 및 현수를 위해 제공된 승강 로프(22)에 의해 승강로(12)를 통해 자체추진된다. 엘리베이터 장치(32)가 구동 활차(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로프(22)는 엘리베이터 카(16)를 승강로(12)에서 평형추(20)와는 선택적으로 상하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을 위한 기계실을 필요없게 한다. 이러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평탄 로프는 부가적인 견인을 제공하므로 보다 소형인 활차와 엘리베이터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행에 사용된 평탄 로프의 실시예는 1998년 2월 26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엘리베이터용 텐션 부재" 인 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제 09/031,108 호에 서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었다. 소형인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시스템(10)의 비용을 경감시킬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장치의 크기와 중량을 감소시키므로, 따라서 엘리베이터 장치(32)와 엘리베이터 카(16)를 같이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견인과 현수를 위해 승강 로프(22)를 사용하게 되면 2세트의 로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3 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110)은 내부에 장착된 엘리베이터 장치(132)에 의해 추진되는 엘리베이터 카(1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132)는 장치(132)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 구동 활차(130)를 구동시킨다.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110)은 편향 활차(134)와 다수의 아이들러 활차(135-141)를 포함한다. 상기 아이들러 활차(135, 136)는 엘리베이터 카(116)에 고정부착되며, 아이들러 활차(139, 141)는 평형추(120)에 부착된다. 아이들러 활차(137, 138, 140)는 빌딩 구조물(114)에 직간접으로 장착된다. 승강 로프 단부(124, 126)도 빌딩 구조물(114)에 직간접으로 장착된다. 먼저, 승강 로프(122)는 아이들러 활차(135, 136)를 통과한 후 아이들러 활차(137)를 통과한다. 그후, 상기 로프(122)는 구동 활차 및 편향 활차(130, 134) 주위로 권취된다. 이어서, 상기 로프(122)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기와 구동 활차 주위로 단일 권취되거나 이중 권취된다.
작동시, 엘리베이터 장치(132)는 로프(122)를 구동하는 구동 활차(130)를 회전시키므로써, 엘리베이터 카(116)를 승강로(112)내에서 추진시킨다. 이러한 로프 배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부가하여 또 다른 장점을 제공한다. 즉, 이러한 로프 배치는 구동 활차 속도와 엘리베이터 카 속도비를 3:1 로 하므로써,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토오크 요구를 감소시켜 보다 작은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엘리베이터 장치 크기의 부가적인 감소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서, 비용 감소는 물론이거니와 엘리베이터 장치에 필요로 하는 중량과 크기의 감소를 제공한다.
도 5 및 도 6 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210)은 승강 로프(222)에 의해 현수된 평형추(220)와 엘리베이터 카(216)를 포함한다. 상기 로프(222)는 엘리베이터 카(216)에 고정된 제 1 로프 단부(224)와, 평형추(220)에 고정된 제 2 로프 단부(226)를 포함한다. 상기 로프(222)는 구동 활차(230)를 통해 엘리베이터 장치(232)에 의해 구동된다. 엘리베이터 장치(232)와 구동 활차(230)는 엘리베이터 카(216)에 장착된다. 편향 활차(234)는 엘리베이터 카(216)에 부착된다. 다수의 아이들러 활차(235-238)는 승강로(212)내에 배치된다. 아이들러 활차(235, 236, 238)는 승강로(212)의 상부에서 빌딩 구조물(214)에 직간접으로 고정되며, 아이들러 활차(237)는 승강로(212)의 하부에서 빌딩 구조물(214)에 직간접으로 고정된다. 접근 패널(250)은 엘리베이터 카(216)내에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장치(232)로의 접근을 허용한다.
승강 로프(222)의 단부(224)가 먼저 엘리베이터 카(216)에 부착되고, 그후 로프(222)는 아이들러 활차(235, 236)를 통과한 후 편향 활차 및 구동 활차(234, 230)를 통과한다. 이어서, 상기 로프(222)는 구동 활차(237, 238)로 안내되어 평형추(220)에서 종료된다. 이러한 로프 배치는 구동 활차 속도 대 엘리베이터 카 속도비를 2:1 로 하므로써,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토오크 요구를 경감시켜 보다 작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장점중 한가지는 서술된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유지보수공이 엘리베이터 장치를 매우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그 제공된 접근 패널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부터 접근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상술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된 로프의 평탄함에 있다. 특징비율(aspect ratio)의 증가는 폭(w)이 한정된 결합면을 갖는 로프 즉, 로프 압력을 최적으로 분배하는 로프로 귀결된다. 따라서, 최대 로프압력은 로프내에서 최소화된다. 또한, 1과 동일한 특징비율을 갖는 둥근 로프에 대한 특징비율을 증가시키므로써, 평탄 로프(도 7)의 두께(t1)는 로프에 텐션 로드를 지지하는 로프 부분의 일정한 단면적을 유지할동안 감소하게 된다.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 로프(722)는 공통의 코팅층(728)내에 내장된 다수의 개별적인 부하 이송 코드(726)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728)은 각각의 코드(726)를 분리시키며, 견인 활차(724)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면(730)을 형성한다. 부하 이송 코드(726)는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고강도 경량의 비금속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얇은 고탄소 스틸 섬유와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요성을 최대로 하고 코드(726)의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드(726)의 두께(d)를 가능한한 얇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틸 섬유로 형성된 코드에 대해, 섬유 직경은 직경이 0.25 ㎜ 이하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0.2 ㎜ 가 양호하다. 이와 같은 직경을 갖는 스틸 섬유는 코드와 로프의 가요성을 개선한다. 이러한 재료의 중량, 강도, 내구성, 특히 가요성을 평탄 로프에 연합하므로써, 견인 활차 직경(D)은 최대 로프 압력을 허용가능한 한계치내에 유지할동안 감소시킨다.
결합면(730)은 견인 활차(724)의 대응면(750)과 접촉하게 된다. 코팅층(728)은 각각의 개별적인 코드(726)가 다른 코드(726)에 대해 길이방향 이동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코드(726)를 통해 압출되는 열가소성 우레탄과 같은 폴리우레탄 재료로 형성된다. 필요로 하는 코팅층 기능 즉, 견인, 마모, 코드로의 견인 부하 전동, 환경적 요소에 대한 저항 등에 부응할 수만 있다면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코팅층으로서는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만일 열가소성 우레탄의 기계적 특성을 초과하거나 이에 부응할 수 없다면, 평탄 로프를 사용하므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은 감소된다. 열가소성 우레탄 기계적 특성에 의해, 견인 활차(724)의 직경은 100 ㎜ 이하로 감소될 수도 있다.
평탄 로프(722)의 형태로 인해, 로프 압력은 로프(722)를 통해 훨씬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다수의 소형 코드(726)를 평탄 로프 엘라스토머 코팅층(728)에 연합하므로써, 각 코드(726)상에서의 압력은 종래 로프에 비해 상당히 경감된다. 코드 압력은 적어도 n 으로 감소되며, 여기서 n 은 주어진 부하와 와이어 단면에 대해 평탄 로프에서의 평행 코드수이다. 따라서, 평탄 로프에서의 최대 로프 압력은 유사한 부하 이송능력을 갖는 종래 로프형 엘리베이터에비해 상당히 경감된다. 또한, 효과적인 로프 직경(d)(벤딩 방향으로 측정)은 등가의 부하 인내능력으로 감소되며, D/d 비율의 감소없이도 활차 직경(D)에 대한 보다 작은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활차 직경(D)의 최소화는 비용과 크기를 축소시키고 구동 장치로서 고속 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제 7 도에는 평탄 로프(722)를 수용하는 형태의 견인면(750)을 갖는 견인 활차(72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면(750)은 평탄 로프(722)와 활차(724) 사이의 결합을 안내하고 견인을 제공하기 위해 상보적 형태를 취한다. 견인 활차(724)는 활차(724)의 대향측에 배치된 한쌍의 림(744)과, 인접한 평탄 로프 사이에 배치된 하나이상의 디바이더(745)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 활차(724)는 림(744)과 디바이더(745) 사이의 공간내에 수용되는 라이너(742)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너(742)는 라이너(742)와 평탄 로프측 사이에 측방향 간극(754)이 형성되도록 결합면(750)을 형성한다. 상기 라이너와 함께 디바이더와 림(744)의 쌍은 느슨한 로프 상태에서 정렬에 관한 조잡한 문제점들을 방지하기 위해 평탄 로프(722)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라이너없는 견인 활차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구동 활차 및 편향 활차의 위치는 상호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16, 116)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장치(32, 132)는 측부, 또는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기타 엘리베이터상의 어디라도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장치(232)의 위치도 변화될 수 있다.

Claims (11)

  1. 빌딩 구조물의 승강로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내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견인 및 현수를 제공하기 위한 평탄한 승강 로프와,
    상기 평탄한 승강 로프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연결되어 승강 로프와 결합하는 구동 활차와, 구동 활차속도 대 엘리베이터 카 속도비를 1:1 로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배치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된 다수의 아이들러 활차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연결되어 승강 로프와 결합되는 구동 활차와, 구동 활차속도 대 엘리베이터 카 속도비를 2:1 로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배치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된 다수의 아이들러 활차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연결되어 승강 로프와 결합되는 구동 활차와, 구동 활차속도 대 엘리베이터 카 속도비를 3:1 로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배치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된 다수의 아이들러 활차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내에서 엘리베이터 카와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평형추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내에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유지보수공이 엘리베이터 카의 내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장치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접근 패널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빌딩 구조물의 승강로에 배치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내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견인 및 현수를 제공하기 위한 승강 로프와,
    상기 승강 로프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연결되어 승강 로프와 결합하는 구동 활차와,
    구동 활차속도 대 엘리베이터 카 속도비를 2:1 로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배치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된 다수의 아이들러 활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빌딩 구조물의 승강로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내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승강로내에서 엘리베이터 카와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평형추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연결된 구동 활차와,
    상기 구동 활차에 인접하여 배치된 편향 활차와,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승강로의 상부에서 빌딩 구조물에 고정부착된 제 1 아이들러 활차와,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승강로의 상부에서 빌딩 구조물에 고정부착된 제 2 아이들러 활차와,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승강로의 바닥부에서 빌딩 구조물에 고정부착된 제 3 아이들러 활차와,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승강로의 상부에서 빌딩 구조물에 고정부착된 제 4 아이들러 활차와,
    엘리베이터 카에 부착된 제 1 승강 로프 단부와 평형추에 부착된 제 2 승강 로프 단부와 중간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아이들러 활차는 제 1 아이들러 활차와 이격되고, 상기 제 4 아이들러 활차는 제 1 및 제 2 아이들러 활차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 로프의 중간부는 구동 활차 및 편향 활차와 결합하고, 상기 제 1 승강 로프 단부는 편향 활차와 결합하기 전에 제 1 및 제 2 아이들러 활차와 결합되고, 상기 승강 로프의 제 2 단부는 구동 활차와 결합하기 전에 제 3 및 제 4 아이들러 활차와 결합되며, 상기 승강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와 평형추를 현수하여 견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007009388A 1998-02-26 1999-02-19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619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31,108 US6401871B2 (en) 1998-02-26 1998-02-26 Tension member for an elevator
US09/031,108 1998-02-26
US16378598A 1998-09-30 1998-09-30
US09/163,785 1998-09-30
US09/218,990 US6739433B1 (en) 1998-02-26 1998-12-22 Tension member for an elevator
US09/218,990 1998-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288A true KR20010041288A (ko) 2001-05-15
KR100619203B1 KR100619203B1 (ko) 2006-09-05

Family

ID=2670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388A KR100619203B1 (ko) 1998-02-26 1999-02-19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9203B1 (ko)
TW (1) TW47489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320B1 (ko) * 1999-11-18 2002-06-12 장병우 엘리베이터
KR102308532B1 (ko) * 2021-06-01 2021-10-0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2308534B1 (ko) * 2021-06-01 2021-10-0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80964A (en) 2002-09-05 2010-11-30 Inventio Ag Drive engine for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unting a drive engine
FI124541B (fi) * 2011-05-18 2014-10-15 Kone Corp Hissijärjeste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33120A1 (de) * 1973-06-29 1975-01-23 Rudolf Dr Ing Vogel Treib- und/oder umlenkrollen fuer stahlbaender als traeger von transportmitteln
FI99264C (fi) * 1995-09-21 1998-02-10 Kone Oy Konehuoneeton vetopyörähissi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320B1 (ko) * 1999-11-18 2002-06-12 장병우 엘리베이터
KR102308532B1 (ko) * 2021-06-01 2021-10-0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2308534B1 (ko) * 2021-06-01 2021-10-0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4892B (en) 2002-02-01
KR100619203B1 (ko) 200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6679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EP1056675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between elevator car and hoistway sidewall
US6193016B1 (en) Dual sheave rope climber using flat flexible ropes
KR20010041286A (ko) 유연한 평탄 로프를 사용하는 이중 활차 로프 승강기
US20040035645A1 (en) Elevator
KR100971519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EP1056676B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EP1451090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CN101224834A (zh) 在竖井中电梯轿厢一个在另一个的上方的电梯
EP1042209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WO1999043601A2 (en) Dual sheave rope climber using flat flexible ropes
CN1098981C (zh) 索偏转单元和适用的合成纤维索及其应用
EP1097101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hoistway
JP2004001919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19203B1 (ko)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
EP1042211A1 (en)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KR100567688B1 (ko) 드라이브 인 평형추를 갖는 벨트 클라이밍 엘리베이터
EP1911715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hoistway
EP1676807A2 (en) Elevator system with overhead drive motor
CN1264740C (zh) 电梯装置
KR20010041323A (ko) 승강로 측벽과 엘리베이터 카 사이에 위치된 구동 모터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EP1604938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