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5649A - 유압식 증압기 - Google Patents

유압식 증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649A
KR20010035649A KR1019990042339A KR19990042339A KR20010035649A KR 20010035649 A KR20010035649 A KR 20010035649A KR 1019990042339 A KR1019990042339 A KR 1019990042339A KR 19990042339 A KR19990042339 A KR 19990042339A KR 20010035649 A KR20010035649 A KR 20010035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piston
pneumatic line
bor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8496B1 (ko
Inventor
주재석
Original Assignee
주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석 filed Critical 주재석
Priority to KR101999004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496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3/00Intensifiers or fluid-pressure converters, e.g. pressure exchangers; Conveying pressure from one fluid system to another, without contact between the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28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actuating force
    • F15B11/03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actuating force by means of fluid-pressure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specific to the use of a compressible medium, e.g. air, steam
    • F15B11/072Combined pneumatic-hydraul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5Pressure control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의 장점과 기능을 극대화한 유압식 증압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 유압식 증압기에 있어서, 제1피스톤(2)과 제2피스톤(3) 사이의 공압부분(D)과, 제1실린더홀(11)측 선단의 공압부분(A)에 선택적으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라인전환수단(6)이 구비되되, 저부하인 일반적인 경우에는 공압이 공압라인전환수단(6)에 의해 공압부분(D)으로 공급되어 제2피스톤(3)이 보어(13)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에 상응하게 제3피스톤(5)이 이동되어 피스톤로드(5a)가 외부로 신장되도록 하는 저압행정이 수행되는 한편, 고부하인 경우에는 공압이 공압라인전환수단(6)에 의해 공압부분(A)로 공급되어 제1피스톤(2)이 보어(13)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트렁크피스톤(2a)이 보어(13)와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보어(13)를 관통하여 제3피스톤로드(5)쪽으로 이동되는 고압행정을 수행하는 구조로 되어, 저부하시에는 저압행정으로 신속하게 가동되면서, 고부하시에는 고압행정으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식 증압기 {Hydraulic Pressure Intensifier}
본 발명은 공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의 장점과 기능을 극대화한 유압식 증압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저부하시에는 저압행정으로 신속하게 가동되면서, 고부하시에는 고압행정으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된 유압식 증압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유압식 증압기는 유압만으로 증압하는 방식과, 공압-유압컨버터 또는 공압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증압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유압식 증압기는 증압기의 전체 길이가 너무 길고, 전체 체적도 크며, 증압기, 유압실린더, 공유컨버터, 공압실린더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별도의 밸브 및 주변 구조물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되며, 또한 동작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저부하시에는 저압행정으로 신속하게 가동되고, 고부하시에는 고압행정으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요구되는 출력을 만족스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식 증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증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공압라인전환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증압기의 저압행정시 가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증압기의 고압행정시 가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증압기가 역방향으로 가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 실린더케이스, 1a,1b,1c,1e,1f ; 공압라인,
1d,1g ; 유압라인, 11 ; 제1실린더홀,
12 ; 제2실린더홀, 13 ; 보어,
14,15 ; 실린더캡, 15a ; 돌출부,
15b,15c ; 방출구, 2 ; 제1피스톤,
2a ; 트렁크피스톤, 2b,2c ; 공압라인,
3 ; 제2피스톤, 4 ; 스프링,
5 ; 제3피스톤, 5a ; 피스톤로드,
6 ; 공압라인전환수단, 61 ; 실린더부재,
61a ; 제1관통홀, 61b ; 제2관통홀,
62 ; 피스톤부재, 62a ; 제1피스톤,
62b ; 제2피스톤, 62c ; 스프링안착홈,
63 ; 스프링, 64 ; 스프링시트,
65 ; 스프링조절수단, 66a,66b ; 필터,
7 ; 밀봉부재, A,C,D,E ; 공압부분,
B ; 유압부분, B1 ; 내경협소부분,
B2 ; 내경확대부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제1실린더홀과, 이 제1실린더홀 보다 내경이 작은 제2실린더홀 및, 제1실린더홀과 제2실린더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2실린더홀 보다 내경이 작은 보어가 상호 연통되어진 실린더케이스와; 선택적으로 보어에 삽입되는 트렁크피스톤을 갖추고 제1실린더홀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제1피스톤; 제1실린더홀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면서 트렁크피스톤이 관통되는 제2피스톤;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사이에 배치되어 제2피스톤을 탄발지지하는 스프링 및; 외부로 돌출되어진 피스톤로드를 갖추고 제2실린더홀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제3피스톤으로 구성되어, 유압식 증압기의 양쪽 선단부에 배치되어 공압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공압부분(A;C),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사이의 공압부분(D) 및, 제2피스톤과 제3피스톤 사이에서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유압부분(B)으로 구획되어진 유압식 증압기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사이의 공압부분(D)과, 제1실린더홀측 선단의 공압부분(A)에 선택적으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라인전환수단이 구비되되, 저부하인 일반적인 경우에는 공압이 공압라인전환수단에 의해 공압부분(D)으로 공급되어 제2피스톤이 보어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에 상응하게 제3피스톤이 이동되어 피스톤로드가 외부로 신장되도록 하는 저압행정이 수행되는 한편, 고부하인 경우에는 공압이 공압라인전환수단에 의해 공압부분(A)로 공급되어 제1피스톤이 보어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트렁크피스톤이 보어와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보어를 관통하여 제3피스톤로드쪽으로 이동되는 고압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증압기의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증압기는, 본체를 이루는 실린더케이스(1)와, 이 실린더케이스(1)에 내장되는 다수의 부품(2,3,4,5,6)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케이스(1)는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제1실린더홀(11)과, 이 제1실린더홀(11) 보다 내경이 작은 제2실린더홀(12) 및, 제1실린더홀(11)과 제2실린더홀 (12) 사이에 위치되는 제2실린더홀(12) 보다 내경이 작은 보어(13)가 상호 연통되어진 구조를 이루고, 제1실린더홀(11) 및 제2실린더홀(12)의 외부로의 개구부는 실린더캡(15,14)을 매개로 각각 밀봉되며, 이들 각각의 실린더캡(15,14)에는 공압라인(1a,1b,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장부품(2,3,4,5,6)은 3개의 피스톤(2,3,5)과 1개의 스프링(4) 및 1개의 공압라인전환수단(6)으로 구성되는데, 제1피스톤(2)은 선택적으로 보어(13)에 삽입되는 트렁크피스톤(2a)을 갖추고 제1실린더홀(11)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제2피스톤(3)은 제1실린더홀(11)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면서 트렁크피스톤(2a)이 관통되며, 스프링(4)은 제1피스톤(2)과 제2피스톤(3) 사이에 배치되어 제2피스톤 (3)을 탄발지지하고, 제3피스톤(5)은 외부로 돌출되어진 피스톤로드(5a)를 갖추고 제2실린더홀(12)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유압식 증압기의 내부가 양쪽 선단부에 배치되어 공압라인(1a,1b;1c)에 각각 연결되는 공압부분(A;C)과, 제1피스톤(2)과 제2피스톤(3) 사이의 공압부분(D) 및, 제2피스톤(3)과 제3피스톤(5) 사이에서 유압라인(1d)에 연결되는 유압부분(B)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홀(11)측 실린더캡(15)에 공압라인전환수단(6)이 설치되고, 실린더캡(15)의 내면에 돌출부(15a)가 구비되며, 돌출부(15a)에는 공압라인 (1e,1f)이 관통되어, 외부로 개구된 공압라인(1a)과 공압부분(A)에 연통된 공압라인(1b) 및 돌출부(15a)의 공압라인(1e,1f)이 공압라인전환수단(6)에 각각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1피스톤(2)에는 돌출부(15a)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기밀상태가 유지되는 공압라인(2b)과, 이 공압라인(2b)에 연통되면서 공압부분(D)로 개구되는 공압라인(2c)이 형성되어, 공압라인(1a)를 통해 공급되는 공압이 공압라인전환수단 (6)에 의해 부하에 따라서 공압부분(D)나 공압부분(A)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공압라인전환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압라인전환수단(6)은, 내경이 서로 다른 제1·2관통홀(61a,61b)이 형성되어 각각의 공압라인(1a,1b,1e,1f)에 연통되는 실린더부재(61)와; 양쪽 선단의 외주면에는 제1·2관통홀(61a,61b)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하는 제1·2피스톤(62a,62b)이 구비되고, 어느 한쪽 방향으로 개구되어진 스프링안착홈(62c)이 형성된 피스톤부재(62); 피스톤부재(62)의 스프링안착홈(62c)에 삽입되어 피스톤부재(62)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63) 및; 스프링(63)의 노출선단을 고정하는 스프링시트(6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부로 개구된 공압라인(1a)을 중심으로 하여 돌출부(15a)의 공압라인(1e,1f)과 공압부분(A)의 공압라인(1b)이 양쪽에 배치되되, 제1관통홀(61a)에는 돌출부(15a)의 공압라인(1e,1f)이 연통되고, 제2관통홀(61b)에는 공압부분(A)의 공압라인(1b)이 연통되어, 저부하인 일반적인 경우에는 제1·2피스톤(62a,62b) 사이의 공압부분(E)을 통해서 외부로 개구된 공압라인(1a)과 돌출부(15a)의 공압라인(1e,1f)이 상호 연통되는 한편, 고부하인 경우에는 제1·2피스톤(62a,62b) 사이의 공압부분(E)을 통해서 외부로 개구된 공압라인(1a)과 공압부분(A)의 공압라인 (1b)이 상호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2관통홀(61b)은 아래로 향할 수록 그 원형단면적이 다소 넓어지도록 형성되어서, 공압부분(E)의 공기압으로 피스톤부재(62)가 이동할 때 스프링(63)이 압축되어 스프링의 복원력이 증대되는 것을 보완하도록 제2피스톤(62b)의 패킹이 상기 제2관통홀(61b)의 경사면을 따라 신축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저부하인 일반적인 경우에는 공압이 공압라인전환수단(6)에 의해 공압부분(D)으로 공급되어 제2피스톤(3)이 보어(13)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에 상응하게 제3피스톤(5)이 이동되어 피스톤로드(5a)가 외부로 신장되도록 하는 저압행정이 수행되는 한편, 고부하인 경우에는 공압이 공압라인전환수단(6)에 의해 공압부분(A)로 공급되어 제1피스톤(2)이 보어(13)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트렁크피스톤(2a)이 보어(13)와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보어(13)를 관통하여 제3피스톤로드(5)쪽으로 이동되는 고압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증압기의 저압행정시 가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는 도 2에 대한 대응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유압식 증압기의 저압행정시 가동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유압식 증압기의 가동전에는 외부로 개구된 공압라인(1a)으로 공압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재(62)는 스프링에 의해 상방향으로(도 4상에서) 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로 개구된 공압라인(1a)으로 공압이 공급되면, 공압이 공압라인(1a)→공압부분(E)→공압라인(1e)→공압라인(1f)→공압라인(2b)→공압라인(2c)→공압부분(D)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공압부분(D)의 내압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공압부분(D)에 내압이 증가되면 제2피스톤(3)이 보어(13)쪽으로 이동되므로, 유압부분(B)의 내경확대부분(B2)에 저장된 유압매질이 보어(13)를 통해서 내경축소부분(B1)으로 이동되어 제3피스톤(5)이 상방향(도 3상에서)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제3피스톤(5)의 피스톤로드(5a)는 외부로 신장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증압기의 고압행정시 가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은 도 2 및 도 4에 대한 대응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유압식 증압기의 고압행정시 가동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저부하상태에서 피스톤로드(5a)에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면 피스톤로드(5a)가 역방향, 즉 하방향으로 밀려지게 되므로, 유압부분(B)의 압력이 상승되어 제2피스톤(3)의 이동이 방해된다. 이와 같이 제2피스톤(3)의 이동이 방해되면, 공압부분(D)의 내압도 과도하게 증가되므로, 공압라인(1a,1e,1f,2b,2c) 및 공압부분 (E)의 내압도 이와 동일하게 증가된다.
한편, 공압부분(E)을 이루는 피스톤부재(62)의 제1·2피스톤(62a,62b)은 돌출 높이가 서로 차이가 있으므로, 공압부분(E)에 공압이 가해지면, 돌출된 단면적비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서, 피스톤부재(62)가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제2피스톤 (62b)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저부하의 경우에는 피스톤부재(62)가 제2피스톤(62b)방향으로 밀린다 하더라도 압력차에 의한 외력이 스프링(63)의 복원력 보다 작아서 도 4의 상태가 유지되지만, 고부하의 경우에는 압력차에 의한 외력이 스프링 (63)의 복원력보다 크게 되어 피스톤부재(62)가 제2피스톤(62b)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공압부분(D)의 내압이 증가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재(62)가 제2피스톤(62b)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개구된 공압라인(1a)으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이 공압라인(1a)→공압부분(E)→공압라인(1b)→공압부분(A)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공압부분(A)의 내압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공압부분(A)에 내압이 증가되면 제1피스톤(2)이 보어(13)쪽으로 이동되어, 트렁크피스톤(2a)이 보어(13)와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보어(13)를 관통하여 제3피스톤로드(5)쪽으로 이동되므로, 트렁크피스톤(2a)이 내경축소부분(B1)으로의 돌출될수록 내경축소부분(B1)의 압력이 증가되어 제3피스톤(5)이 상방향(도 3상에서)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제3피스톤(5)의 피스톤로드(5a)는 연속적으로 외부로 신장된다.
한편, 피스톤부재(62)가 제2피스톤(62b)방향으로 이동되면, 공압부분(D) 및 공압라인(1b)이 제1관통홀(61a)측 방출구(15b)를 통해서 외부와 연통되므로, 공압부분(D)의 고압의 공압매질이 이 방출구(15b)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공압부분(D)의 압력이 강하되는 동안 공압부분(A)의 압력은 상승되므로, 공압부분(D)의 압력강하로 인한 충격발생은 미미하게 된다.
또한, 유압식 증압기가 상기 저부하상태나 고부하상태로 가동될 때, 즉 제1실린더홀(11)측 공압부분(A)의 유압라인(1a)으로 공압이 공급되어 제3피스톤로드 (5)가 상방향으로 전진될 때, 제2실린더홀(12)측 공압부분(C)의 공압매질은 이의 공압라인(1c)로 방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증압기가 역방향으로 가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유압식 증압기가 역방향으로 가동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저부하상태에서 제2실린더홀(12)의 공압라인(1c)으로 공압이 공급되면제3피스톤(5)이 하방향으로 후진되므로, 유압부분(B)의 내경축소부분(B1)에 저장된 유압매질이 보어(13)를 통해서 내경확대부분(B2)으로 이동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피스톤(5)이 하방향으로 후진된다.
이때, 공압부분(D)의 압력매질은 공압부분(D)→공압라인(2c)→공압라인(2b)→공압라인(1f)→공압라인(1e)→공압부분(E)→공압라인(1a)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고부하상태에서 제2실린더홀(12)의 공압라인(1c)으로 공압이 공급되면 제3피스톤(5)이 하방향으로 후진되므로, 내경축소부분(B1)의 유압이 상승된다. 이때, 보아(13)와 트렁크피스톤(2a) 간에는 기밀상태가 유지되므로, 내경축소부분(B2)의 유압이 상승되면 제1피스톤(2) 및 제2피스톤(2)이 하방향으로 후진된다.
이때, 공압부분(A)의 압력매질은 공압부분(A)→공압라인(1b)→공압부분(E)→공압라인(1a)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에, 소정시간이 경과하여 공압부분 (E)의 압력이 강하되면, 스프링(63)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부재(6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공압부분(D)은 저부하상태에서 고부하상태로 가동될 때 이미 압력이 강하된 상태이므로, 더이상의 압력강하는 발생되지 않는다.
도 2와 도4 및 도 6을 참조해 보면, 상기 스프링(63)의 복원력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스프링시트(64)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스프링조절수단(65)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저부하상태에서 고부하상태로의 전환조건인 부하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어(13)에 밀봉부재(7)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어(13)와 트렁크피스톤(2a) 간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유압식 증압기의 작동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1g는 유압부분(B)의 압력측정용 게이지 연결용 유압라인이고, 66a 및 66b는 방출구(15b,15c)에 각각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일예로 공압라인전환수단(6)은 별도의 도관을 이용하여 실린더케이스(1) 외부에 구비될 수 있고, 공압라인전환수단(6)도 공압의 압력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공압라인간의 연결을 전환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것이 이용 가능하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저부하상태에서는 신속하게 가동되면서 고부하상태에서는 만족할 만한 출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압라인전환수단을 실린더케이스에 내장할 수 있으므로, 공압라인전환수단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그 구조가 단순하여 소형화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제1실린더홀(11)과, 이 제1실린더홀(11) 보다 내경이 작은 제2실린더홀(12) 및, 제1실린더홀(11)과 제2실린더홀(12) 사이에 위치되는 제2실린더홀(12) 보다 내경이 작은 보어(13)가 상호 연통되어진 실린더케이스(1)와; 선택적으로 보어(13)에 삽입되는 트렁크피스톤(2a)을 갖추고 제1실린더홀(11)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제1피스톤(2); 제1실린더홀(11)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면서 트렁크피스톤(2a)이 관통되는 제2피스톤(3); 제1피스톤(2)과 제2피스톤(3) 사이에 배치되어 제2피스톤(3)을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 및; 외부로 돌출되어진 피스톤로드(5a)를 갖추고 제2실린더홀(12)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제3피스톤(5)으로 구성되어, 유압식 증압기의 양쪽 선단부에 배치되어 공압라인(1a,1b;1c)에 각각 연결되는 공압부분(A;C)과, 제1피스톤(2)과 제2피스톤(3) 사이의 공압부분(D) 및, 제2피스톤(3)과 제3피스톤(5) 사이에서 유압라인(1d)에 연결되는 유압부분(B)으로 구획되어진 유압식 증압기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2)과 제2피스톤(3) 사이의 공압부분(D)과, 제1실린더홀(11)측 선단의 공압부분(A)에 선택적으로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라인전환수단(6)이 구비되되, 저부하인 일반적인 경우에는 공압이 공압라인전환수단(6)에 의해 공압부분 (D)으로 공급되어 제2피스톤(3)이 보어(13)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에 상응하게 제3피스톤(5)이 이동되어 피스톤로드(5a)가 외부로 신장되도록 하는 저압행정이 수행되는 한편, 고부하인 경우에는 공압이 공압라인전환수단(6)에 의해 공압부분(A)로 공급되어 제1피스톤(2)이 보어(13)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트렁크피스톤(2a)이 보어(13)와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보어(13)를 관통하여 제3피스톤로드(5)쪽으로 이동되는 고압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증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홀(11)측 실린더캡(15)에 공압라인전환수단 (6)이 설치되고, 실린더캡(15)의 내면에 돌출부(15a)가 구비되며, 돌출부(15a)에는 공압라인(1e,1f)이 관통되어, 외부로 개구된 공압라인(1a)과 공압부분(A)에 연통된 공압라인(1b) 및 돌출부(15a)의 공압라인(1e,1f)이 공압라인전환수단(6)에 각각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1피스톤(2)에는 돌출부(15a)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기밀상태가 유지되는 공압라인(2b)과, 이 공압라인(2b)에 연통되면서 공압부분(D)로 개구되는 공압라인(2c)이 형성되어, 공압라인(1a)를 통해 공급되는 공압이 공압라인전환수단(6)에 의해 부하에 따라서 공압부분(D)나 공압부분(A)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증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라인전환수단(6)은, 내경이 서로 다른 제1·2관통홀(61a,61b)이 형성되어 각각의 공압라인(1a,1b,1e,1f)에 연통되는 실린더부재 (61)와; 양쪽 선단의 외주면에는 제1·2관통홀(61a,61b)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하는 제1·2피스톤(62a,62b)이 구비되고, 어느 한쪽 방향으로 개구되어진 스프링안착홈(62c)이 형성된 피스톤부재(62); 피스톤부재(62)의 스프링안착홈(62c)에 삽입되어 피스톤부재(62)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3) 및; 스프링(63)의 노출선단을 고정하는 스프링시트(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증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개구된 공압라인(1a)을 중심으로 하여 돌출부 (15a)의 공압라인(1e,1f)과 공압부분(A)의 공압라인(1b)이 양쪽에 배치되되, 제1관통홀(61a)에는 돌출부(15a)의 공압라인(1e,1f)이 연통되고, 제2관통홀(61b)에는 공압부분(A)의 공압라인(1b)이 연통되어, 저부하인 일반적인 경우에는 제1·2피스톤 (62a,62b) 사이의 공압부분(E)을 통해서 외부로 개구된 공압라인(1a)과 돌출부 (15a)의 공압라인(1e,1f)이 상호 연통되는 한편, 고부하인 경우에는 제1·2피스톤 (62a,62b) 사이의 공압부분(E)을 통해서 외부로 개구된 공압라인(1a)과 공압부분 (A)의 공압라인(1b)이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증압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3)의 복원력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스프링시트(64)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스프링조절수단(65)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증압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13)에 밀봉부재(7)가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증압기.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홀(61b)은 아래로 향할 수록 그 원형단면적이 다소 넓어지도록 형성되어서, 공압부분(E)의 공기압으로 피스톤부재(62)가 이동할 때 스프링(63)이 압축되어 스프링의 복원력이 증대되는 것을 보완하도록 제2피스톤(62b)의 패킹이 상기 제2관통홀(61b)의 경사면을 따라 신축적으로 작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증압기.
KR1019990042339A 1999-10-01 1999-10-01 유압식 증압기 KR10033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339A KR100338496B1 (ko) 1999-10-01 1999-10-01 유압식 증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339A KR100338496B1 (ko) 1999-10-01 1999-10-01 유압식 증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649A true KR20010035649A (ko) 2001-05-07
KR100338496B1 KR100338496B1 (ko) 2002-05-30

Family

ID=1961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339A KR100338496B1 (ko) 1999-10-01 1999-10-01 유압식 증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58B1 (ko) * 2006-04-12 2007-04-09 주영돈 유압식 증압기
KR102134318B1 (ko) * 2020-05-20 2020-07-16 김인호 케이블 연결용 슬리브 압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8046B (zh) * 2013-03-14 2016-01-20 西安交通大学 一种交流伺服直驱增压式三层活塞电动液压缸及增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58B1 (ko) * 2006-04-12 2007-04-09 주영돈 유압식 증압기
KR102134318B1 (ko) * 2020-05-20 2020-07-16 김인호 케이블 연결용 슬리브 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8496B1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121B1 (ko) 유압식 증압실린더
US6986362B2 (en) Pilot operated relief valve
US6325102B1 (en) Servo driving pilot-type solenoid valve
KR0158761B1 (ko) 유압 실린더
US7357373B2 (en) Pilot-type two-port valve
KR20180071261A (ko) 유체 제어 밸브
KR20010035649A (ko) 유압식 증압기
US10006474B2 (en) Flow passage unit and switching valve
US7014163B2 (en) Pilot-controlled electromagnetic valve
JP2607791Y2 (ja) シリンダの油圧制御回路
EP0428406B1 (en) Reciprocating actuator
JPH0220337B2 (ko)
KR20070067469A (ko) 가스 스프링
KR20210020114A (ko) 실린더 장치
KR200287429Y1 (ko) 2단 압력제어 밸브
JPH11280709A (ja) 油圧シリンダユニット
JP2912867B2 (ja) スプール弁タイプの機械操作弁
KR970044028A (ko) 유압브레이커용 유압제어밸브장치(A valve system for hydraulic breaker)
JPH0616162Y2 (ja) パイロット操作逆止め弁
JP2601888Y2 (ja) エアコンプレッサ
KR20220004915A (ko) 유압식 증압실린더
JPS6237028Y2 (ko)
JP2019113102A (ja) エアシリンダ
JPS60220202A (ja) 蓄圧器
JPH04104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