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886A - 직물기계 - Google Patents

직물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886A
KR20010032886A KR1020007006216A KR20007006216A KR20010032886A KR 20010032886 A KR20010032886 A KR 20010032886A KR 1020007006216 A KR1020007006216 A KR 1020007006216A KR 20007006216 A KR20007006216 A KR 20007006216A KR 20010032886 A KR20010032886 A KR 20010032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guide
slide
feed roll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쉬케클레멘스
슐쯔안드레아스
버게스디트리히
Original Assignee
이.파우. 뢰르허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파우. 뢰르허,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이.파우. 뢰르허
Publication of KR2001003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8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6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singly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20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ons or devices; After-treatments for fixing crimp or cur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02G1/026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false-twis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Loom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각각의 경우에 복수개의 열가소성 사를 짜는 직물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는 복수개의 이송시스템에 의해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안내되고 그리고 전진된다. 이송시스템의 하나는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상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며 그리고 제공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의 선형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된다. 슬라이드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요소에 의해 안내된다. 힘의 전달을 위해, 슬라이드 요소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장한 케이블 라인을 통해 구동장치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직물기계{TEXTURING MACHINE}
이 종류의 직물기계는 WO 98/33963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의 직물기계의 경우에, 복수개의 이송 사 패키지는 크릴 프레임(creel frame)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는 다른 하나의 위에 있다. 각 이송 사 패키지는 기계내의 프로세싱 스테이션(processing station)으로 사를 공급한다. 사의 해사 및 전진을 위하여 또는 심지어 사를 당기기 위하여, 복수개의 이송시스템은 기계내에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이 장치의 경우에, 제 1 이송시스템은 이송 사 패키지로부터 사를 끌어내며 그리고 그것을 가연 형성(texturing) 영역으로 전진시키도록 크릴 프레임 위에 배치된다. 이 장치는 휨 없이 이송시스템으로부터 직접 가연 형성 영역 내의 가열 장치로 사를 전진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공정의 초기에 있어서, 사를 드레딩(threading)하기 위하여 이송시스템은 그 작동위치로부터 제공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송시스템은 슬라이드 상에 장착되며, 이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선형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하부 작동위치와 상부 제공위치 사이의 높이의 상당한 차이를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이송시스템과 함께 슬라이드의 이동을 위하여 큰 힘의 전달을 요구한다. 더욱이, 이송시스템은 가열장치 하류에서 사의 전진이 사의 취급을 위해 요구되는 경로를 취하도록 그 작동위치에서 매우 정확하게 위치결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두개의 이송시스템은 다른 속도로 구동되며, 제 1 이송시스템은 제 2 이송시스템에 비하여 낮은 속도로 작동된다. 공지의 직물기계에서, 형성 영역 상류의 이송시스템은 이송 롤로써 설계되고 만들어지며, 이는 마찰에 의해 실질적으로 미끄러짐 없이 그 원주상에 뻗어있는 트랙 내에서 사를 전진시킨다. 전진에 필요한 마찰력을 사에 적용하기 위하여, 루프 영역 내의 사의 횡단방향 휨을 위한 사 트랙과 이송 롤의 원주상에서 최소한의 루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이송시스템의 설계 및 구성은 사의 첫번째 드레딩에 있어서 사를 이송 롤의 트랙 내로 삽입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사 장력을 요구한다. 더욱이, 인접한 이송시스템 사이의 속도차와 그 드레딩 동안에 이송 롤에 의해 사 위에 가해지는 마찰은 사 장력에 실질적인 차이를 가져온다. 그러나, 인접한 프로세싱 스테이션의 이송시스템의 구동장치가 커플링될 때, 드레딩 동안에 이송시스템의 속도가 변하는 사의 드레딩은 단지 제한된 범위내에서만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문과 청구범위 제17항의 전문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직물기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기계의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높이 조절가능한 이송시스템의 추가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높이 조절가능한 이송시스템의 추가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5는 도 4의 높이 조절가능한 이송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기계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가이드 수단을 가진 이송 롤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도 8은 드레딩판을 가진 가이드 롤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 부호의 설명)
1. 권취 프레임 2. 크릴 프레임
3. 프로세스 프레임 4. 사
5. 작동자 통로 7. 이송 사 패키지
9. 권취장치 11. 전환 롤
12. 사 가이드 13. 제 1 이송시스템
18. 제 1 가열기 19. 냉각장치
20. 가연 유닛 21. 제 2 이송시스템
22. 제 2 가열기, 세트 가열기 23. 제 3 이송시스템
24. 마찰 롤 25. 사 패키지
26. 사 트래버스 장치 27. 디스크
28. 홈 29. 가이드 요소
30. 이송 롤 31. 사 가이드 홈, 사 가이드 트랙
32. 슬라이드 33. 가이드 레일
34. 작동위치 35. 제공위치
36. 슬라이드 요소 37. 케이블 라인
38. 구동장치 39. 풀리
40. 풀리 41. 제어 유닛
42. 케이블 43. 제어밸브
44. 실린더 45. 피스톤
46. 입구 47. 시일
48. 압축공기 연결부 49. 스톱
50. 스톱 51. 압력원
52. 슬라이드 53. 구동 샤프트
54. 모터 55. 피벗기구
56. 피벗요소 57. 피벗 차축
58. 로커 59. 전환위치
60. 미끄러짐위치 61. 피벗 조인트
62. 피벗 조인트 63. 라인
64. 플러그 65. 에너저 공급원 출구
66. 자기 피스톤 67. 흡입 건
68. 이송 샤프트 69. 압력 롤
70. 드레딩판 71. 맨드릴
72. 권사 스핀들 73. 가이드 수단
74. 로커 75. 피벗 베어링
76. 가이드 장치 77. 가이드 홈
78. 구동 샤프트 79. 가이드 요소
80. 가이드 요소 81. 사 가이드
82. 사 가이드 83. 슬라이드 슈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자가 이송시스템의 수직 조절을 수행하고 그리고 큰 육체적인 수고없이 사의 드레딩을 수행하도록 상기한 종류의 직물기계를 더 개선시키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시스템이 작동위치에 이를 때, 사가 이송시스템의 속도차에도 불구하고 사 장력에 커다란 변화없이 직물기계의 프로세싱 스테이션으로 부드럽게 드레딩될 수 있고, 그리고 가열장치 내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는 직물기계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를 가진 직물기계, 청구범위 제8항의 특징부를 가진 직물기계, 청구범위 제17항의 특징부를 가진 직물기계에 의해, 그리고 청구범위 제26항의 단계를 가진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추가의 개선은 종속항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직물기계는 그 위치에 관계없이 이송시스템이 일정한 안정성을 가지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송시스템이 이동될 때 사에 의해 이송시스템으로 전달되는 횡단력이 안내되는 슬라이드에 의해 안전하게 흡수되기 때문에, 사는 이미 제공위치에서의 이송시스템에서 전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요소로 구성되며, 이는 가이드 레일 내에서 뻗어있으며, 연결수단에 의해 구동장치와 커플링된다. 구동장치 사이의 연결수단은 작동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가이드 레일 내의 슬라이드 요소의 신뢰성 있는 안내와, 그리고 일정한 이동을 위한 힘의 전달이 보장되도록 설계되고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특별히 유익한 추가의 개선에서, 연결수단은 자기 피스톤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압축공기에 의해 실린더 내에서 안내되고, 그리고 자기력에 의해 슬라이드 요소에 연결된다. 구동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피스톤과 슬라이드 요소 사이의 직접 연결은 슬라이드 따라서 이송시스템을 매우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치시키고, 이는 작동위치에서 사의 전진을 안정화시킨다.
케이블 라인과 구동장치 사이의 결합은 유익한 방식으로 큰 중량과 긴 거리에 가교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 요소는 이송시스템와 함께 슬라이드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한다. 슬라이드 요소는 케이블 라인을 통해 구동장치로 연결된다. 케이블 라인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장하여, 구동장치의 작동시에 단지 하나의 힘이 슬라이드 요소에 이동방향으로 작용한다. 힘은 케이블 라인에 의해 전달되며, 이에 의해 횡단력에 의한 교란변수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장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에 의해 형성되고, 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압축공기에 의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이송시스템을 하부 제공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송시스템을 제공 및 작동위치 사이의 요구되는 위치로 유지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유지위치는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양 측면에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구현된다.
슬라이드 이동의 가능한 한 감도가 좋은 제어를 위하여, 청구범위 제4항의 추가의 개선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개선에서, 케이블 라인은 두개의 케이블로 구성되며, 이는 슬라이드 요소의 양 측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부 및 하부 풀리를 각각 지나서 실린더로 안내된다. 실린더는 가이드 레일과 평행하게 연장하여, 케이블이 실린더 끝에서 구비된 입구를 통하여 각 실린더 내로 각각 연장하고, 그리고 피스톤에 연결된다.
실린더를 제어하는 동안에 주요한 압력손실을 막기 위하여, 케이블이 관통하여 연장하는 실린더의 입구 단부에 시일을 배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청구범위 제6항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밸브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어 밸브는 피스톤이 그 방향과 속도 모두에서 제어가능하도록 설계되고 만들어져서, 슬라이드 요소의 이동이 그 이동방향과 그 이동속도에서 변할 수 있다. 이 개선은 이송시스템을 그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특히 유익하다. 이와 관련하여, 작동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이동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느리게 따라서 안전하게 작동위치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사를 가열장치로 삽입하는 것에 특히 유익하다. 이러한 직물기계의 경우에, 가열면이 사 재료의 용융점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가열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느리게 작동위치로 들어가는 것에 의하여 사가 가열면과 부적절하게 접촉하게 되어 용융하거나 타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 기계의 추가의, 특히 바람직한 개선에 있어서, 이송시스템과 함께 슬라이드는 피벗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요소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슬라이드는 작동위치에서 피벗수단에 의하여 미끄러짐 위치로부터 전환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피벗될 수 있다. 이 개선은 아래의 문제에 대한 추가의 해결책을 제공한다. 이 발명의 특별한 장점은 슬라이드의 전환 위치에서, 이송시스템이 그 최종 작동위치에 도달한다는 것에 놓여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단지 미끄러짐 위치와 전환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를 조절함으로써 사를 가열장치 내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벗 기구의 이동은 예를 들어, 스톱에 대한 이동에 의하거나 독립된 구동장치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더욱이, 이에 의해 사를 전진시키는데 필요한 이송시스템 상의 루프 마찰이 단지 전환 위치에서 달성되도록 사의 루프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9항의 특히 유익한 추가의 개선에 있어서, 푸시요소는 가이드 레일 상의 미끄러짐을 위하여 슬라이드 요소 옆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요소 및 푸시요소는 피벗기구에 의해 슬라이드에 연결된다. 피벗기구의 이동은 가이드 레일 상의 푸시요소와 슬라이드 요소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그 이동에서의 피벗기구에 대한 선형 구동장치에 의한 제어를 허용하여, 이송시스템의 수직 조절과 스윙 운동 양자가 단순한 조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가능한 한 소형의 구조의 유닛을 구현하기 위하여, 피벗기구를 단순한 푸시 크랭크로써 구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는 피벗 차축을 통해 푸시요소에 연결된다. 슬라이드 요소와 슬라이드 사이에서, 로커는 피벗 조인트에 의해 연장한다. 이것은 슬라이드 요소와 푸시요소 사이에서 상대적인 이동에 의한 슬라이드의 피벗 차축에 대한 회전을 허용한다.
푸시요소와 슬라이드 요소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구동되는 요소에 대하여 구동되지 않는 요소를 단순하게 막음으로써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경우에, 슬라이드 요소는 선형 구동장치에 연결되며,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푸시요소는 가이드 레일 상에서 저지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청구범위 제11항은 가이드 레일의 끝에서 스톱을 구비하며, 여기에 푸시요소가 작동위치에서 도달한다. 일단 푸시요소가 스톱에 대하여 놓이면, 선형의 구동장치에 의한 슬라이드 요소의 계속적인 구동은 로커 상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드의 전환을 가져온다. 이 경우에, 푸시요소가 가이드 레일 상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에서 슬라이드 요소보다 앞에 있을 때, 이것은 특히 유익하다. 이것은 슬라이드 요소의 푸시요소와의 접촉에 의한 전환 위치에서의 고정을 허용한다.
청구범위 제12항에 정의된 발명에 따른 직물기계의 추가의 개선은 특히 유익하다. 이 개선에서, 피벗기구는 슬라이드 요소와 푸시요소에 대하여 슬라이드의 전환 위치를 나타내고, 이 위치에서 전달된 힘은 가이드 레일 상의 푸시요소와 슬라이드 요소의 자동잠금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송시스템은 그 작동위치에서 고정적으로 잠금된다. 자동잠금은 슬라이드 요소가 제공위치로 이동하도록 선형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될 때만 해제된다.
본 발명의 직물기계에 있어서, 이송시스템은 이송시스템의 구동장치에 의하거나 또는 이에 의하지 아니하고 수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구동장치가 이송시스템과 함께 슬라이드에 장착되고, 그리고 작동위치로부터 제공위치로 이동하도록 적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추가의 개선은 청구범위 제13항에서 해결책을 제공하며, 여기서 구동장치가 작동위치에서 에너지 공급원 출구에 연결된다. 구동장치의 구성에 따라서, 기계적인 커플링 또는 전기적인 플러그 접촉을 통해 에너지원과 구동장치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14항에 따른 직물기계의 특히 유익한 추가의 개선에서, 이송시스템은 이송 롤로써 설계되고 만들어지며, 이는 그 원주상의 지그자그형 사 가이드 트랙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송 롤은 예를 들면, DE 196 52 620에서 공지되어 있다. 전진 속도에 도달하도록, 사는 이송 롤 주위에 일정한 정도로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미끄러짐 위치와 전환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를 조절함으로써 이송 롤 주위로의 루프 형성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환 위치는 큰 루프 형성을 요구하며, 반면에 미끄러짐 위치는 단지 약간의 루프 형성을 필요로 하며, 이는 제공위치에서 사의 드레딩만을 용이하게 해야한다.
이송 롤의 사용에 의해, 사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충분히 높을 때만 이송 롤은 미끄러짐 없이 사를 전진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마찰력은 이송 롤의 가이드 요소와 이송 롤 주위에 사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생성된다. 마찰력이 너무 작다면, 미끄러짐이 사와 이송 롤 사이에서 발생하며, 즉 사가 이송 롤의 접촉면에 대하여 미끄러질 것이다. 이 효과는 특히 사를 드레딩하기 위해 이제 사용되며, 그리고 아래의 문제에 추가의 해결책을 가져온다. 이를 위해, 사가 본 발명에 따른 직물기계의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가이드수단에 의해 드레딩될 때, 사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이송시스템에 의해 이송 롤의 원주상의 가이드 트랙에 접촉함이 없이 먼저 전진된다. 이 단계에서, 사는 일정 속도로 전진하며, 이는 인접한 이송시스템에 의해 결정된다. 사를 당기기 위해 이송시스템은 속도를 달리하여, 당기는 장력이 사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속도차 또는 당기는 장력은 가이드 수단이 작동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가이드 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천천히 형성된다. 이것은 인접한 이송시스템의 차동속도의 갑작스런 감속 또는 가속을 방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해결책은 또한 고정된 이송시스템에서 드레딩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특히 유익한 추가의 개선에서, 가이드 수단은 단지 그 드레딩위치에서 사를 전진시킨다. 가이드 수단의 작동위치에서, 사는 오직 이송 롤에 의해서 전진된다. 가이드 수단은 사와 접촉을 가지지 않는다. 이 개선은 사가 공정 진행 동안에 가이드 수단에 의한 어떠한 부가적인 사의 휨, 따라서 어떠한 루프 마찰도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가이드 수단의 이동에 의하여, 사는 이송 롤로 이동된다.
드레딩위치에서 가능한 한 사를 덜 휘게 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19항에 따른 추가의 개선은 특히 유익하다. 이 경우에, 드레딩판은 이송 롤과 거리를 두고 있는 관계로 배치되어, 이송 롤의 사 트랙, 따라서 가이드 요소를 덮는다. 따라서, 드레딩위치에서 사는 드레딩판의 표면상으로 안내된다.
특히 부드러운 사의 안내 뿐만아니라 특히 소형의 구성은 청구범위 제20항에 따른 본 발명의 특히 유익한 추가의 개선에 의해 실현된다. 따라서, 이송 롤과 관련하여, 드레딩판은 유사한 만곡부를 나타내며, 드레딩위치에서 사의 휨은 일정하며 그리고 전체 루프 형성범위에 대하여 특히 작게 만들어진다. 더하여, 이송 롤의 원주방향으로의 드레딩판의 이동은 사가 부드럽게 이송 롤의 가이드 트랙 내로 들어가게 한다.
드레딩위치에서 드레딩판 상의 사의 루프 형성의 정도 또는 작동위치에서 이송 롤 주위로의 사의 루프 형성의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드레딩판 상에 입구 사 가이드 및 출구 사 가이드를 장착하여, 이가 이송 롤의 원주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하는 것이 제안된다.
가이드 수단의 이동은 로커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된다. 이 로커는 그 한쪽 단부가 피벗 베어링에 놓이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기계의 특히 유익한 개선은 이송 롤의 원주와 동심을 가지는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는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 홈에서, 가이드 수단은 드레딩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연장한다.
이 개선에서, 가이드 수단의 이동은 독립적인 구동장치 또는 보조 사 드레딩 장치 양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과 실시예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기계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면은 부분적 자동인 가연 직물기계의 반쪽인 하나의 기계를 나타낸다. 기계의 반쪽 양자는 거울이 뒤집힌 형태로 서로 결합하기 때문에, 양 기계의 한쪽 반만이 도 1에서 도시되어 있고 그리고 이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다.
기계는 크릴 프레임(2)과 권취 프레임(1)으로 구성된다. 크릴 프레임(2)은 타이어(tiers)에서 서로의 위에 놓인 복수개의 이송 사 패키지(7)를 수용한다. 작동자/도핑 통로(5)는 크릴 프레임(2)과 권취 프레임(1) 사이에 형성된다. 기계 프레임의 위에는, 제 1 이송시스템(13), 가열기(18), 그리고 냉각장치(19)가 한 평면에서 뻗어있다. 가연 유닛(20)과 제 2 이송시스템(21)은 프로세스 프레임(3) 상에 지지된다. 프로세스 프레임(3)은 크릴 프레임(2)의 반대편의 권취 프레임(1) 측면에 배치된다. 권취 프레임(1)과 프로세스 프레임(3)은 서로 직접 맞닿는다. 프로세스 프레임(3)은 제 2 이송시스템(21)의 하류에서 제 2 가열기(22)를 수용한다. 권취 프레임(1)은 권취장치(9)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 복수개의 권취장치는 타이어에서 서로의 위에 놓인다. 권취장치의 각각은 사를 패키지 (25)에 권사한다. 사 패키지(25)는 스핀들 상에 배치되며, 이는 마찰 롤(24)을 통해 구동된다. 사 패키지의 상류에 있어서, 사 트래버스 장치(26)는 사의 경로 내에서 뻗어있다. 제 3 이송시스템(23)은 권취장치(9)의 상류에서 연장한다.
이 장치에서, 제 1 이송시스템(13)은 이송 사 패키지(7)로부터 사 가이드 (12)를 경유하여 사(4)를 끌어내고, 그리고 그것을 가연 형성영역 내로 전진시킨다. 가연 형성영역은 가연 유닛(20)과 이송시스템(13)에 의해 형성된다. 가연 형성영역 내에서, 가열기(18)와 냉각장치(19)는 한 평면에서 뻗어있다. 가연 형성영역의 출구에서, 제 2 이송시스템(21)은 가연 형성영역으로부터 사를 끌어당기며, 그리고 제 2 가열기(22) 내로 그것을 전진시키도록 배치된다. 제 1 이송시스템(13)과 제 2 이송시스템(21)은 속도차를 두고 작동되어, 사가 가연 형성영역 내에서 동시에 당겨진다. 제 2 가열기(22)로부터, 제 3 이송시스템(23)은 사(4)를 끌어당기며 그리고 그것을 권취장치로 전진시킨다. 그런 다음, 권취장치(9)에서 사는 패키지(25)로 권사된다. 패키지(25)가 완전히 권사된 후에, 도퍼가 가연 직물기계 상에서 패키지 도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완성된 패키지는 권취장치(9)로부터 분리되고, 그리고 새로운 빈 튜브는 삽입된다. 이 시간 동안에, 흡입시스템은 사를 취하며 그리고 그것을 폐기용기로 전진시킨다.
제 2 가열기(22)에서 사의 후처리를 위하여, 제 2 이송시스템(21)과 가열기(22)의 입구 사이에 추가의 이송시스템을 배치하는 것은 또한 장점이 있다. 이 추가의 이송시스템의 경우에, 제 2 가열기(22)의 상류의 이송시스템과 제 3 이송시스템(23) 사이의 속도차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송시스템(21,23)은 기계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이송시스템(21,23)은 예를 들면, 샤프트와 이와 접촉하는 압력 롤 또는 압렵 벨트를 가진 닙-타입(nip-type) 이송시스템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 1 이송시스템 (13)은 DE 196 52 620에서 공지된 것과 같이 이송 롤(30)에 의해 형성된다. 이송 롤(30)은 모터(도시 생략)를 가지고 높이 조절가능한 슬라이드(32)에 장착된다. 이송시스템(13)이 크릴 프레임(2) 위에 작동자가 닿을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시된 작동위치(34)와 작동위치 아래에 배치된 제공위치(35)(점선으로 도시)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구동 롤(30)을 슬라이드(32)와 함께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32)는 슬라이드 요소(36)에 연결된다. 슬라이드 요소(36)는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안내된다. 케이블 라인(37)은 슬라이드 요소(36)의 이동 평면에서 뻗어있다. 케이블 라인(37)은 슬라이드 요소를 구동장치 (38)로 연결한다. 구동장치(38)는 제어 유닛(41)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요소(36) 따라서, 슬라이드(32)가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이송시스템(13)과 함께 이동한다. 케이블 라인(37)은 예를 들면, 케이블(4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그 끝이 슬라이드 요소(36)에 부착된다. 가이드 레일(33)의 끝에서, 케이블(42)은 풀리(39,40)에 대하여 휘어지고, 그리고 구동장치(38)에 연결된다. 구동장치(38)는 가이드 레일과 평행한 방향으로 케이블을 이동시키고, 슬라이드 요소(36)가 슬라이드(32) 및 이송시스템(13)과 함께 옮겨진다. 구동장치(38)는 제어 유닛(41)을 통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케이블 라인을 작동하기 위하여 전기식, 전기 기계식, 또는 기압식 구동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사(4)를 드레딩하기 위하여, 사(4)는 수동 흡입 건에 의해 취해진다. 작동자는 사를 개별적인 프로세싱 스테이션 내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제 1 이송시스템(13)은 그 하부 제공위치(35)로 안내된다. 그 제공위치에서, 이송시스템(13)은 더 이상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4)는 흡입속도로 이송 롤(30)의 이송 면을 가로질러 미끄러진다. 이송 롤(30)이 사용될 때, 이는 사를 원주면 상에서 지그자그 형태로 안내하고, 사는 이송 롤(30)의 원주상에서 가이드 요소에 대하여 미끄러진다. 사를 드레딩한 후에, 이송시스템(13)은 구동장치(38)를 작동함으로써 그 제공위치(35)로부터 그 작동위치(34)로 이동된다. 작동위치(34)에서, 이송 롤(30)의 구동장치는 작동되어, 사(4)가 이송시스템(13)에 의해 전진된다.
그 프레임의 레이아웃에 관해서, 도 1의 직물기계는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크릴 프레임(2), 권취 프레임(1), 그리고 프로세스 프레임(3)은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스 프레임과 권취 프레임(1) 사이에 추가의 작동자 통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패키지 도핑이 기계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기계를 완전히 자동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이 작동위치와 제공위치 사이의 높이차를 극복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 2 이송시스템(21) 및/또는 제 3 이송시스템(23)을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접근할 수 있는 영역으로부터 사를 드레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동자가 쉽게 닿을 수 있는 영역으로 이동을 위한 각 이송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제 2 및/또는 제 3 이송시스템을 마찬가지로 이송 롤로써 만드는 것이 유익하다.
아래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명료함을 위하여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는 동일한 번호에 의해 표시된다.
도 2는 이동가능한 이송시스템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는 도 1의 직물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송시스템은 슬라이드(32)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이송 롤(30)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가 이송 롤(30)을 구동한다. 전기 모터는 마찬가지로 슬라이드(32)에 장착되며, 그리고 예를 들어, 에너지 체인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위치의 전기 모터를 플러그 접촉을 통해 에너지 공급원 출구로 연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슬라이드(32)는 슬라이드 요소(36)에 연결된다. 슬라이드 요소(36)는 윤곽진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안내된다. 그 단부에서, 가이드 레일(33)은 스톱(49,50)을 각각 가진다. 스톱(49)과 스톱(50)은 슬라이드 요소(36)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며, 그리고 슬라이드 요소에 의해 접촉될 때, 그것은 제공위치와 작동위치를 형성한다. 슬라이드 요소(36)는 케이블 라인(37)을 통해 구동장치(38)에 연결된다. 구동장치 (38)는 실린더-피스톤 유닛으로 만들어지며, 실린더(44)가 가이드 레일(3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뻗어있다. 피스톤(45)은 실린더 내에 배치된다. 그 양 단부에서, 피스톤(45)은 케이블 라인(37)의 케이블(42.1,42.2)에 각각 단단하게 연결된다. 케이블(42.1)은 실린더(44)의 끝에 형성된 입구(46.1)를 관통하여 실린더(44)로부터 바깥으로 뻗어있으며, 그리고 풀리(40)에 대하여 휘어진다. 풀리(40)는 가이드 레일(33)의 한 끝에 배치된다. 케이블(42.1)의 휘어진 끝은 슬라이드 요소(36)에 부착된다.
피스톤(45)의 대향하는 면의 끝에 부착된 케이블(42.2)은 실린더(44)의 대향하는 끝에서 구비된 입구(46.2)를 관통하여 바깥으로 뻗어있으며, 그리고 그것은 단부 영역에 배치된 풀리(39)에 대하여 휘어진다. 케이블(42.2)의 다른 끝은 슬라이드 요소(36)에 부착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요소(36)와 피스톤(45)은 장력이 주어진 케이블(42.1,42.2)을 통해 연결된다.
그 단부 영역의 각각에서, 실린더(44)는 압축공기 연결부(48.1,48.2)로 구성된다. 압축공기 연결부(48.1,48.2)는 라인을 통해 제어밸브(43)로 연결된다. 제어밸브(43)는 압축공기의 공급원(51)에 연결되어, 제어밸브(43)를 작동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한 측면 또는 동시에 양 측면상에 압축공기로 피스톤(45)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린더(44)의 상부 챔버가 압축공기를 수용할 때, 제어밸브(43)는 왼쪽 스위칭위치로 이동될 것이다. 이 스위칭위치에서, 피스톤(45)은 입구(46.2)를 향한 실린더(44)에서의 압력구배에 의해 이동한다. 따라서, 케이블 라인(37)으로의 전달에 의해, 슬라이드 요소(36)는 스톱(49)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주요한 압력손실을 막기 위해, 입구(46.1)는 시일(47.1)을 구비하며, 이를 관통하여 케이블(42.1)이 연장한다. 이에 상응하여, 입구(46.2)는 시일(47.2)을 포함하며, 이를 관통하여 케이블(42.2)이 연장한다.
그러나, 피스톤은 자력 유지부를 통해 실린더 원주상의 링부분을 제어하는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 케이블(42.1,42.2)을 링부분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어떠한 압축공기의 손실도 나타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유익하게는, 도 2에 도시한 케이블 라인(37)에 복수개의 전환 풀리가 부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케이블(42.1,42.2)을 연속된 케이블의 부분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이동가능한 이송시스템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장치는 슬라이드 요소(36)와 구동장치(38) 사이에 연결수단이 설계되어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도 2에 나타낸 이송시스템과 다르다. 슬라이드(32)는 윤곽진 가이드 레일(33)에서 슬라이드 요소(36)를 통해 안내된다. 기압식 구동장치(38)는 가이드 레일(33)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구동장치(38)는 실린더-피스톤 유닛으로써 설계되고 만들어지며, 실린더(44)는 가이드 레일(33)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뻗어있다. 자기 피스톤(66)은 실린더 내에서 뻗어있다. 실린더(44)의 바깥면에서, 슬라이드 요소(36)는 자화할 수 있는 슬라이드 슈(83)를 장착한다. 슬라이드 슈(83)는 자기력에 의해 실린더(44)의 내부에 있는 자기 피스톤(66)에 연결되어, 자기 피스톤 (66)의 이동이 슬라이드 슈(83)를 실린더 벽을 따라 미끄러지게 하고 따라서, 슬라이드 요소(36)를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미끄러지게 한다.
자기 피스톤(66)의 이동은 제어밸브(43)을 통해 제어된다. 그 한 쪽에서, 제어밸브는 압력원(51)에, 그리고 다른 한 쪽에서 실린더(44)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제어밸브(43)를 작동함으로써, 선택적으로 한 쪽 또는 동시에 양 쪽에서 자기 피스톤(66)을 압축공기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이동가능한 이송시스템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예를 들어 도 1의 직물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a는 전환 위치로 슬라이드가 연장한 상태에서 작동위치에 있는 이송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b는 미끄러짐 위치로 슬라이드가 돌아온 상태인 이송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작동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미끄러짐 위치에서의 이송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다면, 아래의 설명은 도 4a, 4b, 및 도 5에 적용된다.
슬라이드(52)는 이송 롤(30)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다. 슬라이드(52)는 피벗기구(55)를 통해 슬라이드 요소(36) 및 푸시요소(56)에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피벗기구(55)는 피벗 차축(57)으로 구성되며, 이는 슬라이드(52)를 피벗가능하도록 푸시로드(56)와 연결한다. 슬라이드 요소(36)와 슬라이드(52) 사이에서, 로커 암(52)은 구비되고, 이는 그 단부 영역에서 피벗 조인트(61)을 통해 슬라이드(52)에 그리고 피벗 조인트(62)를 통해 슬라이드 요소(36)에 연결된다. 슬라이드 요소(36)와 푸시요소(56)는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이 장치에서, 피벗 조인트(61)는 슬라이드 요소(36)와 푸시로드(56) 사이에서 슬라이드(52) 상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요소 (36)와 푸시요소(56)는 차례로 가이드 레일(33)에서 뻗어있으며, 슬라이드 요소 (36)가 케이블 라인(37)을 통해 구동장치(38)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 라인(37)과 구동장치(38)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과 같이 설계되고 만들어진다.
가이드 레일(33)을 따른 슬라이드(52)의 안내는 도 5에서 도시된 위치에서 일어난다. 이 미끄러짐 위치의 경우에, 푸시요소(56)와 슬라이드 요소(36)는 피벗 조인트(61)가 슬라이드 요소(36)와 푸시요소(56)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33)의 횡단면 내에서 슬라이드(52) 상에 위치되는 동안에는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놓여 있는다. 이 위치에서, 슬라이드 요소(36)는 케이블 라인(37)을 통해 이동된다. 이송 롤(30)과 슬라이드(52) 중량의 힘은 피벗기구의 구성요소를 통해 푸시요소(56) 상에 미는 힘을 가하여, 푸시요소(56)가 슬라이드 요소(36)와 같은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 레일(33)의 단부는 스톱(49)을 장착하며, 이는 작동위치를 고정한다. 미끄러짐 이동이 계속됨에 따라, 푸시요소(56)는 스톱(49)과 접촉한다. 이것은 푸시요소(56)의 추가의 이동을 막는다. 그러나, 선형의 구동장치와 케이블 라인(37)은 스톱(49)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요소(36)를 계속 이동시킨다. 이것은 가이드 레일(33)을 따른 푸시요소(56)와 슬라이드 요소(36)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발생시킨다. 상대적인 이동은 로커(58)가 그 미끄러짐 위치(60)로부터 밖으로 슬라이드를 피벗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와 관련하여, 피벗 아암 (58)의 길이는 계속적인 이동이 슬라이드 요소(36)의 푸시요소(56)와의 접촉을 가져올 수 있는 치수를 가진다. 결과로써, 이송시스템 또는 슬라이드(52)는 전환 위치에 도달한다. 이 경우에, 피벗 조인트(61)는 슬라이드 요소와 푸시요소 아래에서 뻗어있는 가이드 레일의 횡단면에서 슬라이드(52)와 로커(58) 사이에 위치된다. 피벗기구의 이러한 구성은 슬라이드 요소에 작용하는 중량 힘이 스톱(49)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유지력을 생성하고,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푸시요소와 슬라이드 요소의 자동 잠금을 가져오도록 한다.
또한 도 4a는 직물기계 내의 사(4)의 경로와 가열기(18)의 입구를 도시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4)는 이송시스템의 전환 위치(59)에서만 가열기(18)로 삽입된다. 미끄러짐 위치(60)의 경우에, 사(4)는 작동위치에 도달하였다하더라도 여전히 가열기의 외부에 있다. 이에 의하여 가열기(18)로부터 사(4)의 신속한 제거와 부드러운 삽입이 이루어진다.
도 5에서, 이송 롤은 디스크(27)로써 설계되고 만들어진다. 그 원주상에서, 디스크(27)는 U자형 홈(28)을 구비한다. U자형 홈(28)에서, 복수개의 가이드 요소(80)는 홈의 바닥에 번갈아가며 배치되어, 이는 디스크(27)의 원주에 대하여 뻗는 지그자그 사 가이드 트랙(31)을 형성한다. 이송 롤은 구동 샤프트(53)에 단단하게 연결되며, 이는 전기 모터(54)에 의해 구동된다. 모터(54)는 단단한 라인(63)으로 구성되며, 그 자유단이 플러그(64)를 장착한다. 작동위치에서, 플러그(64)는 전기 에너지 공급원 출구(65)로 연결될 수 있다. 이 플러그 연결부는 모터(54)를 전류원으로 연결한다. 구동 샤프트(53)는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이송 롤(30)이 가이드 트랙(31) 내로 삽입된 사(4)를 전진시킨다. 이송 롤(30)의 가이드 요소(29)의 덮개는 사(4)에 의해 발생한 마찰에 의하여 사가 디스크(27)의 원주면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되고 만들어진다. 따라서, 사(4)는 이송 롤(30)의 속도에 의해 소정의 속도를 가진다.
작동위치에서 이송시스템을 피벗시키기 위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피벗기구는 단순한 예시이다. 기본적으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어떠한 피벗기구도 슬라이드와 슬라이드 요소 사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피벗 조인트에서 슬라이드와 슬라이드 요소에 연결되는 로커는 슬라이드의 회전운동을 가져온다. 이 범위에서, 로커는 피벗 조인트를 지나 뻗어있는 돌출부에 연결되며, 이는 스톱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로커가 미끄러짐 위치에 변화를 가져온다. 그러나, 슬라이드 또는 이송시스템을 전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그 자체의 구동장치를 가진 피벗기구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6은 직물기계의 추가의 실시예의 프로세싱 스테이션을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a는 사의 드레딩 동안의 프로세싱 스테이션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6b는 작동 중의 프로세싱 스테이션을 도시한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다면, 아래의 설명은 도 6a 및 도 6b에 적용된다.
직물기계의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이송 사 패키지(7)는 만드릴(71) 상에서 크릴된다. 제 1 이송시스템(13)은 사(4)를 이송 사 패키지(7)로부터 끌어낸다. 이를 위해, 사(4)는 이송 사 패키지(7)로부터 그 위의 사 가이드(12)를 통하여 전진한다. 작동위치에서의 이송시스템(13)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가 수직방향의 조절에 의해 사를 드레딩하는 것 및 수직방향의 조절없이 사를 드레딩하는 것을 허용하므로, 이송시스템(13)을 수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송시스템(13)은 사를 가연 형성영역 내로 전진시킨다. 가연 형성영역은 가열기 (18), 그 하류의 사 경로에 배치된 냉각 장치(19), 그리고 가연 유닛(20)으로 구성된다. 가연 형성영역의 끝에서, 제 2 이송시스템(21)은 배치된다. 제 1 이송시스템 (13)과 관련하여, 제 2 이송시스템(21)은 더 높은 원주속도로 구동되어, 사(4)가 가연 형성영역에서 당겨진다. 제 2 이송시스템(21)은 이송 샤프트(68)로써 설계되고 만들어지며, 압력 롤(69)이 이 이송 샤프트(68)에 원주상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 사(4)는 구동되는 이송 샤프트(68)와 이를 따르는 압력 롤(69) 사이에서 물려지고 전진된다.
사는 제 2 이송시스템(21)으로부터 권취 장치로 전진한다. 권취장치는 회전가능한 권사 스핀들(72)을 포함하며, 이 위에 패키지(25)가 권사된다. 패키지(25)는 그와 원주상으로 접촉하는 구동 롤(24)에 의해 구동된다. 패키지(25) 상류의 사 경로에서, 사 트래버스 장치(26)는 배치된다. 트래버스 장치(26)는 진동하는 사 가이드로 구성되며, 이는 그 전진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패키지 길이방향에 대해 감기도록 패키지가 권사된다.
제 1 이송시스템(13)은 이송 롤(30)로써 설계되고 만들어진다. 이송 롤(30)은 DE 196 52 620 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 원주상에서, 이송 롤(30)은 복수개의 가이드 요소(79,80)(도 8a에 도시)로 구성되며, 이는 실질적으로 지그자그 사 가이드 트랙(31)을 형성한다. 사(4)는 이송 롤(30)의 원주상의 이 트랙에서 전진한다. 이송 롤(30)은 이송 롤(30)의 원주와 그 가이드 요소(79,80)의 둘레에 사의 루프 형성의 결과로써 사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구동된다. 이 마찰력의 결과로써, 사는 이송 롤의 표면 상에서 미끄러짐 없이 전진한다. 이송 롤(30)의 원주상에서, 회전 드레딩판(70)은 가이드 요소와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드레딩판(70)은 드레딩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사 가이드 트랙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사가 전진하는 평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6a는 직물기계의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사(4)의 드레딩을 도시한다. 이 공정에서, 사(4)는 흡입 건(67)에 의해 취해진다. 흡입 건(67)으로부터, 사(4)는 기압식으로 폐기용기(도시생략)로 전진된다. 흡입 건(67)은 작동자에 의해 안내된다. 이렇게 함에 있어, 사(4)는 프로세싱 스테이션의 개별적인 유닛 내로 연속적으로 삽입된다. 도 6a는 사가 제 2 이송시스템(21)에 까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단계에서, 이송 롤(30)은 드레딩판(70)에 의해 덮혀서 사가 이송 롤(30)의 사 가이드 트랙에 들어가지 않는다. 드레딩판(70)은 드레딩위치에 있다. 이에 의해, 사는 이송시스템(21)에 의해 이송 사 패키지(7)로부터 당겨지며, 그리고 드레딩판 (70)의 표면을 따라 안내된다.
사(4)를 이송 롤(30)의 가이드 트랙 내로 삽입하기 위하여, 드레딩판은 화살표방향으로 전진하는 사의 방향과 반대로 전환된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이송 롤(30) 원주상의 루프 영역은 드레딩판(70)의 전진이동에 따라 이로부터 분리되며, 그리고 이송 롤(30)과 맞물리게 된다. 사(4)는 완전한 루프가 이뤄질 때만 이송시스템(13)의 낮은속도를 향해 늦추어진다. 이송 롤(30) 주위의 사(4)의 루프가 부적절할 때, 사는 이송 롤(30)의 접촉면 위로 미끄러질 것이다. 따라서, 점차적인 감속이 진행되며, 그리고 이에의해 사에서 당기는 장력의 점진적인 형성이 이루어진다.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싱 스테이션이 작동상태에 있다. 작동위치에서, 드레딩판(70)은 사 경로의 바깥에 있게 된다. 사(4)는 이제 이송 롤(30)에 의해 이송 사 패키지(7)로부터 당겨지며, 그리고 가연 형성영역 내로 전진된다. 가연 형성영역에서, 가연 유닛(20)은 사에 가연을 부여하며, 이는 이송시스템(13)으로 복귀한다. 결과로써, 사의 가연은 가열기(18)와 후속하는 냉각장치(19)에서 세팅된다. 사(4)는 가연 유닛(20)을 실질적으로 가연되지 않은 상태로 나온다. 실질적으로 더 높은 속도로 작동하는 이송시스템(21)은 사(4)를 권취장치로 전진시킨다. 이 권취장치에서, 사(4)는 패키지에 권사된다.
도 7은 가이드 수단을 가진 이송 롤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예를 들면 도 1 또는 도 6의 직물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송 롤(30)의 바로 옆에서, 피벗 베어링(75)은 이송 롤(30)의 축방향 연장부에서 배치되어 있다. 피벗 베어링(74)은 로커(74)를 장착한다. 로커(74)는 이송 롤(30)의 반경 보다 큰 길이를 가진다. 로커(74)의 끝에서, 가이드 수단(73)은 전진하는 사의 평면을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이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수단(73)은 로드 또는 롤로써 설계되고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a는 드레딩위치에서 가이드 수단을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가이드 수단(73)은 작동상태에서 사가 그 둘레에 루프를 형성하는 이송 롤(30)의 원주 영역 내로 회전된다. 따라서 드레딩 동안에, 사(4)를 이송 롤(30)과 맞물림하지 않게 가이드 수단(73) 위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b는 가이드 수단(73)이 로커(74)에 의해 작동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가이드 수단(73)은 사 경로 밖으로 이동되어, 사(4)가 이송 롤(30)의 가이드 트랙(31)으로 들어간다. 이 위치에서, 사(4)는 구동되는 이송 롤(30)에 의해 전진된다.
드레딩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이동하도록 전진하는 사의 방향 또는 이와 반대방향으로 로커(74)를 회전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로커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도 8은 드레딩판을 가진 이송 롤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예를 들면 도 1 또는 도 6의 직물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a는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8b 및 도 8c는 이송 롤의 측면도 각각이다. 달리 언급이 없다면, 아래의 설명은 도 8a 내지 도 8c에 적용된다.
예시의 경우에, 이송 롤(30)은 디스크(27)로써 설계되고 만들어지며, 이는 구동 샤프트(78)의 끝에 장착된다. 구동 샤프트(78)는 구동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된다. 디스크(27)의 원주는 U자형 홈(28)으로 구성된다. U자형 홈(28)에서, 가이드 요소(79,80)는 거리를 두고 엇갈리면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어, 지그자그 사 가이드 트랙(31)이 홈 바닥상에 형성된다. 이송 롤(30)에 의한 그 전진 동안에, 사(4)는 홈 바닥에서 안내된다. 홈 바닥상의 루프에 의한 마찰 이외에, 루프영역의 가이드 요소(79,80)와 사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난다.
가이드 장치(76)는 이송 롤(30)의 측면에서 뻗어 있으며, 이는 이송 롤(30)의 원주와 동심을 가진 가이드 홈(77)으로 구성된다. 가이드 홈(77)은 이송 롤(30)보다 큰 직경으로 만들어진다. 드레딩판(70)은 가이드 홈(77)에서 뻗어있다. 드레딩판(70)은 드레딩 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가이드 장치에 의해 가이드 홈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용된다. 드레딩판(70)은 가이드 장치(76)로부터 돌출하며 그리고 이송 롤의 홈(28)을 덮는다. 이송 롤(3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드레딩판(70)은 그 끝에서 입구 사 가이드(82)와 출구 사 가이드(81) 각각을 장착한다. 사 가이드(81,82)는 단순한 로드 또는 단순한 롤로써 설계되고 만들어진다.
도 8a 및 도 8b는 드레딩위치에서의 드레딩판(70)을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드레딩판(70)은 이송 롤(30) 원주상의 사의 전체 루프영역 위로 뻗어있다. 전진하는 사(4)는 드레딩판(70)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입구 사 가이드(82)에 의해 안내된다. 이송 롤(30)과 분리되어진 측상에서, 사는 출구 사 가이드(81)와 드레딩판 (70)의 표면 사이에서 안내된다. 드레딩판(70)의 이 위치에서, 이송 롤은 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사(4)는 드레딩판(70)의 표면상에서 안내된다. 이송 롤(30)에 의해 사를 전진시키기 위해, 가이드 장치(76)는 드레딩판(70)을 사가 전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도 8c에 도시)인 작동위치로 전환한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사(4)는 먼저 이송 롤 상으로 그리고 홈(28) 또는 가이드 트랙(31)으로 들어갈 것이다. 입구 사 가이드(82)는 사(4)와 접촉하지 않게 되며, 그리고 이송 롤의 원주와 평행한 드레딩판(70)과 함께 회전된다. 일단 드레딩판(70)이 이송 롤의 사 루프 영역 밖으로 회전되면 사(4)는 완전히 가이드 트랙(31)으로 들어간다. 이제 사(4)는 이송 롤(30)에 의해 전진된다. 이송 롤(30) 주위에 사의 일정 루프를 유지하기 위하여, 출구 사 가이드(81)는 접촉영역의 드레딩판(70)을 보다 큰 루프 형성방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4)를 안내한다. 이에 의해, 이송 롤(30) 주위에 사의 루프를 유익하게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수단 또는 드레딩판의 이동은 독립된 구동장치 또는 보조장치 예를 들면, 이송시스템의 수직 조절의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동 작업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직물기계의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부드러운 드레딩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드레딩위치로부터 가이드 수단의 회전은 드레딩 동안에 사의 장력의 실질적인 급격한 상승의 방지하는데 충분하다.
이 지점에서, 본 발명이 드레딩위치와 작동위치 양자에서 접촉에 의해 사를 안내하는 이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26)

  1.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각각의 경우에 사(4)가 복수개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이송시스템(13,21,23)에 의해 전진되며, 적어도 하나의 이송시스템(13)이 제공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구동장치(38)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이동가능한 슬라이드(32,52)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열가소성 사를 짜는 직물기계에 있어서,
    슬라이드(32,52)는 슬라이드 요소(36)에 의해 가이드 레일(33) 상에서 안내되며, 그리고 슬라이드 요소(36)는 가이드 수단(37,66)을 통해 가이드 레일(33)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동장치(38)와 커플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열가소성 사를 짜는 직물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자기 피스톤(66)이며, 이 자기 피스톤이 압축공기에 의해 실린더(44) 내에서 안내되며, 그리고 자기력에 의해 슬라이드 요소(36)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케이블 라인(37)이며, 구동장치(38)는 실린더(44)와 실린더(44) 내에서 뻗어있는 피스톤(45)으로 구성되며, 피스톤(45)은 케이블 라인 (37)에 연결되며, 그리고 실린더 내의 피스톤(45)은 슬라이드(32)를 이동시키도록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케이블 라인(37)은 두개의 케이블(42.1,42.2)로 구성되며, 이 케이블이 상부 풀리(40)와 하부 풀리(39) 위로 각각 안내되며, 그리고 한 끝은 피스톤(45)에 그리고 반대편 끝은 슬라이드 요소(36)에 각각 부착되며, 그리고 실린더(44)는 각 단부에서 입구(46)를 가지며, 이 입구를 관통하여 케이블(42)의 하나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실린더의 입구(46)는 시일(47)을 수용하며, 이 시일을 관통하여 케이블(42)이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요소(36)를 이동시키기 위해 피스톤(45,66)은 그 이동방향과 그 이동속도가 제어밸브(4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수단(55)은 슬라이드(52)와 슬라이드 요소(36) 사이에서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며, 그리고 작동위치에서 슬라이드(52)는 피벗수단(55)에 의해 미끄러짐 위치(60)로부터 전환 위치 (59)로, 그리고 그 반대로 피벗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8.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각각의 경우에 사(4)가 복수개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이송시스템(13,21,23)에 의해 전진되며, 적어도 하나의 이송시스템(13)이 제공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구동장치(38)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적용되어 있는 이동가능한 슬라이드(52) 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열가소성 사를 짜는 직물기계에 있어서,
    피벗수단(55)은 슬라이드(52)와 슬라이드 요소(36) 사이에서 상대적인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며, 슬라이드(52)가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슬라이드 요소(36)에 의해 안내되며, 그리고 작동위치에서 슬라이드(52)는 피벗수단에 의해 미끄러짐 위치(60)로부터 전환 위치(59)로, 그리고 그 반대로 피벗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열가소성 사를 짜는 직물기계.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피벗수단은 피벗기구로써 설계되고 만들어지며, 슬라이드 요소(36)와 푸시요소(56)는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차례로 미끄러지도록 장착되며, 푸시요소(56)와 슬라이드 요소(36)는 피벗기구(55)에 의해 슬라이드(52)에 연결되며, 그리고 피벗기구(55)는 슬라이드(52)가 미끄러짐 위치(60)로부터 전환 위치(59)로, 그리고 그 반대로 피벗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드 요소(36)와 푸시요소(56) 사이에서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피벗기구(55)는 피벗 차축(57)과 로커(58)로 구성되며, 슬라이드(52)가 피벗 차축(57)에 의해 푸시요소(56)에, 그리고 로커(58)에 의해 슬라이드 요소(36)에 연결되며, 그리고 로커(58)가 그 단부 영역에서 피벗 조인트(61,62)를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푸시요소(56)는 가이드 레일(33) 끝에서의 작동위치에서 스톱(49)에 대하도록 이동할 수 있으며, 그리고 구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요소(36)가 푸시요소(56)와 접촉할 때 슬라이드(52)의 전환 위치(59)에 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기구(55)는 전환 위치(59)에서 슬라이드(52)가 슬라이드 요소(36)와 푸시요소(56)에 의해 자동 잠금상태로 가이드 레일 상에 유지되도록 설계되고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13.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시스템(30)은 슬라이드(52) 상에 구동장치(54)를 가지고 배치되며, 구동장치(54)가 작동위치에서 에너지 공급원 출구(6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시스템은 이송 롤(30)이며 지그자그 사 가이드 트랙(31)이 그 원주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작동위치에서 이송 롤(30)은 가열기(18) 입구의 바로 상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이송 롤(30)은 슬라이드(52) 상에서 사 경로에 대하여 배치되어 이송 롤이 전환 위치에서 사의 루프를 나타내며, 이 루프가 미끄러짐 위치에서의 사의 루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70,73)은 사의 루프를 변경시키도록 이송 롤(30)에 결합되며, 그리고 가이드 수단(70,73)은 드레딩 위치에서 사가 이송 롤(30)의 원주상의 가이드 트랙(31)과 접촉함이 없이 전진되며, 그리고 작동위치에서 이송 롤(30)의 원주상의 가이드 트랙(31)과 접촉하여 전진되는 방식으로 이송 롤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17.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각각의 경우에, 사(4)를 전진시키고 당기는 복수개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이송시스템(13,21)이 프로세싱 스테이션에 놓인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송시스템(13)이 구동되는 이송 롤(30)이며, 이 이송 롤은 사(4)에 의해 그 원주상에 부분적으로 루프가 형성되며, 그리고 그 원주상의 가이드 트랙(31)에서 마찰에 의해 사(4)를 전진시키며, 가이드 트랙이 복수개의 가이드 요소(79,80)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고 사(4)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 수단(70,73)이 이송 롤(30) 부근에 놓이며, 가이드 수단(70,73)이 드레딩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송 롤(30) 주위의 사 루프를 변경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는 복수개의 열가소성 사를 짜는 직물기계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70,73)은 드레딩 위치에서 사가 이송 롤(30)의 원주상의 사 가이드 트랙(31)과 접촉함이 없이, 그리고 작동위치에서 이송 롤(30)의 원주상의 가이드 트랙(31)과 접촉하여 전진되는 방식으로 이송 롤(3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열가소성 사를 짜는 직물기계.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드레딩 위치에서 가이드 수단(70,73)은 사와 이송 롤의 원주 사이에 배치되어, 사가 가이드 요소(79,80)와 접촉함이 없이 전진되며, 그리고 드레딩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가이드 수단(70,73)을 이동시킴으로써 사는 가이드 수단(70,73)에 의해 이송 롤(30)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19. 제 18 항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은 이송 롤(30) 원주상의 사 가이드 트랙(31)과 가이드 요소(79,80)를 덮는 드레딩판(70)이며, 드레딩위치에서 드레딩판이 사(4)에 의해 루프가 형성되는 이송 롤(30)의 원주 영역 위에 실질적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20. 제 19 항에 있어서, 드레딩판(70)은 이송 롤(30)의 원주와 균형을 이루며, 그리고 드레딩판(70)은 이송 롤(30)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드레딩판(70)은 이송 롤(30)의 원주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입구 사 가이드(82)와 출구 사 가이드(8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입구 사 가이드(82) 및/또는 출구 사 가이드(81)는 드레딩판 (70)의 드레딩 위치에서 사(4)가 루프 영역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드레딩판 (70) 표면상으로 전진되도록 설계되고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입구 사 가이드(82) 및/또는 출구 사 가이드 (81)는 드레딩판(70)의 작동위치에서 사(4)가 루프 영역 내에서 사 가이드 트랙 (31) 내의 이송 롤(30)의 원주상으로 전진되도록 설계되고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24.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73)은 로커(74)에 연결되며, 이 로커가 이송 롤(30)의 축방향 연장부에 배치된 피벗 베어링(75)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25. 제 18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는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70)은 이송 롤 (30)의 원주와 동심을 가진 가이드 홈(77)에서 연장하도록 적용되며 그리고 이송 롤의 측면 옆에서 연장한 가이드 장치(76)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
  26. 사가 속도차를 두고 구동되는 적어도 두개의 이송시스템에 의해 당겨지도록 전진되며, 낮은 속도의 이송시스템이 구동되는 이송 롤이며, 이 이송 롤은 그 원주상에서 사에 의해 루프를 형성하며, 그리고 복수개의 가이드 요소에 의해 원주상에 형성된 사 가이드 트랙에서 마찰에 의해 사를 전진시키는 직물기계의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사를 드레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는 이송 롤의 가이드 요소와 실질적인 접촉없이 빠른 속도로 작동하는 이송시스템에 의해 전진되며, 그리고 이송 롤과 맞물리기 위해 가이드 수단은 사가 사 가이드 트랙으로 들어가도록 이동되어서, 이송 롤에 의해 사에 작용하는 마찰이 가이드 수단의 점진적인 이동과 함께 미끄럼없이 전진할 때까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기계의 프로세싱 스테이션에서 사를 드레딩하는 방법.
KR1020007006216A 1998-10-12 1999-10-01 직물기계 KR20010032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6948 1998-10-12
DE19846948.9 1998-10-12
DE19849392 1998-10-27
DE19849392.4 1998-10-27
PCT/EP1999/007289 WO2000022211A1 (de) 1998-10-12 1999-10-01 Texturier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886A true KR20010032886A (ko) 2001-04-25

Family

ID=2604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216A KR20010032886A (ko) 1998-10-12 1999-10-01 직물기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430911B1 (ko)
EP (1) EP1038058B1 (ko)
JP (1) JP2002527635A (ko)
KR (1) KR20010032886A (ko)
CN (1) CN1101862C (ko)
DE (1) DE59913648D1 (ko)
TR (1) TR200001590T1 (ko)
WO (1) WO2000022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106701D1 (de) * 2000-10-28 2005-08-11 Saurer Gmbh & Co Kg Falschdralltexturiermaschine
DE10130389A1 (de) * 2001-06-23 2003-01-02 Barmag Barmer Maschf Falschdralltexturiermaschine
DE50210209D1 (de) 2001-10-10 2007-07-05 Saurer Gmbh & Co Kg Texturiermaschine
DE10234554A1 (de) * 2002-07-30 2004-02-12 Barmag Ag Texturiermaschine
CN103014965B (zh) * 2012-12-28 2015-10-28 无锡宏源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移丝装置
JP6457342B2 (ja) * 2014-07-03 2019-01-23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仮撚加工機、及び、仮撚加工機の糸掛け方法
CN104372475A (zh) * 2014-11-24 2015-02-25 江苏海源机械有限公司 一种新结构气动生丝装置
CN104878496B (zh) * 2015-05-22 2017-02-01 桐乡市新丝利纺织有限公司 低温双色处理装置
ITUA20163482A1 (it) * 2016-05-16 2017-11-16 Ssm Giudici S R L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di fili o filati fiammati
DE102018115601A1 (de) * 2018-06-28 2020-01-02 Saurer Spinning Solutions Gmbh & Co. Kg Fadenumlenkeinheit
WO2021071727A1 (en) * 2019-10-07 2021-04-15 Fives Machining Systems, Inc. W-axis fiber placement hea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47994C (fi) * 1969-10-31 1974-05-10 Kemira Oy Kierteenpysäyttäjä
DE2009149A1 (de) * 1970-02-27 1971-09-09 Zmser Textilmaschinen GmbH, 7333 Ebersbach Falschzwirnvornchtung
US4058245A (en) * 1974-02-26 1977-11-15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Yarn control mechanisms and the like
FR2316383A1 (fr) * 1975-07-03 1977-01-28 Soletanch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realisation d'ecrans d'etancheite dans le sol par lancage
CH606536A5 (ko) 1975-07-05 1978-11-15 Barmag Barmer Maschf
US4058691A (en) 1976-08-04 1977-11-15 Vonsimi Sales Corporation Adaptor mounting for adjustable distributor contact breaker assembly module
US4246750A (en) * 1979-07-24 1981-01-27 Wwg Industries, Inc. Self-twist yarn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60188272A (ja) * 1984-03-06 1985-09-25 Fukuhara Seiki Seisakusho:Kk 編機における積極型の糸送り装置
JPS61215729A (ja) * 1985-03-19 1986-09-25 株式会社 石川製作所 仮撚機のヒ−タへの糸案内装置
GB9011879D0 (en) * 1990-05-26 1990-07-18 Rieter Scragg Ltd False twist apparatus
EP0916756B1 (de) * 1995-08-16 2006-10-04 Saurer GmbH & Co. KG Texturiermaschine mit pneumatischem Fadenanleger
DE19652620A1 (de) 1995-12-20 1997-06-26 Barmag Barmer Maschf Falschdralltexturiermaschine, insbesondere Strecktexturiermaschine für sythetische Fäden
CN1222113A (zh) * 1996-06-18 1999-07-07 巴特尔机械体系有限公司 用于轮胎胎边钢丝的气动操作式悬挂设备及其使用方法
EP0829562B1 (de) * 1996-09-12 2004-10-20 Saurer GmbH & Co. KG Texturiermaschine mit höhenverstellbarem Anlegefadenführer
JPH10221256A (ja) * 1997-02-03 1998-08-21 Toshiba Corp プラント点検装置および方法
US6209302B1 (en) 1997-02-04 2001-04-03 Barmag Ag False twist texturiz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7581A (zh) 2001-03-14
JP2002527635A (ja) 2002-08-27
US6430911B1 (en) 2002-08-13
US6494029B2 (en) 2002-12-17
DE59913648D1 (de) 2006-08-17
CN1101862C (zh) 2003-02-19
EP1038058A1 (de) 2000-09-27
WO2000022211A1 (de) 2000-04-20
TR200001590T1 (tr) 2000-11-21
US20020056266A1 (en) 2002-05-16
EP1038058B1 (de)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1634B2 (ja) 仮撚りテクスチャード加工機
KR20010032886A (ko) 직물기계
KR100310357B1 (ko) 감김웨브롤을감는방법및장치
US64576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nd cutting an advancing yarn during a package doff
KR100511697B1 (ko) 합성얀제조장치
US3717311A (en) Apparatus for packaging linear material
US3547361A (en) Apparatus for winding textile material
US4784341A (en) Textile yarn winding apparatus
US6401314B1 (en) Method and a device for thread division on a sectional warping machine
US3489359A (en) Winding machine
US4223519A (en) False twisting-stretching/texturizing machine
US3616503A (en) Method for crimping and thermally treating yarn
US6857259B2 (en) Texturing machine and method of threading an advancing yarn
EP0602554B1 (en) A yarn winding apparatus
US63152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nd cutting an advancing yarn during a package doff
EP1136601B1 (en) Yarn setting device for textile machine
JP2005505705A (ja) テクスチャード加工機械
US4824037A (en) Apparatus for freeing the bottom wraps and the downwinds of yarn from a textile bobbin
US3758042A (en) Continuous yarn winding apparatus
US6843050B2 (en) Yarn false twist texturing machine
CN101258275A (zh) 用于引导和输送多根长丝的装置
US3919748A (en) Apparatus for altering the length of synthetic strands
EP0578395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utomatic yarn transfer
SU935687A1 (ru) Сушилка дл волокнистых материалов
US1964714A (en) Textil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