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884A - 감소된 h2 민감도를 갖는 광섬유 - Google Patents

감소된 h2 민감도를 갖는 광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884A
KR20010021884A KR1020007000448A KR20007000448A KR20010021884A KR 20010021884 A KR20010021884 A KR 20010021884A KR 1020007000448 A KR1020007000448 A KR 1020007000448A KR 20007000448 A KR20007000448 A KR 20007000448A KR 20010021884 A KR20010021884 A KR 20010021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soot
region
glas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4158B1 (ko
Inventor
알프레드 제이. 안토스
신시아 비. 지록스
크리스틴 엘. 호아글린
티모시 엘. 헌트
데일 알. 파우어스
윌리암 에이. 웨돈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엘. 미첼슨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엘. 미첼슨,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프레드 엘. 미첼슨
Publication of KR20010021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2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the means comprising hydrogen absorb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446Thermal after-treatment of preforms, e.g. dehydrating, consolidating, sin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3/00Fibre or filament compositions
    • C03C13/04Fibre optics, e.g. core and clad fibre compositions
    • C03C13/045Silica-containing oxide glass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1/00Type of glass produced
    • C03B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B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metals, e.g. Ga, Sn, Sb, Pb or Bi
    • C03B2201/31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metals, e.g. Ga, Sn, Sb, Pb or Bi doped with germaniu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22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에 내성을 갖는 광도파관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트 예비성형품은 가열되고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에 함침된다. 따라서, 환원된 금속종들이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의 소결 또는 소고 전에 유리 수트에 포함된다. 약 1530nm의 수소 흡수대역이 전구물질 가스 처리된 예비성형품으로부터 제조된 도파관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Description

감소된 H2 민감도를 갖는 광섬유 {Decreased H2 sensitivity in optical fiber}
수소는 실리카 기초의 광도파관 섬유들의 결함(defects)과 반응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신호의 흡수대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파관 섬유로의 수소 결합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는데, 상기 방법은 밀봉 케이블(sealed cable), 용접 코팅된 도파관 섬유(hermetically coated waveguide fiber), 및 수소 게터(hydrogen getter)로서 작용하는 광섬유 케이블링 물질 또는 코팅제를 포함한다.
상기 수소 게터를 시도한 예는, DiGiovanni et al.의 미국특허 제5,596,668호('668)에서 찾아볼 수 있다. 수소를 흡수하거나 수소와 결합하기 위한 종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금속,은 도파관 섬유의 클래드 층(clad layer)에 배치된다. 도파관의 빛운반부(light carrying portion)로의 수소의 확산이 감소되면 상기 도파관은 수소에 내성이 있다고 일컬어진다. 상기 게터종들이 코어 영역 및 상기 코어 영역에 인접하는 클래드 층의 일부에 포함되는 것을 막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상기 영역들은 신호빛(signal light)을 운반하고 상기 영역에서 게터 물질이 존재하면 수용불가능한 신호감쇠가 일어난다. 상기 '668호 특허의 컬럼 3, II의 65-67 및 도 2, 3 및 4에는, 상기 도파관의 빛운반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되어야 하는 상기 게터 물질을 설명하고 있다. 수소의 확산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는 사실과 함께 상기 한계로 인해 이 시도는 최적이지 않다.
상기 용접 코팅을 갖는 도파관의 제공은 필수적으로 수소에 의한 감쇠를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 코팅의 적용은 원료, 장비 및 생산속도의 관점에서 고려될 수 있는 비용이 추가되는 추가 공정단계를 수반한다. 또한, 상기 코팅의 용접성을 측정하기 위해 임시 측정단계가 요구된다.
또 다른 게터 방법은, 상기 게터 물질이 케이블을 제조하는 물질에 또는 도파관 고분자 코팅제에 포함되는 방법의 하나이다. 상기 방법은 추가 비용을 수반하고, 상기 물질들은 그들이 10년이 걸쳐 통상적으로 추정되는 도파관의 수명을 위한 주 물질(host material)을 줄이지 않거나 그렇지 않으면 남기도록 하여야 한다.
Powes의 미국특허 제4,125,388호('388 특허)는 높은 순도의 광도파관, 특히 매우 낮은 농도의 물을 갖는 도파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재하고 주장하고 있다. 실리카 기초의 유리 매트릭스에서 물의 함유는 신호 투과에 적합함과는 달리 파장 범위에서 흡수 대역을 넓게 한다. 상기 '388호 특허는, 유리로 수트 입자들을 용융시키기 위해 수트 예비성형품(soot preform)이 가열되는 단계동안에,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매우 낮은 물의 도파관을 제조하는 방법을 주장하고 있다. 상기 '388호 특허에는, 건조제로서 Cl2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Cl2는 예비성형품에 직접 주입되거나, GeCl4및 SiCl4와 같은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가 상기 예비성형품의 주위에 Cl2를 생산하기 위해 산화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상기 수트가 밀집 유리(dense glass)로 용융되는 온도범위에서 실시된다.
이러한 건조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건조를 진행하는 단계 및 예비성형품이 소고(consolidation)될 온도 이하에서 실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파관 섬유산업에서 하기 특성을 가지며 수소에 대한 민감도를 제거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존재하는 도파관 섬유 생산공정의 유동(flow)에 용이하게 적합;
-제조속도의 현저한 감소를 일으키지 않음;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 및
-유리에 그자체로 부착되어 도파관의 수명에 있어서 신뢰성 있음.
발명의 요약
본원에서 개발되고 설명된 신규한 방법 및 최종 도파관 섬유는 우수한 긴 기간 재현성 및 전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저렴한 수소에 내성을 갖는 도파관에 대한 요구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소에 대한 내성을 갖는 광도파관 섬유에 관한 것이다. 수트 예비성형품은 외부 기상 증착법(outside vapor deposition) 또는 기상 축증착법(axial vapor deposition)과 같은 종래기술에서 공지인 몇몇 방법의 하나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방법은 수트 증착 및 수트 소고 사이의 시간을 길게 하거나 산소에 대한 과잉의 GeCl4또는 SiCl4를 포함시킴으로써 변형된 내부 기상 증착 예비성형품 제조방법을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종래부터 알려진 몇몇 방법의 일부에 의해,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의 중심 코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주위의 클래딩 유리층의 적어도 일부분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굴절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중심 영역에서의 수트의 상호-증착(co-deposition), 굴절률을 낮추기 위한 주변 층에서의 수트의 상호-증착, 또는 불소와 같은 굴절률을 변형시키는 가스로 상기 영역중 하나에서의 수트를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굴절률의 변형은 수트 증착 동안 또는 수트 증착 후, 그러나 수트 소고전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증착방법은, 상기 외부 기상 증착 공정이며, GeCl4또는 SiCl4가 사용되어 바이트 로드(bait rod)상에 GeO2로 도핑된 SiO2코어 영역을 증착시킨다. 바람직하게 이후에 적어도 최소량의 SiO2클래딩 영역의 증착이 계속된다(원한다면, 추가적인 클래딩은 또한 최종 단계에서 또는 지금 증착된다). 상기 바이트 로드가 제거되며, 최종 수트 예비성형품은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예를 들어, GeCl4)는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 주위로 유동된다 (만약 상기 예비성형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면, 상기 바이트 로드의 제거에 의해 구멍(hole)을 통해 흐를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신규한 방법에서,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산소에 비해 과잉이다. 이것은 건조공정에서 유익한 산소에 대한 작은 양의 금속 할로겐화물의 비와 대조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방법의 일례에서,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은 약 800℃이상이지만 수트 소고 또는 소결 온도미만의 온도에서 가열된다. 그 후, 유리 형성 금속 산화물의 전구물질인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는, 바람직하게 수트 유리의 100그램당 약 0.2 표준 3제곱 센티미터/분(sccm) 이상의 유속으로, 뜨거운 다공성 수트를 통해 또는 주위로 유동하게 된다.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연속공정단계들은 투명한 유리바디(clear glass body)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트를 소결하는 단계, 필요에 따라 추가 오버클래딩(additional overcladding)을 추가하는 단계, 및 그것을 붕괴(collapsing)시키거나 소결시키는 단계, 및 최종 인발(draw) 예비성형품으로부터 도파관 섬유를 인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0.2sccm/100g 정도로 낮은 유속이 수소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지라도, 수트 유리의 100g당 약 1sccm 또는 그 이상의 유속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속에 있어서 상한(upper limit)을 두는 공정상의 이유는 본질적으로는 없다. 따라서, 상기 상한은 재료의 비용 및 장비의 용량에 의해 결정된다. 1.0sccm/100g의 유속은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을 건조하고 소결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의 용량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상에서의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의 작용은 통상적으로 1시간내에 실질적으로 완결된다. 긴 시간동안 또는 짧은 시간동안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에 노출되는 수트 예비성형품이 효과적이도록 수트 밀도(soot density)의 가변성이 요구된다. 수트 밀도들 및 온도들의 일반적으로 접촉되는 범위를 커버하기 위해서는 약 0.5 내지 10시간의 범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이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의 유동에 함침되는 동안 약 1000℃ 내지 1150℃의 범위로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최소한 1250℃정도로 높은 온도에서 효과적이다.
상기 방법은 다른 코어 유리 도핑제에 있어서 효과적이지만, 굴절률 증가 코어 도핑제가 게르마니아일 때, 상기 방법들이 잘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들은 GeCl4및 SiCl4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트 증착공정을 활용하고, 수트 증착동안 금속 할로겐화물 전구물질(GeCl4)을 이용하며, 반응챔버내에서 화학양론적인 산소량 미만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적절한 양의 환원된 Ge의 포함이 GeO2도핑된 코어의 외부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상기 신규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소에 대한 내성을 갖는 광도파관 섬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수트 예비성형품, 및 수소에 대한 내성을 갖는 도파관 섬유의 전구물질인 수트 예비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의 제조방법은, 탄소,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의 바이트 로드와 같이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몇개의 적절한 수트 수집 타겟들상에 또는 실리카 기초의 유리튜브(glass tube)의 내부 또는 외부상에 수트를 증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트는 실리카층, 및 게르마니아와 같이 굴절률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도핑된 실리카의 코어 영역을 포함한다. 소결전에,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은 가열되고 전과 같이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로 처리된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코어 영역 또는 상기 코어 영역에 바로 인접하는 클래드 영역에 환원된 금속종(예를 들어, 환원된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광도파관 섬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코어 영역에 바로 인접하는 상기 클래드 영역은 상기 코어 영역을 둘러싸는 5 내지 10㎛의 두께의 고리이다.
상기 환원된 금속종들은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로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을 처리하여 존재하게 된다. 상기 환원된 금속종들은 다양한 종래기술의 어떤 방법에 의해서 검출되고 정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원된 Ge의 존재는 240nm 부근의 파장을 갖는 빛의 도파관 또는 도파관 유리 예비성형품에 의한 흡수를 측정하여 정량된다. 흡수도는 (1/t)log(I0/I)이며, 여기서, t는 샘플두께, I0는 기본세기, 및 I는 투과된 세기이다. 게르마늄 할로겐화물 가스 처리된 수트 예비성형품으로부터 제조된 유리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GeO2로 도핑된 영역의 외부에 위치된 방사상지점에서, 240nm 빛의 약 0.3/mm 이상의 흡수는 수소에 대한 내성을 갖는 유리임을 나타냄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영역은 상기 인접한 클래드 고리의 두께, 또는 상기 GeO2도핑된 SiO2영역의 외부로 1마이크론, 더욱 바람직하게는 3마이크론을 초과하는 두께에 있어서 중간에 또는 중간정도에 존재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파장에서의 흡수는 약 0.2/mm 미만이다. 수소에 대한 내성을 갖는 도파관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유리에는 환원된 Ge가 충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광도파관 섬유의 수소에 대한 민감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명은 약 1530nm에서 집중되는 파장 대역에서 단일모드의 광도파관 섬유의 수소에 의해 유발되는 감쇠(attenuation)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도 1은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가 유동되는 퍼네이스(furnace)에서 부유되는 수트 예비성형품을 도시한 도이고,
도 2a는 수트 예비성형품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파관 섬유 또는 인발 예비성형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유리 예비성형품에서 GeO2의 중량% 대 방사상 위치의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소에 대한 내성을 갖는 광도파관 섬유를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은 종래부터 알려진 몇몇개의 다른 제조공정에서 사용되어 오던, 수트 증착 장비, 예비성형품 건조 및 소고 장비 및 예비성형품 인발 장비를 이용하여 실시될 것이다. 도 1은 퍼네이스(4)에서 기계적인 방법(2)에 의해 부유되고, 몇몇의 다른 공정에 의해 제조된 수트 예비성형품(6)을 나타낸다.
입구(8) 및 출구(10)는 소결전에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에 걸쳐서 가스를 유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도파관 제조공정의 일부(소고)단계에서,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의 유동은 상기 예비성형품으로 환원된 금속종들을 주입하는데 가장 효과적임이 확신된다. 또한,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의 유동 및 수트의 소결 사이의 시간흐름이 최소로 유지되어 예를 들어 소고가 일어나거나 완결되는 시간까지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를 유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들은 설명하기 위해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다. 몇몇 다른 방법들이 퍼네이스로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를 유동시키는데 사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입구는 (10)일 수 있고, 출구는 (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가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을 통해 가로로 또는 세로로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난류의 형태(tubular formation)로 주입될 것이다.
핸들(handle, 44)은 소고 퍼네이스(15)로의 삽입을 위해 지지튜브(46)로부터 부유된다. 핸들(44)은 나팔꽃모양의 조인트(joint, 48)로부터 이간된 상부말단 및 환상 확대(49)에서 상기 조인트(48)를 갖는 유리튜브(4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튜브(46)는 그것이 말단에 형성된 슬롯된 핸들(slotted handle)을 갖는다. 튜브(45)의 인접 부분이 슬롯(slot, 51)으로 삽입될 때 상기 튜브(46)의 말단 영역(46)의 한면은 제거되어 슬롯된 기저(50)상에 놓이는 핸들(44)의 상부말단, 확대(49)를 수용한다. 가스의 말단에서 전도튜브(53)는 조인트(48)의 공동(cavity, 54)에 고정되는 볼 조인트(ball joint, 52)이다.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은 바람직하게는 수소에 대한 감소된 민감도를 나타내는 섬유를 제조하기에 충분한 시간 및 온도 동안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에 노출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섬유는 6일동안 1%의 수소 분위기에 노출된 후에 1530nm에서 0.05dB/km 미만의 증가된 감쇠를 나타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일동안 1%의 수소 분위기에 노출된 후에 1530nm에서 0.03dB/km 미만의 증가된 감쇠를 나타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일동안 1%의 수소 분위기에 노출된 후에 1530nm에서 0.01dB/km 미만의 증가된 감쇠를 나타낸다. 수소에 대한 감소된 민감도를 갖는 상기 섬유들이 섬유에 용접 코팅을 적용하지 않고도 가능하다는 사실은 종래의 섬유에 비해 굉장한 잇점이 된다. 도 2a의 수트 예비성형품의 단면도는 상기 코어 수트(11) 및 이에 인접한 클래드 수트층(12)을 나타낸다. 코어 및 클래드 수트로 이루어진 이러한 다공성 바디는 퍼네이스에서 가열되며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의 유동에 함침된다. 상기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은 소결되어 유리바디를 형성하고, 클래딩 유리의 추가층(14)이 적용된다. 통상적으로 부가 클래드 층은 상기 소결된 예비성형품에 있어서 연결되거나 위에 증착된다. 최종 인발 예비성형품은 코어 영역(10), 인접 클래드층(12) 및 최외곽 클래드층(14)을 나타내는 도 2b에 도시된다.
소고단계동안 가열된 수트 예비성형품에 걸쳐서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를 유동시키는 효과는 도 3에 도시되었다. 도 3은 모든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이 경우, GeCl4)로 처리된 예비성형품에 있어서 소결된 예비성형품에서의 방사상 위치 대 중량% 게르마니아를 곡선(16) 및 미처리된 예비성형품 곡선(18)으로 나타낸다. 상기 곡선(16)에 존재하는 과잉 중량% GeO2는 유리 매트릭스내에 추가 Ge를 나타낸다. x-축은 길이의 임의의 단위로 분할된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예비성형품의 부분은 상기 코어 유리영역 및 클래드 유리층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부분만이다. 상기 곡선(18) 위의 곡선(16)의 편의(excursion)는 GeCl4가스 유동으로부터 게르마늄이 예비성형품 매트릭스로 전이됨을 나타낸다. 240nm 빛의 흡수도 측정으로 상기 Ge가 환원형태임을 확인하였다.
이론에 의해 정립되지는 않지만, 본 출원인은 최종 도파관 섬유의 수소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메카니즘이 다음과 같음을 확신한다. 과잉 산소의 존재로 인해 유리 매트릭스내에 결함들이 존재한다.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을 금속 할로겐화물(M Clx, 여기서 M은 금속 및 x는 금속 원자가를 나타냄)로 처리하는 것은, 금속 원자들이 상기 매트릭스내로 삽입되어 과잉 산소 및 이에 따른 결함을 제거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미리-선택된 가스로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을 처리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인발에 의한 결함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응력에 의한 결함들을 형성하기 쉬운 결합(bond)들을 제거한다. 이러한 모델은 유리 매트릭스 내에서 원자의 거동이 매우 적합함을 나타내며 실험시에 관찰되는 적절한 수소 흡수대역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모델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모델의 변형에만 의존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비교예)-전구물질 가스 없이 가열
유리 수트가 바이트 로드상에 증착되는 외부 기상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실리카 및 게르마니아를 포함하는 상기 코어 영역이 증착되었다. 실리카층은 상기 코어 영역 주위에 증착되었다. 상기 바이트 로드가 제거되었고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은 퍼네이스에 놓여서 1000℃까지 가열되었다. 1시간 경과동안, 20slpm의 He이 예비성형품의 주위로 유동되어지며, 0.7slpm의 He이 상기 예비성형품 중심개구를 통해 통과되었다. 그리고나서, 3시간 경과동안, 0.07slpm의 Cl2의 유동이 상기 예비성형품의 중심 개구에서 He 가스의 유동에 첨가되었다. 상기 Cl2유동이 중단되었고, 상기 퍼네이스 온도는 상승되었으며, 상기 예비성형품은 소결되어 깨끗한 유리바디를 형성하였다. 상기 소결공정은 종래부터 알려진 방법이며, 본원에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소결된 유리바디의 일반적인 직경은 7mm이었다. 도파관 캐인(waveguide cane)으로서 특징지어지는 상기 소결된 유리바디의 일부는 3.5mm의 일반적인 직경을 가졌다.
실리카층에서의 3곳의 위치에서 240nm 빛의 흡수는 본원에 포함되는 환원된 Ge의 양을 추정하기 위해 측정되었다. 상기 측정값은 하기와 같다:
코어 영역 클래드 층 경계선 부근 - 0.27;
상기 코어-클래드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클래드 밖으로 0.75mm - 0.09; 및,
상기 코어 경계선으로부터 클래드 밖으로 1.25mm - 0.03. 이러한 결과는 상기 코어 영역으로부터의 Ge의 확산이 상기 코어 영역으로부터 약간의 밀리미터로 분별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비성형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파관 섬유는 6일동안 1% 수소 분위기에서 실험되었다. 실험챔버내의 압력은 1기압이고, 상기 챔버는 실온으로 유지되었다. 1530nm에서의 감쇠의 증가는 1.450dB/km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 -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와 함께 가열
상기 예비성형품이 본 발명에 따라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와 함께 처리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수트 예비성형품이 제조되었다.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은 퍼네이스에 놓여서 1000℃까지 가열되었다. 1시간 경과동안, 20slpm의 He이 예비성형품의 주위로 유동되어지며, 0.7slpm의 He이 상기 예비성형품 중심 개구를 통해 통과되었다. 그리고나서, 3시간 경과동안, 중심의 유동은 유지되었고, GeCl4의 1sccm/100g의 유동이 20slpm의 유동에 첨가되었다. 상기 GeCl4유동이 중단되었고, 상기 퍼네이스 온도는 상승되었으며, 상기 예비성형품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소결되어 깨끗한 유리바디를 형성하였으며, 필수적으로 동일하게 소결된 예비성형품의 구조를 얻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리카층에서의 3곳의 위치에서 240nm 빛의 흡수는 본원에서 포함되는 환원된 Ge의 양을 추정하기 위해 측정되었다. 상기 측정값은 하기와 같다:
코어 영역 클래드 층 경계선 부근 - 2.1;
상기 코어-클래드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클래드 밖으로 0.75mm - 1.8; 및,
상기 코어 경계선으로부터 클래드 밖으로 1.25mm - 1.2. 이것은 추가된 Ge가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 처리된 예비성형품에 포함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비성형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파관 섬유는 6일동안 1% 수소 분위기에서 실험되었다. 실험챔버내의 압력은 1기압이고, 상기 챔버는 실온으로 유지되었다. 1530nm에서의 감쇠의 증가는 측정된 잡음 바닥(noise floor)에 매우 근접한 0.004dB/km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코어 영역에 인접한 클래드 층에서 예비성형품으로 환원된 Ge의 포함은 1530nm에서 집중된 파장 대역에서 수소에 대한 민감도를 필수적으로 제거하는데 효과적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청구범위에서 한정하고 있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되어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6)

  1. 클래드 영역에 의해 접해지면서 감싸여 있는 중심 코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영역 및 클래드 영역 모두는 실리카 기초의 유리를 포함하며, 6일동안 1%의 수소분위기에 노출된 후에 1530nm에서 0.05dB/km 미만의 증가된 감쇠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에 대한 내성을 갖는 광도파관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6일동안 1%의 수소분위기에 노출된 후에 1530nm에서 0.03dB/km 미만의 증가된 감쇠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6일동안 1%의 수소분위기에 노출된 후에 1530nm에서 0.01dB/km 미만의 증가된 감쇠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4. 클래드 영역에 의해 접해지면서 감싸여 있는 중심 코어 영역을 포함하는 광섬유 예비성형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단계시 또는 제조단계후에, 광섬유 제조를 위한 섬유인발공정에 상기 예비성형품이 사용될 때, 최종 섬유가 6일동안 1%의 수소분위기에 노출된 후에 1530nm에서 0.05dB/km 미만의 증가된 감쇠를 나타내도록 상기 예비성형품을 처리하기에 충분한 온도 및 시간동안 상기 예비성형품을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 분위기하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에 대한 내성을 갖는 광도파관 섬유의 전구물질인 처리된 수트 예비성형품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에서 상기 예비성형품의 중심 코어 영역 및 클래드 영역이 모두 실리카 기초의 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섬유가 6일동안 1%의 수소분위기에 노출된 후에 1530nm에서 0.03dB/km 미만의 증가된 감쇠를 더욱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는 800℃ 내지 상기 코어 영역 수트 및 클래드 영역 수트 모두의 소결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에서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가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을 통해서 또는 주위에서 상기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를 유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투명한 유리 바디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예비성형품을 소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인발 예비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투명한 유리 바디의 실리카층에 걸쳐서 추가의 클래딩 수트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인발 예비성형품으로부터 광도파관 섬유를 인발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에서 상기 수트 예비성형품을 통해 또는 주위로의 총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유속이 0.2sccm/100그램의 유리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속이 1.0sccm/100그램의 유리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의 시간은 0.5 내지 10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의 온도는 125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의 온도는 100℃ 내지 115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영역은 실리카 수트로 상호-증착된 게르마니아 수트로 이루어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에서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는 GeCl4및 SiCl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에서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는 GeCl4및 SiCl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4항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에 대해 내성을 갖는 광도파관.
  2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는 상기 제조단계동안 발생하고, 상기 방법은 화학양론적 양 미만의 산소분위기에서 상기 금속 할로겐화물과 함께 SiO2수트를 증착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할로겐화물이 GeCl4인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SiO2수트가 SiCl4를 화학적 기상 증착법을 통해 증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클래드 영역에 의해 접해지면서 감싸여 있는 중심 코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코어 및 클래드 유리는 굴절률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코어 유리 영역의 적어도 한 부분은 상기 클래드 유리층의 적어도 한 부분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코어 유리 영역의 적어도 한 부분 또는 상기 코어 유리 영역에 인접한 클래드 유리 영역의 적어도 한 부분이 환원 금속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에 대한 내성을 갖는 광도파관 섬유.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금속종이 Ge및 S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에 대한 내성을 갖는 광도파관 섬유.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금속종이 Ge이며, 빛이 상기 코어 주위로부터 5 내지 10㎛ 미만이고 도파관 코어에 인접한 클래드 층에 의해 흡수되도록 빛이 방사상으로 위치될 때, 도파관 축을 따라 결합된 240nm 빛의 흡수율이 0.2/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에 대한 내성을 갖는 광도파관 섬유.
KR10-2000-7000448A 1997-07-15 1998-06-24 감소된 h2 민감도를 갖는 광섬유 KR100524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61397P 1997-07-15 1997-07-15
US60/052,613 1997-07-15
PCT/US1998/013374 WO1999003790A1 (en) 1997-07-15 1998-06-24 Decreased h2 sensitivity in optical fi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884A true KR20010021884A (ko) 2001-03-15
KR100524158B1 KR100524158B1 (ko) 2005-10-25

Family

ID=2197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448A KR100524158B1 (ko) 1997-07-15 1998-06-24 감소된 h2 민감도를 갖는 광섬유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438999B1 (ko)
EP (1) EP0998431A1 (ko)
JP (1) JP3941910B2 (ko)
KR (1) KR100524158B1 (ko)
CN (1) CN1272831A (ko)
AU (1) AU741032B2 (ko)
BR (1) BR9811105A (ko)
CA (1) CA2295490A1 (ko)
ID (1) ID24704A (ko)
WO (1) WO1999003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2700A4 (en) * 2000-12-05 2008-12-3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 FIBERS
JP2002258090A (ja) * 2001-02-27 2002-09-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低損失光ファイバ
US20020197005A1 (en) * 2001-06-26 2002-12-26 Chang Kai H.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optical fiber using adjustment of oxygen stoichiometry
JP4252451B2 (ja) 2001-08-30 2009-04-08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混合液の液滴形成方法及び混合液の液滴形成装置
JP4112935B2 (ja) 2002-09-30 2008-07-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混合液の液滴形成方法及び液滴形成装置、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印刷方法及び装置
US7752870B1 (en) 2003-10-16 2010-07-13 Baker Hughes Incorporated Hydrogen resistant optical fiber formation technique
US7400803B2 (en) * 2005-03-25 2008-07-15 Welldynamics,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hydrogen diffusion barrier for fiber optic cables used in hostile environments
US6907170B1 (en) 2004-07-22 2005-06-1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Hydrogen diffusion delay barrier for fiber optic cables used in hostile environments
US7218820B2 (en) * 2004-07-22 2007-05-15 Welldynam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hydrogen diffusion barrier for fiber optic cables used in hostile environments
JP4302591B2 (ja) 2004-08-20 2009-07-2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液滴形成条件決定方法、液滴の体積計測方法、粒子数計測方法、及び液滴形成装置
ATE532752T1 (de) * 2007-01-02 2011-11-15 Draka Comteq Bv Verlängertes backverfahren für abscheidungsröhrchen aus quarzglas
CN101912968A (zh) * 2010-08-20 2010-12-15 西北有色金属研究院 一种细长状粉末冶金管/棒坯体的悬垂烧结方法
US9586853B2 (en) * 2014-07-09 2017-03-0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optical fibers in a reducing atmosphere
CN104129915A (zh) * 2014-08-18 2014-11-05 苏州新协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预制棒的新型制造方法
CN109633813B (zh) * 2018-12-21 2020-05-22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光纤传像元件及其制备方法
CN109455922B (zh) * 2018-12-21 2021-06-01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光导纤维及其制备方法
WO2023096799A1 (en) * 2021-11-29 2023-06-01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manufacturing low loss optical fiber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3484A (en) * 1974-01-11 1975-12-02 Corning Glass Works Flame method of producing glass
US4125388A (en) * 1976-12-20 1978-11-14 Corning Glass Works Method of making optical waveguides
GB1562032A (en) * 1977-03-24 1980-03-05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Optical fibre manufacture
US4263031A (en) * 1978-06-12 1981-04-21 Corning Glass Works Method of producing glass optical filaments
DE2843276C2 (de) * 1978-10-04 1980-05-2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ichtwellenleiters
CA1188895A (en) * 1980-09-11 1985-06-18 Shoichi Suto Fabrication methods of doped silica glass and optical fiber preform by using the doped silica glass
US4310341A (en) * 1980-09-12 1982-01-12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Removal of --OH impurities from fiber optic precursor materials
US4718747A (en) * 1984-04-27 1988-01-12 Societa Cavi Pirelli S.P.A. Optical fiber and cable with hydrogen combining layer
JPS60260434A (ja) 1984-06-04 1985-12-23 Shin Etsu Chem Co Ltd 光伝送用無水ガラス素材の製造方法
CA1290942C (en) * 1985-03-18 1991-10-22 Michihisa Kyoto Method for producing glass preform for optical fiber
JPS61247633A (ja) * 1985-04-25 1986-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用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
US4620861A (en) * 1985-11-04 1986-11-04 Corning Glass Works Method for making index-profiled optical device
US4906268A (en) * 1986-01-30 1990-03-06 Corning Incorporated Heating oven for preparing optical waveguide fibers
US5028246A (en) * 1986-02-03 1991-07-02 Ensign-Bickford Optical Technologies, Inc. Methods of making optical waveguides
US5000541A (en) * 1987-09-18 1991-03-19 At&T Bell Laboratories Hermetically sealed optical fibers
JPH0196039A (ja) * 1987-10-07 1989-04-1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
JPH0764578B2 (ja) * 1987-12-11 1995-07-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ングルモード光フア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
JPH0393641A (ja) * 1989-09-07 1991-04-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用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
US5067975A (en) * 1989-12-22 1991-11-26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waveguide fiber with titania-silica outer cladding
US5059229A (en) 1990-09-24 1991-10-22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ber in a hydrogen atmosphere to prevent attenuation
JP2836302B2 (ja) * 1991-07-19 1998-12-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JP3175247B2 (ja) * 1991-12-16 2001-06-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多孔質母材の加熱透明化方法
GB9210327D0 (en) * 1992-05-14 1992-07-01 Tsl Group Plc Heat treatment facility for synthetic vitreous silica bodies
US5346520A (en) * 1992-09-23 1994-09-13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for applying a carbon coating to optical fibers
IT1264902B1 (it) * 1993-06-29 1996-10-17 Pirelli Cavi Spa Composizione idrogeno-assorbente per cavi a fibre ottiche e cavo a fibre ottiche includente la suddetta composizione
US5656057A (en) * 1995-05-19 1997-08-12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drying and sintering an optical fiber preform
US5596668A (en) * 1995-06-30 1997-01-21 Lucent Technologies Inc. Single mode optical transmission fiber, and method of making the fiber
US5641333A (en) * 1995-12-01 1997-06-24 Corning Incorporated Increasing the retention of Ge02 during production of glass articles
US5838866A (en) 1995-11-03 1998-11-17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resistant to hydrogen-induced atte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376798A (en) 1999-02-10
ID24704A (id) 2000-08-03
CN1272831A (zh) 2000-11-08
CA2295490A1 (en) 1999-01-28
EP0998431A1 (en) 2000-05-10
KR100524158B1 (ko) 2005-10-25
US6438999B1 (en) 2002-08-27
US20020150365A1 (en) 2002-10-17
BR9811105A (pt) 2000-11-14
WO1999003790A1 (en) 1999-01-28
JP3941910B2 (ja) 2007-07-11
US6687444B2 (en) 2004-02-03
JP2001510137A (ja) 2001-07-31
AU741032B2 (en) 200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4158B1 (ko) 감소된 h2 민감도를 갖는 광섬유
CA1123684A (en) Method of making dry optical waveguides
EP0767147B1 (en) Single mode optical transmission fiber, and method of making the fiber
EP1181254B1 (en) Low water peak optical waveguide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157906A (en) Method of drawing glass optical waveguides
US4125388A (en) Method of making optical waveguides
CA1145172A (en) Long wavelength, low-loss optical waveguide
KR890001121B1 (ko) 싱글모우드 파이버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JP2959877B2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US7546750B2 (en) Method for fabricating optical fiber using deuterium exposure
JPS61219729A (ja) 光学的導波管の製造方法
RU2230044C2 (ru) Заготовка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имеющая барьер для радикала он,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1510137A5 (ko)
US4351658A (en) Manufacture of optical fibers
WO2007122630A2 (en) Single mode optical fiber having reduced macrobending and attenuation lo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78709B1 (ko) 산소 화학량론을 조정하여 광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JPS6340744A (ja) 光フアイバ
AU1360702A (en) Decreased h2 sensitivity in optical fiber
EP0185975A1 (en) Process for fabricating a glass preform
MXPA00000582A (en) Decreased h2 sensitivity in optical fiber
CA1100001A (en) Method of making optical waveguides
JPH0812367A (ja) 分散シフトシングルモード光ファイバ
JPS5949503A (ja) 多モ−ド光フアイバ
RU2000101304A (ru) Понижение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к воздействию водорода
JPS612049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