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028A - 이동 콘크리트 펌프 - Google Patents

이동 콘크리트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028A
KR20010025028A KR1020007012838A KR20007012838A KR20010025028A KR 20010025028 A KR20010025028 A KR 20010025028A KR 1020007012838 A KR1020007012838 A KR 1020007012838A KR 20007012838 A KR20007012838 A KR 20007012838A KR 20010025028 A KR20010025028 A KR 2001002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t
concrete pump
chassis
rear support
m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767B1 (ko
Inventor
요한게오르그 페쩌
Original Assignee
바이찡어 바우마쉬넨 페어트리브 운트 죄르비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찡어 바우마쉬넨 페어트리브 운트 죄르비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이찡어 바우마쉬넨 페어트리브 운트 죄르비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2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mixed concrete, e.g. having rotatable 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36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mobile support, e.g. tru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Road Repair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콘크리트 펌프와 관련되며, 샤시(2)[Sic - Tr] 그리고 마스트 스탠드(11) 상에 장착되는 분배 마스트(7)를 포함하고, 수직축(12) 주위로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을 구비한다. 샤시(2)의 각 측면 상의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은 공통 피봇(18)을 가진다.

Description

이동 콘크리트 펌프{TRAVELLING CONCRETE PUMP}
그러한 이동 콘크리트 펌프는 종래 기술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중심위치에서 넓은 영역에 걸쳐 배분하는 데에 사용되고, 따라서 콘크리트 혼합물이 계속하여 쏟아져 내릴 때 많은 양의 콘크리트 슬랩(slab)이 퍼부어질 수 있다. 또한, 이동 콘크리트 펌프는 콘크리트를 경제적으로 높은 작업위치까지 전달하게 하여주며, 그러한 목적을 위해 이미 높이가 60m 가 넘는 분배 마스트(mast)를 가진 이동 콘크리트 펌프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크기로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다. 임의의 경사위치를 가지는 분배 마스트가 있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가 어떠한 작업환경에 있더라도 안정한 운전을 하기 위하여 전방과 후방지지 스트럿들이 샤시에 장착되며, 이들 스트럿은 원래 샤시의 구석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것은 전체 샤시가 분배 마스트로부터 전달된 힘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적절한 안정성을 갖기 위한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전방과 후방지지 스트럿의 회전 장착대를 구석으로부터 멀리 떨어뜨려 각자에 대해 가까이 옮기는 조치가 행해지며, 따라서 후방지지 스트럿을 위한 회전장착대는 샤시의 후방 회전축 근처에 위치한다; 그러나, 회전 장착대가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비틀림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전방과 후방 모두의 회전 장착대는 이제 샤시 상에서 비교적 멀리 뒤에 위치하게되어, 전방지지 스트럿은 앞쪽으로 매우 멀리 움직여하므로 이러한 스트럿들은 보통 신축자재로 설계된다. 마지막으로, 샤시 상의 마스트 스탠드는 또한 전방으로 뻗는다. 신축자재의 지지 스트럿과 뻗어나가는 마스트 스탠드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이후에 안정성이 필요하며 고려되어야 한다.
전방과 후방 스트럿이 가능한 한 샤시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목적인 반면에, 운전중이 아닐 때에 전방과 후방지지 스트럿은 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이동 콘크리트 펌프에 가까이 놓여져야 한다. 따라서, 전방과 후방지지 스트럿의 충분한 길이를 샤시에 집어넣기 위하여 전방 스트럿을 뒤쪽으로 뻗게하고 후방 스트럿을 전방으로 뻗게하여 그들을 적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따라서 샤시에 의해 허용되는 길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콘크리트 펌프 측면에 사용 가능한 적당한 공간을 필요로 하며, 전방과 후방 스트럿이 적재위치에서 원형운동을 통해 작업위치로 옮겨지도록 해준다. 또한, 어떤 이동 콘크리트 펌프는 상술한 바와 같은 차례로 끼워 넣는 방식의 지지 스트럿을 가지며, 평상 적재시는 거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작업 위치에서는 매우 큰 작업반경을 가진다. 이것은 신축자재 방식의 안정성 감소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으며, 더 많은 신축자재 부분이 존재할수록 이 단점은 심각해진다.
본 발명은 샤시와 마스트(mast) 스탠드 상에 장착된 분배 마스트가 구비되고, 수직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지지 스트럿(strut)과 후방지지 스트럿을 포함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도시된 도면의 예에 기초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 은 적재 위치에서의 전방 및 후방지지 스트럿을 고려한 이동 콘크리트 펌프의 측면도;
도 1a는 전방지지 스트럿의 미끄럼 튜브가 후방지지 스트럿으로 뻗는 도 1과 같은 실시예의 설명도;
도 2 는 분배 마스트없이 도 1로부터 단순화된 도식적 설명을 위한 평면도;
도 3 은 전방 및 후방지지 스트럿의 선택적 위치를 나타내는 도 2의 설명도;
도 4 는 전방지지 스트럿의 위치가 제한된 공간의 조건하에 있는 도 2의 설명도;
도 5 는 최대로 가능한 작업표면을 요구하는 전방 및 후방지지 스트럿의 최대 확장을 나타내는 도 2의 설명도;
도 6 은 전방지지 스트럿이 적재위치에서 작업위치로 옮겨질 때 일련의 가능한 위치를 나타내는 전방 및 후방지지 스트럿이 있는 마스트 스탠드의 평면도;
도 7 은 전방 및 후방지지 스트럿을 위한 회전 장착대를 형성하는 두 개의 동일축 세트 볼트의 도식적 설명도;
도 8 은 전방 및 후방지지 스트럿의 회전장착을 위한 공통볼트가 있는 도7의 실시예의 설명도; 및
도 9 는 미끄럼 튜브가 도 1a의 후방지지 스트럿 안으로 뻗어 들어가는 도7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면부호설명
1...콘크리트 펌프 2...샤시
3...운전자 덮개 4...전면 차축
5...이중 차축 6...프레임
7...분배 마스트 9...조인트
10...유압장치 11...마스트 스탠드
12...수직축 13...충전기
14...펌프 15...파이프
16...전방지지 스트럿 17...후방지지 스트럿
18...피봇 19...기저판
20,21...볼트 22...관형 가이드
23...미끄럼 튜브 24...지지다리
25...오목부 26...리셉터클
27...장착판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과 후방지지 스트럿의 회전장착대 사이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샤시의 비싼 보강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평상적재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샤시에 놓이도록 전방 및 후방 스트럿이 설계되도록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샤시의 각 측면에 공통의 피봇을 가진 전방 및 후방 스트럿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형식의 이동 펌프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의 장점은 단지 마스트 스탠드와 피봇사이의 직접적인 영역이 특별히 안정성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는 하중이 분배 마스트로부터 직접 스탠드를 통하여 그리고 이 중개영역으로부터 지지 스트럿으로 전달되기 때문이고, 따라서 샤시의 나머지부분은 하중을 받지 않는다. 회전 장착대를 공통 피봇 상에 위치시켜 부가적인 공간이 얻어지고, 스트럿은 샤시를 따라 더 큰 길이로 놓이도록 설계될 수 있으므로 회전 장착대 사이의 거리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특별히 선호되는 실시예는 전방 및 후방 스트럿이 마스트 스탠드에 놓여진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펌핑 작업 중에는 분배 마스트, 스탠드 그리고 전방 및 후방 스트럿은 원하는 운동을 위해 샤시상에 홀로 위치한 자율적인 장치로 간주될 수 있다; 샤시는 보강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생산비에 있어서 이득을 주고 가벼운 무게는 가능한 서비스 하중을 증가시킨다. 안정된 적재를 위한 적절한 공간을 얻기 위해서는 마스트 스탠드가 전방 및 후방 스트럿이 놓이는 기저판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측면상의 전방 및 후방지지 스트럿이 피봇과 공통축상으로 볼트 세트 상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된 볼트는 전방 및 후방 스트럿을 위해 공통 피봇을 형성하며, 단지 장착 지지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만약 일측면 상의 전방 및 후방지지 스트럿이 분리되어있는 피봇과 공통축으로 볼트 세트 상에서 회전하면 보다 비싼 장착지지대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은 전방 및 후방 스트럿으로부터, 볼트 상에서 동시에 작동할 때 발생하는 비틀림과 좌굴하중을 막아주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의 전방지지 스트럿이 피봇주위를 회전하는 관형 가이드의 형상을 취하는 설비를 포함하며, 가이드는 전방지지 다리를 지지하는 조정가능 미끄럼 튜브에 삽입되고, 적재시에 관형 가이드를 통해 확장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적재시에 전방지지 스트럿이 샤시에 위치하여 휠에 대해 자유롭게 유지되어야 하는 휠박스 안으로 확장하지 못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단지 신축자재로 설계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방 스트럿은, 회전장착대에 부착된 일부분이 지지다리를 위한 샤시상의 가능 틈새와 회전장착대 사이의 거리에 의해 형성된 기저길이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적절한 기저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회전장착대를 보다 더 뒤로 옮기는 잦은 상황이 발생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후방 스트럿과 샤시에 필요한 보강재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미끄럼 튜브를 신축자재형으로 설계함으로써 전방지지 스트럿이 보다 큰 운전반경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신축자재형의 첫 번째 부분은 미끄럼 튜브의 전체길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과 관련한 이점을 가진다.
샤시에 전방지지 스트럿을 가장 컴팩트하게 적재하기 위해서는 샤시에 미끄럼 튜브의 후단부가 뻗을 수 있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피봇을 넘어 후방으로 뻗는 미끄럼 튜브의 부분은 이 오목부로 들어가 미끄럼 튜브가 적재된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고, 미끄럼 튜브를 관형 가이드에 맞추기 위하여 샤시상의 상부구조물을 지나 가이드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후방지지 스트럿 상에서 미끄럼 튜브가 적재위치에서 안으로 뻗는 리셉터클(receptacle)에 특징이 있다. 이는 후방 스트럿이 후방 및 전방 스트럿의 누가적인 전체 높이의 증가없이 보다 두껍고 단단하게 설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후방지지 스트럿은 두 개의 장착판을 갖는 것이 유용하며, 이들에 의해 볼트에 부착되고, 이들 사이에 전방지지 스트럿은 볼트와 연결된다. 후방 스트럿은 장착판 사이에서 가로이동 각도의 제한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해 잘라진다. 분배 마스트는 마스트 스탠드와 함께 전방 회전축 근처에서 직접 샤시에 부착되고, 따라서 연결 링크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강도와 안정성이 증가한다.
도 1에 나타낸 콘크리트 펌프(1)는 운전자 덮개(3), 전면 차축(4), 후방 이중차축(5) 그리고 이러한 부품들을 연결하는 프레임(6)을 가진 종래의 트럭의 기초를 이루는 샤시(2)로 구성된다. 샤시(2) 상에 분배 마스트(7)가 적재 위치에 나타나 있으며, 보여진 실시예에서 조인트(9)에 의해 연결된 네 개의 부분(8)을 가지며, 유압장치(10)에 의하여 서로서로 조절될 수 있다. 가장 강한 바닥 부분(8)이 마스트 스탠드(11)에 부착되어 있으며, 마스트 스탠드는 전면 차축(4)의 근처와 전면차축(4)과 이중 차축(5) 사이의 거리의 전면 1/3 위치에 샤시(2) 상에 직접 놓인다. 분배 마스트(7)는 수직축(12) 주위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며, 분배 마스트(7)의 조인트(9)와 상호작용하여 분배 마스트(7)가 그 확장된 형상에서 도달할 수 있는 어떤 반경내에도 도달할 수 있다. 샤시(2)의 후단부에서 충전기(13)가 장착되어있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가 고체 재료로 펌프(14)에 공급되어 파이프(15)를 통하여 마스트 스탠드(11)로 그리고 분배 마스트(7) 상에 배치된 호스로 펌핑되며, 충전기(13)를 통하여 공급된 콘크리트는 분배 마스트(7)의 자유단에서 호스로부터 나오고 거기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샤시(2) 상에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1)을 안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개의 전방지지 스트럿(16)과 두 개의 후방지지 스트럿(17)이 있으며, 따라서 펌펑과정 중에 사람이나 물건에의 위험없이 분배 마스트(7)를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샤시(2)의 각 측면에 설치된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은 공통의 수직 피봇(18)을 가지며, 그 주위에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을 위한 회전장착대가 회전하고,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은 회전장착대에 의해 기저판(19)에 마스트 스탠드(11)를 위해 고정된다. 도 7은 회전장착대 실시예를 나타내며,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은 분리된 볼트(20,21) 세트 상에 서로에 대해 그리고 피봇(18)에 대해 공통축으로 배치되고, 도 8은 단지 하나의 볼트(20) 세트를 사용하여 피봇(18)과 공통축으로 배치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전방지지 스트럿(16)은 피봇(18)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관형 가이드(22)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관형 가이드(22)에서, 조정가능한 미끄럼 튜브(23)는 삽입되며, 도 1에 도시된 전방지지 스트럿(16)의 적재 위치에서 관형 가이드(22)를 통하여 후방으로 뻗는다. 따라서, 미끄럼 튜브(23) 상에 배치된 지지 다리(24)는 적재 위치에서 샤시(2)에서 제공된 간격을 가지고 놓여진다. 샤시(2) 상에는 또한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오목부(25)가 있어, 미끄럼 튜브(23)의 후단부가 뻗을 수 있고, 따라서 전방지지 스트럿(16)이 도 1에 도시된 적재 위치로부터 도 2의 작업 위치로 이동될 때 관형 가이드(22)는 미끄럼 튜브(23)와 함께 샤시(2)의 종축에 평행한 위치로부터 회전할 수 있다. 미끄럼 튜브(23)가 단지 횡단각이 얻어졌을 때에만 관형 가이드(22) 안으로 조정되므로, 회전운동은 이동 콘크리트 펌프(1) 자신의 운전을 위한 측면에서 단지 작은 공간만을 필요로 한다. 이것이 발생하면, 미끄럼 튜브(23)는 전방지지점을 충분히 마스트 스탠드(11)로부터 멀리 떨어뜨리기 위하여 조정된다. 도 2-5는 각 사용가능한 양의 공간에 대하여 전방지지 스트럿(16)을 달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보여준다. 또한, 미끄럼 튜브(23)를 신축자재형으로 설계함으로써 전방지지 스트럿(16)의 작업반경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는 후방지지 스트럿(17)이 리셉터클(26)을 가지며, 적재 위치에서 이 안으로 미끄럼 튜브(23)가 뻗어있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후방지지 스트럿(17)은 이 경우에 두 개의 장착판(27)을 가지며, 이에 의해 볼트(20)가 부착되고, 전방지지 스트럿(16)은 장착판들 사이에 볼트(20)로 안에 놓여진다. 이러한 형상에서 관형 가이드(22)의 횡단각의 감소는 장착판 사이에 충분히 후방지지 스트럿(17)을 잘라냄으로써 피할 수 있으며, 관형 가이드(22)의 말단이 볼트(20)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후방지지 스트럿(17)을 바라보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과 후방지지 스트럿의 회전장착대 사이의 비틀림 방지를 위하여 샤시의 비싼 보강재 사용이 필요 없으며, 적재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를 만들 수 있다.

Claims (12)

  1. 수직축(12) 주위로 회전할 수 있으며, 마스트 스탠드(11)에 장착되는 분배 마스트(7)와,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을 가지는, 샤시(2)[Sic-Tr]가 구비된 이동 콘크리트 펌프(1)에 있어서, 샤시(2)의 각 측면 상의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은 공통 피봇(1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프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은 마스트 스탠드(11)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
  3. 제 2 항에 있어서, 마스트 스탠드(11)는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이 놓이는 기저판(19)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
  4. 제 1 항 내지 3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한 측면 상의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은 피봇(18)과 공통축을 가지고 볼트(20)에 피봇 결합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측면 상의 전방지지 스트럿(16)과 후방지지 스트럿(17)은 피봇(18)과 공통축을 가지고 각 분리된 볼트(20,21) 세트와 피봇 결합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전방지지 스트럿(16)은 피봇(18) 주위를 회전하는 관형 가이드(22)의 형태를 취하고, 전방지지 스트럿(16)의 지지 다리(24)를 고정하며 적재 위치에서 관형 가이드(22)를 통하여 뻗어있는 조정 가능한 미끄럼 튜브(23)가 관형 가이드(22) 안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
  7. 제 6 항에 있어서, 미끄럼 튜브(23)는 신축자재형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
  8. 제 6 항 혹은 제 7 항에 있어서, 샤시(2)는 미끄럼 튜브(23)의 후단이 뻗을 수 있는 오목부(2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방지지 스트럿(17)은 적재 위치에서 미끄럼 튜브(23)가 안으로 뻗는 리셉터클(2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후방지지 스트럿(17)은 두 개의 장착판(27)을 가지며, 이들에 의해 볼트(20)에 부착되고, 이들 사이에 전방지지 스트럿(16)이 볼트(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
  11. 제 9 항 혹은 제 10 항에 있어서, 후방지지 스트럿(17)은 관형 가이드(22)의 횡단각의 제한을 피하기 위해 장착판(27) 사이에서 충분히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 마스트(7)는 마스트 스탠드(11)와 함께 전방 차축(4) 근처에서 직접 샤시(2)[Sic-Tr]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콘크리트 펌프.
KR1020007012838A 1998-06-20 1999-03-19 이동 콘크리트 펌프 KR100561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811097U DE29811097U1 (de) 1998-06-20 1998-06-20 Fahrbare Betonpumpe
DE29811097.0 1998-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028A true KR20010025028A (ko) 2001-03-26
KR100561767B1 KR100561767B1 (ko) 2006-03-16

Family

ID=805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838A KR100561767B1 (ko) 1998-06-20 1999-03-19 이동 콘크리트 펌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90504B1 (ko)
EP (1) EP1090195B1 (ko)
KR (1) KR100561767B1 (ko)
CN (1) CN1196842C (ko)
AT (1) ATE241070T1 (ko)
AU (1) AU4029699A (ko)
CA (1) CA2301913C (ko)
DE (3) DE29811097U1 (ko)
ES (1) ES2194462T3 (ko)
WO (1) WO19990674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4977A (zh) * 2018-03-16 2020-11-27 普茨迈斯特工程有限公司 混凝土泵车和用于与稳定性相关地控制混凝土泵车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0814A1 (de) * 2000-01-12 2001-07-19 Putzmeister Ag Fahrbare Betonpumpe mit teleskopierbaren Stützauslegern
DE10032622A1 (de) * 2000-07-07 2002-01-17 Putzmeister Ag Stützausleger für fahrbare Arbeitsmaschinen und Autobetonpumpen mit solchen Stützauslegern
DE10112084A1 (de) * 2001-03-12 2002-09-19 Putzmeister Ag Fahrbare Dickstoffpumpe mit Stützkonstruktion und luftgefederter Radachse
DE10240180A1 (de) 2002-08-27 2004-03-11 Putzmeister A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Knickmasts
DE10246447A1 (de) * 2002-10-04 2004-04-15 Putzmeister Ag Fahrbare Betonpumpe mit einem Aufbaurahmen
US6779688B1 (en) * 2002-10-08 2004-08-24 Putzmeister, Inc. Catch basin for a concrete pumping device
DE10328770A1 (de) * 2003-06-25 2005-01-27 Putzmeister Ag Fahrbare Betonpumpe mit Verteilermast
DE10328767A1 (de) * 2003-06-25 2005-01-20 Putzmeister Ag Fahrbare Betonpumpe mit Verteilermast
DE10328769A1 (de) * 2003-06-25 2005-01-20 Putzmeister Ag Knickmast für fahrbare Betonpumpen
DE102004007509A1 (de) * 2004-02-13 2005-09-01 Putzmeister Ag Autobetonpumpe mit einer fahrgestellfesten Mastauflageeinheit für einen Verteilermast
DE102004022931A1 (de) * 2004-05-10 2005-12-15 Liebherr-Mischtechnik Gmbh Bandförderer für Fahrmischer
ITBO20040622A1 (it) * 2004-10-13 2005-01-13 Antonelli Srl Dispositivo per la stabilizzazione di un veicolo in stazionamento
US7594679B1 (en) * 2005-01-19 2009-09-29 Westchester Captial, Llc Outrigger for a boom truck or the like
ITUD20050215A1 (it) * 2005-12-21 2007-06-22 Stefano Baiardo Dispositivo stabilizzatore per un veicolo pesante di lavoro
DE102006031257A1 (de) * 2006-07-06 2008-01-10 Putzmeister Ag Autobetonpumpe mit Knickmast
CN101066672B (zh) * 2007-07-05 2010-04-21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移动机械支腿及含该种支腿的混凝土泵车
DE202007018214U1 (de) 2007-12-19 2008-07-10 Waitzinger Baumaschinen Gmbh Fahrbare Betonpumpe
DE102008007918A1 (de) * 2008-02-06 2009-08-13 Putzmeister Concrete Pumps Gmbh Fahrbare Arbeitsmaschine
CN101654075B (zh) * 2008-08-21 2012-06-27 上海鸿得利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22米rz型折叠臂架混凝土泵车
IT1398962B1 (it) * 2010-02-18 2013-03-28 C M C S R L Societa Unipersonale Dispositivo stabilizzatore per macchina operatrice
DE202010017849U1 (de) 2010-10-28 2012-11-29 Steffen Kuhn Multifunktionale selbstfahrende Arbeitsmaschine
IT1403343B1 (it) * 2011-01-17 2013-10-17 C M C S R L Societa Unipersonale Dispositivo stabilizzatore per macchine operatrici
CN102182319A (zh) * 2011-06-13 2011-09-14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臂架结构及混凝土泵车
RU2476654C1 (ru) * 2011-11-08 2013-02-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ТГАСУ)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трела автобетононасоса
DE102012215050A1 (de) * 2012-08-24 2014-03-27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Fahrbare Betonpumpe
DE102012215049A1 (de) * 2012-08-24 2014-03-20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Fahrbare Betonpumpe
DE102013205888A1 (de) * 2013-04-03 2014-10-09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Fahrbare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Autobetonpumpe und Herstellungsverfahren
CN104594637A (zh) * 2013-11-06 2015-05-06 浙江信瑞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混凝土布料车
DE102014200396A1 (de) * 2014-01-13 2015-07-30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Autobetonpumpe und Schutzschaltung dafür
US20150375974A1 (en) * 2014-06-27 2015-12-31 Caterpillar Forest Products Inc. Stabilizer legs for knuckleboom loader
CN105275211A (zh) * 2015-11-13 2016-01-27 湖南三一路面机械有限公司 泵车
US10543817B2 (en) * 2016-12-15 2020-01-28 Schwing America, Inc. Powered rear outrigger systems
EP3369876A1 (de) * 2017-03-02 2018-09-05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Tragstruktur mit integriertem kessel für eine mobile betonpumpe und mobile betonpumpe
US11255072B1 (en) 2017-12-15 2022-02-22 Michael A. Fesi Method and apparatus for excavating a soil containing mass
DE102018109223A1 (de) * 2018-04-18 2019-10-24 Liebherr-Betonpumpen Gmbh Autobetonpumpe
DE102018109224A1 (de) * 2018-04-18 2019-10-24 Liebherr-Betonpumpen Gmbh Autobetonpumpe
DE102018110391A1 (de) * 2018-04-30 2019-10-31 Liebherr-Betonpumpen Gmbh Autobetonpumpe und Schwenkbein für eine Autobetonpumpe
DE102018127828A1 (de) * 2018-11-07 2020-05-07 Liebherr-Betonpumpen Gmbh Autobetonpumpe
CN110732862A (zh) * 2019-11-23 2020-01-31 郑州弗曼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泵车一臂销轴压装方法及压装平台
DE102021111242A1 (de) * 2021-04-30 2022-11-03 Liebherr-Mischtechnik Gmbh Abstützvorrichtung für eine Autobetonpump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7063A (en) * 1965-10-11 1967-08-22 Testore Guido Hydraulically controlled linkwork stabilizer for truck cranes or the like
US3985036A (en) * 1973-02-15 1976-10-12 Challenge-Cook Bros., Incorporated Outrigger and mounting means for truck with a conveyor boom
US3981514A (en) * 1973-10-15 1976-09-21 Clark Equipment Company Outrigger
DE3830315A1 (de) * 1988-09-07 1990-03-08 Putzmeister Maschf Fahrbare betonpumpe
DE4203820C5 (de) * 1992-02-10 2011-01-13 Hudelmaier, Ulrike Fahrbare Betonpumpe
US5387071A (en) * 1993-06-29 1995-02-07 Pinkston; Donald L. Rotatable recovery vehicle
DE4344779C2 (de) * 1993-12-28 1999-12-09 Schwing Gmbh F Fahrzeug mit schwenkbar aufgebautem Mast und Rahmenabstützung
DE19531697A1 (de) * 1995-08-29 1997-03-06 Putzmeister Maschf Fahrbare Arbeitsmaschine mit seitlich ausschwenkbaren Stützauslegern
US6076855A (en) * 1998-06-12 2000-06-20 Webb; Sterling E. Dual mode stabilizer for backhoe loaders and backhoe attach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4977A (zh) * 2018-03-16 2020-11-27 普茨迈斯特工程有限公司 混凝土泵车和用于与稳定性相关地控制混凝土泵车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9811097U1 (de) 1998-08-20
WO1999067482A1 (de) 1999-12-29
CA2301913A1 (en) 1999-12-29
CA2301913C (en) 2007-01-30
EP1090195B1 (de) 2003-05-21
DE19981148D2 (de) 2000-10-26
KR100561767B1 (ko) 2006-03-16
CN1196842C (zh) 2005-04-13
US6390504B1 (en) 2002-05-21
EP1090195A1 (de) 2001-04-11
AU4029699A (en) 2000-01-10
DE59905660D1 (de) 2003-06-26
ATE241070T1 (de) 2003-06-15
CN1306596A (zh) 2001-08-01
ES2194462T3 (es) 200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767B1 (ko) 이동 콘크리트 펌프
US6840540B2 (en) Support struts for mobile working machines and mobile concrete pump with said support struts
US10131387B2 (en) Construction vehicle having a tippable chassis
US6725996B2 (en) Mobile feeder and mounting device
US6276718B1 (en) Mobile machine with telescopic support struts
US5807061A (en) Linkage arrangement for a skid-steer loader
FI87817C (fi) Anordning foer att lossa massmaterial
US5005714A (en) Crane, in particular a large mobile crane
US4502709A (en) Articulated loader with transversely displaceable counterweight
US5921743A (en) Dump attachment
US3633879A (en) Concrete transit mixer with forward discharge mechanism
US20110001309A1 (en) Support device for walking machines
WO2006028579A1 (en) Vertical outrigger leg
FI80923C (fi) Tillsats foer hjullastare och liknande maskiner.
US20020056692A1 (en) Articulating truss boom
US7721831B2 (en) Construction machinery and pivoting device
US4266625A (en) Traction vehicle
US20150290994A1 (en) Variable height vehicle
US6152244A (en) Drilling apparatus mounted on wheels, with articulated chassis
US2864625A (en) Portable boom support attachment for vehicles
US9476211B2 (en) Working device with a working boom arranged on a rotary head
US20010015153A1 (en) Loading car for bulk materials
US4041974A (en) Mobile tower
USRE24895E (en) Portable boom support attachment for vehicles
US4954041A (en) Triple section telescopic boom materials handl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