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155A -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155A
KR20010030155A KR1020000050620A KR20000050620A KR20010030155A KR 20010030155 A KR20010030155 A KR 20010030155A KR 1020000050620 A KR1020000050620 A KR 1020000050620A KR 20000050620 A KR20000050620 A KR 20000050620A KR 20010030155 A KR20010030155 A KR 20010030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unit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handoff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더슨칼리챠드
한슨캐드리안더블유
마추세비치알렉스
라우스처매리엘렌
토비아스조나단마이클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03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1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것인지와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하는 데 이 무선 유닛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무선 유닛은 글로벌 위치 시스템(GPS)와 같은 위치 시스템을 가지므로써 무선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유닛은 이 무선 유닛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 위치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정보로부터, 서빙 기지국은 무선 유닛이 서빙 기지국의 통신가능구역을 떠나는 지와, 핸드오프될 필요가 있는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MSC로 송신할 수 있고, MSC는 이 위치 정보를 근거로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대신에, 서빙 기지국이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SYSTEM FOR PERFORMING HANDOFFS USING LOCATION INFORMATION FOR A WIRELESS UNI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들간의 무선 유닛(a wireless unit)의 핸드오프(handoffs)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지리적 영역(14)내에 위치하는 무선 유닛(12)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동 교환 센터(18)는 다른 것들 중에서 무선 유닛들간의 콜 및, 무선 유닛과 유선 유닛(예를 들면, 유선 유닛(20)간의 콜을 설정 및 유지관리한다. 이와 같이, MSC는 지리적 영역(14)내의 무선 유닛을 공중전화 교환망(PSTN)(22)에 연결시킨다. MSC에 의해 서비스받는 지리적 영역은 "셀"로 불리는 공간적으로 별개인 영역으로 분할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셀은 벌집 형태로 한 육각형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현되지만, 사실상, 각 셀은 셀을 둘러싸는 지형의 위상에 따라 불규칙한 형태를 가진다. 전형적으로, 각 셀은 하나의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 24a-g)을 포함하고, 이 기지국은 이 셀에서 무선 유닛과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라디오 및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은 지리적 영역(14)에서 통신 회선(26a-g)을 통해 MSC(18)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 설비를 포함한다. 한 셀 사이트는 종종 몇몇 섹터를 위한 통신가능구역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셀 및 섹터는 교환가능한 것으로 참조된다.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무선 유닛은 순방향 회선 및 역방향 회선을 통해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하는 데, 순방향 회선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유닛으로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채널을 통해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역방향 회선은 무선 유닛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 채널상으로 통신 신호를 전송한다. 무선 유닛과 기지국이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다수의 상이한 방안이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유닛과 기지국간의 무선 통신 회선은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및 다른 것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의될 수 있다.
지리적 영역(14)내에서, 무선 유닛(12)이 셀들간에 이동함에 따라 MSC(18)는 실시간으로 기지국들간의 콜을 교환하는 데, 이는 핸드오프로서 지칭된다. 무선 유닛이 불량한 음성/데이터 질을 경험하고 끊어질 것 같을 때, 무선 유닛은 콜을 보다 양호하게 콜을 서비스할 수 있는 또다른 셀 사이트 또는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된다. 핸드오프의 결정은 주로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과의 불량한 신호 질에 의해 유발된다.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하기 위한 후보 셀을 발견하는 복잡한 처리는 최상의 후보를 결정하기 위해 다수의 후보들간에 메시지와, 그리고/또는 후보 셀의 무선 유닛에 의한 주기적 샘플링을 필요로 한다.
AMPS 및 TDMA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들간에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해 몇몇 기법을 사용한다. 서빙 기지국(24a)으로부터의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는 로케이트(a locate)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로케이트는 무선 유닛의 캐리어 주파수로 튜닝되고 수신 신호 질을 측정하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 로케이트를 위한 수신 신호 세기 표시기(RSSI)를 사용하여, 혹은 디지탈 로케이트를 위한 비트 에러율(BER), 프레임 에러율(FER) 또는 RSSI를 사용하여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후보 셀 또는 기지국(24b-g)에서의 특수화된 라디오를 필요로 한다. 도 2는 아날로그 로케이트를 사용하는 핸드오프를 도시한다. 블럭(30)에서, 서빙 기지국(24a)은 예를 들면, 수신 신호 세기 표시기(RSSI)를 사용하여 무선 유닛(12)의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지를 탐지한다. 블럭(32)에서, 서빙 기지국(24a)은 MSC(18)를 통해 후보 기지국(24b-g)에게 아날로그 로케이트 요청을 송신한다. 아날로그 로케이트 요청에 응답하여, 블럭(34)에서 후보 기지국(24b-g)은 무선 유닛(12)의 채널로 튜닝되고, 예를 들어, RSSI를 사용하여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MSC로 신호 세기 측정치를 보고한다. 블럭(35)에서, MSC(18)는 신호 세기 측정치 및 능력을 근거로 핸드오프를 위한 최상의 후보 기지국(24b-g)을 결정한다. 블럭(36)에서, 핸드오프를 위한 기지국 및 채널(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핸드오프할 기지국 및 서빙 기지국(24a)으로 송신한다. 블럭(38)에서, 서빙 기지국(24a)은 무선 유닛에게 핸드오프할 채널을 통지하고, 무선 유닛은 새로운 기지국의 새로운 채널(들)로 튜닝된다. 블럭(30) 내지 블럭(38)은 적어도 5초가 걸릴 수 있다. 이 시간 동안에, 무선 유닛은 서빙 기지국(24a)으로부터의 신호를 손실할 수도 있고, 콜도 손실될 수 있다. TDMA에서 수행되는 디지탈 로케이트 지원 핸드오프는 임계치가 수신 신호 세기 표시기(RSSI), 비트 에러율(BER) 또는 프레임 에러율(FER)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또다른 유형의 TDMA 핸드오프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지원 핸드오프(mobile assisted handoff: MAHO)이다. MAHO에서, 서빙 기지국(24a)은 무선 유닛(12)에게 모니터하기 위한 다른 후보 셀(또는 섹터)의 최대 12개의 순방향 회선 채널을 통지한다. 블럭(40)에서, 무선 유닛(12)은 주기적으로 서빙 기지국(24a)의 순방향 채널 및 12개의 순방향 채널의 RSSI 및/또는 BER을 측정한다. 블럭(42)에서, 순방향 회선 채널이 BER 및/또는 RSSI 측정치를 어긴다고 서빙 기지국(24a)이 결정시에, 서빙 기지국(24a)은 12개의 순방향 회선 채널에 대한 BER 및/또는 RSSI 측정치를 요청하고, 이들 측정치를 MSC(18)로 전달한다. 블럭(43)에서 MSC는 핸드오프를 위한 최상의 후보 셀을 결정하고, 블럭(44)에서 MSC(18)는 서빙 기지국(24a) 및 핸드오프할 기지국에게 핸드오프를 위한 채널(들)을 통지한다. 블럭(46)에서 서빙 기지국(24a)은 무선 유닛(12)에게 튜닝할 새로운 채널(들)을 통지하고, 무선 유닛은 새로운 무선 채널(들)로 튜닝된다. 또한, MAHO는 수행하는 데 수초가 걸리며, 콜이 손실되는 결과를 일으킬 수 있는 페이딩 및 간섭을 겪기 싶다.
이들 방법은 콜을 손실하는 경향이 있으며, 처리력, 무선 자원 및 부가적인 셀 설비를 필요로 한다. 무선 유닛이 셀 사이트 안테나와 무선 유닛간의 장애물, 공채널 간섭 및 다른 셀 사이트 및 무선 유닛으로부터의 인접한 채널 간섭으로 인하여 상당히 쇠약해질 때 콜 손실이 발생된다. 이들 주기 동안에, 셀 사이트와 무선 유닛간의 통신이 붕괴되고 셀 사이트 및 무선 유닛간의 핸드오프 정보가 손실되므로 인하여 콜은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핸드오프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의 여부 및/또는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 무선 유닛의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사용하여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무선 유닛은 무선 유닛의 위치를 결정하는 전역 위치 시스템(GPS)과 같은 위치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유닛은 무선 유닛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 위치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정보로부터, 서빙 기지국은 무선 유닛이 서빙 기지국의 통신가능구역을 벗어나는 지, 그리고, 핸드오프가 필요한 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후, 서빙 기지국은 이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을 MSC로 송신하고, MSC는 위치 정보를 근거로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대신에, 서빙 기지국이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로케이트 요청을 사용하여 AMPS 또는 T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핸드오프의 흐름도,
도 3은 T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지원 핸드오프(MAHO)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핸드오프 시스템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서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핸드오프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유닛의 일반적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무선 유닛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핸드오프 시스템의 실시예의 흐름도,
도 7a는 무선 유닛으로부터 기지국(들)으로 송신되는 위치 메시지의 예를 도시하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원리에 따라서 무선 유닛을 위한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핸드오프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무선 통신 시스템
52 : 무선 유닛
53 : 서빙 기지국
54 : 서빙 셀
59 : MSC
본 발명의 다른 양상 및 장점들은 후솔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무선 유닛을 위한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실시예를 후술할 것이다. 도 4는 무선 유닛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핸드오프 시스템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50)의 일부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핸드오프 시스템은 포지션(position)을 포함하고, 시간, 속도, 거리 및/또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유닛(5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얻는 다. 위치 또는 포지션은 위도 및 경도에 의해 명시될 수 있고, 소정의 공차를 포함하는 데, 예를 들면, 50 미터 반경이다. 위치 해상도에 따라서 소정의 위도 및 경도 좌표 또는, 위도 및 경도 좌표의 일부를 둘러싸는 영역과 같이 다른 공차 또는 공차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핸드오프 시스템은 무선 유닛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유닛(52)이 서빙 기지국(53)으로부터 핸드오프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또는 무선 유닛(52)의 핸드오프에 대한 최상의 후보 또는 후보 기지국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오프 시스템은 서빙 셀(54)에 대한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검사한다. 핸드오프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의 여부에 대한 결정을 유발할 시에 핸드오프 시스템에 의해 임계치 또는 트리거값으로서 사용되는 서빙 셀(54)내의 포지션, 다수의 포지션, 포지션 또는 영역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핸드오프 위치 정보는 최상의 후보 지기국 또는 제한된 수의 후보 기지국과, 서빙셀내의 포지션, 포지션들 또는 영역을 연결 또는 관련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드오프 시스템은 무선 유닛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핸드오프를 수신할 최상의 후보 기지국 또는 후보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영역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되는 몇몇 지점들 또는 영역의 경계부를 만드는 다수의 포지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셀은 서빙셀내의 상이한 영역들로 그룹화되는 포지션 및 한정된 포지션 집합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핸드오프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위치 정보는 현재 및 이전의 포지션(56a-d)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포지션(56a-d)에서, 위치 정보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순방향 채널(들)의 신호질 측정치, 다른 기지국의 순방향 채널(들)의 신호질 측정치 및/또는 무선 유닛으로부터의 역방향 채널의 신호질 측정치와 같은 포지션과 관련되거나 혹은 대응하는 부가적인 정보와 함께 무선 유닛에 대한 시간, 속도, 거리 및/또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위치 정보의 내용 및 관련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련 정보는 무선 유닛 신원, 무선 유닛 유형, 신호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 날씨, 트래픽 로드와 같은 다른 매개변수 또는 정보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서 정보가 변경되어 이에 대응하는 다른 매개변수 또는 정보에 연결되거나 혹은 이전의 위치 정보 및/또는 관련 정보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및 관련 정보는 특정한 위치와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를 갱신, 도출 또는 유지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특정한 시간 주기에 걸쳐 특정한 위치에서의 평균, 가중치 평균, 누적 평균 또는 측정치의 함수의 형태이거나, 그리고/혹은 트래픽 로드, 무선 유닛 식별, 시간 및 날짜와 같은 다른 매개변수 또는 동작 조건과 관련될 수 있다.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도출, 갱신 또는 유지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핸드오프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의 필요성을 결정하고,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오프 시스템은 무선 유닛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무선 유닛(52)이 셀(54)의 영역(58)으로 지나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핸드오프 시스템은 무선 유닛이 영역(58)에 있는 지를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무선 유닛(52)을 위한 위치 정보와 셀(54)을 위한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비교하므로써 핸드오프를 요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위치 정보 및 관련 정보를 대응하는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 관련하여 검사하므로써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핸드오프 시스템이 핸드오프가 필요하다고 결정한 경우, 핸드오프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핸드오프 시스템은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최상의 후보 기지국을 결정하는 데, 위치 정보 및, 대응하는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 관련하여 검사할 수 있다(관련 정보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역(58)인 경우, 핸드오프 위치 정보는 단지 기지국(60a, 60b)만을 가진 짧은 후보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프 시스템은 최상의 후보 기지국(60a 또는 60b)를 선택하기 위하여 또다른 매개변수, 값 또는 관련 정보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유닛(52)의 방향이 위치 정보의 일부인 경우, 위치 핸드오프 정보는 후보 리스트의 단지 기지국(60a)을 최상의 후보 기지국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핸드오프할 최상의 후보를 결정하는 데 기지국(60a 또는 60b)상의 트래픽 로드를 사용할 수 잇다. 이 대신에, 무선 유닛(52)이 영역(58)에 있는 경우, 핸드오프 시스템은 무선 유닛(52)의 위치 및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한 짧은 후보 리스트의 로케이트를 MSC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 로케이트로부터의 신호질 측정치 및/또는 후보 기지국(60a, 60b)의 트래픽 로드 및/또는 다른 매개변수 또는 정보를 기반으로, 핸드오프 시스템은 최상의 후보를 선택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위치 정보가 이동 유닛이 영역(62)으로 진행한다고 표시하는 경우, 핸드오프 시스템은 최상의 후보 기지국으로서 기지국(60a)을 결정할 수 있다.
핸드오프 시스템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 정보를 얻고, 저장하고, 조작하고, 그리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유닛(70)은 이 무선 유닛(70)의 안테나(76)에 연결된 듀플렉서(74)로부터의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 회로(72)를 포함한다. 이 대신에, GPS 수신기는 그 자신의 전용 안테나 및 수신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들이 잘 아는 바와 같이 위성의 GPS 시스템 및 제어 센터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GPS 수신 회로(72)는 무선 유닛에 대한 시간, 속도, 거리 및/또는 방향을 무선 유닛(70)의 처리 회로(78)에 제공한다. 처리 회로(78)는 다른 방식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78)는 GPS 처리 회로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혹은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처리 회로(78)는 위치 정보를 적절한 포맷으로 조작하고 위치 정보의 일부를 저장소 또는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좌표와 같이 무선 유닛에 대한 위치로서, 특정한 포지션에서 무선 유닛의 시간, 방향 및/또는 속도와 관련하여 저장될 수 있다. 처리 회로(78)는 이전의 정보를 사용하여 특정한 포지션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는 횟수 및 이전의 포지션 측정치를 사용하여 속도 및/또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서빙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채널(들)의 신호질 측정치 뿐만 아니라 다른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채널(들)의 신호질 측정치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유닛을 위한 저장소는 기지국이 무선 유닛에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에 대한 핸드오프 정보를 또한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유닛(70)은 역방향 회선상의 채널을 통하여 서빙 기지국(53)(도 4)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과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서, 기지국과 무선 유닛간에 설정된 순방향 및 역방향 회선은 상이한 구조를 가진다. TIA/EIA-136("IS-136")에 의해 정의된 북미 TDMA에서, 순방향 회선은 순방향 음성 채널과 순방향 설정 채널로 구성되고, 역방향 회선은 역방향 음성 채널과 역방향 설정 채널로 구성된다. 위치 정보는 무선 유닛으로부터 음성 프레임의 저속 관련 제어 채널(slow associated control channel: SACCH) 부분 또는 음성 프레임의 고속 관련 제어 채널(FACCH) 인 순방향 음성 채널을 통하여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렇게 하므로써, 핸드오프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위치 정보 또는 다른 정보는 신호 처리/코딩 블럭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 블럭은 예를 들면, 실시예에 따라서 예를 들어, 스피치 코딩, 채널 코딩 인터리빙, 암호화 및/또는 멀티플렉싱을 수행하므로써,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82)로부터의 디지탈 음성 신호와 함께 위치 정보를 처리한다. 전송될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마이크로폰(84)으로부터 온 것이다. 당업자들이 잘 아는 바와 같이, 전송될 신호는 예를 들어 차분 직각 위상 시프트 키잉(differ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DQPSK)을 사용하여 신호를 변조하여 신호를 전송을 위한 아날로그 무선 주파수(RF)로 변환하는 변조기(86)에 제공된다. 무선 주파수(RF) 신호는 증폭기(88)에서 증폭되어, 듀플렉서(74)를 통과한 후에 안테나(76)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핸드오프 시스템에 사용되는 위치 정보 및 다른 정보는 부호기(80), 변조기(86), 증폭기(88), 듀플렉서(74) 및 안테나(76)를 사용하여 순방향 설정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핸드오프 시스템에 사용되는 위치 정보 요청, 핸드오프 위치 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수신시에, RF 신호가 안테나(76)에 수신되고, 듀플렉서(74)를 통과하여 RF 수신기 및 복조기(90)로 전송된다. RF 수신기 및 복조 회로(90)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예를 들면, DQPSK를 사용하여 신호를 복조한다. 복조기(90)는 역방향 설정 채널 또는 역방향 음성 채널상의 신호로부터 부호화, 암호화되고 및/또는 인터리빙된 정보를 추출하여 디지탈 형태의 정보를 디코더 블럭(92)으로 제공한다. 처리/디코더 블럭(92)은 당업자들이 잘 아는 바와 같이 복조기(90)로부터 정보 신호의 인터리빙, 해독, 채널 디코딩, 스피치 디코딩 및/또는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한다. 음성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블럭(94)에서 변환되고 블럭(96)에서 증폭되어, 스피커(98)에서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위치 정보 요청 또는 핸드오프 위치 정보와 같은 데이터 신호가 처리 회로에 제공될 수 있고, 이 처리 회로는 요청을 하거나 혹은, 이 처리 회로(78)의 (도시되지 않은) 저장소에 핸드오프 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사용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상에 다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키패드(102)와 인터페이스하여 다른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핸드오프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다. 블럭(110)에서, 무선 유닛은 이 무선 유닛을 위한 위치 정보를 결정 및/또는 저장한다. 무선 유닛은 포지션 측정치를 만들 수 있고, 위치 정보에 대한 서빙 기지국의 요청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요청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거나 혹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무선 유닛으로부터의 역방향 채널의 신호질 측정치(들)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다른 트리거를 사용하여, 그리고/또는 포지션 변경 혹은 무선 유닛이 소정 거리를 이동한 후에와 같은 다른 이유로 인하여 이동 유닛의 위치 정보 갱신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대신에, 무선 유닛은 소정 거리의 이동 후에, 그리고/또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순방향 채널의 신호질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주기적으로 포지션 변경을 근거로 위치 정보를 연속해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유닛이 무선 유닛에 대한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위치 트리거 위치와 같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위치 핸드오프 정보를 근거로, 무선 유닛은 이 무선 유닛이 영역(58)(도 4)에 있음을 가리키는 포지션 트리거와 같은 상이한 트리거 또는 임계치를 기반으로 혹은 연속해서 보다 높은 율로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유닛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데 이 무선 유닛을 위한 다른 트리거를 사용할 수 있고, 트리거는 무선 유닛의 속도에 따라 변경 및/또는 달라질 수 있다. 이전의 위치 정보와 함께 가장 최근의 위치 정보를 무선 유닛에 저장할 수 있다.
블럭(112)에서, 무선 유닛은 서빙 기지국에 의한 요청, 시간 주기 종료, 위치 변동, 이 무선 유닛에 의한 신호질 측정치 혹은, 무선 유닛이 영역(58 및/또는 59)으로 들어가는 경우의 포지션 트리거와 같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서빙 기지국에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리거는 핸드오프 위치 부분일 수 있고, 시간 주기, 마지막 포지션으로부터의 거리, 트리거 포지션 및/또는 신호질 측정 임계치(들)과 같은 매개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에 대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요청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거나 혹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역방향 채널의 신호질 측정치(들)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위치 정보는 역방향 음성 또는 트래픽 채널상의 SACCH 또는 FACCH로, 혹은 역방향 설정 채널과 같은 역방향 채널상으로 서빙 기지국에 메시지 부분으로서 송신될 수 있다. 도 7a는 무선 유닛으로부터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위치 메시지의 예로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채널의 수신 신호 세기와 같은 신호질 측정치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위치 메시지는 이웃하거나 혹은 후보 기지국(들)으로부터 순방향 채널상의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위치 메시지는 서빙 기지국으로 혹은 대응하는 이웃하는 또는 후보 기지국으로 직접 송신된다. 예를 들면, 무선 유닛은 후보 기지국(들)의 12개의 MAHO 순방향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부가적인 정보 또는 이들 채널에 대한 위치 측정에서 측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송된 위치 메시지 또는 보고서는 단지 현재 포지션 측정치 및/또는 이전 포지션 측정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외에, 현재 포지션 및/또는 이전 포지션(들)과 관련된 방향, 속도 및/또는 거리와 같은 다른 위치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위치 정보는 전화 번호, 전자 시리얼 번호 및/또는 다른 식별 코드의 형태로 무선 유닛 신원 및/또는 이 위치에 대한 신호질 측정치와 같은 관련된 정보 또는 매개변수와 함께 송신될 수 있다. 위치 메시지와 같은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그리고,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명칭 "System for Determining Wireless Coverage Using Location for the Wireless Unit"인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본 출원과 동시에 출원되어 공동계류중인 출원 시리얼번호 XX/XXX,XXX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성취될 수 있다.
전송된 위치는 서빙 기지국에 수신되고, 블럭(114)에서, 서빙 기지국은 이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필요가 있는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이 위치 정보 및 서빙 기지국에 대한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 관하여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므로써 혹은, (기지국이 무선 유닛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것에 응답하여) 임계치에 관하여 신호질 측정치를 검사하므로써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의 필요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대신에, 서빙 기지국은 적어도 소정의 위치 정보를 MSC로 전송할 수 있는 데, MSC는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의 필요성에 관해 결정하기 위해 위치 정보를 저장 및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드오프 시스템은 핸드오프할 것 같은 지와, 예를 들면, 무선 유닛이 영역(63)에 있는 지(도 4)와 같이 포지션상의 갱신과 같은 무선 유닛에 대한 더 많은 위치 정보가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서빙 기지국은 무선 유닛이 핸드오프를 필요로 하는 지를 결정시에 위치 정보를 사용하고, 적어도 위치 정보의 일부분을 MSC로 송신한다(그리고, 위치 메시지에서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블럭(116)에서, MSC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그리고, 위치 메시지에서 부가적인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것인지 및,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최상의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MSC는 서빙 기지국에 대한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검사하므로써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핸드오프 위치 정보는 서빙 셀내의 상이한 포지션 또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이한 포지션 또는 영역의 경우에는 특정한 위치에서 무선 유닛을 위하여 핸드오프할 대응하는 최상의 후보 또는 후보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핸드오프 위치 정보는 핸드오프해야할 특별한 무선 유닛이 있는 지의 여부와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하여 무선 유닛 신원 및/또는 포지션에 대한 신호질 측정치와 같은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하여 결정 및 검색될 수 있다. MSC는 특정한 포지션에서 무선 유닛에 대한 최상의 후보를 결정시에 핸드오프 후보의 능력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유닛의 속도 및/또는 방향은 위치 정보에 포함될 수 있고, 특정한 속도 및/또는 방향에서 이동하는 특정한 위치에서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최상의 후보를 결정시에 MSC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b는 서빙 셀 'X'에 대한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도시한다. 서빙 기지국 및/또는 후보 기지국의 역방향 및/또는 순방향 회선 신호에 대한 BER, FER 또는 RSSI와 같은 포지션, 속도, 방향, 관련된 신호질 측정치(들)과 기지국(들) 및/또는 서빙 기지국의 트래픽 로드가 주어진다고 가정하면, 핸드오프 시스템은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핸드오프를 행할 것이지의 여부와 핸드오프를 위한 대응하는 최상의 후보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대신에,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최상의 후보를 결정하는 일이 서빙 기지국 및/또는 MSC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에를 들면, 서빙 기지국은 서빙 셀에 대한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검사한 후에 최상의 후보를 MSC에 제공하거나 혹은, MSC에 다수의 후보를 제공하여 MSC가 최상의 후보를 선택하게 하거나 혹은, MSC가 무선 유닛으로부터 모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것이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과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후보 기지국을 결정하는 일을 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핸드오프 시스템은 최상의 후보인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위치 정보를 원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블럭(116)에서 무선 유닛을 위한 최상의 후보를 결정한 후에, 블럭(118)에서 MSC는 최상의 후보 기지국 및 서빙 기지국으로 최상의 후보 기지국 정보를 송신하는 데, 이 정보는 최상의 후보 기지국과 무선 유닛간에 사용될 새로운 채널(들)을 포함한다. 블럭(120)에서, 서빙 기지국은 최상의 후보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채널(들)을 무선 유닛에게 통지하고, 무선 유닛은 새로운 채널로 튜닝되어 최상의 후보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된다.
도 8은 블럭(130)에서 무선 유닛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수신시에 무선 유닛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핸드오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핸드오프 위치 정보는 서빙 셀내의 상이한 포지션 또는 영역, 그리고, 대응하는 최상의 후보 또는 후보 기지국, 무선 유닛이 (관련 정보와 함께 결정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결정해야 하고, 그리고/또는 (관련 정보와 함께 송신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해야할 트리거 포지션, 그리고/또는 신호질 측정 임계치(들)과 같은 각종 매개변수 및/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럭(132)에서, 무선 유닛은 현재 포지션, 속도 및 방향과 같은 위치 정보와, 위치에 대한 신호질 측정치와 같은 관련된 정보 또는 측정치를 결정한다. 소정의 거리가 이동된 후에, 서빙 기지국으로 혹은 이로부터 채널의 신호질 측정치(들)가 위치 핸드오프 정보 부분으로서 서빙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며 핸드오프 위치 정보의 일부일 수 있는 포지션 트리거를 기반으로 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무선 유닛은 주기적으로 포지션 변경을 근거로 (관련 정보와 함께 결정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연속해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 및 관련 정보는 주기적으로 결정될 수 있지만, 무선 유닛이 영역(58)으로 진행될 때, 위치 정보 측정치는 보다 높은 율로 혹은 다른 트리거를 기반으로 발생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데 무선 유닛에 대한 다른 트리거를 사용할 수 있고, 트리거는 무선 유닛의 속도에 따라서 변경 및/또는 달라질 수 있다. (관련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는) 가장 최근의 위치 정보가 (관련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는) 이전의 위치 정보와 함께 무선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 유닛은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한다(그리고, 또한 관련 정보 또는 측정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관련 정보와 함께 모니터링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할 시에, 블럭(134)에서 무선 유닛을 또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할 필요가 있는 지를 결정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유닛이 핸드오프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시에, 무선 유닛은 핸드오프 요청을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핸드오프 요청은 최상의 후보 기지국 또는, 무선 유닛의 특정한 위치 정보( 및 실시예에 따른 관련 정보)에 대한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서 표시되는 후보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대신에,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핸드오프 위치 정보는 단순히 핸드오프 결정을 유발하기 위한 포지션 트리거 또는 신호질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프 결정이 유발되면, 무선 유닛은 (관련 정보와 함께 송신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고, 이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프를 수행해야 하는 지를 결정하고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 관련된 (관련 정보와 함께 검사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검사한 후에 최상의 후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핸드오프 결정 또는 이 결정의 일부는 서빙 기지국에서 결정되거나 혹은, 적어도 위치 정보의 일부가 MSC로 진행되어 이 MSC가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또는 위치 정보 및/또는 무선 유닛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관련 정보를 검사한 후에 최상의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그리고, 이 포지션에 대한 신호질 측정치와 같은 관련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무선 유닛은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의 필요성에 대해 결정시에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위치 정보 및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사용한다.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가 필요하다고 결정시에, 무선 유닛은 MSC에 대한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을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블럭(136)에서, MSC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관련 정보와 함께 수신 및 사용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의 필요성을 결정하고,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최상의 후보를 결정한다. MSC는 서빙 기지국 또는 셀에 대한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검사하므로써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MSC는 특정한 포지션에서 무선 유닛을 위한 최상의 후보를 결정시에 핸드오프 후보의 능력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유닛의 속도 및/또는 방향이 위치 정보에 포함될 수 있고, MSC는 특정한 속도 및/또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특정한 포지션에서의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최상의 후보를 결정시에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유닛이 영역(62)에서의 포지션에 있고, 서빙 셀의 바깥 경계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중일 시에, 다른 후보 기지국(들)에 관하여 혹은 순방향 회선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서 지명하는 레벨에 관하여 기지국(60a)으로부터의 순방향 회선 채널의 수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그리고/혹은 다른 후보 기지국(들)에 관하여 혹은 후보 기지국(60a)에 대한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서 지명하는 레벨에 관하여 기지국(60a)의 트래픽 로드를 기반으로 최상의 후보로서 기지국(60a)을 선택할 수 있다. 최상의 후보에 대한 결정은 특정한 위치 정보 또는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 포함된 위치와 관련된 후보 리스트로부터의 무선 유닛의 로케이트를 요청하므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이 대신에,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최상의 후보를 결정하는 일이 서빙 기지국 및/또는 MSC에서 수행될 수 있다.
블럭(136)에서 무선 유닛에 대한 최상의 후보를 결정한 후에, 블럭(138)에서 최상의 후보 기지국 및 서빙 기지국으로 최상의 후보 기지국 정보를 송신하는 데, 이 정보는 최상의 후보 기지국과 무선 유닛간에 사용될 새로운 채널(들)을 포함한다. 블럭(140)에서, 서빙 기지국은 무선 유닛에게 최상의 후보 기지국을 위한 새로운 채널(들)을 통지하고, 무선 유닛은 새로운 채널(들)로 튜닝되어 최상의 후보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구성요소를 생략 및/또는 추가하고 그리고/혹은 전술한 시스템의 일부의 변형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핸드오프 시스템의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 시스템간에 및 그내에서 위치 정보, 관련 정보 및/또는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측정, 트리거링, 모니터링, 전송, 저장 및/또는 송신하는 방식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 관련 정보 및/또는 핸드오프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식 및 위치에 저장될 수 있고, 핸드오프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시에, 정보가 무선 통신 시스템내에서 조작, 증가, 갱신 및 전개되는 방식은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핸드오프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은 추가, 이동, 변경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오프 시스템을 TDMA 시스템으로 기술하였지만, 핸드오프 시스템은 CDMA, GSM(Global System Mobile) 및/또는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와 같은 다른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핸드오프 시스템 및 이 시스템 일부는 무선 유닛, 서빙 기지국, MSC 및/또는 후보 기지국과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 걸쳐 상이한 위치에 분산될 수 있다.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의 여부 및/또는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 무선 유닛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당업자들이 잘 아는 바와 같이, 핸드오프를 위한 특별한 후보 기지국(들)과 특정한 위치 정보를 연결 또는 관련시키기 위하여 핸드오프 처리시에 위치 정보의 상이한 형태 및 종류 그리고/또는 관련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드오프 시스템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저장된 위치, 관련 정보 및/또는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모두 다 사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위치 정보 및/또는 관련 정보가 무선 유닛의 위치 정보 및/또는 관련 정보로부터 도출되는 한, 위치 정보 및/또는 관련 정보는 변경되거나 혹은 상이한 형태의 핸드오프 시스템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핸드오프는 상이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당업자들이 잘 아는 바와 같이 일부는 본 발명의 이점을 가지고 애플리케이션 특정적 집적회로, 소프트웨어구동 처리 회로, 펌웨어 또는 다른 개별 구성요소의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제한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상기 및 다양한 다른 변경, 장치 및 방법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제1 기지국(24a)으로부터 무선 유닛(12)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12)을 제2 기지국(24b)으로 핸드오프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유닛(12)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에서 위치 정보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질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얻는 상기 단계는
    상기 무선 유닛(70)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하여 상기 무선 유닛(70)과 집적된 GPS 수신기(72)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24a)으로부터 상기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핸드오프 위치 정보에 관련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를 근거로 상기 무선 유닛(12)에 대한 상기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기지국(24a)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12)에 대한 상기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1 기지국(24a)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유닛(12)을 핸드오프할 상기 최상의 후보 기지국으로서 상기 제2 기지국(24b)을 결정하는 데, 상기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을 사용하여 핸드오프 정보를 검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기지국(24b-g)을 얻는 데 상기 위치 정보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유닛을 핸드오프할 상기 제2 기지국(24b)을 결정하는 데 상기 무선 유닛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기지국으로부터의 로케이트(a locate)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단계는
    상기 무선 유닛을 상기 제2 기지국으로 핸드오프할 것이지를 결정하는 데,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얻는 단계 및 상기 사용 단계는
    상기 관련 정보로서 상기 위치 정보에서 포지션(position)에서의 상기 무선 유닛(12)과 상기 기지국(24a)간의 통신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질 측정치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단계는
    상기 무선 유닛의 속도를 가진 상기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단계는
    상기 무선 유닛의 방향을 가진 상기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에 관련된 핸드오프 위치 정보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12)으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단계는
    상기 핸드오프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서 트래픽 로드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의 수행 방법.
KR1020000050620A 1999-08-31 2000-08-30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 KR200100301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698299A 1999-08-31 1999-08-31
US9/386,982 1999-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155A true KR20010030155A (ko) 2001-04-16

Family

ID=2352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620A KR20010030155A (ko) 1999-08-31 2000-08-30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81974A3 (ko)
JP (1) JP2001112041A (ko)
KR (1) KR20010030155A (ko)
CN (1) CN1286579A (ko)
AU (1) AU5359900A (ko)
BR (1) BR0004567A (ko)
CA (1) CA23164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895B1 (ko) * 2006-02-23 2006-12-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기지국 단위 로밍시스템 및 방법
KR100667521B1 (ko) * 2005-06-30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Gps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오프 방법 및 그 이동단말
KR100964658B1 (ko) * 2002-12-27 201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드 서비스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1567B1 (en) * 2000-03-30 2004-04-1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selecting a likely target cell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GB2371715B (en) * 2001-01-27 2004-06-02 Motorola Inc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JP3717798B2 (ja) * 2001-03-26 2005-1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移動通信システム
AU2002354975A1 (en) 2001-07-16 2003-03-03 Wavemarket Inc. System for providing alert-based services to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729698B2 (en) 2001-09-27 2010-06-01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system receiver and method for concurrent receiving of multiple channels
DE60109305T2 (de) * 2001-11-22 2006-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erfahren zum Weiterreichen eines Endgerätes
WO2003045009A1 (en) * 2001-11-22 2003-05-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of handing over a terminal
JP3921113B2 (ja) 2002-03-26 2007-05-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複合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複合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装置、無線端末および方法
US20030235164A1 (en) * 2002-06-24 2003-12-25 Intel Corporation Management of location-aware networks
EP1537687B1 (en) * 2002-09-06 2011-08-24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s with mobile platforms operating within a predefined geographic area
US8023949B2 (en) 2002-09-06 2011-09-20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s with mobile platforms operating within a predefined geographic area
EP1427236A1 (en) * 2002-12-02 2004-06-09 Alcatel A location map for selecting reception conditions for a mobile station depending on its present actual location
US8400979B2 (en) * 2003-01-07 2013-03-19 Qualcomm Incorporated Forward link handoff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OFDM forward link and CDMA reverse link
US6954643B2 (en) * 2003-06-25 2005-10-11 Arraycomm Llc Criteria for base station selection, includ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91065B1 (en) * 2003-07-17 2013-02-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ignaling method for WLAN network control
EP1735956B8 (en) 2004-04-06 2012-03-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cation based handoff for mobile devices
JP4575182B2 (ja) * 2005-01-28 201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衛星通信用端末及び管理局
KR100617812B1 (ko) 2005-02-22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및 그 방법
ATE385392T1 (de) * 2005-03-16 2008-02-15 Alcatel Lucent Verfahren zur weiterreichung in einem kommunikationsnetzwerk
JP2006332896A (ja) * 2005-05-24 2006-12-07 Kyocera Corp 携帯端末、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852568B (zh) * 2005-08-29 2010-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间切换方法
FR2905551B1 (fr) * 2006-09-06 2009-01-23 Alcatel Sa Procede de gestion des connexions entre un terminal sans fil et des interfaces d'acces
JP2008301137A (ja) * 2007-05-30 2008-12-11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EP2073574A1 (en) * 2007-12-20 2009-06-24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Method and a device for enabling a mobile terminal to be detected by at least one base station
JP4901800B2 (ja) 2008-04-14 2012-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端末および基地局制御局なら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フ制御方法
US20100069070A1 (en) * 2008-09-17 2010-03-18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assisted network entry, scan and handover
US9148831B2 (en) * 2008-11-14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GPS-assisted cell selection for mobile devices
US8422460B2 (en) 2009-04-06 2013-04-16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performing proactive wireless communication handoffs using a mobile client's route information
CN102056261B (zh) * 2009-11-06 2013-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判决方法及装置
US9158290B2 (en) 2009-12-16 2015-10-13 Robert Bosch Gmbh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arrangement and method
US8725174B2 (en) 2010-10-23 2014-05-13 Wavemarket, Inc. Mobile device aler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9859972B2 (en) * 2014-02-17 2018-01-02 Ubiqomm Llc Broadband access to mobile platforms using drone/UAV background
US9510152B2 (en) 2014-04-11 2016-11-29 Location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location measurements
US9479964B2 (en) 2014-04-17 2016-10-25 Ubiqomm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fading in a broadband access system using drone/UAV platforms
US9614608B2 (en) 2014-07-14 2017-04-04 Ubiqomm Llc Antenna beam management and gateway design for broadband acces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UAV) platforms
US9571180B2 (en) 2014-10-16 2017-02-14 Ubiqomm Llc Unmanned aerial vehicle (UAV) beam forming and pointing toward ground coverage area cells for broadband access
US9712228B2 (en) 2014-11-06 2017-07-18 Ubiqomm Llc Beam forming and pointing in a network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for broadband access
US9590720B2 (en) 2015-05-13 2017-03-07 Ubiqomm Llc Ground terminal and gateway beam pointing toward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for network access
US9660718B2 (en) 2015-05-13 2017-05-23 Ubiqomm, LLC Ground terminal and UAV beam pointing in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for network access
EP3314947A4 (en) * 2015-06-24 2018-05-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managing a geo-fence for use by a source radio network node
CN105916182B (zh) * 2016-04-25 2020-03-0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载波频率切换方法及系统
US9853713B2 (en) 2016-05-06 2017-12-26 Ubiqomm Llc Unmanned aerial vehicle (UAV) beam pointing and data rate optimization for high throughput broadband access
US10313686B2 (en) 2016-09-20 2019-06-04 Gopr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pressing video content using adaptive projection selection
IL260171B (en) 2018-06-20 2021-10-31 Omnistream Systems and methods for triggering a handover between relay base st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O2022155972A1 (zh) * 2021-01-25 2022-07-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小区切换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6445A (en) * 1991-12-26 1996-08-13 Dennison; Everett Cellular telephone system that uses position of a mobile unit to make call management decisions
GB2271486B (en) * 1992-10-07 1997-04-16 Motorola Ltd A communication system
US5572221A (en) * 1994-10-26 1996-11-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predicting motion of mobile terminals
US5796722A (en) * 1996-05-17 1998-08-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load balancing using handoff
WO1999041925A1 (en) * 1998-02-16 1999-08-19 Nokia Networks Oy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658B1 (ko) * 2002-12-27 201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드 서비스처리방법
KR100667521B1 (ko) * 2005-06-30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Gps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오프 방법 및 그 이동단말
KR100659895B1 (ko) * 2006-02-23 2006-12-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기지국 단위 로밍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6440A1 (en) 2001-02-28
CN1286579A (zh) 2001-03-07
BR0004567A (pt) 2001-04-03
EP1081974A2 (en) 2001-03-07
AU5359900A (en) 2001-03-08
JP2001112041A (ja) 2001-04-20
EP1081974A3 (en) 200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0155A (ko) 무선 유닛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방법
JP3917804B2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特定の地理的領域についてのカバレージを決定する方法
KR10031071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지리 정보에 기초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70823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neighbor cell list
US6631263B1 (en) Cell hand-off border identification using MS positioning and signal strength values
RU2193288C2 (ru) Способ облегчения переноса связи
CA2049712C (en) Handoff of a mobile station between half rate and full rate channels
US6122505A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base stations having test capabilities
JP2597940B2 (ja) 細長い無線電話セルのためのハンドオフアルゴリズム
AU770733B2 (en) Method for improving handover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20080248822A1 (en) Link adapt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GB2321576A (en) Dual system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64773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hot spots in the D-AMPS wireless system
KR20040037117A (ko)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시스템-액세스 및 소프트-핸드오프파라미터들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RU2417557C2 (ru) Внутричастотные и межчастотные измерения в системе радиосвязи
JP6245465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基地局切替方法
WO20100791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erforming a handover function in a cellular wireless network
KR20020014805A (ko) 셀룰러 네트워크의 터미널에서 신호의 전력 레벨의 측정과터미널을 개시하는 방법
KR10062699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동작 측정을 행하기 위한 방법
KR20000017657A (ko) 확장된 범위의 동심 셀 기지국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JP200700588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品質情報取得方法
JPH10276178A (ja) データ伝送装置及び方法
JP422026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及び切替制御方法
JP2000333233A (ja) ハンドオーバ要求機能を備えた移動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