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4282A - 선형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선형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282A
KR20010034282A KR1020007007988A KR20007007988A KR20010034282A KR 20010034282 A KR20010034282 A KR 20010034282A KR 1020007007988 A KR1020007007988 A KR 1020007007988A KR 20007007988 A KR20007007988 A KR 20007007988A KR 20010034282 A KR20010034282 A KR 20010034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receptacle
linear drive
dri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961B1 (ko
Inventor
하르트람프랄프
페이트에버하르트
쇼이렌브란트한스
Original Assignee
뮐러 로다르
훼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뮐러 로다르, 훼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filed Critical 뮐러 로다르
Publication of KR2001003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71Guiding means other than in the end c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013/002Modular valves, i.e. consisting of an assembly of interchangeable components
    • F15B2013/006Modular components with multiple uses, e.g. kits for either normally-open or normally-closed valves, interchangeable or reprogrammable mani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Linear Motors (AREA)
  • Actuator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리셉터클(4)을 형성하는 하우징(2)을 포함하는 선형 드라이브로서, 구동수단(6)이 리셉터클(4) 내에 배치되고, 구동수단(6)과 협력하는 전동부재(12)가 리셉터클(4)의 외부로 연장되는, 선형 드라이브가 개시된다. 구동수단(6)은 전기 선형 모터(18)의 구성요소이며, 이 전기 선형 모터(18)는 카트리지식 유닛(22)으로서 리셉터클 내에 장착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제위치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선형 드라이브 {LINEAR DRIVE}
이러한 유형의 선형 드라이브는 유체 동력 부품, 즉 유체에 의해 작동되는 부품의 형태로 폭넓게 이용된다. 한가지 괜찮은 설계가 독일특허공보(실용신안) 제 29,706,098.8 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슬라이드 구동장치의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원통형 리셉터클로 구성된 하우징 본체를 갖춘 선형 드라이브와 관련된 것으로, 여기서는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피스톤이 슬라이딩한다. 이 피스톤에 연결되어 있는 봉형(棒形) 동력 또는 힘 전달 부재(전동부재)는 그 단부에서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며, 또한 움직이고자 하는 물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선형 드라이브의 작동은 피스톤상의 유체의 작용에 의해 수행되며, 위치선정을 위하여 외부 접촉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선형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공압 작동식인 경우 전동부재의 정확한 위치선정이 어려우며 피스톤의 느린 움직임이 저킹(jerking)되는 경우가 있어 정확한 운동과 위치선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선형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서, 이 리셉터클 내에는 구동수단이 배치되고 이 구동수단과 협력할 수 있는 전동부재의 하나 이상의 축방향 단부 영역은 리셉터클의 외부로 연장된다.
도 1은 조립 중인 중간 위치에 있는 전기 선형 모터를 사용하는 전기 선형 드라이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비스듬한 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선형 드라이브의 종방향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선형 드라이브의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선형 드라이브와 유사하지만 상이한 구동수단을 갖춘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필요한 위치선정 측정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저속도에서도 저킹이 없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선형 드라이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조립 및 장착을 간단하게 하는 간단한 구성과 결부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수단이 선형 전기 모터의 구성요소를 이루고 이 구동수단이 카트리지식 유닛으로서 리셉터클 내에 장착되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는, 청구범위 제 1항의 특징부에 따른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전기자가 회전하지 않고 선형 운동을 하는 소위 선형 모터(특별 설계된 전기 모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동 수단을 갖춘 전기 선형 드라이브가 제공된다. 구동력은 가동 자기장에 의해 제공되는데, 이는 느린 운동 시에도 저킹이 없으며 매우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더욱이, 그러한 선형 모터도 또한 낮은 마모성을 가지며 수리할 필요가 적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선형 모터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개별적인 부품을 자체적으로 가지지 않으며 카트리지식으로 하우징에 삽입되므로, 이 하우징은 선형 모터의 전기 구동 원리를 위한 어떠한 중요 조작 기능도 수행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원하는 사용 목적에 따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외측 형상은 유사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의 외측 형상과 동일한데, 이때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에서는 구동 수단 대신에 전기 선형 모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우징이 동일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유체 동력 또는 전기 선형 드라이브가 제조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매우 많은 동일한 부품이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카트리지식 선형 모터 유닛은 간단하며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수단의 결함에 의한 시간 손실 및 이에 수반되는 선형 드라이브의 조작의 실패가 매우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비록 독일특허공보 제 19,512,080 A1 호에 전기 선형 드라이브가 개시되어 있고 그 하우징 내에 전기 드라이브가 삽입되기는 하지만, 여기서는 회전식 구동 샤프트를 갖춘 통상적인 전기 모터를 사용하며 카트리지식 유닛의 형태로 설계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의 이외의 개선점은 청구범위의 종속항에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모터가 자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연장하는 관형 또는 슬리이브형 모터 하우징을 가지며, 이 모터 하우징은 하우징 내의 리셉터클 내로 연장하고, 그 형상이 리셉터클 공간의 내측 형상과 보완적이기 때문에 제위치에 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점에 있어서, 특히 간단한 제작을 위하여 원형 단면 형상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히 단순한 수단을 사용하여 하우징에 대한 선형 모터 유닛의 회전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형 이외의 단면 형상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셉터클 내에 선형 모터를 삽입하는 것은 엄밀하게 선형으로 틀어막는 작업의 일부로서 및/또는 나사 체결에 의해 일어날 수 있어서, 조립은 회전과 결부된다. 이 경우, 하우징 상의 대응 나삿니와 협력하도록 모터 하우징의 외주에 적당한 나삿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형 모터의 길이의 적어도 주요 부분을 따라서 연장하는 리셉터클은 자체 전체 길이를 따라서 그 주변부가 폐쇄되는 것이, 즉 슬롯에 의해 중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한 설계 없이 하우징을 위한 통상적인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의 유사한 본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셉터클은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 내에서 연장하는 기다란 리셉터클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공간 내로 선형 모터 유닛이 카트리지처럼 일단부로부터 동축으로 삽입된다. 하우징 본체의 경우에, 리셉터클 공간이 축방향으로 연속적인 형태로 그 내부에 생성된 압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모터는 리셉터클 공간의 내부에 자체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이 배치되는 모터 하우징을 구비하며, 전동부재는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연장하는 한편, 타단부 근처에는 전기 신호를 공급 및/또는 출력하기 위한 전기 단자수단이 제공되고, 이 전기 단자수단은 소형 접속수단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의 외측에서 선형으로 활주하는 안내 슬라이드와 전동부재가 결합하는 경우, 매우 정밀한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그러한 안내 슬라이드 또는 캐리지는 횡방향 힘을 흡수하여, 선형 모터의 (전동부재와 협력하는) 구동수단이 마모를 유발하는 횡방향 하중으로부터 자유롭게 유지될 수 있다.
종종 전기 선형 드라이브는 유체 동력 선형 모터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가는 각각의 적용시의 한계 조건에 의해 지정된다. 이와 관련된 한 가지 심각한 결점은, 독일특허공보(실용신안) 제 29,706,098.8 호 및 독일 특허공보 제 19,512,080 호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상기의 두 가지 유형이 매우 상이하기 때문에, 제작자가 양쪽 유형을 모든 크기로 제공하지 않으며 상이한 종류의 드라이브를 채용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드라이브 시스템을 대규모로 설계 변경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선형 드라이브는 제조에 있어서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의 하우징 본체로도 이용될 수 있는 단일의 하우징 본체를 사용한다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선형 드라이브의 하우징 본체는 동일한 자체 외측 형상을 가지며 선형 드라이브의 하우징 본체 내에 제공된 리셉터클 공간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하우징 본체의 제조시 동일한 단계와 공구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소비자에게도 호환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계의 종류에 따라서 유체 동력식 또는 전기 작동식 구동 수단만을 삽입하면 되기 때문에, 이러한 리셉터클 공간의 동일한 단면 형상에 의해 융통성 있는 제조가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전기 선형 드라이브(1) 및 도 4에 도시된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1')는 바람직하게는 압출성형부로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3)를 갖춘 하우징(2)을 각각 구비한다. 이들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은 기다란 리셉터클(4)을 형성하며, 이 리셉터클(4)은 하우징 본체(3)를 축방향으로 관통 연장하는 기다란 리셉터클 공간(5)으로 구성되며 압출성형에 의한 하우징 본체의 제작 동안에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공간(5)의 주변은 자체 길이 전체에 걸쳐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셉터클(4)의 내부에는 구동수단(6 및 6')이 배치되며, 이 구동수단은 외부 에너지의 공급에 의하여 구동되어, 리셉터클(4) 또는 리셉터클 공간(5)의 종축선(8)을 따라 선형 운동(7)(이중 화살표로 도시됨)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선형 운동(7)은 하우징(2) 외부의 접속에 의해 봉형 전동부재(12)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 부재(12)는 하우징 본체(3)의 단부인 전방측면(13)과 연합하는 리셉터클(4)의 축방향 단부(14)의 외부로 연장된 구동수단(6 및 6')과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전동부재(12)의 외측 단부 상에는 움직이고자 하는 부품이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운동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구동수단(6 및 6') 및 전동부재(12)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실시예와 유사하게 리셉터클(4)의 외부에 있는 전동부재(12)의 부분이 (부착지점(16)에서) 안내 슬라이드(15)에 고정된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중간 선형 안내수단(17)의 도움을 받아 종축선(8)에 평행한 방향으로 하우징 본체(3)상에서 활주하는 것이 유리하다.
안내 슬라이드(15)가 축방향으로 하우징 본체(3)와 겹쳐지며, 겹쳐지는 정도는 관련 구동수단(6 및 6')의 행정의 순간 위치에 좌우된다. 안내 슬라이드(15)는 움직이고자 하는 어떠한 구성요소에도 부착될 수 있으며, 선형 안내수단(17)은 어떠한 횡방향 힘도 흡수하므로 하중으로부터 자유롭게 드라이브가 활주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선형 드라이브(1 및 1')의 수단인 구동부(구동수단(6 및 6')) 및 안내부(선형 안내수단(17))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특히 낮고 편평한 설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예컨대 안내 슬라이드가 구동부의 상부에 연장되는 등의 다른 구성 또한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의 전기 선형 드라이브(1)는 특히 하기의 특징을 갖는다. 즉, 자체 구동수단(6)이 전기 선형 모터(18)의 구성요소를 이루며, 카트리지식 유닛(이하, 선형 모터 유닛(22)으로 언급됨)으로서 리셉터클(4) 내에 삽입되어 하우징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든 구동부는 밀집되고, 예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단부 개구(23 및 24) 중의 하나로부터 동축으로 리셉터클 공간(5)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전기 선형 드라이브(1)의 장착과 조립은 매우 간단해지며, 또한 조작에 의한 작동시의 방해가 감소하는데, 그 이유는 결함이 있는 경우에 선형 모터 유닛(22)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선형 모터 유닛(22)은 하우징 본체(3)의 후방 측면(25)에서 개구(23)를 통해 리셉터클 공간(5) 내로 삽입된다. 이점에 있어서, 전기 선형 모터(18)의 전체 길이는 하우징 본체(3)의 전체 길이와 일치하기 때문에, 주요부분이 리셉터클 공간(5)의 내부에 수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선형 모터의 모터 하우징(26)은 리셉터클 공간(5) 내에 완전히 수용되고, 또한 모터 하우징(26)의 후방에 접하는 인터페이스 본체(27)가 하우징 본체(3)를 지나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본체(27)는 선형 모터(18)의 작동에 이용되는 신호를 공급 및/또는 출력하는 전기 단자수단(28)(개략적으로만 도시됨)을 포함한다. 전기적 작동 신호는 전기 단자수단을 통해 규칙적으로 공급되어, 구동수단(6 및 6')의 선형 행정 운동을 야기한다. 또한, 선형 모터(18) 내에 결합된 위치 검출수단으로부터 생성된 검출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하여 구동수단(6 및 6') 및 이에 연결된 전동부재(12)의 정확한 위치선정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단자수단(28)은 다중 전극 또는 다중 핀 연결수단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으며, 특히 플러그 소자의 형태로 설계된다.
임의의 부착수단을 사용하여 선형 모터(18)를 하우징에 고정 장착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자체 모터 하우징(26)과 함께 선형 모터(18)는 리셉터클 공간(5) 내에서 나사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외측 나삿니(32)가 모터 하우징(26) 외주 상에 제공되며, 이 나삿니는 모터 하우징(26)의 후방 단부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리셉터클 공간(5)의 후방 축방향 단부(34)에 형성된 보완 내측 나삿니(33)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삽입과 회전 작업의 결합에 의해 조립이 수행되며, 선형 모터(18)는 자체에 나삿니가 없는 전방부를 가진 채 앞쪽으로 이동되고 외측 나삿니(32)가 내측 나삿니(33)와 접촉하기 전까지 리셉터클(4)의 후방 개구(23)를 통해 삽입되며, 두 개의 나삿니가 서로 나사체결되기 전까지 모터 하우징(26) 또한 종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모터 하우징(26)의 축방향 위치 및 각위치 양자 모두 하우징 본체(3)와 관련하여 설정된다. 여기서, 축방향 위치는 독립적인 접촉수단(상세한 설명은 생략)에 의해 또는 나삿니의 설정 길이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선형 모터(18)가 적어도 한번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리셉터클(4) 내에 배치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적어도 리셉터클(4) 내에 있는 모터 하우징(26)의 길이부는 원형 외측 형상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원형의 원통형 길이부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공간(5)의 내측 형상이 모터 하우징(26)의 각각의 길이부의 외측 형상과 보완적으로 형성된 경우에, 모터 하우징(26)이 리셉터클 공간(5)의 내측면과 적절하게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리셉터클 공간(5)의 내측 단면 형상과 이 공간과 관련된 모터 하우징(26)의 길이부의 외측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그러한 설계에는 모터 하우징(26)의 각위치가 조립 시에 자동적으로 미리 설정되고 동시에 각위치가 고정된다는 이점이 있다.
단면 형상이 정확하게 일치하기 때문에, 선형 모터(18)가 횡방향으로 잘 유지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착수단(나삿니(32 및 33))이 모터 하우징(26)의 단부로 제한되더라도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Sulzer Electronic AG Company"의 "Linearantriebe LinMot-P"로 선정된 유형의 스케쥴에 지시된 설계와 같이, 선형 모터는 공지된 유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력이 영구자석 배열체(35)로 향해지는 전기역학적 원리에 따라 선형 모터가 작동된다. 구동수단(6)은 예컨대 피스톤형 전기자(36)로 구성되며, 이 전기자(36)는 상기 영구자석 배열체(35)를 지지하며, 이 배열체(35)는 방사상으로 자화된 다수의 동축의 종동 단편 환형 영구자석(37)으로 구성되고, 이 연속적인 종동 영구자석(37)의 자화 방향은 대향을 이룬다. 영구자석 배열체(35)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부재(12)의 길이부로 구성된 캐리어 상에 장착된다.
전기자(36)는 모터 하우징(26)의 관형상부(38)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 관형상부(38)는 강철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기 회귀 회로를 형성한다. 관형상부(38)의 내측면 상에는 방사상 동축으로 전기자(36)를 둘러싸며 다수의 연속적인 코일(43)로 구성된 관형 코일 배열체(42)가 제공되고, 코일(43)의 축방향 폭은 개개의 영구자석(37)의 폭의 절반으로 제작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은 반쪽으로 직렬 배치되며, 코일 중 한 반쪽은 균일한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도록 역방향으로 자화된다. 전기 단자수단(28)을 통해 공급되고, 또한 가동 필드에 의해 코일 배열체(42) 및 모터 하우징(26)에 대한 일축방향 또는 다른 축방향으로 전기자(36)가 선형 구동되는 효과를 내는 전압 신호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진다.
보완적인 방법으로, 코일 배열체(42)는 구동 모터에 결합된 위치 검출수단에 의한 전기자(36)의 위치 검출을 통해 작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기 선형 드라이브는 예컨대 공압식 선형 드라이브 등의 유체 동력 드라이브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어서, 동일한 기본 부분을 기초로 하여 이론적이고 융통성 있는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전기적 또는 유체 동력 방식에 의해 선형 구동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내용이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1')를 도시하고 있는 도 4에 잘 나타나 있으며, 구동수단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전기 드라이브와 동일하게 설계된다.
도 4의 선형 드라이브(1')의 경우에, 전기 선형 드라이브(1)의 구성요소와 상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 지시된다.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 슬라이드(15)와 하우징 본체(3)의 결합은 두 개의 선형 드라이브(1 및 1')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동수단(6)을 사용하는 대신에, 리셉터클(4) 내에서 움직이며 리셉터클 공간(5)의 내주면과 활주 접촉하는 피스톤(44)으로 구성된 유체 작동식 구동수단(6')을 사용한다. 이 경우, 선형 모터 유닛(22)은 완전하게 제거되고 전동부재(12)는 피스톤 로드를 구성하며, 이 피스톤 로드의 일단부는 피스톤(44)에 부착되며 타단부는 안내 슬라이드(15)에 결합된다.
전기 선형 드라이브(1)와 비교하면,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1')의 외측 형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동일하며, 또한 리셉터클 공간(5)도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전체 크기를 갖는 하우징(2)에 기초하여) 리셉터클 공간(5) 내에 피스톤(44)이나 전기 선형 모터(18)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선형 드라이브의 작동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하우징 본체(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덕트(45 및 46)는, 유체 동력 직선 드라이브(1')를 적용하는 경우에만 사용되며 전기 선형 드라이브(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 도 4에 따른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1')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 덕트는 유체, 특히 피스톤(44)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공압 매체의 공급부 및/또는 출력부의 역할을 한다.
두 개의 유체 덕트(45 및 46) 각각은 하우징의 외측면(여기서는 후방 측면(25))과 두 개의 작업 공간(47 및 48) 사이에서 하우징 본체(3)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작업 공간은 피스톤(44)에 의해 리셉터클 공간(5) 내에서 분리된다. 이들의 두 개의 축방향 단부(14 및 34)에서, 리셉터클 공간(5)은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단부 벽(49 및 50)에 의해 각각 폐쇄되며, 이들 각각의 단부 벽(49 및 50)은 작업 공간(47 및 48)을 위한 피스톤(44)에 대향인 제한 벽을 구성한다. 따라서, (다른 장비로 유도되는 유체 덕트를 연결시키는 외측 덕트 개구를 통해) 작업 공간(47 및 48)에 유체를 공급하여 피스톤(44) 및 전동부재(12)를 제어하면서 축방향 행정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 단부 벽(50)은 뚜껑(cover)과 비슷하게 설계되고, 후방 측면(25)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특히 리셉터클 공간(5) 내로 축방향 삽입된다. 부착은 나사 연결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술한 바와 같은 내측 나삿니(33)가 사용되고, 이 내부로 보완적인 외측 나삿니(54)에 의해 후방 단부 벽(50)이 나사 체결된다.
유사한 나사 부착부를 이용하여, 리셉터클 공간(5)의 (내측 나삿니(53)를 갖춘) 전방 단부(14) 내로 외측 나삿니(52)가 나사 체결되기 때문에, 전방 단부 벽(49) 또한 하우징 본체(3)에 고정된다. 이러한 내측 나삿니(53)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전기적 유형의 선형 드라이브의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 채로 남겨진다.
하우징(2)의 전방 단부 벽(49)은 환형 부재 또는 슬리이브의 형태로 설계되며, 봉형 전동부재(12)를 밀폐하면서 둘러싼다. 또한, 전방 단부 벽(49)의 축 방향 전체 길이는 리셉터클 공간(5)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전기 선형 드라이브(1) 및 하나 이상의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1')를 포함하는 다수의 선형 드라이브를 만들 수 있는 것이 자명하며, 그러한 두 개의 선형 드라이브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외측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조시 적어도 대부분 동일한 부품 및 동일한 공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적용 시에는 설치방법에 호환성이 있게 된다. 상기 두 경우에서 리셉터클의 단면이 동일하기 때문에 전기 작동식 구동수단(6)이나 유체 동력 구동수단(6')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선형 드라이브를 제작하는 경우 큰 융통성을 부여한다. 만일 전기 구동수단이 카트리지와 같이 밀집하여 조립된 전기 선형 모터를 포함한다면, 삽입에 의한 조립이 가능해져 시간이 절약되기 때문에, 조립 및 장착이 특히 간단해진다.

Claims (18)

  1. 리셉터클(4)을 형성하는 하우징(2)을 포함하는 선형 드라이브로서, 구동수단(6)이 상기 리셉터클(4)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수단(6)과 협력하는 전동부재(12)의 하나 이상의 축방향 단부가 상기 리셉터클(4)의 외부로 연장되는, 선형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6)은 전기 선형 모터(18)의 구성요소이며, 상기 전기 선형 모터(18)는 카트리지식 유닛(22)으로서 상기 리셉터클(4) 내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모터(18)의 모터 하우징(26)의 길이부 중 적어도 일부가 관형으로 제조되며,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리셉터클(4) 내에 수용되고 상기 리셉터클(4)의 내측 형상에 보완적인 외측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4) 및 그 내부에 있는 상기 모터 하우징(26)의 길이부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4) 및 그 내부에 있는 상기 모터 하우징(26)의 길이부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 아니며 타원형이나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모터(18)가 상기 리셉터클(4) 내에 삽입 및/또는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4)은 자체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속적인 주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4)은 상기 하우징(2)의 하우징 본체(3) 내에서 연장되는 기다란 리셉터클 공간(5)으로 구성되며, 이 공간 내로 상기 카트리지식 선형 모터 유닛(22)이 동축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모터(18)는 상기 리셉터클 공간(5)의 내부에 자체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이 배치되는 모터 하우징(26)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전동부재(12)가 외부로 연장하며 그 타단부에는 전기 신호를 공급 및/또는 출력하기 위한 전기 단자수단(2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단자수단(28)은 접속수단의 구성요소이며, 특히 플러그 수단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공간(5)은 종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본체(3)를 완전하게 관통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3)는 특히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압출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선형 모터(18)는 상기 리셉터클 공간(5)의 외부로 연장되지 않거나 단지 약간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선형 모터의 구동수단(6)은 상기 모터 하우징(26)상 고정 장착된 코일 배열체(42), 및 상기 전동부재(12)와 협력하며 영구자석 배열체(35)를 갖춘 선형 가동 전기자(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재(12)는 선형 활주 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2)상의 외부에 배열된 안내 슬라이드(15)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다수의 선형 드라이브(1 및 1')가 상기 전기 선형 드라이브(1) 외에도 하나 이상의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1')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1')의 하우징 본체(3)는 유체 작동식 구동수단(6')을 위한 리셉터클 공간(5)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선형 드라이브(1) 및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1')의 하우징 본체(3)는 동일한 자체 외측 형상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선형 드라이브(1 및 1')의 리셉터클 공간(5)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15) 및 하우징 본체(3)의 결합은 전기 선형 드라이브(1)와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1')의 경우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1')의 구동수단(6')은 리셉터클 공간(5)의 내측 원주 상에서 움직이는 축방향 활주 피스톤(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동력 선형 드라이브(1')의 리셉터클 공간(5)은 하우징 본체에 고정된 단부 벽(49 및 50)에 의해 축방향 양단부에서 밀폐되며, 상기 벽(49 및 50)은 상기 리셉터클 공간(5) 내로 축방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드라이브.
KR10-2000-7007988A 1998-11-24 1999-10-28 선형 드라이브 KR100411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3942A DE19853942C1 (de) 1998-11-24 1998-11-24 Elektrischer Linearantrieb
DE19853942.8 1998-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282A true KR20010034282A (ko) 2001-04-25
KR100411961B1 KR100411961B1 (ko) 2003-12-24

Family

ID=788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988A KR100411961B1 (ko) 1998-11-24 1999-10-28 선형 드라이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00047B1 (ko)
EP (1) EP1047881B1 (ko)
JP (1) JP3410453B2 (ko)
KR (1) KR100411961B1 (ko)
DE (2) DE19853942C1 (ko)
WO (1) WO20000314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601B1 (ko) * 2020-07-07 2022-01-11 주식회사 피앤엠 회전 작동 리니어 액츄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852A (ja) * 2001-06-07 2002-12-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パターン形成装置
DE10244260A1 (de) 2002-09-24 2004-04-01 Festo Ag & Co. Linearantriebsvorrichtung
WO2004071244A2 (de) 2003-02-13 2004-08-26 Dewert Antriebs- Und Systemtechnik Gmbh & Co. Kg Elektromotorischer linearantrieb
EP1538424B1 (de) 2003-12-04 2007-09-26 Festo AG & Co Mikrowellenwegmesssystem für elektrodynamischen Direktantrieb
ATE327077T1 (de) * 2004-02-07 2006-06-15 Festo Ag & Co Elektrischer linearantrieb mit einer steckkupplung zwischen einem spindeltrieb und einem motormodul
DE102004013993A1 (de) * 2004-03-19 2005-10-06 Breyer Gmbh Maschinenfabrik Schneideinrichtung für eine Anlage zur Herstellung von extrudierten Kunststoff- oder Laminat-Tubenschläuchen
WO2009025162A1 (ja) * 2007-08-21 2009-02-26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円筒状リニアモータ電機子および円筒状リニアモータ
EP2051352B1 (de) 2007-08-29 2010-02-24 Festo AG & Co. KG Elektrische Linearantriebsvorrichtung
ES2622838T3 (es) * 2009-05-05 2017-07-07 Parker Hannifin Manufacturing Germany GmbH & Co. KG Accionamiento lineal electromecánico
JP5360564B2 (ja) * 2009-06-03 2013-12-04 Smc株式会社 空気圧シリンダのエアクッション機構
USD738413S1 (en) * 2013-04-13 2015-09-08 Linak A/S Motor housing for a linear actuator
USD702271S1 (en) * 2013-10-30 2014-04-08 Timotion Technology Co., Ltd. Linear actuator
DE202013010381U1 (de) 2013-11-11 2013-11-26 Terex Cranes Germany Gmbh Antrieb einer Schiebekulisse eines Verriegelungssystems eines Teleskopiersystems eines Kranauslegers
USD809038S1 (en) * 2017-02-22 2018-01-30 Timotion Technology Co., Ltd. Electric cylinder
DE102020210344B3 (de) * 2020-08-14 2021-11-18 Festo Se & Co. Kg Fluidbetätigter Linearantrieb
TWD220001S (zh) * 2021-06-18 2022-07-11 丹麥商林納克公司 線性致動器
USD971281S1 (en) * 2021-08-18 2022-11-29 Cyltronic Ag Linear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0683A (en) * 1951-09-21 1952-12-09 Gen Motors Corp Actuator with dual drive
US2660028A (en) 1952-12-05 1953-11-24 Gen Motors Corp Dual drive actuator
US3050943A (en) 1957-04-29 1962-08-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Linear driving mechanism
JPS5658750A (en) * 1979-10-18 1981-05-21 Fuji Elelctrochem Co Ltd Digital control type brushless constant speed motor
IT8460459V0 (it) * 1984-09-19 1984-09-19 Danieli Off Mecc Testa forma spire convertibile.
DE8432850U1 (de) * 1984-11-09 1986-03-0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omagnetischer Linearantrieb
US5605462A (en) 1991-07-12 1997-02-25 Denne Developments Ltd. Motion imparting apparatus
EP0594757B1 (en) * 1991-07-12 1998-06-17 Denne Developments Limited Electromagnetic apparatus for producing linear motion
JPH0560259A (ja) * 1991-08-28 1993-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流量制御バルブ
DE4137789C2 (de) 1991-11-16 1994-01-20 Festo Kg Linearantrieb
DE4307482A1 (de) * 1993-03-10 1994-09-22 Max Rhodius Gmbh Werkzeugmaschine
IT1265368B1 (it) * 1993-12-03 1996-11-22 Riello Macchine Utensili Spa Unita' di lavorazione per macchina utensile automatica
DE4403639A1 (de) 1994-02-05 1995-08-10 Festo Kg Fluidisch betätigbare Vorschubeinheit
KR100190595B1 (ko) * 1994-04-05 1999-06-01 다카다 요시유키 전기 액추에이터
JPH07310706A (ja) * 1994-05-18 1995-11-28 Smc Corp スライドテーブル付アクチュエータ
US5568982A (en) 1994-10-14 1996-10-29 Festo Kg Linear drive
DE4436865A1 (de) * 1994-10-17 1996-08-08 Pasim Mikrosystemtechnik Gmbh Modularer Planarläuf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4439667C2 (de) 1994-11-07 1998-07-02 Festo Ag & Co Arbeitszylinder
US5715643A (en) * 1995-01-31 1998-02-10 Kaiser Aluminum & Chemical Corporation Automotive space frame joining system
DE19503821A1 (de) * 1995-02-06 1996-08-08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Ventil
US5661446A (en) * 1995-06-07 1997-08-26 Mts System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actuator
JP3511761B2 (ja) 1995-10-20 2004-03-29 豊和工業株式会社 ロッドレスシリンダ
DE19606220C2 (de) 1996-02-20 1998-08-27 Festo Ag & Co Arbeitszylinder
US5685214A (en) 1996-03-22 1997-11-11 Systems, Machines,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Actuator for translational and rotary movement
JPH1014184A (ja) * 1996-06-18 1998-01-16 Mitsubishi Heavy Ind Ltd パッケージモータスタータ
DE69832473T2 (de) * 1997-02-24 2006-08-24 Advanced Motion Technologies, Llc Vorrichtung zur herstellung linearer bewegungen
DE29706098U1 (de) * 1997-04-05 1997-05-28 Festo Kg Schlitten-Antriebsvorrichtung
DE29719212U1 (de) * 1997-10-30 1997-12-11 H & K Gmbh Linearmodul
DE19854142C1 (de) * 1998-11-24 2000-03-23 Festo Ag & Co Mehrzahl von Linearantrieb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601B1 (ko) * 2020-07-07 2022-01-11 주식회사 피앤엠 회전 작동 리니어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10453B2 (ja) 2003-05-26
EP1047881B1 (de) 2003-12-03
DE19853942C1 (de) 2000-07-13
WO2000031421A1 (de) 2000-06-02
DE59907936D1 (de) 2004-01-15
JP2002531045A (ja) 2002-09-17
KR100411961B1 (ko) 2003-12-24
US6400047B1 (en) 2002-06-04
EP1047881A1 (de) 200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1961B1 (ko) 선형 드라이브
CN107398924B (zh) 一种中空式驱控一体化智能模块化关节
US11754157B2 (en) Integrated motor linear actuator
US5099161A (en) Compact electric linear actuator with tubular rotor
US4895505A (en) Electrically operated injection molding machine
EP0947734B1 (en) Electric actuator
US8196484B2 (en) Electric actuator
US20020066326A1 (en) Linear actuator
HU191326B (en) Linear moving unit operated by pressure-medium first for production and assembly lines
WO2005079446A2 (en) Magnetic thrust motor
CA2207858A1 (en) Piston pump, and assembly method of electric motor for driving the piston pump
KR940007384A (ko) 회전-선형 장치
US6177743B1 (en) Linear drive
KR950002984B1 (ko) 선형 구동장치
US10608498B2 (en) Direct drive actuator with switched reluctance motor
EP0488260A1 (en) Electric motor
CN105135027A (zh) 一种微电机驱动的集成式直动开关型滑阀
US20060055251A1 (en) Tubular linear motor for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JP5110466B2 (ja) 直動アクチュエータ
US5318477A (en) Motor-to-spool coupling for rotary-to-rotary direct drive valve
DE10163626A1 (de) Motorkombination für gleichzeitige rotatorische und lineare Bewegungen
CN219755248U (zh) 回缩稳定的电动丝杆结构
CN214756024U (zh) 一种后固定轴式直线步进电机
CN218431217U (zh) 制动系统的电控压力单元、制动系统及交通工具
SU1686638A1 (ru) Шагов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