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6993A -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6993A
KR20010036993A KR1019990044249A KR19990044249A KR20010036993A KR 20010036993 A KR20010036993 A KR 20010036993A KR 1019990044249 A KR1019990044249 A KR 1019990044249A KR 19990044249 A KR19990044249 A KR 19990044249A KR 20010036993 A KR20010036993 A KR 2001003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machining center
chuck
rod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403B1 (ko
Inventor
한봉수
Original Assignee
김재복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1019990044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403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31Work holder 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시닝센터에서 팔렛트를 자동으로 착탈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의 단순화로 제조단가를 낮추고 팔렛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팔렛트(2)가 이동하여 테이블(1)에 클램핑 내지는 언클램핑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에 유압에 의하여 작용하는 동일한 형상의 연결콘(3)들이 다수개 장착되되, 이 연결콘(3)의 중앙내부에는 유압통로(5a,5b)의 유압에 의하여 승하강 되는 로드(6)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로드(6)의 내부에는 함께 작동되는 척(7)이 설치되어 있는 반면, 상기 연결콘(3)에 대응되는 팔렛트(2)의 하면에는 캡(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캡(4)의 중앙에는 척(7)에 맞물리거나 이탈되는 당김스터드(9)가 장착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auto pallet changing device of a machining center}
본 발명은 머시닝센터의 팔렛트를 자동으로 착탈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팔렛트를 테이블에 클램핑(clamping) 및 언클램핑(unclamping) 시킬때 정도맞춤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위치결정기구와 일체로 구성시킨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시닝센터에서 팔렛트를 테이블에 클램핑 내지는 언클램핑시키는 팔렛트 착탈장치는 주로 자동화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자동팔렛트 착탈장치(auto pallet change type ; APC형태)는 머시닝센터의 테이블 상부에 팔렛트를 안착시키어 클램핑시키거나 언클램핑시키고자 할때 이용되는 것으로, 종래 이같은 APC형태의 팔렛트 착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101)에 설치된 테이블(102) 내부에는 피스톤(103)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피스톤(103)의 상부쪽으로 유압통로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103)은 하강되어진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103)에 체결보울트(104)를 매개로 연결된 클램퍼(105)가 팔렛트(106)에 조립된 후크(107)를 끌어당기어 상기 팔렛트(106)를 테이블(102)에 클램핑시킴과 동시에, 이 클램퍼(105)에 연결된 가변축(108)을 끌어당기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지의 도그에 의하여 작동하는 리미트스위치에 의하여 클램핑신호를 인가받게 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팔렛트(106)에 조립된 부시(109)가 새들(101)의 테이블(102) 대응위치에 설치된 핀(110)에 접촉되어 팔렛트(106)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반면에 상기 팔렛트(106)가 테이블(102)에서 언클램핑 상태로 유지될때에는 앞서 설명한 클램핑 상태의 반대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팔렛트 착탈장치는 그 장치의 복잡함에 따라 부품수가 증대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팔렛트의 클램핑력을 증가시키고자 할때 설치면적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이 팔렛트를 중앙에서 클램핑시킴에 따라 자연히 팔렛트의 상면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등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팔렛트의 착탈부와 위치결정부의 구조를 일체화시키어 부품수의 절감을 이루면서 클램핑력의 분산으로 팔렛트의 변형을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클램핑력의 증대를 손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팔렛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연결콘이 설치된 테이블의 평면도,
도 3과 도 4는 도 2의 I-I선 단면도들로서 테이블의 연결콘에 팔렛트의 컵이 분리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
도 5는 도 2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블 2 : 팔렛트
3 : 연결콘 4 : 캡
5a,5b : 유압통로 6 : 로드
7 : 척 9 : 당김스터드
10 : 위치결정부 11 : 스프링
12 : 로드 13 : 도그
14 : 리미트스위치 15 : 스틸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팔렛트가 이동하여 테이블에 클램핑 내지는 언클램핑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직사각형태 모서리 부위에 유압에 의하여 작용하는 동일한 형상의 연결콘들이 각각 장착되되, 이 연결콘의 중앙 내부에는 유압통로의 유압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로드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로드의 내부에는 함께 작동하는 척을 갖춘 가변축이 설치되어 있는 반면, 상기 연결콘에 대응 결합 및 이탈되는 팔렛트의 하면에는 캡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캡의 중앙에는 가변축의 척에 맞물리거나 이탈되는 당김스터드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콘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통로에는 위치결정부의 유압통로와 연통되어 있으며, 이 위치결정부는 스프링으로 탄지된 로드의 좌우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도그가 리미트스위치를 on/off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콘의 척 주변에는 팔렛트의 당김스터드와 클램핑시 이들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스틸볼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인바, 본 발명에서는 테이블(1)과 팔렛트(2)에 4군데의 동일한 연결콘(3)과 캡(4)이 각각 대응 설치되어 있으나, 그 중 한개를 선택하여 설명하며, 이 4군데의 연결클램핑수단들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갯수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팔렛트(2)가 이동하여 테이블(1)에 클램핑 내지는 언클램핑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에 유압에 의하여 작용하는 동일한 형상의 연결콘(3)들이 다수개 장착되되, 이 연결콘(3)의 중앙내부에는 유압통로(5a,5b)의 유압에 의하여 승하강 되는 로드(6)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로드(6)의 내부에는 함께 작동되는 척(7)이 설치되어 있는 반면, 상기 연결콘(3)에 대응되는 팔렛트(2)의 하면에는 캡(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캡(4)의 중앙에는 척(7)에 맞물리거나 이탈되는 당김스터드(9)가 장착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콘(3)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통로(5b)는 위치결정부(10)의 유압통로(5b)와 연통되어 있으며, 이 위치결정부(10)는 스프링(11)으로 탄지된 로드(12)의 좌우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도그(13)가 리미트스위치(14)를 on/off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콘(3)의 척(7) 주변에는 팔렛트(2)의 당김스터드(9)가 클램핑 되었을때 이들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스틸볼(15)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회전이 완료된 후 도 3의 팔렛트(2)가 테이블(1)로 하강될때 이 팔렛트(2)에 조립된 캡(4)이 테이블(1)의 연결콘(3)에 안착되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4)의 당김스터드(9)가 로드(6)의 척(7)에 맞물리게 되며, 클램핑을 하기 위해 유압통로(5a)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상기 로드(6)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팔렛트(2)의 클램핑이 완료되는데, 이때 상기 스틸볼(15)들에 의하여 팔렛트(2)의 당김스터드(9)와 테이블(1)의 척(7)의 풀림이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테이블(1)에 설치된 위치결정부(10)의 유압통로(5b)로 유압이 빠져나오게 되면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하여 로드(12)가 후퇴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그(13)가 이동하여 리미트스위치(14)를 off시키게 되어 클램핑 완료상태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팔렛트(2)를 언클램핑 상태로 작용시키고자 할때에는 도 4의 팔렛트(2)가 도 3의 팔렛트(2) 상태로 이격되면서 위치결정부(10)의 유압통로(5b)에 유압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11)을 압축시킴에 따라 도그(13)는 리미트스위치(14)를 on시키어 언클램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팔렛트(2)의 언클램핑 작용은 앞서 설명한 클램핑 작용의 반대로 작용하게 되어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팔렛트의 착탈부와 위치결정부가 유압에 의하여 일체로 작용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구조의 단순화를 달성하면서 클램핑력의 분산화로 팔렛트의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클램핑력을 손쉽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Claims (3)

  1. 팔렛트(2)가 이동하여 테이블(1)에 클램핑 내지는 언클램핑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에 유압에 의하여 작용하는 동일한 형상의 연결콘(3)들이 다수개 장착되되, 이 연결콘(3)의 중앙내부에는 유압통로(5a,5b)의 유압에 의하여 승하강 되는 로드(6)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로드(6)의 내부에는 함께 작동되는 척(7)이 설치되어 있는 반면, 상기 연결콘(3)에 대응되는 팔렛트(2)의 하면에는 캡(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캡(4)의 중앙에는 척(7)에 맞물리거나 이탈되는 당김스터드(9)가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콘(3)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통로(5b)는 위치결정부(10)의 유압통로(5b)와 연통되어 있으며, 이 위치결정부(10)는 스프링(11)으로 탄지된 로드(12)의 좌우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도그(13)가 리미트스위치(14)를 on/off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콘(3)의 척(7) 주변에는 팔렛트(2)의 당김스터드(9)가 클램핑 되었을때 이들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스틸볼(15)들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
KR1019990044249A 1999-10-13 1999-10-13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 KR100591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249A KR100591403B1 (ko) 1999-10-13 1999-10-13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249A KR100591403B1 (ko) 1999-10-13 1999-10-13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993A true KR20010036993A (ko) 2001-05-07
KR100591403B1 KR100591403B1 (ko) 2006-06-19

Family

ID=1961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249A KR100591403B1 (ko) 1999-10-13 1999-10-13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4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317B1 (ko) * 2005-05-09 2006-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 캐리어
KR20150121507A (ko) * 2014-04-21 2015-10-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의 팔레트 클램핑/언클램핑 확인 장치
CN109057727A (zh) * 2018-08-10 2018-12-21 江苏如东联丰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吊卡或卡盘的卡瓦夹紧触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317B1 (ko) * 2005-05-09 2006-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 캐리어
KR20150121507A (ko) * 2014-04-21 2015-10-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의 팔레트 클램핑/언클램핑 확인 장치
CN109057727A (zh) * 2018-08-10 2018-12-21 江苏如东联丰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吊卡或卡盘的卡瓦夹紧触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403B1 (ko) 200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8713B1 (en) Clamping apparatus with datum function
EP1752252B1 (en) Positioning and fixing device
EP1264658B1 (en) Clamping apparatus with datum function
KR101185611B1 (ko) 유체통로 접속장치
US3168014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hydraulic piston and cylinder
CN201049390Y (zh) 一种用于机床尾架的自动锁紧装置
KR100591403B1 (ko) 머시닝센터의 팔렛트 착탈장치
CN210435788U (zh) 汽车发动机摇臂自动定心锁紧工装
JPH0740169A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
CN211193759U (zh) 电动液压工具中的卡模结构
CN114619074A (zh) 一种薄壁曲面零件快速装夹制孔装置及方法
US6371467B1 (en) Movable clamping apparatus
JPH04193450A (ja) 主軸のエアブロー構造
KR20050070740A (ko) 스프링수단을 갖는 팰릿 클램프 장치
CN112453956A (zh) 一种针对异形工件的数控车床装夹结构
CN217459499U (zh) 一种用于感应淬火机床中下旋转主轴部件
JPH0526241U (ja) パレツトクランプ装置
JPH10315083A (ja) リンク式クランプ装置
CN212371495U (zh) 一种吊马焊前组对用工装
CN218612710U (zh) 一种防错的垫片衬套压装机构
CN212019861U (zh) 异形连接板组件焊接工装
CN216807940U (zh) 一种液压千斤顶
WO1991016171A1 (en) Device for clamping a workpiece in a fixture, a worktable or the like, and tool for disengaging a clamping element included in the device
CN217291044U (zh) 能够快速更换且节约空间的拼点焊接装置
CN214920431U (zh) 轴承制作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