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628A - 카톤 플랩 위치조정용 장치 - Google Patents

카톤 플랩 위치조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628A
KR20010030628A KR1020007002904A KR20007002904A KR20010030628A KR 20010030628 A KR20010030628 A KR 20010030628A KR 1020007002904 A KR1020007002904 A KR 1020007002904A KR 20007002904 A KR20007002904 A KR 20007002904A KR 20010030628 A KR20010030628 A KR 20010030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n
lug
speed
lugs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5119B1 (ko
Inventor
보넹쟝-크리스토퍼
듀사르쟝-자끄
에브렝필리뻬
Original Assignee
로렌 제이. 프란시스
더 미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렌 제이. 프란시스, 더 미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로렌 제이. 프란시스
Publication of KR2001003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1/00Packaging or unpacking of bottles
    • B65B21/24Enclosing bottles in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haping or reshaping completed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Paper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톤 플랩 위치조정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10)는 공급경로(18)를 따라서 운송되는 카톤(16)상에서 전후방 페이싱 플랩(12,14)을 실질적으로 위치조정하고, 소정 자취 주위를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러그(22)를 구비하며, 그 또는 하나의 러그가 카톤(16)의 전방에서 공급 경로(18)내에 주기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카톤(16)이 러그(22)와 접촉하고 상기 카톤(16)상에서 전방 플랩(12)을 위치조정하도록 동작되며, 또한 그 또는 하나의 러그가 카톤(16)의 후방과 접촉하여 그 위에서 후방 플랩(14)을 위치조정하도록 그 러그 또는 러그들(22)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주기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톤 플랩 위치조정용 장치{APPARATUS FOR REPOSITIONING CARTON FLAPS}
음료캔 및 음료병과 같은 각각의 생산품을 다수개 팔 때 소매 거래에서 여러 각각의 유닛을 포함하는 멀티팩(multi-packs)을 생산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가 되었다. 특히, 음료의 캔 및 병과 함께, 6, 8, 12, 심지어 24개 각각의 병 또는 캔을 포함하는 카톤을 생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각의 유닛을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 캐리어 또는 카톤의 형태 및 멀티팩의 크기는 판매되는 생산품에 따라 다르고, 그 정도는 다른 카톤 스타일에 대한 국민적 선호도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형태의 카톤 모두의 한가지 요구사항은 그 안의 병 또는 캔이 안전하게 유지되고, 서로를 향해 많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각각의 유닛에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병 또는 캔은 그들이 카톤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고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안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를 처리하기 위해서, 다양한 카톤 설계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EP-A-0 459 65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랩어라운드형의 양단개방 카톤에서, 카톤 측벽과 하부 및/또는 상부 카톤벽 사이에 모서리 거싯(gusset)이 연장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대신, EP-A-0 560 6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의 상단 및/또는 하단상으로 연장되도록 유지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랩어라운드 카톤에 폐쇄 위치로 접힌 엔드 도어(end door)가 제공될 수도 있다. EP-A-0 499 4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카톤이 테이퍼 넥을 가진 병과 함께 이용하기 위한 것인 경우, 상기 도어에는 가장 바깥쪽의 병의 넥에 대해 기울어진 상위 부분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 모두에서, 랩어라운드 카톤은 일반적으로 용기 그룹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자동화 포장기기에 의해 용기 그룹에 적용된다. 컨베이어 방향을 가로질러 형장되는 측벽과 함께, 상기 그룹의 상위 또는 하위에 카톤 블랭크가 적용된다. 상기 카톤은 상기 그룹 주위를 포장한다. 유지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포장 동작동안, 또는 포장 동작에 이어서 적절한 위치로 접혀진다.
완전-밀폐된, 병을 위한 슬리브형 카톤에서, 단벽의 상위 부분은 또한 가장 바깥쪽 병의 넥에 대해 기울어질 수도 있다. 그러한 카톤은 또한 용기 그룹이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자동화 포장기기상에 적재된다. 만일 예를 들어 위에서부터 내려감에 의해 슬리브가 상기 그룹에 수직으로 적용되는 경우, 기울어진 상위 부분은 카톤이 그룹에 적용된 후 적절한 위치로 접혀질 수도 있다.
상기 예 모두에서, 상기 플랩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카톤의 전후방 종단 모두에 위치되기 때문에 유지 구조체로 이루어진 플랩의 위치조정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플랩의 전후방 접기 모두가 필요하다. 포장기기가 일반적으로 분당 250개 용기를 포장하는 용기 포장기기를 이용하여 초고속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용기 또는 카톤을 손상시키거나 포장기기를 저속화시키지 않고 자동화될 수 있는 이들 플랩의 위치조정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위치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질적으로 전후방 페이싱 플랩을 자동으로 카톤상에서 위치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부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예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용기를 카톤에 적재하기 위한 장치의 경로에 인접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롤러 및 연속 벨트의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는 카톤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위치조정 공정동안 특정 간격을 둔 이중 장치의 동작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장치의 전기적 블럭도, 및
도 7은 도 1의 장치와 통합되는 용기 적재 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넥적은 용기 적재기기의 처리속도와 비슷한 처리속도로 카톤상에서 자동으로 플랩을 위치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넥적은 카톤내 적소에 용기를 고정하기 위해서 카톤상에서 플랩을 위치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카톤으로 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공급경로를 따라서 운송되는 카톤상에서 전후방 페이싱 플랩을 실질적으로 위치조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소정 자취 주위를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러그를 구비하고, 러그가 카톤의 전방에서 공급경로내에 주기적으로 위치되어 카톤이 러그와 접촉하고 상기 카톤상에서 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동작하며, 그 또는 하나의 러그를 카톤의 후방과 접촉하게 하여 그 위에서 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하기 위해 그 또는 하나의 러그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대개,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이 부착되는 단일 가변속도 연속벨트에 의해 자취가 한정된다.
대개, 상기 장치는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대개, 제어수단은 공급경로내 카톤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대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대신, 상기 제어수단은 공급경로내 카톤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대개, 상기 장치는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가진다.
대개, 상기 제어수단은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상기 공급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카톤 속도의 ±1-30% 범위에 있도록 변화시킨다.
대개, 제어수단은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을 상기 장치가 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공급경로상에서의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작은 속도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장치가 카톤상에서 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큰 속도로 움직이게 한다.
대개, 상기 장치는 상기 연속벨트상에 배치된 3개의 동일 간격 러그를 구비한다.
대개, 그 또는 각각의 러그는 대개 T-형상이고, 상기 T의 기저부는 연속벨트에 부착되며, 대개 상기 T의 전후방 페이싱 가장자리는 그 위에 형성된 탄력성있는, 대개 고무인 부분을 가진다.
대개, 연속벨트는 상기 벨트와 공급 롤러 사이의 마찰로 인해 이동되는, 마찰 벨트가 된다. 대신, 연속벨트는 사용하는 동안 공급 롤러상에 대응적으로 형상화된 볼록부와 맞물리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소정 자취 주위를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러그를 가진 장치를 이용하여 공급경로를 따라 운송되는 카톤상에서 전후방 페이싱 플랩을 실질적으로 위치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카톤이 러그와 접촉하고 상기 카톤상에서 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카톤의 경로에서 그 또는 하나의 러그를 주기적으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는 그 또는 하나의 러그가 카톤의 후방과 접촉하게 하여 그 위에서 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개, 상기 방법은 상기 공급경로내 카톤의 속도는 위치조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의해 수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개, 상기 카톤의 속도는 수동으로 입력된다. 대신, 상기 카톤의 속도는 자동으로 감지된다.
대개, 그 또는 각각의 러그의 속도는 상기 공급경로를 통과하는 카톤 속도의 ±1-30% 범위에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변화된다.
대개, 그 또는 각각의 러그는 전방 플랩이 위치조정되는 경우 상기 공급경로내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작은 속도로 움직이고, 후방 플랩이 위치조정되는 경우 공급 경로내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큰 속도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각진 넥을 가진 병을 카톤에 적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병의 넥에 인접한 상기 카톤상에서 플랩을 위치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장치는 공급 경로를 따라서 운송되는 그러한 카톤상에서 전후방 페이싱 플랩을 실질적으로 위치조정하며, 소정 자취 주위를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하나의 러그가 카톤의 전방에서 공급 경로내에 주기적으로 위치되어 카톤이 러그와 접촉하고 상기 카톤상에서 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동작되며, 또한 그 또는 하나의 러그가 카톤의 후방과 접촉하여 그 위에서 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그 러그 또는 하나의 러그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주기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개,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이 부착되는 단일 가변속도 연속벨트에 의해 자취가 한정된다.
대개, 상기 장치는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대개, 제어수단은 공급경로내 카톤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대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대신, 상기 제어수단은 공급경로내 카톤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대개, 상기 장치는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가진다.
대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공급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카톤 속도의 ±1-30% 범위에 있도록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변화시킨다.
대개, 제어수단은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을 상기 장치가 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공급경로상에서의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작은 속도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장치가 카톤상에서 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큰 속도로 움직이게 한다.
대개, 상기 장치는 상기 연속벨트상에 배치된 3개 동일 간격 러그를 구비한다.
대개, 그 또는 각각의 러그는 대개 T-형상이고, 상기 T의 기저부는 연속벨트에 부착되며, 대개 상기 T의 전후방 페이싱 가장자리는 그 위에 형성된 탄력성있는, 대개 고무인 부분을 가진다.
대개, 연속벨트는 벨트와 공급 롤러 사이의 마찰로 인해 움직여지는, 마찰 벨트가 된다. 대신, 연속벨트는 사용하는 동안 공급 롤러상의 대응적으로 형상화된 볼록부와 맞물리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병을 카톤으로 적재하기 위한 표준 장치의 공급 경로를 따라 운송되는 캐리어(16)상에서 전후방 페이싱 플랩(12,14)을 실질적으로 위치조정하는 장치(1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10)는 거기에 부착된 3개의 러그(22)를 갖는 연속 벨트(20)를 구비한다. 벨트는 구동 롤러(24) 및 종동(follower) 롤러(26) 주위에 놓여있다. 제어 수단(30)(도 6)의 제어하에서 구동 모터(28)(도 6)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구동 롤러(24)의 제어된 움직임은 구동 롤러(24)가 회전하게 하여 연속 벨트(20)가 움직이게 하고 차례로 종동 롤러(26)가 회전하게 한다. 대개, 구동 모터(28)는 서보 모터이다. 연속 벨트(20)는 고무와 같은 마찰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고, 롤러(24)와 연속 벨트(20)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움직이게 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상기 구동 모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부를 가질 수도 있고, 톱니 각각은 벨트(20)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 사용중 연속 벨트(20)에서 맞물리는 오목부(27)에 수용된다.
롤러(24)와 롤러(26)는 벨트(20)의 움직임이 주기적으로 러그(22)를 공급 경로(18)로 가져오도록 병 적재 장치내 공급 경로(18)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장치(10)는 각각의 러그(22)가 주기적으로 카톤(16) 전방에서 공급 경로(18)에 위치하여 각각의 카톤(16)이 러그(22)와 접촉하고 그렇게 할 때 카톤(16)상에서 전방 페이싱 플랩(12)을 위치조정하도록 동작한다.
연속 벨트(20)는 플랩을 움직이기 위해서 러그(22)가 카톤(16)의 전후방 플랩(12,14)과 접촉하게 될 정도의 높이에 위치한다. 이것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장치(10)는 또한 각각의 러그(22)가 카톤(16)의 후방 페이싱 플랩(14)과 접촉하여 후방 페이싱 플랩(14)을 위치조정하도록 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러그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일 가변속도 연속 벨트(20)가 이용된다. 그러나, 복수의 벨트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연속 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부착된 하나 이상의 러그(22)를 가진 단일 롤러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는 대개 T-형상 부재의 형태이며, 연속 벨트(20)주위에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한다. 각 러그(22)의 베이스(32)는 사용시 공급 경로(18)에 대해서 상기 T의 제 1 아암(34)이 베이스(32)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T의 제 2 아암(36)이 베이스(32)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속 벨트(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T의 전후방 페이싱 아암의 종단부는 사용시 카톤(16)안의 병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고무로 만들어진 탄력 부분(38,40)이 주어진다.
장치(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 연속 벨트(20)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30)을 포함한다. 이 제어 수단은 전용 프로세서 또는 장치(10)가 사용되는 포장기기용 제어 수단일 수 있으며, 그것은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해 채택된다. 대안으로, 상기 제어수단은 대개 공지된, 프로그램가능한 서보 제어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
제어수단(30)은 연속 벨트(20)의 속도를 검출하는 센서(42)로부터 정보를 받는다; 그것은 벨트의 속도를 직접 검출하거나 구동 롤러(24)의 속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장치(10)는 제어 수단(38)으로 보내지는 공급 경로(18)상의 카톤의 속도에 관한 정보를 받기 위해 센서(44) 형태를 가진 수단을 포함한다. 대신, 수동 입력 수단(46)을 통하여 공급 경로상에서의 카톤(16)의 속도가 그를 통해 제어수단(30)으로 입력될 수도 있는 수동 입력 수단(46)이 있을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공급 경로(18)에 수직으로 움직이는 한쌍의 레일(48)위에 장착되기 때문에, 장치(10)가 사용시 그 또는 하나의 러그(22)가 공급 경로(18)로 돌출되는 동작 위치로 굴러가고, 그 또는 하나의 러그(22)가 공급 경로(18)로 연장되지 않는 정지 위치까지 이 위치밖으로 굴러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장치(10)는 그것과 함께 사용되는 포장기기가 플랩의 위치조정을 요구하지 않는 카톤을 적재하는 경우 물러날 수 있다.
장치(10)의 동작 방법을 논의하기 전에, 예로써 장치(10)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카톤(16)을 상세 설명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4는 각각이 하위 부분(54) 및 상위 플랩(12,14)으로 나누어지는 앞벽(50)과 뒤벽(52)을 갖는 그러한 카톤(16)을 보여준다. 전후벽(50,52)의 하위 부분(54) 및 플랩(12,14)은 각 벽의 하위 부분(54)을 향해 플랩이 회전하도록 하는 접힘부(56)에 의해 각각 분리된다. 두 번째 접힘부(58)는 접힘부(56)가 카톤의 측벽과 만나는 지점과 카톤의 최상위 표면사이에 카톤의 측면(60) 각각 위에 위치한다. 실선(63,65)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접힘부는 측벽이 약간 물러나서 플랩(12,14)이 카톤(16)내의 병(64)의 넥(62)에 대항하여 위치조정하도록 제공된다. 그러한 카톤(16)에서, 일반적으로 플랩을 중심으로 철수하는 것이 그 또는 하나의 러그(22)를 위해 적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플랩이 완전히 전후방 대면하지 않고 여러 방법으로 기울어진다면, 플랩의 일부 다른 부분에 접촉하는 것이 그 또는 하나의 러그(22)를 위해 적절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설명된 바와 같이, 러그(22)의 각각이 플랩과 중심에서 접촉하지 않지만, 대신 카톤(16)의 측부(60)에 더 가까운 소정 위치에서 플랩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경우에 2개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시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22)가 공급 경로(18)로 돌출될 위치로 굴러간다. 장치를 구동시킬 때 카톤(16)을 운송하는 컨베이어 수단의 연속상태 속도는 수동 입력 수단(46)(도 6)을 이용하여 제어수단(30)으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장치(10)가 사용중에 적절한 위치로 입력되는 경우, 러그(22)는 공급 경로 속도 이상 또는 이하의 특정 비율로 카톤(16)의 적절한 플랩(12,14)과 접촉하게 될 것이다.
초기 구동 공정동안, 연속 벨트(20) 및 공급 경로(18)를 따라 카톤(16)을 앞으로 밀기 위해 사용된 컨베이어 수단 양쪽은 속도면에서 표준 가동 속도까지 서서히 증가할 것이다. 이들 장치 양쪽은 이 공정이 서서히 진행되고 카톤(16)이나 그 내용물에 아무런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될 것이다.
만약 먼저 2개 장치(10)가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논의하고 단일 러그(22)의 작용을 고려한다면, 먼저 전방 또는 후방 페이싱 플랩을 철수하기 위해 러그를 고려하는지 여부에 따라 위치조정 공정을 고려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러그(22)가 공급 경로(16)상에서 카톤(16)의 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카톤(16)의 전방에서 공급 경로내에 위치된다면 카톤(16)은 러그(22)와 접촉하고 전방 플랩(12)은 위치조정될 것이다. 그 뒤, 제어수단(30)은 러그(22)가 속도면에서 증가하고 연속 벨트(20)의 자취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하여 러그(22)가 동일 카톤의 후방 플랩(14)과 접촉하도록 하는 모터(28)의 속도를 증가시킬 것이다.
그러나, 만일 러그(22)가 초기에 제 1 카톤의 후방 플랩을 철수시켜서 러그(22)의 속도가 공급 경로(18)내 카톤의 속도 이하로 감소된다고 간주하면, 러그(22)는 공급 경로(18)을 따라 앞으로 밀려질 뒤이은 카톤의 전방 플랩(12)과 접촉할 것이다. 이런 두 공정은 본질적으로 같으며 분석이 시작되는 사이클에서의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다. 만일 제 1 러그(22)가 카톤(16)의 전방 플랩(12)의 위치조정을 발생시키기 위해 속도가 늦어진 후에 다수의 러그를 가진 한 실시예를 고려한다면, 도 5에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22)의 속도상 증가는 제 1 러그가 카톤의 길에서 벗어나도록 하고, 제 2 러그(22)가 카톤의 후방 페이싱 플랩과 접촉하게 한다.
도 5는 상기 장치의 한 실시예 및 공급 경로상에서 운송되는 카톤상에서 전후방 페이싱 플랩을 위치조정하는 5 단계를 보여준다. 제 1 단계에서, 러그는 공급 경로로 움직인다. 이후 러그는 제 2 단계에서 보여지듯이 후방 페이싱 플랩과 접촉되도록 하고 그것을 위치조정하기 위해 공급경로 속도와 관련하여 가속화된다. 그 후, 카톤이 장치를 떠나면서 러그는 공급 경로 속도와 관련하여 감속되어서, 제 3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가 다음의 연속되는 카톤의 전방 페이싱 플랩과 접촉하게 되고 플랩이 위치조정된다. 제 4 및 제 5 단계에서 러그는 공급 경로 외부로 움직이도록 가속된다. 그리고 나서 후방 러그는 카톤 뒤의 공급 경로로 움직이며 상기 절차가 반복된다.
공급경로(18)내에 남아있는 카톤(16)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서 카톤(16)이 카톤의 전방쪽에 하나, 카톤의 후방쪽에 하나의 2개 러그(22)사이에 위치할 수 있을 때, 연속 벨트(20)상에 3개의 러그(22)를 가지는 것이 매우 효율적이고, 제 3 러그(22)는 그때 공급 경로(18)로부터 원격인 연속 벨트(20)상의 한 지점에 있다. 이들 러그(22)의 가장 앞의 것이 가속될 때 그 전방에 있는 카톤(16)은 러그(22)의 경로에서 벗어나 공급 경로(18)을 따라 움직인다. 가장 뒤쪽의 러그(22)가 가장 뒤쪽의 카톤(16)의 후방 플랩(14)과 접촉하기 위해 가속되는 동안, 제 3 러그(22)가 카톤(16)이 중앙 러그(22)의 전방에서 유지되기를 원하기 때문에 어느 한 때 단지 2개의 러그만이 공급 경로(18)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제 2 카톤(16)과의 제 2 러그(22)의 반복적인 접촉이 손상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앞쪽 러그(22)가 카톤(16)이 러그(22)를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속도가 느려질 때, 연속 벨트(20)의 속도는 공급 경로(18)을 따라 진행하는 카톤(16)의 속도보다 1-30% 작다. 마찬가지로, 러그(22)가 가장 뒤쪽 플랩(14)와 접촉을 발생시키도록 가속될 때, 연속 벨트(20)의 속도는 공급 경로(18)내 카톤(16)의 속도보다 1-30% 퍼센트 높다. 대개, 연속 벨트는 제 1 예에서 카톤(16)의 속도보다 20% 작은 속도에서 움직이고, 제 2 예에서 공급 경로내 카톤(16)의 속도보다 20% 큰 속도에서 움직이며, 이것은 카톤(16)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각 플랩의 위치를 조정하는 데 충분한 힘을 제공한다.
공급 경로내 카톤의 속도가 버틀링(bottling) 공정의 다른 부분의 버틀링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 변화되면서, 연속 벨트(20)의 속도 또한 이런 비율의 변화내에서 유지되도록 변화된다. 그러나, 더 빠른 혹은 더 느린 속도가 요구되는 상황이 있을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카톤을 생산하기 위해 특별히 두꺼운 판 캘리퍼가 사용되면 그 위에서 플랩을 위치조정하기 위해 충분한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큰 변화가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혹은 두 개의 장치가 사용되면 속도가 변화될 수도 있다.
도 7은 병을 카톤(16)으로 적재하기 위한 장치(70)의 개략적 표현이며, 본 발명에 따라서, 플랩을 위치 조정하기 위한 장치(10)의 장치(70)에서의 위치를 설명한다. 장치(70)는 카톤(16)이 그로부터 취해지고, 사용되는 카톤의 형태에 따라서 카톤안에 병을 위치시키거나 병 주위에 카톤을 둘러싸는 것에 의해 병과 카톤을 결합하는 기구(블럭(74))으로 공급되는 카톤 호퍼(hopper) 및 피더(feeder) 기구(블럭(72))을 포함한다. 병은 저장 영역(블록(76))으로부터, 소정 설비에서 소정 속도로 이러한 기구에 이송된다. 일단 카톤과 병이 결합되면 카톤은 공지된 방법으로 (블록(78)) 대개 카톤의 베이스에서 적절한 로킹 수단에 의해 적소에 로크된다. 그 뒤, 카톤내 플랩(12,14)은 본 발명(블록(80))에 따라 위치 조정되며, 카톤은 선적을 위해 그로부터 상자에 채워질 수 있는 저장 영역(블록(82))으로 공급된다. 블록(78,80)에서 상세화된 공정 순서는 본 발명에 따라 어떤 장치에서는 바뀔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적절한 실시예가 병을 카톤으로 적재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병을 위한 카톤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은 캔, 판지 "브릭(bricks)", 및 다른 병을 카톤으로 포장하는 기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적절한 실시예는 병을 수직 적재 슬리브형 카톤에 적재하기 위한 기기의 일부로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런 형태의 카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당업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랩어라운드 또는 엔드 로우디드(end loaded) 카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보존 및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카톤 플랩을 위치조정하기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Claims (32)

  1. 공급경로를 따라서 운송되는 카톤상에서 전후방 페이싱 플랩을 실질적으로 위치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소정 자취 주위를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러그를 구비하고, 러그가 카톤의 전방에서 공급경로내에 주기적으로 위치되어 카톤이 러그와 접촉하고 상기 카톤상에서 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동작하며, 그 또는 하나의 러그를 카톤의 후방과 접촉하게 하여 그 위에서 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하기 위해 그 또는 하나의 러그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이 부착되는 단일 가변속도 연속벨트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공급경로내 카톤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공급경로내 카톤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상기 공급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카톤 속도의 ±1-30% 범위에 있도록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을 상기 장치가 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공급경로상에서의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작은 속도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장치가 카톤상에서 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큰 속도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벨트상에 배치된 3개의 동일 간격 러그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그 또는 각각의 러그는 대개 T-형상이고, 상기 T의 기저부는 연속벨트에 부착되며, 대개 상기 T의 전후방 페이싱 가장자리는 그 위에 형성된 탄력성있는, 대개 고무인 부분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벨트는 상기 벨트와 공급 롤러 사이의 마찰로 인해 이동되는, 마찰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벨트는 사용하는 동안 공급 롤러상에 대응적으로 형상화된 볼록부와 맞물리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용 장치.
  14. 소정 자취 주위를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러그를 가진 장치를 이용하여 공급경로를 따라 운송되는 카톤상에서 전후방 페이싱 플랩을 실질적으로 위치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카톤이 러그와 접촉하고 상기 카톤상에서 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카톤의 경로에서 그 또는 하나의 러그를 주기적으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는 그 또는 하나의 러그가 카톤의 후방과 접촉하게 하여 그 위에서 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경로내 카톤의 속도는 위치조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카톤의 속도는 수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카톤의 속도는 자동으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그 또는 각각의 러그의 속도는 상기 공급경로를 통과하는 카톤 속도의 ±1-30% 범위에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그 또는 각각의 러그는 전방 플랩이 위치조정되는 경우 상기 공급경로내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작은 속도로 움직이고, 후방 플랩이 위치조정되는 경우 공급 경로내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큰 속도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방법.
  20. 각진 넥을 가진 병을 카톤에 적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병의 넥에 인접한 상기 카톤상에서 플랩을 위치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장치는 공급 경로를 따라서 운송되는 그러한 카톤상에서 전후방 페이싱 플랩을 실질적으로 위치조정하며, 소정 자취 주위를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하나의 러그가 카톤의 전방에서 공급 경로내에 주기적으로 위치되어 카톤이 러그와 접촉하고 상기 카톤상에서 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동작되며, 또한 그 또는 하나의 러그가 카톤의 후방과 접촉하여 그 위에서 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도록 그 러그 또는 하나의 러그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주기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이 부착되는 단일 가변속도 연속벨트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공급경로내 카톤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공급경로내 카톤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공급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카톤 속도의 ±1-30% 범위에 있도록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의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8. 제 22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그 러그 또는 러그들을 상기 장치가 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공급경로상에서의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작은 속도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장치가 카톤상에서 후방 플랩을 위치조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카톤의 속도보다 20% 더 큰 속도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벨트상에 배치된 3개 동일 간격 러그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30. 제 20 항에 있어서,
    그 또는 각각의 러그는 대개 T-형상이고, 상기 T의 기저부는 연속벨트에 부착되며, 대개 상기 T의 전후방 페이싱 가장자리는 그 위에 형성된 탄력성있는, 대개 고무인 부분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31. 제 20 항에 있어서,
    연속벨트는 벨트와 공급 롤러 사이의 마찰로 인해 움직여지는, 마찰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32. 제 20 항에 있어서,
    연속벨트는 사용하는 동안 공급 롤러상의 대응적으로 형상화된 볼록부와 맞물리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KR1020007002904A 1997-09-19 1998-09-21 카톤 플랩 위치조정용 장치 KR100705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19947.5 1997-09-19
GBGB9719947.5A GB9719947D0 (en) 1997-09-19 1997-09-19 Pepositioning apparatus
PCT/US1998/019648 WO1999014124A1 (en) 1997-09-19 1998-09-21 Apparatus for repositioning carton fla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628A true KR20010030628A (ko) 2001-04-16
KR100705119B1 KR100705119B1 (ko) 2007-04-09

Family

ID=1081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904A KR100705119B1 (ko) 1997-09-19 1998-09-21 카톤 플랩 위치조정용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015316B1 (ko)
JP (1) JP2001516680A (ko)
KR (1) KR100705119B1 (ko)
CN (1) CN1086666C (ko)
AT (1) ATE215466T1 (ko)
AU (1) AU735524B2 (ko)
CA (1) CA2303955C (ko)
DE (1) DE69804642T2 (ko)
DK (1) DK1015316T3 (ko)
ES (1) ES2175773T3 (ko)
GB (1) GB9719947D0 (ko)
HK (1) HK1029316A1 (ko)
HU (1) HUP0100473A2 (ko)
IL (1) IL135146A0 (ko)
PT (1) PT1015316E (ko)
WO (1) WO1999014124A1 (ko)
ZA (1) ZA988591B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5320A (en) * 1972-10-10 1974-06-11 Federal Paper Board Co Inc Wrapping machine
US5000313A (en) 1990-05-29 1991-03-19 The Mead Corporation Can carton
GB9103135D0 (en) 1991-02-14 1991-04-03 Mead Corp Wraparound carton with end closure pa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75773T3 (es) 2002-11-16
HK1029316A1 (en) 2001-03-30
ATE215466T1 (de) 2002-04-15
WO1999014124A1 (en) 1999-03-25
CN1086666C (zh) 2002-06-26
EP1015316A1 (en) 2000-07-05
GB9719947D0 (en) 1997-11-19
DE69804642D1 (de) 2002-05-08
DE69804642T2 (de) 2002-10-17
CA2303955C (en) 2005-07-26
JP2001516680A (ja) 2001-10-02
HUP0100473A2 (hu) 2001-06-28
PT1015316E (pt) 2002-09-30
ZA988591B (en) 1999-03-23
EP1015316B1 (en) 2002-04-03
CA2303955A1 (en) 1999-03-25
KR100705119B1 (ko) 2007-04-09
CN1278770A (zh) 2001-01-03
AU9232098A (en) 1999-04-05
IL135146A0 (en) 2001-05-20
AU735524B2 (en) 2001-07-12
DK1015316T3 (da) 200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1661A (en) Carrier sleeve erecting apparatus and method
EP02686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containers to a carrier sleeve
US6571539B2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of carton set up
US8015776B2 (en) Overhead lug system for packaging machine
JPH11502802A (ja) 多数個パックの包装装置
US3225510A (en) Article cartoning machine
US20100043355A1 (en) Integrated secondary and tertiary packaging machine
JPH11506078A (ja) カートンを開いて物品グループ上へと下げるための頭上組立体を有する包装機械
US4122939A (en) Load transfer mechanism for packaging machine
JP2001516681A (ja) カートン組立機構
KR100705119B1 (ko) 카톤 플랩 위치조정용 장치
JP3905598B2 (ja) 物品仕分け装置
EP1012041A1 (en) Method and machine for setting up and loading cartons
JP3816192B2 (ja) 物品仕分け装置
EP1171346B1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of closing carton
CA1338684C (en) Apparatus for unpacking cases
MXPA00002732A (en) Apparatus for repositioning carton flaps
CZ2000998A3 (cs) Zařízení pro přestavování polohy chlopní u kartonů
JPH0840541A (ja) 包装品の移送装置
CA2295360A1 (en) Machine for folding a downwardly directed bottom section of a packing box beneath a product being packaged
GB2242184A (en) Registering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