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4637A - 패널파스너 및 리테이너장치 - Google Patents

패널파스너 및 리테이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637A
KR20010034637A KR1020007010559A KR20007010559A KR20010034637A KR 20010034637 A KR20010034637 A KR 20010034637A KR 1020007010559 A KR1020007010559 A KR 1020007010559A KR 20007010559 A KR20007010559 A KR 20007010559A KR 20010034637 A KR20010034637 A KR 20010034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retaining member
support
retaining
attach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989B1 (ko
Inventor
소쿠렌코윌리암이.
힙에릭디.
핀코우크리스토퍼제이.
튜록비.
위드만윌리암에이.
고햄토마스디.
Original Assignee
스티븐 제이. 켈리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븐 제이. 켈리,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티븐 제이. 켈리
Publication of KR2001003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one on top of the other and distanced from each other, e.g. by using protrusions to keep contact and d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9Cord and rope holders
    • Y10T24/3991Loop eng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7Strap-end-attaching devices
    • Y10T24/4773Cargo tiedown

Abstract

파스너(10)는 제 1 패널부재(100) 및 제 2 패널부재(102)를 고정시킨다. 상기 파스너(10)는 부착부재(12) 및 상기 부착부재(12)에 연결된 리테이닝부재(14)를 포함하고 있다. 파스너(10)를 장착하기 위해서, 제 1 패널부재(100)는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파스너(10)는 부착부재(12)의 캠작용면(19)이 제 1 패널부재(100)의 구멍의 에지(109)를 지나 이동될 때 스냅잠금위치에 있다. 그 때 파스너(10)는 원하는 때에 제 2 패널부재(102)로 고정될 수 있다. 볼트(91)와 같은 장착부재는 파스너(10)의 관통구멍(58, 59)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 때 제 2 패널부재(102)를 관통하는 나사가공된 구멍속으로 수용된다.

Description

패널파스너 및 리테이너장치{PANEL FASTENER AND RETAINER DEVICE}
패널부재들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고정시키는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와 같은 파스너들이 사용되는 다양한 응용의 한 실례는 차량의 쿼터(quarter)패널에 주물 또는 트림(trim)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상기와 같은 파스너는 전형적으로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것이고, 한편으로, 그와 같은 타입의 파스너가 가지고 있는 결점은 조립하기가 어렵고 그리고/또는 시간이 소비되고, 그리고 또한 예를 들면, 차량의 유지를 위한 것과 같이 쿼터패널로부터 트림을 제거하기 위해서 파스너가 설치된 후에 파스너를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을지라도 어렵다.
게다가, 다양한 요소들을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예를 들면, 번지(bungee)코드로서 전형적으로 알려진 탄성코드와 같은 일정한 길이의 스트랩재료 및 대향하는 단부들에 고정된 2 개의 후크요소를 포함하는 리테이닝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사용상으로, 후크단부들의 각각은 패널의 에지, 예를 들면, 차량 상의 문 또는 트렁크에 의해 한정된 에지와 같은 별개의 리테이닝장치에 대해 다른 위치에서 부착되어 있다. 그와 같은 타입의 장치가 가진 한 가지 단점은 리테이닝장치로서 작동하는 패널부재 상에 종종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는 것이고, 그리고 가요성 코드의 신장에 의한 장력 하에 있는 경우 후크부재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지지하기에 충분히 강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관점에서 개발되었고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도록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패널부재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파스너 및 다양한 요소들을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테이닝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부착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착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2 개의 패널부재들을 고정시키는 고정된 위치를 예시하는 도 1의 파스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리테이닝부재의 조절된 위치를 예시하는 도 1의 파스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2 개의 패널부재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위치를 예시하는 도 7의 파스너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리테이닝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장착된 위치를 예시하고 조립된 것을 도시하는 도 9의 파스너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12-12 라인을 따라서 취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부착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부착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부착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부착부재를 장착시키기 적합한 패널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패널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패널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패널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닝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22-22 라인을 따라서 취한 도 21의 리테이닝부재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리테이닝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리테이닝부재의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파스너의 우측면도이고 도 25에 도시된 리테이닝부재의 위치로부터 대략 90。위치의 리테이닝부재를 도시한다.
도 27은 도 25의 부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5의 리테이닝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5의 파스너에 적합한 제 1 및 제 2 패널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패널부재에 관해 장착된 위치로 도시된 도 25의 파스너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파스너의 우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부착부재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패널부재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파스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소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리테이닝부재를 개시한다. 파스너 및 리테이닝부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별개의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기술되는 것과 같이, 파스너 및 리테이닝부재는 단일의 장치로 포함되어 개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한 실시예에서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는 베즐(bezel) 및 이 베즐과 연결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부재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 하나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부재에 고정될 수 있고 작동시에 다양한 요소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리테이닝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요소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리테이닝부재를 포함하는 파스너를 가지고서, 패널부재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적합한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널부재로 스냅잠금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는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된 위치의 2 개의 패널부재들은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복수의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능력을 가지고 있는 리테이닝부재를 가지고서, 후프와 같은 많은 수의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리테이닝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테이닝부재의 이동이 제어되어 있는 조절가능한 리테이닝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된 경우 조절된 위치를 유지할 조절가능한 리테이닝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 이상의 디텐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조절가능한 리테이닝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널부재들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부재 또는 파스너 중의 어느 하나에 손상없이 패널부재들의 분해를 수용할 수 있는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또는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을 자세히 참고하면, 동일한 참고번호는 몇 개의 도면에 대해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고,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10)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부착부재(12) 및 리테이닝부재(14)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재(12)는 도 3, 3a 및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부착부재(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둥근 코너를 가진 대체로 삼각형 형상의 몸체(16)를 가지고 있는 베즐을 포함하고 있다. 몸체(16)는 제 1축선을 따라 뻗어있는 바닥 또는 하부면 및 돌출부(18)를 포함하는 하부면으로부터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돌출부(18)는 형태상으로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경사진 캠작용면(19)과 돌출부(18)의 말단부에 인접한 잠금작용면(20)을 포함하고 있다. 부착부재(12)는 또한 몸체(16)에 부착된 서포트(22)를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포트(22)는 몸체(16)의 전방면 및 최상부면의 일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서포트(22)는 그것의 부분으로서, 몸체(16)에 부착된 단면상으로 대체로 삼각형인 제 1 부분(24), 만곡된 제 2 부분(26), 제 1 부분(24)에 대향하여 이격된 대체로 평면의 제 3 부분(28), 장착요소를 한정하는 제 4 부분(30) 및 몸체(16)의 바닥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몸체(16)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플랜지를 한정하는 제 5 부분(32)을 포함하고 있다. 서포트(22)의 다양한 부분들의 형태는 충심에 있는 개구(22a)를 한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포트(22)는 또한 내부면(136)을 따라서 뻗어있는 한정된 길이의 리브레일(34)을 포함하는 텅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브레일(34)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22)의 측면(22b)보다 측면(22a)에 더 가까운 중심으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위치되어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레일(34)은 이하에서 기술될 목적을 위해, 부분(24, 26 및 28)의 각각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장착요소(30)는 몸체(16)의 바닥면에 의해 한정된 제 1 축을 가로질러서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축을 따라서 뻗어있다. 장착요소(30)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인 벽(36) 및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벽(36)과 연결된 2 개의 돌출부(38, 39)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38)는 벽(36)의 말단부에서 위치되어 있고 그리고 경사진 캠작용면(41) 및 잠금작용면(43)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돌출부(39)는 돌출부(38)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그리고 캠작용면(45) 및 잠금작용면(47)을 한정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는 벽(36)을 가진 제 3 부분(28)의 연결부에 의해 한정되어 있고 돌출부(38, 39)에 대체로 평행한 실질적으로 평면인 잠금작용면(49)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플랜지(32)는 부분(30)의 벽(36)에 제 1 단부에서 부착된 형태상으로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그리고 제 2 단부에 근접한 대체로 테이퍼가공된 상부면(52)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32)는 제 1 단부에 근접한 플랜지(32)의 바닥(56)에 부착되고 단면상으로 대체로 삼각형 형상인 립(54)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플랜지(32)는 본 실시예에서 형태상으로 실질적으로 환형인 점선으로 도시된 관통하는 구멍(58)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부착부재(12)는 또한 서포트(22) 및 몸체(16)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뻗어있는 관통구멍(59)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도 3a의 평면도에서 그리고 도 4의 측면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형태상으로 대체로 환형이고 플랜지(32)를 관통하는 구멍(58)과 맞추어져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체로 환형인 오목부(61)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59)에 인접한 스포트(22) 내에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14)는 도 2의 독립된 사시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비록 동일한 목적을 위해서 리테이닝부재에 대한 다른 형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본 실시예의 리테이닝부재(14)는 강체 후프의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후프(14)는 부착부재(12)의 몸체(16)와 형태상으로 유사하게, 둥근 코너를 가진 형태상으로 대체로 삼각형이다. 본 실시예의 리테이닝부재(14)는 그 원주의 일부분의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뻗어있는 홈(64)을 더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14)는 또한 적어도 하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외부면(67)으로부터 뻗어있는 2 개의 디텐트 캠(66)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있고, 그것의 목적은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리테이닝부재(14)는 본 실시예에서 대체로 길다랗고 약간 만곡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홈(64)에 대체로 대향하는 내부면(71)에 부착된 돌출부(69)를 포함하는 텅을 포함하고 있다.
부착부재(12)와 리테이닝부재(14)의 조립은 이제 기술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리테이닝부재(14)는 플랜지(32)의 말단부(53)에 삽입되어 어서 서포터(22)의 만곡된 제 2 부분(26) 내의, 도 1에 도시된 위치속으로 이동된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리브레일(34)은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조립된 경우 리테이닝부재(14)의 홈(64) 내에 위치되어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14)와 부착부재(12)의 조립은 서포트(22)의 가요성에 의해 쉽게 된다. 특히, 서포트(22)의 가요성은 부분(30)에 대한 플랜지(32)의 리빙힌지(living hinge)연결부 및 만곡된 제 2 부분(26)에 의한 제 1 및 제 3 부분(24, 28)의 리빙힌지연결부에 의해 제공된다. 비록 리테이닝부재(14) 및 부착부재(12)는 각각 원하는 분리된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부착부재(12) 및 리테이닝부재(14)는 각각 형태상으로 단일체이다. 비록 동일한 목적을 위해서 다른 적절한 재료 및/또는 제조공정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부착부재(12) 및 리테이닝부재(14)는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2 개의 패널부재(100, 102)를 고정시키기 위한 본 실시예의 파스너(10)의 작동은 이제 기술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널부재(100)에 파스너(10)를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도 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10)의 장착을 위해서, 바람직하게 제 1 패널부재(100)가 관통구멍을 가지고서 제공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작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제 2 부분과 부착된 보다 큰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제 1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 1 패널부재(100) 내의 파스너(10)의 장착시에, 파스너(10)의 전방 부분은 첫 번째로 구멍 속으로 삽입되어서 패널부재(100)의 에지(167)가 그 공간 사이에서 위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제 3 부분(28)의 잠금작용면(49) 및 제 4 부분(30)의 돌출부(39)의 잠금작용면(47)과 맞물린다. 파스너(10)의 후방 단부는 그 다음에 구멍으로 삽입되어서 돌출부(18)의 경사진 캠작용면(19)이 구멍에 인접한 제 1 패널부재(100)의 에지(109)와 맞물리게 된다. 그 후, 파스너(10)의 후방 단부의 제 1 패널부재(100)의 구멍 속으로의 계속된 이동은 서포트(22), 특히 서포트(22)의 만곡된 제 2 부분(26)에 의해 제공된 가요성 리빙힌지 연결부에 기인하여 에지(167)의 방향으로 몸체(16)를 이동시킬 것이다. 캠작용면(19)이 제 1 패널부재(100)의 에지(109)를 지나서 이동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서포트(22)가 장착되기 전의 위치로부터 약간 압축되는 때 파스너(10)는 그 때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스냅잠금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10)는 장착된 위치에 있는 경우, 패널(100)은 돌출부(18)의 잠금작용면(20)과 몸체(16)의 바닥면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플랜지부분(81) 사이에서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플랜지부분(49)과 서포트(22)의 제 3 부분(29) 및 돌출부(30)에 의해서 한정된 잠금작용면(47)의 사이, 그리고 잠금작용면(47)과 몸체(16) 및 돌출부(18)의 플랜지부분(81) 사이의 공간의 거리는 각각 제 1 패널부재(100)의 폭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게다가, 바람직하게 몸체(16)의 바닥면은 제 1 패널부재(100)의 외부면과 적어도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패널부재(100)의 외부면과 맞물림 상태로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포트(22)의 구부러짐의 정도는 립(54)에 의해서 조절되고, 립(54)의 과도한 굴곡의 정도시, 립(54)은 부분(30)의 벽(36)과 맞물릴 것이다.
파스너(10)는 제 1 패널부재(100)에 장착된 후에 원하는 때에 제 2 패널부재(102)에 고정될 수 있다. 비록 리테이닝부재(14)는 원하는 위치로 들어올려질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패널부재(102)에 장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리테이닝부재(14)는 도 5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상방으로 피벗됨에 의해 조절되고; 예를 들면, 도 6의 리테이닝부재(14)는 도 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90。로 조절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나사가공된 볼트(91)와 같은 장착요소는 파스너(10)의 관통구멍(58, 59) 속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 제 2 패널부재(102)를 관통하는 나사가공된 구멍 속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볼트(91)는 바람직하게 그 말단부에 제공된 오목부와 맞물리는 수단을 가지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슬롯이 있는 스크류드라이버를 수용하도록 슬롯이 가공되어 있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제 2 패널부재(102)에 장착하기 위해, 볼트(91)는 스크류드라이버에 의해 회전되어 제 2 패널부재(102)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파스너부재(10)에 의한 장착을 수용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제 2 패널부재(102)는 도 1에 도시된 구멍(103)과 같은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볼트(91)가 회전됨에 따라 파스너부재(10)는 또한 제 2 패널부재(102)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리고 돌출부(38)의 캠작용면(41)은 최초로 구멍(103)의 에지(112)와 맞물림 상태로 된다. 계속된 파스너(10)의 이동은 파스너(10)가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스냅잠금될때 까지 부분(30)의 약간의 구부러짐을 발생시키고, 그것은 부분(30)을 원래의 위치를 향해 되돌려 이동시키고, 돌출부(38)의 잠금작용면(43)은 제 2 패널부재(102)의 하부면과 맞물림 상태로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파스너(10)가 장착된 위치에 있을 경우, 플랜지(32)의 립(54)은 제 2 패널부재(102)의 상부면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파스너부재(10)는 다양한 타입의 제 1 및 제 2 패널부재(100, 102)를 가지고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일정한 타입의 재료로부터 만들어 질 수 있다. 파스너(10)의 응용의 한 예는 제 2 패널부재(102)로서 차량의 몸체의 일부분에 제 1 패널부재(100)로서 한 편의 트림 또는 주물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응용을 위해, 트림 또는 주물의 조성은 전형적으로 플라스틱이고 주물 또는 트림이 부착되는 차량의 부분은, 전형적으로 차량에 고정된 후방 쿼터패널 또는 장착 브래킷과 같은 금속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스너(10)가 제 1 및 제 2 패널부재(100, 102)로 장착된 후에, 리테이닝부재(14)는 이전에 기술된 번지코드 또는 텔레스코핑로드(telescoping rod)와 같은 다양한 보조물을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파스너부재(10)는 다양한 보조물의 부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로서 위에서 기술된 모터차량을 가진 응용을 사용하면, 하나 이상의 파스너부재(10)는 각각의 파스너(10)들 사이에서 다양한 보조물의 부착을 수용하도록 하나의 후방 쿼터패널 및 대향하는 후방의 쿼터패널의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비록 동일한 목적을 위해 리테이닝부재(14)의 다른 적당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리테이닝부재(14)는 형태상으로 후프이다. 작동상, 리테이닝부재(14)는 도 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원하는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그것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14)와 부착부재(12) 사이의 부착은 서포트(22)가 리테이닝부재(14) 상의 마찰토크저항 또는 드래그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드래그 특성은 원하는 위치로 조절된 경우 리테이닝부재(14)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비록 다른 원하는 범위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마찰저항은 리테이닝부재(14)의 180。의 회전을 통해 제공된다. 서포트(22)에 의해 제공된 마찰저항의 크기는 개구(22a)의 크기에 좌우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리테이닝부재(14) 상의 캠(66)과 부착부재(12)의 서포트(22) 사이의 관계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된 경우 리테이닝부재(14)를 위한 디텐트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캠(66)은 리테이닝부재(14)가 도 5의 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90。이동된 경우, 서포트(22)에 의해 한정된 개구(22a) 속으로 이동된 경우 디텐트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캠(66)은 원하는 회전위치에서 디텐트 맞물림을 수용하기 위해 리테이닝부재(14) 상의 원하는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드래그 특성 및 디텐트 특성의 하나 또는 양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패널부재(100, 102)의 장착해제를 위한 수단, 그리고/또는 제 1 패널부재(100) 내의 장착된 위치로부터 파스너(10)의 제거를 위한 수단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부착부재(12)의 몸체(16)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후방 벽(108) 내에 위치된 본 실시예에서의 슬롯(107)을 구비하고 있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스포트(22)의 리빙스프링 연결부의 압축에 의해 몸체(16)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패널부재(100)와 맞물림 상태로부터 돌출부(18)의 위치를 정리하기 위해서 슬롯이 있는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장착해제를 위한 공구가 슬롯(107) 속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분(30)의 돌출부(38, 39)의 하나 또는 양자가 분해를 위해 제 2 패널부재(102) 및 제 1 패널부재(100) 각각과 맞물림으로부터 이동되면서, 몸체(16)의 후방 벽(108)은 제 1 패널부재(100)로부터 떨어져서 들어올려질 수 있다. 계속되는 분해에서, 파스너(10)가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간결함을 위해, 파스너(10)와 다른 본 실시예의 부분들만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파스너(200)는 부착부재(212)의 형태에 있어서 파스너(10)와 다르다. 특히, 이 실시예에 있어서, 서포트(222)는 파스너(10)의 플랜지(32)의 특징을 포함하지 않는다. 게다가, 파스너(200)는 몸체(216)의 바닥면으로부터 뻗어있는 형태상 대체로 직사각형인 돌출부(218)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돌출부(218)는 그 후방 단부에서, 파스너(10)의 돌출부(18)와 같이 작용하는 돌출부(218a), 그리고 부분(230)의 편향을 제한하도록 파스너(10)의 플랜지(32) 상의 립(54)과 같이 작용하는 내측으로 경사진 전방 에지(218b)를 포함하고 있다.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조립 및 작용이 파스너(10)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파스너(200)에 관하여 기술된 것을 뒤따르면, 본 실시예는 간결함을 위해 파스너(10)를 참고하여 기술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파스너(300)는 부착부재에 리테이닝부재의 연결의 방식 및 부착부재의 스포트의 형태에 있어서 파스너(10)와 다르다. 특히, 도 9의 분해 사시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부재(314)는 갈라진 후프이고 그리고 2 개의 부착레그(365, 366)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레그(365, 366)의 각각은 도 10의 독립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68)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 서포트(322)는 부착부재(12) 내의 대향하는 공동(371)에 의해 한정되고 그리고 도 12의 부분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373)에 의해 종지된다. 리테이닝부재(314)의 장착은 돌출부(368)가 립(373)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기 위한 위치로 스냅잠금되도록 대향하는 공동(371) 속으로 레그(365, 366)의 삽입에 의해 성취된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파스너(10)에 있어서 예시된 드래그 및 디텐트 특성은 부착부재(312)의 개구(371) 내의 레그들(365, 366)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파스너(300)에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재(312)는 파스너(200)의 돌출부(218)와 유사한 돌출부(318)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그 후단부에서 돌출부(318a)를 포함하고 있지만, 돌출부(318)의 전방 단부의 형태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318)는 그 전방 단부에서 각각의 패널부재들에 부착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레그(319)는 돌출부(318)와 부착되어 있다. 레그(319)는 원하는 어떠한 형태가 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단면상으로 약간 만곡된 형태이다. 작동상으로, 레그(319)의 탄성은 제 1 및 제 2 패널부재에 대해 파스너(300)의 장착 및 장착해제를 수용한다.
도 13 내지 도 2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간결함을 위해, 본 실시예는 가능하다면 파스너(10)에 관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스너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스탬핑인 부착부재(412)를 포함하고 있다. 부착부재(412)는 몸체(416),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의 바닥면으로부터 뻗어있는 2 개의 돌출부(418)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돌출부들(418)은 형태상으로 각각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관통하여 뻗어있는 윈도(419)를 포함하며 그 윈도는 본 실시예에서 형태상으로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2 개의 돌출부(418)가 몸체(416)의 대향하는 측면들로부터 뻗어있고 도 15의 측면도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부착부재(412)는 또한 서포트(422)를 포함하고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한 단부에서 몸체(416)의 바닥부분에 부착된 리빙스프링을 포함하는 디텐트(431)를 포함하고 있다. 작동상 디텐트(431)는 리테이닝부재에 대해 드래그 및 디텐트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대체로 가요성이고, 그것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나머지 요소들은 파스너(10)에 관하여 유사하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본 실시예의 부착부재(412)의 장착을 위해 준비된 패널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패널부재(400)가 형태상 대체로 원형이고 구멍(401)을 통과하는 볼트, 부착부재(412)의 디텐트(431)를 위한 간극을 제공하기 위한 형태상으로 대체로 정사각형인 간극구멍(402) 및 부착부재(412)의 돌출부(418)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 형태상으로 대체로 직사각형인 한 쌍의 대향하는 관통구멍(403)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도 20의 정면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재(400)는 또한 관통구멍(403)에 인접하여 위치된 스냅-인(snap-in)래그를 또한 포함하고 그리고 장착시에 부착부재(412)를 유지하는 돌출부(418)의 윈도(419) 속으로 스냅연결되도록 작용한다.
도 21 내지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닝부재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리테이닝부재(414)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튜브 디자인이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414)는 또한 작동시에 부착부재(412)의 디텐트(431)와 맞물림 상태로 되는 본 실시예의 2 개의 디텐트 오목부(466)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414)는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형태상 대체로 정사각형이고 디텐트 오목부(466)에 대향하는 후프 상에 위치된 그립(90)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본질적으로 튜브형이고 디텐트 오목부(466)의 길이방향의 축에 대체로 평행한 그립(90)의 표면 상으로 뻗어있는 것과 같은 다른 형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그립(90)은 상부 및 하부면의 하나 또는 양자 내에 각각 형태상으로 대체로 원형인 일련의 오목부를 가지고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파스너의 다른 실시예를 도 25-30에 도시한다.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능한 한 파스너(10)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스너(510)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가 활용되기도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착 부재(512)를 포함한다. 부착 부재(512)는 전체적으로 타원 형상의 몸체(516)와 중앙에 대략 위치된 관통구멍(559)을 가진 베즐을 포함하고 있다. 부착 부재(512)는 몸체(516)에 부착된 서포트(522)도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이것은 서포트(522)가 몸체(516)의 전방 단부의 일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포트(522)는 몸체(516)에 부착된 제1 부분(524), 만곡된 제2 부분(526), 전체적으로 평평하고 제1 부분(524)에 대향하고 이것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있는 제3 부분(528), 장착 요소를 형성하는 제4 부분(530) 그리고 몸체(516)에 전체적으로 평행하고 이것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플랜지를 형성하는 제5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포트(522)의 여러 가지 부분의 형태는 중앙에서 개구(522a)를 형성한다. 서포트(522)는 내부 표면(536)내에 구비되고 하기 할 적어도 하나의 채널(527)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 쌍의 채널(527)은 대향 측에 위치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서로(도 27에도시되어 있는 채널(527) 중 하나) 정렬되어 있는 내부 표면(536)내에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527)은 말단부에서 디텐트 범프(529)를 포함하고 대략 45。 간격으로 뻗어있는데, 이것은 이하,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착 요소(530)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돌출부이고 그리고 장착 요소(530)와 제3 부분(528)사이에 갭(531)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532)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장착요소(530) 말단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여서 관통하여 뻗어있는 관통구멍(558)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532)는 적어도 하나의 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돌출부(518) 각각은 전체적으로 가요성이고, 플랜지(532)의 대향 측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말단부에 잠금 서비스(520) 및 경사진 캠작용면(519)을 가지고 있는 직사각형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514)는 도 28의 분리 사시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리테이닝부재(514)는 잘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체 후프 형상이다. 다른 형상도 동일한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514)는 몸체(516)의 외형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514)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부분(570)을 형성하는데, 제1 직경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일정하다. 게다가, 리테이닝부재(51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텐트 캠도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디텐트 캠(566)은 대향 단부에서 제1 부분(570)과 그리고 서로 전체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각각의 디텐트 캠(566)과 함께 부착되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의 제 1 부분(570)의 대향 끝부에서 테이퍼가공된 숄더(572)를 포함하고, 각각의 테이퍼가공된 숄더(572)는 제1 부분(57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제2 부분(574)에 의해 종지한다.
부착부재(512)와 리테이닝부재(514)의 조립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514)는 몸체(516)와 플랜지(532) 사이의 갭내로 삽입되어 그 다음 도 25와 도 26에 도시된 위치 내로 이동되고 리테이닝부재(514)의 제1 부분(570)은 서포트(522)의 개구(522a)내에 위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리테이닝부재(514)는 디텐트 캠(566)이 서포트(522)의 채널(527)내에 위치되도록 조립된다. 파스너(10)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부착 부재(512)와 리테이닝 부재(514) 각각은 바람직하게 단편 형상이지만, 이러한 부분은 원하는 별개의 요소로 또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재(512)에 대하여 리테이닝부재(514)의 조립은 서포트(522)의 가요성으로 활용된다.
도 29 및 도 30에 예시된 패널부재(600, 602)내에서 본 실시예의 파스너(510)의 조립은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2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패널부재(600)는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으로 관통하고 인접한 코너에 추가적으로 보다 적은 직사각형의 개구를 갖춘 구멍을 가지고서 제공되어 있다. 도 26과 도 29를 참조하여, 패널부재(600)내에 파스너(510)의 장착시, 파스너(510)의 전방 부분이 먼저 구멍 내로 삽입되어 패널부재(600)의 가장자리부(567)가 부분(528, 530)사이의 공간(531)에 위치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가장자리부(567)는 각각의 부분(528, 530)과 맞물린다. 그 다음, 파스너의 후방 단부는 구멍 내로 삽입되어 돌출부(518)의 경사진 캠작용면(519)이 개구(569)의 가장자리부(590)와 맞물리게 된다. 그 다음, 패널부재(600)의 구멍 내에서 파스너(510)의 후방 단부의 계속적인 이동은 초기에 돌출부(518)를 내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그 다음 파스너(510)가 장착될 때, 원 위치를 향하여 복귀하게 할 것이고 그 다음 가장자리부(590)가 잠금 표면(520)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패널(600)내의 파스너(510)의 장착된 위치는 도 30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한 바와 유사하게, 파스너(510)는 제1 패널부재(600)에 장착된 후에 임의의 원하는 시기에 제2 패널부재02)에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2 패널 부재(602)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상인 관통 구멍(603)으로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패널 부재(600, 602)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에 의해 함께 고정되고 볼트는 파스너(510)의 관통 구멍(558, 559)내로 수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나사가공된 제2 패널부재를 통하여 구멍(603)내로 수용된다. 변경적으로, 별개의 너트는 이들 부분을 통하여 뻗어 있는 볼트에 연결되어 활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테이닝 부재(514)와 부착 부재(512) 사이의 관계는 이것이 피벗될 때, 마찰 토크 저항 또는 리테이닝부재(514) 상에 드래그를 만들어낸다. 통상적으로, 저항의 양은 몸체(516)와 플랜지(532) 사이의 거리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마찰 저항의 양은 소정된 위치로 조정될 때, 리테이너 부재(514)의 위치를 유지시키기에 충분히 높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의 다른 원하는 영역은 원하는 것에서도 활용될 수 있기는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마찰 저항은 리테이닝부재(514)의 135。 회전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발명에 있어서, 리리테이닝부재14)상의 디텐트 캠(566)과 서포트(522)상의 디텐트 범프(529) 사이의 관계는 도 25에 예시된 대략 0。에 그리고 도 26에 예시된 대략 90。에서 위치될 때, 리테이닝부재(514)용 디텐트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해되는 바리테이닝부재이닝 부재(514)상의 캠(566)과 서포트(522)상의 디텐트 범프(529)는 원하는 회전 위치에 디텐트 맞물림을 수용하기 위하여 임의의 소정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디텐트 범프(529)의 개수는 대체로 디텐트 위치를 제공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채널(527)은 리테이닝부재(514)가 회전될 때, 디텐트 캠(566) 상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514)상의 테어퍼가공된 숄더(572)는 부착 부재(512)에 조립될 때, 나란히 이동되도록 기능하는데, 이러한 것은 서포트(522)의 대향 단부와 테이퍼가동된 숄더의 맞물림에 기인하는 것이다.
도 31-33은 본 발명에 따라 파스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의 파스너(610)는 파스너(510)의 많은 양태와 유사하고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파스너(510)와 다른 파스너(610)의 부분만이 여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리테이닝부재(614)는 리브(617)에 의해 분리되는 하측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채널(615)을 포함한다. 리테이닝부재(614)의 이러한 특징의 이점은 재료를 감소시키고 조립의 방향설정을 제공함으로써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는 것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플랜지(632)는 각각 외부표면(619)이 말단부의 방향으로 안쪽으로 테이퍼가공된 두개의 돌출부(618)를 포함하고 있다. 장점은 도 29에 도시된 패널(600)과 같이, 테이퍼가공된 외부 표면(619)이 패널 내로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더욱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재(612)의 플랜지(632)는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스(63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은 플랜지(632)의 상부표면으로부터 마주보는 몸체(616)의 방향으로 뻗는다. 보스(633)에 따른 장점중 하나는 두개의 돌출부(618)가 설치시에 몸체(616)의 바닥표면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더욱이, 보스(633)의 다른 이점은 도 5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지부재(614)에 부가적인 압력을 갖게 하여 마찰토크저항 또는 드래그를 증가시키는 볼트가 체결된 후에 플랜지(632)에 대한 몸체(616)의 편향점을 변경한다.
상술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파스너에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한 장점은 장치의 조립에 있다. 예를 들면, 파스너(10,200)에 대해 설명된 것과 같이, 오프셋되고 부착부재 상에서 리브 레일과 짝이 되는 유지부재의 홈은 한쪽으로의 설치를 허용한다. 더욱이, 파스너(10,200,400,510,61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포트의 리빙스프링 연결부는 강체후프를 포함할 때 유지부재가 위치로 스냅연결되게 허용하며, 또한 장착될 때 유지부재를 둘러싸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제 2 패널부재에 장착되기 이전에 제 1 패널부재 내로 장착되는 능력에 있다. 이러한 특징은 여러 단계에서 생기는 설치에 있어서 래치에 보다 더 융통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돌출하는 부분(30,230)과 돌출부(18,218a)의 비대칭적인 스냅레그 형상은 제 1 패널부재로의 적절한 조립을 보증한다. 더욱이, 두개의 돌출부에 의해 제공된 부분(30,230)의 이중 스냅레그형상은 부착부재가 플라스틱 패널 및 시트금속 브래킷과 같은, 제 1 및 제 2 패널 양쪽에 스냅연결되도록 허용한다. 게다가, 편향 리브(54)와 편향제한 에지(218b)는 쉬핑 및 스냅-인 조립시에 부분(30,230)의 이중 스냅레그 형상이 심하게 눌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서포트(22)와 부착부재(12)상의 잠금표면(49,81)에 의해 제공된 신축성 플랜지가 붙은 스냅-인 형상과 파스너(200 내지 600) 상의 대응하는 형상은 제 1 패널부재 내로 조립되게 허용하고 조립이 운반 중에 설치된 상태로 있는 것을 보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제 2 패널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방식에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부분(30,230)은 2차적인 스냅-인 형상을 수용하며 또한 파스너가 볼트에 의해 제 2 패널부재에 고정되었을 때 부가적인 유지력을 제공한다. 더욱이, 플랜지를 지나는 볼트의 위치는 또한 인장력이 걸리는 동안 리빙스프링의 필링(pealing)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장점은 장치의 작동에 있다. 특히, 드래그 형상은 신축성의 서포트에 의해 제어되는, 파스너(10,200,400,510,610)에서의 유지부재의 원하는 회전량에 맞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설명된 실시예에서 90°,그리고 0°와 90°에서 소정의 위치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텐트는 유지부재상의 캠에 의해 제공되며 신축성의 서포트에 의해 형성된 개방면적에 위치하는 캠식 피벗축에 의해 제어된다. 더욱이, 리브 레일과 유지부재와 부착부재 사이의 홈 형상은 유지부재가 회전 및/또는 측면 로딩시에 서포트의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부분(30)의 돌출부(39)와 파스너(200)의 대응하는 부분에 의해 제공된 부가적인 캐치 스냅-인 형상은 서포트가 인장로딩시 제 2 패널부재의 밖으로 필링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부착부재의 몸체의 벽에 들어간 홈은 드라이버 또는 유사한 공구로 분해하기 위해 파스너 또는 패널을 손상시키지 않고 서포트(22)의 리빙 스프링연결을 누를 수 있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파스너의 다른 장점은 다양한 적용에 사용하도록 충분한 강도와 사용상에 내구성에 있고, 예를 들면, 설명된 실시예의 파스너(610,610)는 탄성 코드와 같은, 스트랩이 후프에 적용될 때 최대인장력 890 N(200 lbs)을 견딜 수 있다.
파스너(10)에 대하여 상술한 동일한 장점이 또한 상술된 파스너 부재(200,300,400,510,610)에도 있다. 더욱이, 파스너(200)의 다른 장점은 파스너(10)에 있는 바닥 플랜지(32)가 없기 때문에 보다 쉽게 제 1 패널부재 내로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파스너(300)에 대한 유지부재와 부착부재의 조립은 스냅-인 연결을 위해 분리된 후프설계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패널부재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파스너 및 다양한 요소들을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술된 각각의 형상은 단일 장치에만 포함시킬 필요는 없다. 오히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상이 원하는 어떠한 조합으로 단일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범주 및 정신내의 모든 변경에 적용되도록 한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45)

  1. 리테이닝부재; 그리고
    상기 리테이닝부재에 연결된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파스너로서, 상기 부착부재는 몸체 및 그 몸체에 관하여 이동가능하고 그 몸체에 부착된 서포트를 가지고 있고, 상기 몸체 및 상기 서포트는 각각 그 표면으로부터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기 몸체 돌출부 및 상기 서포트 돌출부는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서포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및 상기 몸체는 리빙힌지 연결부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및 상기 몸체는 일체형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제 1 부분, 실질적으로 만곡된 제 2 부분, 만곡된 제 2 부분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실질적으로 대향하고 있는 제 3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과 부착된 제 4 부 을 한정하고, 상기 서포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4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상기 제 3 부분 및 제 4 부분의 상기 연결부는 플랜지를 한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4 부분은 제 1 축을 따라서 뻗어있는 벽을 한정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플랜지에 대체로 평행한 상기 벽으로부터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 1 축을 가로지르는 제 2 축을 따라서 대체로 길다란 바닥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몸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부면으로부터 뻗어있는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홈을 포함하는 상기 파스너를 장착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이동을 제한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서포트의 상기 제 4 부분과 상기 스포트에 인접한 상기 몸체 사이에 있고 상기 제 4 부분의 상기 벽의 일부분 및 그것의 전단부에 인접한 상기 몸체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제 3 부분 또는 제 4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인접하게 위치된 대체로 길다란 제 5 부분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5 부분은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상기 구멍과 대체로 맞추어 진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제 4 부분의 상기 벽의 일부분 및 그것의 전단부에 인접한 상기 제 5 부분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서포트의 상기 제 4 부분과 상기 제 5 부분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및 상기 몸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각각 캠작용면 및 잠금작용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회전이동을 위해 상기 서포트의 상기 실질적으로 만곡된 제 2 부분 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제 1 회전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만곡된 제 2 부분의 내부벽과 맞물리도록 위치되고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제 2 회전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서포트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 사이에서 이격된 거리 내에서 실질적으로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캠작용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작용면에 인접한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표면 내의 홈 및 상기 서포트의 상기 제 2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뻗어있고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상기 홈 내에 수용된 한정된 길이의 텅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강체 후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9. 부착부재;
    적어도 제 1 부재에 상기 부착부재를 연결시키시 위한 수단;
    상기 부착부재에 피벗적으로 연결된 리테이닝부재; 그리고
    상기 리테이닝부재가 피벗될 때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마찰저항을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0. 제 19 항에 있어서, 마찰저항을 인가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리테이닝부재가 수용된 상기 부착부재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적어도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과 부착된 실질적으로 만곡된 제 2 부분 그리고 상기 제 2 부분과 부착되고 상기 제 1 부분과 실질적으로 대향하여 이격된 제 3 부분을 한정하고,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상기 제 2 부분 내에 위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3부분 사이의 상기 이격된 거리는 상기 마찰저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2. 부착부재;
    적어도 제 1부재에 상기 부착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부착부재에 피벗적으로 연결된 리테이닝부재; 그리고
    상기 리테이닝부재가 피벗될 때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위치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와 상기 부착부재 사이에서 상기 리테이닝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리테이닝부재 상의 적어도 하나의 캠 및 상기 부착부재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서포트는 적어도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과 부착된 실질적으로 만곡된 제 2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과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부분과 실질적으로 대향하여 이격된 제 3 부분을 한정하고,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상기 제 2 부분 내에 위치되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상기 캠이 적어도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부분의 내부면과 맞물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위치에서 상기 리테이닝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피벗운동이 상기 캠을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 사이의 이격된 거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4. 리테이닝부재;
    부착부재;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피벗운동을 위한 상기 리테이닝부재 및 상기 부착부재의 스냅끼워맞춤 연결용 수단; 그리고
    적어도 제 1 부재에 상기 부착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끼워맞춤 연결수단은 적어도 2 개의 레그 및 상기 부착부재의 스포트를 가지고 있는 상기 리테이닝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각 레그는 그로부터 뻗어있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스포트는 그 표면 내의 립에 의해 각각 종지되는 2 개의 공동을 가지고 있고,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상기 2 개의 레그가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립의 맞물림을 위해 상기 표면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6. 부착부재;
    적어도 제 1 부재에 상기 부착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부착부재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리테이닝부재; 그리고
    상기 리테이닝부재와 상기 부착부재 사이에서 피벗운동 외의 상기 부착부재에 관하여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파스너로서, 상기 제한수단은 홈에 수용된 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스너.
  27. 리테이닝부재; 그리고
    상기 리테이닝부재에 연결된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파스너로서, 상기 부착부재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관해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스포트를 가지고 있고,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상기 몸체와 상기 스포트 사이에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회전을 위해 상기 부착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파스너는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리테이닝부재 사이에서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회전에 대해 마찰저항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상기 리테이닝부재와 부착부재 사이에서 상기 리테이닝부재가 회전될 때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위치에서 상기 리테이닝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패널에 상기 파스너를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몸체에 상기 서포트의 한 단부에서 부착된 실질적으로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상기 서포트의 상기 실질적으로 만곡된 부분 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실질적으로 만곡된 부분과 부착된 적어도 제 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리테이닝부재와 상기 부착부재 사이에서 상기 마찰저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몸체에 관해 이동가능하게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서포트 상의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와 맞물리는 상기 리테이닝부재 상의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디텐트에 의해 종지되는 공동을 더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리테이닝부재의 상기 디텐트는 상기 리테이닝부재가 회전될 때 상기 서포트의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서포트의 상기 제 2 부분으로부터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패널과 맞물도록 적합하게 된 대체로 가요성인 부재를 한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서포트의 상기 제 2 부분의 대향하는 측면들로부터 뻗어있는 2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2 개의 돌출부 각각은 말단부에서 캠작용면 및 잠금작용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말단부의 한 방향으로 내측 테이퍼가공부를 가진 외부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서포트의 상기 제 2 부분은 장착 볼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된 실질적으로 맞추어진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스포트와 맞물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고 상기 몸체와 상기 스포트 사이에 있는 보스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스포트의 플랜지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트 및 상기 몸체는 일체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강체 후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그 아래측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제 1, 제 2 및 제 3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부분은 대체로 길다랗게 되어서 특정한 직경의 외부면을 한정하고 대향단부에서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 각각은 그 연결부에 적어도 인접한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의 외부면을 한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는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 그리고 상기 제 1 부분과 제 3 부분 사이의 테이퍼가공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KR1020007010559A 1998-03-23 1999-03-18 패널 파스너 및 유지장치 KR100547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08898A 1998-03-23 1998-03-23
US09/046,088 1998-03-23
US16840798A 1998-10-08 1998-10-08
US09/168,407 1998-10-08
US19537798A 1998-11-18 1998-11-18
US09/195,377 1998-11-18
US09/256,183 1999-02-24
US09/256,183 US6230372B1 (en) 1998-03-23 1999-02-24 Panel fastener and retain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637A true KR20010034637A (ko) 2001-04-25
KR100547989B1 KR100547989B1 (ko) 2006-02-01

Family

ID=2748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559A KR100547989B1 (ko) 1998-03-23 1999-03-18 패널 파스너 및 유지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30372B1 (ko)
EP (1) EP1064183B1 (ko)
JP (1) JP2002507703A (ko)
KR (1) KR100547989B1 (ko)
AU (1) AU3189799A (ko)
BR (1) BR9909022A (ko)
CA (1) CA2325529A1 (ko)
DE (1) DE69931250T2 (ko)
WO (1) WO1999048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92465A4 (en) 2000-06-12 2008-04-02 Southco RING
US6485055B1 (en) * 2000-08-07 2002-11-2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nchorage system and apparatus for a child safety seat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921297B1 (ko) * 2008-07-18 2009-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러기지룸
US7886906B1 (en) * 2009-04-30 2011-02-15 Taryn Dunn Catheter guide wire packaging
US8517442B1 (en) 2012-09-21 2013-08-27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trim attachment fastener
DE102019104323A1 (de) * 2019-02-20 2020-08-20 RND sportive GmbH Verbindungsvorrichtung für eine Vorrichtung zum Tragen von Gegenstände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193A (en) * 1910-09-27 1911-01-03 Sawwa H Brenia Drawer-handle.
US1407884A (en) * 1920-08-11 1922-02-28 Library Bureau Latch
US2701114A (en) * 1949-12-21 1955-02-01 Donaldson James Edward Holder
US3082473A (en) * 1960-06-01 1963-03-26 Cambridge Thermionic Corp Folding handle
US3158284A (en) * 1961-03-30 1964-11-24 Continental Can Co Plastic handle and cleat attachment for containers
US3963104A (en) * 1974-04-30 1976-06-15 Leon Lautin Handle and means for securing same to a piece of luggage
US4297962A (en) * 1979-07-03 1981-11-03 C. Sherman Johnson Company, Inc. Hinged deck cleat assembly
DE3820334C1 (en) * 1988-06-15 1989-12-28 Volkswagen Ag, 3180 Wolfsburg, De Arrangement for mounting a sun visor in a vehicle
US5461755A (en) * 1993-11-23 1995-10-31 Hardigg Industries, Inc. Lightweight handle
US5513934A (en) * 1994-08-22 1996-05-07 German; Mark K. Fastener for truck bed liner
DE69522467T2 (de) * 1994-12-02 2002-05-02 Lear Donnelly Overhead Systems Schnellmontageclip
US5774948A (en) * 1997-04-04 1998-07-07 Creative Wire & Tube Forming, Inc. Tie-down 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1250T2 (de) 2007-03-08
EP1064183B1 (en) 2006-05-10
KR100547989B1 (ko) 2006-02-01
DE69931250D1 (de) 2006-06-14
CA2325529A1 (en) 1999-09-30
EP1064183A1 (en) 2001-01-03
EP1064183A4 (en) 2003-03-12
JP2002507703A (ja) 2002-03-12
WO1999048740A1 (en) 1999-09-30
AU3189799A (en) 1999-10-18
US6230372B1 (en) 2001-05-15
BR9909022A (pt) 2001-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4721B2 (en) Four legged fastener clip
JPS5934732Y2 (ja) 部品取付構造
US5924790A (en) Lamp housing, mounting bracket and assembly thereof
US7096638B2 (en) Low insertion effort U-base retainer
US5347690A (en) Fastener apparatus for an automotive body panel component
US4185936A (en) Locking device in a telescopic tripod leg assembly
US6406236B1 (en) Panel faste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244324A (en) Anchoring retainer for threaded fastener
US6908274B1 (en) Combination fastener
US4904014A (en) Decorative trim molding assembly
JP2002502943A (ja) 回転締結具
JP3814316B2 (ja) 固定装置
US5607195A (en) Flexible draw latch
EP1191236B1 (en) Two-piece sliding grommet
US5345658A (en) Fastener for truck bed liner
US20190359112A1 (en) Tie down assembly
KR20010034637A (ko) 패널파스너 및 리테이너장치
KR100223577B1 (ko) 단부고정구
JPS6049763B2 (ja) 錨形留め具
JP2606488Y2 (ja) スタッドとスタッド用クリップからなる取付装置
MXPA00009245A (en) Panel fastener and retainer device
JPS6114737Y2 (ko)
JPH024491Y2 (ko)
JPH0538241Y2 (ko)
JPH04417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