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020A - 토너카트리지 및 그것의 유통구의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토너카트리지 및 그것의 유통구의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020A
KR20010023020A KR1020007001628A KR20007001628A KR20010023020A KR 20010023020 A KR20010023020 A KR 20010023020A KR 1020007001628 A KR1020007001628 A KR 1020007001628A KR 20007001628 A KR20007001628 A KR 20007001628A KR 20010023020 A KR20010023020 A KR 20010023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toner
discharge
developing apparatus
to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준
나카노히로유키
니시다시게토
라스트로렌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와 마루쯔쯔
이트삭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886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731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327070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4320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와 마루쯔쯔, 이트삭 엔.브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와 마루쯔쯔
Publication of KR2001002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02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73Generally vertic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78Bottle shaped container having a bottle neck for toner dis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2Bag-type non-rigid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복사기 등의 장치에 있어서의 토너의 소비감량의 정도를 토너카트리지에서 순차보급하는 경우에도, 토너의 배출구의 개폐를 확실히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변질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토너용기(204)의 배출부(201)에서 토너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토너용기 안이 토너에 의해 채워진다. 토너배출부(201)의 밸브체(206)는, 배출구(208)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서 배출구(208)를 닫는 주끼워맞춤부(209)를 가지고, 또한, 복사기 등의 장치의 밸브체 조작부(211)와 연결하는 연결부(213)를 가진다. 장치의 밸브체 조작부(211)가 하강하면, 연결부(213)가 밸브체 조작부(211)와 연결된 상태에서 밸브체 조작부(211)와 함께 이동하여, 주끼워맞춤부(209)와 배출구(208)의 끼워맞춤이 되고, 배출구가 확실히 닫힌다.

Description

토너카트리지 및 그것의 유통구의 개폐기구{TONER CARTRIDGE AND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COMMUNICATION PORT OF THE SAME}
복사기나 프린터, 인쇄기에 이용되는 전자사진용 현상제로서의 분말체 또는 액체의 토너는, 일반적으로 토너카트리지에 봉입되어 복사기등의 장치에 보급된다. 그래서, 그 토너카트리지에서 복사기 등의 토너 저유조(貯溜槽) 내에 토너가 보급된다. 그를 위한 구성으로서, 토너의 배출구에 실을 붙이고, 보급시에 실(seal)을 벗겨내는 것이 이용되어 왔는데, 그것은 한번 실을 벗겨내면 다시 배출구를 닫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토너의 배출구에 밸브체를 설치하고, 이 밸브체를 스프링에서 폐쇄방향에 힘이 가해진 것이 제안되어 왔다(일본특허공개 소60-80878, 일본특허공개 평7-44005, 일본특허공개 평8-137229). 그렇지만, 토너용기내에 스프링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구조가 복잡화하는 동시에, 토너카트리지의 이송시에 큰 진동을 받게되면, 스프링이 느슨해져서, 미량이지만 토너의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일본특허공개 평7-44005에 있어서는, 토너의 사용전에는 밸브체를 배출구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서 배출구를 닫고, 사용할 때에는 밸브체를 눌러 여는 것에 의해서, 배출구를 열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배출구를 일단 열면, 끼워맞춤상태로 돌릴 수 없기 때문에, 도중에 배출구를 완전히 닫을 수 없다. 그 때문에, 토너의 소비량에 따라서 토너카트리지에서 토너를 순차 보급하는 형식의 경우에는, 비끼워맞춤상태의 배출구에서 토너가 서서히 누출할 우려가 생긴다. 또한, 이 일본특허공개 평7-44005에 있어서는, 배출구와 밸브체의 폐쇄상태를 자력에 의해서 유지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지만, 자석이라는 별도부재를 장착할 필요가 있고, 제작비용의 상승을 피하지 못한다.
또한, 종래의 토너용기는 변질의 합성수지 등, 토너의 사용에 의해서도 내용량이 변화하지 않는 것이 주로 이용되어 왔었다. 그렇지만, 토너의 소비량에 따라서 토너카트리지에서 토너를 순차보급하는 형식의 경우에는, 토너용기내에 토너가 장기간 잔존하는 겅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토너용기내의 공기와 토너가 장기간 접촉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토너의 변질이 발생하기 쉽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복사기나 프린터, 인쇄기 등의 현상장치에 분말체 또는 액체의 토너(인쇄잉크를 포함한다)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카트리지 및 그 토너 유통구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2의 (A)는 동카트리지의 배출부의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배출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2의 (C)는 복사기 등의 장치의 밸브 조작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B)(C)는 각각, 동카트리지의 토너 배출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의 내부구조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의 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의 배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의 배출부의 단면도이고, (A)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9(C)는, 각각 밸브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공정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의 배출부의 반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의 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작동부재인 슬라이드레바의 부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작동부재인 슬라이드레바의 부분을 나타내고, 그 작동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레바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레바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레바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작동부재의 설명도이다.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토너의 유통구의 폐쇄가 확실히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토너카트리지의 제공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의 소비량에 따라서 토너카트리지에서 토너를 순차 보급하는 형식의 경우에도,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변질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통구의 개폐를 확실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특히, 복사기 등의 현상장치에 있어서의 토너의 소비감량만을, 토너카트리지에서 순차보급하는 보급방식에 적합한 토너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통구의 폐쇄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일단 유통구가 폐쇄되었다면, 확실히 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의 유통구의 폐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기의 수단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1 발명은 현상장치용의 분말체 또는 액체의 토너를 수납한 토너용기와, 이 토너 용기에서 현상장치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한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접속부가 유통구를 구비하고, 또한 이 접속부가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의 작동상태에 있어서 접속부에 설치된 유통구를 여는 것과 동시에,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 유통구를 닫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열린 유통구에서 토너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접속부라는 것은, 토너카트리지에서 토너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토너의 배출부로 되고, 그 유통구는 토너의 배출구로 되는 것이고, 토너카트리지에 토너가 충진되는 경우에는, 토너의 충진부로 되고, 그 유통구는 토너의 충진구로 되는 것이다(이하동일하다).
본원의 제2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토너용기가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감량에 따라서 수축하는 수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1 및 제2 발명에 있어서는 복사기 등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토너의 공급이 필요로 할 때,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의 작동에 의해서, 유통구가 열려서 토너가 보급된다. 필요량이 보급되면,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가 비작동상태로 되어서, 유통구가 밸브체에 의해 열려지고, 유통구에서 토너의 누설이 방지된다. 예를들면, 밸브체 조작부의 작동은 밸브체에 접근이반하여 밸브체를 움직이는 것이어도 좋고, 또는, 밸브체 조작부 자체는 일정의 위치에 정지한 채로, 카트리지측이 밸브체 조작부에 접근이반하여, 밸브체 조작부를 작동상태로 할 것인가, 비작동상태에 있을 것인가를 변경하는 것도 좋다. 그 작동은 자동적으로 실시되는 것도 좋고, 또는, 사람의 손으로 움직여서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를 전환하는 것도 좋다.
그래서, 본원의 제2 발명에 있어서는, 토너용기가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감량에 따라서 수축하는 수축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토너의 배출에 수반하여, 토너용기의 내용량이 수축한다. 이것에 의해, 토너용기 내에 공기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토너의 보급이 실시되지 않은 채로 있어도,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변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원의 제3 발명은, 상기 제2 발명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토너용기의 수축부가 수축한 상태에서, 토너를 접속부에서 주입하는 것에 의해, 토너용기 안이 토너에 의해서 가득 차게 되는 것이고, 밸브체가 유통구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서 유통구를 닫는 주끼워맞춤부를 가지고, 또한,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가 비배출상태에 상대적으로 이행할 때, 연결부가 밸브체 조작부와 연결된 상태로 밸브체 조작부와 함께 이행하여 주끼워맞춤부와 유통구와의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3 발명에 있어서는, 토너용기의 수축부가 수축한 상태에서, 토너를 접속부에서 주입하는 것에 의해, 토너용기 안이 토너에 의해서 가득차게 되기 때문에, 토너용기내에 공기가 거의 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너를 토너용기내에 충진할 수 있다. 예를들면, 파우치(pouch)라고 불리는 유연한 합성수지대에 있어서는 그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경우, 배출구와는 별도의 부분에서 충진을 실시하고, 열용착에 의해서 봉함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충진된 내용물이 열용착부분에 개재할 우려가 있다. 예를들면, 내용물이 액체나 분립체의 경우에는 충진량이 많게 되면 용착부분까지 그 내용물이 도달하여 버리는 일이 있다. 특히, 분말체의 경우에는, 부유한 분말체가 용착부분에 개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충분한 용착이 불가능할 우려가 있고, 특히, 액체의 경우에는, 액체를 개재한 상태에서 열용착을 실시하면, 온도변화에 의해서 액체가 팽창하고, 충분한 열용착이 불가능할 우려가 높게된다. 그 때문에 충진된 내용물과 합성수지대의 열용착부분과의 사이에 충진한 간격을 띄울 필요가 생긴다. 그 결과, 용기내에 내용물을 완전히 채우는 것이 곤란하고, 공기가 남은 상태에서의 밀봉으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이 발명에서는 토너용기 내에 공기가 거의 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너를 토너용기 내에 충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기내를 거의 완전히 토너로 채울 수 있고, 장기 보존하여도 토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너용기의 수축부를 완전히 수축시켜서 용기 내에 실질적으로 공기가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 충진을 실시하기 때문에, 충진시에 용기내의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흡인할 필요가 없고, 충진속도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3 발명에서는 밸브체가 유통구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서 유통구를 닫는 주끼워맞춤부를 가지고, 또한,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가 비배출상태에 상대적으로 이행할 때, 연결부가 밸브체 조작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밸브체 조작부와 함께 이행하여 주끼워맞춤부와 유통구의 끼워맞춤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밸브체의 주끼워맞춤부와 유통구와의 끼워맞춤(특히, 끼워맞추는 2개의 부재의 안, 적어도 한 쪽의 부재의 소재를 변형시켜서 실시하는 강제끼워맞춤)에 의해서, 유통구가 강고히 봉해진다. 또한, 이 끼워맞춤을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 등의 힘이 가해지는 데에는 곤란이 있는 바, 밸브체의 연결부와 밸브체 조작부와의 연결에 의해서 밸브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강제끼워맞춤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부와 밸브체 조작부와의 연결은, 주끼워맞춤부와 유통구와의 끼워맞춤, 특히 강제끼워맞춤이 가능한 강도에서 밸브체와 밸브체 조작부가 연결하는 것이 있다면 좋다. 그를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는, 연결부와 밸브체 조작부가 강제끼워맞추는 것으로 하거나, 또는, 한쪽 편에 계지공(係止孔)을 설치하고, 이 계지공에 계합하는 돌기를 다른 한 편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거나, 또는, 나사에 의해 결합시키거나, 또는 자력에 의해 양자를 연결시키거나 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본원의 제1, 제2 및 제3 발명에 있어서, 유통구와 현상장치측의 토너저유조 등의 저유부분을 통형상 등의 주위의 폐쇄시킨 배출경로에 의해서 직접 연결시켜서 실시하는 것이, 장치 내에있어서 토너의 비산방지의 점 및 현상장치측의 토너저유조 등의 저유부분으로 외부의 공기를 말려들지 않고 도입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를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는, 현상장치측의 밸브체 조작부를 중공(中空)의 통형상의 밸브체 조작부와 토너용기 안이 도통(導通)하는 것으로서 실시하면 좋다. 또한, 밸브체 조작부가 배출경로를 겸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통구에 통형상 주위의 폐쇄시킨 배출경로를 대주거나, 끼워맞춤시킨다면 좋다.
본원의 제4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각의 발명에 있어서, 토너용기가 상기 접속부와 별개의 제2 접속부를 구비하고, 이 제2 접속부가 외부와의 공기의 유통을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토너용기 내의 압력조정이 되는 것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이다.
이 제4 발명에 의해, 토너용기 내에 토너를 충진하는 경우, 또는 토너를 배출하는 경우, 용기 내의 압력조정을 실시하고, 원활한 토너의 충진 또는 배출을 실시할 수 있다.
본원의 제5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각의 발명에 있어서, 토너용기가 토너를 접속부에서 주입하는 것에 의해, 토너용기 안이 토너에 의해 채워진 후에, 토너의 유출을 허용하지 않게 용기내의 공기 유출을 처리하는 공기 배출수단에 있어서, 토너용기 내의 공기가 배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이다.
이 제5 발명에 있어서도 토너가 충진된 후에, 용기 내 공기 배출을 처리할 수 있고, 용기 내의 압력조정과 함께, 토너 변질의 방지에 효과를 발휘한다.
본원의 제6 발명은 토너카트리지에서 현상장치용의 분말체 또는 액체의 토너를 현상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카트리지의 접속부에 있어서, 접속부가 유통구를 구비한 본체와, 이 유통구에 접근이반하여 유통구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유통구를폐쇄한 상태로 밸브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밸브체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밸브체를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밸브체 조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의 유통구의 개폐기구를 제공한다.
본원의 제6 발명에 있어서는, 복사기 등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토너의 공급이 필요로 할 때, 밸브체 조작부의 작동에 의해서, 접속부가 열려서 토너가 보급된다. 필요량이 보급되면, 밸브체 조작부가 비작동상태로 되어서, 접속부가 밸브체에 의해 닫혀지고, 접속부에서 토너의 누설이 방지된다. 밸브체 조작부의 작동은 예를들면, 밸브에 접근이반하여, 밸브를 작동시켜도 좋고, 또는, 밸브체조작부 자체는 일정한 위치에 정지한 채로, 토너카트리지측이 밸브체 조작부에 접근이반하여, 밸브체 조작부를 작동상태로 하거나, 비작동상태로 하거나를 변경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작동은 자동적으로 실시되는 것이어도 좋고, 또는, 사람의 손으로 작동하여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를 전환하여도 좋다. 또한, 밸브체 조작부는, 밸브체와 별체이어도 좋고, 일체로서도 좋다. 토너용기는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감량에 따라서 수축하는 수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도 좋지만, 변질의 합성수지 등과 같이, 변형이 불가능한 용기로서도 좋다. 단, 수축부를 구비한 것으로 할 경우에는, 토너의 배출에 수반하여, 토너용기의 내용량이 수축한다. 이것에 의해, 토너용기내에 공기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토너의 보급이 실시된 채로도,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다.
본원의 제7 발명에 있어서는, 토너카트리지에서 현상장치용의 분말체 또는 액체의 토너를 현상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카트리지의 접속부에 있어서, 접속부가 유통구를 구비한 본체와, 그 유통구에 접근이반하여 유통구를 개폐하는 밸브와, 유통구를 닫혀진 상태로 밸브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밸브체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에 의해 밸브체를 열려진 상태와 닫혀진 상태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밸브작동부를 구비하고, 이 밸브작동이 유통구의 내외에 걸쳐서 설치됨과 아울러, 유통구의 외부에 배치된 밸브체 조작부가 밸브 작동부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밸브체를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의 유통구의 개폐기구이다.
이 제7 발명에 있어서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부가 일체로 된 것이거나, 이 밸브작동부를 밸브체 조작부가 작동시키는 것이다.
본원의 제8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6 또는 제7의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조작부가 현상장치에 설치되고, 현상장치가 토너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밸브체 조작부가 작동하여 밸브체를 열림 상태로 하고, 토너의 공급이 종료한 경우 밸브체 조작부가 작동하여 밸브체를 닫힘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의 유통구의 개폐기구이다.
이 제8의 발명에 의해, 현상장치가 토너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밸브체가 개방되고, 그 공급이 종료하면 폐쇄되고, 토너용기 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보다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의 제9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6 내지 제8의 발명에 있어서, 접속부와 밸브조작부와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접속부와 밸브체 조작부를 상대적으로 접근 및/또는 이반시키는 동작부재를 현상장치에 설치하고, 이 동작부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의 유통구의 개폐기구이다.
이 제9 발명의 작동부재에 의해, 토너카트리지의 접속부와 현상장치측의 밸브체 조작부와의 연결 및 비연결이 보다 간단히 실행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본원의 각 발명에 관한 토너카트리지는, 복사기나 프린터(레이져 프린터나 잉크젯프린터), 인쇄기 등의 각종 현상 인쇄장치(이하, 간단히 현상장치라고 한다)에 분말체 또는 액체의 토너(인쇄잉크를 포함한다)를 공급하기 위한 카트리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이 현상장치에는, 일단, 토너를 저유하는 저유조를 가지고, 토너카트리지에서 저유조에 토너를 보급하는 형식의 것이나, 장치 자체에는 저유조가 없고, 토너카트리지 자체가 저유조로서 기능하는 형식의 것 등이 있지만, 그 어느 것의 형식의 것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본원의 제1, 제2의 발명은 배출구의 개폐를 확실히 또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고, 특히, 현상장치에 있어서 토너의 소비감량만을, 토너카트리지에서 순차보급할 수 있고, 또한, 토너의 배출경로를 토너의 충진경로로서 충진할 수 있기 때문에, 충진작업도 확실히 또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현상장치의 토너저유조 등의 저유부분에, 배출구를 직접연결하여 토너를 보급하는 것에 의해서, 토너장치 내에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충진시의 공기의 끌어넣기를 방지할 수 있으며, 토너의 고품질을 유지한 토너의 보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제2 발명은, 상기 효과에 부가하여, 토너용기의 수축부가 토너감량에 따라서 수축하기 때문에, 토너용기내에 공간이 생기지 않는다. 그 때문에, 토너가 공기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변질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다.
본원의 제3 발명은 제1, 제2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밸브체를 스프링 등에 의해서 힘을 가하지 않아도,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의 단순한 작동만으로, 확실히 배출구와의 끼워맞춤이 가능하게 되고, 단순한 구조 및 작동에 의해서, 확실한 배출구의 밀폐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토너용기의 수축부가 수축한 상태에서, 토너를 배출부에서 주입하는 것에 의해, 토너용기 안을 토너에 의해서 채우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용기 안을 거의 완전히 토너로 채우는 것이 가능하고, 장기보존하여도 토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고, 충진속도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의 제4 및 제5의 발명에 있어서는, 토너용기 내의 압력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용기내부의 공기의 배출에 의해, 토너의 변질도 방지할 수 있다.
본원의 제6 발명은 접속부의 폐쇄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일단 접속부가 폐쇄된다면, 확실히 그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토너카트리지의 접속부의 개폐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본원의 제7 발명은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부가 일체로 된 것이고, 이 밸브작동부를 밸브체 조작부가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의 제8 발명은 현상장치가 토너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밸브체가 개방되고, 그 공급이 종료되면 폐쇄되고, 토너용기 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보다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의 제9 발명은, 현상장치에 설치된 작동부재에 의해, 토너카트리지의 접속부와 현상장치측의 밸브 조작부의 연결 및 비연결이 보다 간단히 처리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나타낸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중심으로 참조하여,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에 대한 설명이다.
이 토너카트리지는, 현상장치용의 분말체 또는 액체의 토너를 수납한 토너용기(1)와, 이 토너용기에서 현상장치에 토너를 공급하여 보급하기 위한 배출부(2)를 구비한다.
토너용기(1)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체가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감량에 따라서 수축하는 수축부로 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파우치라고 부르는 유연한 대에 의해서 전체가 구성되어 있다. 대의 소재로서는, 합성수지 필름을 이용한 대에서, 필름으로서는 단일체필름으로도 좋고 복수 종류의 필름을 적층한 복합필름이어도 좋다. 또한, 내면에 수지필름층을 형성한 지대 또는 포대로서도 좋다. 또한, 이들 대를, 지상(紙箱) 등의 필름보다 강성이 높은 용기 내에 수납한 소위 백인박스(bag-in-box)이어도 좋다.
다음에, 배출부(2)는 이 토너용기(1)의 적당부분에 설치된다. 도 1의 예에서는 토너용기(1)는 그 모든 둘레를 가열밀봉한 파우치이기 때문에, 그 가열밀봉 부분(11)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있지만, 각(角)부분(12)이나, 대의 중앙부분(13)에 설치되도 좋다.
다음에, 배출부(2)는 토너용기(1)에 용착이나 접착 등의 적당한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기부(21)와, 기부에 대하여 접근이반 가능하게 설치된 밸브체(3)를 구비한다. 이 기부(21)에는, 토너용기(1)의 내외를 도통하는 도통로(22)가 구비된다. 이 예에서는, 밸브체(3)는 배출구(23) 보다 내부측(토너용기(1)의 내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3)의 바깥둘레에는, 배출구(23)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서 배출구(23)를 닫는 주끼워맞춤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예에서는, 밸브체(3)의 바깥둘레가 주끼워맞춤부로 되고, 배출구(23) 전체가 주수용부로 되어있다. 다른 한편, 밸브체(3)의 중앙부에는,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4)에 강제끼워맞추는 연결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이 부끼워맞춤부로 되고, 이 부끼워맞춤부인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을 수용하는 연결부(32)가 부수용부로 된다. 그래서, 부수용부(32)와 부끼워맞춤부(41)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형하여, 끼워맞춤형태로 되는 강제끼워맞춤으로서 실시되는 것이다. 특히, 이 예에서는, 이 끼워맞춤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에는 가운데가 잘록한 부분(41a)이 설치되고, 이 가운데가 잘록한 부분에 끼워맞추는 돌출부(突條)(33a)가 연결부(32)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체(3)는, 배출부(2)의 기부(21)와 별체로 형성하여도 좋지만, 이 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가이드부(5)에 의해서, 안내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5)는, 기부(21)에 설치된 지주(支柱)(51,51)와, 이 지주(51)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연장된 가로부(52,52)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지주(51)와 가로부(52)는 좌우에 한 쌍 설치되어 있지만, 1개로도 좋고, 3개 이상으로서도 좋다. 가로부(52)의 기단측은 지주(51)에 대해서 회전운동이 가능하고, 가로부(52)의 선단측은 밸브체(3)에 대해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그래서, 이 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밸브체(3)가 배출구(23)에 끼워맞춤하여 있을 때에는, 가로부(52)의 선단측이 기단측보다 하방으로 있고, 도 3(C)에 나타낸 바와같이, 밸브체(3)와 배출구(23)의 끼워맞춤이 떨어져서 배출구(23)가 열려진 상태에서는, 가로부(52)의 선단측이 기단측 보다 상방에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지주(51,51)은, 가로부(52) 보다 또한 상방에 연장되어서, 연장된 지주(51,51) 사이에, 스트립(53)이, 가로부(52)의 상방위치에 놓여있다. 이 스트립(53)은, 밸브체(3)가 상승위치에 올 때 접촉하여, 그것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지만, 상승방지의 수단을 따로 설치할 수도 있고, 이 스트립(53)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음에, 현상장치에 있어서의 밸브체 조작부(4)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밸브체 조작부(4)는 현상장치의 종이 한 장 마다의 현상제나, 호퍼(hopper) 등의 토너의 저유부 내의 잉크의 사용량을 센서에서 캐치하여 그 때마다, 작동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에서의 토너의 배출을 지시하는 것이다. 또한, 토너의 일정의 사용감량을 센서에서 캐치하여 작동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에서의 토너의 배출을 지시하고, 호퍼 등의 토너의 저유부 내의 감량분에 상당하는 토너를 보급시키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토너의 배출이 필요한 때에, 밸브체(3)에 대해서 접근하여 작동상태로 되고, 토너의 배출이 필요하지 않은 때에는, 밸브체(3)에서 이반하여 비작동상태로 된다.
이 밸브체 조작부(4)는, 토너의 배출경로와는 별체의 것으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예에서는, 밸브체 조작부(4)가 토너의 배출경로의 기능도 겸비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밸브체 조작부(4)는, 배출부(2)의 도통로(22)에 삽입되는 축형상의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토너의 배출경로(42)가 설치되고, 이 토너의 배출경로(42)에서 외부로 통하는 개구부(43)가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모임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은, 상기한 바와같이, 연결부(32)에 수용되는 것으로, 연결부(32)의 돌출부(33a)에 끼워맞추는 가운데가 잘록한 부분(4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운데가 잘록한 부분(41a)의 기단측에 개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개구부(43)는 밸브체(3)의 주끼워맞춤부(31)와, 배출구(23)의 끼워맞춤이 떨어진 상태(열린 상태)에서, 토너용기의 내외를 도통할 수 있게 하는 개구이고, 이 예에서는 열린 상태에서, 배출구(23)의 내측(토너용기의 내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밸브체 조작부(4)의 축부의 바깥둘레의 적당한 위치에는, O링(44) 등의 실수단이 설치되고, 이 실수단에 의해서, 배출부(2)의 도통로(22)와 사이의 실이 된다. 이 실수단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개구부(43)에서 배출경로(42)에 미치지 않았던 토너의 누설을, 이 실수단으로 완전히 배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이 토너카트리지에 의한 토너의 보급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낸 카트리지를, 현상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세트한다. 이 세트한 만큼의 단계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밸브체 조작부(4)와 배출부(2)는 분리상태이거나, 또는, 도 3(A)이나 (B)에 나타낸 바와같이, 밸브체 조작부(4)와 배출부(2)가 결합되어 있지만, 밸브체(3)가 토너의 배출구(23)를 닫은 상태로 되어있다. 다시 말하면, 배출구(23)과 주끼워맞춤부(31)가 끼워맞춤상태에 있지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배출구(23)의 지름을 확대하도록, 배출구(23)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주끼워맞춤부(31)가 감입하고 있는 강제끼워맞춤상태로 한다. 더구나, 그 강제끼워맞춤은, 배출구(23)의 강성변형에 의해서 되어질 수 있지만, 배출구(23)와 주끼워맞춤부(31)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형하는 것이라면 족하다.
그래서, 토너를 보급할 때에는, 밸브체 조작부(4)가 밸브체(3)에 접근하고, 또한 상승하는 것에 의해서, 배출구(23)와 주끼워맞춤부(31)의 끼워맞춤이 떨어진다(도 3(B)에서 (C)). 이 예에서는, 배출구(23)와 주끼워맞춤부(31)의 끼워맞춤이 떨어짐과 동시에, 밸브체(3)의 연결부(32)와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이 끼워맞춤하고 있지만, 밸브체(3)의 연결부(32)와 밸브체 조작부(4)의 끼워맞춤은, 밸브체(3)의 닫힘동작에 있어서 필요하고, 열림동작에서는 끼워맞춤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밸브체 조작부(4)가 밸브체(3)를 다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가로부(52)가 상승하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밸브체(3)가 토너의 배출구(23)에서 간격이 떨어져서 열린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밸브체 조작부(4)의 개구부(43)가 배출구(23)보다 내부측에 위치하여 내부의 토너를 토너의 배출경로(42)에서 외부에 배출할 수 잇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배출부(2)를 토너용기(1)의 하부에 설치하고 있고, 밸브체 조작부(4)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열린상태로 되도록하기 때문에, 토너는 자연낙하로 의해서, 밸브체 조작부(4)의 개구부(43)에서 배출경로(42)를 통해서, 호바 등의 토너 저유부에 배출된다. 단, 토너용기(1)에 압력을 가하여 토너를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배출부(2)를 토너용기(1)의 상부에 설치해 두는 것도 가능하고, 도시의 상태에서 상하가 반대로의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횡방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것의 경우에도, 이 토너용기(1)는 내부의 토너량에 따라서 변형해서,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특히, 이 예에서는, 밸브체 조작부(4)가 토너 배출경로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토너 배출시에 외부의 공기를 끌어 넣지 않고, 토너의 보급을 실시할 수 있다.
필요량의 토너의 보급이 종료하면, 밸브체 조작부(4)가 후퇴하여, 도 2 또는 도 3(A), 또는 (B)의 상태로 된다. 즉, 밸브체 조작부(4)가 후퇴할 때, 밸브체 조작부(4)는 밸브체(3)의 연결부(32)와 끼워맞춤하고, 밸브체(3)와 함께 후퇴한다. 그래서, 도 3(B)의 상태, 즉, 배출구(23)과 주끼워맞춤부(31)이 끼워맞춤한 상태로 되고, 토너의 배출이 정지된 닫힘 상태로 된다. 즉,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부끼워맞춤부(41))이 연결부(32)(부수용부(32))와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력은, 주끼워맞춤부(31)와 배출구(23)(주수용부(23))가 끼워맞춤할 때에 필요한 힘보다도 강하고, 밸브체 조작부(4)와 밸브체(3)의 연결부(32)가 결합한 상태에서, 배출구(23)와 주끼워맞춤부(31)와의 강제끼워맞춤이 실현된다.
또한, 밸브체 조작부(4)가 후퇴하면, 도 3(A)와 같이, 밸브체 조작부(4)와 밸브체(3)의 연결부(32)와의 끼워맞춤이 떨어진 상태로 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양자(3),(4)가 분리된 상태로 된다. 어느 상태로 하여도, 밸브체 조작부(4)가 밸브체(3) 연결부(32)와 연결한 상태에서, 후퇴동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밸브체(3)의 주감압부(31)와 배출구(23)의 감압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주감압부(31)와 배출구(23)가 감압 되어 있기 때문에, 토너의 누설은 확실히 방지되고, 또한, 배출부(2)는 합성수지에서 일체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제조에 관하여도 낮은 비용으로 억제할수 있으며, 또한, 밸브체 조작부(4)의 전진후퇴 동작이라는 단순한 동작만에 의해서, 토너의 배출과, 누설없는 비배출을 실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4)가 배출상태에 상대적으로 이행할 때, 연결부(32)와 밸브체 조작부(4)의 연결(감압)이 된 상태에서, 주감압부(31)와 배출구(23)가 끼워맞춤이 해제되지만, 이 단계에서는, 연결부(32)와 밸브체 조작부(4)의 연결(끼워맞춤)은 완전히 될 필요는 없고, 다음의,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4)가 비배출상태에 상대적으로 이행할 때에, 연결(끼워맞춤)이 것이라면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주끼워맞춤부(31)와 배출구(23)가 끼워맞춤이 된 단계에서, 연결부(32)와 밸브체 조작부(4)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고 있지만, 양자의 연결상태는 유지한 상태로서도 좋다. 즉, 카트리지가 현상장치에 세트될 때에, 한 번, 연결부(32)와 밸브체 조작부(4)가 연결이 된다면, 보충 마다의 작동에 있어서는 이 연결은 유지된 상태로서 밸브체(3)의 개폐를 실시하고, 카트리지를 현상장치에서 떼어내는 단계에서, 연결부(32)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4는 토너용기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체가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감량에 따라서 수축하는 수축부로 되어 있지만, 도 4(A)의 예에서는, 수축부(102)가 용기의 약 절반부분 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토너용기(101)에 있어서는, 수축부(102)와 비수축부(103)에서 구성되고, 비수축부(103)에, 배출부(2)가 설치되어 있다. 비수축부(103)는 변질의 합성수지 등의 대기압에 의해서도 찌그러지지 않는 강성을 가지고 있다, 다른 한편, 수축부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대기압에 의해서 변형하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즉, 수축부(102)는, 비수축부(103)의 내측에 붙여지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고, 내부의 토너의 감량에 의해서, 내부에 공기를 유입하지 않고, 수축하여, 최종적으로는, 수축부(02)가 비수축부(103)의 내측에 붙은 상태(내부공간이 없게 되는 상태)로 된다.
도 4(B)의 토너용기(111)는, 내부의 형상이 일정한 통체에 의해서 비수축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 비수축부(112)에 대해서 미끄럼 가능한 수축부(113)가 비수축부 내부에 감입하고 있다. 이 토너용기(111)는, 수축부(113)가 축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에 의해서, 용기의 내용량이 수축하는 것이고, 배출부(2)는, 비수축부(11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A),(B)의 어느 편의 예의 경우에도, 비수축성의 부재(104,114)에 의해서, 토너용기의 외곽을 구성할 수 있다. (A)의 예에서는, 비수축성의 부재(104)를, 수축부(102)의 외측에 설치하여, 비수축부(103)에 접속 또는 일체화 해 둔다. 단, 공기의 도통로(115)를 비수축성의 부재(114)에 설치해 둔다.
다음에, 배출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지만, 이들 배출부의 형태는, 상기 각 토너용기에 적응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의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의 예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구부(43)의 위치를 변경한 예이다. 상기 예에서는, 밸브체(3)가 토너의 배출구(23)에서 간격이 떨어지는 열린상태로 된 때에, 밸브체 조작부(4)의 개구부(43)가, 배출구(23)보다 내부측에 위치하여, 내부의 토너를 토너의 배출경로(42)에서 외부로 배출가능한 상태로 된 것이었지만, 이 예에서는, 열린상태로 된 때에, 밸브체 조작부(4)의 개구부(43)가 배출구(23)보다 외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즉, 밸브체(3)의 연결부(32)에 대해서 끼워맞추는 토너 조작부(4)의 선단(41)과 개구부(43)와의 사이에, 배출구(23) 보다 지름이 작은 연결부(131)을 설치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밸브(3)가 토너의 배출구(23)에서 떨어져서 열린상태로 된 때에, 배출구(23)의 위치에 연락부(131)가 위치하여, 배출구(23)와 연락부(131)의 사이를 통해서, 토너가 유출한다. 그래서 유출한 토너는 개구부(43)에서 토너의 배출경로(42)를 통과해서, 외부로 유출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주끼워맞춤과 주수용부 및 부끼워맞춤부와 부수용부 및 이들 강제끼워맞춤의 강도 관계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의 예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밸브체(3)을, 배출부(2)와 별체로 형성한 예이지만, 주감압부와 주수용부 및 부끼워맞춤부와 부수용부에 이들 강제감압의 강도의 관계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예에서는 밸브체(3)의 바깥둘레에, 밸브체(31)의 미끄럼의 안내를 하기 위한 부재를, 기부(21)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체의 가이드지주(121)를 기부(21)에서 설립한다. 이들에 의해서, 밸브체(3)는 가이드지주(121)에 안내된 채로, 심이 어긋남이 없이, 축방향에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지주(121)와 밸브체(3)는 접촉상태로 되어있는 만큼에서 만족하지만, 밸브체(3)에 가이드지주(121)을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서 통하는 미끄럼공을 설치하여 실시하는 등, 안내를 위한 구체적인 구조는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단면도이고, (A)는 닫힘상태를 나타내고, (B)는 열림상태를 나타낸다.
도 2의 예에서는, 지주(51,51) 사이에 스트립(53)을 설치하였지만, 이 예에서는, 그것을 설치하지 않는 점에서 도 2의 예와 상위하다. 즉 밸브체(3)는, 기부(21)와 2개의 가로부(141,141)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 가로부(141,141)는 (A)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방으로 향하여 활처럼 굽은 상태에서, (B)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방으로 향하여 연장된 상태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즉 이 가로부(141,141)는, 밸브체(3)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강도와, 가연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 예에서도, 주끼워맞춤부와 주수용부 및 부끼워맞춤부와 부수용부 및 이들 강제감압의 강도의 관계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여기서, 도 7(B)의 상태에서 도 7(A)의 상태로 밸브체(3)가 하강하여, 배출구(23)를 폐쇄하는 때에 즈음하여, 밸브체(3) 연결부(32)와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과의 감압이 떨어지지 않는 점에 관해서 다시 설명한다.
우선, 도 7(B)의 상태에 있어서,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과 밸브체(3)의 연결부(32)는 그 끼워맞춤상태가 유지된 상태이다.
다음에, 밸브체 조작부(4)가 하방으로 이행되는 것에 수반하여, 밸브체(3)도 하방으로 이행시킨다.
밸브체(3)의 하단부(3e)가 배출부(23)에 가까이 가고, 그 내부에 침입하면, 하단부(3e)는, 배출구(23)의 내주면에 접합하고, 하단부(3e)는 그 외주면에서 내부중심방향(반경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밸브체(3)의 하단부(3e)는, 그 내경이 작아지게 되는 것과 같은 힘을 배출구(23)의 내주면에서 받는 것으로 된다. 그 결과,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은, 밸브체(3)의 연결부(32)와의 끼워맞춤의 힘이 보다 강하게 되어서, 그 선단(41)이 밸브체(3)의 연결부(32)에서 빠질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은 밸브체(3)와의 끼워맞춤상태를 확실히 유지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행되어서, 밸브체(3)의 주끼워맞춤부(31)이 배출구(23)에 확실히 끼워맞춤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배출구(23)의 개폐를 위한 작동을 도 7의 요부를 확대하여, 그 주요한 작동을 도시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8(A)는, 배출구(23)에 밸브체(3)이 끼워맞춤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이 상태에서는, 밸브체 조작부(4)는 밸브체(3) 보다 충분히 하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끼워맞춤상태에서는, 밸브체(3)의 외주부의 실면(3f)이, 배출구(23)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기밀성, 액밀성이 높은 실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3)의 하단부(3e)에서 외측으로 튀어나온 밸브체측견부(3g)가, 배출구(23)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튀어나온 배출구측견부(23)에 계합하여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체(3)가 불용의에 배출구(3)에서 떨어져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도 8(B)에 나타낸 바와같이, 밸브체 조작부(4)가 상승하여, 밸브체(3) 내의 연결부(32)에 진입한다. 이 때,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에 있어서는, 그 선단측의 외경이, 밸브체(3)의 하단부(3e)의 내경(특히, 하단부(3e)의 내주면에 돌출한 돌출부(33a)의 내경)보다도 작기 때문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그래서, 밸브체 조작부(4)의 선단(41)의 외경은 그 최선단에서 가운데가 잘록한 부분(41a)에 근접함에 따라, 크게 되고, 밸브체(3)의 하단부(3e)의 내경 보다 크게 된다. 그 때문에, 진입이 진행됨에 따라, 밸브체(3)의 하단부(3e)가 바깥방향으로 팽창하는 것고 같이 변형하여, 그 내경이 넓어진다. 이 밸브체(3)의 하단부(3e)의 팽창을 허용하기 위해서, 배출구(23)의 하부의 내벽면과 밸브체(3)의 하단부(3e)와의 사이에 적당한 공간(3h)가 설치되어 있다(도 8(A)참조).
또한, 진입이 진행되면, 도 9(A)에 나타낸 바와같이, 밸브체 조작부(4)의 가운데가 잘록한 부분(41a)에, 밸브체(3)의 하단부(3e)가 인입하는 것과같이 되고, 팽창한 하단부(3e)가 원(元)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진입이 진행되면, 도 9(B)에 나타낸 바와같이, 밸브체 조작부(4)의 가운데가 잘록한 부분(41a)에, 밸브체(3)의 하단부(3e)가 인입된 상태에서, 밸브체(3)와 배출구(23)와의 끼워맞춤이 떨어진다. 이 경우, 밸브체 조작부(4)의 가운데가 잘록한 부분(41a)에, 밸브체(3)의 하단부(3e)가 인입되기 때문에, 밸브체(3)의 하단부(3e)에 있어서의 밸브체측견부(3g)와, 배출구(23)에 있어서의 배출구측견부(23a)와의 계합이 무리하게 해제된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도 9(C)에 나타낸 바와같이, 밸브체 조작부(4)의 개구부(43)가, 배출구(23)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되고, 토너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밸브체(3)에 의해서 배출구(23)을 닫히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의 작동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9(C)의 상태에서, 밸브체 조작부(4)가 뒤로 물러나게 된다. 이 경우, 배출구(23)의 토너용기 내윽의 개구단의 내경이, 밸브체(3)의 하단부(3e)의 최하단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무리하게 배출구(23)에 밸브체(3)의 하단부(3e)의 최하단이 진입한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같이, 밸브체(3)의 하단부(3e)의 밸브체측견부(3g)의 외경은, 배출구(23)의 내경보다도 크다. 그 때문에, 밸브체 조작부(4)가 다시 뒤로 물러나게 되면, 밸브체(3)의 하단부(3e)가 배출구(23)의 내벽에서 힘을 받는 것에 의해, 내측에 변형하여, 밸브체 조작부(4)의 가운데가 잘록한 부분(41a)에, 밸브체(3)의 하단부(3e)가 인입된다. 이 작동은, 밸브체 조작부(4)의 뒤로 물러남이 진행함에 따라서 크게 되고, 밸브체 조작부(4)의 가운데가 잘록한 부분(41a)와 밸브체(3)의 하단부(3e)가 보다 확실하게 계합한다. 그 결과, 밸브체 조작부(4)의 뒤로 물러나는 도중에, 밸브체(3)가 밸브체 조작부(4)에서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 조작부(4)가 뒤로 물러나게 되면, 밸브체(3)와 배출구(23)의 단부가 접촉하여, 밸브체(3)의 하강이 정지한다(도 9(A)참조). 그래서, 다시 밸브체 조작부(4)가 뒤로 물러나게 되면, 밸브체 (3)의 하단부(3e)가 바깥방향으로 팽출하여, 밸브체(3)의 하단부(3e)의 내주면에 돌출한 돌출부(33a)와 가운데가 잘록한 부분(41a)과의 계합이 떨어지고(도 8(B)),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다(도 8(A)).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의 주요부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배출부(201)는, 합성수지제의 것에서, 대략 통형상의 기부(202)를 가지고, 그 하단부에는, 플랜지(2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부(202)가 토너용기(204)에 열용착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도면 중, 기부(202)의 상단부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하고, 또한, 그 중심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부(205,205)가 설치되고, 이들 가로부(205,205)의 선단에 밸브체(206)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배출부(201)의 기부(202)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도통로(207)이 설치되고, 도통로(207)의 상단 안둘레부에는 배출구(208)가 설치되고, 이 배출구(208)의 하단부에는 계합단부(208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구(208)(즉, 부끼워맞춤부)에 밸브체(206)에 설치된 주끼워맞춤부(209)가 계합한다. 즉, 밸브체(206)의 하단부의 외주부에는, 주끼워맞춤부(20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주끼워맞춤부(209)가 배출구(208)의 계합단부(208a)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서 밸브체(206)가 배출구(208)를 닫는다. 이 때, 양 가로부(205,205)는, 밸브체(206)이 상하로 작동하는 것에 따라서 유연하게 휘고, 또한 밸브체(206)을 지지하는 것에 충분한 강도를 지지하고 있다.
밸브체(206)의 내측에는, 토너의 배출을 지시하는 밸브체 조작부(211)의 선단에 연결되는 연결부(213)이 설치되고, 이 연결부(213)의 내주면의 하방부에는, 계합단부(214)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토너를 토너용기(204) 내부에 보급하기 위한 밸브체 조작부(211)는 봉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부에는, 선단연결부(212)(부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서, 밸브체(206)의 연결부(213)(부수용부)에 끼워맞춤할 수 있고, 이 선단연결부(212)의 하방부에는 밸브체(206)의 계합단부(214)와 계합하는 계합홈부(215)가 그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체 조작부(211)은, 토너 배출수단을 겸하는 것으로 그 중심부의 장수방향으로 토너 배출경로(215)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연결부(212)의 조금 하방에는 개구부(216)이 둘레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개구부(216)의 하방부는, 그 외경이 그 방지부보다도 조금 크게 형성되고, 단부(217)를 끼워서, 배출부(201)의 도통로(207)의 내경과 거의 동일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방향의 전체로 형성된 단부(217)가 배출구(208)의 하단과 접촉한 상태에까지 밸브체 조작부(211)이 상승한다. 그래서, 이것에 수반한 밸브체(206)가 밀어내고, 배출구(208)로부터 토너용기의 내부측으로 개구부(216)가 인입되고, 토너가 배출가능한 상태로 된다(도 10의 상태).
배출완료 후에는, 밸브체 조작부(211)가 배출부(201)의 도통로(207)에서 후퇴하여 빠져나간다. 이 경우, 밸브체(206)는, 연결부(213)에 의해서 밸브체 조작부(211)의 선단연결부(212)와 끼워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구(208)의 방향(도면 중하방향)으로 끌어당기고, 밸브체(206)의 주끼워맞춤부(209)가 배출구(208)에 끼워맞춤하여, 이 배출구(208)를 닫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주끼워맞춤부와 주수용부 및 부끼워맞춤부와 부수용부 및 그들 강제끼워맞춤의 강도의 관계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1은, 또한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한 토너카트리지의 요부의 사시설명도이다.
상기 예에서는, 밸브체 조작부가 토너의 배출경로를 구비한 것이었지만, 이 예에서는 밸브체 조작부가 토너의 배출경로를 구비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배출부(301)는 합성수지제이고, 토너용기(302)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대략 통형상의 기부(303)를 가지며, 그 하단부에는, 플랜지(30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부(303)가 토너 용기(302)의 둘레부에 열용착된다. 도면 가운데, 기부(303)에는, 토너용기(302)의 내외를 연락하는 도통로(305)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도통로(305)를 중심으로서 상대로 향하는 위치에, 가로부(306,306)이 형성되고, 이 가로부(306)는, 기부(303)의 상부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하고, 또한 그 중심방향으로 연장하여, 이들 가로부(306,306)의 선단에 밸브체(307)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307)는 거의 구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 밸브체(307)의 외주면이 주끼워맞춤부(311)로 된다.
기부(303)의 중심부에는, 상기를 통하여, 도통로(305)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그 도통로(305)의 상단부는, 밸브체(307)의 주끼워맞춤부(311)을 기밀하게 끼워맞춤하여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출구(308)이 형성되고, 그 배출구(308)은, 그 내경이 상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크게 되도록, 내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양 가로부(306,306)은, 밸브체(307)이 상하로 작동하는 것에 따라서 유연하게 휘어지고, 또한, 밸브체(307)을 지지하는 것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밸브체(307)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향해서, 도통로(305)를 관통하도록, 봉형상의 밸브작동부(309)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작동부(309)의 중간부에는, 가이드판(310)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판(310)이 밸브작동부(309)의 센터링 효과를 가지고, 밸브작동부(309)가 도통로(305) 내를 적절히 안내하며, 또한, 이 가이드판(310)은, 밸브작동부(309)가 압입하는 사이, 도통로(305)를 밀봉하는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판(310)의 외경이 도통로(305)의 내경과 동일 또는 클 때, 이 가이드판(310)의 외주가 도통로(305)와 밀접하기 때문에, 밸브작동부(309)가 상하로 작동하는 경우에, 센타링 작용을 가져서 확실히 밸브체작동부(309)를 안내하여, 밸브작동부(309)의 상하작동의 가장 가운데 도통로(305)를 밀봉하여 덮개의 역할도 완수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판(310)의 외경이 도통로(305)의 내경보다도 클 경우에는, 가이드판(310)은 유연한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할 필요가 있고, 가이드판(310)의 외경이 도통로(305)의 내경과 동일 또는 작을 경우에는, 가이드판(310)은 강성인 것으로도,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도 어느 쪽으로도 좋다.
다른 한편, 현상장치측의 밸브체 조작부는, 이 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의 밸브작동부(309)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것이면 족하다. 예를들면, 챠쿠에 의해서 밸브작동부(309)를 붙잡고, 챠쿠를 상하로 시키는 것에 의해서, 밸브작동부(309)를 상하로 시키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밸브작동부(309)의 하단에 대하여 끼워맞춤가능한 부재를 밸브체 작동부로 하고, 끼워맞춤상태의 밸브체 조작부를 상하로 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하 작동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현상장치측의 토너의 배출경로는, 도통로(305)에서 배출되는 것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즉, 배출경로의 구부는, 도 1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부에 토너를 배출할 수 있는 접속공을 가지는 통형상체의 것으로 좋고, 또한, 이 통형상체는, 배출부(301)의 도통로(305)의 내부에 감입하는 타이프의 것으로도 좋으며, 또는, 배출부(301)의 하단부의 플랜지(304)의 외주부의 외측에 덮어 씌우도록 적합한 타이프의 것으로도 좋다.
도통로(305) 내부에 감입하는 타이프의 것으로는, 밸브작동부(309) 하단부를 작동시키는 밸브체 조작부는, 그 통형상체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압압체와 통형상체와의 사이에 토너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배출부(301)의 외주부에 적합한 타이프의 것으로는, 밸브작동부(309)를 작동시키는 밸브체 조작부는, 통형상체의 상단에서 하단의 접속공의 내부에 형성될 필요가 있고, 또한, 그 압압체와 통형상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토너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도통로(305)에서 장치의 토너저유조에, 토너를 통형상체 등의 제한된 도통로를 통하지 않게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실시형태의 토너의 배출방법은, 이하에 설명한다.
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에, 밸브작동부(309)를 계합시키고, 이 형태에서 밸브작동부(309)를 상방으로 향하여 밀어넣어 간다. 이것에 의해 밸브작동부(309)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배출구(308)와 기밀하게 계합하고 있는 밸브체(307)가, 배출구(308)에서 분리되어 내부의 토너가 배출된다. 배출완료시에는, 반대의 작동에 의해서, 밸브체(307)의 주끼워맞춤부(311)가 배출구(308)과 계합하여, 토너의 배출이 정지하는 것이다. 그 때, 배출동작의 작동 도중에 있어서도, 가이드판(310)에 의해서, 여분의 토너 배출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밸브작동부(309)를 밸브체(307)과 일체로 형성하였지만, 양자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밸브 작동부(309)와 밸브체(307)를 끼워맞춤 등에 의해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끼워맞춤의 구조로서는, 도 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결부와 밸브체 조작부와의 끼워맞춤과 같은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 설명에서 이해되는 것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작동부(309)는 밸브체(307)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에 대한 연결부는, 밸브작동부의 하단 등의 적당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의 형태를 밸브작동부(309)의 형태와 같은 것으로 하고, 밸브작동부(309)와 동양의 형태의 밸브체 조작부와 밸브체(307)를, 도 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결부와 밸브체 조작부와의 끼워맞춤과 동양의 끼워맞춤 등에 의해서, 연결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예에서는, 토너용기(401)의 전체가 변질의 열가소성수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변질합성수지나 금속 등의 대기압에 의해서 변형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소재를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할수 있다. 배출부(2)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채용할 수 있고, 이 토너용기(401)의 적당 부분에 설치된다. 토너용기(401)는, 직방체나 입방체, 원주체 등의 적당형상으로 할 수 있고, 이 예에서는, 그 끝면(401)에 토너의 배출부(2)를 형성한 것이지만, 각(角)부분(412)이나, 측면(413) 등의 적당 위치에 설치하면 좋다.
사용방법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배출부(2)가 하단에 위치하도록, 토너용기(401)를 복사기 등의 장치에 장착한다. 그래서, 상기 예와 같이, 밸브체 조작부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열린 상태로 되도록 한다. 그 때문에, 토너는 자연낙하에 의해서, 밸브체 조작부의 개구부에서 배출경로를 통하여, 호퍼 등의 토너저유부에 배출된다. 단, 토너용기(401)에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토너를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배출부(2)를 토너용기(401)의 적당부분에 공기도입구(도시하지 않음) 등을 설치하여, 내부의 기압을 높여서 토너의 배출을 이루도록 하면 좋다. 또한, 자연낙하의 경우에도, 내부의 기압을 높일 필요는 없지만, 공기도입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내부의 기압이 저하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토너용기(401) 내에 반송스크립이나 아지테타 등을 설치하여 기계적인 배출부(2)에 토너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실시형태로서 구현화 될 수 있지만, 특히, 하기의 구성으로서 실시하는 것이 유리하다. 즉, 현상장치용의 분립체 또는 액체의 토너를 수납한 토너용기와, 이 토너용기에서 현상장치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배출부를 구비한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토너용기가, 토너용기내의 토너의 감량에 따라서 수축하는 수축부를 구비하고, 토너 배출부가 토너의 배출구와,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의 작동상태에 있어서의 이 배출구를 열면서 그와 동시에,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의 이 배출구를 닫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이 밸브체가 배출구와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서 배출구를 닫는 주끼워맞춤부를 구비한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토너용기에서 토너의 배출 완료시에는, 배출구가 밸브체에 의해서 닫혀지기 때문에, 토너의 누설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밸브체와 배출구는 끼워맞춤상태(특히, 바람직하게는 강제끼워맞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 등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끼워맞춤이 떨어지지 않고, 확실한 배출방지나 토너의 누설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토너용기가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감량에 따라서 수축한 수축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배출에 따라서 토너용기가 수축하기 때문에, 용기내의 공기가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토너를 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의 토너의 품질이 양호하게 보존되는 것이다. 또한, 밸브체 조작부에 토너의 배출경로를 설치한 경우나, 또는, 도통로(305)에 장치측의 통형상체 등의 배출로를 직접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서, 토너용기 내부와 토너 저유부가 밀폐된 경로에 의해서 직접 연결하는 상태로서 실시하는 것에 따라, 토너의 배출시에, 외부에서의 공기를 끌어넣을 염려를 없앨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에도, 보다 안정한 상태의 토너를 보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의해서,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충진은 여러 가지의 방법을 택할 수 있지만, 충진할 때, 배출과 반대의 수순을 채택하는 것에 의해, 보다 바람직한 충진상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즉, 밸브체 조작부에 토너배출경로를 설치한 경우에는, 이 토너 배출경로를 토너 충진장치의 충진용의 경로로서 실시한다면 좋다. 바꿔 말하면, 밸브체 조작부가 토너충진장치의 충진용의 노즐로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1의 예에서는,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통형상체 등의 토너의 배출경로를, 토너의 충진경로로서 충진하면 좋다. 즉, 이 충진경로로서는, 도통로(305)에 충진하는 것이 가능한 통형상체 등의 형태를 구비한 것으로 한다면 좋고, 구체적으로는, 충진경로의 입구부는, 내부에 토너를 충진할 수 있는 접속공을 가지는 통형상체의 것으로 좋고, 또한, 이 통형상체는, 배출부(301)의 도통로(305) 내부에 감입하는 형식이어도 좋고, 또는, 배출부(301)의 하단부의 플랜지(304)의 외주부의 외측에 덮어씌어지도록 적합한 타이프의 것으로도 좋다. 특히, 토너용기로서 수축부를 구비한 것을 채용한 경우에는, 토너용기의 수축부가 수축한 상태에서, 토너를 배출부에서 주입하는 것에 의해, 토너용기 내를 토너에 의해서 채우도록 하면 좋다. 이와같이, 토너용기 내에, 공기가 거의 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너를 토너용기 내에 충진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내를 거의 완전히 토너로 채우는 것이 가능하고, 장기보존하여도 토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너용기의 수축부를 완전히 수축시켜서 용기내에 실질적으로 공기가 남아 있지 않는 상태에서 충진을 행하기 때문에, 충진시에 용기내의 공기를 놓아주었거나 흡인하였을 필요가 없고, 충진속도의 고속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다른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고, 예를들면, 각 실시형태의 플랜지는, 항상, 하방(밸브체가 배출구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것이어도 좋다. 또한, 가이드판(310)을, 다른 실시형태의 밸브체 조작부에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토너의 배출시에는, 자연낙하에 의해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토너용기의 수축부에 압력을 밖에서 가하여, 토너의 배출을 적극적으로 촉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토너의 배출을 적극적으로 촉진하는 수단으로서는, 피스톤 등의 기계적인 힘을 가하는 장치에 의해서, 이 토너용기의 수축부에 압력을 밖에서 가하는 수단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현상장치에 설치된 펌프에 의해서, 토너를 흡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것으로 하여도, 자연낙하 이외에, 기계적 또는 유체압력에 의해서 토너용기에서 토너의 배출을 적극적으로 촉진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충진에 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밸브체 조작부에 토너 배출경로를 설치한 경우에는, 이 토너배출경로를 토너충진장치의 충진용의 경로로서 실시한다면 좋고,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 조작부를, 토너충진장치의 충진용의 노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토너 충진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파이프나 튜브 등의 분말체 공급로(도시하지 않음)의 선단에,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나타낸 밸브체 조작부를 설치하고, 충진용의 노즐로 한다. 그래서, 토너 충진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고, 이 토너충진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펌프 등의 압송수단이나 자연낙하에 의해서, 토너용기 내에 충진한다.
충진을 위한 다른 형태로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각 실시형태의 배출부(2)와 같은 구조를 구비한 제2 배출부(602)를, 토너용기(601)에 설치할 수 있다. 이 토너용기(601)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양의 수축부를 구비한 토너용기(1)이어도 좋고, 수축부를 구비하지 않고, 대기압에 의해서 변형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강성이 높은 토너용기(401)이어도 좋다. 그래서, 토너용기(601)의 배출부(2)를, 토너의 충진경로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밸브체 조작부(4)를 토너 충진장치의 충진용의 노즐로서, 토너를 토너용기(601) 내에 충진한다. 그 때, 제2 배출부(602)에, 상기 각 실시형태의 밸브체 조작부(4)와 동양의 형태를 구비한 밸브체 조작부(603)를 접속한다. 제2 배출부(602)에서 밸브체 조작부(603)를 지나서, 토너용기(601) 내의 공기를 빼낸다. 이것에 의해, 토너용기(601)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보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유로에 필터를 설치하는 등으로서,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는 수단을 실시한 제2 배출부(602) 또는 밸브체 조작부(603)을 이용하여, 공기의 배출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를 배출할 때에는, 자연히 유출시키는 다른, 펌프 등의 흡인수단(도시하지않음)에 의해서, 적극적으로 공기를 토너용기(601)에서 배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펌프 등의 흡인수단에 접속된 흡인노즐로서, 밸브체 조작부(603)를 채용하여, 제2 배출부(602)에서 밸브체 조작부(603)를 지나서, 토너용기(601) 내의 공기를 흡인수단에 의해서 흡인한다.
또한, 이 제2 배출부(602) 및 밸브체 조작부(603) 대신에, 압력조정밸브나 역정지밸브를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제2 배출부(602)에 있어서는, 밸브체 조작부(603)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는, 상기의 특수한 밸브구조에 의해서, 확실한 폐쇄를 실현하는 점이 유리하다.
또한, 이 토너의 충진공정 후에(즉, 토너의 공급이 정지한 후에), 토너용기(601)에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충진 중의 공기의 배출에 연이어 실시할 수도 있고, 별도의 공정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별도의 공정에서 실시하는 경우에는, 제2 배출부(602)를 이용하지 않는 토너용기(예를들면, 도 1에 나타낸, 1개의 배출부(2)만을 구비한 토너용기(1))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토너용기(1)에서, 충진하기 위한 밸브체 조작부(4)를 떼어놓은 후, 흡인수단에 접속된 밸브체 조작부(603)를 배출부(2)에 접속하여 흡인작업을 실시한다. 이 경우에는, 배출부(2)에 필터를 설치하면, 토너의 배출이 어렵게 되기 때문에, 흡인수단에 접속된 밸브체 조작부(603)에, 필터를 설치하는 등으로,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는 수단을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의 강제적인 공기의 흡인에 관해서는, 진공 또는 이것에 가까운 상태까지, 공기를 흡인할 수 있지만, 너무 지나치게 흡인하면, 반대로 토너가 굳어지고, 그 유동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토너의 보존 및 사용에 적합한 공기량(기압)까지, 흡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토너용기 내의 공기의 흡인은, 수축부를 구비한 토너용기(1)에 있어서의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겠지만, 대기압에 의해서 변형하지 않은 강도를 가지는 강성이 높은 토너용기(401)에 관해서, 동양의 일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배출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토너용기의 안의 기압의 조정을 처리할 수 있는 것 외에, 이 제2 배출부를 이용하여, 공기나 다른 유체를 토너용기 내에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같은, 유체의 배출, 유입은, 토너용기의 이송중이나, 토너용기를 현상장치에 세트한 후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특히, 토너용기에서 제1 배출부를 통하여 토너를 배출시키는 작업 중에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제2 배출부는, 토너의 용기 내의 압력조정이나 분위기의 조정에, 수시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최후에, 배출부측의 밸브체와 밸브체 조작부와의 착탈에 관해서, 유리한 기구를 설명한다. 우선, 착탈에 관한 제1의 예로서, 밸브체 조작부와 아울러 복사기 등의 현상장치측에 설치된 레버나 스프링 등의 동작부재에 의해서, 토너용기에 설치된 배출부를 움직이며, 배출부측의 밸브체와 밸브체 조작부와의 연결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해제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같이, 밸브체 조작부(4)는, 복사기 등의 현상장치의 토너저유조에, 하단의 개구(42c))가 도통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체 조작부(4)의 개구(42c)의 끝부측에는, 지지부(45)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45)가 현상장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 현상장치에는, 배출부(2)측의 밸브체(3)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착탈을 위한 동작부재로서, 슬라이드식의 레버(5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버(501)의 상면(502)에는,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펼쳐지는 장공(長孔)(50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장공(503)의 안에는, 밸브체 조작부(4)가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장공(503)의 둘레에는, 평탄부(504)와, 평탄부(504)에서 후방(도 14의 오른쪽 방향, 다시 말하면, 밸브체 조작부(4)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승하는 경사면부(505)가 형성되어 있다. 평탄부(504)는, 배출부(2)의 하단의 플랜지부(24)를 재치할 수 있는 정도의 넓이를 구비하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배출부(2)측의 밸브체(3)가 밸브체 조작부(4)에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배출부(2)의 플랜지부(24)가 평탄부(504)에 접촉하고 있다. 경사부(505)의 후단에는, 레버(501)를 눌러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손가락걸림부(506)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에는, 스프링받이(507)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 밸브체 조작부(4)의 지지부(45)에 있어서, 스프링받이(507)에 대향하는 부분에도, 스프링받이(47)가 형성되어 있고, 양 스프링받이(507,47) 사이에, 스프링(50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508)은, 레버(501)를 평상시 후방에 대세하기 위한 것으로, 이 예에서는, 압축코일 스프링이 이용되고 있다. 그래서, 상기의 손가락걸림부(506)에 손가락을 걸어서, 스프링(508)의 대세력에 대항하여, 전방(도 14의 왼쪽 방향, 다시 말하면, 그 경사부(505)가 배출부(2)의 플랜지부(24)의 하방으로 인입된다. 또한, 레버(501)를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경사면부(505)가 플랜지부(24)를 상승시키고, 그 결과, 밸브체 조작부(4)에서 배출부(2)가 빠져나오는 것이다(도 15 참조). 이것에 의해, 배출부(2)가 설치된 토너용기가 자유상태로 되고, 사람의 손 등으로 복사기 등의 현상장치의 외부에 뽑아낼 수 있다. 또한, 밸브체 조작부(4)에서 배출부(2)가 빠진 후에, 손가락걸림부(506)에서 손가락을 떼면, 스프링(508)의 부가력으로 초기상태로 레버(501)가 후퇴한다.
다음에, 배출부(2)가 설치된 토너용기를 복사기 등의 현상장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토너용기의 배출부(2)를 밸브체 조작부(4)에 끼워맞춤시키는 것이지만, 그 때에는, 상기와 같이, 레버(501)가 후퇴하지 않기 때문에, 레버(501)가 방해되지 않게, 배출부(2)를 밸브체 조작부(4)에 그 상태로 간단히 끼워맞춤시킬 수 있고, 이 끼워맞춤완료 상태에 있어서, 배출부(2)의 플랜지부(24)가 평탄부(504)에 접촉한다. 이것이 도 14의 상태이다.
상기 레버(501)의 슬라이드를 확실히 실시하기 위해,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같이, 레버(501)의 양측에는, 피안내편(509,509)이 하방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피안내편(509,509)은 복사기 등의 현상장치에 설치된 안내홈(도시안함)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안내홈(도시안함)에 안내되어서, 레버(501)이 전후로 슬라이드 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밸브체 조작부(4)를 현상장치측에 고정하여, 배출부(2)를 밸브체 조작부(4)에 대하여 접근이반 하도록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출구(2)와 밸브체 조작부(4)의 착탈을 위한 동작부재로서, 배출부(2)를 움직이게 하기 위한 경사면을 구비한 레버(501)를 설치한 것이고, 이 레버(501)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프링(508)을 이용한 것이다. 단, 이 스프링(507)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사람의 손으로, 레버(501)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작동을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해, 전동기나 에어실린더 등의 구동현상장치에 의해, 레버(501)를 움직이도록 하여도 좋다. 레버(501)는, 전후로 이동하는 것 이외에, 상하로 이동하는 것으로 있어도 좋고, 지레의 원리를 응용하여, 배출부(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스프링을 직접 배출부(2)에 작동시켜서, 배출부(2)를 밀어 올리기 위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배출부(2)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착탈을 위한 동작부재로서, 배출부(2)에 있어서의 플랜지부(24) 등의 적당부분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동작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단지 밸브체 조작부(4)에서 배출부(2)를 이반시키기 위하여 동작부재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고, 밸브체 조작부(4)에 배출부(2)를 접근시키기 위하여 동작부재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기한 바와같이, 배출부(2)와 밸브체 조작부(4)는, 배출부(2)의 밸브체(3)와 밸브체 조작부(4)가 분리한 상태, 배출부(2)의 밸브체(3)와 밸브체 조작부(4)가 완전히 끼워맞춤한 상태, 그 외에, 배출부(2)의 밸브체(3)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끼워맞춤이 완전하게 간격이 떨어지지 않지만, 밸브체(3)가 폐쇄한 상태의 3종의 상태를 채택할 수 있으나, 이 3종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배출부(2)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거리를 선택하여, 밸브체 조작부(4)에 배출부(2)를 접근이반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다음에, 배출부(2)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착탈을 위하여 동작부재는, 배출부(2)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을 이동시키고, 배출부(2)와 밸브체 조작부(4)가 상대적으로 접근이반하는 움직임을 하는 것이면 좋다. 그러므로 , 상기의 예에서는, 배출부(2)를 이동시키지만, 이것으로는 반대로 배출부(2)를 고정하여, 밸브체 조작부(4)를 이동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즉, 착탈에 관한 제2 예로서는, 토너용기에 설치된 배출부(2)를 개폐하기 위해서, 배출부(2)를 고정위치에 고정하고, 밸브체 조작부(4)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서, 배출부(2)를 밸브체 조작부(4)와 연결하였거나, 비연결로 하였거나 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9는, 이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배출부(2)는 복사기 등의 현상장치측에 설치된 고정부재(511)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예에서는, 고정부재(511)에 설치된 압입공에, 플랜지부(24)를 강제끼워맞춤하여 상하로 이동불능하게 고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들면, 토너용기로서, 변형부분이 없는 강성을 구비한 것을 이용한 경우에는, 그 상단과 하단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챠크 등의 기계적 현상장치에 의해서, 배출부(2) 또는 토너용기를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 상하로 이동불능한 고정의 방법은, 적당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다른한편, 밸브체 조작부(4)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현상장치에 설치된다. 이 예에서는, 밸브체 조작부(4)의 하방부로, 피안내부(512)를 설치하고, 이 피안내부(512)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는 안내홈 등의 안내(513)를 현상장치측에 설치한다. 그래서, 핸들(514)을, 밸브체 조작부(4)의 하방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하여, 핸들(514)을 상하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서, 배출부(2)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착탈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19는, 배출부(2)의 밸브체(3)와 밸브체 조작부(4)가 끼워맞춤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끼워맞춤상태에서 핸들(514)을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것에 의해, 밸브체 조작부(4)가 하방으로 슬라이드하여, 배출부(2)의 밸브체(3)에서 밸브체 조작부(4)가 떨어진다.
이 예에서는, 핸들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밸브체 조작부(4)를 이동시켰지만, 상기의 예와 동일하게, 경사면을 구비한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고, 에어실린더나 전동기 등의 기계현상 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제2 예에 관해서도, 상기 제1의 예에 관해서도, 배출부(2)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착탈과는, 배출부(2)의 밸브체(3)와 밸브체 조작부(4)가 연결하여 있는 상태와 연결하지 않은 상태과의 2개의 상태 사이의 이행을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고, 그 중간의 반연결 상태(밸브체(3)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연결은 분리하지 않지만, 밸브체(3)가 폐쇄의 상태)와의 이행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연결상태와 반연결상태 사이의 이행, 반연결상태와 비연결상태와의 이행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동작부재는, 이들 이행의 안, 적어도 한 개의 이행을 보조하고, 또는, 완전하게 실행하는 것이면 좋다. 따라서, 예를들면, 연결상태에서 비연결상태로의 이행만을 동작부재가 실행하는 것이고, 비연결상태에서 연결상태로의 이행은 동작부재가 실행하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배출부(2)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적어도 어느 한편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배출부(2)와 밸브체 조작부(4)를 상대적으로 접근 및/또는 이반시키는 동작부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배출부(2)와 밸브체 조작부(4)와의 착탈을 실현하였기 때문에, 착탈에 필요한 수고가 경감되고, 용이한 착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사기나 프린터, 인쇄기 등의 현상장치에 분말체 또는 액체의 토너(인쇄잉크를 포함한다)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카트리지 및 그 토너 유통구의 개폐구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토너용기에 한하지 않고, 다른 많은 종료의 액체, 분말체, 또는 립체 등의 공급용기 및 그 유통구의 개폐구조에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커피, 비누, 쥬스, 시럽, 사료, 세제, 화장품, 화학제품, 모터오일, 접착제, 및 의료약품 등의, 기타 모든 종류의 식품, 음료, 비식용액체, 분말체, 또는 립체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의 설명에 기초하고, 또한 설계 변경과 조합 등이 그 기술분야의 전문가에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9)

  1. 현상장치용의 분말체 또는 액체의 토너를 수납한 토너용기와, 이 토너용기에서 현상장치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한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접속부가 유통구를 구비하고, 또한 이 접속부가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의 작동상태에서 접속부에 설치된 유통구를 열고 아울러,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의 비작동상태에서 유통구를 닫는 밸브체를 구비하며, 열린 유통구에서 토너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토너용기가 토너용기 내의 토너의 감량에 따라서 수축하는 수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토너용기의 수축부가 수축한 상태에서, 토너를 접속부에서 주입하는 것에 의해, 토너용기 안이 토너에 의해 채워진 것이고,
    밸브체가 유통구에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서 유통구를 닫는 주끼워맞춤부를 가지고, 또한,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현상장치의 밸브체 조작부가 비배출상태로 상대적으로 이행할 때, 연결부가 밸브체 조작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밸브체 조작부와 함께 이행하여 주끼워맞춤부와 유통구의 끼워맞춤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너용기가 상기 접속부와 별도의 제2 접속부를 구비하고, 이 제2 접속부가 외부와의 공기 유통을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서, 토너용기 내의 압력조정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5. 토너용기가 토너를 접속부에서 주입하는 것에 의해서, 토너용기 안이 토너에 의해 채워진 후에, 토너의 유출을 허용하지 않고 용기 내의 공기의 유출을 행하는 공기의 배출수단에 의해서, 토너용기 내의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6. 토너카트리지에서 현상장치용의 분말체 또는 액체의 토너를, 현상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카트리지의 접속부에 있어서,
    접속부가, 유통구를 구비한 본체와, 이 유통구에 접근이반하여 유통구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유통구를 닫은 상태에서 밸브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밸브체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밸브체를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밸브체 조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의 유통구의 개폐기구.
  7. 토너카트리지에서 현상장치용의 분말체 또는 액체의 토너를, 현상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카트리지의 접속부에 있어서,
    접속부가, 유통구를 구비한 본체와, 이 유통구에 접근이반하여 유통구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유통구를 닫은 상태에서 밸브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밸브체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에 의해 밸브체를 열림상태와 닫힘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밸브작동부를 구비하고, 이 밸브작동부가 유통구의 내외에 걸쳐서 설치됨과 아울러, 유통구의 외부에 설치된 밸브체 조작부가 밸브작동부를 움직이는 것에 의해서, 밸브체를 열림상태와 닫힘상태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의 유통구의 개폐기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밸브체 조작부가 현상장치에 설치되고, 현상장치가 토너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밸브체 조작부가 작동하여 밸브체를 열림상태로 하고, 토너의 공급이 종료했을 때 밸브체 조작부가 작동하여 밸브체를 닫힘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의 유통구의 개폐기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부와 밸브체 조작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접속부와 밸브체 조작부를 상대적으로 접근 및/또는 이반시키는 동작부재를 현상장치에 설치하고, 이 동작부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의 유통구의 개폐기구.
KR1020007001628A 1997-08-19 1998-08-19 토너카트리지 및 그것의 유통구의 개폐기구 KR200100230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38866 1997-08-19
JP23886697A JP3373143B2 (ja) 1997-08-19 1997-08-19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9327070A JPH11143204A (ja) 1997-11-11 1997-11-11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排出口の開閉機構
JP97-327070 1997-11-11
PCT/JP1998/003678 WO1999009460A1 (en) 1997-08-19 1998-08-19 Toner cartridge and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communication port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020A true KR20010023020A (ko) 2001-03-26

Family

ID=2653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628A KR20010023020A (ko) 1997-08-19 1998-08-19 토너카트리지 및 그것의 유통구의 개폐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06415A1 (ko)
KR (1) KR20010023020A (ko)
CA (1) CA2300202A1 (ko)
WO (1) WO1999009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7078B2 (ja) 2000-02-29 2007-08-29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および該容器の組み立て方法
EP1555582B1 (en) * 2001-01-31 2011-06-29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990301B2 (en) 2001-0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216690B1 (en) * 2001-02-19 2012-05-0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MXPA05001201A (es) * 2002-07-30 2005-09-12 Nestec Sa Sistema para dispensar una sustancia liquida.
US7184691B2 (en) * 2004-11-09 2007-02-27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SG11201402470PA (en) 2011-11-25 2014-06-27 Ricoh Co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827582B2 (en) 2015-11-04 2017-11-28 Ecolab Usa Inc. Refillable dispensing systems and components
JP6734063B2 (ja) * 2016-01-29 2020-08-0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CN108445723A (zh) * 2018-04-03 2018-08-24 天津光电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激光打印机的粉盒压紧固定机构
US11673727B2 (en) 2021-03-03 2023-06-13 Scholle Ipn Corporation Dispensing system for a flexible bag, flexible ba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715Y2 (ko) * 1985-07-09 1992-06-19
JPH01120587A (ja) * 1987-11-04 1989-05-12 Fukuda Metal Foil & Powder Co Ltd トナー容器
JPH01152354U (ko) * 1988-04-01 1989-10-20
JPH01255877A (ja) * 1988-04-06 1989-10-12 Ricoh Co Ltd 複写機の現像装置
JPH0496762U (ko) * 1991-01-25 1992-08-21
JPH0590516U (ja) * 1992-05-01 1993-12-10 昭和プロダクツ株式会社 複写機用トナー容器
EP0704309A3 (en) * 1994-09-29 1998-01-07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replenishment ink flow to a print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00202A1 (en) 1999-02-25
WO1999009460A1 (en) 1999-02-25
EP1006415A1 (en) 200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3020A (ko) 토너카트리지 및 그것의 유통구의 개폐기구
US6079444A (en) Valve system
MX2014010691A (es) Pistola pulverizadora que tiene pasaje de sobrecompresion interno.
CN100439106C (zh) 打印装置用墨盒及喷墨式打印装置
CA2745944C (en) Liquid container
TWI458646B (zh) 壓力袋體
EP0722837B1 (en) Ink container valving
EP3210785B1 (en) Ink cartridge, ink filling method
KR101024155B1 (ko) 액체 수용체의 제조 방법, 액체 수용체 및 액체 수용체의 액체 주입 방법
JPH09187959A (ja) 自己シールする液体の相互接続
US20070273736A1 (en) INK cartridge
CA2438013C (en) Device for decanting a liquid
EP2093063A1 (en) Liquid cartridge
EP0687846B1 (en) Bellows-type, low spillage, quick disconnect unit
JP3373143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11143204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排出口の開閉機構
CN113165784B (zh) 用于衬袋盒包装的袋侧连接器
CN101027187B (zh) 将墨盒连接到喷墨打印系统的储墨仓的系统和方法
JP3917761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6068718B1 (ja) インク充填装置、インク充填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200329681Y1 (ko) 잉크충전기
CN113459674A (zh) 液体补充容器和液体补充结构
SI8410490A (sl) Hitro razstavljivi sklop za praznenje in polnjenje zložljivega vsebni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DR Request for amendment
U051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