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212A -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212A
KR20010028212A KR1019990040334A KR19990040334A KR20010028212A KR 20010028212 A KR20010028212 A KR 20010028212A KR 1019990040334 A KR1019990040334 A KR 1019990040334A KR 19990040334 A KR19990040334 A KR 19990040334A KR 20010028212 A KR20010028212 A KR 20010028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zone
filter
zeolite
pur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진
Original Assignee
신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진 filed Critical 신대진
Priority to KR101999004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8212A/ko
Publication of KR2001002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21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for separation of magnetic materials, e.g. magnetic flocc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Abstract

본 발명은 물탱크내부에 물탱크로 공급되는 물을 활성화시키고 저온화시킬 수 있도록 한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수장치(100)를 상수원을 공급하는 급수관(11)과 연결하기 위한 급수구(12)를 가지는 캡(13)을 결합하여 제2정수부(50)의 상부캡(51)과 결합되는 몸체(14); 급수구(12)의 하방에 구비되는 필터유지구(16)에 유지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필터(17); 필터유지구(16)의 하방에 마감되어 유입된 물이 제1필터(17)로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커버(18); 커버(18)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입된 물을 자화시키고 금속성분을 제거하는 자석(19)을 포함하는 제1정수부(10)와; 제1정수부(10)를 연결한 상부캡(51)과 하부캡(52)을 상,하단에 각각 결합한 몸체(53); 몸체(53)에는 격벽(60)으로 내부를 구획하여 구비되는 정수실(61)과 펌핑실(62); 정수실(61)에 구비되어 정화된 물을 물탱크(2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63); 펌핑실(62)에 구비되어 물탱크(20)에 충진된 물을 재유입시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정수실(61)과 펌핑관(65)으로 연결된 수중펌프(66)를 포함하는 제2정수부(50)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Filtering using ozon and zeolite}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대상물의 활성화와 살균에 뛰어난 특성을 가지는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하여 가정이나 공공기관 집단시설등에서 사용하는 상수원을 정수하여주는 정수장치를 제공하여 음용자들의 건강증진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올라이트는, 나트륨, 칼슘, 알미늄등의 함수 규산염광물의 일종으로서 흡착, 건조에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오염된 수질의 정화와 악취등을 제거에 탁월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오존은, 산화력이 강한 엷은 푸른색을 띤 기체로서 공기중에 흡입된 산소에 에너지를 가함으로서 3개의 산소원자로 바뀌고, 이 산소원자등의 결합으로 오존(O3)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오존은 강력한 산화 및 살균능력을 가지고 있어 정수, 정화, 소독, 탈취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들어서는 다수의 오존발생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하여 가정이나, 공공기관, 학교, 집단시설, 산업 및 농업용에 사용되는 수원에 적용할 수 있는 정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원은 정수장등을 거치면서 가정이나 집단시설, 산업 및 농업현장에 공급되고, 이러한 수원은 일정한 크기의 물탱크에 일시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에 일시 저장된 수원은 물탱크에 공급되면서 정지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용존산소가 부족하고, 수원의 공급과정에서 배관등에서 발생하는 금속성분이나 화학약품등으로 인한 유해물질을 보유하게 된다.
특히, 하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외부온도에 의하여 물탱크 내부의 온도가 올가감으로서 수온역시 상승하여 적조 및 녹조현상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에게 좋은 물을 공급할 수 없게된다.
그리고, 집단시설의 경우에는 토요일에서 일요일사이 또는 공휴일과 같은 공백기간에는 물탱크내부의 물의 유동이 거의 없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용존산소의 부족으로 인한 죽은물로 변화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탱크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유해물질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를 시행하는 가정이나 집단시설등이 없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물탱크내부에 물탱크로 공급되는 물을 활성화시키고 저온화시킬 수 있는 정수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장시간동안 물의 유동이 없더라도 오존과 제올라이트에 의하여 활성화 시켜줌으로서 활성화된 물의 제공으로 사용자들의 건강증진과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제1정수부
17; 제1필터
19; 자석
21; 오존발생기
25; 제올라이트
50; 제2정수부
54; 제2필터
60; 격벽
63; 배출관
64; 사문암
65; 펌핑관
66; 수중펌프
70; 냉동기
71; 냉동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단면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수장치(100)는;
상수원을 공급받아 1차 정화를 수행하는 제1정수부(10)와 상기 제1정수부(10)를 거친 상수원을 재차정수하고 물탱크내의 물을 순환시켜 활성화시키는 제2정수부(5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제1정수부(10)는;
상수원을 공급하는 급수관(11)과 연결하기 위한 급수구(12)를 가지는 캡(13)을 제2정수부(50)의 상부캡(51)과 결합한 몸체(14)의 상단부에 결합한다.
상기 급수구(12)의 하방에는 필터유지구(16)와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필터(17)가 결합되고, 상기 필터유지구(16)의 하방에는 유입된 물이 제1필터(17)로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커버(18)로 마감한다.
상기 커버(18)의 내측에는 자석(19)을 내장하여 유입된 물을 자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유입되는 물에 함유된 금속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14)의 일측에는 물탱크(20)의 외부에 설치되는 오존발생기(21)와 연결되어 제1필터(17)를 통과한 물에 오존을 방사시켜 살균을 위한 오존방사기(22)가 내장된다.
상기 몸체(14)의 내부에는 활성화와 제1필터(17)에 의하여 제거되지않은 이물질등을 제거하기 위한 소직경의 제올라이트(25)를 충진시켜 구성한다.
상기 제2정수부(50)는;
상부에 제1정수부(10)를 연결한 상부캡(51)과 하부캡(52)을 상,하단에 각각 결합한 몸체(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캡(51)의 상측에는 제1정수부(10)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재차 걸러 정화하기 위한 제2필터(54)를 구비하여 다수개의 유입공(55)을 가지는 필터커버(56)로 마감한다.
상기 몸체(53)의 하방에는 횡방향으로 구획되는 격벽(60)에 의하여 상측에는 정수실(61)을, 하측에는 펌핑실(62)을 형성한다.
상기 정수실(61)의 내부에는 마그네슘과 규산을 주성분으로 하여 환원성과 흡착 및 탈색성이 우수한 사문암(64)과 제올라이트(25)를 충진시켜 유입된 물의 정화하고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수실(61)의 바닥면 일측에는 제1,2정수부(10,50)을 거쳐 정화된 물을 물탱크(2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63)을 구비하고, 상기 펌핑실(62)에는 물탱크(20)에 충진된 물을 제2정수부(50)로 경유시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정수실(61)과 펌핑관(65)으로 연결된 수중펌프(66)를 구비한다.
물론, 상기 펌핑실(62)의 하방에 결합되는 하부캡(52)에는 물탱크(20)의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유입공(67)이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제2정수부(50)의 몸체(53) 외측에는 물탱크(20) 외측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냉동기(70)와 연결되는 냉동관(71)을 나선형으로 배관하여 정수되는 물과 물탱크(20)상의 물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정수부(10)의 급수관(11)에는 통상적인 플로트밸브를 구비하여 물탱크(20)에 물이 충진된 상태에서는 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수중펌프(66)는 상기 플로트밸브와 연계하여 물의 공급이 중단될 때 물탱크(20)의 물을 제2정수부(50)로 경유시켜 활성화 하도록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존발생기(21)와 연결되는 오존방사기(22)를 제2정수부(50)에 위치시켜 오존 방사시 발생하는 기포가 자연 상승에 의하여 제1정수부(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의 정수장치(100)를 물탱크(20)내부에 설치한 후 오존발생기(21)와 냉동기(70)를 연결시킨다.
초기상태를 물탱크(20)내에 물이 충진되지 않은 상태로 보았을 때, 급수관(11)에 일체로 구비되는 플로트밸브가 개방되어 급수관(11)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면 급수구(12)를 경유하여 제1필터(17)로 물이 공급된다.
제1필터(17)로 공급된 물은 각종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1정수부(10)로 공급되고, 제1필터(17)의 하방에 위치한 자석(19)에 의하여 뭉에 함유된 금속성분등이 제거된다.
제1필터(17)를 통과한 물은 오존발생기(21)와 연결된 오존방사기(22)로부터 방사되는 오존과 제1정수부(10)에 충진된 제올라이트(25)에 의하여 유해균이 살균되고, 활성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필터(54)를 통과하면서 재차 이물질이 걸러져 제2정수부(50)로 공급되고, 공급된 물은 사문암(64)과 제올라이트(25)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배출관(63)을 통하여 물탱크(20)에 충진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20)에 물이 충만하였을 경우에는 플로트밸브에 의하여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동시에 수중펌프(66)가 작동하여 물탱크(20)내의 물을 하부캡(52)의 유입공(67)으로 유입시켜 펌핑관(65)을 통하여 제2정수부(50)로 역류시켜 공급하여 활성화 시킨상태에서 배출관(63)을 통하여 물탱크(20)로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물탱크(20)내의 물의 소모가 없더라도 지속적인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정수부(50)의 몸체(53) 외측에 배관되어 냉동기(70)와 연결된 냉동관(71)에 의하여 정수장치(100)내부의 물은 물론, 물탱크(20)내부에 충진된 물을 시원한 상태로 유지시켜 줌으로서 특히 하절기에 유익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물탱크내부에 물탱크로 공급되는 물을 활성화시키고 저온화시킬 수 있는 정수장치를 설치함으로서 물탱크 내부의 물을 활성화 시켜 사용자들의 건강증진과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정수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100)는;
    상수원을 공급하는 급수관(11)과 연결하기 위한 급수구(12)를 가지는 캡(13)을 결합하여 제2정수부(50)의 상부캡(51)과 결합되는 몸체(14);
    상기 급수구(12)의 하방에 구비되는 필터유지구(16)에 유지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필터(17);
    상기 필터유지구(16)의 하방에 마감되어 유입된 물이 제1필터(17)로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커버(18);
    상기 커버(18)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입된 물을 자화시키고 금속성분을 제거하는 자석(19)을 포함하는 제1정수부(10)와;
    상기 제1정수부(10)를 연결한 상부캡(51)과 하부캡(52)을 상,하단에 각각 결합한 몸체(53);
    상기 몸체(53)에는 격벽(60)으로 내부를 구획하여 구비되는 정수실(61)과 펌핑실(62);
    상기 정수실(61)에 구비되어 정화된 물을 물탱크(2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63);
    상기 펌핑실(62)에 구비되어 물탱크(20)에 충진된 물을 재유입시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정수실(61)과 펌핑관(65)으로 연결된 수중펌프(66)를 포함하는 제2정수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수부(10)의 몸체(14)에는 물탱크(20)의 외부에 설치되는 오존발생기(21)와 연결되어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방사기(22)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4)의 내부와 제2정수부(50)의 정수실(61)에는 유입된 물의 활성화를 위한 제올라이트(25)와 사문암(64)을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51)에는 제1정수부(10)를 경유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재차 걸러 정화하기 위한 제2필터(54)를 구비하고;
    상기 제2필터(54)는 다수개의 유입공(55)을 가지는 필터커버(56)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수부(50)의 몸체(53) 외측에는 정수되는 물과 물탱크(20)내의 물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통상적인 냉동기(70)와 연결되는 냉동관(71)을 배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기(21)와 연결되는 오존방사기(22)를 제2정수부(50)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KR1019990040334A 1999-09-20 1999-09-20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KR20010028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34A KR20010028212A (ko) 1999-09-20 1999-09-20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34A KR20010028212A (ko) 1999-09-20 1999-09-20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212A true KR20010028212A (ko) 2001-04-06

Family

ID=1961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334A KR20010028212A (ko) 1999-09-20 1999-09-20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82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101A (ko) * 2015-04-01 2016-10-11 김현용 가정용 수처리 장치
CN106367194A (zh) * 2016-11-11 2017-02-01 安徽瀚程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金属加工液除浮油净化再生节能环保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101A (ko) * 2015-04-01 2016-10-11 김현용 가정용 수처리 장치
CN106367194A (zh) * 2016-11-11 2017-02-01 安徽瀚程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金属加工液除浮油净化再生节能环保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0313A (en) Point-of-use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a cascade ion exchange option
US6099735A (en) Counter top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system
US4693806A (en) Chlorine generator device
US7604735B1 (en) Combined chlorine and ozone generator sterilization system
JP3713486B2 (ja) マイクロウェーブを用いた紫外線及びオゾン発生装置
CN102459098A (zh) 滤水壶
KR101124463B1 (ko)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JP2006116536A (ja) 小型紫外線殺菌浄水装置
KR20010028212A (ko) 제올라이트와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JP2004275929A (ja) 水改質器及びそれを使用した水改質装置
KR200303777Y1 (ko) 해수의 정수 및 살균 장치
KR101266959B1 (ko) 해수정화장치
RU12826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готов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CN215783234U (zh) 二氧化氯发生器
KR101640003B1 (ko) 고농도 오존수 제조장치
JP2002361231A (ja) 浄水製造装置
JPS61138587A (ja) 飲料用浄水器
CN216303489U (zh) 多功能臭氧净化活水机
RU209131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RU2206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KR200144346Y1 (ko) 오존을 이용한 정수장치
CN217709152U (zh) 一种制造化学产品用污水处理装置
CN107055982A (zh) 一种工业厂区排放污水深度净化处理装置
JPH0646551Y2 (ja) 受水槽
JP2005230696A (ja) 水の除菌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