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812A - 물분해용 광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물분해 방법 - Google Patents

물분해용 광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물분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812A
KR20010025812A KR1019990036846A KR19990036846A KR20010025812A KR 20010025812 A KR20010025812 A KR 20010025812A KR 1019990036846 A KR1019990036846 A KR 1019990036846A KR 19990036846 A KR19990036846 A KR 19990036846A KR 20010025812 A KR20010025812 A KR 20010025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atalyst
hydrogen
water
metal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7793B1 (ko
Inventor
이재성
김현규
황동원
김진도
김영걸
Original Assignee
정명식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식,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정명식
Priority to KR1019990036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793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002Mixed oxides other than spinels, e.g. perovsk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12Oxid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16Redu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03Preparation of oxygen from inorganic compounds
    • C01B13/0207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decomposition of inorganic compounds, e.g. ammonia
    • C01B3/042Decomposition of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23/0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23/0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 B01J2523/2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of Group II (IIA or IIB) of the Periodic Table
    • B01J2523/23Calc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23/0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 B01J2523/3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of Group III (IIIA or IIIB) of the Periodic Table
    • B01J2523/37Lanthanides
    • B01J2523/3706Lantha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23/0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 B01J2523/4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of Group IV (IVA or IVB) of the Periodic Table
    • B01J2523/4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23/0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 B01J2523/5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of Group V (VA or VB) of the Periodic Table
    • B01J2523/56Niob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분해용 광촉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광촉매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AnBnO3n+2
상기 식중, A는 칼슘(Ca) 및 란탄(La)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고, B는 니오븀(Nb) 및 티탄(Ti)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n은 4 또는 5 이다. 상기 광촉매는 종래의 물분해 광촉매보다 수소발생률이 훨씬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물분해용 광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물분해 방법{Photocatalysts for water splitting and water splitting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분해용 광촉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물로부터 수소와 산소를 제조할 수 있는 촉매에 관한 것이다.
태양 에너지 전환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중에서, 물을 수소솨 산소로 분해시키는 기술은 풍부한 수자원으로부터 수소를 함유한 고청정 에너지를 대량으로 직접적 얻을 수 있다는 기대 때문에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술중 하나이다.
자외선 조사하에 반도체 광촉매를 이용하여 물을 분해하는 방법이 1972년에 알려진 후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TiO2나 SrTiO3와 같은 광촉매는, 광반응 생성물의 제조에 실제로 사용된 흡수 광자의 백분율을 의미하는 양자 수율(quantum yields)이 약 1미만으로 매우 낮다. 특히, 금속이 담지되지 않은 물분해용 광촉매는 수소발생 속도가 약 5μmol/h 이하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도멘(Domen) 등에 의해 다층 구조를 가진 K4Nb6O17및 A4Nb6-xO17(A=K, Rb)와 같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물질이 연구되었는데, 이들은 양자 수율이 약 5로서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K. Domen, A. Kudo and A. Shinozaki, J. Chem. Soc., Chem. Commun., 1986, 356). 또한, 이노우에(Inoue) 등은 터널 구조의 RuO2-BaTi4O9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물을 분해할 수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Y. Inoue, T. Niiyama and Y.Asai, J. Chem. Soc., Chem. Commun., 1992, 579).
그러나, 실제로 물을 광분해하여 얻어지는 수소가 장차 에너지 및 환경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효율이 보다 높은, 특히 상온·상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촉매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온·상압에서 높은 효율로 물을 광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제조할 수 있는 광촉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촉매를 이용하여 물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분해용 광촉매를 제공한다.
AnBnO3n+2
상기 식중, A는 칼슘(Ca) 및 란탄(La)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고, B는 니오븀(Nb) 및 티탄(Ti)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n은 4 또는 5 이다.
상기 광촉매는 촉매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의 금속이 담지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은 니켈, 백금, 세슘, 비스무트 또는 루테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이 담지된 광촉매는 300 내지 800℃에서 환원처리되고, 200 내지 500℃에서 산화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촉매를 사용하여 물을 분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유기알콜을 희생시약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nH2n+1OH (n=1 내지 4의 정수)
상기 희생시약의 첨가량은 1 내지 5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촉매와 같은 금속 산화물은 물에 분산, 접촉시킬 경우 고체 표면에 전해질에 의한 전기저항층이 형성되므로 촉매의 활성이 pH 변화에 의해 민감하게 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촉매는 그 표면이 약알칼리성을 띠는 경우에 전기저항층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분해 방법은 pH 7 내지 12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화학식 1의 광촉매는 광촉매 반응을 통하여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촉매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CaCO3, La2O3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TiO2, Nb2O5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2:1 몰비로 혼합하여 막자 사발에서 잘 분쇄한 후 펠렛 형태로 만든다. 전기로에서 1000 내지 1400℃로 5 내지 10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Ca4Nb4O14, La4Ti4O14, La4CaTi5O17등과 같은 광촉매를 제조한다.
상기 광촉매는 그자체로도 사용가능하나, 활성을 높일 목적으로 금속을 담지할 수 있다. 담지 금속으로는 니켈(Ni), 백금(Pt), 비스무트(Bi), 세슘(Cs), 루테늄(Ru) 등을 예로 들수 있으며, 금속의 담지량은 촉매 총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이다.
담지시키고자 하는 금속의 전구체를 증류수에 녹인 후 인시피언트 웨트니스(incipient wetness)법을 사용하여 담지시킨다. 금속을 담지시킨 후에는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한다. 먼저, 30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공기로 열처리한 후 400 내지 900℃에서 2 내지 4시간 수소로 환원 열처리하고, 이를 다시 200 내지 40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공기로 산화 열처리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촉매는 처리조건에 따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할 수 있다.
RXOY/M(N)/AnBnO3n+2
상기 식중, R은 환원(reduction), X은 환원온도를 100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O는 산화(oxidation), Y는 산화온도를 100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고, M은 담지 금속, N은 담지 금속의 중량를 의미한다. A, B 및 n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R5O2/Ni(0.1)/AnBnO3n+2는 AnBnO3n+2광촉매에 니켈을 0.3 중량담지한 후 500℃에서 수소로 열처리하고, 200℃에서 공기로 열처리한 촉매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CaCO3와 Nb2O5를 2:1 몰비로 혼합하여 막자사발에서 잘 간 후 펠렛 형태로 만들었다. 1100℃의 전기로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Ca4Nb4O14를 제조하였다. 이를 지지체로하여, 증류수에 녹인 Ni(NO3)2전구체를 인시피어트 웨트니스법으로 담지시켜, 니켈금속의 함량이 0.01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그결과 제조된 촉매를 300℃에서 1시간 동안 공기로 열처리하고, 500℃에서 2시간 동안 수소로 열처리한 다음 200℃에서 다시 1시간 동안 공기로 열처리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광촉매를 R5O2/Ni(0.01)/Ca4Nb4O14이라 명명하였다.
광촉매의 물분해 반응실험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광촉매 1g을 증류수 500ml가 포함된 원통형 광촉매 반응기에 넣은 후 잘 교반하면서 UV광을 5시간 동안 조사하여 반응을 진행시켰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발생되는 기체의 양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열전도도검출기, 분자체 5A)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시예 2>
니켈 금속의 담지량이 0.1 중량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니켈 금속의 담지량이 1 중량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니켈 금속의 담지량이 2 중량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
니켈 금속의 담지량이 3 중량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측정한 수소와 산소의 발생 속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 시 예 니켈 담지량(중량) 수소 발생속도(μmol/h) 산소 발생속도(μmol/h)
1 0.01 17 8
2 0.1 304 152
3 1 424 212
4 2 356 178
5 3 216 108
상기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니켈금속의 담지량이 0.1 중량이상이 되는 경우 수소 발생속도가 급속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금속 담지량이 어느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수소 발생량이 감소하리라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실시예 6>
니켈 대신 세슘(Cs)을 담지시키기 위해 전구체로서 Cs(NO3)2를 사용하여, 세슘의 담지량이 1중량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7>
니켈 대신 백금(Pt)을 담지시키기 위해 전구체로서 Pt(NH3)4Cl2를 사용하여, 세슘의 담지량이 1중량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8>
니켈 대신 비스무트(Bi)를 담지시키기 위해 전구체로서 Bi(NO3)를 사용하여, 세슘의 담지량이 1중량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9>
니켈 대신 루테늄(Ru)을 담지시키기 위해 전구체로서 Ru(NO)2를 사용하여, 세슘의 담지량이 1중량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 시 예 금속(1중량) 수소 발생속도(μmol/h) 산소 발생속도(μmol/h)
6 Cs 94 47
7 Pt 14 7
8 Bi 44 22
9 Ru 102 51
상기 표 2로부터 세슘, 백금, 비스무트, 루테늄을 담지한 실시예 6 내지 7은 수소발생속도가 니켈을 담지한 실시예 3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금속이 담지되지 않은 경우의 5μmol/h 이하에 비해서는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촉매 1g을 증류수 400 ml와 메탄올 100ml의 혼합용액이 포함된 내부조사 석영 반응셀(inner irradiation quartz reaction cell)에 넣은 후 잘 교반시키면서 UV 광을 조사하였다. 수소와 산소 발생속도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1>
메탄올 대신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메탄올 대신 1-프로판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0 내지 12에서의 수소와 산소의 발생속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실 시 예 희생시약 수소 발생속도(μmol/h) 산소 발생속도(μmol/h)
10 메탄올 7300 0
11 에탄올 4200 0
12 1-프로판올 2500 0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희생시약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3의 경우에는 수소 발생속도가 424μmol/h이었으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과 같은 저급알콜을 20부피첨가하여 희생시약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소발생량이 현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21>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광촉매 1g을 사용하고, H2SO4와 KOH를 사용하여 pH를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pH 조건에 따른 수소 및 산소의 발생속도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 시 예 pH 수소 발생속도(μmol/h) 산소 발생속도(μmol/h)
13 1.6 17 8
14 4.8 197 98
15 5.7 257 128
16 7.0 424 212
17 9.7 828 414
18 10.2 773 386
19 11.1 671 335
20 12.7 387 193
21 13.2 24 12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물의 광분해시 pH를 조절하는 것으로도 수소 발생량을 어느 정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산성 보다는 약알칼리성(약 pH 7 내지 12)일 때 수소 발생량이 증가하며, 이는 촉매 표면에 전해질에 의한 전기저항층이 최소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2>
CaCO3와 Nb2O5대신 La2O3와 TiO2를 사용하여 La4Ti4O14를 제조하고, 니켈 금속의 담지량이 1중량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R5O2/Ni(1.0)/La4Ti4O14광촉매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분해 반응을 진행시켜 수소 및 산소 발생속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3>
La2O3, CaCO3와 TiO2를 2:1:5의 몰비로 혼합하여 La4CaTi5O17지지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R5O2/Ni(1.0)/La4CaTi5O17광촉매를 제조하였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물분해 반응을 진행시켜 수소 및 산소의 발생속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2와 23에서 측정한 수소 및 산소의 발생속도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 시 예 광촉매 수소 발생속도(μmol/h) 산소 발생속도(μmol/h)
22 R5O2/Ni(1.0)/La2Ti2O7 364 182
23 R5O2/Ni(1.0)/La4CaTi5O17 304 152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칼슘과 니오븀외에 란탄과 티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4-26>
실시예 3, 실시예 22 및 실시예 23에서 제조한 촉매에 대하여 양자수율을 측정하였다. 광촉매에 대한 수소발생 양자수율은 Fe3+가 Fe2+로 환원되는 과정의 양자흡수에 기초하여 페록살레이트[Fe(C2O4)3-] 화학광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양자수율은 수소발생속도가 흡수양자에 대하여 표준화되기 때문에 수소발생속도 자체보다 의미가 큰 인자이다. 측정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광촉매 양자수율()
실시예 3 7(<288nm)
실시예 22 12(<360nm)
실시예 23 20(<320nm)
상기 표 6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광촉매는 양자수율이 모두 5보다 크기 때문에 물분해 효율이 종래의 다른 촉매보다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분해용 광촉매는 양자수율이 5를 초과하는 효율적인 촉매이며, 저급 유기알콜과 같은 희생시약의 첨가나 pH 조건의 조절 등으로 매우 높은 물분해효율을 나타내어 대량의 수소를 발생하므로 장차 대체 에너지로서 수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지대한 공헌을 하리라 기대된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분해용 광촉매.
    [화학식 1]
    AnBnO3n+2
    상기 식중, A는 칼슘(Ca) 및 란탄(La)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고, B는 니오븀(Nb) 및 티탄(Ti)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n은 4 또는 5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촉매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의 금속이 담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해용 광촉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니켈, 백금, 세슘, 비스무트 또는 루테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해용 광촉매.
  4. 제2항에 있어서, 300 내지 800℃에서 환원처리되고, 200 내지 500℃에서 산화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촉매를 사용하여 물을 분해하는 방법.
    [화학식 1]
    AnBnO3n+2
    상기 식중, A는 칼슘(Ca) 및 란탄(La)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고, B는 니오븀(Nb) 및 티탄(Ti)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n은 4 또는 5 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유기알콜을 희생시약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2]
    CnH2n+1OH (n=1 내지 4의 정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시약의 첨가량이 1 내지 50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pH 7 내지 12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36846A 1999-09-01 1999-09-01 물분해용 광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물분해 방법 KR100327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846A KR100327793B1 (ko) 1999-09-01 1999-09-01 물분해용 광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물분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846A KR100327793B1 (ko) 1999-09-01 1999-09-01 물분해용 광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물분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812A true KR20010025812A (ko) 2001-04-06
KR100327793B1 KR100327793B1 (ko) 2002-03-14

Family

ID=1960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846A KR100327793B1 (ko) 1999-09-01 1999-09-01 물분해용 광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물분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536A (ko) * 2000-08-30 2002-03-07 김현채 무기항균제의 효능을 극대화 시키는 제조 방법
KR101663423B1 (ko) * 2015-06-01 2016-10-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물 분해 촉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281B1 (ko) * 2003-01-28 2005-10-24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개질된 물 분해용 란타늄 티타네이트계 광촉매 및 이의제조방법
KR102307306B1 (ko) 2019-07-22 2021-09-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전극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536A (ko) * 2000-08-30 2002-03-07 김현채 무기항균제의 효능을 극대화 시키는 제조 방법
KR101663423B1 (ko) * 2015-06-01 2016-10-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물 분해 촉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7793B1 (ko)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o et al. Selective photoelectrocatalytic glycerol oxidation to dihydroxyacetone via enhanced middle hydroxyl adsorption over a Bi2O3-incorporated catalyst
Huang et al. Ceria-based materials for thermocatalytic and photocatalytic organic synthesis
Miyoshi et al. Water splitting on rutile TiO2‐based photocatalysts
Sher Shah et al. Catalytic oxidation of methane to oxygenated products: recent advancements and prospects for electrocatalytic and photocatalytic conversion at low temperatures
Wang et al. Indirect Z-scheme BiOI/g-C3N4 photocatalysts with enhanced photoreduction CO2 activity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Dai et al. Efficient solar-driven hydrogen transfer by bismuth-based photocatalyst with engineered basic sites
Palmisano et al. Activity of chromium-ion-doped titania for the dinitrogen photoreduction to ammonia and for the phenol photodegradation
RU251837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тиленгликоля из полиоксисоединений
Teratani et al. Photocatalytic dehydrogenation of 2-propanol over TiO2 and metal/TiO2 powders.
US5262023A (en)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and oxygen from water
Yu et al. Full spectrum decomposition of formic acid over γ-Mo2N-based catalysts: from dehydration to dehydrogenation
CN107473183B (zh) 磷化钼在碱性甲醛溶液中催化制氢的应用
Xing et al. Synchronous fabrication of Ru single atoms and RuO2 on hierarchical TiO2 spheres for enhanced photocatalytic coproduction of H2 and benzaldehyde
WO2002062467A1 (fr) Photocatalyseur oxysulfuré destiné à la décomposition de l'eau par la lumière visible
Peng et al. Photocatalytic hydrogen evolution and decomposition of glycerol over C d0. 5 Z n0. 5 S solid solution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EP2714266B1 (en) Catalyzed decomposition of sulfur trioxide and hydrogen production process
AU679868B2 (en) Photocatalyst,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roduction of hydrogen using the same
Yang et al. Atomically isolated Pd sites within Pd-S nanocrystals enable trifunctional catalysis for direct, electrocatalytic and photocatalytic syntheses of H 2 O 2
Liu et al. Synergy of dual single Ni and Co atoms on borate modified g-C3N4 for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Ren et al. Stepwise photoassisted decomposition of carbohydrates to H2
JP3890414B2 (ja) ペロブスカイト型複合酸化物可視光応答性光触媒とそれを用いた水素の製造方法及び有害化学物質分解方法
EP1494806B1 (en) Catalyst for removing carbon monoxide in hydrogen rich gas according to water gas shift reaction
KR100327793B1 (ko) 물분해용 광촉매 및 이를 이용한 물분해 방법
Li et al. Photocatalytic water splitting over a protonated layered perovskite tantalate H 1.81 Sr 0.81 Bi 0.19 Ta 2 O 7
CN110721685B (zh) 一种复合光催化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