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411A - 분말 물질의 흡입 방법 - Google Patents

분말 물질의 흡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411A
KR20010033411A KR1020007006888A KR20007006888A KR20010033411A KR 20010033411 A KR20010033411 A KR 20010033411A KR 1020007006888 A KR1020007006888 A KR 1020007006888A KR 20007006888 A KR20007006888 A KR 20007006888A KR 20010033411 A KR20010033411 A KR 20010033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ster pack
plate
suction
adapter
s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폰슈크만알프레드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1003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4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61M15/0036Piercing means hollow 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61M15/0046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 A61M15/004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the dosages being arranged in a plane, e.g. on disk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블리스터팩의 외피(5)를 뚫고 들어가 블리스터공동(6)을 비우기까지 내용물을 흡입해 내기 위한 흡입관(3)을 구비한 블리스터팩(8)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공동(6)으로부터 분말 물질을 흡입해 내기 위한 흡입기(V)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Description

분말 물질의 흡입 방법 {METHOD FOR INHALING POWDERY SUBSTANCES}
이러한 종류의 흡입기는 DE-OS 196 19 536에 개시되어 있다. 공동의 각각은 표적 격자를 가상적으로 형성하는 안내공에 의해 자체적으로 다시 막아질 수 있는 흡입관에 의해 확실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컵모양의 공동을 밀봉하고 있는 구역의 외피가 천공된다. 사용되지 않을 때의 흡입관은 닫혀진 뚜껑의 아래에서 모서리에 있는 별도의 수용실 속에 수용되어 있다.
이 발명은 블리스터팩의 공동으로부터 분말 물질을 흡입해 내기 위한 흡입기에 관한 것이며, 그 것은 블리스터팩의 외피 위에 결합되어 있고 안내공을 갖는 판과 한 안내공으로부터 다른 안내공으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고 선단이 블리스터팩의 외피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며, 후단에는 마우스피스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식 흡입관을 포함한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사용대기위치에서 핀이 노출된 상태, 즉,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2는 폐쇄된 하우징을 도시한 전면도.
도3은 그 측면도.
도4는 하우징의 평면도.
도5는 하우징의 저면도.
도6은 플랩형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흡입기의 전면도.
도7은 그 측면도.
도8은 도6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블리스터팩에 어댑터가 끼워진 상태에서의 흡입기를 도시한 도면.
도9는 그 측면도.
도10은 흡입관의 측면도.
도11은 그 전면도.
도12는 아암의 측면도.
도13은 그 전면도.
도14는 어댑터의 평면도.
도15는 그 측면도.
도16은 블리스터팩의 평면도.
도17은 그 측면도.
도18은 어댑터의 확대사시도.
도19는 블리스터팩의 결합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20은 어댑터와 블리스터팩 사이의 조인트의 전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21은 조인트의 전체의 종단면도.
도22는 흡입관이 삽입된 위치에서 흡입기의 종단면을 구불구불하게 취한 단면도.
도23은 흡입관이 삽입된 위치에서 흡입기의 횡단면을 구불구불하게 취한 단면도.
도24는 외피에서의 구멍의 패턴과 함께 블리스터팩의 공동 구역을 도시한 확대평면도.
도25는 선단에 절단 모서리가 배치된 상태에서 도 22에서보다 더 큰 배율로 도시한 흡입관의 전면도.
도26은 그 평면도.
도27은 절단 모서리의 방향으로 본 흡입관의 저면도.
도28은 도25에 도시된 흡입관의 측면도.
도29는 도28에 도시된 흡입관의 종단면도.
도30은 도25에 도시된 흡입관의 종단면도.
도31은 흡입관의 절단 모서리쪽 단부의 사시도.
도32는 한 변화예에 따른 블리스터팩의 분해단면도.
도33은 흡습성 삽입체 삽입부가 끼워진 상태에서의 확대평면도.
도34는 블리스터팩을 조립상태에서 한 단부를 향해 보고 도시한 도면.
도35는 블리스터팩의 전체의 평면도.
도36은 그 측면도.
도37은 블리스터팩의 다른 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38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어댑터를 도시한 도면.
도39는 결합된 상태의 어댑터를 도시한 도면.
이 발명의 목적은 부품들이 양호하게 끼워진 일반적인 종류의 흡입기를 형성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분말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일반적인 종류의 흡입기에서 우선적이고 본질적으로 성취되며, 흡입관이 어댑터에 의해 블리스터팩의 한 모서리를 따라 제거가 가능하게 수용되게 한다. 그럼으로써, 흡입관은 덫에 잡히듯이 유지된다. 블리스터팩에 연결될 수 있는 어댑터는 끼우기에 알맞은 방식으로 흡입관을 유지시키는 억제력을 부여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억제력을 조심스럽게 해제할 것이 요구된다. 한 쪽을 따른 배치로 인해 공간적으로 유리한 끼워맞춤을 만든다. 또한, 함께 결합된 부품들은 서로 안정시킬 수 있다. 이 것은 매우 얇은 벽이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댑터가 블리스터팩 상에 미끄럼이동식 삽입조인트에 의해 유지될 것이 제안된다. 이 것은 부착수단으로서의 부가적인 부품들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저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이동식 삽입조인트가 블리스터팩의 중앙홈의 구역에 제공되고 홈바닥의 양쪽에 두개의 설부들이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러한 설부들은 블리스터팩 상에 중앙홈이 형성되는 것처럼 어댑터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클램핑의 결과로 작용하는 미끄럼이동식 삽입조인트이면 이미 충분하다. 그러나, 미끄럼이동식 삽입조인트는 래치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연결에서, 어댑터가 새로운 블리스터팩 속에 매번 다시 끼워질 수 있는 원상회복이 가능한 래칭이 양호하다. 흡입관이 어댑터의 셸형 피팅 속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장시간의 사용에 견디고 단순한 구조의 억제부가 얻어진다. 대응하는 셸형상은 필수적인 탄력, 즉 복원력을 발휘한다. 또한, 흡입관이 그 반경방향으로 지향되고 블리스터팩이 판의 아래로 밀려 들어갈 때에 판에 대한 결합위치로 들어가는 가요성 아암을 갖는 보편적이고 원천적으로 중요한 설계가 얻어진다. 이렇게 해서, 흡입관은, 이른바 "전형적"이다. 언급된 유연성 및 흡입관에 대한 반경방향의 정합은 억제한계인 골조 내에서의 적절한 운동자유도를 준다. 또한, 이러한 연결에서, 가요성 아암의 고정은 상세하게는 아암의 두꺼운 단부가 블리스터팩의 홈 속에 배치되고 판에서 홈에 알맞게 연장되는 슬롯의 주변숄더의 아래로 지나게 하며, 아암의 길이는 적어도 판의 폭의 절반과 일치한다. 그럼으로써, 폭 구역은 완전히 덮어지며, 판의 길이 구역은 두꺼운 부분을 위한 단부제한적 안내트랙을 제공하는 슬롯에 의해 완전히 덮어진다. 또한, 어댑터를 포함한 판이 하우징의 플랩식 뚜껑에 의해 덮어지게 하며, 상기 하우징에서 판은 중간덮개를 이룬다. 이렇게 해서, 블리스터팩은 덫에 걸린 방식으로 하우징 속에 배치되어 보호된다. 절첩되어 개방된 위치에서 플랩형 뚜껑이 블리스터팩의 삽입체을 위해 판의 아래에 배치된 격벽의 입구단면을 노출시키게 함으로써 거의 자유로운 적재 및 하역방법이 제공된다. 대응하는 힌지는 하우징의 후방 구역에 편리하게 배치된다. 입구단면의 전방에 배치된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의해 유지된 흡입관은 파지를 위해 접근할 수 있게 유지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하우징의 폐쇄상태에서는 플랩형 뚜껑이 힌지쪽의 자유공간으로 어댑터와 흡입관을 모두 수용하여 보호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 발명의 특징은 가요성 아암이 스위블 조인트 링에 의해 흡입관 상에 배치된다는 것이다. 이 것은 조작성을 양호하게 한다. 그리고, 이 흡입관 피팅의 구조적 장점은 흡입관이 어댑터의 피팅의 한 설부에 의해 그 마우스피스쪽 단부에서만 수용되고 피팅의 제2 설부는 반대쪽의 절단 모서리쪽 단부에서 충격보호부로서 끼워진다는 것이다. 상기 설부는 민감한 절단 모서리쪽 단부의 전방에서 조준기처럼 연장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것은 또한 조작중에 아무런 손상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양호하게 대칭설계된 설부의 구조는 흡입관이 용이하게 다시 막아지므로 왼손잡이인 사람의 조작을 원활하게 한다. 아암을 수용하기 위한 절차는 블리스터팩의 홈이 한계정지부에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지며, 한계 정지부는 가요성 아암의 두꺼운 단부가 하측통과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것이 폐쇄위치이다. 후자는 하우징쪽에서 정지부에 의해 장전된다. 언급된 아래로 지나는 것은 어댑터의 설형부재가 가요성 아암을 삽입하기 위한 홈을 갖는다는 점에서 양호하다. 그럼으로써 아암의 두꺼운 부분 및 단면은 방해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양호한 변화예는 어댑터가 푸시버튼형 포인트에 의해 블리스터팩의 한 쪽의 림모서리에서 수용된다. 이 것은 대응하는 쌍을 이루는 푸시버튼형 부품의 형성을 쉽게 한다. 양호한 방식의 절차는 푸시버튼의 한쪽 절반부가 블리스터팩의 측벽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것은 수형 부품이다. 관련된 암형 부품은 어댑터 상에 알맞게 정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블리스터팩이 공동 사이의 구역에 삽입체 삽입부를 갖게 또다른 설계가 있다면 블리스터팩의 천공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한 절차는 홈이 공동을 이루는 벽 속에 형성되는 것이며, 홈바닥은 블리스터팩의 두께를 이루는 평면의 거의 중간높이에 배치되고, 그 곳으로부터 벽의 재료로 형성된 종방향의 웨브들이 블리스터팩의 외피의 반대쪽에 제공된 블리스터팩의 후방벽의 바로 아래까지 연장된다. 블리스터팩의 후방벽이 삽입체 삽입부를 위한 수용공간을 마감하는 수단은 삽입체 삽입부가 수용될 폐쇄공간으로 귀결된다. 마지막으로,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흡입관 래칭핑거들의 선단이 판의 안내공 속의 피팅공간으로 들어가서 안내공 속에 제공된 래칭공간 속에 결합될 것이 제안된다. 이렇게 해서, 이용하기에 안전한 흡입관의 피팅이 얻어진다. 래칭은 인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흡입을 위한 정확한 대기위치에 도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흡입관은 조심스럽게 뽑아낼 수 있다. 래칭공간들은 래칭핑거의 래칭헤드가 피팅기능도 하게 한다. 안내공 림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안내공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웨브에 의해 래칭공간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조상으로 적절한 구조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웨브의 상측은 판의 상측을 고래해서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한 것이 양호하다.
이 발명의 주제는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분말 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기(V)는 반드시 평판(1)을 포함한다. 평판(1)은 재봉하듯이 천공된다. 이 것은 선택적인 용도 또는 흡입관(3)을 막기 위해 일렬로 배치된 안내공(2)을 포함한다.
흡입관(3)은 그 삽입식 선단에서 중앙에 배치된 블레이드형 플랭크의 형태인 절단 모서리(4)를 갖는다. 절단 모서리(4)는 공동(6)을 덮고 있는 구역(5')의 외피(5)를 절단해서 천공한다.
공동(6)은 블리스터팩(8)의 컵모양의 오목부(7)이다. 컵의 깊이는 약 4 mm이고, 입구에서의 컵의 직경은 약 7.5 mm이다.
블리스터팩(8)은 다수의 공동(6) 속에 분말 물질을 수용하고 있다. 이렇게 여러 격벽에 들어 있는 분말 물질은 예를 들어 약제분말(9)이다. 그 것은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외피(5)는 알루미늄박으로 되어 있다. 그 것은 평면형인 블리스터팩(8)의 예를 들어 밀봉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원형인 공동(6)의 림(6')은 블리스터팩(8)이 끼워질 때 이용하기에 적합하게 판(1)에 배치되며, 그 것은 이를 테면 판(1)의 안내공(2)에 알맞은 마스크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흡입관(3)을 넣고 빼며 다음의 안내공(2)으로 전진시킴으로써 약제분말(9)이 정밀하게 측정된 투여량으로 점진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표적점에 대한 공급은 흡입관(3)을 흡입해 냄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흡입관(3)은 그 다른 단부에 마우스피스형 구멍(10)을 갖는다.
마우스피스형 구멍(10)은 흡입채널(11)을 거쳐서 튜브에 대해 개방되어 있는 절단 모서리(4)의 둘레를 향해 유동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공동(6)이 잔유물 없이 비워진다.
흡입채널(11)은 횡단배기공(12)을 향해 유동하게 연결되어 있다. 횡단배기공(12)은 흡입관(3)의 외면에 노출되어 공동(6)을 비워 내는 중앙의 분말을 가진 주류에 대한 부가적인 유동을 제공한다. 그러나, 그 것들은 흡입관(3)의 실질적인 파지구역으로부터 지지되어 있고 파지한 손의 손가락들이 횡단배기공(12)을 폐쇄된 채로 유지할 수 없도록 그 것들의 너머로 측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들을 갖는 외벽 평면으로 나간다. 또한, 외면벽의 파지하게 제공된 구역은 파지력을 증대시키도록 거칠고 각진 홈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흡입관(3)은 덫에 걸린 형태로 블리스터팩(8)에 끼워져 있다. 어댑터(13)가 적절한 연결웨브로서 삽입되어 있다. 연결웨브는 블리스터팩(8)의 한 모서리(14)에서 연장되어 거기에 장착되어 있다. 모서리는 블리스터팩(8)의 횡단모서리 또는 좁은 모서리이며 외관이 사각형이다. 또다른 좁은 모서리는 도면부호 15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댑터(13)에 의해 수용된 제거가 가능한 흡입관(3)이 어댑터(13)의 조개껍질 절반부의 형상을 갖는 설치부(16) 속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것은 클립연결부이다. 클립연결부는 동일한 형상의 아치형 곡면을 이루는 설부(16', 16)로부터 비롯된다. 상기 설부들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양호하게는 한 모서리(14)의 구석에 있고 판(1)의 평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두개의 설부(16', 16)의 준비에도 불구하고, 흡입관(3)은 도면의 왼쪽에서 어댑터(13)의 피팅(16)의 설부(16')에 의해 마우스피스쪽 단부에서만 파지하기에 적합하게 자유롭게 돌출되어 수용되어 있다. 설부(16)에 의해 수용되어 있는 오목하고 거의 원통형인 외벽구역은 그 단부가 마우스에 적용하기 위해 전도되어 있는 흡입관(3)의 다른 단부의 마우스피스형 구멍(10)을 둘러싼다. 이 것은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의 모든 사람들의 사용, 끼워맞춤 습관에 맞게 한다.
선택적으로는, 절단 모서리(4)라고 지칭되는 절단 모서리형 단부가 연장되어 오른손잡이쪽 또는 왼손잡이쪽에 고정되어 수용되며 모든 경우에 항상 충격보호부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폐쇄된 래쉬(16', 16")의 각각의 내부플랭크의 근처에 있다. 절단 모서리(4)의 중앙에 배치된 첨단(4')은 각각의 설부의 내부로 약간만 연장된다. 마우스피스의 오목부는 고정된 흡입관(3)을 위한 축방향 한계정지부로 이용된다. 각각의 설부(16’ 또는 16)의 내부플랭크는 호환적이다.
어댑터(13)는 미끄럼이동식 삽입연결부에 의해 블리스터팩(8) 상에 장착된다. 관련수단은 도 18 내지 21로부터 명료하게 알 수 있다. 블리스터팩쪽에 제공된 미끄럼이동식 삽입연결부는 중앙홈(17)이다. 중앙홈(17)은 모서리(14)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중앙홈(17)의 구역에서 홈을 형성하는 벽의 재료는 횡단면으로 보아 평평한 덮개(18)로부터 연장되는 U자형상이며, 덮개(18)는 블리스터팩(8)을 실질적으로 형성하고, 거기에서 오목부(7)들은 깊게 패여져 있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도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U자형의 벽의 형상은 두개의 설부(19, 20)에 의한 형상에 대응한다. 자유롭게 돌출된 설부(19, 20)는 어댑터(13)의 횡단스트립(22)의 배면(21)으로부터 연장된다. 설부(19, 20)는 각각 블리스터팩(8)의 상측 및 하측의 연결측의 단부 구역에 겹쳐진다. 이러한 연결에서, 중앙홈(17)의 홈바닥(23)과 측면의 플랭크(24) 구역까지도 두개의 설부(19, 20)에 의해 형성된 U자형 삽입슬롯(25) 속에 배치된다. U자형상은 방향안내작용을 한다. 선회이동이 방지된다.
모서리(14)에 인접한 하부의 설부(20)의 전방단부는 삽입슬롯(25)을 향해 수렴한다. 그 것은 중앙홈(17)의 U자형 벽의 전방단부 상에서 중심맞춤작용을 한다. U자형 단면을 갖는 설부(20)의 U자형 웨브 및 U자형 림브는 양호하게는 45의 각도로 모따기가 이루어진다. 상부의 설부(19)의 사각단면은 삽입슬롯(25)을 형성하기 슬릿을 남기고 설부(20)의 U자형 공간 속으로 부분적으로 밀어 넣어진다.
블리스터팩(8)의 평면에 대해, 상부의 설부(19)의 손가락형상의 지지되지 않은 전방단부는 상기 평면에서 볼록하고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다. 그러한 라운딩(26)의 전방에는 중앙홈(17)의 내부단부에서 대응하는 오목한 윤곽을 갖는 종지부(27)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의 설부(20)의 U자형 림브는 횡단스트립(22)의 상측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까지 연장되며, 그 것은 적어도 블리스터팩(8)의 덮개(18)와 외피(5)를 더한 전체두께와 동일하여 모서리(14)가 어댑터(13)의 배면(21) 상에 지지될 수 있게 하고, 결과적으로 블리스터팩(8)을 위한 횡단팁핑이 없게 하고 미끄럼이동식 삽입조인트를 손상시키지 않게 한다.
다른 한편, 상부의 설부(19)의 상부의 모서리는 횡단스트립(22)의 상측과 동일한 높이까지 연장된다. 앞서 설명한 피팅(16)을 형성하는 설부(16' 및 16)는 횡단스트립(22)의 브리스트로부터 연장된다.
미끄럼이동식 삽입조인트가 부품(8 및 13)의 바람직스럽지 않은 분리를 회피하기 위해 조임작용을 넘어선 고정과정이 요구되면, 그 것은 도 19 내지 2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래칭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 것은 홈바닥(23)의 래칭돌기(28)를 포함한다. 래칭돌기(28)에 대해 래칭오목부(29)가 배정된다. 상기 오목부는 하부의 설부(20)의 U자형 웨브에 배치된다. 래칭오목부(29)는 연속적인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 것은 아래에서 설명할 래칭을 위한 부가적인 작용의 근간을 이룬다. 앞서 강조된 수렴부는 조립과정에서 삽입슬롯(25)의 마우스의 편리한 횡단을 위해 유용하다. 래칭돌기의 혹모양의 엠보싱(다소 과장되게 도시됨)은 뒤로 밀려지며 래칭오목부(29)와 적절히 정합되면 그 속에 강하게 래칭된다. 이 결합은 적절한 인발력을 가하면 다시 해제될 수 있다.
미끄럼이동식 삽입조인트의 삽입길이는 삽입슬롯(25)의 폭보다 크다. 그 비율은 약 2:1이다. 설부(19, 20)의 삽입길이는 블리스터팩(8)의 전체길이의 약 1/15과 같다.
흡입관(3)은 어댑터(13)를 거쳐서 가요성 아암(30)에 의해 수용된다. 가요성 아암은 "선단상의 도그와 같은" 흡입관(3)을 파지한다. 흡입관은 그렇게 걸려 있으며 빈드시 반경방향으로의 하나의 운동자유도를 갖는다. 아암(30)은 길쭉한 파이프형의 흡입관(3)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개방된 링(31)이 흡입관쪽에서 아암(30)을 위한 억제수단으로 작용한다. 그 반경방향의 구멍(32)의 결과로서, 아암(30)은 흡입관(3)의 웨이스트(33)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웨이스트의 둘레는 링(31)의 내부처럼 둥글다. 그러므로, 아래에서 스위블 조인트 링(31)라고 언급되는 링과 환형 홈으로 형성된 웨이스트(33)의 사이에는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스위블 조인트 링(31)의 구멍(32)에 대해 코드형 아암(30)이 직경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코드형 아암(30)은 다른 단부에서 두꺼운 단부(34) 속에 합체된다. 이 것은 그 지점에 직접 형성된 구이다. 아암(30)은 중심지향적으로 작용한다(도 12 및 13을 참조).
두꺼운 단부(34)는 블리스터팩(8) 또는 판(1) 상의 아암(30)을 파지한다. 적절한 결합위치는 블리스터팩(8)이 여기에 보이듯이 판(1)의 아래로 밀려들어갈 때이다(도 8 및 9를 참조). 이를 위해, 판은 블리스터팩(8)의 단면을 고려한 격벽(35)을 형성한다(도 22를 참조). 좁은 의미로 격벽(35)의 안내구역으로 작용하는 것은 종방향의 홈모양의 구역의 평행한 종방향의 모서리(8')들이며, 그 것은 블리스터팩을 안내하지만, 판(1)의 하측에서 계속 수용공간(36) 속으로 들어가며, 그 것은 수용공간이 오목부(7)에 의해 형성된 공동(6)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도 22 및 23을 참조).
수용공간(36)의 하측은 배면벽(37)까지 연장된다. 배면벽은 판(1)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판(1)과 배면벽(37)을 일체형으로 결합한 종방향의 벽은 38로 지칭된다. 배면벽은 횡단벽(39) 속에 카드형으로 삽입된 블리스터팩(8)의 한 모서리(14)와 다른 모서리(15)의 구역 속에 합체된다. 이 것은 하우징(40)이 담배갑 크기 정도로 매우 얕게 설계되게 한다.
하우징(40)의 어댑터(13)를 포함하는 판(1)은 플랩형 뚜껑(41)으로 덮여 있다. 이 정도로, 판(1)은 흡입기(V)의 하우징(40)의 중간덮개로 작용한다.
플랩형 뚜껑(41)은 어댑터(13)의 연결구역에 힌지되어 있다. 대응하는 힌지축은 42이다. 그 것은 배면벽(37)의 그 지점에서 단부구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피팅(16) 속에 유지된 흡입관(3)의 종방향의 중심축(x-x)에 공간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개방위치에서, 뚜껑 단면은 하우징 단면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힌지축(42)은 플랩형 뚜껑(41)의 힌지쪽 횡단벽으로부터 다소 후방에 배치되므로, 뚜껑쪽 돌출부(41')가 남아 있다. 돌출부는 구멍 한계정지부로서 작용한다. 대응하는 정지부가 그 지점에서 배면벽(37)의 배면에 의해 제공된다.
흡입관(3)은 블리스터팩(8)이 삽입될 때 부착된다. 이를 위해, 아암(30)은 석궁의 홈 속에 화살을 끼우듯이 배치된다. 이러한 비유처럼, 상부의 설부(19)는 그 상측에 홈(43)을 형성하며, 그 홈은 스트립(22)을 가로지른다. 상기 홈의 단면은 실제로 직선으로 늘여질 때 아암(30)이 설부(19)의 사각단면을 벗어나지 않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홈(43)은 양단부를 향해 개방된다. 장전위치에서의 아암(30)의 길이는 두꺼운 단부(34)가 종지부(27)의 다른 쪽에서 중앙홈(17)의 아래에 다다르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종지부는 블리스터팩(8)의 상측의 높이까지의 횡단벽으로서 연장된다. 이 장벽은 그러나 슬릿(44)에 의해 중단되며, 그 것은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슬릿은 아암(30)의 통과를 허용하며, 그 두꺼운 단부는 언급된 횡단벽을 형성하는 종지부(27)의 다른 쪽에서 한계정지부(45)를 가지며, 그것은 가요성 아암(30)의 두꺼운 단부(34)가 하측통과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도 6 및 7을 참조). 중앙홈(17)에서 갭 또는 슬릿(44)에 의해서만 중단된 종지부(27)의 다른 쪽으로 계속되는 부분은 17'로 지칭되고 홈의 개념으로 취급된다. 홈(17')의 깊이는 어댑터연결용 중앙홈(17)의 깊이보다 작다. 홈(17')의 형상은 반구형이며, 구형으로 구성된 두꺼운 단부(34)의 적어도 절반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홈(17')은 두꺼운 단부(34)를 위한 이중화살표 y에 의해 표시된 종방향으로 지향된 경로를 형성한다. 블리스터팩(8)의 다른 모서리(15)에 더 가까운 홈(17)의 단부는 한계정지부(46)를 갖는다.
블리스터팩(8) 또는 그 격벽(35)이 겹쳐진 하우징(40)의 구역 속으로 상기 상측의 화살표 경로 y를 연속, 즉 부가시키는 것은 판(1)의 하측의 림숄더(47)에 의해 이루어진다. 림숄더(47)는 단면에서 각각 사분원의 바로 아래를 둘러싸며 경로의 나머지의 반구형상을 보완하는데, 그 것은 도 23에서 알 수 있듯이 쌍으로 배치되며, 슬롯(48) 속에 합체되고, 그 것은 아암(30)의 통과를 허용할지라도 두꺼운 단부(34)는 억제한다. 아암(30)이 하측통과상태일 때, "선단"은 한계정지부(45)가 자유롭다면 하우징(40)으로부터 더 이상 해제되지 않는다.
하우징(40)의 종방향의 중앙평면으로 연장되는 슬롯(48)은 아암(30)을 위한 하우징 쪽에서의 이동이 가능한 억제점을 제공하며, 그 억제점은 접근하기에 아주 적합하다. 그럼으로써, 종방향에서, 흡입관(3)을 안내공(2) 속으로 도입하기 위해 측방으로의 공간요구가 있음에 따라 반경방향의 작용이 이루어지고, 이를 위해 아암(30)의 길이가 적어도 판(1)의 폭의 절반과 같다.
상측에서의 슬롯(48)의 출구는 모따기가 이루어진다. 그 것은 모서리(15)의 가까이에 배치된 단부(48')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즉 어댑터(13)를 향한 슬롯이 되게 한다. 모따기에 의해 이루어지고 외측을 향해 발산하는 슬롯(48)의 경사진 플랭크들은 49라고 지칭된다. 그러한 윤곽은 안내부 속에서 부유하듯이 유지되는 구형 단부(34)의 결합의 운동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아암(30)의 단면에 비해 슬롯(48)이 약간 큰 폭을 가짐으로써 증대된다.
흡입관(3)이 어댑터(13) 속에 유지된 상태일지라도, 그 것은 기계적 응력으로부터 보호된다. 중앙홈(17)과 17'로 지칭된 홈형상의 그 직선형 연속부는 공동(6)을 형성하는 벽 속에 충분히 깊이 형성되어 있다. 홈바닥(23)은 블리스터팩의 두께를 이루는 평면의 중간높이 정도에 배치되어 있다. 피팅(16) 속에 고정된 흡입관(3)의 종방향의 중심축이 그 평면에서 연장된다.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아암(30)은 횡단응력이 없이 적절하게 연장되는 채널(43) 속에 삽입될 수 있다.
플랩형 뚜껑(41)은 힌지쪽에 자유공간(50)을 구비하므로, 플랩형 뚜껑(41)을 통한 응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자유공간(50)은 어댑터(13)의 자립구역, 즉 피팅(16)과 흡입관(3)을 무부하적으로 수용한다. 절첩되어 개방된 위치의 플랩형 뚜껑(41)은 블리스터팩을 끼우거나 빈 것을 제거하고 새로운 블리스터팩(8)를 끼울 수 있도록 어댑터(13)를 파지하기 위한 자유로운 접근부를 제공한다. 선회하여 개방된 위치에서는, 입구단면(35')이 완전히 자유로우며, 이 것은 격벽(35)의 상측 및 하측의 구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슬롯(35)과 수용공간(36) 속의 블리스터팩(8)을 위해 설명된 림을 가진 지지부가 이미 적절할지라도, 도 32에서부터 도시된 블리스터팩(8)의 변화예의 개발에 따라 종방향의 웨브(51)가 제공되고 블리스터팩(8)의 벽의 재료로 형성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벽의 재료는 주변이 각져 있다. 그렇게 형성된 좁은 주변림의 벽은 52라고 지칭된다. 이 것은 상기 블리스터팩(8)이 이른바 카드형 대신에 셸형이게 한다. 종방향의 웨브(51)의 좁은 모서리 및 림벽(52)은 동일한 평면까지 연장된다.
종방향의 웨브(51)는 중앙홈(17)의 외측 또는 홈(17')으로부터 연장된다. 사출성형으로 제조된 이러한 블리스터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공동(6)과 동일한 방식을 고려한 것이다. 인용부호들은 유사하게 주어진다.
셸형 블리스터구조는 판(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 배면벽(53)을 구비한다. 이것은 외측으로부터 밀봉된 종지부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다시 약제분말(9)을 수용한 공동(6)은 앞서 설명한 외피(5)에 의해 밀봉된다. 완성된 블리스터팩(8)은 도 34와 35 및 36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대기상태의 블리스터팩(8)에서는 흡습성 삽입체(54)이 공동(6) 사이의 구역, 즉, 컵모양의 오목부(7) 속에 수용되어 있다. 흡습성 삽입체은 정제형을 가지며, 4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공동(6)에 의해 형성된 틈(55)에 배치된 상태로 수용된다(도 33을 참조).
블리스터팩의 후방벽(53)은 종방향의 중앙평면에서 연장되는 홈(17/17')의 양쪽에 배치된 두개의 수용공간(56)을 폐쇄한다. 그럼으로써 흡습작용이 두개의 독립적인 챔버에 분배된다. 삽입체(54)은 수용공간(56)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그럼으로써,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진 배면벽(53)에 의한 지지가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배면벽(53)과 종방향의 웨브(51)는 하우징(40)의 배면벽(37)의 내측 또는 상측에 지지된다. 컵모양의 오목부(7)의 하측이 블리스터팩의 배면벽(53)의 상측까지 연장될 수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버트(butt)용도에서는 도 32로부터 도시된 블리스터팩(8)에 대해 어댑터(13)가 연결되어 있다. 즉, 어댑터는 블리스터팩(8)의 윤곽형상에 겹쳐지지 않는다. 반면에, 이 경우에 어댑터(13)는 푸시버튼형 조인트를 통해 한쪽의 림모서리(14)에 작용하며, 이 경우에서는 특히 앞서 설명한 주변의 각진 림벽(52)을 이용한다. 도 37을 참조할 수 있다.
수형 부품을 이루는 푸시버튼의 한쪽 절반부(57)가 상기 블리스터팩(8)의 측벽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관련된 암형 부품은 어댑터(13)의 스트립(2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푸시버튼형 조인트는 어댑터(13)를 대응하는 블리스터팩으로부터 조심스럽게 분리할 수 있는 힘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수형 부품을 나타내는 푸시버튼 절반부(57)는 소형 생크를 갖고 버섯머리모양이나 가로지르는 슬롯을 갖거나 가로슬롯을 갖는 돌기들을 포함한다. 그렇게 존재하는 버섯머리모양의 확대구역은 암형 부품을 이루는 다른 푸시버튼 절반부(59)의 넥크숄더(58)의 뒤를 잡는다. 이해를 위해 인용부호들은 유사하게 주어져 있으며, 여기에서 선택적인 개방의 가능성, 즉, 어댑터(13)의 피팅(16)의 오른손잡이쪽이나 왼손잡이쪽의 어디에서나 절단 모서리(4)와 정합할 가능성이 남아 있다.
절단 모서리(4)는 브라켓형 또는 프레임형 절단 모서리 블레이드를 갖는다. 배치될 수 있도록 안내되는 공동(6)의 원형 안내부에 대해 상기 절단 모서리 블레이드는 직경선 D-D를 따라 연장된다(도 24를 참조). 절단부는 거의 공동(6)의 내부림(6')까지 연장된다. 우선, 중앙에 배치된 첨단(4')이 외피(5)의 공동밀봉구역(5')의 중앙을 천공한다. 후속적인 절단은 절단 모서리(4)의 플랭크(4)의 천공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절단 모서리 플랭크들은 중앙절단부의 형상에서 지붕경사면처럼 멀어진다. 절단 모서리 플랭크(4, 4)들은 약 120의 각도를 내포하고 있다. 지붕경사면들은 흡입관(3)의 종방향의 중심축(x-x)에 대해 대칭적으로 연장된다(도 29를 참조).
절단 모서리 블레이드의 프레임 중공부는 60으로 지칭된다. 그 것은 유동연결부 속에 배치되고 절단 모서리헤드를 향해서 흡입채널(11) 및 횡단배기공(12)에 대해 개방되어 있다. 그 것은 흡입채널의 개방된 격벽을 이룬다.
인접한 플랭크들처럼 플런저블레이드(61)들이 직경방향으로 정합된 절단 모서리(4)의 양쪽에서 연장되며 절단 모서리(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 자립식 충격 플랭크(61')들은 절단 모서리(4)의 노출된 윤관에 비해 축방향으로 표시되어 다시 들어간다. 상기 플런저블레이드(61)는 절단 모서리(4)의 넓은 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평행하게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런저블레이드(61)는 변위도구로서 작용한다. 그 것들은 외피(5)의 천공되어 지지되지 않고 늘여진 구역(5')의 절단슬릿 모서리들을 공동(6)의 내부림(6')에 대해 가상적으로 연장되는 쪽으로 안내한다. 이 것은 큰 구멍의 단면을 파손시킨다. 따라서, 공동(6)은 분말(9)에 대해 양호한 유동으로 방출된다.
항상 동일하게 재현될 수 있는 파손형태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플런저 블레이드(61)들은 절단 모서리(4)의 양쪽에서 더욱 연장되는 미리 절단된 슬릿을 파손시킨다. 림의 근체에 쐐기 정점을 갖고 외향으로 연장하는 쐐기 쌍들은 도면부호 62로 나타낸다. 이 것은 설부형으로 절첩된 플랩(63) 및 삼각형 또는 앵글형 중간플랩(64)이 되게 하며, 설부형으로 절첩된 플랩(63)은 플런저블레이드(61)에 의해 공동의 림에 저항하게 밀려지고, 중간플랩(64)은 슬릿컷으로 인한 것이며 직경선 D-D 상에 배치된 쐐기 정점(65)과 앞서 설명한 쐐기 정점(62)의 사이에 배치된다.
플런저블레이드(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예리할 수도 있으며, 그 것은 어떤 경우에도 그 변위작용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는다.
더 큰 절단 모서리 폭에서 측정된 절단 모서리 블레이드프레임 중공부(60)의 폭과 플런저블레이드(61)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동일하다. 두개의 요소(60, 61)들의 근으로부터 흡입관(3)의 현저하게 좁고 매끈한 단면은 더 크고 매끈한 내부직경 속으로 합체되어 흡입채널(11)을 이룬다. 횡단배기공(12)이 더 큰 단면을 이루는 구역에 배치되어 있다.
횡단배기공(12)의 하부구역에는 흡입관(3)의 헤드단부를 위한 삽입한계돌기(66)들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헤드단부는 안내공(2) 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하측에 대응하고 네배로 제공되며 거의 균등한 각도로 분포된 삽입한계돌기(66)들이 구멍의 림의 구역들을 판(1)의 안내공(2)의 상측에 배치시킨다. 이 위치에서는 공동에 대한 절단 모서리(4)의 삽입깊이가 최적깊이에 도달한다.
이것을 사용자에게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흡입관(3)은 판(1)에 대한 래칭을 위한 예방 조치를 갖추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래칭핑거(67)가 흡입관(3)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칭핑거들은 자립식으로 절단 모서리(4)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외측을 가리키는 래칭헤드(68)까지 연장된다.
흡입관(3)이 삽입식으로 끼워질 때, 래칭핑거(67)는 마스크를 이루는 판(1)의 안내공(2) 속으로 이동한다.
래칭핑거(67)는 안내공(2)의 원형 단면의 외측에 있고, 그러므로, 어떤 유로단면도 제거시키지 않는다. 동일한 번호가 제공된 피팅공간(69)은 래칭핑거(67)을 위한 대응하는 수용공간들이며, 그 래칭핑거들은 안내공(2)의 구멍의 림의 너머로 들어간다. 상기 피팅공간들은 도 1에 도시된 구멍들의 열에 대해 하우징(40)의 종방향의 연장부로 지향된다. 그 것들은 안내공(2)의 공통의 직경선에 배치된다. 그 것은 흡입관(3)의 대응하는 절단 모서리의 지향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피팅공간(69)은 이미 삽입방향으로 지향되어 있지만, 판(1)의 하측에서 래칭공간(70) 속에 합체될 수도 있다(도 22를 참조). 래칭공간(70)은 삽입방향에 대해 가로지르게 배치된 래칭헤드(68)의 플랭크(69')에 의해 아래로부터 파지될 수 있다. 상기 플랭크(68')는 매우 뻣뻣하여 흡입관(3)이 그 삽입피팅으로부터 다시 조심스럽게 인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래칭핑거(67)가 짧은 시간 동안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탄성을 갖는 래칭형 연결부가 있다. 래칭헤드(68)의 플랭크(68')는 흡입관(3)의 절단 모서리 헤드와 래칭핑거(67)의 배면의 사이의 절단 모서리쪽에서 적어도 편향공간(71)과 동일한 반경방향의 폭을 갖는다.
도 22로부터 알 수 있듯이, 래칭공간(70)은 구멍들의 열에 대해 판(1)을 함께 파지하는 웨브(72)로 형성되어 있다. 그것들은 안내림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안내구멍(2)의 길이나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래칭공간(70)은 웨브(72)의 수직높이를 줄인다. 이와 관련한 후퇴는 또한 상측에도 미친다. 웨브(72)의 상측은 판(1)에 대해 명백하게 후퇴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떤 이유로든 상기 안내공(2)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해야 한다면 인접한 안내공(2)에 대한 유동웨브(73)가 있다. 어떤 경우에든, 절단 모서리(4) 및 플런저블레이드(61)의 외부주위로의 적절한 흡입공기유동이 제공된다. 대응하는 벽옵셋에 근거한 유입로는 도 23에서 74로 지칭되어 있다. 변위작용을 갖는 플런저블레이드(61)의 수용작용은 이 도면에서 외피(5)의 구역(5')의 파손되어 절첩된 영역과 관련해서도 알 수 있다.
래칭오목부(29)의 부가적인 작용으로 돌아가서, 그 것은 하우징쪽의 부가적인 래칭돌기(75)와도 상호작용한다는 것이 설명되어야 한다(도 21을 참조). 부가적인 래칭돌기(75)는 하우징(40)의 배면벽(37)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혹모양의 구조에 의해 그 지점의 구멍 속에 결합된다. 이렇게 해서, 어댑터(13)와 거기에 걸려 있는 블리스터팩(8)은 흡입기(V)의 하우징(40)의 외측으로 조심스럽게 인발될 수만 있다.
블리스터팩(8)의 후퇴동작은 또한 하우징(4)의 그 지점의 단부로부터 블리스터팩(8)의 부분적으로 노출된 모서리(15)를 밀어냄으로써 보조될 수도 있다. 적절한 접근의 판(1)의 오목공간(76)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공간은 판(1)의 이러한 단부구역에서 수용공간(36)에 인접한 격벽(35)을 가로지른다. 또한, 오목공간(76)은 적절히 삽입될 수 있는 돌기(78)와 교차한다. 돌기(78)는 플랩형 뚜껑(41)의 내측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한 결합돌기(78)는 힌지축(42) 상에서 보호작용을 갖는다. 결합돌기(78)는 또한 플랩형 뚜껑(41)을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래치를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으며, 그 래치격벽은 오목공간(76) 속의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흡입관(3)이 가요성 아암(예를 들어 코드)에 의해 판(1)에 결합되게 변화될 수도 있고, 그것은 판(1)의 중앙고정점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아암(30)은 모든 구멍(2)에 도달하게 충분히 길고), 구(34)가 블리스터팩(8)과 무관하게 슬롯(49) 속에 붙잡힌 채로 유지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슬롯(49)은 양단부에서 폐쇄될 수도 있고, 설부(16' 및 16)는 판(1) 상에 배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구(34) 등은 제거되거나 채널, 양호하게는 블리스터팩(8)의 중앙홈(17) 속에 유지될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어댑터(13)가 제거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때는 흡입관(3)을 블리스터팩에 고정시킬 수 있는 또다른 파지수단에 의해 교체될 수도 있다.
설명된 모든 특징이 이 발명의 본질이다. 이 출원의 명세서의 설명에는 첨부된 우선권증명서(우선권주장의 기본이 되는 출원의 사본)에 개시된 내용이 완전히 합체되어 있으며, 이 출원의 청구범위에서 이러한 증명서의 특징들을 포함하게 된다.

Claims (29)

  1. 블리스터 팩의 외피(5)를 뚫고 들어가 흡입에 의해 블리스터 공동(6)을 비우기 위해 흡입관(3)을 그 위에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팩(8).
  2. 블리스터 팩(8)의 외피(5)에 결합되어 있고 안내공(2)들을 갖는 판(1)과, 안내공(2)으로부터 다른 안내공(2)으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고 선단인 블리스터 팩의 외피(5)를 뚫고 들어가고 다른 단부에 마우스피스형 개구(10)를 형성하는 삽입식 흡입관(3)을 포함하는, 블리스터 팩(8)의 공동(6)으로부터의 분말 물질의 흡입 장치(V)에 있어서,
    흡입관(3)이 블리스터 팩(8)의 하나의 모서리(14)를 따라 어댑터(13)에 의해 착탈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어댑터(13)는 미끄럼식 삽입 조인트에 의해 블리스터 팩(8) 상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4.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식 삽입 조인트는 블리스터 팩(8)의 중앙홈(17) 구역에 제공되며 홈 기부(23)를 그들 사이에서 수용하는 두개의 설부(19, 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5.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식 삽입 조인트(28/29)가 래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6.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관(3)은 어댑터(13)의 반부 셸형 부착물(6) 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7.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관(3)은 그 반경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고 블리스터 팩(8)이 판(1)의 아래로 밀리게 될 때 상기 판(1)과의 결합 위치로 들어가는 가요성 아암(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8.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암(30)은 상기 블리스터 팩 홈(17') 내에 삽입되고 판(1) 내에서 상기 홈(17')에 대해 합동 연장되는 슬롯(48)의 림 견부(47)들의 하방에서 나사 결합되는 두꺼운 단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30)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판(1) 폭의 약 절반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9.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13)를 포함한 판(1)은 하우징(40)의 플랩형 뚜껑(41)에 의해 덮여 있고, 판(1)은 하우징(40)에서 중간 덮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0.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회 개방 위치에서 플랩형 뚜껑(41)은 블리스터 팩(8)의 삽입을 위해 판(1)의 하방에 배치된 격벽(35)의 입구 단면(35')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1.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랩형 뚜껑(41)은 힌지쪽의 자유공간(50)에 의해 어댑터(13)와 흡입관(3) 모두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2.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아암(30)은 스위블 조인트 링(31)에 의해 흡입관(3)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3.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관(3)은 어댑터(13) 부착물(16)의 하나의 설부(16' 또는 16")에 의해 그 마우스피스쪽 단부에서만 유지되고, 부착물(16)의 제2 설부(16' 또는 16")는 충격 보호부로서 반대쪽에 배치된 절단모서리에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4.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리스터 팩(8)의 홈(17')에는 가요성 아암(30)의 두꺼운 단부(34)가 나사 결합하의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한계 정지부(45)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5.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13)의 하나의 설부(19)는 가요성 아암(30)을 삽입하기 위한 홈(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6.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13)는 푸시버튼형 조인트에 의해 블리스터 팩(8)의 하나의 림 모서리(14)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7.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푸시버튼 반부(57)는 블리스터 팩(8)의 측벽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8.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리스터 팩(8)은 공동(6) 사이의 구역에서 흡습성 삽입체(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9.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17, 17')은 공동을 이루는 벽 내에 형성되어 있고, 홈 기부(23)는 블리스터 팩 두께의 평면의 거의 중앙 높이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벽 재료로부터 형성된 종방향 웨브(51)는 블리스터 팩의 외피(5)의 반대쪽에 배치된 측면 상에 마련된 블리스터 팩의 후방벽(53)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0.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리스터 팩의 후방벽(53)은 삽입체(54)용 리셉터클(56)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1.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칭 핑거(67)들은 흡입관(3)의 선단에 할당되고,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래칭 핑거들은 판(1)의 안내공(2)의 부착물 공간(69) 속으로 들어가서 안내공(2)에 할당된 래칭 공간(7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2.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칭 공간(70)들은 안내공의 림에 평행 연장되고 안내공(2)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웨브(7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3.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웨브(72)의 상부측은 판(1)의 상부측에 대해 리세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4.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리스터 팩(8) 위에 결합되어 있고 안내공(2)을 구비한 판(1)은 가요성 아암(30)에 의해 흡입관(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5.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암(30)의 판 단부는 판(1)의 고정점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6.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암(30)의 판 단부는 판(1)의 종방향 슬롯(49)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7.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성은 슬롯 안내부에 의해 달성되고, 아암(30)의 단부 상에 안착된 구는 형상 고정식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8.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리스터 팩에 있어서,
    가요성 아암(30)의 판 단부는 블리스터 팩(8)의 슬롯 내에 유지되어 그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팩.
  29. 선행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리스터 팩에 있어서,
    가요성 아암(30)의 단부는 팩의 고정점 상에 안착되고, 아암(30)은 적어도 가장 멀리 배치된 공동까지의 거리와 동등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팩.
KR1020007006888A 1997-12-22 1998-12-22 분말 물질의 흡입 방법 KR200100334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7208.1 1997-12-22
DE19757208A DE19757208A1 (de) 1997-12-22 1997-12-22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PCT/EP1998/008420 WO1999032179A1 (de) 1997-12-22 1998-12-22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411A true KR20010033411A (ko) 2001-04-25

Family

ID=785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888A KR20010033411A (ko) 1997-12-22 1998-12-22 분말 물질의 흡입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045711A1 (ko)
JP (1) JP2001526096A (ko)
KR (1) KR20010033411A (ko)
CN (1) CN1284891A (ko)
AU (1) AU751738B2 (ko)
BR (1) BR9814371A (ko)
CA (1) CA2316345A1 (ko)
DE (1) DE19757208A1 (ko)
EE (1) EE200000399A (ko)
HU (1) HUP0100589A3 (ko)
IL (1) IL136878A0 (ko)
NO (1) NO20003182L (ko)
NZ (1) NZ505272A (ko)
PL (1) PL341319A1 (ko)
SK (1) SK9542000A3 (ko)
TR (1) TR200001862T2 (ko)
WO (1) WO1999032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9947A1 (en) * 1999-12-17 2001-10-18 Steve Paboojian Receptacles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powders
DE19961300A1 (de) * 1999-12-18 2001-06-21 Asta Medica Ag Vorratssystem für Arzneimittel in Pulverform und damit ausgestatteter Inhalator
SE9904705D0 (sv) * 1999-12-21 1999-12-21 Astra Ab An inhalation device
US7258118B2 (en) 2002-01-24 2007-08-21 Sofotec Gmbh & Co, Kg Pharmaceutical powder cartridge, and inhaler equipped with same
DE102007005724A1 (de) * 2007-01-31 2008-08-07 Behr Gmbh & Co. Kg Luftausströmer
FR2918352B1 (fr) 2007-07-03 2009-10-09 Valois Sas Dispositif d'ouverture de reservoir pou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EP2082763A1 (en) 2008-01-24 2009-07-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er
DE102017106500A1 (de) * 2017-03-27 2018-09-27 Aixtron Se Pulverdosier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3454A (en) * 1990-12-06 1992-07-28 Hammer Steven G Intravenous catheter biohazard prevention packaging device
US5533502A (en) * 1993-05-28 1996-07-09 Vortran Medical Technology, Inc. Powder inhaler with aerosolization occurring within each individual powder receptacle
US5642727A (en) * 1995-07-25 1997-07-01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Inhaler apparatus using a tribo-electric charging technique
DE19619536A1 (de) 1996-04-25 1997-10-30 Alfred Von Schuckmann Inhalie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6345A1 (en) 1999-07-01
HUP0100589A1 (hu) 2001-06-28
JP2001526096A (ja) 2001-12-18
AU751738B2 (en) 2002-08-29
NO20003182L (no) 2000-08-21
SK9542000A3 (en) 2000-11-07
DE19757208A1 (de) 1999-06-24
NZ505272A (en) 2002-05-31
NO20003182D0 (no) 2000-06-19
EE200000399A (et) 2002-02-15
CN1284891A (zh) 2001-02-21
EP1045711A1 (de) 2000-10-25
HUP0100589A3 (en) 2001-07-30
BR9814371A (pt) 2003-01-28
PL341319A1 (en) 2001-04-09
IL136878A0 (en) 2001-06-14
AU2163299A (en) 1999-07-12
TR200001862T2 (tr) 2001-01-22
WO1999032179A1 (de)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33785T3 (es) Inhalador
CA1089735A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caments
US8302601B2 (en) Inhaler for preparations in powder form
EP0921830B1 (en) Inhaler
KR101170187B1 (ko) 흡입기 장치
FI71488C (fi) Inhalationsanordning foer pulverartade laekemedel.
RU2351369C2 (ru) Ингалятор смесей на одну дозу в капсулах
JP4159743B2 (ja) 吸入装置
KR100491814B1 (ko) 흡입기
KR20010052129A (ko) 흡입 장치
HU220974B1 (hu) Kapszulanyitó szerkezet porbelélegző készülékhez, valamint porbelélegző készülék
BRPI0516701B1 (pt) Inhaler device for inhalation of a medication of a perforable capsule
KR20010033411A (ko) 분말 물질의 흡입 방법
MXPA02006153A (es) Dispositivo de inhalacion.
EP0132352A2 (en) Aerosol applicator device
CA1185137A (en) Medical aerosol dispensing device
JP4828492B2 (ja) 薬剤噴霧器
KR810001833B1 (ko) 분말약 흡입 장치
CZ20002344A3 (cs) Zařízení pro inhalování práškových látek
CA2250031C (en) Inhaler
MXPA00006164A (en) Method for inhaling powdery substances
CZ20002345A3 (cs) Inhalační zařízení
JPH11342204A (ja) 薬剤吸引パイプ
RU200211482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галяции
MXPA00006131A (en) Inha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