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733A - 스위칭 제어를 구비한 디 급 증폭기 - Google Patents

스위칭 제어를 구비한 디 급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733A
KR20010022733A KR1020007001330A KR20007001330A KR20010022733A KR 20010022733 A KR20010022733 A KR 20010022733A KR 1020007001330 A KR1020007001330 A KR 1020007001330A KR 20007001330 A KR20007001330 A KR 20007001330A KR 20010022733 A KR20010022733 A KR 20010022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mplifier
switches
pulse width
i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홀데이비드에스.
Original Assignee
홀 데이비드 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홀 데이비드 에스. filed Critical 홀 데이비드 에스.
Publication of KR2001002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7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51Pulse width modulation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직렬로 접속되어 순차적으로 전원에서 전류를 통전하는 제 1, 제 2 스위치(22, 24)를 이용하는 D급 증폭기. 스위치들은 그들 사이에 공통 출력 노드를 갖는다. 하이와 로우측으로 식별되는 제 1, 제 2 신호(70, 76)를 생성하기 위해 펄스폭변조기(16)가 이용된다. 제 1 스위치는 펄스폭변조기에서 제 1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를 차단하는 드라이브에 접속된다. 제 2 스위치 드라이브는 펄스폭변조기에서 제 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킨다. 토글 혹은 커뮤테이터 디바이스는 인덕터와 직렬인 제 3 스위치와 제 4 스위치 (44, 46)를 이용한다. 토글 디바이스는 제 1, 제 2 스위치 사이의 공통 노드에 접속되어 제 1, 제 2 스위치의 스위칭을 긴밀하게 제어함으로써 D급 증폭기에서 통상 발견되는 급속 스위칭과 연관된 에너지 손실을 제거한다.

Description

스위칭 제어를 구비한 디 급 증폭기{Class D amplifier with switching control}
이론적으로, D급 증폭기는 오디오 및 조명 시스템에 사용되는 고효율 전원을 구성한다. D급 증폭기는 트랜스포머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한 쌍의 고체 스위치를 통상 포함하여 방형파 출력을 생성한다.
그렇지만, 그런 고체소자의 스위칭은 온-스테이지 저항, 고유 용량 등에 기인한 효율의 손실이 있다. 뿐만 아니라, 슈트-스루(shoot-through) "전류"는 스위치 구성요소에 높은 전기 스트레스를 가하고 시스템에서의 전자기 간섭 발생의 양을 증가시킨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D급 혹은 펄스폭 변조 증폭기에 대한 많은 개량이 제안되었다.
미국특허 제 3,294,981 호는 입력 레벨을 두 개의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트랜스레이션으로서, 변환된 두 개의 신호 각각이 소정비율로 입력신호의 특성을 보유하는 신호 트랜스레이션을 기재한다. 트랜스레이션은 오디오 이용을 위한 저레벨 입력신호를 충실하게 재생하게 된다.
미국특허 제 3,579,132 호 및 동 제 3,899,745 호는 필터 및 트랜스포머 결합 출력회로의 사용하여 왜곡을 감소시키는 D급 증폭기를 기재한다.
미국특허 제 4,015,213 호는 펄스폭 변조기 신호와 입력신호간의 비율을 제공하는 펄스폭 변조 신호 증폭기를 개시한다.
미국특허 제 4,056,786 호는 증폭기 회로의 비도통 부분 동안 회수된 모든 저장 에너지가 DC 전원에 복귀되는 저레벨 D급 증폭기를 교시한다.
미국특허 제 4,456,872 호는 제한 증폭기에 의한 사용으로 일정한 전압 출력을 유지하는 전류 제어 2 상태 변조 시스템을 개시한다.
미국특허 제 4,059,807 호는 펄스변조신호가 펄스 증폭기 및 저역필터에 공급된 펄스폭 변조 증폭기를 기재한다. 저역필터의 출력은 오디오 신호 입력을 함께 수신하는 혼합기에 역연결된다.
미국특허 제 4,162,455 호는 한 쌍의 D급 증폭기가 함께 사용되고 별도의 클럭 펄스 트레인이 있어 그 2개 증폭기의 공통 출력에서 나오는 스위칭 주파수 리플을 제거하는 증폭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미국특허 제 4,346,349 호는 멀티 채널 오디오 전력증폭기의 전력 효율을 개선하는 D급 증폭회로를 개시한다. 이 D급 증폭기의 반송 주파수는 반송신호의 스프리어스 방사를 제거하도록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미국특허 제 4,390,813 호는 조명분야에서 사용되는 D급 증폭기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D급 증폭기의 사용은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4,439,738 호는 부하에서 복귀하는 과도에 대하여 증폭기를 보호하기 위한 때에 출력 트랜스포머를 턴온 하는 단락 회로화용 회로를 포함하는 D급 펄스폭 변조 증폭기를 기재한다.
미국특허 Re. 33,333 는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신호를 펄스폭 변조 신호의 2 상보 트레인으로 변환하여 전력 스위치를 구동하는 변조기를 구비한 오디오 증폭기를 교시한다. 왜곡 검출 시스템에 의해 소정 펄스가 드롭되고 보상된다.
미국특허 제 4,724,396 호는 클리핑 상태의 시작을 펄스폭 변조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에서 발생된 펄스 트레인에서 미스된 펄스로 변환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푹기를 나타낸다. 아날로그 입력신호는 클리핑의 전압 결과에 응답하여 감쇠된다.
미국특허 제 4,884,183 호는 모드간의 전이를 위해 가변 주파수 불연속 모드 컨트롤러와 히스테리틱 불연속 모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에 사용되는 펄스폭 변조 제어신호를 개시한다.
미국특허 제 4,992,749 호는 부족 기간에 전원 전압이 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한 쌍의 부트 스트랩 회로를 구비한 펄스폭 변조 증폭기 회로를 교시한다.
미국특허 제 4,992,751 호는 위상변조된 펄스폭 변조를 갖는 오디오 증폭기와 함께 사용되는 디지털 제어 증폭기 회로를 제공한다. 출력은 펄스폭 변조 신호를 평활화하기 위한 필터와 함께 사용되어 복수의 스위칭 회로를 제어한다.
미국특허 제 5,014,016 호는 제 1 및 제 2 변조기 회로를 갖는 고효율 증폭기 회로를 이용한다. 2개의 변조기 회로의 출력들은 푸시풀 출력 브릿지에 연결된다. 이 출력은 부하에 연결된다.
미국특허 제 5,077,539 호는 스위칭 회로가 3 상태 명령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칭 증폭기 시스템을 기재한다.
미국특허 제 5,160,896 호는 증폭기 안에서 도전 통로로의 전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 전압원을 부가하는 D급 증폭기를 교시한다.
미국특허 제 5,117,198 호는 D급 증폭기에 사용되는 MOSFET 디바이스를 교시한다. 한 쌍의 인덕터가 MOSFET 과 결합된 다이오드와 같이 사용되어 증폭기에서 MOSFET 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미국특허 제 5,306,986 호는 출력이 스위칭 트랜지스터간의 공통 노드에 접속된 고효율 D급 증폭기를 개시한다. 이런 방법으로 트랜지스터의 표유용량이 스위칭전에 인덕턴스로 전달된다.
미국특허 제 5,345,165 호는 히스테리틱 비교기가 히스테리시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비교기의 문턱치를 변경하는 2 상태 변조 시스템을 개시한다.
미국특허 제 5,371,666 호는 전력출력부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브 신호를 감소시키는 펄스폭 변조기를 사용하는 전류 모드 제어장치를 기재한다.
미국특허 제 5,479,337 호는 DC 전원에 직렬로 연결된 스위칭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펄스폭 변조신호를 이용하는 고효율 아날로그 전력증폭기를 교시한다. 제로 전압 레벨이 공진회로를 통해 각 트랜지스터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들의 스위칭을 인에이블한다.
미국특허 제 5,594,386 호는 피드백 루프에 접속된 전류 스위치, 적분기, 및 비교기를 갖는 D급 펄스폭 변조 증폭기를 기재한다. 피드백 루프는 오디오 입력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초음파 주파수 캐리어를 발생한다.
미국특허 제 5,617,058 호는 3 상태를 사용하여 전력 스위치의 선형성을 디지털 스위칭 증폭기를 개시한다.
해당 분야에서 직면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D급 증폭기는 전자기술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일 것이다.
본 발명은 스위칭 제어회로를 구비한 신규 D급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D급 증폭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급 증폭기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D급 증폭기 시스템의 턴온 지연부의 개략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토글 스위치부의 포획 인덕터 및 저항기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토글 장치의 가능한 직렬접속에 대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토글 장치의 다른 가능한 직렬접속에 대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토글 디바이스 구성요소의 직렬접속의 또 다른 가능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하고 유용한 D급 증폭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증폭기는 직렬로 접속되어 전원에서 전류를 순차적으로 통전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푸시풀" 배치는 종래의 D급 증폭기에서 전형적인 것이다. 본질적으로,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트랜지스터, MOSFET 등과 같은 고체 스위치일 수도 있다. 스위치들의 출력은 전원에서 얻고, 통상 스위치들간의 공통노드에서 보여지는 방형파이다. 출력 공통 노드는 오디오 스피커와 같은 부하로 이르기 전에 저역필터에 통상 접속된다. 스위치들은 일반적으로 "하이 및 로우 신호"로 표시되는 제 1 및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 변조기에 의해 구동된다. 즉, 펄스폭 변조기에서 나오는 신호는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경우에 따라 전원의 양측 혹은 전원의 음측으로 구동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 1 및 제 2 스위치 드라이브가 한 번에 하나가 활성이므로, 제 1 및 제 2 스위치 드라이브가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활성 토글링 수단 혹은 스위칭 제어 디바이스를 또한 구비한다. 스위치 제어 디바이스는 직렬인 제 3 스위치, 제 4 스위치 및 인덕터를 이용한다. 제 3 및 제 4 스위치와 인덕터는 또한 제 1 및 제 2 스위치 사이의 공통노드에 직렬로 접속된다. 제 3 및 제 4 스위치들도 MOSFET 일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스위치들은, 각각 고유의 클램핑 다이오드를 갖는 MOSFET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폭기는 그들의 작동 중 제 3 및 제 4 스위치들에서 나오는 잔류전류를 더 효과적으로 포획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포획전류는 본 발명을 위한 전원으로 복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스위칭 속도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캐패시터가 제 1 및 제 2 스위치 사이의 공통노드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펄스폭 변조기와 연관된 드라이브에서 제 1 및 제 2 신호의 수신후 소정 시간 동안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차단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턴온 지연수단에 의해 또한 제어된다. 이 지연 수단은 비교기와 함께 사용되는 AND 게이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 턴온 지연 수단은 토글 디바이스의 인덕터가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스위칭 사이클 동안 일어나는 상태 변화 사이에 전류를 저장하도록 한다. 턴온 지연 수단은 또한 컴퓨터 혹은 유사한 장치의 형태로 외부 타이밍 제어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폭기는 또한 토글 스위치의 인덕터에 의해 포획된 전력을 전원에 복귀시키는 수단을 또한 가지고 있다. 이 기능은 토글 스위치의 인덕터에 인접한 곳에 있거나 토글 스위치의 인덕터의 부분으로서 형성된 포획 저항기와 트랜스포머에 의해 얻어진다.
극히 고효율의 신규하고 유용한 D급 증폭기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으로 동작하는 구성요소가 필요가 없으며 출력이 순차적으로 제어되고 변경되는 증폭기가 있으면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스위치 구성요소에 높은 전기 스트레스를 가하고 전자기 간섭을 생성하는 "슈트-스루(shoot-through)" 전류를 제거하는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종래의 D급 증폭기의 스위칭에서 통상 손실된 모든 에너지가 포획되어 전원으로 재생되는 D급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동작동안 열 발생이 실질적으로 감소되는 신규한 D급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소형화가 용이해서, 최소 열 발생 및 최소 전자기 간섭 발생으로 좌우되는 오디오 시스템, 컴퓨터와 여러 장치에 유용한 D급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변경없이 110V 혹은 220V로 사용될 수도 있는 D급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은 고체 구성요소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높은 신뢰성을 갖는 D급 증폭기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타 목적과 이점을 갖고, 그 특성과 특징은 다음 설명에 따라 밝혀질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위해 이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다음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함으로써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면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D급 증폭기 시스템(12)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전치증폭기(14) 는 오디오 신호일 수도 있는 신호를 제어로직(16)에 보낸다. 제어로직(16)은 일반적으로 증폭기(12)의 출력에서의 부귀환으로 통상 형성된 펄스폭 변조기이다. 예를 들어, 제어로직(14)은 McCorkle 참조 미국특허 제 5,160,896호 도 1에 의해 도시된다. McCorkle 참조는 이러한 관점에서 그 전부가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제어로직(16)은 플로리다주 멜본 소재의 Harris Conductor에 의해 제조된 HIP4080EVAL2에 있는 펄스폭 변조기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제어로직(16)은 2 위상 신호를 하이측 드라이브(18)와 로우측 드라이브(20)에 발생한다. 하이측 및 로우측 드라이브(18, 20)는 IR 2113 드라이브 구성요소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드라이브(18, 20)는 순차적으로 동작하여 스위치(19, 21)를 차단한다. 즉, 스위치(19, 21)는 서로 180도 위상차로 동작하여 전원선(30, 32)으로 표시한 전원(28)으로부터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노드(26)에 출력을 생성한다. 전원(28)은 110볼트 혹은 220볼트일 수도 있다. 컴퓨터와 같은 다른 전자장치가 증폭기(12)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지만, 노드(26)에서 나오는 전력은 출력 인덕터(34) 및 저역 필터(36)를 통해 도 1에 오디오 스피커로 표시한 부하(38)에 전달된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증폭기(12)에서, 전력 스위칭은 전류를 노드(26)와 출력 인덕터(34)에 통전하여 그 전류는 스위치 중 하나가 개방일 때 반대 전원선으로 그대로 플라이백된다. 즉, 스위치(19)가 개방이면, 인덕터(34)의 전류는 전원선(32)에 그대로 플라이백된다. 비록 이것이 매우 적은 전력손실로 이루어지더라도, 인덕터(34)가 방전중일 때 문제가 일어난다. 출력노드(26)는 푸시풀 스위치(19, 21) 간에 스위칭이 바뀔 때 방전상태에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즉, 새롭게 차단된 스위치는 증폭기(12)의 시스템 상태를 강제적으로 변경해야 한다. 그런 반대의 스위칭은 인덕터(34)로부터 방전되는 경우보다 더 높은 전류로 통전을 시작해야 한다. 방전 전류를 통전하는 스위치들(19, 21) 중 하나에서 고유 다이오드는 역복귀지연을 겪는다. 이런 경우, 출력 노드(26)는 상태를 변경시킨다. 반대의 스위치와 같이 큰 손실이 이 과정에서 발생하고, 스위치 19 혹은 21 어느 하나는 전원(28)에서 강하하는 큰 전류량을 통전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스위치(19, 21)에 있는 고유 다이오드는 도 1에 도시한 증폭기(12)에 사용된 더 큰 전압만큼 더 긴 역복귀시간을 갖는다. 더욱이, 잔류 용량이 스위치(19, 21)에 존재하고 이는 전원선(30, 32)에서의 스위칭을 방해한다.
또한, 소신호 상태에서, 증폭기(12)는 매우 낮은 손실 상태로 동작한다. 그러나, 신호가 제어 로직(16)에서 증가함에 따라, 증폭기(12)는 결과적으로, 스위치들(19, 21)의 교번 스위칭을 통해 제 1, 제 2 상태를 교번하는 연속동작모드로 전환된다. 이러한 스위칭이 발생할 때 고손실이 발생한다.
증폭기(12)에서의 인덕터(34)의 값을 저신호상태의 영역이 증가하는 크기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전류 흐름은 각 사이클 동안 일어나서 스위치들(19, 21)에서 고손실을 발생시킨다. 또한, 고피이크 전류가 이 모드에서 발생하여 열(I2R)에 기인한 회로 내의 손실은 그렇치 않은 경우에 비하여 더 높다. 일반적으로, 고효율과 종래의 증폭기(12)에서의 인덕터(34)의 입력에서의 전압 급변화와 "슈트 스루" 전류에 기인한 전자기 간섭 및 급속 스위칭간에는 고유의 상반점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증폭기(10)가 도시된다. 증폭기(10)는 종래의 D급 증폭기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그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한다. 활성 토글링 혹은 스위칭 제어 장치(40)는 도 2에 도시되고, 이의 구성요소로서, 고유의 클램핑 다이오드를 갖는 MOSFET 형태일 수도 있는 제 3 및 제 4 스위치(44, 46)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인덕터(42)와 스위치들(44, 46)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임의의 순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인덕터(42)는 스위치(46)의 외측, 스위치들(44, 46) 사이에, 혹은 도 5와 6에 도시한 것과 역순인 스위치들(44, 46) 사이에 혹은 외측에 (도 7) 있을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활성 토글링 디바이스(40)는 스위치 (22, 24) 사이의 공통 노드(26)에 접속된다. 토글링 디바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22, 24)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로직(16)은 한 상태에서 하이측 드라이브 신호를 대표적으로 IR2104로 식별되고, MOSFET 스위치(22)를 작동시키는 하이측 드라이브(48)에 보낸다. 또한, 제어 로직(16)은 로우측 드라이브 신호를 스위치(44)를 작동시키는 로우측 드라이브(50)에 보낸다. 로우측 드라이브(50)는 일반적으로 하이측 드라이브(48)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증폭기(10)는 활성 토글링 디바이스(40)에서 나오는 잔류 전류를 포획하는 수단(52)을 또한 포함한다. 즉, 스위치(44, 46)는 제어 로직(16)이 증폭기(10)의 상태를 변화시킬 때 복귀 전하를 바꾼다. 인덕터(42)가 이러한 관점에서 잔류전류를 모은다. 도 4에는 전류 포획 수단(52)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택일적으로, 저항기(52) 혹은 인덕터(54)가 인덕터(42)에 있는 각각 잔류전류를 소비하거나 (도시를 위해 직렬로 함) 포획하여 이를 전원(28)에 복귀시키기 위해 사용 될 수도 있다.
스위치들(22, 24)이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동안, 인덕터(42)가 각 스위치와 연관된 클램핑 다이오드를 통해 과잉 전류를 방전하기 전에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통전을 시작한다. 이러한 점에서, 턴온 지연(58, 60)이 본 발명에 사용되고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하이-로우 제어에 의해 조절된다. 도 3을 참조하여, 턴온 지연(58, 60)과 하이-로우 제어를 상술한다. 비교기(64)는 출력노드(26)에서 양의 전압을 그리고 접지(66)에서 음의 전압을 수신한다. 비교기의 출력은 하이측 드라이브(18)에서 신호 레그(leg)(70)를 수신하는 AND 게이트(68)로 보내진다. 비교기의 출력은 로우측 드라이브(20)에서 나오는 신호 레그(76)를 또한 수신하는 AND 게이트(74)로 인버터(72)를 통하여 또한 보내진다. AND 게이트(68, 74)의 출력은 순차적으로 스위치(22, 24)에 공급된다.
증폭기(10)의 다른 제어 방법은 노드(26)에서 MOSFET(22, 24)의 스위칭 속도를 늦추기 위해 채용된 캐패시터(78)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캐패시터(16)는 증폭기(10)에서 전류 소비에 기여하지 않으므로 전자기 간섭 역시 감소시킨다.
다음 표는 증폭기(12)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구성요소의 표 리스트
구성요소 모델/정격 공급처
제어 로직(16) HIP4080AEVAL2 플로리다주 멜본
Harris Semiconductor
하이측 드라이브(18) IR2113 캘리포니아주 엘 세군도
Internal Rectifier
하이측 드라이브(48) IR2101
로우측 드라이브(20) IR2113
로우측 드라이브(50) IR2101
MOSFETs(22 & 24) emtw16n40e 아리조나주 템플
Motorola Corp.
MOSFETs(44 & 46) emtw16n40e
인덕터(34) 150 마이크로 헨리 캘리포니아주 산호세
코어:마이크로메탈 T184-2 Velodyne Acoustics
권선: 80 회 #15 와이어 Inc.
인덕터(42) 150 마이크로 헨리
코어:마이크로메탈 T80-2
권선: 35회 #20 와이어
포획 권선: 제 1 권선부의
상부에 감긴 35회 #30 와이어
캐패시터(78) 100 피코패럿 아리조나주 템플
Motorola Corp.
저항기(56) 10 오옴, 2 와트
인덕터(54) 7 마이크로 헨리
AND 게이트(68 & 74) 4001
비교기(64) 40106
인버터(72) 40106
동작시, 전치증폭기일 수도 있는 입력 디바이스(14)는 입력 신호(80)를 제어 로직(16)에 공급한다. 제어 로직(16)의 펄스폭 변조부는 2 위상신호를 토글링 스위치 드라이버(48,50)와 스위치 드라이버(18, 20)에 보낸다. 노드(26)에서의 출력이 양의 상태라고 하면, 스위치(22)는 턴온 지연(58)을 통해 턴온되어 인덕터(34)가 스위치(22)내의 클램프 다이오드(82)를 통해 방전되도록 한다. 제어 로직(16)이 상태를 변화시키면, 스위치 (22)는 개방되고 활성 토글링 디바이스 스위치(44)는 차단된다. 인덕터(42)는 전원선(30)에서 나오는 양의 공급전압에 연결된다. 스위치(46)의 다이오드(84)를 통한 통전. 인덕터(42)는 다음 식에 따라 전류를 증가시킨다:
E = L*dI/dT
따라서, 인덕터(42)에서 전류는 그 전류가 다이오드(82)나 스위치(22)에서 흘러 나오는 전류를 넘어설 때까지 서서히 램프 업 한다. 노드(26)에서의 이상적으로 정현 형상인 출력이 상태를 변화시키다. 이 때, 토글링 인덕터(42)는 복귀 전하를 갖는 다이오드(82)가 발생시킨 추가적인 충전에 따라 과잉 전류를 갖는다. 인덕터(42)는 과잉전류를 부의 전원에 방전하고, 스위치(46)의 다이오드(84)와 스위치(20)의 다이오드(86)를 통해 통전을 계속한다. 스위치(20)는 이 때 개방된다. 인덕터가 전류 방전을 중단하면, 다이오드(84)는 통전을 중단한다. 인덕터(42)는 다음 사이클을 준비하기 위해, 제로 전압 상태로 복귀한다. 다이오드(84)는 역복귀전하를 갖기 때문에, 인덕터(42)는 그 곳에서 나오는 잔류전류를 소비하거나 모아서 도 4에 도시한 포획 수단(52)을 사용하여 전원(28)에 복귀시킨다. 그런 상태 변화가 일어나면, 제어 로직(16)을 통하여, 스위치(24)가 턴온되며 동시에 토글링 디바이스(40)의 스위치(44)가 턴온된다. 실제로, 스위치(20)는 인덕터(42)가 다이오드(86)를 통해 과잉전류를 방전해버리기 전에 통전을 시작한다. 그러면, 하이-로우 제어(62)에 의해 조절되는, 턴온 지연(58, 60)이 작동되어 인덕터가 그 상태 변화 동안 완전하게 방전하도록 한다. 턴온 지연(62, 60)은 도 3에 상세히 도시되며, 본 실시예에서, 제어 로직(16)에 의해 지시되는 실제의 상태 변화에 연결된다. 그러나, 턴온 지연 수단(60, 62)은 컴퓨터 같은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증폭기(10)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함수로서 조정할 수 있다.
커패시터(78)는 스위치(22, 24)의 스위칭 속도를 늦추어 전자기 간섭을 감소시킨다. 캐패시터(16)는 증폭기(10) 내에서 전류소비에 기여하기 않는다. 스위치(24)가 제어 로직(16)에서 나오는 상태 변화에 따라 열리기 시작할 때, 캐패시터(78)는 스위치(24) 내에 생기는 고유 용량과 함께 다소의 제한을 준다. 이 고유 용량은 스위치(22) 내에서도 발견된다. 인덕터(42)는 스위치(22)가 다시 차단되기 시작할 때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스위치(46)의 동작은 이점에서 중요하지 않다. 인덕터(34)는 스위치(22)의 다이오드(82)가 통전하기 시작할 때까지 플라이백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증폭기(10)는 이제 하나의 완전한 사이클을 진행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완전하게 개시시킬 목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매우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해당인들에게 명확하다.

Claims (12)

  1. 직렬로 접속되어 전원에서 순차적으로 전류를 통전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이용하여, 그들 사이에 공통 출력 노드를 갖는 증폭기에 있어서,
    a. 제 1 및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기,
    b. 상기 펄스폭변조기에서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를 차단하는 제 1 스위치 드라이브,
    c. 상기 펄스폭변조기에서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제 2 스위치 드라이브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드라이브 중 한번에 하나만 활성되는 제 2 스위치 드라이브,
    d. 제 3 스위치, 제 4 스위치, 인덕터를 구비하는 활성 토글링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 3 스위치, 상기 제 4 스위치, 상기 인덕터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제 2 스위치 사이의 상기 공통 노드에 접속되는 활성 토글링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 4 스위치에서 나오는 잔류전류를 선택적으로 포획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신호에 따라 각각 상기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의 차단을 소정시간 기간 동안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지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 4 스위치에서 나오는 잔류전류를 선택적으로 포획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스위치의 스위칭 속도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스위치의 스위칭 속도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상기 수단이 상기 제 1, 제 2 스위치 사이의 상기 공통 노드에 접속된 캐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 4 스위치로부터 잔류 전류를 선택적으로 포획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의 차단을 각각 상기 제 1, 제 2 신호에 따라 소정시간 기간 동안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지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변조기에서 나오는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스위치를 차단하는 제 3 스위치 드라이브와 상기 펄스폭변조기에서 나오는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4 스위치를 차단하는 제 4 스위치 드라이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스위치는 MOSFE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MOSFET 스위치들이 각각 고유의 클램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토글링 디바이스의 상기 인턱터에서 잔류전류를 포획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KR1020007001330A 1997-08-08 1998-08-07 스위칭 제어를 구비한 디 급 증폭기 KR200100227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08,907 1997-08-08
US08/908,907 US5963086A (en) 1997-08-08 1997-08-08 Class D amplifier with switching control
PCT/US1998/016553 WO1999008379A1 (en) 1997-08-08 1998-08-07 Class d amplifier with switching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733A true KR20010022733A (ko) 2001-03-26

Family

ID=2542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330A KR20010022733A (ko) 1997-08-08 1998-08-07 스위칭 제어를 구비한 디 급 증폭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63086A (ko)
EP (1) EP1010240B1 (ko)
JP (1) JP2001512946A (ko)
KR (1) KR20010022733A (ko)
AU (1) AU739739B2 (ko)
CA (1) CA2299333A1 (ko)
DE (1) DE69834258D1 (ko)
WO (1) WO19990083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3730B2 (en) 2001-03-15 2006-10-17 Bluetek Co., Ltd. Audio power amplify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041913B1 (ko) * 2002-05-13 2011-06-16 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다중위상 임피던스 변환 증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3774C2 (de) * 1997-06-06 2001-09-13 Adeo Antriebstechnik Gmbh Elektromagnetisch verträglicher getakteter Verstärker für Gleich- / Wechselstromverstärkung
CN1142625C (zh) * 1998-07-24 2004-03-17 得州仪器丹麦有限公司 减弱放大器中的过零失真和噪声的方法以及放大器
IT1313380B1 (it) * 1999-01-19 2002-07-23 St Microelectronics Srl Stadio di uscita di potenza a commutazione con minimizzazione della"zona morta" e possibilita' di parallelizzazione sincrona delle
US7764130B2 (en) * 1999-01-22 2010-07-27 Multigig Inc. Electronic circuitry
US20020190805A1 (en) * 1999-01-22 2002-12-19 Multigig Limited Electronic circuitry
EP1145431B1 (en) * 1999-01-22 2004-08-25 Multigig Limited Electronic circuitry
DE60037509T2 (de) * 1999-05-19 2008-12-11 Jam Technologies, LLC, Boston Technik zur lastkompensation für eine verstärkerausgangsstufe mit reaktiver impedanztransformation
US7180758B2 (en) * 1999-07-22 2007-02-20 Mks Instruments, Inc. Class E amplifier with inductive clamp
US6469919B1 (en) * 1999-07-22 2002-10-22 Eni Technology, Inc. Power supplies having protection circuits
US6351184B1 (en) * 1999-07-29 2002-02-26 Tripath Technology, Inc. Dynamic switching frequency control for a digital switching amplifier
US6304137B1 (en) * 1999-12-23 2001-10-16 Red Chip Company Limited Output stage for high power class D amplifiers
GB2377836B (en) 2000-05-11 2004-10-27 Multigig Ltd Electronic pulse generator and oscillator
US6429737B1 (en) * 2000-07-06 2002-08-06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hannel digital amplification
CA2414491A1 (en) * 2000-07-11 2002-01-17 American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amplification for parametric loudspeakers
US7319763B2 (en) 2001-07-11 2008-01-15 American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amplification for parametric loudspeakers
US6392484B1 (en) * 2000-07-31 2002-05-21 Nikon Corporation Amplifier with combined pulsed energy output and linear type output
US6661285B1 (en) 2000-10-02 2003-12-09 Holosonic Research Labs Power efficient capacitive load driving device
US6597240B1 (en) * 2001-04-02 2003-07-22 Cirrus Logic,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slew rate control and current limiting in switch-mode systems
KR100435182B1 (ko) 2002-02-05 2004-06-09 주식회사 디지털앤아날로그 Pwm 부궤환에 의한 디지털 pwm 입력 d급 음향 증폭기
US20050069153A1 (en) 2003-09-26 2005-03-31 Hall David S. Adjustable speaker systems and methods
US7209065B2 (en) * 2004-07-27 2007-04-24 Multigig, Inc. Rotary flash ADC
US7202649B2 (en) * 2004-08-25 2007-04-10 Qortek, Inc. High frequency switch circuit
WO2006047821A1 (en) * 2004-11-03 2006-05-11 Bhc Consulting Pty Ltd Amplifier switching output stage with low distortion
US7116168B2 (en) * 2004-12-01 2006-10-03 Creative Technology Ltd Power multiplier system and method
US8364633B2 (en) 2005-01-12 2013-01-29 Wandisco, Inc.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and system components thereof
US9424272B2 (en) 2005-01-12 2016-08-23 Wandisco, Inc. Distributed file system using consensus nodes
US9495381B2 (en) 2005-01-12 2016-11-15 Wandisco, Inc. Geographically-distributed file system using coordinated namespace replication over a wide area network
US9332069B2 (en) 2012-12-28 2016-05-03 Wandisco,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initiating, forming and joining memberships i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CA2616220A1 (en) * 2005-07-28 2007-02-08 Rgb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oft switching in a class d amplifier
DE112006003542B4 (de) * 2005-12-27 2016-08-04 Analog Devices Inc. Analog-Digital-Umsetzersystem mit Drehtakt-Flash und Verfahren
US7400191B2 (en) 2006-04-07 2008-07-15 Manuel De Jesus Rodriguez Switching power amplifier
US7719141B2 (en) * 2006-11-16 2010-05-18 Star Rf, Inc. Electronic switch network
US8362838B2 (en) * 2007-01-19 2013-01-29 Cirrus Logic, Inc. Multi-stage amplifier with multiple sets of fixed and variable voltage rails
US7705672B1 (en) 2007-02-12 2010-04-27 Manuel De Jesus Rodriguez Buck converters as power amplifier
US8018171B1 (en) 2007-03-12 2011-09-13 Cirrus Logic, Inc. Multi-function duty cycle modifier
US8174204B2 (en) * 2007-03-12 2012-05-08 Cirrus Logic, Inc. Lighting system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control data determined from a phase modulated signal
US7667408B2 (en) * 2007-03-12 2010-02-23 Cirrus Logic, Inc. Lighting system with lighting dimmer output mapping
US20080224631A1 (en) * 2007-03-12 2008-09-18 Melanson John L Color variations in a dimmable lighting device with stable color temperature light sources
US8076920B1 (en) 2007-03-12 2011-12-13 Cirrus Logic, Inc. Switching power converter and control system
WO2008121857A1 (en) 2007-03-29 2008-10-09 Multigig Inc. Wave reversing system and method for a rotary traveling wave oscillator
US7934758B2 (en) * 2007-03-30 2011-05-03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nd adapting a grapple assembly
US7696913B2 (en) 2007-05-02 2010-04-13 Cirrus Logic, Inc.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delta-sigma modulation having an internal stabilizer path with direct output-to-integrator connection
US7554473B2 (en) * 2007-05-02 2009-06-30 Cirrus Logic, Inc. Control system using a nonlinear delta-sigma modulator with nonlinear process modeling
US8102127B2 (en) * 2007-06-24 2012-01-24 Cirrus Logic, Inc. Hybrid gas discharge lamp-LED lighting system
US7804697B2 (en) 2007-12-11 2010-09-28 Cirrus Logic, Inc. History-independent noise-immune modulated transformer-coupled gate control signaling method and apparatus
US8576589B2 (en) 2008-01-30 2013-11-05 Cirrus Logic, Inc. Switch state controller with a sense current generated operating voltage
US7755525B2 (en) * 2008-01-30 2010-07-13 Cirrus Logic, Inc. Delta sigma modulator with unavailable output values
US8022683B2 (en) 2008-01-30 2011-09-20 Cirrus Logic, Inc. Powering a power supply integrated circuit with sense current
US8008898B2 (en) 2008-01-30 2011-08-30 Cirrus Logic, Inc. Switching regulator with boosted auxiliary winding supply
US7759881B1 (en) 2008-03-31 2010-07-20 Cirrus Logic, Inc. LED lighting system with a multiple mode current control dimming strategy
US8008902B2 (en) 2008-06-25 2011-08-30 Cirrus Logic, Inc. Hysteretic buck converter having dynamic thresholds
US20100019858A1 (en) * 2008-07-22 2010-01-28 Star Rf, Inc. N:m transformer and impedance matching
US8014176B2 (en) 2008-07-25 2011-09-06 Cirrus Logic, Inc. Resonant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burst mode transition shaping
US8212491B2 (en) 2008-07-25 2012-07-03 Cirrus Logic, Inc. Switching power converter control with triac-based leading edge dimmer compatibility
US8344707B2 (en) 2008-07-25 2013-01-01 Cirrus Logic, Inc. Current sensing in a switching power converter
US8487546B2 (en) * 2008-08-29 2013-07-16 Cirrus Logic, Inc. LED lighting system with accurate current control
US8222872B1 (en) 2008-09-30 2012-07-17 Cirrus Logic, Inc.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selectable mode auxiliary power supply
US8179110B2 (en) * 2008-09-30 2012-05-15 Cirrus Logic Inc. Adjustable constant current source with continuous conduction mode (“CCM”) and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DCM”) operation
US8288954B2 (en) * 2008-12-07 2012-10-16 Cirrus Logic, Inc. Primary-side based control of secondary-side current for a transformer
US8362707B2 (en) * 2008-12-12 2013-01-29 Cirrus Logic, Inc. Light emitting diode based lighting system with time division ambient light feedback response
US8299722B2 (en) 2008-12-12 2012-10-30 Cirrus Logic, Inc. Time division light output sensing and brightness adjustment for different spectra of light emitting diodes
US7994863B2 (en) * 2008-12-31 2011-08-09 Cirrus Logic, Inc. Electronic system having common mode voltage range enhancement
US8482223B2 (en) * 2009-04-30 2013-07-09 Cirrus Logic, Inc. Calibration of lamps
US8248145B2 (en) 2009-06-30 2012-08-21 Cirrus Logic, Inc. Cascode configured switching using at least one low breakdown voltage internal, integrated circuit switch to control at least one high breakdown voltage external switch
US8963535B1 (en) 2009-06-30 2015-02-24 Cirrus Logic, Inc. Switch controlled current sensing using a hall effect sensor
US8212493B2 (en) 2009-06-30 2012-07-03 Cirrus Logic, Inc. Low energy transfer mode for auxiliary power supply operation in a cascaded switching power converter
US8198874B2 (en) 2009-06-30 2012-06-12 Cirrus Logic, Inc.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current sensing transformer auxiliary power supply
US9155174B2 (en) * 2009-09-30 2015-10-06 Cirrus Logic, Inc. Phase control dimming compatible lighting systems
US8654483B2 (en) 2009-11-09 2014-02-18 Cirrus Logic, Inc. Power system having voltage-based monitoring for over current protection
US8008969B1 (en) * 2010-03-30 2011-08-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ingle supply class-D amplifier
US8344801B2 (en) 2010-04-02 2013-01-01 Mks Instruments, Inc. Variable class characteristic amplifier
US9068901B1 (en) * 2012-04-25 2015-06-30 Dynamic Solutions Llc Multi-phase power amplifier
WO2014093038A1 (en) * 2012-11-28 2014-06-19 Guangdong Rui Ding Electrical Technology LTD. Super-efficient single-stage isolated switching power amplifier
US9306516B2 (en) * 2012-12-01 2016-04-05 Guangdong Redx Electrical Technology Limited Single stage switching power amplifier with bidirectional energy flow
US9264516B2 (en) * 2012-12-28 2016-02-16 Wandisco,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enabling a secure and authorized induction of a node into a group of nod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9009215B2 (en) 2013-03-15 2015-04-14 Wandisco,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managing memberships in replicated state machines with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10277233B2 (en) 2016-10-07 2019-04-30 Analog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frequency tuning of rotary traveling wave oscillators
US10312922B2 (en) 2016-10-07 2019-06-04 Analog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otary traveling wave oscillators
US10469042B1 (en) 2018-05-14 2019-11-05 Ralph R. Karsten Audio amplifier circuit
US11527992B2 (en) 2019-09-19 2022-12-13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Rotary traveling wave oscillators with distributed stubs
US11264949B2 (en) 2020-06-10 2022-03-01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rotary traveling wave oscillators
US11539353B2 (en) 2021-02-02 2022-12-27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RTWO-based frequency multiplier
DE102022001302A1 (de) 2022-04-15 2023-10-19 Zhongxi Li Elektrisches HD-Umrichtersystem und zugehöriges Steuerungs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33A (en) * 1861-09-24 Improvement in machinery for cleaning vegetable fibers
US3294981A (en) * 1962-08-15 1966-12-27 Bose Corp Signal translation employing two-state techniques
US4456872A (en) * 1969-10-27 1984-06-26 Bose Corporation Current controlled two-state modulation
US3579132A (en) * 1969-11-14 1971-05-18 Ltv Ling Altec Inc Class {37 d{38 {0 linear audio amplifier
US3900823A (en) * 1973-03-28 1975-08-19 Nathan O Sokal Amplifying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modulated carrier signals
US3899745A (en) * 1974-04-26 1975-08-12 Nasa Isolated output system for a class D switching-mode amplifier
US4056786A (en) * 1974-09-03 1977-11-0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ingle ended class d amplifier
JPS5829646B2 (ja) * 1974-11-02 1983-06-24 ソニー株式会社 パルス幅変調増幅器
JPS5843922B2 (ja) * 1975-02-24 1983-09-30 ソニー株式会社 パルスハバヘンチヨウゾウフクカイロ
GB1596378A (en) * 1977-01-07 1981-08-26 Communications Patents Ltd Amplifier systems
JPS6052607B2 (ja) * 1979-05-10 1985-11-20 ヤマハ株式会社 増幅器
US4390813A (en) * 1981-06-29 1983-06-28 Litek International Inc. Transformer for driving Class D amplifier
US4439738A (en) * 1981-11-12 1984-03-27 Honeywell Inc. Class D pulse width modulated amplifier
USRE33333E (en) 1984-08-21 1990-09-11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audio amplifier having a high power output level and low distortion
US4724396A (en) * 1984-08-21 1988-02-09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audio amplifier
DE3572098D1 (en) * 1984-11-02 1989-09-07 Bose Corp Frequency-stabilized two-state modulation
US4743860A (en) * 1987-03-10 1988-05-10 Seeburg Phonograph Corporation Audio power amplifier
JPH01149507A (ja) * 1987-12-04 1989-06-12 Oki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電力増幅回路
US4910416A (en) * 1988-03-04 1990-03-20 Modicon, Inc. Power switch monitor to improve switching time
US4992749A (en) * 1988-12-28 1991-02-1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Pulse-width modulating amplifier circuit
GB8905002D0 (en) * 1989-03-04 1989-04-19 Attwood Brian E Audio amplifiers
US4884183A (en) * 1989-03-29 1989-11-28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mode controlled pulse width modulator
US5014016A (en) * 1989-04-13 1991-05-07 Beltone Electronics Corporation Switching amplifier
US5270703A (en) * 1990-08-31 1993-12-14 Halliburton Company Bipolar signal amplification or generation
US5077539A (en) * 1990-12-26 1991-12-31 Apogee Technology, Inc. Switching amplifier
US5117198A (en) * 1991-04-08 1992-05-26 Kenneth Morenz Class D MOSFET amplifier and voltage supply balance circuit therefor
US5160896A (en) * 1992-02-18 1992-11-0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Class D amplifier
US5270657A (en) * 1992-03-23 1993-12-14 General Electric Company Split gradient amplifier for an MRI system
US5306986A (en) * 1992-05-20 1994-04-26 Diablo Research Corporation Zero-voltage complementary switching high efficiency class D amplifier
US5506493A (en) * 1992-11-10 1996-04-09 Motorola, Inc. Switching regulator and amplifier system
US5371666A (en) * 1992-12-04 1994-12-06 Square D Company Average current mode control apparatus for an AC output amplifier
US5479337A (en) * 1993-11-30 1995-12-26 Kaiser Aerospace And Electronics Corporation Very low power loss amplifier for analog signals utilizing constant-frequency zero-voltage-switching multi-resonant converter
US5594386A (en) * 1995-04-21 1997-01-14 Sipex Corporation Pulse width modulated amplifier
US5617058A (en) * 1995-11-13 1997-04-01 Apogee Technology, Inc. Digital signal processing for linearization of small input signals to a tri-state power swi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3730B2 (en) 2001-03-15 2006-10-17 Bluetek Co., Ltd. Audio power amplify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041913B1 (ko) * 2002-05-13 2011-06-16 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다중위상 임피던스 변환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12946A (ja) 2001-08-28
WO1999008379A1 (en) 1999-02-18
EP1010240A4 (en) 2004-02-25
AU739739B2 (en) 2001-10-18
AU8776298A (en) 1999-03-01
EP1010240B1 (en) 2006-04-19
US5963086A (en) 1999-10-05
CA2299333A1 (en) 1999-02-18
EP1010240A1 (en) 2000-06-21
DE69834258D1 (de)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2733A (ko) 스위칭 제어를 구비한 디 급 증폭기
US5438498A (en) Series resonant converter having a resonant snubber
US6188209B1 (en) Stepping inductor for fast transient response of switching converter
US5305191A (en) Drive circuit for zero-voltage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d power switch turn-on
US5353212A (en) Zero-voltage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ripple current cancellation
US4937470A (en) Driver circuit for power transistors
US6804125B2 (en) Isolated drive circuitry used in switch-mode power converters
US5274543A (en) Zero-voltage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lossless synchronous rectifier gate drive
USRE37889E1 (en) Low loss synchronous rectifier for application to clamped-mode power converters
US5268830A (en) Drive circuit for power switches of a zero-voltage switching power converter
US6278621B1 (en) Single ended forward DC-to-DC converter providing enhanced resetting for synchronous rectification
US5065300A (en) Class E fixed frequency converter
US5307005A (en) Zero current switching reverse recovery circuit
US5923152A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with soft switched boost converter
EP0360854A1 (en) TWO-SIDED, SINGLE-POLE, TWO-WAY HALF-BRIDGE POWER SWITCH WITH TWO STATES AND POWER SUPPLY FOR SUCH AN ELECTRONIC POWER SWITCH.
WO1995034120A1 (en) Pulse width modulated dc-to-dc boost converter
US6606259B2 (en) Clamped-inductance power converter apparatus with transient current limiting capability and operating methods therefor
JPH01276819A (ja) 全ブリッジ・電力変換回路
US5151852A (en) Class E power amplifier
EP1374393A2 (en) High efficciency switching amplifiers
CN1222101C (zh) 交换式电源供应器
US6301139B1 (en) Self-driven synchronous rectifier circuit for non-optimal reset secondary voltage
US6704211B1 (en) DC-to-DC converter
US6636113B1 (en) Load compensation technique for reactive impedance transformation amplifier output stage
KR19980033814A (ko) 부스트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