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061A - 비일체형 흡수 제품 - Google Patents

비일체형 흡수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061A
KR20010032061A KR1020007005183A KR20007005183A KR20010032061A KR 20010032061 A KR20010032061 A KR 20010032061A KR 1020007005183 A KR1020007005183 A KR 1020007005183A KR 20007005183 A KR20007005183 A KR 20007005183A KR 20010032061 A KR20010032061 A KR 20010032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zone
garment
longitudinal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180B1 (ko
Inventor
빌름스에릭요아힘
쉬미트아힘
보슈닉토마스
미치오질비오
투르나이에바주잔네
블랑코라모스아우구스틴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3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6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 A61F13/68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abdominal enclosing type
    • A61F13/72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abdominal enclosing type with endless waist encircling band, e.g. panty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61F2013/45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with a special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 요소 및 고정 가멘트를 포함하여, 상향으로 융기된(즉 사용도중 착용자 방향으로) 중심 가랑이부, 및 허리를 둘러싸는 신체 곡률을 따라 흡수 요소의 종방향 말단에서 외향으로 융기된 부를 갖는 흡수 요소에서 흡수 코어의 요철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유지시키는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일체형 흡수 제품{NON-UNITARY ABSORBENT ARTICLES}
위생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흡수 제품이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품은 적어도 항상 신체 분비물을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한 흡수 부재 및 각각의 신체 분비물을 방출하는 신체 개구부와 상기 흡수 부재를 일치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제품의 한 부류는 ″일체형″ 제품으로, 즉 상기 흡수 부재 및 고정 수단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제품을 형성한다. 착용자의 신체 주위를 상기 제품이 감싸도록 고정 수단으로서 작용하여 사용도중 신체에 상기 제품을 고정시키는 전형적인 테이프 구조체를 갖는 아기 기저귀 분야에서 상기 제품이 널리 사용된다. 다른 일체형 제품으로는 팬티형 기저귀, 또는 소위 ″팬티 라이너″로 널리 공지된 착용자의 속옷에 직접 결착되는 흡수 패드 또는 여성 위생용 또는 소실금자용 분야의 다른 패드가 있다.
상기 제품의 다른 부류로는, 흡수 요소 및 고정 요소가 분리될 수 있는 비일체형 제품이다. 이의 예로는, 성인 실금자용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소위 ″패드 팬티형″ 시스템이다.
모든 시스템에 대해, 상기 시스템을 개선시키려는 시도로, 특히 상기 패드의 지속적인 적합성, 즉 장시간 착용 및 적재하에서도 상기 시스템을 이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 왔다.
상기 시도는 흡수 요소, 또는 고정 요소에 대해 실시되었다.
신체 대향 표면이 볼록한 상부 표면을 가짐으로써 전체 제품이 ″역U″형(즉, 착용자로부터 먼 대향 부분이 U자의 개구임) 또는 ″W″형인 흡수 제품의 개선된 흡수 요소가 뷰엘(Buell)의 미국 특허 제 5,300,055 호에 개시되어 있다. 올센(Olsen)의 국제 공개공보 제 WO 95/31165 호에는, 상기 제품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탄력성 구성요소에 의한 ″W″형 배치를 목적으로 하는 유사 제품이 기술되어 있다.
버그만(Bergman)의 국제 공개공보 제 WO 95/17148 호에는, 개선된 유체(예, 생리혈) 처리능을 위해 착용자의 회음부와 상기 제품 사이에 접촉을 개선시키는 생리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토렌(Thoren)의 국제 공개공보 제 WO 88/04547 호에는, MD(종방향) 및 CD(측방향)에서 둘다 착용자로부터 멀리 배향된 상면시이트의 측부에 탄성 부재를 결착시킴으로써, 상기 제품과 착용자 사이의 접촉을 개선시키려는 목적의 생리대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라센(Lassen)의 유럽 특허 제 0.302.523 호에는, 성형, 주조 또는 다른 성형 기술에 의해 제조된 해부학적으로 형상화된 여성용 패드를 기술하고 있다.
다른 시도는 고정 시스템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기술의 개발은 의료학적 상태의 결과로서 사타구니 영역에 흡수 제품을 착용할 필요가 있는 남성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팬티를 기술한 영국 특허 제 2 282 053 호를 포함한다. 사용시 비투과성 물질을 갖는 일부의 안감을 통해 상기 팬티에 의해 흡수 제품이 착용자의 신체를 단단하게 둘러싸도록 상기 팬티가 배치되고 구조화되어, 상기 흡수 제품의 t 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해결은 어느 정도의 효과를 갖지만,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는 꽉 조임, 유체 유출을 일으킬 수 있는 다리 영역의 롤링에 대한 문제가 여전히 발생할 수 있고, 착용자의 운동으로 인해 사타구니 및 후방 영역에 틈이 생길 수 있다.
영국 특허 제 2 185 678 A 호는 소실금자용 가멘트로서 작용할 수 있는 일체형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일회용 언더가멘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흡수 패드는 후방 및 전방 영역에서 둘다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정상적인 흡수 패드보다 더욱 높은 지점까지 상향으로 신장한다. 상기 장치는 밤새도록 사용시 유체 유출을 실질적으로 최소화시키기 위해 설계된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흡수 패드의 붙박이 및 높은 위치화로 인해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4,355,425 호는 부직물 다공성 패널 및 부직물 탄성 부재를 둘다 갖는 개선된 팬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팬티는 모든 방향으로 탄성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신체 접촉 및 상기 흡수 제품의 위치화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티는 여성용 또는 어린이용으로만 설계된다.
국제 공개공보 제 WO 92/00051 호는 내부에 실금자용 보호기가 있고, 내부 물질이 언더가멘트의 남아있는 영역을 주석 도금한 것보다 저탄성인 영구적으로 신장된 영역을 포함하는 언더가멘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형태는 실금자용 보호기 및 개선된 착용자의 신뢰를 올바로 그리고 신속히 확립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배치는 후방 영역에서 번칭(bunching)을 일으키고, 고도의 신체 접촉을 보장하지 않는다. 또한, 실금자 보호기가 적재되는 경우, 상기 언더가멘트는 실금자 보호기를 효과적으로 가릴 수 없어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국제 공개공보 제 WO 95/09594 호는 상기 팬티의 전방으로부터 후방까지 연장하는 탄성 장치로 특징되는 소실금자용 팬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탄성 장치는 팬티를 포함하는 2개의 층 또는 시이트 사이에 바람직하게 장식된 탄성 실, 리본 또는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체형 편성 기술을 통해 탄성을 부여하는 가멘트를 개시하지 않는다. 상기 팬티는 착용자의 불편함, 허리밴드 처짐 및 불량한 고정과 같은 결점이 있을 수 있다.
1997년 3월 18일자로 오스본(Osbor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611,722 호는 팬티형 언더가멘트를 기술하고 있다. 팬티형 언더가멘트는 전방 패널, 후방 패널, 및 가랑이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언더가멘트는 실질적으로 후방 패널에 일체형으로 편성된 언더가멘트의 잔류물보다 더욱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 닻형 지지체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 패널은 착용자의 엉덩이의 측면을 리프팅시키고 분리시킨다. 상기 지지체 패널은 언더가멘트의 다리 개구의 일부분 방향으로 그리고 이 일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수직 스트립 및 상향 곡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언더가멘트가 착용자의 엉덩이의 측면을 리프팅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지만, 이 언더가멘트는 생리용 장치와 착용자의 회음부 영역 사이의 신체 접촉을 개선시키는 리프팅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방식으로 흡수 요소 및 고정 요소를 결합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특정한 이점을 인식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뇨 또는 분변과 같은 비교적 다량의 신체 분비물을 수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비일체형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제품의 성능에 대한 악영향없이, 상기 제품은 착용자에게 과도한 불편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변에 대한 개선된 처리능을 추가로 갖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상기 요건을 충족시키고, 혼자서 또는 부모나 보모와 같은 다른 사람에 의해 착용자에 대한 적용을 용이하게 하는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흡수 요소 및 고정 요소를 포함하여, 상향으로 융기된(즉, 사용도중 착용자 방향으로) 중심 가랑이부, 및 허리를 둘러싸기 위한 신체 곡률을 따르는 흡수 요소의 종방향 말단에서 외향으로 융기된 부를 갖는 상기 흡수 요소에서 요철형 흡수 코어를 이루거나 또는 유지시키는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생용 흡수 제품, 특히 성인 실금자용 제품 또는 아기 기저귀와 같이, 뇨 및/또는 분변 물질등의 다량의 체액을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흡수 제품, 더욱 특히 가멘트와 같이, 개별적인 흡수 요소 및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비일체형 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흡수 요소의 예로서 흡수 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Ω형으로 번칭한 제품을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비교의 목적으로 W절첩형의 종래 제품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갖는 가멘트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멘트의 후면도이다.
도 5는 측부, 수평으로 잡아끌은 탄성 구성요소에서 천공된 도 1에 도시된 가멘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멘트의 다른 양태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멘트의 다른 양태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멘트의 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가멘트의 다른 양태에 대한 전면도이다.
흡수 제품은 일반적으로, 흡수 부재(종종 하위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는 코어 또는 코어 구조체로 지칭됨), 유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와 같은 ″몸체부 요소″, 폐쇄 요소 또는 탄성과 같은 임의의 추가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내용에서, 흡수 제품은 ″일체형″일 수 있다. 즉, 모든 요소가 함께 결합하여 사용시 상기 제품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단편이고, 또는 흡수 패드와 같은 흡수 요소, 및 흡수성 일회용 패드와 탄성 팬티형 조합물의 형태로 성인 실금자용 제품에 대해 종종 실행되는, 예를들어 재사용 가능한 고정 신장 가멘트와 같은 외부 고정 요소를 갖는, 개별적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품 또는 이의 요소는 일회용성이거나 또는 재사용 가능할 수 있고, 본원에서 용어 ″일회용″은 흡수 제품 또는 요소로서 세탁되거나 재생되거나 재사용 되지 않는(즉, 흡수 제품 또는 요소는 한번 사용후 처분되고, 바람직하게는 환경 친화적 방법으로 재사용, 퇴비화 또는 처분된다) 흡수 제품 또는 요소를 기술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흡수 제품은 측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의되고 사용시 착용자의 ″왼쪽 내지 오른쪽″ 방향으로 정렬되는 측방향(x방향 또는 너비); 종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의되고 사용시 서있는 자세에서 착용자의 키방향으로 정렬되는 종방향(y방향 또는 길이); 및 기저귀(20)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축방향(z방향 또는 두께)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오목″은, 사람 착용자의 허리의 일반적 곡률을 따라, 즉 일반적으로 오목 곡률을 나타내는 허리 주변에 착용된 벨트와 같은, ″외향으로 융기된″ 곡률을 의미한다. 용어 ″볼록″은 대향하는 곡률과 관련된다. 물론, 이들 용어는 중력에 대한 일반적 해석을 따르는 용어 ″상향″ 및 ″하향″에 연관된다. 이제부터, 문자 ″U″는 ″하향 볼록″, 또는 오목형을 의미한다. 그리스 대문자 Ω(오메가)는 중심부에 ″상향 볼록″ 곡률을 갖는다. 용어 ″오목″ 및 ″볼록″이 ″상향″ 또는 ″하향″ 방향 없이 사용되는 경우, 그 의미는 ″상향″을 뜻한다. 이러한 용어가 착용자의 자세에 대해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다면, 착용자가 서있는 자세를 의미한다.
도 1a, 1b 및 1c에서, 아기 기저귀 또는 성인 실금자용 패드일 수 있는 흡수 제품의 흡수 요소를 도시함으로써 본 발명을 예시한다.
상기 패드는, 주로 수성계인 유체를 흡수하고 함유하도록 설계된, 흡수 코어(10)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 코어(10)는 일반적으로 주로 수성 액체를 흡수하고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압축성, 순응성인 임의의 흡수 수단일 수 있다. 적합한 흡수 물질의 예로는 분쇄된 목재 펄프, 크레이핑된 셀룰로스 와딩; 용융취입된 중합체; 화학적으로 보강되고, 개질되거나 가교 결합된 셀룰로스성 섬유; 티슈 랩 및 티슈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티슈; 흡수 발포체; 흡수 스폰지; 초흡수성 중합체; 흡수 겔화 물질; 또는 임의의 동일한 물질 또는 물질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 패드의 배치 및 구조 또한 다양할 수 있다(예를들어, 흡수 패드는 다양한 캘리퍼 대역, 친수성 구배, 초흡수성 구배, 또는 저평균 밀도 및 저평균 기본 중량 포획 대역을 가질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층 또는 하위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수 패드는 본질적으로 수평의 배치를 가지고 있어, 강하게 3치수적으로 형상화된 형태를 생성시킬 수 있는 복잡성을 피한다.
일회용 기저귀 산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흡수 패드에 사용하기 위한 흡수 구조체의 예가 1986년 9월 9일자로 와이스맨(Weisman) 등에게 허여된 ″고밀도 흡수 구조체(High-Density Absorbent Structur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10,678 호; 1987년 6월 16일자로 와이스맨 등에게 허여된 ″이중층 코어를 갖는 흡수 제품(Absorbent Articles With Dual Layered Cores)″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73,402 호; 1989년 12월 19일자로 안스태드(Angstadt)에게 허여된 ″분진 층을 갖는 흡수 코어(Absorbent Core Having A Dusting Layer)″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888,231 호; 및 1989년 5월 30일자로 알레매니(Alemany) 등에게 허여된 ″저밀도 및 낮은 기본 중량 포획 대역을 갖는 고밀도 흡수 부재(High Density Absorbent Members Having Lower Density and Lower Basis Weight Acquisition Zon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834,735 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흡수 패드 설계는 미국 특허 출원 제 93305150.0 호 및 제 93309614.1 호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4,411,660 호는, 상부 층이 제 1층 보다 서서히 겔화되도록, 흡수 제품에서 상이한 형태의 흡수 물질을 갖는 2개의 층을 개시하고 있다.
유럽 특허 제 EP-B-0 401 189 호는, 단일 층에서 2개의 흡수성 겔화 물질의 혼합물로서 보다는 오히려, 개별적 층에서 흡수성 겔화 물질의 2개의 상이한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흡수 제품의 유리한 특성이 성취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하이드로겔 형성 흡수성 중합체는 실질적으로 각종 수불용성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다량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수팽윤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 물질은 또한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초흡수성″ 물질로 통상적으로 지칭된다. 상기 하이드로겔 형성 흡수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설폰산과 같이 다수의 음이온성 작용기를 갖고, 보다 전형적으로는 카복시기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합체의 예는, 중합가능한 불포화된 산 함유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단량체는 하나 이상의 탄소를 탄소 올레핀성 이중 결합으로 함유한 올레핀계 불포화된 산 및 무수물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량체는 올레핀계 불포화된 카복실산 및 산 무수물, 올레핀계 불포화 설폰산,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이드로겔 형성 흡수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약하게 망상 가교결합된다. 망상 가교결합은 상기 중합체를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 되게 하고, 부분적으로 전구체 입자 및 생성된 거대구조체의 흡수 용량 및 추출가능한 중합체 함량 특성을 결정한다. 상기 중합체 및 전형적 망상 가교결합제를 망상 가교결합하는 방법이 본원에 인용된 상기 참고문헌 미국 특허 제 4,076,663 호 및 다흐멘(Dahmen)의 독일 특허 제 4020780 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흡수 제품을 다양한 용도의 사용 조건, 또는 상이한 크기의 제품과 비교하기 위해, ″설계 용량″이 적합한 측정치임을 발견하였다.
예컨대, 아기는 전형적인 사용자 그룹이지만, 이 그룹내에서도 뇨 적재의 양, 적재 빈도, 및 뇨의 조성물은 어린 아기(신생아)에서부터 한 측면으로 걷는 아기까지 광범위하게 다양하고, 또한 다양한 개개의 걷는 아기에게서도 다양하다.
다른 사용자 그룹으로는 여전히 특정한 형태의 실금을 겪는 보다 큰 어린이일 수 있다.
또한, 성인 실금자는 심각한 실금 이하의 범위를 갖는 소실금으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광범위한 적재 조건을 갖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제부터, 상기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흡수 제품은 하기 상세히 기술되는 ″설계 용량″으로서 또한 지칭되는 특정한 양의 뇨에 대한 선발능을 가져야 한다.
임의의 경우 단지 소량의 유체가 착용자 방향으로 상기 제품의 표면에 남아있도록, 상기 양의 유체는 최종적으로 신체의 유체, 또는 적어도 이의 수성부를 저장할 수 있는 물질에 의해 흡수되어야 한다. 용어 ″최종적″은 한편으로 장시간 착용에서 상기 흡수 제품의 상태, 다르게는 흡수 물질이 이의 환경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 ″최종″ 용량에 도달하는 흡수 물질의 상태를 지칭한다. 이는 장시간 착용 후 실제 사용 조건 하에서 흡수 제품에 존재할 수 있고, 또한 순수한 물질 또는 물질 복합체에 대한 시험 과정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 고려중인 다수의 상기 방법은 점근적인 운동성 행동을 가지므로,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예를들어 실제 용량이 실험 측정치 정확도에 비례하는 점근적 종점에 충분히 근접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최종″ 용량에 도달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흡수 제품은 최종적으로 유체를 저장하도록 주로 설계된 물질, 및 유체의 포획 및/또는 분배와 같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로 설계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정한 최종 저장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코어 물질은 상기 기능을 인위적으로 분리시키려는 시도를 하지 않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종 저장능은 전체 흡수 코어, 이의 영역, 흡수 구조체, 또는 하위 구조체이외에 상기 임의로 사용된 물질에 대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품의 치수를 다양화하기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이,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다른 의도된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적합한 설계 용량을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다. 예컨대, 심각한 실금자용으로 의도된 성인 실금자용 제품은, 널리 공지된 티백 원심분리능 시험하에서 약 31㎖/g의 흡수 용량을 갖는 9g의 초흡수성 물질, 및 약 4㎖/g의 용량을 갖는 97g의 전환성 셀룰로스 에어펠트를 함유하여 약 667㎖의 전체 최종 저장 용량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는 소실금자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ATTENDS MINI는 약 70㎖, ATTENDS MINI PLUS는 90㎖, 또는 ATTENDS NORMAL은 약 167㎖의 최종 저장능을 갖고, 이들 제품은 모두 유럽 각국가에 소재한 프록터 앤드 갬블(Procter & Gamble)사에 의해 시판된다.
도 1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흡수 코어는 종방향 가장자리(12, 13) 옆의 허리 영역(14, 15), 및 허리 영역(14, 15)과 연결된 최소 너비 ″A″를 갖는 가랑이 영역(11)을 갖는다. 도 1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허리 영역(14, 15)의 너비는 가랑이 영역(11) 너비의 약 2배이다.
흡수 코어(10)는 유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16)와 연결된다. 배면시이트(16)는 직물 또는 부직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중합체 필름, 또는 필름 피복된 부직물과 같은 복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종종, 상기 배면시이트는 인디아나주 테레 하우테 소재의 트레데가 인더스트리즈(Tredegar Industries)에서 RR8220(취입된 필름) 및 RR5475(캐스팅 필름)의 명칭으로 시판중인 취입 또는 캐스팅 PE필름과 같은, 두께가 약 0.012㎜(0.5mil) 내지 약 0.051㎜(2.0mils)인 열가소성 필름이다. 상기 배면시이트(16)는 바람직하게 엠보싱 및/또는 매트 종결되어 더욱 천과 같은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종종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면시이트(16)는 증기를 관통시키지만 액체의 관통을 방지한다.
배면시이트(16)는 상기 흡수 코어(10)의 치수를 초과하는 너비 및 길이 치수를 둘다 가질 수 있으므로, 주변부의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종방향에서 상기 코어의 외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배면시이트(16)의 영역을 말단플랩(endflap)으로 지칭한다.
배면시이트(16)의 비교적 넓은 측방향 가장자리(17, 18)는 내향으로 절첩되어 상기 흡수 코어(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자유 종방향 가장자리(19, 20)는 탄성 밴드 또는 줄과 같은 탄성부(21, 22)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 제품이 도 1에 명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신장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는 신장되어 사용도중 보다 우수하게 신체와 일치하도록 수축된다.
측방향 가장자리(17, 18)는 절첩되지 않는 부를 갖는 관식 배치(23, 24)에 존재함으로써, 상기 신장된 탄성은 이들의 말단에서 내향으로 절첩된 측방향 가장자리(17, 18)의 가장자리(25, 26, 27, 28)와 연결된다.
상면시이트(29)는 사용도중 착용자 방향으로 배향된 상기 흡수 코어(10)상에 위치된다. 상기 상면시이트(29)는 유순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또한, 상기 상면시이트(29)는 뇨 액체와 같은 유체를 이의 두께에 용이하게 관통시키는 액체 투과성이다. 적합한 상면시이트는 다공성 발포체, 망상 발포체, 천공된 가소성 필름, 또는 천연 섬유(예, 목재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 폴리에스테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천연 및 합성 섬유의 조합물의 직물 또는 부직물 웹과 같은 각종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면시이트(29)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조 기술이 있다. 예컨대, 상기 상면시이트(29)는 스펀결합, 카딩, 습윤 적층, 용융 취입, 하이드로인탱글, 이의 조합 등에 의한 섬유의 부직물 웹일 수 있다. 종종 사용되는 상면시이트는, 예를들어 메사추세츠주 왈폴 소재의 인터내셔날 페이퍼 캄파니(International Paper Company)의 베라텍 인코포레이티드(Veratec Inc.)사에서 시판중인 P-8이란 상품명의 스테이플 길이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제조되는 직물 산업의 숙련가들에게 널리 공지된 수단에 의해 카딩되고 열결합된다.
상기 상면시이트는 상기 흡수 코어 표면 대부분 또는 모두에 본질적으로 결착될 수 있고, 또는 이에 단지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면시이트는 뇨 또는 분변과 같은 분비물을 관통시키기에 용이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시이트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또한 탄성화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흡수 요소를 착용자의 신체상에 그리고 신체 유체 방출 신체 개구와 일치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흡수 제품은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고정 수단은 기계적 형태, 즉 상기 제품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함으로써 착용자의 겉옷 및/또는 토대 요소와 같은 상기 제품 및 외부 요소 사이의 중력 및/또는 마찰력, 또는 착용자의 엉덩이 뼈와 같은 신체 윤곽과 일치하는 구조적 지지체력을 본질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수 요소는 다르게는 종래의 폐쇄 시스템을 대신하여 고정되어, 접착성 피복된 테이프 또는 기계적 구속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일체형 테이프 시스템과 같은, 상기 제품 또는 흡수 요소를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탭 패스닝 장치 및 랜딩 부재를 포함하는 폐쇄 시스템이 상기 흡수 제품 또는 흡수 요소에 제공된다. 상기 테이프 탭 패스닝 장치는 결착 영역 및 작용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랜딩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면시이트의 강화 스트립 또는 다른 부분이다. 상기 작용성 요소는 접착제 패스닝 요소, 기계적 패스닝 요소, 접착제 패스닝 요소와 기계적 패스닝 요소의 조합물, 또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수단과 같은 다수의 배치를 취할 수 있다.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상기 폐쇄 시스템에 대해, 상기 제품은 폐쇄부와 작동상 연결된 탄성부를 또한 포함하여, 사용도중 상기 제품의 고정을 강화시키고 유지시킨다.
때때로 ″팬티 스타일 기저귀″로 지칭되는 흡수 제품은 팬티 스타일 설계, 즉 폐쇄된 측부 솔기를 가지고 있어 허리 영역에 전체적으로 폐쇄된 구조체를 형성하고, 탄성부를 가지고 있어 탄성 팬티로서 고정시키고, 탄성화된 영역을 포함하는 팬티와 같은 흡수 코어를 또한 갖는 일체형 제품으로, 이들은 1996년 8월 1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제 96112413.8 호에 추가로 기술되어 있다.
다르게는, 상기 흡수 요소는 소위 ″팬티 라이너″와 같은 가벼운 여성 위생용 제품에 종종 적용되고 고정 수단(30)에 의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상적인 속옷에 결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추가의 대안으로 윈칙적인 접착제 결착형의 패스닝 수단을 갖는다. 상기 ″신체 접착제″ 수단은 상기 제품을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고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는 유럽 특허 출원 제 9710666.91 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착용자의 규칙적인 속옷을 대신하여 또는 이에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흡수 요소 및 개별적 고정 수단 또는 그물 또는 신장 팬티와 같은 가멘트를 포함하는 비일체형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일체형 요소와 유사한 접근은 깁슨(Gipson) 등의 유럽 특허 제 0.409.307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결착성 벨트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제품은 상기 흡수 요소에 적용된 신체 접착제 및 이중 고정 수단 배치에서 추가의 신장 또는 가멘트를 갖는, 상기 고정 수단을 여러개 가질 수 있다.
비일체형 배치의 경우, 상기 흡수 요소 및 고정 요소는 둘다 일회용성일 수 있거나, 이들 중 하나 또는 둘다는 세척 후 재사용할 수 있다.
Ω-(오메가)-형 흡수 제품
전술된 특성에 추가로, 하기 양태는 본 발명을 뇨 및/또는 분변 분비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제 1 및 본질적 요소는, 상기 제품을 착용자에게 적용시키고/시키거나 사용도중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서, 특히 적어도 뇨 적재 영역 또는 대역에서 볼록한 융기를 제공하는 부이다. 상기 뇨 적재 대역은 일반적으로 상기 제품의 최강성부의 가장 좁은 너비 치수에 상응하는 상기 제품의 가랑이 지점으로부터 앞쪽으로 약 5cm에 위치한다.
이러한 볼록한 융기는, 상기 제품의 가랑이 영역, 특히 뇨 적재 대역에 배치된 수단에 의해 성취될 수 있고, 수평한 형태에서보다 더욱 근접한 상기 흡수 부재의 측방향 측부 가장자리보다 사용도중 착용자의 신체에 더욱 근접하게 상기 제품의 중심선을 위치시키고 상기 측부 가장자리보다 착용자의 신체 방향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된 중심선을 가지고 있어, 상기 흡수 부재는 사실상 착용자 방향으로 상향 융기되고 있다.
도 2a에서, 흡수 코어(228)는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즉 Ω의 중심부)을 형성하고 있다. Ω의 저부는 몸체부 요소, 즉 필름 및/또는 부직물과 같은 주로 배면시이트 물질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를 ″Ω번칭″이라고 지칭한다.
상기 흡수 코어의 볼록 Ω 형태는 적어도 뇨 적재 지점 주위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품의 전방 및 후방으로 약 +/-2.5cm 연장해야 한다. 편안한 착용을 위해, 상기 가랑이 영역의 볼록한 형상은 제품의 전방 및 후방 허리부의 오목한 곡률로 변하여, 착용자의 허리 주위를 잘 맞춘다.
상기 제품의 측부 가장자리와 착용자 다리의 접촉을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 요소는 Ω의 저부 대역에 또한 위치한다.
이는, ″U″형, 또는 W형태로 형상화되거나 절첩된 전체 흡수 요소를 갖는, 당해 분야의 제품(320)의 얇은 조각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W형을 채택한 당해 분야의 제품과 비교하여 특정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Ω번칭은, 사용도중 특정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상기 흡수 부재 외부의 종방향 형태의 주머니를 형성시킨다. 상기 흡수 부재는 이의 상부 ″리지″(230)에서 적재되므로, 유체를 다른 곳으로 흐르게 하는 공간이 거의 없어, 신체 분비물을 한 측부에서 효과적으로 수집한다. 둘째로, 고성능 물질 및 구조체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중력은 상기 수용 물질내로 유체를 침투시켜, 표면상의 액체 체류 시간, 및 착용자의 피부를 습윤시키거나 또는 외부로 유출시킬 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
반최적의 액체 처리 성능을 갖는 코어 구조체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이점이 보다 우세하게 나타난다. 뇨가 상기 제품과 접촉하여 즉시 제품내로 침투되지 못할지라도, 상향으로 배향된 불록한 융기의 경사(즉, Ω의 경사)를 따라 흘러나온다. 저성능 또는 저용량을 갖는 코어가 발생하므로, 상기 코어가 습윤 영역에 투과적으로 또는 잠깐동안 포화되는 경우, 상기 코어를 침투하지 못한 유체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216)에 의해 착용자의 겉옷에 대향하여 큰 밀봉을 제공하는 Ω의 비투과성 측부에 의해 포획된다.
추가의 이점은 도 2a 및 2b에서 명백하고, 여기서 흡수 코어는 상당한 양의 뇨를 흡수한 후를 묘사한 것이다. 이는, 종래의 ″W 절첩된″ 코어의 경우에서 특히 착용자의 운동 충돌하에서 완전히 채워진 컵을 거의 생성하는 W의 보다 깊은부를 채우는 융기(240, 242)가, 경계선에 의해 명시된 상기 코어의 즉각적인 융기를 일으킨다. 특히, 초흡수성 물질을 구성하는 매트릭스의 액체 투과성을 감소시키기 쉬운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에 대해, W의 저부(착용자에서 멀리 배향됨)가 이의 융기에 의해 장애를 입는 상황이 발생하고, 구조적 확장 억제 또는 상기 저부로 이동하는 유체가 부족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후속의 임박한 부정적인 유체 이동없이, 상기 코어는 Ω의 볼록한 융기를 이룬다.
고성능 코어와의 결합에서, 유체 처리에 대한 Ω번칭의 기능이 변하는 경우, 측방향 밀봉에 대한 요건은 보다 덜 중요하나, ″Ω 리지″(230)는 CD방향에서 적재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액체 포획 속도를 증가시키는 CD 방향 유동을 제공하고, 또한 개선된 종방향 유체 분배를 상당히 가능하게 한다.
추가로, 상기 제품이 분변으로 적재되는 경우, 분변은 상기 흡수 코어의 측방향 외향으로 위치된 종방향으로 배향된 주머니내로 침착될 수 있어, 이로 인해 추가의 뇨 적재를 수용하지 못하는 흡수 부재의 표면이 남을 수 있다. 특히, 비교적 얇은(또는 점액성 또는 저점도성) 분변에서, 특히 예를들어 착용자가 중력으로 인해 서있는 자세인 경우 분변은 가랑이 영역 아래로 흐를 수 있다. 그러나, 상향 융기 및 비흡수성 측부 밀봉을 가지고 있어, 분변은 상기 흡수 코어를 덮지 않고, 코어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뇨를 수용한다.
상기 둘다의 예로, 배면시이트(216)는 상기 적재를 견뎌야만 하고, 증기가 침투하도록 설계된 경우라도 정상적인 사용 조건하에서 투과를 허용해서는 안된다.
또한, 평가되기 용이하므로, 상기 종방향 측부 주머니는 탄성 수단(234)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 대향하여 밀봉되고, 상기 배면시이트(216) 및 상면시이트(236) 사이에 위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 대해, 상기 주머니는 예를들어 유럽 특허 제 0.263.720 호에서 아기 기저귀에 대한 것으로서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소위 ″다리 커프스″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 커프스″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2차 커프스의 직립부는 동일 커프스의 고정된 기저부로부터 측방향 외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커프스가 흡수 코어의 표면에 정렬하고, 반복적인 분출을 신속히 수용하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피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베케스트롬(BeckestrØm)의 유럽 특허 제 0.098.512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종방향 진행성 가장자리에서 탄성 스트랜드를 갖는 상기 배면시이트 및 상면시이트 물질을 내향으로 절첩시키고 결착시킴으로써 상기 주머니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추가 요소는, 착용하는 경우 허리 대역에서의 오목한 융기에 대해 가랑이 대역에서 볼록한 융기의 변화를 형성시킨다.
정적인 이유로부터 널리 공지된 바와같이, 아크형 구조체는 특정한 구조적 강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강성은 가랑이 영역에서 본 발명의 본질적 요소이고, 이로 인해 상향 융기는 상기 아크형 구조체를 생성시킨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볼록한 융기는 상기 제품의 허리 영역에서 오목한 구조체로 변형되어야 한다. 중간의 한 방향으로 그리고 한 말단에서 반대 방향으로 중첩된 페이퍼의 단편으로 용이하게 구체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변화 대역은 상당한 강성 및 내변형성을 갖는다. 본 내용에서, 이는 사용도중 제품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형성된 ″주머니″ 또는 빈공간을 생성시킨다. 착용자에 대해 Ω 번칭에 의해 형성된 이격된 공간에 분변을 포획시킬 수 있으므로, 즉 가랑이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은 ″후방 분변 주머니″를 생성하는 상기 제품의 후방 상부 허리부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변형되므로, 상기 주머니는 바람직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주머니는 분변 배출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부피를 갖고, 약 10㎤ 내지 약 500㎤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머니는 또한 성별 특정 제품 설계에 유리할 수 있다. 즉, 전방 변화 대역에 의해 상기 주머니를 형성하고, 이로 인해 남성 생식기에 대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주머니는, 예를들어 분변 적재 목적이 없는 소실금자 용도로 의도된 제품에서, 또는 특히 그 자체가 비교적 강성인 흡수 코어(고밀도 셀룰로스성 구조체를 통한 것과 같이)를 갖는 여성용 제품의 전방 대역에서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에서가 아니라, 바람직한 위치에서 변화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부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볼록형에서 오목형으로 정의된 변화에 대해 ″힌지(hinge)″를 포함한다.
볼록, 오목 및 변화 영역의 상대적 치수는 물론 의도된 용도 및 착용자에 의존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인간 신체 배치는, 사용 도중 상기 제품의 측방향 연장이 작고, 바람직하게는 7㎝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 미만이 되어야 한다. W 절첩된 코어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치수는 상기 코어 두께의 4배이고, Ω 번치된 코어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치수는 코어 두께의 단지 2배이다(비코어성 관련 물질의 두께를 무시함). 배출 영역에 적절히 접촉시키기 위해 볼록하게 번치된 영역의 길이는 약 5㎝ 미만 이어야 한다. 상기 영역의 상한치는 의도된 용도에 따라 다르고, 최소 5㎝(예, 여성용 뇨 실금자 제품) 내지 분변을 수용하기 위해 의도된 제품 및 ″후방 분변 주머니″가 필요한 제품에 대해 약 2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요소가 서로 작용하는 방법에 대한 전술에 이어, 각각의 특성을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지속된 Ω형을 위한 수단
본 발명에서, 다수의 흡수 제품은 수평하게, 즉 특정한 3치수 형태를 갖지 않도록 제조된다. 상기 제품을 적용하는 사람(즉, 사용자 스스로, 또는 보모, 부모 등의 도와주는 사람)은 상기 제품을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적용 단계에 의해 적용할 수 있다.
흡수 제품을 착용자에게 적용시켜 가랑이 대역에서 적어도 바람직한 Ω형을 형성시키는 경우라도, 정상 사용시 운동 또는 적재 그자체는 충분한 기간동안 나타나지 않고/않거나 유지 불가능한 상기 Ω형을 생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Ω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품을 착용자에게 적용시키고, 또한 사용 기간 도중, Ω형의 유지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제품에 제공한다.
적용 도중 및 사용 도중 전술된 형태를 형성시키도록, Ω번칭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가랑이 영역에서 흡수 부재를 변형시키거나 또는 이 변형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제품을 착용자에게 적용하는 도중 Ω형을 이루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식은 제조업자에 의해 적합한 형태로 상기 제품을 절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품을 종방향으로 연장한 중심선을 따라 절첩시켜, 사용 도중 착용자에게 배향된 상기 상면시이트는 외향으로 놓이고, 상기 절첩부의 내향으로 착용자 옷의 외향으로 또는 착용자의 옷 방향으로 놓이는 상기 배면시이트는 가랑이 영역 특히 적재 영역을 적어도 포함해야한다. 이러한 절첩을 사용하여, 상기 제품을 적용하는 사람은 적용시 Ω 번치된 형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수단을 갖는다.
다르게는, 상기 제품은 제조업자에 의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절첩될 수 있지만, 상기 제품을 적용하는 사람에 의해 수공으로 생성된 Ω형을 적용하기 전에 생성하거나 또는 지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비Ω형 배치에 있는 경우, 상기 수단은 탄성부일 수 있고, 신장될 수 있고, 적용시 수축에 의해 Ω형을 생성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배면시이트부를 서로 결착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상기 제품을 착용자의 팬티에 결착시키기 위한 소위 ″팬티 패스닝 접착제″로서 여성 위생용 제품에 적용되는 접착제와 유사한 종래 방식으로 접착제 수단을 간단히 적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목적은 배면시이트를 착용자의 옷에 대해서가 아니라 함께 결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는 제조 도중 적용시킬 수 있고, ″팬티 패스닝 접착제″로 널리 공지된 박리가능한 페이퍼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배면시이트의 각각의 부가 Ω형태를 함께 형성하기 전에, 적용 시간에서 상기 박리가능한 페이퍼는 제거된다. 첫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품을 포장하고 선적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나 둘째 경우에 있어서 운송 도중 형태를 손상/변형시키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다르게는, 상기 제품을 제조하는 도중 Ω형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수평하고 융기되지 않은 형태에서 접착제 수단을 상기 제품에 적용시킬 수 있고, 상기 배면시이트의 각각의 부가 함께 취해져 번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Ω번칭 수단에 대한 추가 대안은 ″기계적 패스닝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기계적 패스닝 수단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한 부에 적용되는 제 1 부재(예, 훅으로 제조됨)는 제 2 부재(예, 루프된 랜딩 대역)에서 기계적으로 구속한다.
배면시이트 각각의 부를 함께 결착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대안은, 일관된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종방향에서 서로에 대한 배면시이트 표면의 상대적 운동을 허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상기 상대적 운동은, 걸을 때와 같은 착용자의 운동 도중 특정한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Ω형 터널은 다소 ″비틀려″지지만, 이의 기능성과 일반적인 Ω형을 손실하지 않는다.
상기 제품이 이동적인 사람, 침상에 고통받지 않는 성인, 또는 아장아장 걷는 아기에 의해 착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상기 제품은 걷는 도중 편안함을 증가시키므로 특히 유용하다.
상기 부는 CD 방향 수축력 구성요소를 적어도 갖는 하나 이상의 탄성 밴드 또는 스트립(도 2a에서 240으로 명시된 것)일 수 있다. 탄성 밴드 또는 스트립은 배면시이트의 측방향 가장자리 방향으로(즉, 허리 영역 방향으로) 결착될 수 있지만, 배면시이트의 중심부(즉, 가랑이 영역)에는 결착될 수 없어, 측방향 가장자리를 함께 당기고, 상향 융기 또는 Ω번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위한 탄성 수단은 외부 가장자리(즉, Ω의 낮은 기저)에 결착될 필요는 없지만, Ω의 상부 볼록부가 흡수 코어에 의해 형성되도록 상기 제품의 형태를 고려해야 하고, 완전한 W형을 취하지 못한다(즉, 측부 플랩(225) 영역에서는 흡수 코어가 없다). 이는 번칭으로부터 생성한 구조적 강성과 결합하여 특정한 강성을 갖는 코어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요소는 배면시이트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U형 배치를 초래할 위험이 너무 높기 때문에, 이 탄성 요소는 흡수 코어 부재 아래(즉, 착용자로부터 떨어진 방향)에 위치되어야 한다.
CD 방향성 신장부의 적용은 예를들어 유럽 특허 제 0.652.175 호에 개시되었다.
다른 바람직한 대안은, 예를들어 이격기 또는 블록 요소에 의해 배면시이트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로 상기 고정 수단을 위치시키는 것으로, 이로 인해 상기 제품의 측방향 종방향 가장자리의 좌/우 측부 사이에 힌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대안은, 배면시이트부를 가까이 접촉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전체 두께를 통해 전체 흡수 부재와 추가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는 압력성 사용 조건하에서 상기 모양을 보다 우수하게 유지시킨다.
이러한 결합은 사용 압력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성이어야 하지만,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충분히 연성이어야 한다.
상기 배면시이트들 사이, 배면시이트와 Ω번칭을 유지 및 지탱하기 위한 추가의 수단 사이에 결합을 이루기 위한 다른 방식은 아교 적용, 용융 결합 등과 같은 공지된 기술이다.
부직물과 같은 공기 투과성 배면시이트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한 실행은 고온 공기 점 적용으로인한 상기 구조체의 특정부를 함께 용융 결합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실행에 있어서, 흡수 부재를 갖는 상향으로 배향된 볼록한 형상(즉, Ω형)은 가랑이 영역에서 상향 배향력(즉, 사용 도중 착용자 방향으로)을 생성하는 개별적인 수단에 의해 지탱될 수 있다.
제 1 실행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종방향에서 수축력 구성요소인 탄성 요소를 사용 도중 착용자와 멀리 배향된 흡수 부재의 측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일체형 제품내로 상기 리프팅 요소를 통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요소는 가랑이 대역 및/또는 적재 대역에 적어도 존재해야 하고, 종방향 중심선 대역내에 존재해야 한다. 즉, 상기 요소가 한 방향 또는 왼쪽 및 오른쪽의 오프셋 중심선 2.5㎝ 이상인 경우, 일반적으로 성취될 수 있는 Ω 융기를 형성할 정도로 종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멀지 않다.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요소는 흡수 코어(즉, 흡수 패드)의 요소와 일체형이 아닌 개별적 요소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상기 흡수 제품에 착용되는 그물 팬티와 같은 개별적 가멘트일 수 있다. 상기 적용에 대해 특히 바람직한 가멘트가 대리인 위임 번호 제 CM1637Q 호로 공동출원된 특허 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적합한 가멘트는 탄성화된 허리밴드, 제 1 및 제 2 구역을 갖는 전방 패널, 제 1 및 제 2 구역을 갖는 후방 패널, 상기 후방 패널과 전방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 패널을 후방패널에 연결시키는 가랑이 영역 및 한쌍의 탄성화된 다리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패널의 제 1 구역은 전방 패널의 제 2 구역보다 큰 측방향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상기 후방 패널의 제 1 구역은 후방 패널의 제 2 구역보다 큰 측방향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상기 가랑이 영역은 언더가멘트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를 제공받는다.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는 가랑이 영역을 착용자의 피부 표면에 순응시키도록, 가랑이 영역의 신장을 종방향으로 제한한다. 전방 신장 조절 부재는 전방 패널에 배치되고,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로부터 상기 허리밴드까지 연장한다. 후방 신장 조절 부재는 상기 후방 패널에 배치되고,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로부터 허리밴드까지 연장한다.
상기 적합한 가멘트는 필요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당해 분야에 공지될 수 있는 물질로 조립될 수 있지만, 다양한 구성요소의 기계적 특성이 특정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된 편성 패턴과 사용되는 방사의 조합물에 의해 제공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멘트는 편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는 가랑이 영역과 일체형으로 편성되고, 상기 전방 신장 조절 부재는 전방 패널과 일체형으로 편성되며, 상기 후방 신장 조절 부재는 후방 패널과 일체형으로 편성된다.
또한, 둘 이상의 상기 요소를 상기 제품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예비절첩된 흡수 패드는 전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신장성 가멘트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는, 예비절첩되지 않은 패드는 저장 도중 연장된 상태에 존재하는 탄성에 의해 Ω형 배치를 취할 수 있고, 적용시 Ω형 배치를 생성하고, 상기 패드는 Ω형을 지탱하기 위한 특정부 없이 팬티와 같은 종래의 신장성 가멘트로 대체될 수 있고, 또는 개선된 Ω형 지지 가멘트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또는 적재 대역에 리프팅력을 제공하기 위한 MD 배향된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예비절첩된 일체형 제품과 신체 접착제의 조합물이 적합할 수 있다.
힌지 라인(hinge line)
전술된 바와 같이, ″요철″ 변화는 임의로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장소에서 발생해야 한다. 이러한 요철 변화가 상기 제품의 최강성 요소인 경우, 요철 변화는 상기 제품에서, 특히 흡수 코어에서 ″힌지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수단 없이, 상기 변화는 착용자의 다리를 구속하지 않는 가랑이 영역 외부, 전방 및 후방 영역 둘다에서 일반적으로 다소 발생하고, 상기 Ω형은 수평하여, 구조체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형 또는 약화를 일으키는 변화를 다소 보다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흡수 구조체내에 힌지 라인을 생성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는 상기 변화 영역을 오목한 융기 내지 볼록한 융기로 규정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이러한 힌지 라인은 절단, 또는 엠보싱(즉, 흡수을 통한 고밀도 라인을 생성하여 상기 고밀도의 가장자리에서 휘는 것을 용이하게 함), 또는 저밀도 라인(즉, 낮은 기본 중량 물질 영역을 갖는 제품을 형성하나, 동일한 캘리퍼를 유지시킴으로써 생성됨)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요철 변화를 증강시키기 위한 힌지 라인은 코어의 외부 종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야 하고, 또는 종방향 중심선의 방향으로 상기 제품의 요소를 결정시키는 강성, 즉 힌지 라인은 종방향 배향을 갖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힌지 라인은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특정한 설계, 및 착용 대상 그룹의 인체에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힌지 라인의 길이는 채택하기 용이하다. 또한, 여러개의 독립 라인들은 상기 변화 대역중 하나에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선이 다른 선으로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 라인은 강도에서, 또는 일체성에서, 특히 사용도중 불필요한 손실을 일으키므로 흡수 부재의 전체 너비를 통해 진행하지 않는다.
상기 힌지 라인은 절단, 또는 엠보싱(즉, 흡수 코어와 같은 강성 부재 전체에 고밀도 라인을 생성시키므로, 상기 고밀도 라인의 가장자리를 휘게하기 용이함), 또는 저밀도 라인(예, 상기 강성 요소에서 낮은 기본 중량 대역 물질을 생성하고, 주위의 보다 높은 기본 중량 영역보다 낮은 수준으로 이 물질을 조밀화시킴으로써 성취됨)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흡수 요소의 밀도 용량 및 최종 저장 용량
흡수 제품을 다양한 말단 용도 조건, 또는 상이한 크기의 제품과 비교하기 위해, ″설계 용량″이 적합한 측정치임을 발견하였다.
예컨대, 아기는 전형적인 사용자 그룹이지만, 상기 그룹내에서 뇨적재 양, 적재 빈도, 뇨의 조성물은 어린 아기(신생아) 내지 한쪽으로 아장아장 걷는 아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개개의 아장아장 걷는 아기에까지 광범위하게 다양하다.
다른 사용자 그룹은 특정한 형태의 실금을 겪는 보다 큰 어린이이다.
또한, 성인 실금자는, 심각한 실금이하 범위의 일반적으로 소실금으로 지칭되는 광범위한 적재 조건을 갖는 상기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제부터, 상기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제품은 ″설계 용량″으로 앞서 지칭된 뇨의 양에 대한 선발능을 가져야한다.
임의의 경우 단지 소량의 유체가 착용자 방향으로 상기 제품의 표면에 남아있도록, 상기 양의 유체는 최종적으로 신체의 유체, 또는 적어도 이의 수성부를 저장할 수 있는 물질에 의해 흡수되어야 한다. 용어 ″최종적″은 한편으로 장시간 착용에서 상기 흡수 제품의 상태, 다르게는 흡수 물질이 이의 환경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 ″최종″ 용량에 도달하는 흡수 물질의 상태를 지칭한다. 이는 장시간 착용 후 실제 사용 조건 하에서 흡수 제품에 존재할 수 있고, 또한 순수한 물질 또는 물질 복합체에 대한 시험 과정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 고려중인 다수의 상기 방법은 점근적인 운동성 행동을 가지므로,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예를들어 실제 용량이 실험 측정치 정확도에 비례하는 점근적 종점에 충분히 근접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최종″ 용량에 도달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흡수 제품은 최종적으로 유체를 저장하도록 주로 설계된 물질, 및 유체의 포획 및/또는 분배와 같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로 설계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정한 최종 저장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코어 물질은 상기 기능을 인위적으로 분리시키려는 시도를 하지 않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종 저장능은 전체 흡수 코어, 이의 영역, 흡수 구조체, 또는 하위 구조체이외에 상기 임의로 사용된 물질에 대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이한 말단 용도를 필요로하는 다른 제품에 적용시키는 경우,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다른 사용 대상 그룹에 대한 적합한 설계 용량을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다.
흡수 제품의 최종 설계 저장능을 결정하거나 평가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제품의 최종 저장능은 각각의 요소 또는 물질의 최종 흡수 용량의 합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비교를 통해 일정하게 적용되는 한 각종 제정된 기술을 적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초흡수성 중합체를 위해 개발되고 제정된 티백 윈심분리기 용량은 상기 물질 뿐만 아니라, 다른 물질(상기를 참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물질에 대한 용량이 일단 공지되면, 전체 제품 용량은 상기 제품에 사용된 물질의 중량과 상기 용량값(㎖/g)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포획층 등과 같은 유체의 최종 저장이외의 다른 제공된 기능을 갖는 물질에 대해, 사실상 상기 물질은 제공된 최종 유체 저장 물질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용량만을 갖고, 또는 상기 물질은 유체로 적재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상기 최종 저장능은 무시할 수 있고, 다른 최종 저장 물질에 이의 유체를 방출시켜야 한다.
상기 정의와 함께, 예를들어 소위 ″팬티 라이너″ 제품은 최종 저장 용량이 수㎖ 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난다. 여성 위생용 패드는 약 20㎖ 이하, 뇨 소실금자용 제품은 75㎖ 또는 약 90㎖, 중간 뇨 실금자용 제품 또는 어린 아기 기저귀는 약 165㎖, 아장아장 걷는 아기 기저귀는 300㎖ 이상, 및 심각한 성인 실금자용 제품은 600㎖ 이상의 최종 저장 용량을 갖는다.
티백 원심분리기 용량 시험
티백 원심분리기 용량 시험은 수압기에서 겔화 물질내 유체 보유 측정치인 티백 원심분리기 용량값을 측정한다.
초흡수성 물질을 ″티백″내에 놓고, 20분 동안 0.9 중량%의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지시키고, 3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보유된 액체 중량 대 건조 초흡수성 물질의 초기 중량 비는 상기 초흡수성 물질의 흡수 용량이다.
증류수 중 0.9 중량%의 염화나트륨 2ℓ을 치수가 24㎝×30㎝×5㎝인 접시에 부었다. 상기 액체를 채운 높이는 약 3㎝이어야 한다.
상기 티백 주머니의 치수는 6.5㎝×6.5㎝이고, 독일 듀셀도르프 소재의 티칸네(Teekanne)사에서 시판중이다. 상기 주머니는 표준 부엌 플라스틱 가방 밀봉 장치로 가열밀봉 가능하다(예, 독일 크루프스사의 VACUPACK2PLUS).
상기 티백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조심스럽게 개봉하고 칭량한다. 0.200g +/- 0.005g의 초흡수성 물질을 상기 티백에 넣었다. 그다음, 상기 티백을 가열 밀봉기로 페쇄시켰다. 이를 샘플 티백이라 지칭한다.
빈 티백을 밀봉시키고 바탕검정으로서 사용한다.
각각의 티백을 수평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샘플 티백을 흔들어 이 봉지를 통해 초흡수성 물질을 균일하게 분배시킨다. 상기 샘플 티백 및 바탕검정 티백을 염수 용액의 표면에 두고, 약숟가락을 사용하여 약 5초동안 침지시켜 완전히 습윤시킨다(상기 티백은 염수 용액의 표면상에 뜨지만, 완전히 습윤된다). 타이머를 즉시 출발시킨다.
20분의 침지 시간 후, 상기 샘플 티백 및 바탕검정 티백을 염수 용액으로부터 제거하고, 바우크네흐트(Bauknecht) WS130, 보쉬(Bosch) 772 NZK096, 또는 동일한 원심분리기(직경 230㎜)내에 두어, 각각의 봉지가 원심분리기 바스켓의 외부 벽에 고착된다. 상기 원심분리기 뚜껑을 닫고 작동시켜 속도를 1,400rpm으로 신속하게 증가시킨다. 원심분리기가 1,400rpm에서 일단 안정화되면,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3분 후, 원심분리기를 정지시킨다.
상기 샘플 티백 및 바탕검정 티백을 제거하고 개별적으로 칭량한다.
초흡수성 하이드로겔 형성 물질을 갖는 샘플에 대한 티백 원심분리기 용량(TCC)은 하기와 같이 계산한다:
TCC=[(원심분리후 샘플 티백 중량)-(원심분리후 바탕검정 티백 중량)-(건조 초흡수성 하이드로겔 형성 물질 중량)]/(건조 초흡수성 물질 중량)
흡수 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멘트
착용자의 신체상 적합한 위치에 상기 흡수 요소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품의 뇨 적재 대역에 적어도 Ω형을 성취 및/또는 유지시키기 위한 주요한 수단은 개별적 가멘트이다.
이로 인해, 흡수 부재의 상향으로 배향된 볼록한 형상(즉, Ω형)은 가랑이 영역에서 상향 배향력(사용 도중 착용자 방향으로)을 생성시키는 개별적 수단에 의해 지탱될 수 있다.
가멘트의 일반적 기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금자용 가멘트(420)의 전면도 및 후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멘트(420)는 제 1 구역(436) 및 제 2 구역(438)을 포함하는 전방 패널(430), 제 1 구역(446) 및 제 2 구역(448)을 포함하는 후방 패널(440), 가랑이 영역(450), 한 쌍의 탄성화된 다리 개구(460), 및 탄성화된 허리밴드(422)를 포함한다. 상기 가멘트(420)는 또한 가멘트(420)내로 침입을 허용하는 허리 개구(421)를 제공받는다. 상기 가멘트(420)는 가랑이 영역(450)에서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 전방 패널(430)에 배치되고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에서 상기 허리밴드(422)로 연장하는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 및 후방 패널(440)에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에서 허리밴드(422)로 연장하는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를 포함한다. 상기 요소는 각각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멘트(420)가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위치해 있고, 여기서 각각의 측부(432, 434)는 천공되고 탄성 구성요소는 수평하게 잡아끌려져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또한 가멘트(420)에 대한 바탕검정의 평면도로 고려할 수 있다(하기 가멘트 형성을 참조). 도 5 내지 도 3으로부터 알수 있듯이, 가멘트(420)는 종방향 중심선(L) 및 횡방향 중심선(T)을 갖는다. 도 5에서 또한 분명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멘트(420)는 종방향축(L)에 대해 대칭적이고 횡방향축(T)에 대해 대칭적이다. 가멘트(420)는 또한 종방향축(L)에 대해 대칭적이고 횡방향축(T)에 대해 비대칭적일 수 있다.
상기 가멘트(420)는 직물, 부직물, 또는 편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멘트(420)는 편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편성 수단은 상기 가멘트(420)의 최종 너비의 대략 1/2로 솔기가 없는 관식 바탕검정을 먼저 편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관식 바탕검정은 모래시계형 편성으로 최종 언더가멘트(420)에 다리 개구(460)를 위해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천공된 관부는 절단되어 상기 다리 개구(460)를 제공할 수 있다(하기 가멘트 형성을 참조).
탄성화된 허리밴드
전술된 바와 같이, 허리 개구(421)는 본 발명의 가멘트(420)내로 침입이 허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리 개구(421)는 탄성화된 허리밴드(422)를 제공받아, 상기 허리 개구(421)가 착용자의 허리와 근접하게 일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탕검정의 말단과 각각 인접한, 라이크라(Lycra 등록상표) 또는 스판덱스(SPANDEX) 물질과 같은 탄성 부재를 제공하고, 각각의 말단 그자체와 C절첩하여 말단 가장자리(423, 424)를 형성하고, 전방 패널(430) 및 후방 패널(440)의 말단을 밀봉하여 허리 개구(421) 및 탄성화된 허리밴드(422)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탄성화된 허리밴드(42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화된 허리밴드(422)는 동일한 방사를 포함하고, 전방 패널(430) 및 후방 패널(440)과 일체형으로 편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화된 허리밴드(422)는 둥근 모양의 가장자리 장식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화된 허리밴드(422)에 대해 특히 바람직한 편성패턴은 평편직 편환 및 플로트 편환의 조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4번째 웨일 마다 분명한 플로트 편환이 제공된다.
전방 패널
도 3 및 4에에서 알 수 있듯이, 전방 패널(430)은 후방 패널(440)과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 및 엉덩이를 둘러싸는 가멘트(420)의 부분이다. 도 3 및 4에서 알수 있듯이, 전방 패널(430), 후방 패널(440) 및 가랑이 영역(450)은 또한 다리 개구(460)를 규정하기 위해 연결된다(하기에 상세히 기술됨). 전방 패널(430)은 제 1 구역(436) 및 제 2 구역(438)을 포함한다.
다른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예를들어 전방 패널(430)은 직물 또는 부직물로부터 적합한 형태로 절단될 수 있고, 상기 가멘트(420)의 남아 있는 일부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방 패널(430)은, 탄성적 연장성 방사 및 비탄성적 연장성 방사의 조합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편성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지 편성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명백한, 각각의 방사의 탄성 특성 및 특정한 편성 패턴은 설계자에 의해 사용되어 전방 패널(430)의 기계적 특성을 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전방 패널(43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편성, 바람직하게는 저지 편성, 나일론 및 북캐롤리나주 그린스보로 소재의 유니피 인코포레이티드(Unifi Inc.)에서 시판중인, 라이크라 또는 스판덱스 방사의 다른 과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상기 전방 패널(43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편성, 바람직하게는 저지 편성일 수 있고, 모든 과정에서 적합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라이크라 또는 스판덱스 방사를 사용할 수 있다. 전방 패널(430)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하기 설명으로 명백하듯이,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다른 방사를 사용하는 다른 편성 패턴을 규정하여 상기 기계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직물 또는 부직물을 포함하는 상기 기계적 특성을 갖는 전방 패널(430)을 또한 계획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제 1 구역 (436)은 제 2 구역(438) 보다 측방향으로 보다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구역(436)은 제 2 구역(438)보다 종방향으로 보다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제 2 구역(438)의 큰 탄성 연장성으로 인해 상기 가멘트(420)를 각종 신체 형태 및 크기에 맞출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큰 순응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구역(436), 특히 측방향으로 보다 큰 신장 저항성은 착용자의 운동의 전체 범위에 걸쳐 흡수 요소에 대해 ″z방향″ 편향력을 제공한다. 상기 편향력은 상기 가멘트(420)에 결착된 흡수 요소를 신체에 근접하게 접촉시켜 유지시키는 것을 돕는다.
후방 패널
전술된 바와 같이, 후방 패널(440)은 전방 패널(430)과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 및 엉덩이를 둘러싸는 상기 가멘트(420)의 일부이다. 후방 패널(440)은 제 1 구역(446) 및 제 2 구역(448)을 포함한다.
다른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예를들어 후방 패널(440)은 직물 또는 부직물로부터 적합한 형태로 절단될 수 있고, 상기 가멘트(420)의 남아있는 일부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방 패널(440)은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편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적 연장성 방사 및 비탄성적 연장성 방사의 조합물로부터 저지 편성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명백한, 각각의 방사의 탄성 특성 및 특정한 편성 패턴은 설계자에 의해 사용되어 후방 패널(440)의 기계적 특성을 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후방 패널(44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편성, 바람직하게는 저지 편성, 나일론, 및 북캐롤리나주 그린스보로 소재의 유니피 인코포레이티드사에서 시판중인 라이크라 또는 스판덱스 방사의 다른 과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후방 패널(44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편성, 바람직하게는 저지 편성일 수 있고, 모든 과정에서 적합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라이크라 또는 스판덱스 방사를 사용할 수 있다. 후방 패널(440)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하기 기술로부터 명백하듯이,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다른 방사를 사용하는 다른 편성 패턴을 규정하여 상기 기계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직물 또는 부직물을 포함하는 상기 기계적 특성을 갖는 후방 패널(440)을 또한 계획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제 1 구역(446)은 제 2 구역(448)보다 측방향으로 보다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구역(446)은 제 2 구역(448)보다 종방향으로 보다 큰 신장 저항성을 또한 갖는다. 제 2 구역(448)의 큰 탄성 연장성으로 인해 상기 가멘트(420)를 각종 신체 형태 및 크기에 맞출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큰 순응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구역(446)의 신장 저항성은 착용자의 운동의 전체 범위에 걸쳐 흡수 요소에 대해 ″z방향″ 편향력을 제공한다. 상기 편향력은 상기 가멘트(420)에 결착된 흡수 요소를 신체에 근접하게 접촉시켜 유지시키는 것을 돕는다.
가랑이 영역
가랑이 영역(450)은 전방 패널(430) 및 후방 패널(440) 사이의 본 발명의 언더가멘트(420)의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위치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450)은 전방 패널(430) 및 후방 패널(440)과 연결되어 다리 개구(460)를 규정한다. 도 5에 가장 분명히 제시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는 가랑이 영역(450)의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배치된다. 가랑이 영역은 탄성화된 다리 개구(460) 사이 거리의 가교 역할을 한다.
다른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예를들어 가랑이 영역(450)은 직물 또는 부직물로부터 적합한 형태로 절단될 수 있고, 상기 가멘트(420)의 남아있는 부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랑이 영역(450)은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편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적 연장성 방사 및 비탄성적 연장성 방사의 조합물로부터 저지 편성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명백한, 각각의 방사의 탄성 특성 및 특정한 편성 패턴은 설계자에 의해 사용되어 가랑이 영역(450)의 기계적 특성을 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45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편성, 바람직하게는 저지 편성, 나일론 및 북캐롤리나주 그린스보로 소재의 유니피 인코포레이티드사에서 시판중인 라이크라 또는 스판덱스 방사의 다른 과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45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편성, 바람직하게는 저지 편성이고, 모든 과정에서 적합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라이크라 또는 스판덱스 방사를 사용할 수 있다. 가랑이 영역(450)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하기의 기술로부터 명백하듯이,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다른 방사를 사용하는 다른 편성 패턴을 규정하여 상기 기계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직물 또는 부직물을 포함하는 상기 기계적 특성을 갖는 가랑이 영역(450)을 또한 계획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랑이 영역(450)은 탄성화된 다리 개구(460) 또는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보다 낮은 종방향 신장 모듈러스를 갖는 편성 물질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랑이 패널(450)은 편성 패턴 및 고도의 연장성을 갖는 방사를 사용한 전방 패널(430) 및 후방 패널(440)을 갖도록 일체형으로 편성된다.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
전술된 바와 같이,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는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가랑이 영역(450)의 신장을 규정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는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가랑이 영역(450)의 종방향으로 배향된 신장을 규정한다. 이론에 국한됨이 없이, 출원인은 상기 종방향 신장 규정이 후방 패널(440) 및 전방 패널(430)로부터 가랑이 영역(450)으로 ″z방향″ 편향력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고 생각한다. 상기 힘의 이동은 가랑이 영역(450) 및 배치된 임의의 실금자용 장치(100)를 착용자의 광범위한 운동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에 대향하여(특히, 가멘트(420)의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근접하게 고정시킨다.
발명자는 착용자의 신체, 특히 본원에 기술된 가랑이 영역에 대한 본 발명의 가멘트의 근접한 순응성 및 이와의 접촉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가멘트(420)는 특히 착용하기에 편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당해분야의 가멘트 및/또는 언더가멘트가 안장띠와 같은 탄성화된 리프팅 부재, 또는 매우 단단한 전체적 고정에 의한 가랑이 영역에 대한 순응성을 이루도록 시도해왔다. 상기 언더가멘트는 불편한 것으로 종종 기술된다. 특히, 안장띠형 언더가멘트의 불편함에 대한 하나의 근원은 착용자의 항문에 대한 압력이다. 항문을 둘러싸는 티슈는 압력에 특히 민감하고, 항문에 적용되는 압력으로 인해 불편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3,608,551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안장띠형 언더가멘트는 탄성적 연장성 부재를 전형적으로 사용하여 착용자의 회음부에 대향하여 흡수 제품을 밀봉하기 위한 리프팅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 부재는 상기 언더가멘트를 착용하는 경우 착용자의 항문위에 위치한 언더가멘트와 보통 결합한다. 결과로서, 착용자의 회음부에 대향하여 흡수 제품을 밀봉하는 바람직한 리프팅력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항문에 대해 불편한 압력이 존재한다. 반면, 본 발명의 가멘트(420)는 전술된 ″z방향″ 편향력을 분배하여, 착용자의 항문에 대한 비수용적 압력 없이 광범위한 착용자의 운동을 통해 신체 접촉을 유지시킨다.
도 5에서 가장 분명히 도시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는 가랑이 영역(450)에서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는 가랑이 영역(450)과 결합된 개별적 요소일 수 있고, 또는 가랑이 영역(450)과 일체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는 가랑이 영역(450)과 일체형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 및 가랑이 영역(450)은 일체형으로 편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는,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가랑이 영역(450)에서 특히 종방향으로 배향된 신장을 규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용도에 대해,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는 가랑이 영역(450)보다 더욱 큰 신장 모듈러스를 갖는 임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종방향 조절 부재(452)는 고도의 모듈러스 필름 물질 또는 비교적 높은 모듈러스를 갖는 단일 스트랜드의 방사 또는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체형으로 편성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에 대해,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는, 가랑이 영역에 대해 사용된 동일한 방사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신장 조절 부재(452)를 포함하는 방사는 신장 제한으로서 당해 분야에 공지된 패턴으로 편성된다. 예컨대,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는 이의 다른 과정의 편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탄성 방사는 플로트되어 당해 분야에 공지된 추가의 신장 저항성을 갖는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에 대한 적합한 방사는 가랑이 영역(450)에 대해 적합하다고 밝혀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사 또는 방사의 조합물이다.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는 상기 전방 패널(430)의 제 1 구역(436)보다 종방향에서 더욱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는 상기 후방 패널(440)의 제 1 구역(446)보다 종방향에서 더욱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전방 신장 조절 부재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는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와 결합하여 가랑이 영역(450)에서 특히 가멘트(420)의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z방향″ 편향력을 제공한다. 상기 편향력은 가랑이 영역(450), 특히 이의 내부에 배치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를 리프팅하는 것을 도우므로, 가랑이 영역상에 배치될 수 있는 임의의 흡수 요소가 신체에 근접하게 접촉한다. 특히, 출원인은 상기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가 허리밴드(422)에 대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에 의해 제공되는 힘의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가랑이 영역(450)을 신체에 근접하게 접촉시키는 것을 돕는다고 생각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는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z방향″ 편향력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는 전방 패널(430)에서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는 상기 전방 패널(430)의 제 1구역(436)을 2개의 동일 구역으로 분리시킨다.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는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전방 패널(430)과 결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는 전방 패널(430)의 제 1 구역(436)과 일체형으로 편성된다.
힘의 방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는 전방 패널(430)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436, 438)보다 낮은 신장을 가져야 한다. 상기 보다 낮은 신장을 제공하기 위해,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는 전방 패널(430)보다 더욱 높은 신장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 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것으로서 보다 큰 신장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는 편성 패턴을 갖는 편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도의 신장 모듈러스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물질 또는 비교적 높은 모듈러스를 갖는 단일 스트랜드의 방사 또는 모노필라멘트(예, 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와 같은 고도의 모듈러스 필름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는 전방 패널(430)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436, 438)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서 동일한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436, 438)보다 낮은 신장을 갖는 편성 패턴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편성된다. 즉, 전방 패널(430)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436, 438)에 대해 전술된 방사가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에 대해 또한 적합하다.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에 대해 특히 바람직한 편성 패턴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편환을 사용하여 감소된 신장을 제공한다. 예컨대, 턱 편환 패턴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후방 신장 조절 부재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는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와 결합하여 ″z방향″ 편향력을 제공한다. 상기 편향력은 가랑이 영역(450), 특히 이에 배치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를 리프팅하는 것을 도우므로, 가랑이 영역상에 배치될 수 있는 임의의 흡수 요소가 신체에 근접하게 접촉한다. 특히, 출원인은 상기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가 허리밴드(422)에 대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에 의해 제공되는 힘의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가랑이 영역(450)을 신체에 근접하게 접촉시키는 것을 돕는다고 생각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는 ″z방향″ 편향력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는 후방 패널(440)에서 종방향 중심선(L)으로부터 이격된 2개의 라인을 따라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로부터 바람직하게 연장한다. 종방향 중심선(L)으로부터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를 이격시킴으로써,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의 고압력이 종방향 중심선(L)으로부터 멀리 전환된다. 출원인은 이것이 후방 패널(440)의 제 1 구역(446)을 항문 위에 위치시키므로 특히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 1 구역(446)이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보다 종방향 및 측방향에서 둘다 보다 낮은 신장 저항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 1 구역은 보다 낮은 압력하에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보다 낮은 압력 연장 대역은 BM을 함유하도록 연장가능한 후방 패널(440)에서 주머니(458)를 생성한다.
상기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는 후방 패널(440)과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는 후방 패널(440)과 일체형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는 후방 패널(440)의 제 1 구역(446)과 일체형으로 편성된다.
힘의 방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는 후방 패널(440)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446, 448)보다 낮은 신장을 가져야 한다. 상기 보다 낮은 신장을 제공하기 위해,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는 후방 패널(440)보다 더욱 높은 신장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 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것으로서 보다 큰 신장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는 편성 패턴을 갖는 편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도의 신장 모듈러스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물질 또는 비교적 높은 모듈러스를 갖는 단일 스트랜드의 방사 또는 모노필라멘트(예, 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와 같은 고도의 모듈러스 필름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는 후방 패널(440)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446, 448)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서 동일한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446, 448)보다 낮은 신장을 갖는 편성 패턴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편성된다. 즉, 후방 패널(440)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446, 448)에 대해 전술된 방사가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에 대해 또한 적합하다.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에 대해 특히 바람직한 편성 패턴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편환을 사용하여 감소된 신장을 제공한다. 예컨대, 턱 편환 패턴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탄성화된 다리 개구
도 3 내지 도 5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가멘트(420)는 한쌍의 탄성화된 다리 개구(460)를 또한 제공받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전방 패널(430), 후방 패널(440) 및 가랑이 영역(450)은 연결되어 각각의 다리 개구(460)의 주변부를 규정한다. 상기 주변부는 다리 개구(460)의 탄성화에 대해 다리 탄성(462)을 제공받는다. 다리 탄성(462)은 다리 각각의 주변부에 대해 신체 유체의 유출을 밀봉한다.
다리 탄성(462)은 최소의 수축력을 제공하여 신체 유체 유출에 대향한 다리 개구(460)의 주변부를 밀봉시키는 것을 도와야 하지만,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시킬 정도의 큰 수축력을 갖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착용 주기 도중 예상된 탄성 연장의 범위를 초과한 신장 모듈러스를 최소화하는 것은 착용자의 불편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시킨다. 즉, 다리 탄성이 사용 연장시 전형적으로 수축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경우, 상기 수축력은 상이한 착용자 다리 주변 또는 착용자 운동에 기인할 수 있는 보다 큰 연장에 대해 실질적으로 증가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다리 탄성(462)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된 수단을 사용하여 전방 패널(430), 후방 패널(440) 및 다리 개구(460)의 주변부에 대해 가랑이 영역(450)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리 탄성(462)은 다리 개구(460)를 둘러싸는 측부 가장자리(425, 426, 427, 428)의 일부와 결합한다(다리 개구의 주변부를 형성한다). 예컨대, 다리 탄성(462)은 편환과 같은 접착제 수단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전방 패널(430), 후방 패널(440) 및 가랑이 영역(450)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편성 가멘트(420)에 대해, 다리 탄성(462)은 편환에 의해 전방 패널(430), 후방 패널(440) 및 가랑이 영역(450)과 바람직하게 결합한다.
언더가멘트 형성
가멘트(420)에 대해 바탕검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수단을 사용하는 관식 형태로 제 1 편성된다. 특히, 전방 패널(430), 후방 패널(440) 및 가랑이 영역(450)은 일체형으로 편성된다. 전방 패널(430)의 제 1 구역(436)은 내부에 상기 스트립 일체형 편성을 가짐으로써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를 제공받는다. 후방 패널(440)의 제 1 구역(446)은 내부에 상기 스트립 일체형 편성을 가짐으로써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를 제공받는다. 유사하게, 가랑이 영역(450)은 일체형으로 편성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를 제공받는다. 전술된 적합한 편성 패턴이 사용된다.
관식 바탕검정은 슬릿 웨일이고 천공된다. 다리 개구(460)를 또한 채우는 과량의 물질을 제거하여 도 5에 도시된 가멘트(420)의 평면도와 유사한 모양을 갖는 가멘트(420)에 대한 수평한 바탕검정을 형성한다. 도 5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멘트에 대한 바탕검정은 전방 말단 가장자리(423), 후방 말단 가장자리(424), 전방 측부 가장자리(425, 426), 및 후방 측부 가장자리(427, 428)를 갖는다.
다리 탄성(462)은 전술된 바와 같이 다리 개구(460)의 주변부 주위에서 가멘트(420)와 결합된다. 가멘트(420)에 대한 바탕검정은 횡중심선(T) 주위에서 절첩되고, 다리 개구(460) 및 말단 가장자리(423, 424) 사이에 놓인 측부 가장자리의 대향부가 결합하여 가멘트(420)의 조립을 완성시키는 측부 솔기(432, 434)를 형성한다(즉, 전방 패널(430)에서 다리 탄성(462)의 말단 및 말단 가장자리(424) 사이에 놓인 측부 가장자리(425)의 부분은, 후방 패널(440)에 놓인 다리 탄성(462)의 말단 및 말단 가장자리(423) 사이에 놓인 측부 가장자리(427)의 부분과 결합하여 솔기(432)를 형성한다. 측부 가장자리(426)는 동일한 방식으로 측부 가장자리(428)와 결합하여 솔기(434)를 형성한다.).
다르게는, 관식 편성 바탕검정의 부분이 절단되어 다리 개구(460)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관식 바탕검정은 평평하여 이의 내면을 서로 접촉시키고 한 쌍의 종방향으로 배향된 측부 가장자리를 형성시킨다. 다리 개구 전구체는, 반원, 반타원 또는 수평한 바탕검정을 따라 규칙적 간격에서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바람직한 형태를 갖는 매칭부를 절단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가멘트 바탕검정은 소정의 반복 패턴에서 수평한 관식 바탕검정을 횡방향으로 절단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여기서 다리 개구 전구체가 제거되지 않는 물질을 가로 질러 제 1 횡방향 절단을 실시하고, 가랑이부 전구체를 생성하는 경우, 허리 개구(421)를 형성시키는 수평한 관식 바탕검정의 전체 너비를 가로질러 제 2의 횡방향 절단을 실시한다. 다리 탄성(462)은 각각의 다리 개구(460)의 주변부 주위에 배치되고 이와 결합된다. 제 1의 횡방향 절단에 의해 형성된 2개의 말단은 하나의 횡방향 솔기와 결합하여 가랑이 영역(450)을 완성시킨다. 가멘트(420)는, 허리 개구(421) 주변부 주위에 탄성화된 허리밴드(422)를 배치시키고, 이와 탄성화된 허리밴드(422)를 결합시킴으로써 종결된다.
다른 양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멘트(520)의 다른 양태에 대한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가멘트(520)는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의 배치를 제외하고 가멘트(420)와 동일하다.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는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552)와 결합하여 ″z방향″ 편향력을 제공한다. 상기 편향력은 가랑이 영역(550), 특히 내부에 배치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552)를 리프팅하는 것을 도우므로, 가랑이 영역상에 배치될 수 있는 흡수 요소를 신체에 근접하게 접촉한다. 특히, 출원인은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가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552)에 의해 제공되는 힘의 방향을 허리밴드(522)로 진행시켜 가랑이 영역(550)을 신체에 근접하게 접촉시키는 것을 돕는다고 생각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는 ″z방향″ 편향력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는 이의 길이부를 따라 종방향 중심선(L)으로부터 이격된 2개의 아치형 라인을 따라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552)로부터 바람직하게 연장하고, 그리고 나서 집중되어 허리밴드(522)에 도달하기 전에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단일선을 형성한다. 종방향 중심선(L)으로부터 이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를 이격시킴으로써,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의 고압력은 주머니(558)를 생성하는 종방향 중심선(L)로부터 멀리 전환된다. 출원인은 가멘트(520)의 설계가 주머니(558)를 항문 위로 위치시킴으로써 특히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주머니(558)는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보다 종방향 및 측방향에서 보다 낮은 신장 저항성을 가지므로, 상기 주머니(558)는 보다 낮은 압력하에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보다 낮은 압력 연장 대역은 BM을 함유하도록 연장가능한 후방 패널(540)에서 주머니(558)를 생성한다.
상기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는 후방 패널(540)과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는 후방 패널(540)과 일체형이다. 도 6에 도시된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는 후방 패널(540)의 제 1 구역(546)과 일체형으로 편성된다.
힘의 방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는 후방 패널(540)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546, 548)보다 낮은 신장을 가져야 한다. 상기 보다 낮은 신장을 제공하기 위해,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는 후방 패널(540)보다 더욱 높은 신장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 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것으로서 보다 큰 신장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는 편성 패턴을 갖는 편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도의 신장 모듈러스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물질 또는 비교적 높은 모듈러스를 갖는 단일 스트랜드의 방사 또는 모노필라멘트(예, 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와 같은 고도의 모듈러스 필름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는 후방 패널(540)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546, 548)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서 동일한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546, 548)보다 낮은 신장을 갖는 편성 패턴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편성된다. 즉, 후방 패널(540)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546, 548)에 대해 전술된 방사는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에 대해 또한 적합하다.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에 대해 특히 바람직한 편성 패턴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편환을 사용하여 감소된 신장을 제공한다. 예컨대, 턱 편환 패턴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멘트(620)의 다른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가멘트(620)는 측부 패널(680)의 첨가를 제외하고 가멘트(420)와 동일하다.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측부 패널(680)은 전방 패널(630) 및 후방 패널(640)과 결합하여 착용자의 허리 및 엉덩이를 둘러싸는 가멘트(620)의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부 패널(680)은 전방 패널(630)의 제 2 구역(638)과 후방 패널(640)의 제 2 구역(648)을 결합시키는 가멘트(620)의 부분이다.
다른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예를들어 측부 패널(480)은 직물 또는 부직물로부터 적합한 형태로 절단될 수 있고, 상기 가멘트의 남아 있는 일부와 결합할 수 있다. 측부 패널(680)은, 탄성적 연장성 방사 및 비탄성적 연장성 방사의 조합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편성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지 편성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명백한, 각각의 방사의 탄성 특성 및 특정한 편성 패턴은 설계자에 의해 사용되어 측부 패널(680)의 기계적 특성을 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측부 패널(68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편성, 바람직하게는 저지 편성, 나일론 및 북캐롤리나주 그린스보로 소재의 유니피 인코포레이티드사에서 시판중인, 라이크라 또는 스판덱스 방사의 다른 과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측부 패널(68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편성, 바람직하게는 저니 편성일 수 있고, 모든 과정에서 적합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라이크라 또는 스판덱스 방사를 사용할 수 있다. 측부 패널(680)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하기 설명으로 명백하듯이,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다른 방사를 사용하는 다른 편성 패턴을 규정하여 상기 기계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직물 또는 부직물을 포함하는 상기 기계적 특성을 갖는 측부 패널(680)을 또한 계획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양태에 있어서, 측부 패널(680)은 전방 패널(630)의 제 2 구역(638) 및 후방 패널(640)의 제 2 구역(648)보다 측방향에서 더욱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부 패널(680)은 전방 패널(630)의 제 2 구역(638) 및 후방 패널(640)의 제 2 구역(648)보다 종방향에서 더욱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상기 도시된 양태에 있어서, 전방 패널(630)의 제 1 구역(636)은 상기 측부 패널(680)보다 측방향에서 더욱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상기 후방 패널(640)의 제 1 구역(646)은 상기 측부 패널(680)보다 측방향에서 더욱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전방 패널(630)의 제 1 구역(636)은 상기 측부 패널(680)보다 종방향에서 더욱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후방 패널(640)의 제 1 구역(646)은 상기 측부 패널(680)보다 종방향에서 더욱 큰 신장 저항성을 갖는다.
사용도중, 제 2 구역(638, 648)은 최소의 신장 저항성을 제공하므로 먼저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력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측부 패널(680)은 팬티의 마지막 부분과 함께 옆으로 신장되어야만 제 1 구역(636, 646)을 연장시킨다. 제 1 구역(636, 646)은 실금자용 패드를 대신 유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다른 구역, 제 2 구역(638, 648) 및 측부 패널(680)은 신체에 근접하게 맞추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를 후방 패널(440)에서 종방향 중심선(L)으로부터 이격된 2개의 선을 따라 연장시키는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의 바람직한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후방 신장 조절 부재(456)와 동일한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의 구조체, 즉 종방향 중심선(L)으로부터 이격된 2개의 선을 따라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452)로부터 연장하는 전방 신장 조절 부재(454)를 갖는 구조체는 남성 생식기에 인접한 가멘트에 보다 낮은 압력 영역을 제공하여 남성 사용자에게 이로울 수 있다. 유사하게, 전방 신장 조절 부재는 도 6에 도시된 후방 신장 조절 부재(556)와 유사한 구조로, 신장 조절 부재보다 낮은 신장 저항성을 갖는 남성 생식기용 주머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멘트(720)의 다른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가멘트(720)는 탄성화된 다리 개구(760)의 배치를 제외하고 가멘트(20)와 동일하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탄성화된 다리 개구(760)는 도 3에 도시된 탄성화된 다리 개구(460)와 비교하여 보다 높게 절단된다. 탄성화된 다리 개구(760)의 보다 높은 절단은 다리 개구(460)보다 큰 개구를 제공한다. 추가로, 가멘트(720)는 가멘트(20)보다 더욱 적은 전체 물질을 사용한다.
Ω(오메가)형을 이루고 유지하기 위한 다른 수단
본 발명에서, 다수의 흡수 제품은 수평하게, 즉 특정한 3치수 형태를 갖지 않도록 제조된다. 상기 제품을 적용하는 사람(사용자 스스로, 또는 보모, 부모 등의 도와주는 사람)은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적용 단계에 의해 상기 제품을 적용시킬 수 있다.
흡수 제품을 착용자에게 적용시켜 가랑이 대역에서 적어도 바람직한 Ω형을 형성시키는 경우라도, 정상 사용시 운동 또는 적재 그자체는 충분히 긴 기간동안 나타날 수 있는 유지불가능한 Ω형을 생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Ω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착용자에게 상기 제품을 적용시키고 또한 사용기간 도중 Ω형의 유지를 증강시키기 위한 수단을 상기 제품에 제공한다.
적용 도중 및 사용 도중 상기 기술된 형태를 형성시키도록 Ω번칭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가랑이 영역에서 흡수 부재를 변형시키거나 또는 이 변형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제품을 착용자에게 적용시키는 도중 Ω형을 이루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은 제조업자에 의해 적합한 형태로 상기 제품을 절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품을 종방향 연장 중심선을 따라 절첩시켜, 사용 도중 착용자에게 배향된 상면시이트는 외향으로 놓이고, 상기 중첩된 부의 내향으로 착용자의 옷의 외향으로 또는 옷방향으로 놓이는 상기 배면시이트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 및 특히 적재 영역을 포함해야 한다. 상기 절첩을 사용하여, 상기 제품을 적용하는 사람은 적용시 Ω번치된 형태를 이루기 용이한 수단을 갖는다.
다르게는, 상기 제품은 제조업자에 의한 임의의 수단으로 절첩될 수 있지만, 적용전에 Ω형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품을 적용하는 사람에 의해 수공으로 생성되는 경우 Ω형을 지지한다.
비Ω형 배치에 있는 경우, 상기 수단은 탄성부일 수 있고, 신장될 수 있고, 수축에 의해 Ω형을 형성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배면시이트부를 서로 결착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상기 제품을 착용자의 팬티에 결착시키기 위한 소위 ″팬티 패스닝 접착제″로서 여성 위생용 제품에 적용되는 접착제와 유사한 종래 방식으로 접착제 수단을 간단히 적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목적은 배면시이트부를 착용자의 옷에 대해서가 아니라 함께 결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는 제조 도중 적용시킬 수 있고, ″팬티 패스닝 접착제″로 널리 공지된 박리가능한 페이퍼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배면시이트의 각각의 부가 Ω형태를 함께 형성하기 전에, 적용시간에서 상기 박리가능한 페이퍼는 제거된다.
다르게는, Ω형은 상기 제품을 제조하는 도중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수평하고 융기되지 않은 형태에서 접착제 수단을 상기 제품에 적용시킬 수 있고, 상기 배면시이트의 각각의 부가 함께 취해져 번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Ω번칭 수단에 대한 추가 대안은 ″기계적 패스너″으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기계적 결착 수단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한 부에 적용되는 제 1 부재(예, 훅으로 제조됨)는 제 2 부재(예, 루프된 랜딩 대역)에서 기계적으로 구속한다.
배면시이트 각각의 부를 함께 결착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대안은, 일관된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종방향에서 서로에 대한 배면시이트 표면의 상대적 운동을 허용함으로써 수행한다. 상기 상대적 운동은, 걸을 때와 같은 착용자의 운동 도중 특정한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Ω형 터널은 다소 ″비틀려″지지만, 이의 기능성과 일반적인 Ω형을 손실하지 않는다.
상기 제품이 이동적인 사람, 침상에 고통받지 않는 성인, 또는 아장아장 걷는 아기에 의해 착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상기 제품은 걷는 도중 편안함을 증가시킴으로 특히 유용하다.
상기 부는 CD 방향 수축력 구성요소를 적어도 갖는 하나 이상의 탄성 밴드 또는 스트립(도 2a에서 240으로 명시된 것)일 수 있다. 탄성 밴드 또는 스트립은 배면시이트의 측방향 가장자리 방향으로 결착될 수 있지만, 배면시이트의 중심부에는 결착될 수 없어, 측방향 가장자리를 함께 당기고, 상향 융기 또는 Ω번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위한 탄성 수단은 외부 가장자리(즉, Ω의 낮은 기저)에 결착될 필요는 없지만, Ω의 상부 볼록부가 흡수 코어에 의해 형성되도록 상기 제품의 형태를 고려해야 하고, 완전한 W형을 취하지 못한다(즉, 측부 플랩(225) 영역에서는 흡수 코어가 없다). 이는 번칭으로부터 생성한 구조적 강성과 결합하여 특정한 강성을 갖는 코어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요소는 배면시이트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U형 배치를 초래할 위험이 너무 높기 때문에, 이 탄성 요소는 흡수 코어 부재 아래(즉, 착용자로부터 떨어진 방향)에 위치되어야 한다.
CD방향성 신장부의 적용은 예를들어 페스투닝(Festooning)의 CM586에 개시되었다.
탄성 요소는 본질적인 CD 배향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상기 요소의 종방향 가장자리 방향, 즉 허리 영역 방향으로 더욱 결착된 MD 배향을 또한 가질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대안은, 예를들어 이격기 또는 블록 요소와 같은 배면시이트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로 고정 수단을 위치시키는 것으로, 이로 인해 상기 제품의 측방향 종방향 가장자리의 좌/우 측부 사이에 힌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대안은, 배면시이트부를 가까이 접촉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전체 두께로 전체 흡수 부재와 추가로 결합시킨다. 이는 압력성 사용 조건하에서 상기 모양을 보다 우수하게 유지시킨다. 이러한 결합은 사용 압력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성이어야 하지만,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충분히 연성이어야 한다.
상기 배면시이트들 사이, 배면시이트와 Ω번칭을 유지 및 지탱하기 위한 추가의 수단 사이에 결합을 이루기 위한 다른 방식은 아교 적용, 용융 결합 등과 같은 공지된 기술이다.
부직물과 같은 공기 투과성 배면시이트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한 실행은 고온 공기 점 적용으로 상기 구조체의 특정부를 함께 용융 결합시키는 것이다(유럽 특허 출원에 기술된 바와 같다).
흡수 요소 및 가멘트의 조합물부
개선된 방식으로 서로 지지시키기 위해 설계된 흡수 요소 및 고정 가멘트의 상승 효과는 여러부를 결합하고 요소 각각에 대한 설계부를 구체적으로 채택함으로써 더욱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둘 이상의 상기 요소를 흡수 제품에서 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예비 절첩된 흡수 패드는 전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신장성 가멘트에 의해 대체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절첩되지 않은 패드는 선적시 연장된 상태에 존재하는 탄성에 의해 Ω형 배치를 취할 수 있고, 적용시 Ω형 배치를 생성시키고, 상기 패드는 Ω형을 지탱하기 위한 특정부 없이 팬티로서 종래의 신장성 가멘트에 의해, 또는 개선된 Ω형 지지 가멘트에 의해 대체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대역 또는 적재 대역에 리프팅력을 제공하기 위한 MD 배향된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예비 절첩된 일체형 제품과 신체 접착제의 조합물이 적합할 수 있다.
또한, 가멘트 또는 흡수 요소 또는 둘다는 상기 요소를 서로 확실히 결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흡수 패드에 응집성 물질의 제 1 부가 제공되고, 상기 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에 응집성 물질의 제 2 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응집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물질이 아니라 그자체에 접착되는 물질이다. 상기 결착 시스템은 1995년 5월 16일자로 시글(Sig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415,650 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다르게는, ″훅 및 루프″ 패스닝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흡수 요소의 가멘트 표면에 훅 물질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1991년 10월 22일자로 토마스(Thoma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58,247 호에 따라 제조된 프롱(prong)은 적합한 훅 물질이다.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루프 물질이 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가랑이 영역에 사용하기 위한 방사 및/또는 편성 패턴은 당해분야에 따라 개질되어 훅 물질을 구속하기 위한 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에 임의로 표시가 제공되어 착용자가 내부에 흡수 요소를 최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돕는다. 예컨대, 상기 표시는, 신규한 장치가 가랑이 영역의 표면을 접촉하는 신체(내부)상에 배치될 때마다 착용자가 흡수 요소를 확실히 위치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종방향 중심선(L)을 따른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전방 패널 및 후방 패널에 임의로 표시가 또한 제공되어 착용자가 그 내부에 흡수 요소를 최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돕는다.
시험 방법
신장 모듈러스 및 탄성 수축
의도
본 방법은, 언더가멘트의 착용 주기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한 연장 범위를 초과하여 언더가멘트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장성 물질에 의한 착용자의 신체상에 발휘되는 힘에 상응하는 힘을 칭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문헌[INDA(Association of Nonwoven Fabric Industry) 표준 시험 110.1-92]에 기술된 방법이 적합하다. 하기 구성 조건을 사용한다:
게이지 길이 : 2in(5.08㎝)
교차헤드 속도: 10in/min(25.4㎝/min)
인장 시험 기계: 예상된 힘 범주에 대해 적합한, 메사추세츠주 캔톤 소
및 적재 셀 재의 인스트론 코포레이션(Instron Corporation)사에서
시판중인 모델 5564.
샘플 나비: 1in(2.54cm), 나비가 1in(2.54cm) 미만인 샘플에 대해
샘플 힘을 측정하고, 1in(2.54cm)와의 비율에 의해 측
정된 나비를 상기 측정된 나비로 조정한다.
샘플 방향: 종방향 신장 모듈러스 샘플을 절단하여 샘플 나비가
종방향 수직이 된다. 측방향 신장 모듈러스 샘플을
절단하여 샘플 나비가 측방향에 수직이 된다.
샘플 크기: 시험된 물질 당 적어도 3개의 샘플.
계산
0: 데이타를 취하기 시작하기 전 예비신장이 있는
데이타 수집(g/in 또는 g/cm)의 출발 힘.
25: 25%의 신장에서의 힘(g/in 또는 g/cm)
탄성 수축= 힘25
신장 모듈러스=(힘25-힘0)/0.25
탄성 수축(다리 탄성만) 및 신장 모듈러스에 대한 수단 및 표준 편향을 기록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전술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및 허여된 임의의 특허, 이외에 임의의 공개된 외국 특허 출원) 모두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그러나,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임의의 문헌이 본 발명을 교시하거나 개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이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내의 상기 변화 및 변형을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Claims (27)

  1. 흡수 요소 및 이를 고정시키는 가멘트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요소가 적어도 뇨 적재 대역부에 착용자에 대해 상향으로 배향된 볼록한 융기 형상의 흡수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멘트가 상기 볼록하게 융기된 대역과 일치하게 적어도 뇨 적재 대역에서 흡수 제품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멘트가 종방향을 규정하는 종방향 중심선 및 측방향을 규정하는 측방향 중심선, 탄성화된 허리밴드를 갖고;
    제 2 구역보다 제 1 구역의 측방향 신장 저항성을 크게한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을 갖는 전방 패널;
    제 2 구역보다 제 1 구역의 측방향 신장 저항성을 크게한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을 갖는 후방 패널;
    상기 전방 패널 및 후방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패널을 연결시키는 가랑이 영역;
    한 쌍의 탄성화된 다리 개구부;
    가랑이 영역의 종방향 신장도를 규정하는, 가랑이 영역에서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
    상기 전방 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로부터 허리밴드로 연장하여 힘을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로부터 허리밴드로 전달하는 전방 신장 조절 부재; 및
    상기 후방 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로부터 허리밴드로 연장하여 힘을 상기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로부터 상기 허리밴드로 전달하는 후방 신장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 패널의 제 1 구역이 전방 또는 후방 패널 각각의 제 2 구역보다 큰 종방향 신장 저항성을 갖는 가멘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종방향 신장 조절 부재가 전방 패널 또는 후방 패널 각각의 제 1 구역보다 큰 종방향 신장 저항성을 갖는 가멘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 패널이 제 2 구역보다 제 1 구역에서 큰 종방향 신장 모듈러스를 갖는 가멘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 패널이 제 2 구역보다 제 1 구역에서 큰 측방향 신장 모듈러스를 갖는 가멘트.
  7. 제 1 항에 있어서,
    편성 물질을 포함하는 가멘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패널과 후방 패널을 연결시키는 측부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가멘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측부 패널이 전방 또는 후방 패널의 제 2 구역보다 큰 측방향 신장 저항성을 갖는 가멘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 패널의 제 1 구역이 측부 패널보다 큰 측방향 신장 저항성을 갖는 가멘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뇨 적재 대역의 볼록한 융기 형상이, 흡수 코어를 덮는 배면시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직접 접촉하도록 적어도 뇨 적재 대역에서 흡수 제품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흡수 요소를 예비 절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흡수 제품.
  12. 제 1 항에 있어서,
    볼록한 융기 형상의 가랑이 영역에서 흡수 코어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이 흡수 요소의 배면시이트에서 외향으로 적용되는 접착제 또는 기계적 패스닝 수단인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볼록한 융기 형상의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코어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이 적어도 CD(측방향) 방향력 구성요소를 갖는 탄성 수축 요소인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4.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 및 너비 치수 및 이들 치수에 수직인 z방향을 갖고,
    z방향력 구성요소를 적어도 착용시 착용자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적어도 MD(종방향) 방향력 구성요소를 갖는 탄성 수축 요소인 볼록한 융기 형상의 뇨 적재 대역에 상기 흡수 코어를 유지시키기 위한 흡수 요소에 일체로 되는 제 2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뇨 적재 대역과 흡수 요소의 하나 또는 둘의 허리 영역(들)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요철 변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요철 변화 수단이 하나 이상의 힌지 라인(hinge line)인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뇨 적재 영역이, 적용 도중 및 사용 도중 50mm 이상의 길이에 대해 흡수 요소의 볼록한 융기 형상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착용자의 피부에 국소 적용되는 접착제 형태의 고정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목한 형상의 허리 대역을 하나 이상 갖는 볼록한 형상의 뇨 적재 대역과 착용시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20.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 요소 및 가멘트가 하나 이상의 결착 수단에 의해 서로 결착되는 흡수 제품.
  21. 제 20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결착 수단이 적어도 뇨 적재 대역에서 볼록한 융기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두개 요소 사이의 접착제 결합을 형성하는 흡수 제품.
  22. 제 2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결착 수단이 박리가능한 접착제 또는 기계적 패스닝 수단인 흡수 제품.
  23. 제 2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결착 수단이 상기 두 요소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위치되는 흡수 제품.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코어가 70㎖ 이상의 뇨 적재 설계 용량을 갖는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코어가 90㎖ 이상의 뇨 적재 설계 용량을 갖는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코어가 165㎖ 이상의 뇨 적재 설계 용량을 갖는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코어가 300㎖ 이상의 뇨 적재 설계 용량을 갖는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KR1020007005183A 1997-11-13 1997-11-13 비일체형 흡수 제품 KR100360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7/020791 WO1999025300A1 (en) 1997-11-13 1997-11-13 Non-unitary absorbent 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061A true KR20010032061A (ko) 2001-04-16
KR100360180B1 KR100360180B1 (ko) 2002-11-07

Family

ID=2226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183A KR100360180B1 (ko) 1997-11-13 1997-11-13 비일체형 흡수 제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033959B1 (ko)
JP (1) JP2001522705A (ko)
KR (1) KR100360180B1 (ko)
AT (1) ATE247942T1 (ko)
AU (1) AU742303B2 (ko)
CA (1) CA2310101C (ko)
DE (1) DE69724476T2 (ko)
DK (1) DK1033959T3 (ko)
ES (1) ES2201330T3 (ko)
WO (1) WO19990253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853B1 (ko) * 2008-05-29 2011-02-22 (주) 더스탠다드 폐판넬 및 프레임을 이용한 출입문용 문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7472B2 (en) 2003-11-24 2012-04-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absorbent product
JP4494255B2 (ja) * 2005-03-07 2010-06-3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7308827A (ja) * 2006-05-18 2007-11-29 Yamashiroya:Kk 吸水部材および失禁用下着
US8968266B2 (en) * 2009-05-26 2015-03-03 Deepa A. Kumar Sanitary undergarment
DE202014004532U1 (de) 2014-05-28 2014-08-05 Hans-Dieter Cornelius Hygienevorlage
US10863793B2 (en) 2015-05-29 2020-12-15 Nike, Inc. Footwear system with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medial and lateral side portions with separately securable distal end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5579C (de) * 1927-02-15 Leopoldine Kleiner Geb Salzbor Damenbeinkleid mit auswechselbarer Monatseinlage
US2052598A (en) * 1935-12-23 1936-09-01 Berg Elaine Sanitary garment
US2494292A (en) * 1947-04-07 1950-01-10 Ruth V Frazer Garment construction
US3608551A (en) * 1968-10-11 1971-09-28 Saburo Seijo Menstrual receiver
SE455667B (sv) 1986-12-19 1988-08-01 Moelnlycke Ab Menstruationsbinda
US4804380A (en) 1987-08-06 1989-02-14 Kimberly-Clark Corporation Anatomically shaped, self-aligning, sanitary protection device
US5171302A (en) 1988-03-31 1992-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entral hinge
US5127911A (en) * 1988-05-03 1992-07-07 Eva Baharav Sanitary feminine napkin with a mechanism for optional contouring
US5454802A (en) * 1989-09-20 1995-10-03 Molnlycke Ab Sanitary napkin or incontinence guard
US5824004A (en) * 1990-06-18 1998-10-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s
US5196000A (en) * 1991-06-13 1993-03-23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comprising an expansive tummy panel
US5591150A (en) 1991-07-23 1997-01-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a resilient body-conforming portion
SK37393A3 (en) * 1991-07-23 1993-08-11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especially catamenials, having improved fluid directionality
DE69220770T3 (de) * 1991-07-23 2004-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Befestigungsmuster für absorbierende artikel
DK0631768T3 (da) * 1993-06-30 1998-06-02 Procter & Gamble Absorberende kerne med forbedrede fluidhåndteringsegenskaber
NZ268535A (en) * 1993-06-30 1998-05-27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layers of superabsorbent material
SE507668C2 (sv) * 1993-10-07 1998-06-29 Moelnlycke Ab Sanitetstrosa
US5601544A (en) * 1993-12-23 1997-02-11 Kimberly-Clark Corporation Child's training pant with elasticized shaped absorb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2177675C (en) 1993-12-22 2000-07-18 Carl Louis Bergman Sanitary napkin having convex upward shaped cross section
SE509063C2 (sv) * 1994-11-08 1998-11-30 Sca Hygiene Prod Ab Byxbinda
JP2909882B2 (ja) * 1995-06-13 1999-06-23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
US5858011A (en) * 1995-08-02 1999-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silient member
DE69619389T2 (de) * 1995-10-06 2002-10-10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r artikel mit flügel, die eine deformierteknickzone und dehnbare zonen enthalt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853B1 (ko) * 2008-05-29 2011-02-22 (주) 더스탠다드 폐판넬 및 프레임을 이용한 출입문용 문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42303B2 (en) 2001-12-20
EP1033959A1 (en) 2000-09-13
ATE247942T1 (de) 2003-09-15
DK1033959T3 (da) 2003-12-22
EP1033959B1 (en) 2003-08-27
JP2001522705A (ja) 2001-11-20
AU5201798A (en) 1999-06-07
WO1999025300A1 (en) 1999-05-27
CA2310101C (en) 2005-01-04
CA2310101A1 (en) 1999-05-27
DE69724476D1 (de) 2003-10-02
ES2201330T3 (es) 2004-03-16
DE69724476T2 (de) 2004-07-08
KR100360180B1 (ko)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867B2 (en) Diaper and absorbent article
US7785311B2 (en) Diaper and absorbent article
US7803147B2 (en) Diaper and absorbent article
US8348918B2 (en) Diaper and absorbent article
KR100322045B1 (ko) 탄성화된휨저항성커프스를갖는흡수제품
JPH10513070A (ja) 基部素材を弾性化する方法
JP2000500051A (ja) 使い捨て液体吸収性物品
RU2670400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каналами и придающими форму эластич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CN107072843B (zh) 具有附连机构的护围短裤
KR20040012765A (ko) 개선된 피트를 갖는 흡수제품
KR100360180B1 (ko) 비일체형 흡수 제품
EP1539073B1 (en) Absorbent product for men
KR100426104B1 (ko) 볼록-오목 형상을 형성하거나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 흡수제품
KR100330971B1 (ko) 흡수 제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가멘트
AU1860599A (en) Sanitary napkin having flaps with zones of differential stiffness
MXPA00004727A (en) Non-unitary absorbent articles
KR20020056227A (ko) 부드러움성 및 흡수속도가 향상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를지닌 일회용 흡수제품
WO2008064355A1 (en) Diaper and absorbent article
MXPA00004733A (en) Garment for use with an absorbent article
MXPA00004725A (en) Absorbent articles with means for achieving or maintaining convexo-concave bunching
MXPA00004842A (en) Disposable underp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