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531A - 강슬라브의 연속 주조용 개선된 접촉식 몰드 - Google Patents

강슬라브의 연속 주조용 개선된 접촉식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531A
KR20010022531A KR1020007001121A KR20007001121A KR20010022531A KR 20010022531 A KR20010022531 A KR 20010022531A KR 1020007001121 A KR1020007001121 A KR 1020007001121A KR 20007001121 A KR20007001121 A KR 20007001121A KR 20010022531 A KR20010022531 A KR 20010022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depth
radius
axi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749B1 (ko
Inventor
지오반니 아르베디
마리오 칼도나쪼
루시아노 마니니
안드레아 비안치
안젤로 비시갈리
Original Assignee
지오반니 아르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13777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225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지오반니 아르베디 filed Critical 지오반니 아르베디
Publication of KR2001002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06Moulds with special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08Moulds for casting thin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onfectionery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0 내지 120mm의 두께를 갖는 강슬라브, 특히 얇은 스트립으로 압연되기에 적절한 강슬라브의 연속 주조용 개선된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몰드는 두 개의 큰 면(F)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큰 면의 각각은 수평 단면에서 서로에 대해 대칭인 오목하거나 직선형인 중앙 영역을 갖추고 있으며, 그들의 양측부가 몰드의 내부 부분에 대해 오목-볼록의 넓은 굽힘부를 통해 좁은 면(f)에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의 직선형 길이부 외에는 다른 큰 면(F)의 대향하는 부분에 평행한 다른 길이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오목부의 반경(r1)과 볼록부의 반경(r2)은 0.6 내지 1.4의 상호비를 가지며, 이들 부분들은 바람직하게는 몰드의 각각의 수평 단면에서 동일하며 하방을 향해 증가하는 반면, 오목부의 깊이(a)는 하방으로 감소하며, 높이(ybc)로부터 배출 섹션까지는 가능하게 일정하지만, 배출 영역에서 잔류 깊이가 5mm 이하가 되도록 몰드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Description

강슬라브의 연속 주조용 개선된 접촉식 몰드 {IMPROVED CONTACT MOULD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STEEL SLABS}
독일 특허 제 887990호에는 상부 유입 영역이 중앙을 향하면서 넓어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침지 노즐 개구는 몰드를 따라 아래로 점차 감소하여 실제 배출구에 바로 앞에서 몰드로부터 배출되는 슬라브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는, 금속 슬라브의 연속 주조용 수냉 몰드가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제 0149734호는 좁은 면(face) 부근의 영역에서의 국부 고상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안된 것으로, 여기서는 보다 큰 측부들이 한점으로 집중하여 작은 측부를 향해 좁아지고 각이져 배치된 벽을 갖춘 깔때기 형상으로 되고, 또한 주조물의 유동을 차단시키는 결과(이는 실제 실험에 의해 뒷받침되지는 않는다)를 가져오는 몰드를 형성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편평하게 연장하고 서로 평행한 보다 큰 측부를 깔때기형 주조 영역의 측부에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류의 몰드는 중앙의 캐비티에 대해 횡방향으로 평행한 벽을 갖는 영역에서 난류가 형성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며, 침지 노즐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용융금속의 스트림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직한 환류 배출을 결여시킨다. 이러한 사실의 결과는 완제품의 표면재질에 악영향을 미치며, 분말이 강 내에서 포획되기 때문에 특히 초박판 제품에 악영향을 미친다.
독일 특허 공개 제 4031691호에는 두 개의 대향하는 형성판의 중앙의 공동 또는 캐비티를 갖춘 얇은 슬라브용 몰드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판이 몰드의 유입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 제 1섹션을 형성한다. 이러한 판은 약 1/2 높이까지 기본적으로 수직하며, 몰드의 배출 영역 단부에서 얇은 슬라브의 두께에 의해 감소된 외부 또는 외륜판에 대한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내부 또는 내륜판을 갖춘 휘어진 프로파일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의 판을 갖춘 몰드는 종래의 몰드에 대해 소정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특히 냉각 균일성을 고려할 때, 갑작스런 곡률 변화로 인해 섹션내의 벽으로부터 주조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함을 알아 내었다.
이는 불균일한 냉각 뿐만 아니라 내륜 및 외륜 각각에서 국부 기계적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을 유발하여, 응력을 받는 영역의 표면이 균열 또는 파괴될 가능성이 있으며, 결국 소위 "브레이크-아웃(break-out)"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게 허여된 이탈리아 특허 제 1265065호에서는 두 개의 형성판의 수직한 섹션이 다수의 곡선 라인으로 구성되고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모듈의 종방향 프로파일을 개조하였는데, 여기서는 유입구에서 수직한 접선을 가지면서 상방을 향해 거의 무한한 값으로 곡률 반경이 증가한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 출원 MI 96A002336호에서는 메니스커스에서의 난류의 문제점이 다루어졌는데, 여기서는 높은 주조 속도 하에서 침지 노즐과 보다 작은 몰드의 측부 사이 뿐만 아니라, 동일한 단면의 잔류 영역에 대한 몰드의 큰 면과 침지 노즐 사이에서 포함된 면적의 비의 형태로 최적의 파라메터가 제공되고, 각각의 파라메터가 상기한 영역들을 한정하면, 수평 단면에서의 판의 프로파일을 개조시키지 않으면서 메니스커스에서의 거동을 개선시킨다.
다른 형태의 연속 주조용 몰드는 예컨대 유럽 특허 공개 제 0658387호 및 독일 특허 제 440304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럽 특허 공개 공보에서는 아아치 형태의 단면이 볼록한 큰 면을 갖추고 있으며, 독일 특허에서는 일정한 볼록부를 갖추고 있지만, 이들 모두는 슬라브 표면과 최적으로 접촉하지 못한다. 이들과 동일한 몰드로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51-112730호를 들 수 있는데, 여기서는 각각이 볼록하거나 오목한 프로파일을 갖는 휘어진 큰 대향면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대향면들은 두 개의 직교하는 중간 축선에 대해 대칭이며, 그의 단부에서 직선형 프로파일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50 내지 120mm의 두께를 갖는 강슬라브, 특히 1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얇은 스트립으로 압연되기에 적절한 강슬라브를 연속 주조하기 위한 개선된 접촉 특성을 갖는 개선된 몰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중간 축선(X-X)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종단면도로서, 오목부의 깊이를 고려한 제 1일시예에서, 이탈리아 특허 제 1265065호에서와 같은 여러 인접한 반경을 가지며 각각이 직선형 프로파일을 갖는 외륜판으로 한정된 상이한 프로파일의 두 개의 몰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오목부의 깊이가 연속적으로 하방으로 감소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2a 및 도 2b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도면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한 프로파일의 제 1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몰드의 판들의 개략적인 상부 평면도이다.
도 5는 수평한 프로파일의 상이한 실시예에서 몰드의 하나의 판을 상세하게 도시한 상부 평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브를 배출하는 동안 수평 및 수직 단면의 모든 지점에서 슬라브 표면과 연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균일한 냉각이 얻어지며, 이에 의해 동일한 단면의 전체 프로파일을 따라 동일한 두께의 표면이 얻어지며, 또한 단면의 높이 변화에 따른 연속적인 두께 변화가 달성된다. 이러한 조건들은 슬라브 표면 상에서 종방향 균열을 발생시키는 수축 및 불규칙한 응력을 피할 수 있는 이상적인 조건이다.
또한, 몰드 측부의 메니스커스 레벨에서 강의 상방 진행 스트림의 속도를 감소시켜서 이들 영역에서 낮은 제조율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별한 볼록 형태의 몰드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러한 몰드는 그의 큰 면에 오목-볼록의 넓은 굽힘부(상기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에서와 같은 단순한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가 아님)를 통한 한정된 원추부가 제공되며, 이러한 원추부는 좁은 면을 오목부의 중앙 직선형 영역에 연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일반적인 특징은 청구범위 제 1항에 설명되어 있으며, 종속항에서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특징을 한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몰드의 목적, 장점,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몰드는 두 개의 대향하는 구리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면은 중앙의 변화하는 오목부의 깊이(a)가 변화하는 것 이외에도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수직방향 기울기를 갖는다. 이러한 판들, 특히 판들의 유효 내부면 또는 "큰 면(F)"은 수냉되고, 두 개의 "좁은 면(f)" 또는 어깨부에 의해 횡방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좁은 면(f)의 위치는 슬라브의 폭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큰 면(F)은 몰드의 내측에 대해 직선형이거나 오목하게 휘어진 감소된 길이(2t1)의 중앙 부분(Ce)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중앙 부분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횡단 중간 축선(X-X) 상의 중심점(Oc)을 중심으로 반경(rc)≥10m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반경(rc)=∞ 일 때, 중앙 부분(Ce)은 직선형을 가지며, 그의 길이는 도 4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t1에 대응한다. 반면, 반경(rc)이 한정된 값을 가질 때, 도 5 또는 도 4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Ce)은 약간 휘어진 곡선을 갖는다. 모든 경우에, 반경(rc)은 일정하고, 중심점(Oc)은 모든 몰드 단면에서 고정되는 반면, 중앙 부분(Ce)은 축선(X-X)에 직교하는 중간 축선(Z-Z)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에 대해 대향하는 판의 중앙 부분과 대칭된다.
계속하여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중앙 부분(Ce)의 길이는 오목-볼록의 넓은 굽힘부를 통해 양측부 상에서 중간 축선(X-X)에 대해 대칭적으로 좁은 면(f)에 연결되며, 몰드의 내부 부분에 대해 몰드의 중앙 부분(Ce)은 단지 평행한 길이 부분이며, 중앙 부분이 직선형일 때, 반경(rc)=∞ 이다. 몰드의 수평한 단면에서, 중앙 부분(Ce)의 길이부로부터 시작할 때, 오목한 아아치가 먼저 나타나며, 그의 중심점(O1)은 축선(X-X)과 각 α≥0°를 형성하는 직선(X1) 상에 위치되어서 중앙 부분(Ce)에 연결된다. 이러한 오목한 아아치는 중간 횡단 축선(X-X)으로부터 거리(t2), 즉 굽힘점(β)까지 연속하는데, 여기서 곡선은 축선(X-X)과 각 γ≥0°를 형성하는 직선(X2) 상에 중심점(O1)에 대향하는 굽힘 중심점(O2)을 갖는 볼록부를 형성한다. 굽힘 중심점(O1,O2)은 동일한 평면 상에 놓이고, 반경(r1,r2)은 0.6 내지 1.4의 상호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비율은 1 이며, 두 개의 반경은 도 1의 y축선에 따른 소정의 높이에서 절취한 몰드의 모든 수평 단면에서 r1=r2=r과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각α와 각γ는 동일하다. 반경(r1)과 반경(r2)의 값은 y축선의 높이가 아래로 진행하는 모든 경우에 증가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수평 단면에서의 평면의 프로파일을 고려하면)에 따르면, r1=r2=r 일 때,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의 굽힘점(β)은 좁은 면(f)의 개시점과 양 측부 상에서 중앙 축선(X-X)으로부터 거리(t1)에 대해 연장하는 중앙 부분(Ce)의 끝점(r=∞ 일 때, 길이는 2t1으로 측정됨) 사이의 거리(b)의 1/2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b=t2-t1 이 되며, 여기서 거리(t1)는 횡단 중간 축선(X-X)으로부터 굽힘점(β)의 거리이다. 반경(rc)→∞ 일 때, 각α와 각γ가 0 이 되는 것, 즉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부분(Ce)이 직선형일 때, 중심점(O1,O2)이 위치되는 직선(X1,X2)이 축선(X-X)에 평행하게 된다.
오목부과 일치하는 큰 면의 전체 활성 부분은 거리(t3) 부분을 따라 축선(Z-Z)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그리고 중간 축선(X-X)에 대해 완전히 대칭으로 연장하며, 좁은 면(f)이 중간 축선(X-X)으로부터 거리(t3)에 놓일 때, 오목부의 폭은 몰드의 폭과 일치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오목부는 도 4 뿐만 아니라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a)를 갖는데, 여기서는 깊이(a)는 Xc에서 Xb를 차감한 값이다. 여기서 Xc는 몰드의 내부 횡방향 프로파일의 거리(축선(X-X)으로부터 거리(t3)에서)이며, Xb는 거리(t1)에서 판의 외벽과 일치하는 수직 축선(y)으로부터의 오목부의 가장 깊은 부분의 거리이다. 깊이(a)는 예컨대 이탈리아 특허 제 1265065호에 따라 몰드의 소정의 레벨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변화하며(도 2a 및 도 2b에서 ybc로 언급됨), 배출구의 레벨을 초과하면서 일정하게 된다. 그렇지만,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a)는 바람직하게는 y=0 인 상부 섹션 또는 유입부로부터 바닥부 또는 배출 섹션으로 잔류 깊이가 5mm 이하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감소할 것이다.
오목부의 1/2 폭을 나타내는 거리(t3)에서, 오목부의 깊이(a) 및 r=r1=r2의 반경값(이후에 명백하게 설명됨)은 바람직하게는 거리(t3-t1)(r1=r2 일 때, 2b와 일치하는)의 함수임이 밝혀졌다. 사실, 주조는 유입부에서 a≤0.15(t3-t1) 일 때, 즉 y=0 일 때만 가능한데, 여기서 깊이(a)는 최대가 된다. 오목부 깊이와 큰 면의 오목-볼록 굽힘부(이를 통해 중앙 부분(Ce)이 좁은 면과 연결됨)의 길이 사이의 비가 이 값 보다 큰 경우, 주조물은 심각하게 손상된다.
몰드의 전체 길이를 따라 또는 유입부로부터 ybc(도 2a, 도 2b)로 변화하는 값을 갖는 제한 부분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는 오목부의 깊이(a)는 레벨(y)에 치수적으로 역비례, 즉 레벨이 하방으로 증가할 때 깊이가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두 번째 경우, 유입부에서, 즉 y=0에서 깊이(a)≤0.1(ybc)가 된다.
연속적인 곡률 반경을 갖는 제한 부분 내의 잔류부에 의해, 슬라브는 항상 주조 방향으로 전방 이동하는 동안 좁은 섹션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정상적인 재료 수축을 동반하는 장점 및 주조물이 벽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게다가, 윤활 유체 스케일을 형성하는 주조 분말은 횡방향 평행 영역의 부재시에 더 우수하게 작용하는데, 즉 침지 노즐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스트림에 의해 발생된 용융금속의 환류 배출을 방지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난류의 발생을 방지한다. 특히, 표면 재질이 중요한 경우, 주조 분말의 결합을 유발시키는 난류의 부재는 중요하다.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오목부 깊이(a) 및 거리(b)의 함수로서 공식 r = (4b2+ a2) / 4a 은 r=r1=r2 일 때, 오목-볼록 면의 곡률 반경을 계산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폭, 즉 2t1이 260mm이며 반드시 직선형일 필요가 없는 중앙 부분을 갖추고 있고, 1m의 크기와 1m의 길이를 갖는 몰드에 대해 상기한 파라메터를 적용하여 t3=500mm 가 되고, t1=130mm 가 될 때, b=(t3-t1)/2=185mm 가 된다.
예컨대 이탈리아 특허 제 1265065호에 개시된 몰드의 유입 섹션에서, 깊이(a)의 값은 약 24mm로 예상할 수 있으며, 이 값은 0.15×2b(즉 55.5mm) 보다 확실하게 작다. 따라서, 오목부의 깊이에 대한 상기한 첫 번째 조건은 만족한다. 오목부의 연결부에 있어서, 대응하는 볼록부의 반대방향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은 상기한 공식에 적용함으로써 알 수 있다.
r = 4×1852+242/(4×24) = (136900+576)/96 = 1432mm
상기한 바와 같이, 몰드의 하부에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오목부의 깊이 대신에, 일정한 오목부의 깊이는 예컨대 0.7mm(이전에 한정한 바와 같이 어쨌든 ≤5)의 최소값을 갖는 것으로 추측될 수 있으며(ybc 레벨을 초과하여 몰드의 바닥부 아래에서)(도 2a 및 도 2b), 이러한 경우에 r의 값은 45000mm이며, 따라서 곡률반경은 이 부분에서 더 크게 된다. 이 부분에서 깊이(a)의 값이 주어지면,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연결 오목 길이부는 축선(X-X)으로부터 거리(t3)에서 몰드의 외부 영역에서 필수적일 것이다.
명백하게, 모든 경우에, 몰드의 모든 레벨에서, 내륜 또는 외륜을 고려할 때 깊이(a)는 약간 상이한 것으로 추측되며, 따라서 반경(r1,r2)은 상기한 공식을 고려할 때 이러한 약간의 변화를 반영한다.
중앙 부분(Ce)의 길이(t1)(및 동일한 아아치, 즉 반경 rc가 일정한)는 바람직하게는 유입부로부터 몰드의 바닥부로의 수평 단면에 대해 동일하며, 중앙 부분의 길이는 몰드의 폭 또는 몰드의 레벨과 함께 명백하게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4에서 특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몰드의 유일한 활성 부분으로서 언급되는 중앙 부분(Ce)을 제외한 평행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은 바람직하게 각이진 외측 수렴선으로 나타낸 어깨부 또는 좁은 면(f) 이외에도 큰 면(F)의 일반적인 비활성 부분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페로스태틱 압력(ferrostatic pressure)의 추력 하에서 소위 "원추부 손실(conicity loss)"을 유발하는 어깨부의 바람직하지 못한 외향 이동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11)

  1. 50 내지 120mm의 두께를 갖는 강슬라브, 특히 얇은 스트립으로 압연되기에 적절한 강슬라브의 연속 주조용 몰드로서,
    두 개의 대향하는 큰 면(F)과 측부가 인접해 있는 두 개의 좁은 면(f)을 내부적으로 형성하는 두 쌍의 판을 포함하며, 각각의 큰 면(F)은 수평 단면에서 중간 축선(X-X)에 대해 대칭하는 프로파일 및 수직 외측 섹션에서 상기 축선(X-X)로부터 거리(t3)에서 상기 좁은 면(f)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큰 면(F)의 각각의 내륜 또는 외륜 판면이 굽혀지거나 직선형이며, 상부 유입부로부터 적어도 주어진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깊이(a)를 갖는 중앙 오목부를 갖추고 있으며,
    축선(X-X)으로부터 거리(t3)에서 상기 각각의 판의 외벽과 일치하는 수직 축선(y)으로부터의 측부 프로파일의 거리를 Xc라 하고, 상기 오목부의 중앙에서 최내 프로파일의 거리를 Xb라 할 때, 상기 깊이(a)는 Xc-Xb의 값과 동일한, 몰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수평 단면에서 길이(2t1)를 갖고 상기 두 개의 큰 면(F) 사이에서 축선(X-X)과 중간 축선(Z-Z) 모두에 대해 대칭인 중앙 길이부(Ce)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큰 면(F)의 양 측부에서 다른 평행한 길이부 없이 반경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오목-볼록의 넓은 굽힘부를 통해 상기 좁은 면(f)과 인접하며, 상기 오목부의 반경(r1)과 상기 볼록부의 반경(r2)이 상기 몰드의 각각의 수평 단면에서 0.6 내지 1.4 범위의 상호비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의 깊이(a=Xc-Xb)가 하방으로 감소하는 반면, 상기 반경값은 몰드 배출부의 방향을 향해 하방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전체 길이에 따른 배출 레벨이 상기 배출 단면에서 나머지 깊이가 5mm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오목 부분의 깊이(a)는 상기 유입 상부 레벨(y=0)로부터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길이부(Ce)는 반경(rc)≥10m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중앙 길이부(Ce)는 몰드의 각각의 수평 단면에서 일정하며, 상기 몰드의 내부로부터 보았을 때 오목한 아아치를 형성하도록 축선(Z-Z)에 대해 대향하는 측부로부터 상기 축선(X-X)을 따라 위치된 굽힘 중심점(Oc)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4. 제 3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반경 곡선의 상기 오목 부분의 반경(r1)을 갖는 상기 굽힘 중심점(O1)은 각각의 수평 단면에서 상기 축선(X-X)과 각 α≥0°를 형성하는 직선(X1) 상에 위치하며, 상기 곡선의 볼록부의 중심점(O2)은 반경(r2)을 갖는 상기 축선(Z-Z)으로부터 대향하는 측부에서 축선(X-X)과 각 γ≥0°를 형성하는 직선(X2)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길이부(Ce)의 반경(rc)은 무한하며, 이에 의해 상기 직선형 중앙 길이부(Ce)에 연속적으로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에 위치한 상기 굽힘 중심점(O1)이 위치되는 직선의 기울기각(α)은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비(r1/r2)가 1이며, 깊이(a)가 상기 오목부의 깊이이며, b=(t3-t1)이 상기 중앙 부분(Ce)의 단부와,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굽힘점(β)과 대응하는 상기 오목 부분의 대응하는 외부 단부 사이의 거리의 1/2일 때, 상기 r=r1=r2의 값은 관계식 r = (4b2+ a2) / 4a 에 의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입부로부터 결정된 레벨(ybc)로부터 하방으로 시작할 때, 상기 깊이(a)가 상기 레벨을 초과해서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8. 제 3항에 있어서, y=0 인 레벨에서, 즉 상부 유입부에서, 거리(t3)가 상기 오목 부분의 폭의 1/2 일 때, 깊이(a)는 0.15(t3-t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9. 제 7항에 있어서, y=0 인 레벨에서, 즉 상부 유입부에서, 깊이(a)는 0.1(yb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Ce)의 길이(2t1)가 모든 수평 단면에 대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11. 제 7항에 있어서, 레벨(ybc) 보다 아래의 레벨에서 깊이(a)가 1.75 이하로 일정할 때, 추가의 인접하는 아아치는 상기 볼록 반경부와 상기 대응하는 좁은 면(f)에 인접하는 단부 사이에서 일정한 반경의 오목한 굽힘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KR1020007001121A 1997-08-04 1998-07-29 강슬라브의 연속 주조용 개선된 접촉식 몰드 KR100567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97MI001875A IT1293817B1 (it) 1997-08-04 1997-08-04 Lingottiera per la colata continua di bramme d'acciaio a contatto migliorato
ITMI97A001875 1997-08-04
PCT/IT1998/000218 WO1999007499A1 (en) 1997-08-04 1998-07-29 Improved contact mould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steel slab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531A true KR20010022531A (ko) 2001-03-15
KR100567749B1 KR100567749B1 (ko) 2006-04-05

Family

ID=1137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121A KR100567749B1 (ko) 1997-08-04 1998-07-29 강슬라브의 연속 주조용 개선된 접촉식 몰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390177B1 (ko)
EP (1) EP1011896B2 (ko)
JP (1) JP4294216B2 (ko)
KR (1) KR100567749B1 (ko)
CN (1) CN1165398C (ko)
AT (1) ATE211955T1 (ko)
AU (1) AU734176B2 (ko)
BR (1) BR9810979A (ko)
CA (1) CA2296845C (ko)
DE (1) DE69803196T3 (ko)
ES (1) ES2170514T5 (ko)
IT (1) IT1293817B1 (ko)
RU (1) RU2205088C2 (ko)
WO (1) WO1999007499A1 (ko)
ZA (1) ZA9869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2858C (zh) 2004-01-17 2007-01-0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水冷的金属连铸结晶器
CN2776595Y (zh) * 2005-03-07 2006-05-03 鞍钢集团新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板坯连铸用的异形结晶器
BRPI0513754B1 (pt) 2005-04-07 2018-10-23 Arvedi Giovanni processo para fabricar tiras de metal de espessura, e, usina para fabricar tiras de metal
AU2005334650B2 (en) 2005-07-19 2011-06-09 Giovanni Arvedi Process and related plant for manufacturing steel long products without interruption
MX2008000537A (es) 2005-07-19 2008-03-06 Giovanni Arvedi Proceso y planta para la fabricacion de placas de acero sin interrupcion.
ITMI20051765A1 (it) * 2005-09-22 2007-03-23 Danieli Off Mecc Lingottiera per colata di bramme
ES2437863T3 (es) * 2006-03-01 2014-01-14 Novelis Inc. Colada secuencial de metales que tienen coeficientes de contracción altos
CN100385446C (zh) * 2006-04-18 2008-04-30 燕山大学 一种薄窄料平整轧制过程的辊型曲线设计方法
US7451804B2 (en) * 2006-11-22 2008-11-18 Peterson Oren V Method and apparatus for horizontal continuous metal casting in a sealed table caster
DE202012004204U1 (de) * 2011-05-03 2012-06-15 Central Iron & Steel Research Institute Abgeschrägte Schmalseitenkupferplatte für Gussform mit trichterförmig gekrümmter Oberfläche
CN102328037A (zh) * 2011-09-21 2012-01-25 首钢总公司 一种自带锥度连铸板坯倒角结晶器
ITMI20112292A1 (it) 2011-12-16 2013-06-17 Arvedi Steel Engineering S P A Dispositivo di supporto ed oscillazione per lingottiera in impianti di colata continua
KR102074364B1 (ko) * 2018-05-14 2020-02-06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CN109794586B (zh) * 2019-02-27 2023-10-03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异形坯连铸机全保护浇铸的结晶器
IT202000016120A1 (it) 2020-07-03 2022-01-03 Arvedi Steel Eng S P A Impianto e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in continuo di nastri d’acciaio ultrasottili laminati a caldo
CN111745136B (zh) * 2020-07-08 2022-06-10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结晶器
CN112743052A (zh) * 2020-12-29 2021-05-04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解决铸坯窄面裂纹的板坯结晶器和控制方法
CN114178493B (zh) * 2021-11-26 2023-08-22 安徽马钢表面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重型h型钢结晶器及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7990C (de) 1951-05-07 1953-08-27 Irving Rossi Wassergekuehlte Stranggiessform
DE3400220A1 (de) 1984-01-05 1985-07-18 SMS Schloemann-Siemag AG, 4000 Düsseldorf Kokille zum stranggiessen von stahlband
AT379093B (de) * 1984-02-16 1985-11-11 Voest Alpine Ag Durchlaufkokille fuer eine stranggiessanlage
GB8814331D0 (en) 1988-06-16 1988-07-20 Davy Distington Ltd Continuous casting of steel
DE3907351C2 (de) * 1989-03-08 1998-09-24 Schloemann Siemag Ag Eingießtrichter einer Kokille
DE4131829C2 (de) 1990-10-02 1993-10-21 Mannesmann Ag Flüssigkeitsgekühlte Kokille für das Stranggießen von Strängen aus Stahl im Brammenformat
DE4201363C2 (de) * 1992-01-20 2000-08-10 Sms Demag Ag Kokille zum Stranggießen von Stahlband
IT1262073B (it) * 1993-02-16 1996-06-19 Danieli Off Mecc Lingottiera per colata continua di bramme sottili
DE4343124C2 (de) * 1993-12-17 1996-05-23 Schloemann Siemag Ag Kokille zum Stranggießen von Stahl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03196D1 (de) 2002-02-21
DE69803196T3 (de) 2007-01-18
JP4294216B2 (ja) 2009-07-08
AU8645998A (en) 1999-03-01
CA2296845C (en) 2007-02-20
ES2170514T5 (es) 2007-04-01
EP1011896B1 (en) 2002-01-16
IT1293817B1 (it) 1999-03-10
CN1266388A (zh) 2000-09-13
ATE211955T1 (de) 2002-02-15
ZA986901B (en) 1999-01-28
CN1165398C (zh) 2004-09-08
CA2296845A1 (en) 1999-02-18
ITMI971875A1 (it) 1999-02-04
EP1011896A1 (en) 2000-06-28
EP1011896B2 (en) 2006-08-09
RU2205088C2 (ru) 2003-05-27
AU734176B2 (en) 2001-06-07
DE69803196T2 (de) 2002-08-14
WO1999007499A1 (en) 1999-02-18
US6390177B1 (en) 2002-05-21
ES2170514T3 (es) 2002-08-01
BR9810979A (pt) 2005-09-27
JP2001513445A (ja) 2001-09-04
KR100567749B1 (ko)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2531A (ko) 강슬라브의 연속 주조용 개선된 접촉식 몰드
CA2588521C (en) Continuous steel casting installation for billet and bloom formats
CA2093327C (en) Liquid-cooled mould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billets in slab form
US4565236A (en) Method of and mold for continuously casting steel beam blanks
KR100594624B1 (ko) 금속연속주조용깔때기형주형
US6474401B1 (en) Continuous casting mold
EP1716941B1 (en) Water-cooling mold for metal continuous casting
CA2255279C (en) Funnel geometry of a mold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metal
WO1996035533A1 (en) Mould for continuous casting
AU6807494A (en) Improved mould for steel continuous casting, particularly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thin slabs
JP2000079445A (ja) 鋼の連続鋳造用鋳型
WO2021157083A1 (ja) 連続鋳造用鋳型
EP1934003B1 (en) Ingot mold for casting slabs
RU2044597C1 (ru)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машины криволинейного типа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ов
MXPA00001227A (en) Improved contact mould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steel slabs
JP2005503928A (ja) 端部開放鋳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