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833B1 - 분말약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분말약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33B1
KR810001833B1 KR7800396A KR780000396A KR810001833B1 KR 810001833 B1 KR810001833 B1 KR 810001833B1 KR 7800396 A KR7800396 A KR 7800396A KR 780000396 A KR780000396 A KR 780000396A KR 810001833 B1 KR810001833 B1 KR 81000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hoe
insert
cap
chamber
fuse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미차엘
케네스 랜드 파울
원 할워스 제랄드
Original Assignee
하롤드 월터 마틴
알렌 앤드 한버리스 리밋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롤드 월터 마틴, 알렌 앤드 한버리스 리밋티드 filed Critical 하롤드 월터 마틴
Priority to KR780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말약 흡입 장치
제1도는 흡입 장치의 단면 사시도.
제2도는 흡입 장치의 단부도.
제3도는 개방 위치에 있는 장치의 뚜껑을 보인 제2도와 같은 단부도.
제4도는 다른 위치에 있는 부품을 보인 제1도와 같은 단부 사시도.
제5도는 뚜껑이 개방 위치에 있는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 다른 실예의 분해 사시도.
제7도와 제8도는 본 발명을 2가지 상이한 위치에 있게 한 제6도에 도시된 장치의 단면 사시도.
제9도는 또다른 실예의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 장치의 단부 사시도.
제11도와 제12도는 마우스피스가 제거되고 이 장치의 부품이 두가지 상이한 위치에 있음을 보이는 제9도 및 제10도 장치의 단부도.
제13도는 이 장치의 부품이 상이한 위치에 있게 한 제10도와 같은 도면.
본 발명은 캡슈울 또는 그와 유사한 용기(이후 캡슈울로 통칭함)로부터 환자에 분말 약제를 투약하기 위한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통형 또는 "어뢰"(torpedo) 형태의 제라틴 캡슈울에 여러 가지 종류의 약제를 공급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여러 가지의 이러한 캡슈울은 두 부분으로 만들어지고 그 중 하나(캡슈울 동체라 함)는 다른 용기 [캡슈울(capsul cap)이라함] 내에 부분적으로 봉합되어진다. 캡슈울은 분말 형태의 약제로 용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장치는 환자가 그의 입을 통하여 흡입 하고자 하는 분말 약제를 가진 캡슈울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분말 흡입장치는 환자가 흡입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와, 환자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 또는 환자까지 공급된 공기가 약제를 캡슈울로부터 끌어내어 통과시키는 쳄버로 이루어지고, 캡슈울은 약제가 캡슈울로부터 쳄버로 통과하도록 구멍이 천설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슈울 두 부분으로 분리시켜 그 안의 약제를 캡슈울로부터 나올 수 있게 한 캡슈울용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슈울과 캡슈울 동체가 서로 밀삽 형성되어 있는 종류의 캡슈울에 응입된 약제를 환자에게 투약하기 위한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 장치는 내측 쳄버가 있는 동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쳄버로 통하는 공기 입구, 공기가 쳄버로부터 흡입될 수 있는 출구노줄, 캡슈울 두 부분 중 그 한 부분이 보지되도록한 쳄버 내측에 캡슈울 삽착구와, 캡슈울 삽착구에 보지된 캡슈울의 그의 다른 부분과 결합하도록 배열된 개방장치들로 이루어졌으며, 삽착구와 개방장치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상기 캡슈울을 분리시키도록 서로에 대하여 상반되게 이동할 수 있어 분말 약제가 상기 캡슈울로부터 방출될 수 있고 공기가 노즐을 통하여 흡입될 때 쳄버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내에 편승되도록 한다.
한가지 실예에서, 동체는 두 가지 부재로 이루어졌으며, 그 중 한 부재는, 동체가 자체축의 종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 될 수 있도록 그 다른 부재내에 활삽될 수 있고, 삽착구(cradle) 각각이 이들 부재내에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이 두 개의 삽착구는 상호 동축상에 있으면서 이 두 부재가 수축될 때 단부대 단부가 결합되고 이 두 부재가 연장될 때 서로 분리 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다른 실예에서, 캡슈울 삽착구 캡슈울의 동체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면서 쳄버 내측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캡슈울 개방장치는 쳄버의 내측의 적소에 고정된 플로우(plough)이다. 삽착구는 개방장치를 지나 쳄버의 축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삽착구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개방장치는 삽착구에 보지된 캡슈울의 캡슈울캡과 접촉한 후 캡슈울 동체를 밀어내며, 이 개방장치는 캡슈울캡부를 제거한 후 캡슈울 삽착구로부터 캡슈울 동체부를 방출시키도록 장치되어 있고, 또한 공기 흡입시에 캡슈울과 캡슈울 동체부가 노즐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수단이 장치되어 있다.
또 다른 실예에서 작동부재는 동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동체내측에 메가진(magazine)과 연결되어 있고, 이 메가진은 동체의 종방향의 길이로 연장한 캡슈울 삽착구로 이루어졌으나 그의 축으로부터 벗어나 있으며, 상기 삽착구는 그로부터 돌출한 나머지의 캡슈울 동체부를 수용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캡슈울 개방장치는 회전부재(슬리이브)와 메가진이 회전할 때 삽착구에 삽입된 캡슈울의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한 위치에서 쳄버의 내측에 고정되므로 캡슈울의 돌출부를 삽착구에 보지된 부분으로부터 분리 시키도록 하였고, 삽착구로부터 캡슈울을 방출되도록 하는 수단이 장치되어 있으며, 또한 공기 흡입시 이 두 개의 캡슈울부가 노즐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 수단이 장치되어 있다.
이 모든 실예에서, 출구 또는 노즐은 가급적 마우스피스 형태이나, 환자의 콧구멍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 형태 일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예에서, 약제를 환자입에 투약하는 분말 흡입장치는 일반적으로 타원형의 외측 단면을 이루고 있으나, 그 내부 형태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체는 두부분(1), (2)으로 이루어지며, 이중 한 부분은 동체가 종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그 다른 부분내에서 활주할 수 있다.
이 두부분의 원통형 내측은 내부쳄버(3)을 형성하고 있다. 내측 또는 비교적 작은 부분(2)의 일단부는 내측부(2)가 외측부(1)의 최대 범위까지 활주될 때라도 외측 또는 비교적 큰 부분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부분(1)은 환자의 입에 삽입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4)로 작용하는 개방단부로 이루어져 있다. 기술의 편의상 동체의 마우스피스(4)는 이후 동체의 선단부로 간주될 것이다.
부분(1)의 내측에는 캡슈울(C)의 일측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종축 크레이들(cradle) 또는 캡슈울 삽착구(5)가 배열되어 있다. 이 삽착구(5)는 아암(6)에 지지되어 있고 삽착구(5)에 삽입된 캡슈울(C)를 파지하는 크램프 톱니(7)을 포함하고 있다. 공기는 캡슈울주위로 흔른다. 동일한 삽착구(8) 또는 캡슈울 개방장치(8)은 동체의 후단 또는 내측부(2)에서 종축으로 연장하여 있으며 캡슈울(C)의 타측단부를 수용하도록 선단 삽착구(5)와 동축상에 있는다. 삽착구(8)은 마우스피스(4)를 향하여 캡슈울캡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단부정지구(8a)를 포함하고 있다. 외측동체(1)은 뚜껑(lid)(9)를 형성하도록 자체길이의 일추를 지나 종으로 연장하였으며, 뚜껑(9)는 외측동체(1)의 주부분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캡슈울(C)가 삽착구(5), (8)에 삽입시키거나 또는 삽착구로부터 회수될 수 있게 한다.
동체의 뚜껑(9)는, 크램프 톱니(7a)와 삽착구(5)와 대향 위치된 크램프부(10)을 포함하고 있으며, 뚜껑(9)가 닫혀질 때 뚜껑(9)는 캡슈울을 파지하거나 크램프로 조여지도록 삽착구(5)에 있는 캡슈울까지 이동된다. 동체내에 삽착구(5), (8)은, 동체를 연장시킬 때 (제4도) 캡슈울을 둘로 분활시켜 그 내부에 약제가 그로부터 방출될 수 있고 서로 떨어져 이동되도록 흡입장치의 축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방사상 공기 입구(12)는 뚜껑(9)를 통과하여 쳄버(3)으로 연장하여 있다. 압력 부재(13)은 공기 입구(12)에 인접하여 뚜껑(8)에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 삽착구(8)에 의하여 운반된 캡슈울(C)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사용시, 뚜껑(9)는 개방되며 캡슈울(C)가 삽착구(5), (8)에 삽입된다. 캡슈울은 삽착구(8)에 위치되어 있다. 그 다음 뚜껑(9)는 닫혀지고 동체의 부분(1)과 (2)가 분리된다. 그 다음 환자는 마우스피스(4)를 그입에 가져가 약제를 흡입한다. 이는 캡슈울 동체로부터 분말을 회수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삽착구(5)에 있는 캡슈울 동체 주위에 공기의 난류를 일으킨다.
회수된 분말은 공기속에 포함하고 분산되어 환자의 흡입 동작에 의하여 동체를 통과하고 그러므로 약제는 환자의 입으로 투약된다. 원한다면, 삽착구(5), (8)부분은, 환자가 흡입위치를 쉽게 구별하도록 삽착구(8)에 캡슈울과 삽착구(5)에 캡슈울 동체를 가지고 있다는 식으로 삽착구의 적당한 위치에 색깔로 표시하거나 그와 다른 표식을 할 수 있다.
제6도,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중공의 원통형 동체(14)로 이루어 졌으며, 이의 내측부는 (이후 분산 쳄버라 통칭함) 쳄버(15)로 이루어져 있다. 동체(14)는 단부벽(16)에 의하여 그 일측단부가 밀폐되어 있다. 노즐은 환자의 입에 삽입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 형태로 성형되어 있으나, 원한다면 노즐은 환자의 콧구멍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이후 노즐은 마우스피스라 칭한다.
분산쳄버(15)는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캡슈울 지지구 또는 삽착구(20)과 캡슈울 개방장치(plough)(25)를 포함하고 있다. 마우스피스(17)은, 플라스틱재의 구멍이 천설된 시이트(shect)의 형태이거나 또는 개방된 캡슈울(C)의 부분을 가로막는 그물 또는 가아제 형태로 될 수 있는 보호망(guard)(18)이 착설되어 캡슈울로부터 방출된 약제가 마우스피스(17)을 통하여 흡입될 수 있다.
동체(14)는 분산쳄버(15)로 유도하는 여러개의 공기 입구 슬롯(19)들로 형성되어 있다. 슬롯(19)는 쳄버의 대각현에 대하여 각을 이루고 있다.
캡슈울 고정구 또는 삽착구들(20)은 분산쳄버(15) 내측의 중측 방향의 축(shaft)(21)에 위치되어 있다. 이 축(21)은 쳄버(15)를 통하여 동체(14)의 후단부를 둘러싸고 있는 작동 슬리이브(22)에 연결된 후단부벽(16)까지 이어져 있다. 그러므로 슬리이브(22)와 축(21) 및 삽착구(20)은 분산쳄버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종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캡슈울 삽착구(2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수동으로 그 내부에 삽입되는 캡슈울(C)의 동체를 수용하도록 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 다음 캡슈울캡부는 삽착구(20)(제7도 참고)의 전진방향으로 돌출하였다.
삽착구(20)의 내측은 캡슈울 동체를 파지하도록 견고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는 표준 캡슈울 동체가 삽착구에 밀삽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확실히 파지하기 위해 적당한 리브(rib) 또는 다른 마찰 수단이 장치될 수 있다. 삽착구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길이에 걸쳐 슬롯 또는 개방구(23)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산쳄버(15)의 내측에는 내부휜(fin) 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쟁기모양 또는 갈구리 모양의 단부(25)로 된 리브형태인 개방장치(24)는 분산쳄버(15)와 함께 전진이동될 때 삽착구(22)에 종축개방부(23)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가급적 개방장치의 형태는 삽착구에 삽입되는 캡슈울(C)의 표면적과 가능한 넓게 접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사용시에 이 장치는 제7도에 도시된 밀폐 위치에 있게 되며, 마우스피스(17)은 동체(14)의 전단부로부터 일탈되고 환자는, 캡슈울 동체가 삽착구에 삽입되고 캡슈울 캡은 삽착구로부터 돌출하도록 캡슈울을 삽입한다. 그 다음 마우스피스는 원래의 위치에 삽입되고, 캡슈울 삽착구(20)은 쳄버 내측에서 후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중에 개방장치(24)는 캡슈울 위를 통과하면서 캡슈울캡의 단부와 접촉되고 캡슈울 동체를 압박하게 된다. 개방장치(24)는 적당한 크기와 형태의 부분(26)으로 이루어져지며, 캡슈울캡이 일탈된 후 캡슈울 동체의 단부와 접촉하면서 캡슈울 통체를 분산쳄버로 밀어 넣는다.
개방된 캡슈울이 분산쳄버에 있을때 환자는 마우스퍼스를 통하여 흡입한다. 흡입이 끝난후 환자는 마우스피스를 일탈시키고 소비된 캡슈울을 버린다. 그다음 마우스피스는 다음 흡입을 준비하도록 삽착구에 캡슈울을 다시 끼워 넣은 후 원위치된다.
제9도-제1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예에서, 흡입장치는 원통형 동체(27)로 이루어지며, 그의 내측은 쳄버(28)을 형성한다. 동체(27)은 단부벽(29)에 의하여 일측단부가 밀폐되고 그 타측 단부 또는 선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일탈 가능한 마우스피스(30)은 나삽되거나 또는 동체(27)의 전단부에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드(grid : 격자) 또는 보호망(31)은 캡슈울부를 보호하나 분말 약제가 환자 흡입시 마우스피스(30)을 통하여 회수되도록 장치 되어 있다. 이 그리드 또는 보호망(31)은 통상적으로 마우스피스(30)의 후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캡슈울부는 환자가 흡입 동작중에 그리드 또는 보호망(31)에서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동체(27)의 중심부는, 상기 실예에서와 같이 동체(27)의 전 길이에 걸쳐있는 여러개의 공기인입 슬롯(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롯(32)는 쳄버(28)와 연통하여 있으며 쳄버의 대각현에 대하여 각을 이루고 있다.
작동 슬리이브(33)은 동체(21)의 후단부위로 포개질 수 있도록 활주하며 또는 그위에서 회전할 수있다. 슬리브(33)은 동체 내측의 메가진(magazine) 또는 배럴(barrel : 원통)(34)에 연결되어 슬리이브(33)과 메가진(34)가 한 장치로 함께 활주하고 회전할 수 있다. 메가진은 동체의 길이로 연장한 캡슈울장전 삽착구(35)로 이루어져 있으나, 동체와 메가진의 축으로부터 경사져 있다.
이 장전 삽착구(35)는 전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흡입하고자하는 분말 약제를 포함한 캡슈울(C)는 마우스피스(30)이 제거된 후 캡슈울장전 삽착구(35)의 개방단부로 삽입되어 진다. 캡슈울이 삽착구(35)에 삽입될 때, 캡슈울의 전단부는 삽착구(35)의 전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있다(제10도참조), 캡슈울(C)가 장전 삽착구(35)에 삽입될 때 마우스피스(30)은 원위치 된다.
쐐기형 캡슈울 개방부재(36)은 고정링(37)내에서 동체 내측에 고정된다. 고정링(37)은 동체(27) 내측에 활삽될 수 있고, 동체 내측의 키이흠(39)에 맞물리는 키이(38)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링(37)은 동체의 내측에 대하여 활주 할 수 있으나 회전할 수 없다. 링(37)은 메가진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메가진(34)의 전단부에 결합되고 링과 메가진은 함께 활주할 수 있다.
캡슈울 방출장치(40)은 메가진(34) 뒤에 있는 동체(27)에 고정되며, 슬리이브(33)과 그에 따른 메가진(34)가 개방 또는 작동 위치까지 이동되어 캡슈울 장전 삽착구가 방출 개방장치와 함께 위치될 때 방출장치(40)은 장전 삽착구(35)로 삽입되어 삽착구(35)의 개방전단부부터 캡슈울을 방출시키도록 한다.
사용시 이 장치는 잠겨져 있는 상태로 배열되고(제10도 참조), 흡입하고자하는 약제를 포함한 캡슈울은 메가진(34)의 캡슈울 장전 삽착구(35)에 삽입되며, 마우스피스(30)은 동체에 고정되어 있다. 그 다음 슬리이브(33)은 약 1/2정도 회전된다. 또한 슬리이브(33)의 회전 이동은 메가진(34)와 메가진의 장전 삽착구(35)에 삽입된 캡슈울을 회전시키고, 캡슈울 개방부재(36)과 장전 삽착구(35)는 서로에 대하여 캡슈울의 돌출부분이 개방부재의 선단변부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이를 계속 회전시키면, 개방부재는 캐슈울의 돌출부분에 쐐기로 조이는 작용을 한다. 이 돌출 부분은 쐐기로 조이는 작용의 압력으로 인하여 캡슈울의 그 나머지 부분과 분리 될 수 있다. 그 다음 슬리이브(33)과 메가진(34)는 최초 위치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본래 위치로 돌아오는 데, 이러한 회전중 개방부재(36)에 대한 다른 쐐기 작용은 캡슈울 동체와 캡을 분리시키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회전은, 양측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캡슈울 장전 삽착구(35)가 캡슈울 방출 장치(40)과 겹쳐지도록 한다. 슬리이브(33)이 정확한 장소에 위치되었을 때, 슬리이브(33)은 개방 또는 작동위치로 활주되고, 이러한 이동중에 방출장치(40)은 메가진(34)의 캡슈울 장전 삽착구(35)로 삽입되는 동시에 캡슈울(C)의 동체 단부를 압박하게 되며 장전 삽착구의 전단부를 쳄버(28)로 밀어낸다. 그 다음 환자는 분말약제를 흡입하기 위하여 마우스피스(30)으로 흡입할 수 있다. 흡입이 끝난 후 환자는 마우스피스를 일탈시켜 소비된 캡슈울을 제거하고 다른 캡슈울을 다음 흡입을 위해 캡슈울 장전 삽착구에 삽입할 수 있다.
일측에 슬리이브 및 메가진과 그 타측에 동체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수단이 장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지구(41)(제9도)가 동체(27)에 장치되어 슬리이브(33) 내측의 리세스(42)에서 움직이게 하였다. 리세스의 단부는 지지구가 동체에 대하여 슬리이브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결합하고 있는 공동주벽(abutment)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배열은 방출장치가 캡슈울을 방출하도록 적소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Claims (1)

  1. 캡슈울 동체부가 캡슈울캡부에 끼워지는 종류의 캡슈울에 용입된 분말약제의 투약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내측쳄버가 형성된 동체, 쳄버로 유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입구, 공기가 쳄버로부터 흡입될 수 있도록 한 출구노즐, 쳄버내측에 캡슈울 삽착구와 캡슈울 삽착구에 수용된 캡슈울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캡슈울 개방장치들로 이루어진 분말약 흡입장치.
KR7800396A 1978-02-18 1978-02-18 분말약 흡입 장치 KR81000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396A KR810001833B1 (ko) 1978-02-18 1978-02-18 분말약 흡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396A KR810001833B1 (ko) 1978-02-18 1978-02-18 분말약 흡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33B1 true KR810001833B1 (ko) 1981-11-17

Family

ID=1920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396A KR810001833B1 (ko) 1978-02-18 1978-02-18 분말약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3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0140A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caments
CA1089735A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caments
FI67177B (fi) Inhalator
US7284553B2 (en) Powder inhaler comprising a chamber for a capsule for taking up a non-returnable capsule being filled with an active ingredient
FI88678B (fi) Inhalator
US5595175A (en) Inhaler for administration of powdery substances
FI108519B (fi) Inhalaattori
US6006747A (en) Dry powder inhaler
RU2136322C1 (ru) Ингалятор для сухого порошка
GB2064336A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caments
JPH0158992B2 (ko)
HU209475B (en) Device for the administration of powdered medicinal substances
GB1562732A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caments
BRPI0516701B1 (pt) Inhaler device for inhalation of a medication of a perforable capsule
WO2016181142A1 (en) Inhaler device
CA2509521C (en) Powder inhaler with capsule chamber for receiving a disposable capsule filled with an active substance
KR810001833B1 (ko) 분말약 흡입 장치
JP2019506240A (ja) 吸入器
JP3220455B2 (ja) 新規吸入器
KR20010033411A (ko) 분말 물질의 흡입 방법
KR830001228B1 (ko) 분말상 약제의 흡임장치
SE433306B (sv) Inhalationsanordning for tillforsel av lekemedel som er innehallet i kapslar
SI8412129A8 (sl) Inha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