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663A -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및 이 방법을 실현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및 이 방법을 실현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663A
KR20010031663A KR1020007004718A KR20007004718A KR20010031663A KR 20010031663 A KR20010031663 A KR 20010031663A KR 1020007004718 A KR1020007004718 A KR 1020007004718A KR 20007004718 A KR20007004718 A KR 20007004718A KR 20010031663 A KR20010031663 A KR 20010031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power supply
charges
energy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세르게비치 누누파로브
마슬레니코브니콜라이미하일로비치
Original Assignee
마르틴 세르게비치 누누파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르틴 세르게비치 누누파로브 filed Critical 마르틴 세르게비치 누누파로브
Publication of KR2001003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3/00Generators in which thermal or kinetic energy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ionisation of a fluid and removal of the charge therefro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1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or method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HOBTAINING ENERGY FROM RADIOACTIVE SOURCES; APPLICATIONS OF RADIATION FROM RADIOACTIVE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TILISING COSMIC RADIATION
    • G21H1/00Arrangements for obtaining electrical energy from radioactive sources, e.g. from radioactive isotopes, nuclear or atomic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1/00Power conversion system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1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dynamic converters
    • H02M3/1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dynamic converters using capacitors or batteries which are alternately charged and discharged, e.g. charged in parallel and discharged in s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Rectifi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하 발생기를 이용하여 비전기적 특성의 에너지원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함에 의해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전하 발생기가 압전요소, 마찰전기요소, 그리고 방사성 소스의 대전 입자들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갤버니 배터리와 같은 종래의 전원장치와는 다르게 주기적인 유지나 재충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전하 발생기(1)는 동작시 고전위(Uin)를 갖는 전하들(q)의 일부를 발생시키는데, 이 전하들의 일부는 전하 에너지 컨버터(2)의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컨버터(2)의 기능은 Uin 보다 작은 Uout의 값으로 상기 전하들의 전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전하들(q)의 최초 값을 Q의 값까지 증가시키는 것이다. 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전자 시스템의 전원으로서 사용될 전하들(Q)을 저장하기 위해 전하 저장장치(3)가 본 장치의 출력단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및 이 방법을 실현하는 장치 { METHOD OF POWER SUPPLY FOR ELECTRONIC SYSTEMS AND DEVICE THEREFOR }
현재, 마이크로 전자기술은 적은 양의 계산을 실행하고 아주 적은 양의 전기 에너지가 전원으로서 요구되는 임의의 마이크로 전자회로들(즉, CMOS)의 전원 공급장치에 적용되는 시점에 와 있다. 따라서, 케이스 안에 소형의 갤버니 전원(galvanic power source)들과 함께 집적되는 마이크로 전자회로들에 대한 독립적인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전원장치의 단점은 갤버니 전원이 제한된 유효 수명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갤버니 전원의 짧은 수명을 해결하고, 짧은 기간 동안 전자 시스템에 전원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적은 양의 전하를 형성하기 위하여 비전기적 특성의 에너지원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형의 장치들을 이용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에 근거한 유도 발전기를 사용하여 전자 시스템에 전원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미국 특허 제5,061,923호, cl. H 04 Q 9/00, 1991)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서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한 모터 안의 로터의 기계적인 회전을 이용하는데, 이 로터의 회전은 스테이터 권선의 출력단에서 전자 시스템에 전원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전기전압을 유도시키게 된다. 많은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기계적인 운동은 장치들의 장애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다른 단점들로서 상기 모터가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가지며 고가라는 점인데, 이로 인해 상기 유형의 전원 공급장치들의 이용이 제한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미국 특허 제4,595,864호, cl. H 05 B 37/02, 1986)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서는, 압전요소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충격이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고, 이 펄스는 펄스 트랜스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전류 펄스로 변환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 회로의 단일요소인 펄스 트랜스는 고출력 임피던스를 갖는 압전요소로부터 저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까지 효율적인 전류 펄스 통로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합요소로 동작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압전요소에 의해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전자 시스템용의 안정된 전원 공급장치를 얻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과 가장 근사한 방법은 전자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전자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비전기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전기 전하들을 저장하게 된다(유럽 특허출원 제0,725,452, cl. H 01 L 41/113, 1996). 이 방법을 실현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는 기계적 에너지의 전기 에너지로의 압전변환을 사용하는 전하 발생기와, 그 출력단이 상기 장치의 출력단이 되는 전하 저장장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 및 장치는 전자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효율성이 낮다. 그 이유는 압전요소들이 갤버니 전원이나 유도 발전기들에 반하여 기전력원(전위)이 아니라, 전하 발생기라는 점이다. 더욱이, 압전요소에 의해 발생된 전하의 일부 값이 한 번의 외부의 기계적인 작용에 의해 설정되며, 이와 같은 전하 발생기의 출력단에 나타나는 전위가 상기 전하값에 정비례하고, 발전기의 출력 캐패시턴스값에 반비례한다. 특히, 압전요소들은 수 천 볼트의 높은 전위로서 작은 값들을 갖는 전하들이 얻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높은 전압원을 마이크로 전자회로와 같은 저전압 전자시스템의 전원으로 직접 사용할 수는 없다. 저전압 전자 시스템의 전원 공급에 필요한 전하들을 저장할 목적으로 버퍼 부하 전기 캐패시턴스의 압전요소에 연결되는 중간 접속기는 효과적이지 못하며, 압전요소에 의해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전하부분은 매우 작게 되는데, 이에 따라 큰 전하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압전요소에 가해지는 다중의 연장된 기계적인 작용, 즉, 많은 기계적인 감압 또는 충격이 요구된다(그리고, 유럽 특허출원 제0,725,452호, cl, H 01 L 41/113, 1996에서 이와 같은 스텝들이 구현된다).
본 발명은 전자 시스템용의 독립적인 전원 공급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전자회로에 전하들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공급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기적 전하들의 변환과 저장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이 실현되는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2a는 전하 에너지 컨버터가 스텝-다운 트랜스에 근거하여 구현된,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도 2b는 임계요소가 보완된 상태에서 전하 에너지 컨버터가 스텝-다운 트랜스에 근거하여 구현된,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도 3은 전하 에너지 컨버터가 반도체 구조에 근거하여 구현된,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의 한 버전의 구성 회로도이다.
도 4는 전하 에너지 컨버터가 다수의 캐패시터에 근거하여 구현된,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전기적 특성의 에너지원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에 근거하여 구현된 전원 공급장치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은 비전기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전자 시스템용의 전원으로서 요구되는 양의 전하들을 저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전기적 에너지의 전기 에너지로의 변환은 고전위를 갖는 전하들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하 에너지를 변환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변환은 전하량의 증가와 전위의 감소를 수반하며, 그후에 상기 전원의 출력단에서 상기 전하들을 저장함으로서 전자 시스템용 전원이 제공된다.
비전기적 에너지, 특히, 기계적 에너지를 고전위를 갖는 전하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것은 압전 또는 마찰전기 변환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전위 입자들로서 물질의 방사성 붕괴의 결과로서 나오는 고에너지 대전 입자들을 사용하는 것이 관심이 되고 있다.
상기의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을 실현하는 장치는 비전기적 특성의 에너지를 고전위를 갖는 전하들의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하 발생기와, 전하 저장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이들 전하 에너지를 변환하며, 그 입력단이 전하 발생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그 출력단이 전하 저장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된 컨버터로 구성된다. 상기 전하 저장장치의 출력단은 상기 장치의 출력단이 된다. 전하 에너지 컨버터는 상기 전하 발생기로부터 그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최초의 전하들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들 전하들의 전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결과에 도달하는 기본적인 가능성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에너지 변환을 위한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근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 변환은 이상적으로는 q*= Uin = Q*Uout의 형태를 갖는데, 여기서, q와 Uin은 각각 전하, 그리고 전하 에너지 컨버터의 입력단에서의 상기 전하의 전위이며, Q와 Uout은 각각 전하, 그리고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에서의 상기 전하의 전위이다. 이와 같은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전하 에너지 컨버터의 출력단에서의 전하들의 수를 증가시킬(곱할) 목적으로, 즉, Q 〉 q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버터의 입력단 Uin에서의 전위가 그 출력단 Uout에서의 전위보다 커야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Uin 〉 Uout의 조건은 압전요소나 마찰전기 요소들과 같이 전하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전하들의 전위에 대하여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는데, 이것은 자체 캐패시턴스나 부하 개태시턴스에 반비례하고, 수 천 볼트에 이를 수 있다. 특정의 마이크로 전자회로들에서 전자 시스템들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전위는 단지 수 볼트이다. 전하량 곱셈처리의 효율은 컨버터의 입력단으로부터 그 출력단으로의 초기 전하의 전기 에너지의 전달처리에 대한 상기 컨버터의 효율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장치의 전하 저장장치는 캐패시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하 에너지 컨버터는 스텝-다운 트랜스로 구현되는데, 이 트랜스의 1차측 권선은 전하 발생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그 2차측 권선은 정류기를 통해 전하 저장장치에 연결된다. 이 컨버터는 전하 발생기가 짧은 고에너지 전류 펄스를 발생시킬 때 효과적이다.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하 에너지 컨버터는 반도체 컨버터로 구현되는데, 이 컨버터의 입력영역은 전하 발생기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이 반도체 컨버터의 입력영역은 전하 발생기로부터의 전하들을 저장하고, 반도체 구조 내의 임계전압이 초과될 때 애벌랜치 항복처리를 형성하도록 된 반도체 구조에 의해 정의된다. 이 반도체 컨버터의 출력영역은 분리영역에 의해 정의되는데, 애벌랜치 항복의 결과로서 형성되는 2차측 전하들을 저장하며, 정류기를 통해 전하 저장장치에 연결된다. 이 반도체 컨버터 입력영역은 여러 가지 구조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나 사이리스터 구조는 물론 역 시프트된 p-n 전이나 다른 유형의 다이오드 구조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전하 곱셈의 더욱 첨예한 애벌랜치 처리를 제공한다.
전하 컨버터는 또한, 다수의 캐패시터들과, 전하 발생기로부터의 전하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직렬연결 상태에서 컨버터의 출력단에서의 전하들의 전위를 감소시키고 이 방법으로 더욱 완전한 정도로 각각의 캐패시터 안에 저장된 전체 전하를 사용할 수 있는 후단의 병렬연결 상태로 상기 캐패시터들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하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전하들의 에너지가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전하 발생기는 압전요소나 마찰전기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캐패시티에 있어서, 고전위를 갖는 전하들, 예를 들어, 방사성 소스의 대전 입자들을 발생시키는 실제적으로 비소모적인 발생기가 사용되는데, 이 소스는 캐패시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캐패시터의 판 중에서 하나는 방사성 물질에서 방사되는 대전된 β입자들로 구성되고, 다른 판은 이 입자들의 수집판이 된다.
나중에 설명된 두 가지 유형의 전하 발생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전하들을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한 직렬 연결된 전하 에너지 컨버터들이 전하 발생기의 출력단과 가스 방전관 등에 구현된 전하 에너지 컨버터의 입력단 사이에 위치한 단펄스(short pulse) 드라이버와 함께, 또는 사이리스터와 같은 반도체 임계요소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는 그 출력단이 전하 에너지 컨버터(2)의 입력단에 연결된 전하 발생기(1)와, 그 출력단이 전하 저장장치(3)의 입력단에 연결된 전하 에너지 컨버터(2)와, 그 출력단이 본 장치의 출력단이 되는 전하 저장장치(3)로 구성된다.
전하 저장장치는 좀더 복잡한 시스템의 형태는 물론 캐패시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갤버니 또는 초이온 요소들을 구비한 축적 저장장치들로 구성된다.
도 2a에 의하면,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는 전하 에너지 컨버터를 포함하는데, 이 전하 에너지 컨버터는 그 1차측 권선(5)이 상기 컨버터의 입력단이 되고, 그 2차측 권선(6)이 정류기(7)에 연결되어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을 형성하며, 그 출력단이 상기 장치의 출력요소인 저장 캐패시터(8)에 연결된 트랜스(4)로 구성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배열에 따라 구현되고 임계요소(9)가 보완된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의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하 에너지 컨버터는 p-형 에피택셜층을 갖는 n-형 기판(10)을 구비한 반도체 구조로 구현된다. 이 에피택셜층(11)에는 p-n 전이로 구현된 정류접점(12)과 저항접점(13)이 형성된다. 이들 접점들(12,13)은 상기 컨버터의 입력단을 형성한다. 상기 장치의 출력저장 캐패시터(8)는 한 단자에 의해 기판(10)에 연결되고 다른 단자에 의해 정류기(14)를 통해 정류접점(12)에 연결된다.
도 4는 n 개의 동일한 캐패시터들(15)로 구성된 전하 에너지 컨버터가, 스위칭수단(16)을 사용하여, 모든 스위치들이 위치 Ⅰ로 설정될 때 상기 캐패시터들이 직렬연결 상태인 어셈블리로 전환되고, 모든 스위치들이 위치 Ⅱ로 설정될 때 상기 캐패시터들이 병렬연결 상태인 어셈블리로 전환되도록 된,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에는 정류기(14)를 통해 출력 저장 캐패시터(8)가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전기적 에너지의 전기 에너지로의 변환은 발생기(1)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발생기는 고전위(Uin)를 갖는 전하들(q)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발생기(1)에 의해 발생된 전하들(q)은 전하 에너지 컨버터(2)의 입력단에 공급되며, 컨버터는 초기 전하량을 증가시키고 컨버터(2)의 출력단에서의 상기 전하들의 전위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으로부터의 전하들(Q)은 저장장치(3)의 입력단으로 전달되는데, 이 저장장치(3)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버퍼의 기능을 하며, 전하들을 저장 및 유지하게 된다. 이 저장장치(3)의 입력단은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단이 된다.
도 2a 및 2b에 따른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의 전기 에너지 컨버터들은 펄스 모드에서 동작한다. 만약, 전하 발생기(1)의 동작에 의해 고에너지 전류펄스가 생성될 경우, 이 전류펄스가 트랜스(4)의 1차측 권선(5)에 인가될 때, 트랜스(4)의 2차측 권선(6)의 펄스 에너지의 전자변환에 의해 기전력 펄스가 발생된다. 상기 2차측 권선(6)의 권선 수가 1차측 권선(5)의 권선 수보다 작지만, 2차측 권선(6)의 기전력 진폭은 입력 전압보다 작아질 것이며, 2차측 권선(6)의 전류 진폭은 1차측 권선(5)의 전류 진폭보다 커질 것이다. 따라서, 2차측 펄스의 전체 전하(Q)는 전하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1차측 펄스의 전하(q) 보다 커질 것이다. 2차측 전류 펄스가 전파 정류기(7)에의 정류된 후, 그 전하(Q)는 저장 캐패시터(8)에 저장된다.
만약, 전하 발생기(1)의 동작에 의해 짧은 고에너지 전류 펄스가 발생될 수 없을 경우, 전하 발생기(1)의 한 단자와 펄스 트랜스(4)의 2차측 권선(5)의 한 단자에 직렬 연결된 임계요소(9)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도 2b). 도 2b에 따른 배열에 있어서, 트랜스의 1차측 권선의 전류 펄스는 그 곳에서의 전압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할 때 임계요소(9)의 스위칭(항복)의 결과로서 생성된다.
이 배열에서의 임계요소는 가스 방전 갭을 갖는 관이나 사이리스터와 같은 반도체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b에 따른 버전은 상기 전하 발생기(1)가 마찰전기요소나 방사성 소스의 대전 입자들로 구현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발생기에 있어서, 그 출력단에서의 전하와 해당 전위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저장된다.
도 3에 따른 반도체 구조에 근거하여 구현되는,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의 전하 에너지 컨버터에 있어서, 반도체 내의 애벌랜치 항복효과가 사용된다. 반도체 내에서의 충돌 및 애벌랜치 항복에 의한 자동 전자 이온화에 관련된 효과들의 사용으로 많은 기회들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상기의 효과들이 기초가 된다[S.M. Sze, Physics of Semiconductor Devices, N.Y., 1981]. 상기와 같은 효과에 따라, 주변의 분자들과의 충돌에 의해 고에너지의 전자들이 부가적인 전하 캐리어들을 쫓아내게 되는데, 이와 같은 조건의 환경에서는 그들의 애벌랜치같은 곱셈의 연쇄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애벌랜치같은 불안정성에 근거하여, 사이리스터와 애벌랜치 다이오드들과 같은 공지된 반도체 장치들이 동작하게 된다.
도 3에 따른 반도체 구조에 근거하여 구현되는,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정류접점(12)은 역 시프트된 p-n 전이로 구성되는데, 이 접점의 캐패시턴스에 전하 발생기(1)에 의해 발생된 전하(q)가 저장된다. p-n 전이에서의 전압이 임계 전압값을 초과할 때, 전기적 항복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항복은 전자-정공 쌍의 애벌랜치의 생성을 수반한다. 불안정한 전하 캐리어들의 일부는 저항 접점(13)으로 흐른다. 그러나, 에피택셜층(11)의 저항이 충분히 클 경우, 접점(13)을 통한 누설 전류가 접점(12) 부근의 기판(10)의 고 도핑 n-영역으로부터의 전자 주입 전류보다 작아지게 만들 수 있는데, 이 전류는 정류접점(12)의 p-n 전이의 항복 후에 구조 내에서의 전위들의 공간적 재분포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이 기판 주입 전류는 접점(12)으로부터 기판(10)을 향해 드리프트 되는 불안정한 정공 전류를 보상하며, 이 전류는 정류기(14)를 통해 저장 캐패시터(8)에 전하(Q)까지 충전된다. 애벌랜치 항복에 의해 초래되는 불안정한 전하들의 양이 전하 발생기(1)에 의해 1차적으로 발생되는 전하(q)를 여러 번 초과하는 이유로 인해, 반도체 컨버터는 전하(q)의 곱셈기로 동작한다.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접점(12)의 p-n 전이 영역은 예를 들어 애벌랜치 반도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또는 사이리스터의 형태를 갖는 다른 반도체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달성되는 주요 필요사항은 전하 발생기로부터의 고전위를 갖는 전하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구조의 입력 캐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작아야 한다는 것으로서, 임의의 임계 전압을 초과한 후에는 이 구조의 항복에 의한 전류 펄스가 발생될 수 있으며, 전하 캐리어 애벌랜치 곱셈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전자 시스템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하 에너지 컨버터는 캐패시턴스(C)를 갖는 다수의 기본 저전압 캐패시터들의 스위칭에 근거하는데, 이 컨버터는 전하 발생기(1)에 의해 발생된 초기 전하(q)의 값을 변환하는 간단한 방법을 실현한다.
캐패시터들(15)이 직렬로 연결(모든 스위치(16)가 위치 Ⅰ로 설정)될 때, 컨버터의 전체 입력 캐패시턴스는 작으며, Cin=C/n으로 설정되는데, 여기서 C는 각 캐패시터(15)의 캐패시턴스이고, n은 컨버터 내의 캐패시터(15)의 수효이다. 전하 발생기(1)가 전하(q)의 작은 부분을 발생시킬 때, 컨버터의 입력단에서의 전압은 더욱 커질 것이며, Uin=nq/C로 설정된다. 더욱이, 직렬 연결에 따라서, 각각의 캐패시터(15)는 동일한 전하(q)로 충전된다. 그 후에 모든 스위치(16)가 위치 Ⅱ로 설정될 때, 모든 캐패시터(15)가 병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들(15)은 Cout=nC의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이 캐패시턴스의 전하는 모든 캐패시터들(15)의 전하들의 합, 즉, Q=nq의 값과 같게 된다. 컨버터의 출력단에서 생성된 전압값은 Uout=Q/Cout=q/C=Uin/n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구조는 전하 발생기(1)에 의해 발생된 전하(q)의 n 배의 곱셈기로 동작하며, 컨버터의 출력단에서의 그 전위는 동시에 n 배 감소된다. 전하 발생기(1)에 의해 전하 발생의 연속적 동작으로부터 얻어지는 전하들의 저장은 정류기(14)를 통해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장 캐패시터(8)에서 이루어진다.
도 4의 스위치들은 기계적인 제어나 전자 스위칭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계적인 에너지의 압전 및 마찰전기 컨버터들과 같은 소스들이나 대전입자들의 방사성 소스들, 그리고 다른 전하 발생기의 소스들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 및 저장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는, 예를 들어, 전자 자물쇠, 전자카드 리더, 계산기, 휴대용 무선 제어신호 송신기, 센서 등과 같은 자동 전자 시스템에 가장 효과적으로 응용된다.
본 발명을 사용함에 있어서, 방사성 전하 발생기가, 예를 들어, 인공 맥박 조정기, 항해 무선 표지, 신호 및 경고 시스템과 같은, 빈번한 유지가 허용되지 않는 전자 시스템의 장기 전원 공급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 파도, 조류 에너지와 같은 불안정한 소스의 기계적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변환함에 의해 태양 에너지를 저장하는 시스템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들은 오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Claims (13)

  1. 비전기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전자 시스템용의 전원으로서의 전기 전하들을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전기적 에너지의 전기 에너지로의 변환은 고전위를 갖는 전하들을 발생시키고, 이 전하들을 저장하기 이전에 최초 전하량의 증가와 이 전하들의 전위의 감소와 함께 상기 전하들의 에너지의 변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기적 에너지의 전기 에너지로의 변환이 압전 변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기적 에너지의 전기 에너지로의 변환이 마찰전기변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물질의 방사성 붕괴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고에너지 대전 입자들이 고에너지 대전 입자들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5. 비전기적 특성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하 발생기와, 그 출력단이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단으로 되는 전하 저장장치로 구성된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그 입력단이 상기 전하 발생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그 출력단이 상기 전하 저장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된 전하 에너지 컨버터로 구성되어, 이 전하 에너지 컨버터가 그 입력단으로 공급되는 전하들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 출력단에서 이들 전하들의 전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기가 압전요소에 근거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기가 마찰전기요소에 근거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기가 방사성 소스의 대전 입자들에 근거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
  9. 제5항 내지 8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저장장치가 캐패시터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
  10. 제5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에너지 컨버터가 스텝-다운 트랜스의 형태로 구현되며, 이 트랜스의 1차측 권선이 상기 전하 발생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그 2차측 권선이 정류기를 통해 상기 전하 저장장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
  11. 제5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기의 출력단과 상기 전기 전하 에너지 컨버터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단펄스 드라이버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
  12. 제5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에너지 컨버터가 반도체 컨버터의 형태로 구현되며, 이 컨버터의 입력영역이 상기 전하 발생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하 발생기로부터의 전하들을 저장하고, 반도체 구조에서의 임계전압이 초과될 때 애벌랜치 항복처리를 형성하도록 된 상기 반도체 구조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컨버터의 출력영역이 애벌랜치 항복의 결과로서 형성되는 2차측 전하들의 분리 및 저장 영역에 의해 정의되고, 정류기를 통해 상기 전하 저장장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
  13. 제5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에너지 컨버터가, 다수의 캐패시터들과, 상기 전하 발생기로부터의 전하들을 저장하는 데 필요한 직렬연결 상태에서 컨버터의 출력단에서의 전하들의 전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 캐패시터들에 저장된 전하들을 추가시킬 수 있는 후단의 병렬연결 상태로 상기 캐패시터들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장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장치.
KR1020007004718A 1997-10-30 1998-10-29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및 이 방법을 실현하는 장치 KR200100316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97118033 1997-10-30
RU97118033A RU2150170C1 (ru) 1997-10-30 1997-10-30 Способ питания электронной систем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PCT/RU1998/000352 WO1999023749A1 (fr) 1997-10-30 1998-10-29 Procede d'alimentation pour systemes electroniques et dispositif correspond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663A true KR20010031663A (ko) 2001-04-16

Family

ID=2019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718A KR20010031663A (ko) 1997-10-30 1998-10-29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및 이 방법을 실현하는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07483B1 (ko)
EP (1) EP1050955B1 (ko)
KR (1) KR20010031663A (ko)
AT (1) ATE417398T1 (ko)
DE (1) DE69840343D1 (ko)
ES (1) ES2317678T3 (ko)
PT (1) PT1050955E (ko)
RU (1) RU2150170C1 (ko)
WO (1) WO19990237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146B1 (ko) * 2009-08-26 2010-03-25 차솔비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1398708B1 (ko) * 2014-01-09 2014-05-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강유전 특성이 커플링된 정전기 에너지 발전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0594B2 (en) * 2000-09-08 2011-02-0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witch assembl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ular components
US7034432B1 (en) 1997-02-07 2006-04-25 Sri International Electroactive polymer generators
US7320457B2 (en) 1997-02-07 2008-01-22 Sri International Electroactive polymer devices for controlling fluid flow
RU2239283C2 (ru) * 1998-10-27 2004-10-27 Сафар-Заде Октай Юнисович Автономный передатчик цифровых сигналов и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на его основе
US6580177B1 (en) 1999-06-01 2003-06-17 Continuum Control Corporation Electrical power extraction from mechanical disturbances
JP2003502000A (ja) * 1999-06-01 2003-01-14 コンティニューム コントロール コーポレイション 機械的変動から電力を取出す方法及びシステム
EP1259992B1 (en) 2000-02-23 2011-10-05 SRI International Biologically powered electroactive polymer generators
AU2001238675A1 (en) * 2000-02-23 2001-09-03 Sri International Electroactive polymer thermal electric generators
DE10025561A1 (de) 2000-05-24 2001-12-06 Siemens Ag Energieautarker Hochfrequenzsender
DE10192384B4 (de) * 2000-06-06 2014-03-27 Robert Conrad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piezoelektrischer Energie
US6700310B2 (en) * 2000-10-13 2004-03-02 Lear Corporation Self-powered wireless switch
US20020070635A1 (en) 2000-10-13 2002-06-13 Morrison Gerald O. Self-powered wireless switch
US6655035B2 (en) 2000-10-20 2003-12-02 Continuum Photonics, Inc. Piezoelectric generator
KR100440247B1 (ko) * 2001-04-16 2004-07-12 (주)제이씨 프로텍 전자파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장치
DE10150128C2 (de) 2001-10-11 2003-10-02 Enocean Gmbh Drahtloses Sensorsystem
TWI237729B (en) * 2001-12-24 2005-08-1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Energy recycl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081693B2 (en) 2002-03-07 2006-07-25 Microstrain, Inc. Energy harvesting for wireless sensor operation and data transmission
EP1512215B1 (en) 2002-03-18 2011-08-17 SRI International Electroactive polymer devices for moving fluid
US7061381B2 (en) * 2002-04-05 2006-06-13 Beezerbug Incorporated Ultrasonic transmitter and receiver systems and products using the same
US6870503B2 (en) * 2002-11-19 2005-03-22 Farrokh Mohamadi Beam-forming antenna system
US6885344B2 (en) 2002-11-19 2005-04-26 Farrokh Mohamadi High-frequency antenna array
US7358848B2 (en) * 2002-11-19 2008-04-15 Farrokh Mohamadi Wireless remote sensor
US6963307B2 (en) * 2002-11-19 2005-11-08 Farrokh Mohamadi Inductively-coupled antenna array
IL165270A0 (en) * 2004-11-17 2005-12-18 Israel State Piezoelectric power supply
US20060204795A1 (en) * 2005-03-14 2006-09-14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Energy storage device charging system
US8290747B2 (en) * 2005-10-21 2012-10-16 Microstrain, Inc. Structural damage detection and analysis system
FR2896635A1 (fr) * 2006-01-23 2007-07-2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et dispositif de conversion d'energie mecanique en energie electrique
WO2007131227A2 (en) * 2006-05-05 2007-11-15 Advanced Cerametrics, Inc. Self-power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GB2444093B (en) * 2006-11-22 2009-05-20 Measurement Specialities Euro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to an electronic system
US7781943B1 (en) 2007-01-24 2010-08-24 Micro Strain, Inc. Capacitive discharge energy harvesting converter
US20080200963A1 (en) * 2007-02-15 2008-08-21 Benjamin Pless Implantable power generator
WO2009006318A1 (en) 2007-06-29 2009-01-08 Artificial Muscle, Inc. Electroactive polymer transducers for sensory feedback applications
EP2249922A4 (en) * 2008-02-25 2011-12-14 Autonomic Technologies In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COVERING BODY ENERGY
US8283793B2 (en) * 2008-08-21 2012-10-09 Autonomic Technologies, Inc. Device for energy harvesting within a vessel
US8134275B2 (en) * 2008-11-21 2012-03-13 Trace Photonics, Inc. High efficiency 4-π negatron β-3 particle emission source fabrication and its use as an electrode in a self-charged high-voltage capacitor
EP2239793A1 (de) 2009-04-11 2010-10-13 Bayer MaterialScience AG Elektrisch schaltbarer Polymerfilmaufbau und dessen Verwendung
NL1037057C2 (nl) * 2009-06-22 2010-12-23 Gerhardus Johannus Jozef Dr Beukeveld Met aangebrachte statische ladingen in condensatoren ladingen in gekoppelde condensatoren aanzuigen en doorsluizen en deze ladingen daarna met schakelaars doorsluizen naar elektronische eenrichtingscircuits, die hiermee energieen leveren.
DE102010042153A1 (de) * 2010-10-07 2012-04-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pannungswandler mit mindestens einem elektro-mechanisch wirkenden Schalter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EP2469693B1 (en) 2010-12-23 2017-10-18 Nxp B.V. Power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harvesting discontinuous power source
WO2012118916A2 (en) 2011-03-01 2012-09-07 Bayer Materialscience Ag Automated manufacturing processes for producing deformable polymer devices and films
CN103703404A (zh) 2011-03-22 2014-04-02 拜耳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电活化聚合物致动器双凸透镜系统
RU2474042C1 (ru) * 2011-07-22 2013-01-27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управления им. В.А. Трапезникова РАН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от маломощных источников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WO2013055238A1 (en) * 2011-10-14 2013-04-18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Passively switched converter and circuits including same
US9876160B2 (en) 2012-03-21 2018-01-23 Parker-Hannifin Corporation Roll-to-roll manufacturing processes for producing self-healing electroactive polymer devices
WO2013192143A1 (en) 2012-06-18 2013-12-27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Stretch frame for stretching process
US8957533B2 (en) 2012-06-21 2015-02-17 Schneider Electric USA, Inc. Self-contained bistable information display with mechanical activation
WO2014066576A1 (en) 2012-10-24 2014-05-01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Polymer diode
US9977412B2 (en) * 2013-03-15 2018-05-22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Electronic circuit to capture lock controller pulses
JP6868613B2 (ja) * 2015-09-04 2021-05-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発電装置および発電方法
CN106602687A (zh) * 2015-10-19 2017-04-26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摩擦纳米发电机的能量管理方法、电路和装置
WO2017093424A1 (en) * 2015-12-03 2017-06-08 Koninklijke Philips N.V. Energy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10270368B2 (en) * 2016-12-02 2019-04-23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Bi-directional, transformerless voltage system
CN108667338B (zh) * 2017-04-01 2021-06-15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一种摩擦纳米发电机的能量管理电路和能量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8477A (en) * 1955-10-31 1959-08-04 Bell Telephone Labor Inc Piezoelectric field effect semiconductor device
US3351786A (en) * 1965-08-06 1967-11-07 Univ California Piezoelectric-semiconduct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US3569741A (en) * 1968-03-09 1971-03-09 Lanier Electronic Lab Inc Control means for recording device
US3585415A (en) * 1969-10-06 1971-06-15 Univ California Stress-strain transducer charge coupled to a piezoelectric material
US3801893A (en) * 1970-02-19 1974-04-02 Philips Corp Pulse generator using bi-lateral solid state breakover device energized by an ac signal
US3624451A (en) * 1970-05-04 1971-11-30 Avco Corp Efficient low voltage piezoelectric power supply
US4259715A (en) * 1975-09-27 1981-03-31 Citizen Watch Co., Ltd. Voltage conversion system for electronic timepiece
US4114141A (en) * 1977-01-14 1978-09-12 Datrix Corporatio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digital information between a central station and a number of remote stations
CH643413A5 (fr) * 1981-02-20 1984-05-30 Brevetor Sa Dispositif generateur de courant electrique.
US4489269A (en) * 1982-12-01 1984-12-18 Edling Ellsworth A Atomic battery with beam switching
DE3303404C1 (de) * 1983-02-02 1984-04-05 Leuze electronic GmbH + Co, 7311 Owen Verfahren zur Erzeugung der für den Betrieb von eine Strahlung emittierenden Halbleiterdioden erforderlichen Stromimpulse und Anordn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S2020013A6 (es) * 1988-10-20 1991-07-16 Univ Madrid Nac Educacion Generador triboelectrico de rodadura.
DE4017670A1 (de) * 1990-06-01 1991-12-05 Telefunken Systemtechnik Verfahren zur direkten leistungsoptimalen anpassung zwischen einem solargenerator und dem motor eines serienfahrzeugluefters
US5264752A (en) * 1992-06-01 1993-11-23 At&T Bell Laboratories Amplifier for driving large capacitive loads
US5431694A (en) * 1992-08-18 1995-07-11 Snaper; Alvin A. Bio-operable power source
US5396141A (en) * 1993-07-30 1995-03-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dioisotope power cells
DE4429029A1 (de) * 1994-08-16 1996-02-29 Gore & Ass Generator für die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JP3211623B2 (ja) * 1995-05-26 2001-09-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圧電発電装置
JPH0933645A (ja) * 1995-07-21 1997-02-07 Oki Electric Ind Co Ltd トランスポンダの電源回路
JPH09233862A (ja) * 1995-12-18 1997-09-05 Seiko Epson Corp 圧電体を用いた発電方法、発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5644184A (en) * 1996-02-15 1997-07-01 Thermodyne, Inc. Piezo-pyroelectric energy converter and method
JP3711562B2 (ja) * 1996-03-22 2005-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電装置および携帯型機器
US6198205B1 (en) * 1997-12-31 2001-03-06 Richard P. Oberlin One-shot high-output piezoid power supp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146B1 (ko) * 2009-08-26 2010-03-25 차솔비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1398708B1 (ko) * 2014-01-09 2014-05-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강유전 특성이 커플링된 정전기 에너지 발전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07483B1 (en) 2002-06-18
EP1050955A1 (en) 2000-11-08
DE69840343D1 (de) 2009-01-22
RU2150170C1 (ru) 2000-05-27
ES2317678T3 (es) 2009-04-16
EP1050955A4 (en) 2001-06-27
WO1999023749A1 (fr) 1999-05-14
EP1050955B1 (en) 2008-12-10
ATE417398T1 (de) 2008-12-15
PT1050955E (pt) 2009-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1663A (ko) 전자 시스템용 전원 공급방법 및 이 방법을 실현하는 장치
Lee et al. Quadratic boost DC–DC converter with high voltage gain and reduced voltage stresses
US10587188B2 (en) Resonant pulsed voltage multiplier and capacitor charger
US6756930B1 (en) Self-contained digital signal transmitter and a remote control system on its basis
US20040090806A1 (en) Power source inverter circuit
US20100208498A1 (en) Ultra-low voltage boost circuit
US8618864B2 (en) Self-powered active rectifier circuit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for photovoltaic solar power arrays
US20070291514A1 (en) DC-DC converter for low voltage power source
US5140509A (en) Regulated bi-directional DC-to-DC voltage converter
Maroti et al. Multistage switched inductor boost converter for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Ram et al. Ultra-low power solar energy harvester for IoT edge node devices
JP6644835B2 (ja) 始動回路を有する熱電発電器
US20090103333A1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alternating voltage into a rectified voltage
KR101025795B1 (ko) 전하 릴레이 인핸서 및 인핸서를 구비한 태양전지 시스템
US8145312B2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power supply and body implant
Baek et al. High voltage pulse generator using boost converter array
Prabhash et al. PV fed BLDC motor using zeta converter with minimized torque ripple for water pumping
Maurath et al. Highly efficient integrated rectifier and voltage boosting circuits for energy harvesting applications
US4162525A (en) Power system having an inductive charge effect limiting inverter
Dhayabarasivam et al. Energy Harvesting Circuit Utilizing MOSFET Based Bridge Rectifier
US3417314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high voltages
JP3679581B2 (ja) 電子機器
JP2743259B2 (ja) 高効率発電装置
RU28137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емального отбор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от солнечной батареи
KR101276585B1 (ko) 전자 릴레이 인핸서 및 전자 릴레이 인핸서를 구비한 태양전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