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723A -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723A
KR20010040723A KR1020007008606A KR20007008606A KR20010040723A KR 20010040723 A KR20010040723 A KR 20010040723A KR 1020007008606 A KR1020007008606 A KR 1020007008606A KR 20007008606 A KR20007008606 A KR 20007008606A KR 20010040723 A KR20010040723 A KR 20010040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ggregate
controller
unit
functiona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끼히꼬 아오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4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Abstract

IEEE(1394)로써 네트워크화된 복수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있어서, 제어 최소 단위인 FCM의 리스트와, FMC의 선두 어드레스를 등록 관리하는 발송원과, 타겟 디바이스의 특성 등을 저장한 리스트와, 요구된 제어 내용에 맞추어 상기 리스트로부터 원하는 FCM의 집합체를 생성하는 DCM과, 그 집합체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5)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을 변경해도, 타겟 디바이스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게 되거나 불필요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성이 좋은 조작성을 실현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NTROL}
종래부터, 예를 들면 소위 이더넷이나 IEEE(1394) 등에 의해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에는 다른 기기를 컨트롤할 수 있는 기기(이하, 컨트롤러라고 함)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기기(이하, 타겟 디바이스라고 함)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와 타겟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할 때, 상기 컨트롤러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타겟 디바이스에 컨트롤 신호(커맨드)를 송신한다. 그리고,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컨트롤 신호를 수신했다면, 그 컨트롤 신호의 내용에 따라 동작하고, 그 결과를 컨트롤러에게 통지한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가 테트워크를 경유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제어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컨트롤러의 어느 한 특정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이하, 단순히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에 관계하는 기능을 미리 구비해야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컨트롤러의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그 변경 후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지 않을 때,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는 그 내용 변경 후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없게 되거나, 또한 사용되지 않게 되는 기능이 발생하여 필요없게 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예를 들면 컨트롤러가 제어하는 타겟 디바이스의 대수가 증가하는 경우, 컨트롤러에서는 보다 많은 자원이 필요해지고, 이들 모든 자원을 구비하도록 하면 비용 상승이 된다. 한편, 자원을 적게 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한정된 사용 방법밖에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는 필요하지 않은 기능을 불필요하게 자원에 할당하는 경우도 존재하게 되고, 이 경우 시스템 전체의 효율이 나빠져 사용자와의 친화성이 저하된다.
이들은 예를 들면, 가전 기기와 같이 한정된 자원으로 사용성이 좋은 조작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모순되는 조건이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을 변경하여도, 타겟 디바이스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게 되거나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게 하여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성이 좋은 조작성을 실현하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화된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으로서, 제어의 최소 단위의 기능을 실행하는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를 준비하고, 요구된 제어 내용에 맞추어 상기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로부터 원하는 단위 제어 정보의 집합체를 생성하고, 상기 단위 제어 정보의 집합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제어 방법으로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개시할 때에만, 상기 요구된 제어 내용에 맞추어 상기 집합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가 종료했을 때, 상기 집합체를 해방(解放)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제어 방법으로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실행하는 중에, 필요에 따라 상기 집합체의 새로운 생성과 상기 새롭게 생성한 집합체를 해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제어 방법으로는 상기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에 대해 미리 우선 순위를 정의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집합체의 생성과 상기 우선 순위의 역순위로 하여 상기 생성한 집합체를 해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제어 방법으로는 복수의 각 제어 대상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상기 집합체를 상기 각 제어 대상 기기 개개에 생성, 혹은 상기 각 제어 대상 기기가 공유하는 단위 제어 정보로 이루어지는 집합체와 그 밖의 집합체로 세분화하여 생성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화된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 장치로서, 제어의 최소 단위의 기능을 실행하는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요구된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요구된 제어 내용을 네트워크를 통해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요구된 제어 내용에 맞추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한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 중에서 원하는 단위 제어 정보의 집합체를 생성하는 집합체 생성 수단과, 상기 단위 제어 정보의 집합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집합체 생성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개시할 때에만, 상기 요구된 제어 내용에 맞추어 상기 집합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가 종료했을 때, 상기 집합체를 해방한다.
또한, 상기 집합체 생성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실행 중에, 필요에 따라 상기 집합체의 새로운 생성과 상기 새롭게 생성한 집합체를 해방한다.
또한, 상기 집합체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에 대해 미리 우선 순위를 정의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집합체의 생성과 상기 우선 순위의 역순위로서 상기 생성한 집합체를 해방한다.
또한, 상기 집합체 생성 수단은 복수의 각 제어 대상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상기 집합체를 상기 각 제어 대상 기기 개개에 생성, 혹은 상기 각 제어 대상 기기가 공유하는 단위 제어 정보로 이루어지는 집합체와 그 밖의 집합체로 세분화하여 생성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소위 이더넷이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미국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 : 1394 )등에 의해 네트워크화된 복수의 기기의 관리 및 제어를 행할 때에 적합한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시스템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으로써 요구된 기능 성분 모듈을 할당하기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개시 후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가 적용되는 제1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의 구성 수단의 일례로서 IEEE(1394)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 도 1에 있어서, 컨트롤러(1)는 어플리케이션(2)과,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DCM : 3)과,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리스트(7)와, 큐(4)와, 발송원(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에 리스트화되어 있는 기능 성분 모듈(FCM)은 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의 기능을 분할·세분화한 것으로, 이들 분할·세분화된 기능의 ID로 제어하는 방법이 정의되고 있다. 즉, 기능 성분 모듈은 컨트롤러(1)의 최소 단위의 기능에 상당하고,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준비되어 있다. 또, 상기 기능 성분 모듈이 소프트웨어로서 준비되는 경우에는 어떤 어드레스 공간에 ROM으로서 실장되고, 또한 하드웨어로서 준비되는 경우에는 그 하드웨어를 동작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내의 내부 레지스터가 어느 한 어드레스 공간에 준비된다. 이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에 있어서는 복수의 각 기능 성분 모듈 a, b, c, d, e, … 에 대해 각각 적어도 선두 어드레스와 라벨이 대응되어 있고, 따라서 이들 각 선두 어드레스 및 라벨 중 원하는 선두 어드레스 및 라벨을 지정함으로써, 각 기능 성분 모듈 a, b, c, d, e, …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에는 기능 성분 모듈(FMC)의 실체가 리스트화된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DCM : 3)은 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를 추상화한 것으로, 그 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가 어떠한 제어를 할 수 있을지 정의하고, 그 제어에 대응하는 기능 성분 모듈의 ID가 할당되어 있다. 논리 모델에서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은 기능 성분 모듈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은 어플리케이션(2)이 요구하는 기능을 확인하고, 네트워크로부터의 이벤트의 내용을 판단한다. 또, 도 1의 경우,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에는 일례로서 기능 성분 모듈 a, b, c의 ID가 할당되어 있다.
한편, 발송원(5)는 실제로 제어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이 할당되어 있고, 기능 성분 모듈의 선두 어드레스와 라벨을 포함하는 기능 정보 F1, F2, ···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발송원(5)은 의뢰가 있던 처리의 태스크(제어 프로세스) 스케줄, 자원 할당의 최적화를 행한다. 또, 도 1의 예의 경우, 발송원(5)에는 기능 정보 F1로서, 기능 성분 모듈 a, b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고, 기능 정보 F2로서, 기능 성분 모듈 d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발송원(5)은 어플리케이션(2)의 요구에 따라, 상기 등록된 기능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기능 성분 모듈의 기능을 선택한다. 또한, 발송원(5)은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의 의뢰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코멘트를 사용하여 트랜잭션 관리를 행한다.
큐(4)는 상기 요구나 이벤트의 정보를 보유한다.
어플리케이션(2)은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에 제어 요구를 행한다. 이 때의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은 요구된 제어를 이해하고, 그것에 적합한 기능 성분 모듈을 선출하고, 그 기능 성분 모듈에 처리를 의뢰한다. 또한, 이 때의 발송원(5)은 실제로 제어 커맨드를 사용하여 통신의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그 트랜잭션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서,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로 그 결과를 통지하고, 또한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4)은 그 내용을 어플리케이션으로 통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어플리케이션(2)이 제어 대상 기기로 직접 커맨드를 사용하여 통신함으로써 쓸데 없는 통신 트래픽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리스트(7)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각 타겟 디바이스의 특성 및 성능에 관한 정보(이하, 타겟 정보 TD라고 함)를 네트워크 경유로 수집하여 리스트화한다. 또, 도 1의 예에서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겟 디바이스 중, 2개의 타겟 디바이스(31, 32)만을 나타내고 있고, 타겟 디바이스(31)의 타겟 정보를 TD1, 타겟 디바이스(32)의 타겟 정보를 TD2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시스템은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 발송원(5), 큐(4)를 구비한 예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하여,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의 상태를 알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능 성분 모듈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버퍼(8)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여,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이 도 2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시스템은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이 네트워크의 통신 시간에 의존하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타겟 디바이스의 상태를 조사하고, 그 정보를 버퍼(8)에 저장해 두고, 어플리케이션(2)으로부터의 조회시에, 그 버퍼(8) 내의 정보를 대답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예이다. 또 이 경우에는 버퍼등의 자원이 여분으로 필요하게 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2)이 타겟(1), 디바이스를 제어할 뿐,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타겟 디바이스의 상태를 알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에, 타겟 디바이스의 조회하여 기능 성분 모듈의 기능 정보만을 등록하도록 하고, 도 2와 같은 버퍼(8)를 실장할 필요가 없는 저비용 또한 간단한 시스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1)가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로서 가상적인 (추상화한) 타겟 디바이스의 모듈을 생성하고, 어플리케이션(2)으로써 요구된 기능 성분 모듈을 할당하여, 어플리케이션(2)의 실행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과정과, 그 기능 성분 모듈의 해방 및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의 해방의 과정(플로우차트)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또, 도 3 및 도 4의 플로우차트는 본래 1개의 도면으로 도시되어야 하는 것이지만, 지면을 고려하여 2개의 도면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도 3 및 도 4에서, 컨트롤러(1)는 우선 스텝 S1에서 네트워크의 구성이 변화한 것을 검출하면, 다음의 스텝 S2의 처리로 진행한다.
컨트롤러(1)는 스텝 S2에서, 타겟 디바이스가 실장되어 있는 기능이나 메이커명이나 제품명등의 부가 정보를 타겟 정보 TD로서 조사한다.
또한, 컨트롤러(1)는 스텝 S3에서, 스텝 S2의 작업으로 얻은 타겟(1), 정보 TD를 네트워크 디바이스 리스트(7)에 등록하여 보유한다. 또, 이 시점에서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을 생성하지 않는다.
이어서, 컨트롤러(1)는 스텝 S4에서,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2)의 기동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어플리케이션(2)이 기동되었다고 판정했으면, 스텝 S5의 처리로 진행한다.
컨트롤러(1)는 스텝 S5의 처리로 진행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리스트(7)의 타겟 정보 TD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2)에 의한 제어 대상의 타겟 디바이스를 선출한 후, 그 제어 대상의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을 생성하고, 스텝 S6의 처리로 진행한다.
컨트롤러(1)는 스텝 S6의 처리로 진행하면, 상기 타겟 정보와 자기의 자원에 맞추어,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 중에서 기능 성분 모듈을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하나 선택한다. 또, 이 때, 필요하면, 도 2의 버퍼(8)의 할당도 행한다.
이어서, 컨트롤러(1)는 스텝 S7에서, 상기 선택한 기능 성분, 모듈이 어플리케이션(2)에 필요한지의 여부(어플리케이션(2)의 요구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필요없을 때는 스텝 S6의 처리로 복귀하고, 필요할 때는 스텝 S8의 처리로 진행한다.
컨트롤러(1)는 스텝 S8의 처리로 진행하면, 상기 기능 성분 모듈의 기능을 타겟 디바이스가 이미 실장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이 스텝 S8의 판정에서, 타겟 디바이스가 이미 실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의 처리로 진행하고, 한편, 실장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의 처리로 복귀한다.
컨트롤러(1)는 스텝 S9의 처리로 진행하면, 사용되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 ID와 함께, 스텝 S6에서 선택된 기능 성분 모듈의 선두 어드레스와 라벨을 기능 정보로 하여 발송원(5)에 등록한다. 즉, 컨트롤러(1)는 필요한 기능 성분 모듈을 발송원(5)에 등록하는 경우, 필요하면 버퍼(8)나 큐(4)의 할당을 행하고, 또한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 ID도 반드시 등록한다. 이에 따라, 사용하고 있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은 명확해진다. 그리고,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에는 발송원(5)에 등록한 기능 성분 모듈 ID를 등록한다.
여기까지의 처리에 따라,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과 발송원(5)에는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로부터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기능 성분 모듈이 등록되게 된다.
단, 예를 들면 자원 부족등의 이유로부터 발송원(5)으로의 등록이나 버퍼(8)에의 할당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컨트롤러(1)는 상기 스텝 S9와 동시에 스텝 S10에서, 발송원(5)으로의 등록(버퍼(8)의 할당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할당)이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스텝 S10에서, 발송원(5)으로의 등록[필요에 따라 버퍼(8)의 할당]이 완료했다고 판정한 경우, 컨트롤러(1)의 처리는 스텝 S12로 진행한다.
컨트롤러(1)는 스텝 S12의 처리로 진행하면, 기능 성분 모듈의 ID를 디바이스 컨트롤러 모듈(3)에 등록한 후, 스텝 S13이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0에서 등록(할당)이 완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등록이나 할당을 할 수 없는 기능이 있는 경우), 컨트롤러(1)는 스텝 S11 이행의 처리로 진행하고, 다른 제어 대상의 타겟 디바이스에 할당한 우선 순위가 낮은 기능을 해방하여 재차 할당 작업을 행하도록 한다. 또, 자원 부족등의 이유로부터 발송원(5)으로의 등록이나 버퍼(8)에의 할당을 할 수 없는 경우, 컨트롤러(1)는 예를 들면 그 취지를 나타내는 경고를 내어 상기 등록이나 할당 작업을 종료하도록 해도 좋다.
컨트롤러(1)는 스텝 S11의 처리로 진행하면, 다른 타겟 디바이스에 할당한 우선 순위가 낮은 기능(기능 성분 모듈)을 해방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예를 들면 해방이 가능하여 상기 기능을 해방하는 것을 결정했을 때에는 스텝 S14 이후의 처리로 진행하고, 그 기능 성분 모듈의 기능을 해방한 후, 스텝 S9의 처리로 복귀한다.
즉, 컨트롤러(1)는 스텝 S14의 처리로 진행하면, 발송원(5)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성분 모듈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컨틀롤 모듈 ID를 키로 하여 각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에 등록되어 있는 불필요한 기능 성분 모듈 ID를 삭제한다.
이어서, 컨트롤러(1)는 스텝 S15의 처리로서, 발송원(5)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성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 ID를 삭제한다. 즉, 컨트롤러(1)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이 관리하는 모든 기능 성분 모듈이 불필요해진 경우에만, 그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 ID를 삭제한다.
그 후, 컨트롤러(1)는 스텝 S16의 처리로서, 발송원(5)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성분 모듈의 실체를 해방한 후, 스텝 S9의 처리로 복귀한다.
한편, 스텝 S11로써 해방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3이 처리로 진행한다.
컨트롤러(1)는 스텝 S13의 처리로 진행하면, 기능 성분 모듈로부터 봤을 때,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기능 성분 모듈을 전부 선출하여 등록했는지의 여부(즉 기능 성분 모듈의 집합체를 생성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아직 전부 선출하지 않을 때에는 스텝 S6의 처리로 복귀하고, 전부 선출했을 때에는 스텝 S17이 처리로 진행한다. 또, 상술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에 기능 정보를 등록할 때에, 상기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로부터 하나씩 기능 성분 모듈을 선출하여 판단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리스트(7)에 등록되어 있는 타겟 디바이스의 부가 정보(예를 들면 테이프 미디어 등에 저장된 타겟 정보)에 기초하여, 관계하는 최고 우선 순위의 기능 성분 모듈의 기능 정보만을 일괄하여 등록(할당)하도록 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2)이 필요로 하는 기능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필요하게 되었을 때에 추가 할당을 행하도록 하면 된다.
컨트롤러(1)는 어플리케이션(2)에 필요한 기능 성분 모듈을 전부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과 발송원(5)에 등록한 시점, 혹은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로부터 모든 기능 성분 모듈을 선출한 시점에서, 스텝 S17의 처리로서, 어플리케이션(2)에 등록 수속이 완료된 취지의 통지를 행한다. 또, 이 통지로서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에 필요한 기능 성분 모듈을 전부 등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구별하여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텝 S17에서 등록 수속 완료의 통지를 행한 후, 컨트롤러(1)는 스텝 S18(도 4의 스텝 S20)의 처리로 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개시 처리로 이행한다.
컨트롤러(1)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처리를 개시하면, 도 4의 스텝 S21의 처리로서, 미등록의 기능 성분 모듈의 기능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어플리케이션(2)이 요구한 기능 성분 모듈이 해당하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에 기능 성분 모듈로서 등록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21의 처리에서, 미등록이 존재하는 경우, 컨트롤러(1)는 스텝 S24의 처리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의 처리로 진행한다.
컨트롤러(1)는 스텝 S22의 처리로 진행하면, 기능 성분 모듈의 ID를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에 등록한 후, 스텝 S23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1의 처리에서, 미등록의 기능 성분 모듈이 존재한다고 판정했을 때, 컨트롤러(1)는 스텝 S24에서 그 미등록의 기능 성분 모듈의 기능 정보를 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타겟 디바이스)로부터 기능 성분 모듈을 직접 업 로드함으로써, 발송원(5)에 등록한다.
그 후, 컨트롤러(1)는 스텝 S25의 처리로서, 등록이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등록이 완료했을 때에는 스텝 S22의 처리로 진행하고, 등록이 완료하지 않을 때에는 스텝 S26의 처리로 진행한다.
컨트롤러(1)는 스텝 S26의 처리로 진행하면, 다른 타겟 디바이스에 할당된 우선 순위가 낮은 기능(기능 성분 모듈)을 해방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예를 들면 해방이 가능하여 상기 기능을 해방하는 것을 결정했을 때에는 스텝 S32 이후의 처리로 진행하고, 그 기능 성분 모듈의 기능을 해방한 후, 스텝 S24의 처리로 복귀한다.
즉, 컨트롤러(1)는 스텝 S32의 처리로 진행하면, 발송원(5)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성분 모듈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 ID를 키로 하여 각 디바이스컨트롤 모듈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성분 모듈 ID를 삭제한다.
이어서, 컨트롤러(1)는 스텝 S33의 처리로서, 발송원(5)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성분 모듈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 ID를 삭제한다. 즉, 컨트롤러(1)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이 관리하는 모든 기능 성분 모듈이 불필요해진 경우만, 그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 ID를 삭제한다.
그 후, 컨트롤러(1)는 스텝 S34의 처리로서, 발송원(5)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성분 모듈의 실체를 해방한 후, 스텝 S24의 처리로 복귀한다.
한편, 스텝 S26에서 해방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컨트롤러(1)는 스텝 S41의 처리로 진행하고, 사용자에 대해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 발송원에 미등록의 기능 성분 모듈이 있는 것을 경고하고, 또한 스텝 S42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지를 조회한다.
이어서, 컨트롤러(1)는 스텝 S43에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강제 종료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강제 종료의 경우에는 스텝 S27의 처리로 진행하고, 한편 강제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3의 처리로 진행한다.
여기서, 스텝 S21에서 미등록의 기능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고, 또한 스텝 S22에서 등록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 즉 타겟, 디바이스의 가상 모듈이 생성된 것이 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컨트롤러(1)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개시되고, 어플리케이션(2)으로부터의 요구로서 상기 라벨에 따른 지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등록된 기능 정보의 라벨에 대응한 선두 어드레스에 의해,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로부터 대응하는 기능 성분 모듈이 선택되고, 그 기능 성분 모듈로써 제어 프로세스가 개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개시된 후, 스텝 S23의 처리로 진행하면, 컨트롤러(1)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했을 때에는 스텝 S27의 처리로 진행하고, 실행중이라고 판정했을 때는 스텝 S21의 처리로 복귀한다.
스텝 S23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했다고 판정된 경우, 즉 타겟 디바이스의 제어가 필요없게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컨트롤러(1)는 스텝 S27의 처리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종료에 관련하여 먼저 생성된,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과 버퍼(8)등의 정보를 해방한다. 즉, 컨트롤러(1)는 발송원(5)에 등록한 기능 정보나, 버퍼(8)의 할당, 큐(4)에 보유한 정보를 모두 해방한다. 또, 타겟 디바이스의 제어가 필요없게 된 경우에는 그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의 내용을 전부 해방해도 좋지만, 재차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했을 때에, 곧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을 기능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 리스트(7)에, 이전 할당된 기능 성분 모듈을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를 보존해 두는 기능을 구비해도 좋다.
그 후, 컨트롤러(1)는 스텝 S28의 처리에서, 스텝 S27로써 해방된 디바이스컨트롤 모듈 ID를 기초하여, 발송원(5)에 등록되어 있던 기능 성분 모듈과 큐를 선택하고, 다음 스텝 S29의 처리에서, 이들 다른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9에서 다른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이 사용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컨트롤러(1)는 스텝 S31의 처리로서, 사용하고 있는 기능 성분 모듈을 전부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전부 선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한편 전부 선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8의 처리로 복귀한다.
또한, 스텝 S29에서 다른 디바이스 콘트롤 모듈이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컨트롤러(1)는 스텝 S30의 처리로 하여, 발송원(5)에 등록되어 있던 기능 성분 모듈을 해방한 후, 스텝 S31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어서,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에서, 상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이고, 이들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도 5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이 모듈(30, 40)로 분리되어 있고, 이들 모듈(30, 40)이 각각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예를 들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있는 제어 대상 기기만을 제어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그 제어의 관리도, 컨트롤러(1) 내에서 일원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한 어플리케이션이 2대의 VCR(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을 제어하는 경우에 어떻게 될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 때의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은 2개(예를 들면 모듈: 34, 40) 존재하고, 이들 2개의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이 상기 2대의 VCR을 따로따로 관리한다. 따라서, 이 경우의 각각의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에는 이들 2대의 VCR이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지가 기능 성분 모듈의 ID의 할당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또한, 이 때, 발송원(5)에는 기능 성분 모듈의 선두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이어서, 도 6에는 제4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 도 6에서,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이고,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도 6에 도시된 제4 실시예의 구성은 타겟 디바이스로서 기록 재생 기능을 포함한 VCR33을 예로 들어, 어플리케이션(2)으로서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킴에 따라 컨트롤러(1)가 상기 VCR33을 제어하는 경우의 구성이다.
이 제4 실시예에서는 타겟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기록 재생 기능을 포함한 VCR33을 컨트롤러(1)가 제어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2)으로서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게 되나, 이 경우 컨트롤러(1)는 재생과 기록의 양방의 기능을 포함한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을 생성하고, 발송원(5)에 재생과 기록의 양방의 기능 성분 모듈을 등록한다.
즉, 컨트롤러(1)는 제어 대상의 기기로서 VCR33을 인식하면,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에 예로 들고 있는 전원 제어 커맨드나 재생 커맨드, 정지 커맨드, 기록 커맨드, 카세트 추출 커맨드 등에 대응하는 기록과 재생에 관한 모든 기능 성분 모듈의 기능을 포함한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을 생성하고, 이들 각 기능 성분 모듈의 기능 정보를 발송원(5)으로 할당한다.
이어서,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 도 7에서, 상기 각 실시예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지시 부호를 붙여,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5 실시예에서는 타겟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기록 재생 기능을 포함한 VCR33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2)으로서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킴에 따라, 컨트롤러(1)가 상기 VCR34를 제어하지만, 이 제5 실시예의 경우에는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것만을 컨트롤러(1) 내부에 할당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 제5 실시예의 경우, 컨트롤러(1)는 재생 커맨드, 정지 커맨드 등에 대응하는 재생 기능에 관한 기능 성분 모듈만을 포함한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만을 포함한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3)을 생성하고, 발송원(5)에 상기 재생 기능에 관한 기능 정보만을 등록한다.
이 도 7에 도시된 제5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의 생성과, 기능 성분 모듈의 발송원에의 할당이 이루어지지만, 그 수속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첫번째의 순서로서, 컨트롤러(1)는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로부터 전원 제어에 관련된 기능 성분 모듈을 선택한다. 단, 이러한 기능은 타겟 디바이스인 VCR33에 실장되지 않은 기능, 즉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실행하지 않은 기능이므로, 발송원(5)으로의 할당은 행해지지 않는다.
두번째의 순서로서, 컨트롤러(1)는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로부터 재생 제어에 관련된 기능 성분 모듈을 선택한다. 이 기능은 VCR33에 실장되는 기능이고,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기 때문에, 컨트롤러(1)는 그 재생 제어에 관련된 기능 성분 모듈을 발송원(5)으로 할당한다.
세번째의 순서로서, 컨트롤러(1)는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로부터 정지 제어에 관련된 기능 성분 모듈을 선택한다. 이 기능은 VCR33에 실장되는 기능이고,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기 때문에, 컨트롤러(1)는 그 정지 제어에 관련된 기능 성분 모듈을 발송원(5)에 할당한다.
네번째의 순서로서, 컨트롤러(1)는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로부터 기록 제어에 관련된 기능 성분 모듈을 선택한다. 단, 이 기능은 타겟 디바이스인 VCR33에 실장되어 있지만,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실행하지 않는 기능이므로, 발송원(5)에의 할당은 행해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컨트롤러(1)는 기능 성분 모듈 리스트(6)로부터 카세트 추출 제어에 관련된 기능 성분 모듈을 선택한다. 단, 이 기능은 타겟 디바이스인 VCR33에 실장되지 않고, 또한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실행하지 않은 기능이므로, 발송원(5)으로의 할당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컨트롤러(1)는 내부 상태가 정돈된 상태에서,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2)으로 실행 가능하게 된 것을 통지하고, 이에 따라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는 전원 제어, 기록, 카세트 추출 커맨드 등의 할당을 발송원(5)으로 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 후, 컨트롤러(1)는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통지를 받는 경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발송원(5)에 할당된 기능 성분 모듈과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을 해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타겟 디바이스를 추상화하여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로 다루도록 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2)등의 상위 레이어는 획일적으로 이들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고,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이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구체적인 구성을 의식할 필요를 없앤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는 타겟 디바이스의 수를 특정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자신의 자원을 사용하면서, 각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컨트롤 모듈은 추상화된 것이므로, 실체가 어떠한 것이든(예를 들면 테이프 포맷이나 신호의 종류등), 이들에 관계없이 취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에서는 제어의 최소 단위의 기능을 실행하는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를 준비하고, 요구된 제어 내용에 맞추어 원하는 단위 제어 정보의 집합체를 생성하고, 상기 집합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을 변경해도, 제어 대상 기기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게 되거나, 쓸데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게 하여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성이 좋은 조작성이 실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대상 기기의 수를 특정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자신의 자원을 사용하면서,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단위 제어 정보의 집합체는 추상화된 것이므로, 실체가 어떠한 것이든, 이들에 관계없이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네트워크화된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의 최소 단위의 기능을 실행하는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를 준비하고,
    요구된 제어 내용에 맞추어, 상기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로부터 원하는 단위 제어 정보의 집합체를 생성하며,
    상기 단위 제어 정보의 집합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개시할 때에만, 상기 요구된 제어 내용에 맞추어 상기 집합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가 종료했을 때, 상기 집합체를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실행 중에, 필요에 따라 상기 집합체의 새로운 생성과 상기 새롭게 생성한 집합체를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에 대해 미리 우선 순위를 정의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집합체의 생성과 상기 우선 순위의 역순위로 하여 상기 생성한 집합체를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각 제어 대상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상기 집합체를 상기 각 제어 대상 기기에 생성하거나, 상기 각 제어 대상 기기가 공유하는 단위 제어 정보로 이루어지는 집합체와 그 밖의 집합체로 세분화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
  6. 네트워크화된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의 최소 단위의 기능을 대행하는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요구된 제어 내용을 네트워크를 통해 취득하는 취득 수단;
    상기 취득한 요구된 제어 내용에 맞추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한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 중에서 원하는 단위 제어 정보의 집합체를 생성하는 집합체 생성 수단; 및
    상기 단위 제어 정보의 집합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 생성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개시할 때에만, 상기 요구된 제어 내용에 맞추어 상기 집합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가 종료했을 때, 상기 집합체를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 생성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실행하는 중에, 필요에 따라 상기 집합체의 새로운 생성과 상기 새롭게 생성한 집합체를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단위 제어 정보에 대해 미리 우선 순위를 정의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집합체의 생성과 상기 우선 순위의 역순위로 하여 상기 생성한 집합체를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 생성 수단은 복수의 각 개어 대상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상기 집합체를 상기 각각의 제어 대상 기기에 생성하거나, 혹은 상기 각 제어 대상 기기가 공유하는 단위 제어 정보로 이루어지는 집합체와 그 다른 집합체로 세분화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장치.
KR1020007008606A 1998-12-07 1999-12-07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10040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347342 1998-12-07
JP34734298 1998-12-07
PCT/JP1999/006857 WO2000035148A1 (fr) 1998-12-07 1999-12-07 Procede et appareil pour commander un resea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723A true KR20010040723A (ko) 2001-05-15

Family

ID=1838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606A KR20010040723A (ko) 1998-12-07 1999-12-07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59769A1 (ko)
KR (1) KR20010040723A (ko)
CN (1) CN1290442A (ko)
WO (1) WO2000035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2052397A1 (ja) 2000-12-22 2004-04-30 富士通株式会社 記憶装置、記憶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可換型記憶媒体
KR100434270B1 (ko) * 2001-05-30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4639A (ja) * 1985-04-10 1986-10-18 Amada Co Ltd ネツトワ−クシステムのシステム手順生成方法
JP3862371B2 (ja) * 1996-08-27 200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35148A1 (fr) 2000-06-15
CN1290442A (zh) 2001-04-04
EP1059769A1 (en) 200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4198B1 (en) Management of functionality in a consumer electronics system
JP4248028B2 (ja) 消費者用電子システムにおける機能の管理
US6314447B1 (en) System uses local registry and load balancing procedure for identifying processing capabilities of a remote device to perform a processing task
US200501930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00059230A9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managing resources in a network
JP200118645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4517566A (ja) 視聴覚放送の記録を管理する方法及び関連する装置
CN114070888B (zh) 基于云终端的业务处理方法、服务器、设备及系统
JP2004520637A (ja) 車両通信網における装置のアクセス制御方法
US20050141444A1 (en) Communication device management program
KR100697759B1 (ko) 기기 동작 관리 방법 및 관리 기기, 기기 동작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제어 기기, 전자 기기
KR100707323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KR20010040723A (ko)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6962139A (zh) 云平台靶场智能调用外部物理设备的虚实结合处理系统、方法、装置、处理器及其存储介质
KR20060043267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용 프로그램
US20220350666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device and audio-visual playback terminal
JP2004538559A (ja) 分散型ソフトウェアアーキテクチャの初期化方法および電子システム
JP2001168888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そのサーバ、その構成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20050246595A1 (en) Network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ster apparatus, and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7284259B1 (en) Transmitting method, transmitting system and transmission control device
JPH10327173A (ja) バス資源の予約装置及び管理装置、バス資源予約システム、ならびにバス資源予約方法
JP2004515993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コネクションの制御方法並びに該方法用の通信システム
JP2005311479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番組録画予約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526715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105193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