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228B1 - 분말상 약제의 흡임장치 - Google Patents

분말상 약제의 흡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228B1
KR830001228B1 KR1019770000284A KR770000284A KR830001228B1 KR 830001228 B1 KR830001228 B1 KR 830001228B1 KR 1019770000284 A KR1019770000284 A KR 1019770000284A KR 770000284 A KR770000284 A KR 770000284A KR 830001228 B1 KR830001228 B1 KR 83000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magazine
passage
chamber
hous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7000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228A (ko
Inventor
제임스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알렌 앤드 한버리스 리밋티드
하롤드 윌터 마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렌 앤드 한버리스 리밋티드, 하롤드 윌터 마틴 filed Critical 알렌 앤드 한버리스 리밋티드
Priority to KR101977000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28B1/ko
Publication of KR83000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 C07D217/18Aralkyl radicals
    • C07D217/20Aralkyl radical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of said aralkyl radical, e.g. papaver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말상 약제의 흡임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마우스피스(mouthpiece)를 분리한 것을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 장치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의 매거진(magazine)에 캡슐을 수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6도는 제2도의 Y-Y선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의 X-X선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 장치의 변경형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분말상 약제가 환자에게 자동투약될 수 있도록 한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자의 입을 통하여 약제를 흡입시킬 수 있는 마우스피스를 가진 흡입장치에 의하여 분말상 약제를 환자의 기관지에 투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약제는 장치에 삽입되는 캡슐에 넣어져 공급되고, 투약직 전에 캡슐이 꿰뚫어져 캡슐로 부터 분말상 약제가 방출되어 환자에 흡입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천식환자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흡입장치는 분말상 약제가, 용입된 캡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캡슐수용실, 이 캡슐수용실로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흡입구와, 캡슐수용실로 부터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노즐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매거진은 캡슐수용실내에서 활동(滑動)가능하고 회동가능하게 되어있고 체장한 캡슐수용통로를 가지며 이에 삽입된 캡슐의 단부가 캡슐수용통로로 부터 캡슐수용실측으로 돌출되게 되어있고, 캡슐수용실에 대하여 매거진을 회동시킬 때에 캡슐수용통로내에 삽입된 캡슐의 돌출부분을 잘라낼 수도 있는 나이프(knife)가 캡슐수용실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캡슐방출부재가 캡슐수용실내측에 배설되어 캡슐수용통로가 캡슐수용실내에 대한 매거진의 적당한 회동과 캡슐수용실에 대한 매거진의 활동에 의하여 캡슐방출부재와 일치되었을때에 캡슐방출부재가 캡슐수용통로로 진입되므로서 캡슐의 나머지부분이 캡슐수용통로로 부터 캡슐수용실축으로 방출되게하여 캡슐의 내용물이 노즐을 통하여 흡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고, 환자가 노즐을 통하여 흡입시 절단된 캡슐의 부분이 캡슐수용실로 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나이프는 여러가지 형태일 수 있다.
예리들어, 나이프는 중간에 송곳과 같은 돌출부를 갖는 만곡된 절단인부를 갖는 절단인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나이프는 캡슐의 일측단부부근 또는 중앙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배열되며, 필요하다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두개의 나이프를 착설할 수도 있다.
본 발명 흡입장치는 주로 약제의 경구투약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 경우 노즐은 환자의 입에 삽입되는 마우스 피스이다. 그러나, 본 발명 장치는 약제의 비강투약에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경우 노즐은 환자의 코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6도에서 보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흡입장치는 그 내부에 캡슐수용실(2)이 형성된 원통형동체(1)로 구성된다. 이 동체(1)는 일측단부에 단부벽(3)을 가지며 타측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설명을 간편히 하기 위하여 단부벽(3)을 갖는 동체의 단부를 후단부이라 하고 개방단부를 선단부라 한다. 분리가능한 마우스피스(4)의 형태인 노즐은 동체의 선단부에 나착된다. 방진캡(4a)이 마우스피스(4)상에 일탈가능하게 삽입된다. 환자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캡슐수용실(2)내에서 수개의 부말으로 분리된 캡슐(C)로 부터 분말상 약제를 흡취할 수 있도록 이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흡입한다.
마우스피스(4)의 후단에는 환자가 흡입시 분말약제와 함께 분리된 캡슐의 부분이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흡입되지 않도록 망체(絹體)(5)가 착설된다. 이 망체(5)는 컵의 형태이고 고정링(6)으로 마우스피스(4)내에 고정된다. 분리된 캡슐의 부분들은 공기가 캡슐수용 실(2)와 마우스피스(4)를 통하여 흡입될 때에 망체상에서 회동되며 망체(5)는 이러한 회동이 캡슐의 분리된 부분이 진동하고 분말상 약제가 분산되는 것을 도울수 있도록 표면이 거칠게 되어있다.
동체(1)의 벽에는 동체의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공기유입구(7)가 형성되어 있다. 만약 필요하다면, 이들공기유입구(7)은 동체주연의 대부분(길이의 2/3가량)에 연장배설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개는 2-4개의 공기유입구(7)를 갖는 것이 좋다.
이들 공기유입구(7)는 캡슐수용실(2)과 연통되어 있으며 수용실의 직경현 (直徑絃)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룬다. 따라서 공기가 마우스피스(4)를 통하여 흡입될 때에 이는 수용실내에 수용된 캡슐(C)의 부분이 심하게 요동할 수 있도록 공기가 수용실(2)를 통하여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요동으로 캡슐내에 남아있던 분말상 약제가 흩어져나와 난류에 분산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말상 약제의 분산으로 약제가 마우스피스(4)를 통하여 환자에 흡입될 수 있게 된다.
작동슬리이브(8)는 동체(1)의 후단부상에 신축자재하게 활동가능케 되어있으며 또한 회동가능하게 되어있다. 매거진(9)(제4도 참조)은 동체의 내측에 배설되고 슬리이브(8)내의 통로(12)에 결합되는 평삭면(11)이 형성된 축방향의 축(10)을 가짐으로서 슬리이브의 매거진은 하나의 구조로 활동가능하게 된다. 통로(12)는 단부마개(13)으로 폐쇄된다. 매거진(9)은 이와 동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캡슐수용통로(14)를 가지나 동체와 매거진의 중심축으로 부터는 벗어나 있다.
이 캡슐수용통로(14)는 선단축이 개방되어 있으나 후단축은 슬로트(14b)를 갖는 단부벽(14a)로 폐쇄되어 있다. 흡입될 분말상 약제가 용입된 캡슐(C)은 마우스피스(4)를 동체(1)로 부터 분리한 다음 캡슐수용통로(14)의 개방단부로 삽입될 수 있다. 캡슐수용통로(14)의 길이는 캡슐이 이 수용통로(14)에 삽입되었을 때에 캡슐의 선단부(CF)(제5도)가 돌출될 수 있는 길이이다. 캡슐이 수용통로(14)에 삽입되면 마우스피스(4)가 결합된다. 나이프(15)는 동체(1) 내측에 취부링(16)으로 취부된다.
이 취부링(16)은 동체(1)의 내에 활삽(滑揷)되며 동체(1)의 내측에 형성된 키홈(keyway)(18)에 결합되는 키(key)(17)를 갖는다. 따라서 링(16)은 동체(1)의 내측에서 활동가능하나 회동되지는 않는다. 링(16)은 매거진 링(16)에 대하여 회동되나 링과 매거진이 모두 활동될 수 있도록 매거진의 선단부와 결합된다.
캡슐방출돌기(19)가 매거진(9)의 후측인 동체(1)의 내측에 돌설되어 있어 슬리이브(8)와 매거진(9)을 개방 또는 작동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캡슐수용통로(14)가 이 캡슐방출돌기(19)와 일직선상에 일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돌기가 캡슐수용통로(14)에 진입되므로서 캡슐은 수용통로(14)의 개방선단부를 통하여 캡슐수용실로 방출된다. 동체(1)는 슬리이브(8)의 내측요구(21)에 삽입되는 평돌기(20)을 갖는다. 요구(21)의 단부는 평돌기(20)가 닿는 턱을 형성함으로서 동체(1)에 대하여 슬리이브(8)의 회동을 제한한다.
작동에 있어서, 흡입될 약제가 용입된 캡슐(C)이 매거진(9)의 캡슐수용통로(14)에 수용되고 마우스피스(4)가 동체(1)에 나착된다. 슬리이브(8)가 약 반바퀴회동된다. 이러한 슬리이브의 회동으로 매거진(9)과 이의 캡슐수용 통로(14)에 수용된 캡슐(C)이 회동하게 되어 나이프(15)와수용통로(14)는 캡슐의 돌출부분이 나이프(15)의 절단인부와 엇갈리게 상호회동하게 되므로 캡슐의 돌출부분이 절단된다. 제1도-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나이프(15)는 캡슐을 절단하는 절단인부(22)를 가진 충형 절단인의 형태로 되어있다. 캡슐이 절단된 후 슬리이브(8)와 매거진(9)은 본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양단이 개방된 캡슐수용통로(14)는 캡슐방출돌기(19)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슬리이브(8)가 정확한 위치에 놓였을 때에 캡슐방출돌기를 그 개방 또는 작동위치로 밀어넣으면 돌기(19)가 매거진(9)의 캡슐수용통로(14)로 전입되어 캡슐의 후단을 밀어 캡슐이 수용통로(14)의 선단부를 통하여 캡슐수용실(2)로 보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운동으로 공기유입구(7)가 개방되어 환자는 분말상약제를 마우스피스(4)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흡입이 끝났을 때에 환자는 빈 캡슐을 제거하도록 마우스피스를 분리한 다음 다른 캡 슐을 캡슐수용통로(14)에 삽입하여 따른 약제흡입을 준비할 수 있다.
제8도는 다른형태의 나이프(15)를 갖는 장치를 보인 것이다. 이 수정형태에서, 나이프(15)는 동체(1)내에 고정링(24)으로 고정되는 컵(23)의 형태로 되어있다. 이 절단인컵(23)은 송곳모양의 돌출부(26)가 절단인부(25)에 구성되도록 그 기부(基部)가 절결되어 있다.
절단인컵의 기부에는 나이프가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링(24)의 기부에 형성된 슬로트(28)에 삽입되는 돌기(27)가 돌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제1도-제7도의 구조에서 행하여진 것보다 캡슐절단조작중에 캡슐(C)의 정확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이프의 절단인부가 그다지 예리하지 않아도 된다.
위에 언급된 본 발명의 양 실시형태에서 슬리이브(8)에는 장치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구성시킬 수 있다. 만약 필요하다면 축(10)을 동체(1)의 후단부로 돌출되게 연장하여 손잡이로 구성할 수 있다. 이경우 슬리이브(8)에 손잡이를 구성시킬 필요는 없다.

Claims (1)

  1. 원통형 슬리이브(8)를 회동 및 활동가능하게 형성시켜서 그 내부에 원통형동체(1)를 삽설하되 동체(1)의 내부에는 캡슐수용실(2)을 형성시키고, 노즐(4)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캡슐수용실(2)로 유입케한 공기유입구(7)를 세장되게 형성시켰으며, 캡슐수용실(2)내에서 활동 및 회동하도록 매거진(9)을 삽설하되 매거진(9)에는 삽입된 캡슐(C)의 일단부가 돌출되도록한 캡슐수용통로(14)를 형성시키고, 매거진(9)이 회동할때에 캡슐(C)의 돌출단부(CF)가 절단날(22,25)에 의하여 절단될 수 있도록 ?나이프(15)를 캡슐수용실(2)내에 위치시키고, 매거진(9)을 회전시킨 후 캡슐수용통로(14)내로 밀어넣으므로서 캡슐절단 잔여부가 캡슐수용실(2)내로 방출되게 한 방출부재(19)를 형성시켰으며, 캡슐수용실(2)내의 캡슐절단부들이 노즐(4)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하는 망체(5)를 형성 시켜서된 분말상 약제의 흡입장치.
KR1019770000284A 1977-02-10 1977-02-10 분말상 약제의 흡임장치 KR830001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0284A KR830001228B1 (ko) 1977-02-10 1977-02-10 분말상 약제의 흡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0284A KR830001228B1 (ko) 1977-02-10 1977-02-10 분말상 약제의 흡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228B1 true KR830001228B1 (ko) 1983-06-27
KR830001228A KR830001228A (ko) 1983-06-27

Family

ID=1920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0284A KR830001228B1 (ko) 1977-02-10 1977-02-10 분말상 약제의 흡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2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228A (ko) 198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9735A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caments
EP0528764B1 (en) Inhaler for administration of powdery substances
FI70797C (fi) Inandningsanordning
KR100323942B1 (ko) 의약흡입기및흡입방법
FI67177B (fi) Inhalator
US4116195A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caments
RU2456026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ингалятор для сухого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препарата
JP6309655B2 (ja) ドライ・パウダー吸入器
KR101170187B1 (ko) 흡입기 장치
EP0028162B1 (en) Breath actuated devices for administering powdered medicaments
FI88678C (fi) Inhalator
US6550477B1 (en) Dry powder medicament inhalator having an inhalation-activated flow diverting means for triggering delivery of medicament
FI71487C (fi) Inhalator.
JPS5841067B2 (ja) フンマツザイヨウキユウニユウキ
JP5188183B2 (ja) 吸入器
JPH10504470A (ja) 粉剤吸入器
KR830001228B1 (ko) 분말상 약제의 흡임장치
JPH09262295A (ja) 粉末状薬剤吸入装置
GB2547279A (en) Inhaler device
KR20200144542A (ko) 건조 분말 흡입기
DK154869B (da) Inhalationsapparat til administrering af medikam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