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484A - 동체내에서 고속으로 유동되는 유체 또는 유체 내에서고속으로 이동하는 동체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치 및고압 노즐로서의 그 용도 - Google Patents

동체내에서 고속으로 유동되는 유체 또는 유체 내에서고속으로 이동하는 동체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치 및고압 노즐로서의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484A
KR20010032484A KR1020007005726A KR20007005726A KR20010032484A KR 20010032484 A KR20010032484 A KR 20010032484A KR 1020007005726 A KR1020007005726 A KR 1020007005726A KR 20007005726 A KR20007005726 A KR 20007005726A KR 20010032484 A KR20010032484 A KR 20010032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flow
high pressure
wall
rece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찰스 로에겔
Original Assignee
찰스 로에겔
모리츠 헬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찰스 로에겔, 모리츠 헬무트 filed Critical 찰스 로에겔
Publication of KR2001003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48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10Influencing flow of fluids around bodies of solid material
    • F15D1/12Influencing flow of fluids around bodies of solid material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avoid or to reduce turbulencies, e.g. comprising fluid flow straigh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1/00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by affecting boundary layer flow
    • B64C21/10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by affecting boundary layer flow using other surface properties, e.g. rough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 F15D1/06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10Drag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빠르게 유동하는 유체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체가 고속으로 따라 흐르는 동체(1)의 벽면(2)에는 복수의 리세스(3; F1, F2, F3)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는 유동방향(SR)을 따라 깊이(t)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길이(l)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깊이(t)는 길이(l)보다 실질적으로 작다. 상기 리세스(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벽면을 따라 유동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깊이(t)가 줄어들며 상기 리세스는 유동방향의 벽면(2)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파이프라인, 카뷰레터용 흡입튜브, 배기가스 튜브에서 고압의 액체 분사물을 만들기 위한 고압 노즐과, 유체를 통하여 매우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로켓과 같은 발사추진체에서 특히 유리한 효과를 얻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체내에서 고속으로 유동되는 유체 또는 유체 내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동체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치 및 고압 노즐로서의 그 용도 {Device for increasing the power of media flowing along a body at a high speed or a very fast moving body in a medium and use thereof as a high pressure nozzle}
그러한 장치들은 고압의 액체분사물을 만들기 위한 고압노즐용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USP 1,703,029, EP-A-0,121,951 및 DE-A-3,443,263).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유체 분사물의 분사각(jet angle)을 너무 크게 하지 않고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분사각이 작은 고압 분사물에 있어서, 분사 부위의 단위 표면적당 에너지 함량은 분사각이 매우 큰 분사물 또는 분무 분사물 (atomizing jet)에서의 그것보다 대체적으로 크다. 고속으로 유동하는 기체나 액체의 효율은 측면부위의 노즐 개구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통로 (channels) 또는 노즐 보어(bore)의 내벽면에 의해 개선된다.
본 발명은 동체(胴體, body)의 벽면을 따라 고속으로 유동하는 유체 또는 역으로, 유체 내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동체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치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분사노즐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단면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벽면으로의 역할을 하며 벽면에 마름모꼴의 평평한 리세스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튜브의 내측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노즐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4의 해당부분을 확대해서 본 국부단면도이며;
도 5는 유동 조건하에서 고압노즐의 경성재 인서트와 어태치먼트 부시(attachment bushing) 사이의 트랜지션(transition)을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6은 어태치먼트 부시가 구비된 유동통로의 다른 단면도이며;
도 7은 파이프라인 튜브의 내측영역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항공기 날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되는 유체의 출력이나 효율을 더욱더 개선시키는 것이다. 즉, 계획된 목적물에 부딪히는 분사물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튜브와 호스내에서 매우 빨리 유동하는 유체 또는 유체내에서 매우 빨리 이동하는 동체의 또 다른 효율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유동매체 또는 로켓의 운송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개선시키거나 또는 운송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과 청구항 14에 그 주요특징이 있다. 또 다른 형태의 구조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는 하기 내용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벽면을 따라 고속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출력, 또는 유체를 통하여 매우 빠르게 이동하는 동체의 효율을 놀라운 형태로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유동방향의 벽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확실히 불균일하지만, 리세스부 (recesses)가 거기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출력은 개선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면, 빠르게 유동하는 유체를 측면방향으로 제한하며 유체를 정해진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동체의 적어도 하나의 벽면에는 적어도 유동방향으로의 길이 또는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세스의 깊이는 이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작다. 리세스의 깊이는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2 mm, 좀 더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0.8 mm 범위이다. 그러나, 이러한 리세스는 유동방향으로 벽면의 전체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지는 않지만 그 길이가 각각의 벽면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짧게 해서 몇몇 이러한 리세스들이 서로 떨어져 각각의 바로 뒤에 위치시키는 축방향 리세스 방식, 즉 그루브 형상의 리세스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세스들의 적어도 일부의 깊이는 유동방향으로 갈수로 줄어든다. 상기 리세스는 유동통로에서 리테이닝 자리(retaining site)로 유도하거나 또는 그 자체가 특정의 리태이닝 자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체의 유동저항이 유동방향으로 변화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값들로 여러 번 변화된다.
만약 동체의 벽면이 튜브의 내측면 지역과 같이 형성된다면, 리세스가 유동방향으로 실질적인 가이드 엣지를 구성하며 유동통로의 둘레전역에 가능한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리세스들을 튜브의 측면지역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은 통로단면적을 갖는 고압의 물분사노즐의 경우, 적어도 4개, 바람직하기로는 5개 또는 6개의 축방향 그루브들을 유동통로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좀 더 큰 통로단면적을 갖는 소화기의 경우, 이보다 훨씬 많은 예를들면 12개의 축방향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벽면에서 리세스를 구성하는 표면부분의 총면적은 리세스를 구성하지 않는 표면부분의 총면적과 비율면에서 1보다 커야 한다고 밝혀졌다. 전체 표면에 대해 리세스와 연관된 벽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7,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8 및 0.9로서, 이에 의하여 벽면의 거칠기가 매우 커진다.
더구나, 유동통로의 유동면적이 유동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들게 함으로써,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한 개구각(α)이 1° 내지 13°, 바람직하기로는 2.8° 내지 3.8°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유동통로로부터 유동된 유체가 실질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는 딱딱한 재질의 노즐 인서트의 통로개구(이를 통해 분사물이 노즐로부터 분사된다)로 들어가기 전에 작은 크기의 리테이닝 또는 임팩트 쇼울더에 의해 유동통로의 끝에서 급격한 유동저항이 발생된다면 현저히 큰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별모양의 단면을 갖는 축방향 그루브 구조가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폭이 좁은 고압 분사수의 출력은 1200bar의 동일한 수압에서 종래의 고압 노즐에 의해 제조된 분사수에 비해 약 350% 정도로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압력하, 10 L/min의 유속에서 유동통로의 원통형 내부단면을 갖는 종래의 고압노즐의 경우 록(rock) 형태로 슬롯(slot)이 형성된다면, 특정의 슬롯깊이에서 2 m2/h의 컷팅파워(cutting power)에 도달된다. 이러한 공지의 노즐이 본 발명에 따른 노즐로 대체된다면, 상기와 동일한 압력에서 11 내지 11.5 L/min의 좀 더 큰 유속에 이르며, 동일한 록 형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7 m2/h의 컷팅파워에 도달된다. 먼저 언급한 경우의 2 m2/h의 운반속도와 비교해볼때, 이는 3.5배로 증가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분야, 예를 들어, 파이프라인 튜브 및 그 외주면 둘레에 내부 재킷(jacket)이 설치되어 있는 터빈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평탄한 리세스들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축방향에서 서로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터빈장치의 터빈 블레이드(turbine blades) 및 가이드 블레이드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또는 다른 카뷰레터(carburettors)의 흡입튜브 및 매니폴드의 내벽면에 너무 깊지는 않은 리세스가 형성된다면, 현저히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기가스 튜브 및 배기 엘보우(exhaust elbows)에 또한 적용될 수 있는데, 그 결과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출력을 향상시키며 연료소모를 수십% 줄일 수 있는 놀라운 개선효과를 얻는다. 종래의 경우에는 유체에 노출되는 배플표면과 벽면은 당연히 매끄럽게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아주 놀라운 사실이다.
아직까지 어떤 학설이나 학문에서도 이와같이 놀라운 결과의 이유를 밝힐만한 충분한 분석이 없었다. 즉 본 발명은 측면지역 근방의 영역과 측면지역에서 훨씬 멀리 떨어진 영역 사이의 경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즉 경계층 효과(boundary layer effects)가 일어난다고 추측된다. 따라서, 비록 당업자들은 벽면과 측면지역에 형성된 차단물들은 좋지 않은 효과를 미친다고 명백히 생각하고 있음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흐름과 난류 사이에 좀 더 효율적인 분포가 일어나며 측면지역 또는 배플 및 유동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에너지 소모가 줄어든다. 놀랍게도, 예를들면 본 발명에서 유체의 운동에너지의 소모량은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 소위 트랜지션 라인(transition line)이 훨씬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잠재적인 흐름에서 불연속성 표면을 개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난류영향은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의 유동 표면, 무엇보다도 로켓과 같이 매우 빠르게 날아가는 미사일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동체를 둘러싸고 있는 유체 그 자체가 빠르게 유동할 필요는 없으며 가만히 서 있어도 된다. 그러나, 빠르게 이동하는 동체는 고속을 가지기 때문에, 유체인 액체 또는 기체와 동체 사이의 경계층에서 유사한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노즐 튜브로 구성된 동체(1)의 일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튜브의 재질은 경성재질의 스틸로 이루어진다. 직경(D)을 갖는 튜브(1)의 내측면 지역은 튜브의 단면을 통하여 매우 빠르게 유동하는 유체(예를들면, 물)를 위한 벽면(2)을 구성한다. 벽면(2)이 매끄럽거나 또는 벽면이 종축방향의 그루브에 의해 단지 차단된 종래의 구조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벽면(2)은 유동방향(SR)으로 서로 이격되어 차례차례 배치된 수많은 리세스(3)에 의해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세스는 대략적인 렌즈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튜브(1)의 전체 축길이를 초과하지는 않지만 최대 깊이(t) 0.3mm의 약 5 내지 50배의 길이에 걸쳐 튜브(1) 내로 연장되어 있다. 도 1a에 따르면, 이러한 리세스(3)는 80 내지 100°의 놋치각(β)을 가지며 대략적인 삼각형상의 단면을 구비한 놋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놋치형 리세스(3)의 바닥은 바닥선(4)과 같이 실질적인 축방향으로 또는 튜브(1)의 유동방향(SR)으로 연장되며 종단면인 도 1에 도시된 렌즈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의해 각 리세스의 일부분의 깊이는 벽면(2)을 따라 유동방향(SR)으로 갈수록 줄어든다. 따라서, 그러한 리세스(3)는 벽면(2)위의 유동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되어 차례차례 배치된다. 또한, 그러한 리세스들(3)은 내측지역 또는 벽면(2)의 둘레에 분포된다; 이러한 리세스들은 리세스 라인(3')로 도 1에 상징적으로만 표시되어 있다.
도 2에 따르면, 튜브의 내측지역(2)은 망상의 웹 시스템(2')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튜브내에서 본 형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마름모 형상의 리세스(3)를 유지하며, 그들을 돌려보면 유동방향(SR)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바닥선(4)을 포함한다. 이 바닥선(4)은 서로 가장 멀리 이격되어 있는 각 마름모의 모서리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벽면의 대부분은 리세스(3)가 차지하고 있는 반면, 실제 벽면(2)을 구성하는 웹(2*)의 총면적은 실질적으로 작다. 매우 폭이 좁은 웹(2')이 사용되기 때문에, 벽면위로 돌출된 리세스(3)의 총면적은 튜브의 전체 내측지역의 약 80 내지 95%로서 웹(2')으로 구성된 나머지 벽면(2)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도 3에 따르면, 고압의 수압노즐(D)은 "INOX" 즉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스크류 인서트(10)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사파이어와 같은 딱딱한 재질의 고리형상의 인서트(5)가 그 내부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노즐의 통로개구(6)는 약 1mm의 직경(d)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동방향에 있어서, 어태치먼트 부시(7)가 인서트(5)앞에 배치되고, 이는 고압하에서 동체(1)의 벽면(2)을 통과하게 하여 물의 흐름이 바뀌도록 하게 함이다. 유동통로(8)의 직경(D)은 인서트(5)의 실린더형상 통로개구 (6)측 트랜지션 영역의 직경(d) 보다 실질적으로 큰, 즉 1.5mm이며, 따라서 리테이닝 또는 임팩트 쇼울더(9)는 그 트랜지션 영역에 형성되며 이것이 유동저항을 더욱더 증가시키는 것이 명백하다.
더구나, 유동통로(8)는 유동방향(SR)에 대한 개구각(α)을 포함한다. 이 개구각은 2 내지 13° 범위이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한 개구각은 3 내지 4° 범위이다.
더구나, 유동통로(8)는 도 4와 같이 육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유동통로(8)가 축방향 또는 유동방향(SR)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대적으로 예리한 가이드 엣지(4)를 구비한 6개의 축방향 그루브(F1, F2, F3···)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동통로(8)의 길이(l)에 따르면, 이러한 축방향 그루브의 깊이(t)는 유동통로(8)의 입구단부에서 약 0.1 내지 0.8mm 범위이며, 따라서 상기 개구각이 고려되어 인서트(5)의 리테이닝 쇼울더(9) 쪽으로 갈수록 0으로 줄어든다.
도 4a는 내측영역에 육각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축방향 그루브(F1, F2, 등)가 형성된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어태치먼트 부시(7)의 상측 절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축방향 그루브들은 튜브의 내측영역의 고른부분들 사이의 리세스(3) 영역에 만들어지며, 가상의 반원은 그러한 어태치먼트 부시(7)의 반원 사이의 리세스(3) 부분에 생성된다. 이 반원은 리세스(3)가 부시(7)의 동체(1)내로 가압(press) 또는 밀링(mill)되거나 또는 어떤 다른 방식으로 상기 반원으로부터 절삭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세스(3)의 깊이(t)는 이 반원에서부터 각각의 놋치형상의 축방향 그루브(F1, F2)의 엣지(4)로 구성되는 "그루브 베이스"까지 측정된 거리이다. 축방향 그루브(F1, F2, F3)의 표면은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1 또는 2에 도시되고 도 4a에 표시된 형태의 리세스(3)로 이루어져 있다.
도 5는 분사물(S)로서 노즐 또는 인서트(4)를 빠져나가는 유체의 유동패턴의 계획된 경로를 나타낸다. 얇은 경계층이 분사물(S)의 "코아" 주위에 배치되는데, 이는 분사방향(SR)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코아"가 확장되는 것에 대한 어떤 저항을 제공하며 이에 의해 상기 개선된 효율과 좀 더 큰 운동에너지 밀도 효과와 함께, 작은 영역에서 액체 분사에너지를 보유한다.
도 6에 따르면, 유동통로(8)의 단면은 육각형이 아니라 별 모양이다. 축방향 그루브 또는 리세스(3)는 삼각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그루브들은 유동통로 (8)의 원뿔형 틈새영역으로부터 바디91)의 어태치먼트 부시(7)내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된 유동통로(8)의 단면은, 예를 들면 다각형의 도구가 유동단면이 원뿔형상인 부시 또는 슬리브(7)에 가압 또는 삽입되어, 이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3) 또는 축방향 그루브(F1, F2, F3)를 갖는 도 4 내지 도 6의 단면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도 7의 튜브형 동체(1)의 유동방향(SR) 또는 축방향으로 길이(l) 만큼 평평한 형태로 연장도이 형성된 포켓형 리세스(3)는 오목형 리세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폭(b)은 길이(l)보다 작아야 하지만 깊이(t)보다는 현저히 커야 한다.
도 8은 공기의 흐름이 유동방향(SR)으로 향하는 곳, 즉 항공기 날개로서의 역할을 하는 동체(1)의 벽면(2)위에 최소한 상기 리세스(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대체로, 공기가 동체주위를 흐를때 공기흐름이 분산되지 않고 난류가 발생됨이 없이 좀 더 나은 흐름을 얻기 위하여 항공기 날개 주위로 좀 더 효율적으로 흐를 수 있을 정도로 항공기 날개의 상측면 각 부분위의 벽면(2) 주위의 흐름이 향상된다. 리세스의 최적의 깊이, 위치, 치수 및 갯수는 항공기 날개의 외형, 항공기가 날아가는 속도 또는 날개 주위로 흐르는 공기가 이동하는 속도에 따라 몇가지 시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파이프라인, 카뷰레터용 흡입튜브, 배기가스 튜브에서 고압의 액체 분사물을 만들기 위한 고압 노즐과, 유체를 통하여 매우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로켓과 같은 발사추진체에서 특히 유리한 효과를 얻는데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1)

  1. 고압하에서 동체(2)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 및/또는 유체내에서 매우 빠르게 이동하는 동체(1)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동체(1)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2)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위에서 유체와 동체(1) 사이의 상대적인 유동(S)을 제한하고 특정의 유동저항을 형성하면서 그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벽면(2)은 적어도 길이(l)만큼 유동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깊이(t)가 길이(l)에 비해 실질적으로 작은 복수개의 리세스(3)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리세스중 적어도 일부는 벽면(2)을 따라 흐르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깊이(t)가 줄어들며, 상기 복수개의 리세스는 유동방향(SR)의 벽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하에서 동체(2)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 및/또는 유체내에서 매우 빠르게 이동하는 동체(1)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2)을 따라 흐르는 방향(SR)으로 연장되어 있는 리세스(3)의 길이(l)는 그 흐름을 제한하는 각각의 벽면(2)의 전체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1)는 튜브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3)는 벽면(2)을 구성하는 튜브 내측면 지역에 놋치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4. 전술한 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는 유동방향(SR)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 엣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는 튜브의 단면에 별모양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깊이(t)는 0.01 내지 2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깊이(t)는 0.1 내지 0.8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8. 전술한 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유동방향(SR)으로 갈수록 원뿔형태로 좁아지는 벽면(2)의 개구각(α)은 2.8 내지 3.8°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9. 전술한 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에 의해 차지된 표면 비율의 총합(Fa)은 벽면(2)상의 리세스(3)에 의해 차지되지 않은 표면 비율의 총합 (Fb)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에 의해 차지된 표면 비율의 총합(Fa)과 벽면(2)상의 리세스(3)에 의해 차지되지 않은 표면 비율의 총합(Fb)의 총 비율이 0.7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에 의해 차지된 표면 비율의 총합(Fa)과 벽면(2)상의 리세스(3)에 의해 차지되지 않은 표면 비율의 총합(Fb)의 총 비율이 0.8 내지 0.95 범위이며, 상기 벽면(2)상의 리세스(3)는 단지 작은 크기의 웹(2*)으로만 실질적으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12. 전술한 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2)은 서로서로에 대해 옵셋되고 벽면(2)위의 표면 레이아웃에서 마름모 형상을 이루는 리세스 시스템(3)에 의해 차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13. 전술한 항들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는 80 내지 100° 범위의 놋치각(β)을 갖는 삼각형의 단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증가장치.
  14. 딱딱한 재질의 인서트(5)와, 분사되는 액체의 양을 결정하는 상기 인서트(5)의 통로개구(6)와, 어태치먼트 슬리브 또는 부시(7)을 구비하며, 상기 어태치먼트 부시의 유동통로(8)를 통하여 고압하에 놓인 액체가 인서트(5)의 통로개구(6)에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통로(8)는 유동방향(SR)에 대하여 개구각(α)만큼 유동방향(SR)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평균단면을 구비하는 고압의 액체 분사물을 제조하기 위한 고압노즐에 있어서,
    상기 유동통로(8)는 그 내측면 지역에 형성된 축방향 그루브(F1, F2, F3)를 구비하며, 상기 그루브들은 유동방향(SR)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인서트(5)의 리테이닝 쇼울더(9) 형태로 유동방향의 벽면(2)에 형성된 차단부에서 그 그루브의 형성이 종료되며, 그루브의 깊이(t)는 유동방향(SR)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노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부시(7)의 유동통로(8)의 개구각(α)이 2 내지 4°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분사노즐.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쇼울더(9)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인서트(5)의 통로개구(6)의 직경(d)은 인서트(5)까지의 유동시에 유동통로(8)의 평균 단면(D)에 비해 실질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분사노즐.
  17. 제 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출력 증가장치를 파이프라인 튜브에 사용하는 방법.
  18. 제 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출력 증가장치를 내연기관의 카뷰레타의 흡입 파이프 또는 흡입 매니폴드에 사용하는 방법.
  19. 제 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출력 증가장치를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튜브 또는 배기 매니폴드에 사용하는 방법.
  20. 제 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출력 증가장치를 항공기의 유동면위에 또는 로켓과 같은 미사일에 사용하는 방법.
  21. 제 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출력 증가장치를 터빈에 사용하는 방법.
KR1020007005726A 1998-05-13 1999-02-23 동체내에서 고속으로 유동되는 유체 또는 유체 내에서고속으로 이동하는 동체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치 및고압 노즐로서의 그 용도 KR20010032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1449A DE19821449A1 (de) 1998-05-13 1998-05-13 Vorrichtung zum Verbessern der Wirksamkeit schnell strömender Medien und Verwendung als Hochdruck-Düse zum Erzeugen eines Hochdruck-Flüssigkeitsstrahles sowie andere Verwendungen
DE19821449.9 1998-05-13
PCT/EP1999/001168 WO1999058250A1 (de) 1998-05-13 1999-02-23 Vorrichtung für verbesserte wirksamkeit schnell entlang eines körpers strömender medien oder sich im medium sehr schnell bewegender körper und verwendung insbesondere als hochdruck-dü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484A true KR20010032484A (ko) 2001-04-25

Family

ID=786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726A KR20010032484A (ko) 1998-05-13 1999-02-23 동체내에서 고속으로 유동되는 유체 또는 유체 내에서고속으로 이동하는 동체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치 및고압 노즐로서의 그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79935B1 (ko)
JP (1) JP2002514500A (ko)
KR (1) KR20010032484A (ko)
AT (1) ATE239553T1 (ko)
AU (1) AU745411B2 (ko)
CA (1) CA2312425A1 (ko)
DE (2) DE19821449A1 (ko)
WO (1) WO19990582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081B1 (ko) * 2002-03-07 2005-04-07 한국해양연구원 와류형 해양방류관 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20783U1 (de) * 2000-12-06 2002-05-02 Boart Hwf Gmbh Co Kg Injektionsdüse für Hochdruckinjektionsbohrsysteme sowie Hochdruckinjektionsbohrwerkzeug
US6851632B2 (en) * 2003-01-24 2005-02-08 Spraying Systems Co. High-pressure cleaning spray nozzle
DE102005040083B8 (de) * 2005-08-24 2014-03-06 WOMA GmbH Spritzpistole für ein Hochdruckfluid
EP1844860B1 (de) 2006-04-12 2013-12-18 J. Wagner GmbH Spritzpistole bzw. Vorrichtung mit einer strukturierten Oberfläche zur Führung und/oder Verteilung von Gasen
DE102007024221B4 (de) * 2007-05-15 2011-06-16 Lechler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Hochdrucksprühdüse und Hochdrucksprühdüse
CH701080B1 (de) 2008-01-22 2010-11-30 Enz Technik Ag Hochdruckdüse mit Strahlleitung.
JP6278438B2 (ja) * 2013-07-18 2018-02-14 国立大学法人東京農工大学 流体輸送用管
JP6186574B2 (ja) * 2014-08-22 2017-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流体輸送管
US9482096B1 (en) * 2015-04-28 2016-11-01 The Boeing Company Textured leading edge for aerospace and nautical structures
KR200482074Y1 (ko) * 2016-07-18 2016-12-14 삼원그린 주식회사 개선된 글랜드를 이용한 유체 연결구
US20210231142A1 (en) * 2019-08-21 2021-07-2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ubmerged periodic riblets
CN111017229B (zh) * 2019-12-13 2021-07-16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飞机空调格栅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3029A (en) * 1926-11-10 1929-02-19 Connecticut Specialties Corp Sand-blast nozzle
US2985384A (en) * 1958-08-22 1961-05-23 Byron H Martin Hose nozzle and the like
IT1174972B (it) * 1983-03-04 1987-07-01 Arno Drechsel Ugello per irrigatori ad elevata prestazione
DE3443263A1 (de) * 1984-11-28 1986-06-05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Schlitzduesenausbildung fuer schlitzduesen zur erzeugung eines fluessigkeitsvorhanges
US5169065A (en) * 1990-06-15 1992-12-08 Naylor Industrial Services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jet cutting including improved nozzle
RU2020304C1 (ru) * 1992-03-31 1994-09-30 Геннадий Ираклиевич Кикнадзе Поверхность обтекания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динамических вихревых структур в пограничных и пристенных слоях потоков сплошных сред
DE19613304A1 (de) * 1996-04-03 1997-10-09 Ernst Koelle Oberflächenstruktur für die Außenhaut bewegter oder ruhender Körper, die einem Strömungsmedium ausgesetzt si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081B1 (ko) * 2002-03-07 2005-04-07 한국해양연구원 와류형 해양방류관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2425A1 (en) 1999-11-18
WO1999058250A1 (de) 1999-11-18
AU3253899A (en) 1999-11-29
JP2002514500A (ja) 2002-05-21
AU745411B2 (en) 2002-03-21
ATE239553T1 (de) 2003-05-15
DE59905470D1 (de) 2003-06-12
DE19821449A1 (de) 1999-11-18
EP1079935A1 (de) 2001-03-07
EP1079935B1 (de)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2484A (ko) 동체내에서 고속으로 유동되는 유체 또는 유체 내에서고속으로 이동하는 동체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치 및고압 노즐로서의 그 용도
CA1275053A (en) Film cooling passages with step diffuser
US3123285A (en) Diffuser with boundary layer control
US7549282B2 (en) Multi-slot inter-turbine duct assembly for use in a turbine engine
JPH0681713A (ja) スクラムジェット燃料インジェクタ
US20050156337A1 (en) Fluid emuls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143153B2 (en) Fluid injector orifice plate for colliding fluid jets
DE1110016B (de) Lufteinlass zur Aufnahme von Stroemungen mit UEberschallgeschwindigkeit
DE2300217B2 (de) Einspritzvorrichtung zur Einspritzung flüssigen Brennstoffs in Hochöfen
US6047956A (en) Atomizing fuel carburetor
EP0778443B1 (en) Fuel injector arrangement; a method of operating a fuel injector arrangement
Belovich et al. Dual stream axisymmetric mixing in the presence of axial vorticity
US6609704B2 (en) Fluid emuls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975144A (zh) 增强器的带导向的喷管
JPH06147418A (ja) 燃料噴射弁
US11384723B2 (en)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299758A (ja) ガソリン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2024520488A (ja) 気化器又は同様の装置における燃料霧化を改善するための単方向燃料ノズル
KR100347641B1 (ko) 전자기작동식연료분사밸브
Portz et al. Mixing in high-speed flows with thick boundary layers
JP2725624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弁
KR850001649B1 (ko) 분사 및 혼합물 조성방법
RU2073798C1 (ru) Струйный аппарат
SU844799A1 (ru) Карбюратор дл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US20050006499A1 (en)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