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022A - 밀폐 장치 - Google Patents

밀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022A
KR20010023022A KR1020007001630A KR20007001630A KR20010023022A KR 20010023022 A KR20010023022 A KR 20010023022A KR 1020007001630 A KR1020007001630 A KR 1020007001630A KR 20007001630 A KR20007001630 A KR 20007001630A KR 20010023022 A KR20010023022 A KR 20010023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teel strip
roof
sealing elemen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프리이드 스타르케
Original Assignee
만네스만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네스만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만네스만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2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02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87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the sealing effect being obtain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185Leaf springs characterised by shape or design of individual le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6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87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the sealing effect being obtain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packing
    • F16J15/0893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the sealing effect being obtain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packing the packing having a hollow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한 설치 부재는 차단 요소(1)를 또한 다른 한 부재는 밀폐 시트를 형성하는 서로 상대적으로 가동적인 두 설치 부재 사이의 접촉 구역을 밀폐하기 위한 장치로서, 접촉 구역을 따라 뻗는 스프링 강판 스트립(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 요소를 포함하고, 그 스트립은 중공 윤곽적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 스트립의 양 종방향 연부는 고정 테(3)를 형성하고, 그들 테는 적어도 밀폐 요소의 폭의 10 %가 되는 상호간의 간격으로 두 설치 부재 중의 하나에 고정되어 있고, 차단 요소가 폐쇄된 상태에서 밀폐 요소는 밀폐 시트에 대해 볼록하게 만곡된 밀폐 구역(4)으로 탄성 작용에 의해 밀폐력으로 밀폐 시트에 접촉하고 있는 밀폐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거기에 있어서는, 탄성 강판 스트립(2)의 밀폐 구역(4)은, 소성 변형에 의해, 양측으로 연결되는 지붕 표면들(5)을 가진 지붕 용마루의 형태로 만곡되어 있고, 두 지붕 표면(5)은 서로 60° 내지 160°의 각도로 배향되어 있고, 지붕 용마루의 반대 쪽에 있어 두 지붕 표면(5)의 종방향 연부에는 각각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볼록한 추가의 한 굴곡부(6)가 형성되어 있고, 그 굴곡부에는 적어도 첫째 부재 내로 평탄해지는 측 평면(7)이 연결되어 있고, 그 측 평면의 자유 종방향 연부에는 고정 테(3)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밀폐 장치{SEALING DEVICE}
상기한 종류의 장치는 특히, 큰 크기의 고온 가스관 내에 설치된 (흐름) 차단 장치의 가동 차단 요소(예컨대 선회 베인 또는 슬라이딩 판)와 이 차단 장치의 하우징 내의 위치 고정 시트 사이에 신뢰성 있는 기밀 밀폐를 확실히 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런 고온 가스관은 흔히 수 미터 크기의 직경 또는 횡단 대각선을 갖는다.
DE 195 21 916 A1로부터 가동 차단 요소와 위치 고정 시트 사이의 접촉 구역을 밀폐하기 위한 같은 종류의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탄성 강판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가동 차단 요소 또는 위치 고정 밀폐 시트 또는 그들 양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밀폐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그 밀폐 요소는 밀폐 시트와 차단 요소의 접촉 구역을 따라 뻗고, 탄성 강판 스트립이 접촉 구역의 영역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융기되도록 중공 윤곽적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 융기부는 보통 탄성강 재료의 탄성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형함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 강판 스트립의 두 종방향 연부는, 밀폐 요소의 폭의 적어도 10 %가 되는 간격으로 두 설치 부재(밀폐 시트 또는 차단 요소) 중의 하나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고정 테들을 형성한다. 고정 테들은 같은 쪽을 바라보고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장착된 상태에서, 탄성 강판 스트립은 탄성 변형에 기인하는 만곡 외에 궁형 밀폐 구역의 영역에 탄성 강판 스트립의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 각각 90% 만큼의 두 개의 굴곡부를 다시 갖고 있다. 두 굴곡부는 두 고정 테 중의 하나와 궁형 밀폐 구역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날개로 꺾여 있거나 또는 그들 굴곡부는 궁형 밀폐 구역과 고정 테 사이에서 다른 쪽에 배치되어 같은 쪽을 바라본다. 클램프 주연에 의해 고정된 두 평행 고정 테 사이의 간격은 고정 테들 사이에 배치된 지지 요소에 의해 확보되는데, 그 지지 요소는 굴곡부의 배치 상태에 따라 한 고정 테 또는 두 고정 테를 따라 L-형재로 내지는 단순 철판으로 구성된다. 그래서 이 지지 요소는, 만곡된 탄성 강판 스트립들에 의해 구성된 중공 공간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 공지의 장치에서는 지지 요소에 의해, 차단 요소의 폐쇄 과정 중 탄성 강판 스트립이 분리되어 융기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 장치는, 차단 요소의 폐쇄 중 강한 접선방향 마찰력이 융기된 밀폐 구역으로 나타나는 그런 용도에 특히 설치된다. 실제 마찰력은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밀폐 구역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향된다.
탄성적으로 융기된 밀폐 구역을 갖고 탄성 강판 스트립으로 구성된 중공 이형재는 DE 38 15 402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특히 폐가스 관에서의 밀폐에 사용된다. 탄성 강판 스트립의 크기가 보통인 경우 궁형으로 만곡된 밀폐 구역의 영역에 있어 그 스트립의 탄성은, 약 10 mm 까지의 스프링 피치가 가능할 정도의 것이다. 이것은, 3×3 m 크기의 차단 요소의 경우 고온 폐가스의 온도가 차단 장치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한 열 팽창이 보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공지 장치의 보상 능력은 예컨대 5×7 m의 크기로 폐가스 통로 단면이 대단히 큰 경우에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
폐가스 부품을 위한 적당한 밀폐 장치는 충분한 탄성을, 따라서 기대되는 열 팽창을 보상하기에 충분한 스프링 피치를 가져야할 뿐 아니라, 그 위에 충분한 강성을 지녀야 한다. 무 부하 상태에서, 즉 차단 요소가 접촉하지 않은 경우에는, 밀폐 장치는 비상하게 강력한 폐가스 흐름에 노출하게 된다. 강성이 과도하게 낮은 경우에는, 흐르는 폐가스가 밀폐 장치의 진동을 일으켜 장기적으로 장치를 파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부재는 차단 요소를 또한 다른 부재는 밀폐 시트를 구성하는, 두 개의 서로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설치 부재들 사이의 접촉 구역을 밀폐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무 부하 및 부하 상태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밀폐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를 표시하고,
도 2는 도 1에 의한 밀폐 장치의 변형예를 표시하고,
도 3은 완전히 평평한 측벽을 가진 밀폐 장치를 표시하고,
도 4는 장착 상태에 있는 도 1에 의한 밀폐 장치를 보여준다.
주요 부호:
1 차단 요소, 2 탄성 강판 스트립
3 고정 테, 4 밀폐 구역
5 지붕 표면, 6 굴곡부(볼록)
7 측 표면, 8 굴곡부(오목)
9 중공 이형재, 10 클램프 주연,
11 클램프 주연, 12 나사,
13 설치 부재, 14 너트.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부의 강성을 허용 불가할 정도로 감소시킴이 없이, 여태까지 보다 훨씬 큰 스프링 피치, 특히 30 mm 까지의 스프링 피치가 가능하도록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밀폐용 장치를 개량 구성하는 것이다.
밀폐 장치를 위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체적 양태들은 종속 청구항 2 내지 12에 주어져 있다.
본 발명은 같은 종류의 밀폐 장치들에 기초를 두지만 특히 만곡된(굴곡된) 밀폐 구역을 유지시키고자 의도한다. 그러나 탄성 강판 스트립은 밀폐 구역의 영역에 있어, 공지의 밀폐 장치에서는 탄성적으로 만곡된 밀폐 구역이 존재하는 한편, 사실상 소성 변형에 의해 양측으로 연결되는 지붕 표면들을 가진 지붕 용마루의 형태로 만곡된다. 지붕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평평하게 형성되지만 내측 또는 외측으로 약간의 융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런 경우 지붕 용마루의 굴곡부는 물론 소성 변형부 외에 탄성 변형된 몇 성분들을 가질 수도 있다. 두 지붕 표면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60° 내지 160°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90°내지 130°의 각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내지 115°의 각도로 위치된다. 지붕 용마루의 반대쪽에 있어 두 지붕 표면의 종방향 연부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 장치의 탄성 강판 스트립은, 각각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볼록한 추가의 한 굴곡부를 갖는다. 그 굴곡부에는 적어도 첫째 부재 내로 대체로 평탄하게 이어지는 측 평면이 연결되고, 그 측 평면의 자유 종방향 연부에는 고정 테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고정 테는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물론 이것은 강제적으로 요구되는 특징은 아니다. 고정 테들은 예컨대 서로 경사지게 뻗을 수도 있다. 그런 경우, 두 고정 테들 사이의 간격으로서는 고정 테의 개시 지점에 존재하는, 즉 밀폐 구역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고정 테의 부위에 존재하는 그 간격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두 고정 테 상호간의 간격은 밀폐 요소의 폭의 적어도 20 %, 특히 적어도 30 %가 되어야 한다. 밀폐 요소의 폭이란 지붕 용마루의 반대쪽에 있는 두 지붕 표면의 종방향 연부에 있어 서로 대향하는 볼록 굴곡부들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합목적적으로 상기 간격은 상한은 밀폐 요소의 폭의 50 %이다. 그러나 두 고정 테 사이의 간격을 보다 크게, 예컨대 밀폐 요소의 폭과 꼭 같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경우 지붕 표면에 연속되는 두 측 표면은 완전히 평면적으로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향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형에서는 각 측 표면의 영역에 외향으로 볼록하지 않고 오목하게 형성된 추가 굴곡부가 배치된다. 또한 탄성 강판 스트립의 종방향으로 뻗는 이 추가 굴곡부는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다.
소망하는 두 고정 테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합목적적으로 두 고정 테 사이의 중간 공간을 직사각형 윤곽을 가진 중실- 또는 중공 이형재로 충진한다. 직사각형 단면은 두 고정 테의 평행 연장을 보장한다. 간격이 작은 경우에는 중실 이형재의 사용이 추천되는 한편 크기가 커서 특히 중량 절약을 기하기 위해서는 중공 이형재가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두 고정 테들은 그런 중실- 또는 중공 이형재와 두 클램프 주연 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그들 주연은 이 이형재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예컨대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두 클램프 주연 중의 하나에는 사용되는 나사를 위한 단순 통공이 배치되는 한편 두 클램프 주연 중의 다른 것에는 나삿니 홀을 배치하고, 그럼으로써 고정에 사용되는 나사는 한 클램프 주연, 두 고정 테 및 고정 테들 사이에 위치하는 이형재의 해당 통공들을 관통하고 다른 클램프 주연의 나삿니 구멍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밀폐 장치는 가능한 최소 경비로 예비 장착될 수 있다. 그때 사용된 나사는 자유 나삿니 길이 만큼 나삿니 홀을 통과하여 뻗고, 그래서 이 자유 나삿니 길이 부분은 고정을 위해 추가의 너트에 의해 폐가스 부품의 설치 부재에, 따라서 고정된 밀폐 시트 또는 가동 플랩 날개에 고정될 수 있다.
합목적적으로 사용된 클램프 주연은 고정 테에 접하는 쪽에 각각 라운딩된 종방향 연부를 갖는다. 그럼으로써 고정 지점에서는 탄성 강판 스트립의 유연한 변형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라운딩된 종방향 연부가 탄성 강판 스트립의 오목 굴곡부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밀폐 장치의 강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오목 및 볼록 굴곡부의 측 표면의 평평 부분을 그 일부에 대해 외부에서 지지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경우에는 예컨대 지지 주연부를 이 영역 내에까지 연장되게 하고 평판이 아니라 적당한 각도 이형재로 그 지지 주연부를 형성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예컨대 탄성을 가진 지지 박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밀폐 장치에 의해 주로 간단한 수단에 의해 대단히 큰 폐가스 통로를 위한 폐가스 부품에 사용될 비상히 우수한 성능의 밀폐가 얻어진다. 이 장치는 용이하게 예비 장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간단한 수단의 사용에 의해 마무리 장착될 수 있다. 대단히 큰 스프링 피치가 가능해짐으로써 폐가스 영향에 의한 극도의 온도 팽창이 또한 확실하게 억제된다. 그 위에 본 발명에 의한 밀폐 장치는 높은 스프링 강성을 갖기 때문에 강력한 가스 흐름으로 인한 허용 불가한 진동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 장치의 단면도를 보여 준다. 무 부하 상태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한편 온도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발생된 변형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발명에 의한 장치의 본질적 요소는 굵은 선으로 표시된 탄성 강판 스트립(2)이다. 이 스트립은 그 상부에 밀폐 구역(4)을 갖고 있고, 그 구역은 두 평평한 지붕 표면(5)을 가진 지붕 용마루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폐 구역(4)의 굴곡은 탄성 강판 스트립(2)을 소성 변형함에 의해 형성된다. 밀폐 구역에서 먼 쪽에 있는 지붕 표면(5)의 종방향 연부들에는 외측으로 볼록한 추가의 굴곡부(6)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굴곡부에는 각각 측 표면(7)이 연결되어 있고, 이들 측 표면은 첫째 부분에서는 평평하게 형성된다. 탄성 강판 스트립의 양 고정 테는 번호 3으로 표시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배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측 표면(7)에는 각각 하나의 추가의 굴곡부(8)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굴곡부도 역시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지만 볼록하지 않고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 테들(3)을 서로 소망하는 간격에 배치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는 직사각형 중공 이형재(9)가 삽입된다. 두 고정 테(3)의 외면에는 클램프 주연(10 및 11)이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중공 이형재(9)와 클램프 주연(10,11) 사이에는 고정 테(3)가 예컨대 나사 연결에 의해 삽입 협착될 수 있다. 탄성 강판 스트립(2)은 이런 방법으로 단면이 실질적으로 능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고정 테들이 단면 능형의 구석에서 흡사 푸트를 형성하는 중공 이형재(윤곽)를 형성하고 그래서 밀폐 장치의 간단한 장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클램프 주연(10,11)은 각각, 그의 곡률 반경이 오목한 굴곡부(8)의 곡률 반경에 적합하는 라운딩된 종방향 연부를 갖고 있다. 두 클램프 주연(10,11)은 그의 라운딩된 종방향 연부에 의해 굴곡부(8)의 영역 내로까지 도달해 있다. 밀폐력을 형성하면서 만곡된 밀폐 구역(4)에 접하는 차단 요소 부재가 1로 표시되어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형태에는 심한 열 팽창에 의한 탄성 강판 스트립(2)의 변형 상황이 표시되어 있다. 차단 요소(1)의 압력 하에 밀폐 구역(4)은 하방으로 이동되어, 한편으로는 지붕 용마루의 영역에 있어 각도가 확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두 굴곡부(6)의 영역에서는 각도가 축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밀폐 장치는 구조는 콤팩트하지만 대단히 큰 스프링 피치를 허용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래도 스프링 강성은, 연도 가스 진동이 크더라도 탄성 강판 스트립(2)을 조기 파괴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강판 스트립의 허용 불가한 진동은 발생하지 않을 만큼 여전히 충분히 크다.
도 2에 표시된 밀폐 장치는 대체로 도 1의 실시형과 같다. 이 장치는 두 클램프 주연(10,11)이 그의 라운딩된 연부로 오목한 굴곡부의 영역 내에까지 도달하지 않고 그 조금 전에서 끝나는 점에 있어서만 단지 상이하다. 이 방법으로, 스프링 강성이 합목적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같은 탄성 강판 스트립을 사용할 때에도 필요한 경우 스프링 강성은, 두 클램프 주연(10,11)이 예컨대 탄성 강판 스트립(2)의 윤곽에 적합하는 적당히 만곡된 윤곽의 형태로 위쪽으로 측 표면(7)의 영역 내로 연장되게 하면, 분명히 상승될 수 있다. 두 고정 테(3)의 상호 간격을 감소시킴에 의해서도 역시 스프링 강성의 감소가 달성되고 한편 이 간격을 확대하면 스프링 강성은 증가하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극단적인 경우는 도 3에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두 고정 테(3)는 밀폐 요소의 폭에 상당하는 상호 간격을 갖고 있다. 두 측 표면(7)은 완전히 평평하게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아무 오목한 굴곡부를 갖고 있지 않다.
도 4에는, 구조가 도 1에 해당하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 장치가 장착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스프링 강판 스트립(2)의 고정 테들은 나사(12)에 의해 두 클램프 주연(10,11)과 그 사이에 배치된 중공 이형재(9)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클램프 주연(10)과 중공 이형재(9)에는 단지 나사(12)를 위한 단순한 통공이 배치되어 있는 한편 클램프 주연(11)은 나사(12)의 나삿니에 적합하는 나사 홀을 갖고 있다. 그럼으로써 밀폐 장치는 특수한 너트의 사용 없이도 예비 장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보통 이 밀폐부(패킹)는 예컨대 2 m 길이의 예정된 일부 길이로 만들어지고 장착시에 비로소 연도 가스 부재 내에서 소망하는 전체 길이로 조립된다. 밀폐 장치가 설치될 설치 부재가 도 4에서는 13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 부재는 중공 이형재(9) 및 클램프 주연(10)과 마찬가지로 나사(12)에 적합한 통공을 갖고 있다. 나사(12)는 단지 클램프 주연(11) 내의 나삿니 홀에 나사 죄임 하기에 필요한 것보다는 훨씬 길게 만들어진다. 그래서 나사(12)의 자유단(12)은 설치 부재(13)에 있는 통공 내로 삽입 통과되어 너트(14)에 의해 설치 부재에 죄어진다.

Claims (12)

  1. 한 설치 부재는 차단 요소(1)를 또한 다른 한 부재는 밀폐 시트를 형성하는 서로 상대적으로 가동적인 두 설치 부재 사이의 접촉 구역을 밀폐하기 위한 장치로서, 접촉 구역을 따라 뻗는 스프링 강판 스트립(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 요소를 포함하고, 그 스트립은 중공 윤곽적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 스트립의 양 종방향 연부는 고정 테(3)를 형성하고, 그들 테는 적어도 밀폐 요소의 폭의 10 %가 되는 상호간의 간격으로 두 설치 부재 중의 하나에 고정되어 있고, 차단 요소가 폐쇄된 상태에서 밀폐 요소는 밀폐 시트에 대해 볼록하게 만곡된 밀폐 구역(4)으로 탄성 작용에 의해 밀폐력으로 밀폐 시트에 접촉하고 있는 밀폐 장치에 있어서,
    - 탄성 강판 스트립(2)의 밀폐 구역(4)은, 소성 변형에 의해, 양측으로 연결되는 지붕 표면들(5)을 가진 지붕 용마루의 형태로 만곡되어 있고,
    - 두 지붕 표면(5)은 서로 60° 내지 160°의 각도로 배향되어 있고,
    - 지붕 용마루의 반대쪽에 있어 두 지붕 표면(5)의 종방향 연부에는 각각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볼록한 추가의 한 굴곡부(6)가 형성되어 있고, 그 굴곡부에는 적어도 첫째 부재 내로 평탄해지는 측 평면(7)이 연결되어 있고, 그 측 평면의 자유 종방향 연부에는 고정 테(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상대적으로 가동적인 두 설치 부재 사이의 접촉 구역을 밀폐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테들(3)의 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두 측 평면(7)에는 각각 하나의 굴곡부(8)가 탄성 강판 스트립(2)의 종방향으로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굴곡부는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상기 각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지붕 표면(5)은 상호간에 90° 내지 130°의 각도로, 특히 105° 내지 115°의 각도로 배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상기 각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고정 테(3) 상호간의 간격은 밀폐 요소의 폭의 적어도 20 %, 특히 적어도 30 %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상기 각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고정 테(3) 상호간의 간격은 밀폐 요소의 폭의 기껏 50 %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상기 각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고정 테(3) 사이의 공간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내실 이형재 또는 중공 이형재(9)로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두 고정 테(3)는 내실 또는 중공- 이형재(9)와 두 클램프 주연(10,11)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고정부가 나사 연결재로 구성되어 있고, 한 클램프 주연(11)은 통공을 또한 다른 주연(11)은 나사(12)를 위한 나삿니 홀을 갖고 있으며, 나사(12)는 너트(14)에 의해 설치 부재(13) 중의 하나에 밀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나삿니 길이 만큼 나삿니 홀을 통과해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 항 또는 9 항에 있어서, 클램프 주연(10,11)은 고정 테(3)에 연결된 쪽에 각각 한 개의 라운딩된 종방향 연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라운딩된 종방향 연부는 탄성 강판 스트립(2)의 오목 굴곡부(8)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3 항 내지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록한 굴곡부(6)와 오목한 굴곡부(8) 사이의 측 표면(7)의 평탄 부분이 스프링 강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일부분에 걸쳐 외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7001630A 1998-06-19 1999-05-12 밀폐 장치 KR200100230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8896.4 1998-06-19
DE19828896A DE19828896C1 (de) 1998-06-19 1998-06-19 Vorrichtung zur Abdichtung
PCT/DE1999/001498 WO1999067554A1 (de) 1998-06-19 1999-05-12 Vorrichtung zur abd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022A true KR20010023022A (ko) 2001-03-26

Family

ID=787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630A KR20010023022A (ko) 1998-06-19 1999-05-12 밀폐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030986B1 (ko)
JP (1) JP2002519594A (ko)
KR (1) KR20010023022A (ko)
AT (1) ATE259035T1 (ko)
AU (1) AU5148299A (ko)
BR (1) BR9906545A (ko)
CA (1) CA2300928A1 (ko)
DE (2) DE19828896C1 (ko)
IL (1) IL134573A0 (ko)
PL (1) PL338712A1 (ko)
TR (1) TR200000434T1 (ko)
WO (1) WO19990675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6174C1 (de) * 1999-02-05 2000-05-18 Mannesmann Ag Vorrichtung zur Abdichtung
DE19949370A1 (de) * 1999-10-13 2001-04-19 Janich Gmbh & Co Vorrichtung zur Abdichtung
FR3011056B1 (fr) * 2013-09-24 2019-05-24 Jst Transformateurs Methode de reprise d'etancheite, dispositif de boulonnage et transformateur de puissan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02240A1 (de) * 1975-01-21 1976-07-22 Steege & Janich Kg Absperrvorrichtung fuer rohrleitungen
DE3815402A1 (de) * 1988-05-05 1989-11-16 Pks Engineering Vorrichtung zur abdichtung
DE4204516C1 (en) * 1992-02-15 1993-09-02 Langerbein-Scharf Gmbh & Co. Kg, 4700 Hamm, De Gas-conduit stop valve - has U=section rust-proof-steel distance-strip securing ends of U=shaped sealing strip and enclosing base strip
DE4423330C2 (de) * 1994-06-22 1996-06-05 Mannesmann Ag Absperrarmatur für Rauchgase
DE19521916A1 (de) * 1995-06-09 1996-12-12 Mannesmann Ag Vorrichtung zur Abdichtung zwischen beweglichen Anlagenteilen
DE19521915A1 (de) * 1995-06-09 1996-12-12 Mannesmann Ag Vorrichtung zur Abdichtung zwischen beweglichen Anlagen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8712A1 (en) 2000-11-20
EP1030986B1 (de) 2004-02-04
TR200000434T1 (tr) 2000-09-21
DE19828896C1 (de) 1999-09-09
DE59908465D1 (de) 2004-03-11
WO1999067554A1 (de) 1999-12-29
IL134573A0 (en) 2001-04-30
CA2300928A1 (en) 1999-12-29
EP1030986A1 (de) 2000-08-30
ATE259035T1 (de) 2004-02-15
BR9906545A (pt) 2000-08-29
JP2002519594A (ja) 2002-07-02
AU5148299A (en) 200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4902B2 (en) Support device for a rotating shaft of a solar tracker
JP4714748B2 (ja) ホースクランプ及びスプリングライナー
US5364109A (en) Sealing gasket with hard interior backbone and integral crush limiters
JP2016530623A (ja) 波形ダイヤフラムを有する流体調整器
US4303249A (en) Seal for a plate-shaped closure
US6802497B2 (en) Aggregate bearing in bushing form
US5542684A (en) Cantilever spring seals for gas isolators
US4527773A (en) Shut-off valve with a seal formed from an elastic strip
US5706558A (en) Hose clamp
RU21113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лотнения соединения между двумя элементами конструкции
KR20010023022A (ko) 밀폐 장치
US4226428A (en) Flexible seal and groove assembly
US6073977A (en) Device for coupling pipe sections
US7806414B2 (en) Cylinder head gasket
US5950367A (en) Sealing device between movable parts in mutual contact
KR100271895B1 (ko) 밀봉장치
CN1035401C (zh) 用于密封汽轮机的间隙的、在温度变化时可移动的装置
US4317483A (en) Heat exchanger
JP6156903B2 (ja) 配管の留め具構造
JP3901232B2 (ja) 密閉膜部材を有するコークス炉扉単位体
JPH06346991A (ja) ダクト接続装置
KR20230038670A (ko) 엘보우 클램프
JPH0232424B2 (ko)
JPH0435642Y2 (ko)
KR100578575B1 (ko) 클램프의 체결 토크 범위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DR Request for amendment
U051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